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204B1 - 진동파트피더 - Google Patents

진동파트피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204B1
KR100557204B1 KR1019980039573A KR19980039573A KR100557204B1 KR 100557204 B1 KR100557204 B1 KR 100557204B1 KR 1019980039573 A KR1019980039573 A KR 1019980039573A KR 19980039573 A KR19980039573 A KR 19980039573A KR 100557204 B1 KR100557204 B1 KR 100557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bowl
electromagnetic coil
movable fram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0086A (ko
Inventor
토시로 세키네
에이지 오키
마사노브 토미타
히로히코 무라타
카쯔미찌 카토
야수시 무라기시
테쯔유키 키무라
Original Assignee
신코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코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코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30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2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8Simultaneously loading a plurality of loose objects, e.g. by means of vibrations, pressure differences, magnetic f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10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 B65G27/32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with means for controlling direction, frequency or amplitude of vibration or shak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10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 B65G27/16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of vibrators, i.e. devices for producing movements of high frequency and small amplitude
    • B65G27/24Electromagnetic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15Orientation; Alignment; Pos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Jigging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컨대 진동에 의해 부품을 공급하는 타원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하한 부품 및 여하한 부품정렬수단에 대해서도 부품의 정렬효과를 충분히 발휘시켜 막힘을 최대한 방지시키도록 하기 위해,
제1 전자코일을 가지는 수직방향 가진원(加振源)과 제2 전자코일을 가지는 수평방향 가진원과, 내주벽에 스파이럴 모양의 트랙을 형성시킨 보울과, 이 보울을 취부하기 위한 가동프레임과, 이 가동프레임과 기초 버팀대를 결합하는 수평방향 진동용 판스프링과, 상기 가동프레임과 상기 기초 버팀대를 결합하는 수직방향 진동용 판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자코일과 상기 제2 전자코일에 흐르는 전류 사이에 위상차를 갖도록 하여 상기 보울을 타원진동시키도록 한 진동파트피더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전자코일에 위상조절회로(100)를 접속하고, 이 위상조절회로(100)의 조절에 의해 상기 타원진동의 장축의 경사를 바꾸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진동파트피더{Trembling parts feeder}
본 발명은 예컨대 진동에 의해 부품을 공급하는 타원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4에서, 타원진동장치인 타원진동파트피더는 전체로서 1로 표시되며, 타원진동이 행해지는 보울(Bowl; 2)을 구비하고 있다. 보울(2) 내주면에는 스파이럴(spiral) 모양의 트랙이 형성되며 그 하류측의 적소에 와이퍼가 설치되어 있다. 이 와이퍼는 완전히 주지된 것으로 도시를 생략하지만, 평판을 절곡하여 이루고, 그 하단과 트랙의 이송면과의 거리는 가지런하게 보내야 할 부품 m(평판상으로 함)의 두께보다는 크지만, 그 2배보다는 작다. 트랙의 배출단에는 자세유지수단이 설치되어 이를 통하여 원하는 자세의 부품(예컨대, 긴 변을 이송방향으로 향한 부품 m)이 도시되지 않은 직선식 진동피터에 공급된다.
보울(2)은 도 5에 명시된 십자형의 상측 가동프레임(7)에 고정되고, 그의 상측 가동프레임(7)에 도 4에 명시되는 역시 십자형의 하측 가동프레임(8)이 직립한 4벌의 종방향 중첩 판스프링(9)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즉, 상측 가동프레임(7)의 4개의 단부(7a)에 종방향 중첩 판스프링(9)의 상단이 볼트로 고정되고, 하측 가동프레임(8)의 4개 단부(8a)에 종방향 중첩 판스프링(9)의 하단이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단부(7a, 8a)는 상하방향으로 정렬하고 있다.
상측 가동프레임(7)의 하면에는 수평 구동전자석(14a, 14b)에 대향하여 수평 가동코어(16a, 16b)가 고정되어 있다. 게다가, 상측 가동프레임(7)의 하면 중앙부에는 수직 가동코어(13)가 고정되어 있고, 이에 대향하여 고정프레임(10)의 중앙부에는 수직 구동전자석(11)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서 코일(12)은 수직 구동전자석(11)에 감겨 있다. 더욱이, 고정프레임(10)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부에는 수직 구동전자석(11)을 끼워 넣어 대조적인 한 쌍의 수평 구동전자석(14a, 14b)이 고정되고, 이들 전자석(14a, 14b)에는 각각 코일(15a, 15b)이 감겨 있다.
고정프레임(10)에는 이와 일체적으로 4개의 다리부(17)가 형성되고, 이들 다리부(17)가 방진고무(18)를 매개하여 기초 버팀대 위에 지지되어 있다. 다리부(17)는 횡방향으로 늘어져 있는 스프링 취부부(17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이들 스프링 취부부(17a)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구동용의 횡방향 중첩 판스프링(19)이 양단부에서 4세트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종방향 중첩 판스프링(9)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20)를 개재하여 중첩되고, 이들의 중앙부분이 하측 가동프레임(8)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수평 구동전자석(14a, 14b)은 수평방향의 가진력(加振力)을 발생시키는 제1 진동 구동원이고, 이에 의해 구동되는 제1의 진동계는 보울(2), 종방향 중첩 판스프링(9), 수평 가동코어(16a, 16b)로 이루어진다. 즉, 전류가 공급되면 수평 구동전자석(14a, 14b)이 전자흡인력을 발생하고, 이에 의해 수평 가동코어(16a, 16b)가 흡인되는 것 및 이때 인장되는 종방향 중첩 판스프링(9)의 복원력에 의해 상측 가동프레임(7)은 수평방향으로 진동한다. 또한, 수직 구동전자석(11)은 수직방향의 가진력을 발생시키는 제2 진동구동원이고, 이에 의해 구동되는 제2의 진동계는 보울(2), 횡방향 중첩 판스프링(19), 수직 가동코어(13) 등으로 이루어진다. 즉, 수직 구동전자석(11)이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자기흡인력을 발생하고, 상측 가동프레임(7)의 수직 가동코어(13)가 흡인되고, 이때 횡방향 중첩 판스프링(19)의 하측 가동프레임(8){이는 상측 가동프레임(7)과 횡방향 중첩 판스프링(19)을 개재하여 취부되어 있다}에 접속되어 있는 부분이 하방으로 인장되므로, 이 횡방향 중첩 판스프링(19)의 복원력에 의해 상측 가동프레임(7)은 수직방향으로 진동한다. 즉,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진동시켜 그 진동사이에 위상차를 갖도록 함에 의해 상측 가동프레임(7) 및 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보울(2)은 타원진동을 행해진다.
그런데, 이상의 진동파트피터에서는 수직방향의 가진력과 수평방향의 가진력과의 사이의 위상차를 예컨대 일정한 60°로 함에 의해 타원진동을 시켜 직선진동에 비해 큰 이송속도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되지만, 위상차가 일정하기 때문에 일정한 장축 및 단축의 길이의 타원진동이 얻어지는 데 지나지 않고, 부품 정렬의 태양에 의해서는 부품이 정렬수단에 막히기 쉽게 되거나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모든 부품에 대하여 부품의 막힘을 없애고, 또 막힘이 생겼을지라도 이송방향은 역전시켜서 강제적 막힘을 해제시킬 수 있는 진동파트피더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상의 과제는 제1 전자코일을 가지는 수직방향 가진원(加振源)과 제2 전자코일을 가지는 수평방향 가진원과, 내주벽에 스파이럴 모양의 트랙을 형성시킨 보울과, 이 보울을 취부하기 위한 가동프레임과, 이 가동프레임과 기초 버팀대를 결합하는 수평방향 진동용 판스프링과, 상기 가동프레임과 상기 기초 버팀대를 결합하는 수직방향 진동용 판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자코일과 상기 제2 전자코일에 흐르는 전류 사이에 위상차를 갖도록 하여 상기 보울을 타원진동시키도록 한 진동파트피더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자코일에 위상조절수단을 접속하고, 이 위상조절수단의 조절에 의해 상기 타원진동의 장축의 경사를 바꾸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파트피더에 의해 해결되다.
또, 이상의 과제는 제1 전자코일을 가지는 수직방향 가진원과 제2 전자코일을 가지는 수평방향 가진원과, 내주벽에 스파이럴 모양의 트랙을 형성시킨 보울과, 이 보울을 취부하기 위한 가동프레임과, 이 가동프레임과 기초 버팀대를 결합하는 수평방향 진동용 판스프링과, 상기 가동프레임과 상기 기초 버팀대를 결합하는 수직방향 진동용 판스프링과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전자코일과 상기 제2 전자코일에 흐르는 전류 사이의 위상차를 갖도록 하여 상기 보울을 타원진동시키도록 한 진동파트피더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자코일에 위상조절수단을 접속하고, 이 위상조절수단의 조절에 의해 상기 보울에 타원진동 및 직선진동을 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파트피더에 의해 해결된다.
또한, 이상의 과제는 제1 전자코일을 가지는 수직방향 가진원과 제2 전자코일을 가지는 수평방향 가진원과, 내주벽에 스파이럴 모양의 트랙을 형성시킨 보울과, 이 보울을 취부하기 위한 가동프레임과, 이 가동프레임과 기초 버팀대를 결합하는 수평방향 진동용 판스프링과, 상기 가동프레임과 상기 기초 버팀대를 결합하는 수직방향 진동용 판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자코일과 상기 제2 전자코일에 흐르는 전류 사이의 위상차를 갖도록 하여 상기 보울을 타원진동시키도록 한 진동파트피더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자코일 중의 적어도 한쪽에 전압조절수단을 접속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자코일 중의 한쪽에 위상조절수단을 접속하고, 상기 전압조절수단 및 상기 위상조절수단의 조절에 의해 상기 타원진동의 장축 및 직선진동의 경사를 바꾸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파트피더에 의해 해결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장축의 이송방향에 대한 경사각을 360ㅀ의 범위에서 임의로 변경할 수 있고, 따라서 부품의 종류와 정렬수단의 구조에 의하여 막히는 현상을 일으키기 쉬운 타원진동을 피하여 적절한 정렬 작용을 부여하면서, 막힘이 최대한 생기지 않는 모드의 타원진동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부품 정렬수단이 막히면, 위상조절수단의 위상조절에 의해 이송방향을 역전시켜 막힘을 강제적으로 해제시킬 수 있다.
게다가,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전압조절수단의 조절에 의해 타원진동의 장축의 경사각 또는 직선진동의 경사각을 임의로 변경시킬 수 있어 부품의 이송속도 및 막힘현상을 감소시키는 모드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상술한 진동파트피더에 있어서, 수평방향용의 전자코일(15a, 15b)에는 위상조절회로(100)가 접속되고, 다시 교류전원(Q)와의 사이에 수평방향용 전압조절회로(10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수직용 전자코일(12)에는 수직용 전압조절회로(102)가 교류전원(Q)과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위상조절회로(100)의 위상각을 조절함에 의해 도 1a, 1b, 1c, 1d 및 2a, 2b, 2c, 2d에 도시한 타원진동이 얻어진다. 한편 전압조절회로(101, 102)의 조절에 의해 상기 타원의 장축 및 단축을 변화시킬 수 있다. 특히, φ=0°및 φ=180°에서는 직선진동이 얻어지지만, 이 진동각을 변화시킬 수 있다. 게다가, 수직방향의 가진력 = A sin ωt, 수평방향의 가진력 = B sin(ωt-φ) 이상과 같은 진동모드에 있어서, 직선진동은 접시형 보울 소위 박판 모양의 부품을 원추 형상의 측벽에 기울어진 자세로 위상(位相)시키는 보울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타원진동은 일반적으로 직선진동보다도 이송속도가 크지만, 특히 도 1 및 도 2a 내지 2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원진동의 장축의 경사각을 변화시킴에 의해 부품에 따라서는, 혹은 그 부품의 정렬수단에 따라서는 막힘이 생기기 쉽지만, 이를 이러한 모드를 피하는 진동을 시킬 수 있다. 또한, 막힘이 생긴 때에는, 예컨대 도 1b에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드로 절환함으로써 부품의 이송방향을 역으로 하여 막힘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물론,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기한 각종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이상의 실시의 형태에서 보울에 대해서는 통상의 단부의 스파이럴 트랙을 가지는 보울 또는 접시보울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그외 예컨대 원통형의 내주벽에 스파이럴 모양의 트랙을 직경이 일정하게 형성한 보울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이상의 실시의 태양에서는 한 쌍의 수평 전자석에 의해 보울을 수평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했지만, 전자석의 배치에 따라서는 두 쌍의 수평 전자석 또는 1개의 전자석이라도 수평방향으로 구동이 가능하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동파트피더에 의하면, 부품에 따라 혹은 이 부품의 정렬수단에 응하여 최적의 진동모드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또 막히기 쉬운 부품에 대해서는 그 폐해를 종래에 비해 극히 적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막혔더라도 이송방향을 역으로 하여 이송시 간단하게 막힘 해제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하는 위상조절회로의 조절에 의해 얻어지는 진동의 각 모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 위상 φ를 바꾼 경우의 각 진동모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제어회로의 블록도이고,
도 4는 종래예의 진동파트피더의 부분 파단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의 [5]-[5]선 방향 단면도이고,
도 6은 진동파트피더의 배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수직방향용 전자석 12 : 전자코일
14a, 14b : 수평방향용 전자석 15a, 15b : 전자코일
100 : 위상조절회로 101 : 수평용 전압조절회로
102 : 수직용 전압조절회로 Q : 교류전원

Claims (3)

  1. 제1 전자코일을 가지는 수직방향 가진원(加振源)과 제2 전자코일을 가지는 수평방향 가진원과, 내주벽에 스파이럴 모양의 트랙을 형성시킨 보울과, 이 보울을 취부하기 위한 가동프레임과, 이 가동프레임과 기초 버팀대를 결합하는 수평방향 진동용 판스프링과, 상기 가동프레임과 상기 기초 버팀대를 결합하는 수직방향 진동용 판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자코일과 상기 제2 전자코일에 흐르는 전류 사이에 위상차를 갖도록 하여 상기 보울을 타원진동시키도록 한 진동파트피더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자코일에 위상조절수단을 접속하고, 이 위상조절수단의 조절에 의해 상기 타원진동의 장축의 경사를 바꾸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파트피더.
  2. 제1 전자코일을 가지는 수직방향 가진원과 제2 전자코일을 가지는 수평방향 가진원과, 내주벽에 스파이럴 모양의 트랙을 형성시킨 보울과, 이 보울을 취부하기 위한 가동프레임과, 이 가동프레임과 기초 버팀대를 결합하는 수평방향 진동용 판스프링과, 상기 가동프레임과 상기 기초 버팀대를 결합하는 수직방향 진동용 판스프링과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자코일과 상기 제2 전자코일에 흐르는 전류 사이의 위상차를 갖도록 하여 상기 보울을 타원진동시키도록 한 진동파트피더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자코일에 위상조절수단을 접속하고, 이 위상조절수단의 조절에 의해 상기 보울에 타원진동 및 직선진동을 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파트피더.
  3. 제1 전자코일을 가지는 수직방향 가진원과 제2 전자코일을 가지는 수평방향 가진원과, 내주벽에 스파이럴 모양의 트랙을 형성시킨 보울과, 이 보울을 취부하기 위한 가동프레임과, 이 가동프레임과 기초 버팀대를 결합하는 수평방향 진동용 판스프링과, 상기 가동프레임과 상기 기초 버팀대를 결합하는 수직방향 진동용 판스프링과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자코일과 상기 제2 전자코일에 흐르는 전류 사이의 위상차를 갖도록 하여 상기 보울을 타원진동시키도록 한 진동파트피더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자코일 중의 적어도 한쪽에 전압조절수단을 접속하고 제1 및 제2 전자코일 중의 한쪽에 위상조절수단을 접속하고, 상기 전압조절수단 및 상기 위상조절수단의 조절에 의해 상기 타원진동의 장축 및 직선진동의 경사를 바꾸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파트피더.
KR1019980039573A 1997-09-30 1998-09-24 진동파트피더 KR1005572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84601A JPH11106020A (ja) 1997-09-30 1997-09-30 振動パーツフィーダ
JP97-284601 1997-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086A KR19990030086A (ko) 1999-04-26
KR100557204B1 true KR100557204B1 (ko) 2006-06-21

Family

ID=17680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573A KR100557204B1 (ko) 1997-09-30 1998-09-24 진동파트피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06180B1 (ko)
JP (1) JPH11106020A (ko)
KR (1) KR100557204B1 (ko)
DE (1) DE19844464A1 (ko)
TW (1) TW3919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1807B2 (en) * 2001-12-18 2003-11-25 Fmc Technologies, Inc. Parts feeder
JP2005217136A (ja) * 2004-01-29 2005-08-11 Tdk Corp 積層電子部品の整列方法及び装置
US7228957B1 (en) * 2005-12-09 2007-06-12 Tna Australia Pty Limited Slip conveyor assembly
JP4576512B2 (ja) * 2005-12-09 2010-11-10 公立大学法人首都大学東京 部品整列装置および部品整列方法
CH700371B1 (fr) * 2009-02-05 2013-11-15 Asyril Sa Système d'alimentation en composants.
US8733539B2 (en) 2012-04-17 2014-05-27 Asm Technology Singapore Pte Ltd Vibratory feeder for conveying components
CN107673010A (zh) * 2017-10-31 2018-02-09 天津普天单向器有限公司 一种压缩弹簧自动输出装置
US11414274B2 (en) * 2018-07-16 2022-08-16 Mitsuo FUKASE Work-piece feeding assembly
CN112499133B (zh) * 2020-12-23 2022-04-29 昆山普力希震动盘有限公司 一种高精度定位的多工位振动盘
CZ2023262A3 (cs) * 2023-07-11 2024-03-06 ROBOTERM spol. s r.o. Vibrační dopravník pro přepravu a/nebo třídění a/nebo řazení materiálů nebo dílů, zejména pro použití ve výrobní lin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1012A (en) * 1980-11-05 1982-05-20 Nippon Denso Co Ltd Oscillation parts feeding method and apparatus
US4362455A (en) * 1978-06-26 1982-12-07 Yoshiyuki Hirose Vibrating bowl feeder
US5042643A (en) * 1988-11-21 1991-08-27 Shinko Electric Co., Ltd. Elliptic vibratory part-feeding device
JPH05105220A (ja) * 1991-10-14 1993-04-27 Shinko Electric Co Ltd 楕円振動部品供給機の駆動制御方法
JPH08268531A (ja) * 1995-03-31 1996-10-15 Shinko Electric Co Ltd 楕円振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5793A (en) * 1965-11-26 1967-04-25 Yakubovich Vladimir Iosifovich Vibratory electromagnetic drive
US4350243A (en) * 1979-06-28 1982-09-21 Automated Packaging Systems, Inc. Control circuitry and method for vibratory feeder
US4369398A (en) * 1980-03-07 1983-01-18 Triple/S Dynam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vibrating equipment
DE3713979C2 (de) * 1987-04-25 1996-08-29 Vossloh Schwabe Gmbh Schwingförderer
DE69513905T2 (de) * 1994-09-01 2000-04-20 Shinko Electric Co Ltd Schwingungszuführeinrichtung für Teile
US5804733A (en) * 1995-03-31 1998-09-08 Shinko Electric Co., Ltd. Elliptical vibratory apparatus
US5883478A (en) * 1996-10-11 1999-03-16 Ts Engineering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brating equipm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2455A (en) * 1978-06-26 1982-12-07 Yoshiyuki Hirose Vibrating bowl feeder
JPS5781012A (en) * 1980-11-05 1982-05-20 Nippon Denso Co Ltd Oscillation parts feeding method and apparatus
US5042643A (en) * 1988-11-21 1991-08-27 Shinko Electric Co., Ltd. Elliptic vibratory part-feeding device
JPH05105220A (ja) * 1991-10-14 1993-04-27 Shinko Electric Co Ltd 楕円振動部品供給機の駆動制御方法
JPH08268531A (ja) * 1995-03-31 1996-10-15 Shinko Electric Co Ltd 楕円振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91945B (en) 2000-06-01
US6206180B1 (en) 2001-03-27
JPH11106020A (ja) 1999-04-20
KR19990030086A (ko) 1999-04-26
DE19844464A1 (de) 199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7204B1 (ko) 진동파트피더
US4378064A (en) Three mass electromagnetic feeder
US6357579B1 (en) Linear motor drive for vibratory feeders and conveyors
JP2008127047A (ja) 加振装置付ホッパ
JPH03106711A (ja) 直線型振動フィーダ
US3924730A (en) Two mass swing system with independently controlled vibratory exciter means
GB2081026A (en) Electromagnetic Vibrating System
KR920003588B1 (ko) 진동성 컨베이어
JP3161277B2 (ja) 楕円振動装置
JPH08217224A (ja) 部品移送装置
WO2013069416A1 (ja) 振動式部品搬送装置
US6471040B1 (en) Vibratory feeder embodying self-contained control
DE10245722B4 (de) Mit dem inversen Piezoeffekt erregbares Federelement, Schwingfördereinheit und Verfahren zum Fördern und/oder Sortieren
JP4041857B2 (ja) 楕円振動装置
JPS63217288A (ja) 電磁駆動回路
JPH1173229A (ja) 楕円振動装置
RU2201885C2 (ru) Вибролоток
GB2238841A (en) Linear vibratory conveyor
JPH02204209A (ja) 直線振動フィーダ
JP4061685B2 (ja) 楕円振動フィーダの駆動制御方法及び装置
JPS59118616A (ja) だ円振動部品供給機の駆動装置
JPH11124218A (ja) 楕円振動パーツフィーダの駆動制御方法
JPS62205911A (ja) 振動機
SU1724536A1 (ru) Вибрационное бункерное за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181333Y1 (ko) 압전 진동자를 사용한 부품 공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