KR20160003432A -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432A
KR20160003432A KR1020140081788A KR20140081788A KR20160003432A KR 20160003432 A KR20160003432 A KR 20160003432A KR 1020140081788 A KR1020140081788 A KR 1020140081788A KR 20140081788 A KR20140081788 A KR 20140081788A KR 20160003432 A KR20160003432 A KR 20160003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bilge
oil
pump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장원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1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3432A/ko
Publication of KR20160003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4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의 폐수 혼합 탱크 내에 수위감지센서와 "하이" 및 "로우" 흡입관을 설치하고, 출구가 삼방변을 통해 폐유 처리부 및 전처리장치에 연결된 펌프의 입구와 상기 "하이" 및 "로우" 흡입관 사이에 각각 삼방변을 설치하여, 상기 폐수 혼합 탱크 내로 빌지가 일정수위 이상으로 수집되어 상부로 기름 층이 형성되고 하부로 폐수 층이 형성되면 상기 펌프에서 "하이" 흡입관을 통해 기름을 흡입하여 폐유 처리부로 이송한 다음 소각로를 이용하여 소각하고, 폐수는 전처리장치로 이송하여 처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선박에서 발생되는 빌지 처리에 소요되는 인력과 처리 시간 및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인적 오류(Humam error)로 인한 실수를 줄일 수 있어 안전하게 빌지(Bilge)를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 자체의 작동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AUTO SEPERATING OILY WATER FROM BILGE TANK}
본 발명은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박 운항시나 정박시 기관의 가동, 청소 등을 실시할 때 발생되는 각종 기름을 포함한 폐수가 소정용적의 폐수 혼합 탱크(예를 들어 오일리 빌지 탱크 또는 슬러지 탱크 등) 내로 수집되어 상부로 기름 층이 형성되고 하부로 폐수 층이 형성되면 이를 자동으로 상호 분리하여 폐수는 전처리장치로 이송하고 기름은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w.o set't tank) 또는 커넥터 오더 시스템 등과 같은 폐유 처리부로 이송한 다음 소각로를 이용하여 소각시키는 방식을 통해 빌지 처리에 소요되는 인력과 처리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인적 오류(Humam error)로 인한 실수를 줄여 안전하게 빌지(Bilge)를 처리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운항시나 정박시 기관의 가동, 청소 등으로 인하여 기름이 많이 포함된 폐수(빌지; Bilge)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 폐수는 선박의 밑바닥에 설치되는 슬러지 탱크(Sludge tank)나 빌지 저장 탱크(bilge holding tank) 및 오일리 빌지 탱크(Oily bilge tank) 내로 수집된다.
이렇게 수집된 폐수인 빌지는 선박 내에 설치되어 있는 유수분리장치의 휠터를 통하여 여과, 분리시켜 정화된 폐수만을 해상으로 배출시키고, 물과 분리 수집된 기름(폐유)은 별도 저장하거나 소각기로 보내 소각하는 방식으로 선박의 폐수를 처리하고 있음이 통상적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슬러지 탱크나 빌지 저장 탱크 및 오일리 빌지 탱크 내로 수집된 빌지는 물과 기름이 섞여 있어 있으므로 종래에는 대부분 빌지를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Waste Oil SET'T tank)로 이송을 하여 히팅을 통해 물은 증발을 시키고 기름은 웨이스트 서비스 탱크(Waste service tank)로 이송하여 소각로(Incinerator)를 통해 소각함에 따라 빌지 처리에 드는 시간과 인력 및 비용 등이 많이 들게 됨은 물론 인적 오류(Humam error)로 인한 실수 발생시 빌지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53577호(2011년 05월 03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142513호(2013년 12월 30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선박 운항시나 정박시 기관의 가동, 청소 등을 실시할 때 발생되는 각종 기름을 포함한 폐수가 수집되는 소정용적의 오일리 빌지 탱크 및 슬러지 탱크 등과 같은 폐수 혼합 탱크 내에 수위감지센서와 "하이(Hight)" 및 "로우(Low)" 흡입관(suction pipe)을 설치하고, 출구가 삼방변을 통해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 및 커넥터 오더 시스템 등과 같은 폐유 처리부 및 전처리장치에 연결된 펌프의 입구와 상기 "하이" 및 "로우" 흡입관 사이에는 각각 삼방변을 설치하여, 상기 오일리 빌지 탱크 및 슬러지 탱크 등과 같은 폐수 혼합 탱크 내로 소정 수위만큼 수집된 빌지가 비중차에 의해 상부로 기름 층이 형성되고 하부로 폐수 층이 형성되면 상기 펌프에서 "하이" 흡입관을 통해서 기름을 흡입하여 폐유 처리부인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로 이송한 다음 소각로를 이용하여 소각할 수 있도록 하고, 폐수는 "로우" 흡입관을 통해 흡입하여 전처리장치로 이송 및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박에서 발생되는 빌지 처리에 소요되는 인력과 처리 시간 및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인적 오류(Humam error)로 인한 실수를 줄일 수 있어 안전하게 빌지(Bilge)를 처리할 수 있는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박의 폐수 혼합 탱크 내에 수위감지센서와 "하이" 및 "로우" 흡입관을 설치하고, 출구가 삼방변을 통해 폐유 처리부 및 전처리장치에 연결된 펌프의 입구와 상기 "하이" 및 "로우" 흡입관 사이에 각각 삼방변을 설치하여, 상기 폐수 혼합 탱크 내로 빌지가 일정수위 이상으로 수집되어 상부로 기름 층이 형성되고 하부로 폐수 층이 형성되면 상기 펌프에서 "하이" 흡입관을 통해 기름을 흡입하여 폐유 처리부로 이송한 다음 소각로를 이용하여 소각하고, 폐수는 "로우" 흡입관을 통해 흡입하여 전처리장치로 이송 처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폐수 혼합 탱크는 오일리 빌지 탱크 및 슬러지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폐유 처리부는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 및 커넥터 오더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소정용적을 갖는 상기 오일리 빌지 탱크 및 슬러지 탱크 내에는 각각의 탱크 내 빌지 수위를 검출하는 제 1 및 제 2 수위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저단부가 각각 상기 오일리 빌지 탱크 및 슬러지 탱크 내의 소정위치에 도달되도록 제 1 및 제 2 하이 및 로우 흡입관을 설치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하이 및 로우 흡입관의 연결부위에는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제 1 및 제 2 하이 흡입관 또는 제 1 및 제 2 로우 흡입관 측으로 절체되는 제 1 및 제 2 삼방변을 설치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삼방변의 출구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수위감지센서에서 "상한" 수위를 검출함으로 인해 제어부에서 구동신호가 출력되면 그에 부응하여 작동되며 오일리 빌지 탱크 및 슬러지 탱크 내에 수집된 빌지 중 기름은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 또는 커넥터 오더 시스템으로 송유하고 폐수는 전처리장치로 송수하는 펌프를 설치하며, 상기 펌프의 출구와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 전처리장치 및 커넥터 오더 시스템의 입구 사이에는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절체되어 기름은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 또는 커넥터 오더 시스템으로 송유되게 하고 폐수는 전처리장치로 송수되게 하는 제 3 삼방변을 설치하고, 시스템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수위감지센서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내지 제 3 삼방변의 절체 제어 및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펌프의 출구와 제 3 삼방변의 입구 사이에는 오일리 빌지 탱크 또는 슬러지 탱크 내에 기름이나 폐수가 없으므로 인해 펌프가 공회전(dry-run)할 경우 제어부로 하여금 펌프의 구동을 차단하도록 이를 검지하여 전달하는 펌프 자동 정지 포지션 센서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의 입구를 포함하여 상기 전처리장치 및 오일리 빌지 탱크와 연결된 상태를 갖는 빌지 저장 탱크의 입구에는 오버플로우 상태를 검출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펌프의 구동을 차단하도록 하는 하이 레벨 자동 정지 포지션 센서를 각각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 1 및 제 2 삼방변의 출구와 펌프의 입구 사이에 설치된 배관 상에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되거나 또는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제어되는 제 1 및 제 2 단속 밸브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 삼방변의 출구와 기름이 송유되는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 또는 커넥터 오더 시스템 사이에 설치된 배관 상에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되거나 또는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제어되는 제 3 및 제 4 단속 밸브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의 출구와 전처리장치의 입구 사이에 설치된 배관 상에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되거나 또는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제어되는 제 5 단속 밸브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처리장치의 상부에는 전처리시 부유되는 기름을 오일리 빌지 탱크로 자동 송유해 주는 오버플로우관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에 의하면, 선박 운항시나 정박시 기관의 가동, 청소 등을 실시할 때 발생되는 각종 기름을 포함한 폐수가 수집되는 소정용적의 오일리 빌지 탱크 및 슬러지 탱크 내에 수위감지센서와 "하이(Hight)" 및 "로우(Low)" 흡입관(suction pipe)을 설치하고, 출구가 삼방변을 통해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와 전처리장치 및 커넥터 오더 시스템에 연결된 펌프의 입구와 상기 "하이" 및 "로우" 흡입관 사이에는 각각 삼방변을 설치하여, 상기 오일리 빌지 탱크 및 슬러지 탱크 내로 소정 수위만큼 수집된 빌지가 비중차에 의해 상부로 기름 층이 형성되고 하부로 폐수 층이 형성되면 상기 펌프에서 "하이" 흡입관을 통해서 기름을 흡입하여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로 이송한 다음 소각로를 이용하여 소각할 수 있도록 하고, 폐수는 "로우" 흡입관을 통해 흡입하여 전처리장치로 이송한 다음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박에서 발생되는 빌지 처리에 소요되는 인력과 처리 시간 및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인적 오류(Humam error)로 인한 실수를 줄일 수 있어 안전하게 빌지(Bilge)를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 자체의 작동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선박의 폐수 혼합 탱크(100) 내에 수위감지센서(7)(8)와 "하이" 및 "로우" 흡입관(9)(10)(11)(12)을 설치하고, 출구가 삼방변(15)을 통해 폐유 처리부(200) 및 전처리장치(5)에 연결된 펌프(16)의 입구와 상기 "하이" 및 "로우" 흡입관(9)(10)(11)(12) 사이에 각각 삼방변(13)(14)을 설치하여, 상기 폐수 혼합 탱크(100) 내로 빌지가 일정수위 이상으로 수집되어 상부로 기름 층이 형성되고 하부로 폐수 층이 형성되면 상기 펌프(15)에서 "하이" 흡입관(9)(10)을 통해 기름을 흡입하여 폐유 처리부(200)로 이송한 다음 소각로를 이용하여 소각하고, 폐수는 "로우" 흡입관(11)(12)을 통해 흡입하여 전처리장치(5)로 이송한 다음 처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폐수 혼합 탱크(100)는 오일리 빌지 탱크(1) 및 슬러지 탱크(2)를 포함하고, 상기 폐유 처리부(200)는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3) 및 커넥터 오더 시스템(4)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소정용적을 갖는 오일리 빌지 탱크(1) 및 슬러지 탱크(2) 내에 각각의 탱크 내 빌지 수위를 검출하는 제 1 및 제 2 수위감지센서(7)(8)를 설치하고,
저단부가 각각 상기 오일리 빌지 탱크(1) 및 슬러지 탱크(2) 내의 정해진 소정위치에 도달되도록 하여 제 1 및 제 2 하이 및 로우 흡입관(9)(10)(11)(12)을 설치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하이 및 로우 흡입관(9)(10)(11)(12)의 연결부위에 제어부(17)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제 1 및 제 2 하이 흡입관(9)(11) 또는 제 1 및 제 2 로우 흡입관(10)(12) 측으로 절체되는 제 1 및 제 2 삼방변(13)(14)을 설치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삼방변(13)(14)의 출구에 상기 제 1 및 제 2 수위감지센서(7)(8)에서 "상한" 수위를 검출함으로 인해 제어부(17)에서 구동신호가 출력되면 그에 부응하여 작동되며 오일리 빌지 탱크(1) 및 슬러지 탱크(2) 내에 수집된 빌지 중 기름은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3) 또는 커넥터 오더 시스템(4)로 송유하고, 폐수는 전처리장치(5)로 송수하는 펌프(16)를 설치하며,
상기 펌프(16)의 출구와,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3), 전처리장치(5) 및 커넥터 오더 시스템(4)의 입구 사이에 제어부(17)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절체되어 기름은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 또는 커넥터 오더 시스템으로 송유되게 하고 폐수는 전처리장치(5)로 송수되게 하는 제 3 삼방변(15)을 설치하고,
시스템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수위감지센서(7)(8)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내지 제 3 삼방변(13)(14)(15)의 절체 제어 및 펌프(16)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7)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펌프(16)의 출구와 제 3 삼방변(15)의 입구 사이에는 오일리 빌지 탱크(1) 또는 슬러지 탱크(2) 내에 기름이나 폐수가 없으므로 인해 펌프(16)가 공회전(dry-run)할 경우 제어부(17)로 하여금 펌프의 구동을 차단하도록 이를 검지하여 전달하는 펌프 자동 정지 포지션 센서(18)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3)의 입구를 포함하여 상기 전처리장치(5) 및 오일리 빌지 탱크(1)와 연결된 상태를 갖는 빌지 저장 탱크(6)의 입구에는 오버플로우 상태를 검출하여 제어부(17)로 하여금 펌프(16)의 구동을 차단하도록 하는 하이 레벨 자동 정지 포지션 센서(19)(20)를 각각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 1 및 제 2 삼방변(13)(14)의 출구와 펌프(16)의 입구 사이에 설치된 배관 상에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되거나 또는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제어되는 제 1 및 제 2 단속 밸브(21)(22)를 각각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 삼방변(15)의 출구와 기름이 송유되는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3) 및 커넥터 오더 시스템(4) 사이에 설치된 배관 상에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되거나 또는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제어되는 제 3 및 제 4 단속 밸브(23)(24)를 각각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3)의 출구와 전처리장치(5)의 입구 사이에 설치된 배관 상에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되거나 또는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제어되는 제 5 단속 밸브(25)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처리장치(5)의 상부에는 전처리시 부유되는 기름을 오일리 빌지 탱크(1)로 자동 송유해 주는 오버플로우관(26)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수 혼합 탱크(100)로써 소정용적을 갖는 오일리 빌지 탱크(1)와 슬러지 탱크(2)를 포함하여 전처리장치(5) 및 폐유 처리부(200)로써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3)와 커넥터 오더 시스템(4)은 물론 제 1 및 제 2 수위감지센서(7)(8)와, 제 1 및 제 2 하이 및 로우 흡입관(9)(10)(11)(12), 제 1 내지 제 3 삼방변(13)(14)(15), 펌프(16) 및 제어부(17)로 구성한 것을 기본적인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수위감지센서(7)(8)는 선박 내에서 생성되는 각종 기름을 포함한 폐수가 수집되는 폐수 혼합 탱크(100)로써 소정용적을 갖는 오일리 빌지 탱크(1)와 슬러지 탱크(2) 내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의 탱크 내 빌지 수위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여 제어부(17)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제 1 및 제 2 하이 및 로우 흡입관(9)(10)(11)(12)은 저단부가 각각 상기 오일리 빌지 탱크(1) 및 슬러지 탱크(2) 내의 정해진 소정위치(예를 들어 하이 흡입관은 탱크들의 전체 높이 대비 상방부에서 1/3 또는 1/2 높이, 로우 흡입관은 탱크들의 바닥면에 근접한 위치)에 도달되도록 각각 설치되어 펌프(16)의 작동시 비중차에 의해 상기 오일리 빌지 탱크(1) 및 슬러지 탱크(2) 내에서 상방부로 떠있는 기름 또는 상기 바닥면에서 기름 사이에 수집되어 있는 폐수를 흡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삼방변(13)(14)은 각각 상기 오일리 빌지 탱크(1) 및 슬러지 탱크(2) 내에 한 쌍씩 설치되어 있는 상기 제 1 및 제 2 하이 및 로우 흡입관(9)(10)(11)(12)의 상단 두 출구와 펌프(16)의 입구 사이에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17)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상기 오일리 빌지 탱크(1) 및 슬러지 탱크(2) 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하이 흡입관(9)(11) 또는 제 1 및 제 2 로우 흡입관(10)(12) 측으로 절체되어 펌프(16)가 기름 또는 폐수를 선택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펌프(16)는 입구가 상기 제 1 및 제 2 삼방변(13)(14)의 출구에 연결되고 출구는 제 3 삼방변(15)을 통해 폐유 처리부(200)로써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3)와 커넥터 오더 시스템(4)을 포함하여 전처리장치(5)에 연결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상기 펌프(16)는 통상시 제 1 및 제 2 수위감지센서(7)(8)의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오일리 빌지 탱크(1) 및 슬러지 탱크(2) 내에 수집되는 빌지의 량을 판단하는 제어부(17)에서 상기 오일리 빌지 탱크(1) 또는 슬러지 탱크(2) 중 어느 하나에서라도 "상한" 수위검출신호가 입력되어 구동신호가 발생되면 그에 부응하여 작동한다.
즉, 상기 펌프(16)는 제어부(17)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작동되며, 상기 오일리 빌지 탱크(1) 및 슬러지 탱크(2) 내에 수집되어 있는 빌지 중 폐수 대비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아 상부에 위치된 기름은 제 1 및 제 2 하이 흡입관(9)(11)을 통해 흡입하여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3) 또는 커넥터 오더 시스템(4)로 송유하고, 기름 대비 상태적으로 비중이 낮아 각 탱크의 하부에 위치하는 폐수는 전처리장치(5)로 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 3 삼방변(15)은 상기 펌프(16)의 출구와,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3), 전처리장치(5) 및 커넥터 오더 시스템(4)의 입구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17)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전처리장치(5) 또는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3)와 커넥터 오더 시스템(4) 측으로 절체되어 기름은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3) 또는 커넥터 오더 시스템(4)으로 송유되게 하고, 폐수는 전처리장치(5)로 송수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제어부(17)는 상기 제 1 및 제 2 수위감지센서(7)(8)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내지 제 3 삼방변(13)(14)(15)의 절체 제어 및 펌프(16)의 구동을 제어 등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17)에서는 최초 상기 오일리 빌지 탱크(1) 또는 슬러지 탱크(2) 중 어느 하나에서라도 "상한" 수위검출신호가 검지되면 제 1 및 제 2 삼방변(13)(14)은 각각 제 1 및 제 2 하이 흡입관(9)(11) 측으로 절체함은 물론 제 3 삼방변(15)은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3) 및 커넥터 오더 시스템(4) 측으로 절체함과 동시에 펌프(16)를 작동시켜 상기 오일리 빌지 탱크(1) 또는 슬러지 탱크(2) 내에서 상방부로 수집된 기름을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3) 또는 커넥터 오더 시스템(4)으로 송유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어서, 후술하는 펌프 자동 정지 포지션 센서(18) 등을 통해 기름의 송유가 완료된 것으로 인지되면 펌프(16)의 구동을 차단한 다음 상기 제 1 및 제 2 삼방변(13)(14)은 각각 제 1 및 제 2 로우 흡입관(10)(12) 측으로 절체과 동시에 상기 제 3 삼방변(15)은 전처리장치(5) 절체함은 물론 펌프(16)를 다시 작동시켜 오일리 빌지 탱크(1) 또는 슬러지 탱크(2) 내에서 바닥부에 남아있는 폐수를 전처리장치(5)로 송수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요소 이외에 상기 펌프(16)의 출구와 제 3 삼방변(15)의 입구 사이에 펌프 자동 정지 포지션 센서(18)를 더 설치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오일리 빌지 탱크(1) 또는 슬러지 탱크(2) 내에 빌지 중 기름은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3)와 커넥터 오더 시스템(4) 측으로 송유하고, 폐수는 전처리장치(5)로 송수하는 과정에서, 상기 오일리 빌지 탱크(1) 또는 슬러지 탱크(2) 내에 기름 또는 폐수가 없으므로 인해 펌프(16)가 공회전(dry-run)할 경우 상기 펌프 자동 정지 포지션 센서(18)에서 이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7)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7)에서 공회전 중인 펌프(16)의 구동을 차단할 수 있어 펌프(16)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3)의 입구를 포함하여 상기 전처리장치(5) 및 오일리 빌지 탱크(1)와 연결된 상태를 갖는 빌지 저장 탱크(6)의 입구에 각각 하이 레벨 자동 정지 포지션 센서(19)(20)를 더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17)로 하여금 빌지를 기름과 폐유로 분리하여 상기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3) 또는 전처리장치(5)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하이 레벨 자동 정지 포지션 센서(19)(20)들을 통해 상기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3) 또는 전처리장치(5) 내로 이송되는 기름 또는 폐수가 오버플로우 되는지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7)에서는 오일리 빌지 탱크(1) 또는 슬러지 탱크(2) 내의 빌지를 기름과 폐수로 분리하여 상기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3) 또는 전처리장치(5)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하이 레벨 자동 정지 포지션 센서(19)(20)들을 통해 만약 오버플로우 상태가 검출되면 즉시 상기 펌프(16)의 구동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기름 및 폐수가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3) 또는 전처리장치(5)로부터 오버플로우되므로 인한 2차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삼방변(13)(14)의 출구와 펌프(16)의 입구 사이에 설치된 배관 상에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되거나 또는 제어부(17)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제어되는 제 1 및 제 2 단속 밸브(21)(22)를 각각 더 설치하여 줌으로써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 삼방변(13)과 펌프(16) 사이 또는 상기 제 2 삼방변(14)과 펌프(16) 사이의 배관을 차단할 수 있어 오일리 빌지 탱크(1) 또는 슬러지 탱크(2)에 수집된 빌지 중 어느 한 탱크 내에 수집된 빌지만 선택하거나 또는 이들을 교번으로 선택하여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3) 또는 전처리장치(5)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3 삼방변(15)의 출구와 기름이 송유되는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3) 및 커넥터 오더 시스템(4) 사이에 설치된 배관 상에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되거나 또는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제어되는 제 3 및 제 4 단속 밸브(23)(24)를 각각 더 설치하여 줌으로써 제 3 및 제 4 단속 밸브(23)(24)중 어느 일측 단속 밸브를 열어 주고 다른 단속 밸브는 닫아 주는 방식을 통해 상기 펌프(16) 및 제 3 삼방변(15)을 통해 송유되어 오는 오일리 빌지 탱크(1) 또는 슬러지 탱크(2) 내 기름을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3) 또는 커넥터 오더 시스템(4) 중 어느 한쪽으로 선택하여 송유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3)의 출구와 전처리장치(5)의 입구 사이에 설치된 배관 상에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되거나 또는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제어되는 제 5 단속 밸브(25)를 더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3) 내 기름에 포함되어 있는 폐수의 일부를 상기 제 5 단속 밸브(25)를 통해 전처리장치(5) 측으로 이송시킬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처리장치(5)의 상부에 오일리 빌지 탱크(1)와 연결되는 오버플로우관(26)을 더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전처리장치(5)에서 일부 기름이 희석된 상태를 갖는 폐수를 전처리하는 과정에서 부유되는 기름을 상기 오버플로우관(26)을 통해 빌지가 수집되는 상기 오일리 빌지 탱크(1)로 자동 송유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0 : 폐수 혼합 탱크 200 : 폐유 처리부
1 : 오일리 빌지 탱크 2 : 슬러지 탱크
3 :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 4 : 커넥터 오더 시스템
5 : 전처리장치 6 : 빌지 저장 탱크
7, 8 : 제 1 및 제 2 수위감지센서
9, 11 : 제 1 및 제 2 하이 흡입관 10, 12 : 제 1 및 제 2 로우 흡입관
13, 14, 15 : 제 1 내지 제 3 삼방변
16 : 펌프 17 : 제어부
18 : 펌프 자동 정지 포지션 센서
19, 20 : 하이 레벨 자동 정지 포지션 센서
21 내지 25 : 제 1 내지 제 5 단속 밸브
26 : 오버플로우관

Claims (8)

  1. 선박의 폐수 혼합 탱크 내에 수위감지센서와 "하이" 및 "로우" 흡입관을 설치하고, 출구가 삼방변을 통해 폐유 처리부 및 전처리장치에 연결된 펌프의 입구와 상기 "하이" 및 "로우" 흡입관 사이에 각각 삼방변을 설치하여, 상기 폐수 혼합 탱크 내로 빌지가 일정수위 이상으로 수집되면 제어부에서 펌프를 작동시켜 "하이" 흡입관을 통해 흡입되는 기름은 폐유 처리부로 이송하고, "로우" 흡입관을 통해 흡입되는 폐수는 전처리장치로 이송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수 혼합 탱크는 오일리 빌지 탱크 및 슬러지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폐유 처리부는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 및 커넥터 오더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출구에는,
    오일리 빌지 탱크 또는 슬러지 탱크 내에 기름이나 폐수가 없으므로 인해 펌프가 공회전(dry-run)할 경우 제어부로 하여금 펌프의 구동을 차단하도록 이를 검지하여 전달하는 펌프 자동 정지 포지션 센서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의 입구를 포함하여 상기 전처리장치 및 오일리 빌지 탱크와 연결된 상태를 갖는 빌지 저장 탱크의 입구에는,
    오버플로우 상태를 검출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펌프의 구동을 차단하도록 하는 하이 레벨 자동 정지 포지션 센서를 각각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 및 "로우" 흡입관에 설치된 삼방변들의 출구와 펌프의 입구 사이에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되거나 또는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제어되는 단속 밸브를 각각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삼방변의 출구와 기름이 송유되는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 또는 커넥터 오더 시스템 사이에 설치된 배관 상에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되거나 또는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제어되는 단속 밸브를 각각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스트 오일 세터링 탱크의 출구와 전처리장치의 입구 사이에 설치된 배관 상에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되거나 또는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제어되는 단속 밸브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장치의 상부에는 전처리시 부유되는 기름을 오일리 빌지 탱크로 자동 송유해 주는 오버플로우관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
KR1020140081788A 2014-07-01 2014-07-01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 KR201600034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788A KR20160003432A (ko) 2014-07-01 2014-07-01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788A KR20160003432A (ko) 2014-07-01 2014-07-01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32A true KR20160003432A (ko) 2016-01-11

Family

ID=55169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788A KR20160003432A (ko) 2014-07-01 2014-07-01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34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711A (ko) * 2017-08-18 2019-02-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577Y1 (ko) 2008-10-30 2011-05-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빌지 처리장치
KR20130142513A (ko) 2012-06-19 2013-12-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빌지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577Y1 (ko) 2008-10-30 2011-05-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빌지 처리장치
KR20130142513A (ko) 2012-06-19 2013-12-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빌지 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711A (ko) * 2017-08-18 2019-02-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2091A (en) Oily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JP2018517560A (ja) 油水分離器
EP3256729B1 (en) Pump system
US4623452A (en) Dockside system for the collection and disposal of bilge water and waste oil
CN206927732U (zh) 一种船舶废气洗涤系统废水处理装置
KR20160003432A (ko)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
CN208239423U (zh) 一种无人船用水样自动监测系统
KR20130014096A (ko) 펌프의 공회전 방지장치
CN201062221Y (zh) 油污水处理装置
KR20130142513A (ko) 빌지 처리 장치
CN107324535A (zh) 一种船舶废气洗涤系统废水处理装置
CN209338259U (zh) 船舶发动机尾气洗涤水处理系统
KR20120094661A (ko) 해양 구조물 또는 선박의 빌지 이송장치
KR101706458B1 (ko) 스크러버 유체 처리 공정
JP2011045836A (ja) 油水分離システム
CN203999043U (zh) 舱底水预沉淀柜及使用该预沉淀柜的油水处理设备
CN204097071U (zh) 自吸式无残留泵组液料输送机
CN114620802A (zh) 含油污水处理装置及方法
KR200453577Y1 (ko) 선박의 빌지 처리장치
KR102194213B1 (ko) 선박 슬러지 펌프의 운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0642358A (zh) 煤矿井下纯水输送系统
KR100238853B1 (ko) 유수수거 분리장치
KR100557346B1 (ko)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탱크들 간에 액을 서로 주고 받을 수있게 하는 장치
CN219929694U (zh) 一种含油废水处理的微型气浮装置
KR102051650B1 (ko) 슬러지 탱크 내 빌지 자동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