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131B1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송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송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131B1
KR100557131B1 KR1020030069739A KR20030069739A KR100557131B1 KR 100557131 B1 KR100557131 B1 KR 100557131B1 KR 1020030069739 A KR1020030069739 A KR 1020030069739A KR 20030069739 A KR20030069739 A KR 20030069739A KR 100557131 B1 KR100557131 B1 KR 100557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udio signal
user
broadcast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9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3994A (ko
Inventor
이상혁
이경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9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131B1/ko
Priority to US10/740,893 priority patent/US20050075098A1/en
Priority to CNA2004100058155A priority patent/CN1606241A/zh
Priority to EP04001778A priority patent/EP1523115A2/en
Priority to JP2004237693A priority patent/JP2005117630A/ja
Publication of KR20050033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3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7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source locations or destination locations
    • H04H60/8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source locations or destination location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among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20/06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among broadcast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20/08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among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0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04H60/91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voice messaging, e.g. dicta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9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synthe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송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적어도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여 전송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으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방송 수신 처리부와, 상기 분리된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와, 음성 통화 수행 중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의 송출이 요구되는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사용자의 통화 음성신호와 합성하는 합성부와, 상기 합성된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통화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음성 통화 기능의 수행 중 방송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 수신된 방송신호에 오디오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체크하는 제2과정과, 수신된 방송신호에 오디오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이를 검출하여 음성 채널을 통해 송출하는 제3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통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오디오신호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송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 AUDIO SIGNAL DETECTED FRO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IN MOBILE TERMINAL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아날로그 방식으로 방송 오디오신호를 처리하여 상대편에게 송출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방송 오디오신호를 처리하여 상대편에게 송출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방송 오디오신호를 처리하여 상대편에게 송출하는 장치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송 오디오신호 송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도 4 중 오디오 처리 루틴의 구체적인 동작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도 4 중 오디오 처리 루틴의 다른 구체적인 동작 순서를 나타낸 흐름 도
도 7은 도 4 중 오디오 처리 루틴의 또 다른 구체적인 동작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송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V/ D(Digital)TV 단말기는 이동 중 고품질의 디지털 오디오(digital audio) 및 비디오(video) 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단말기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의 "공개번호 특2001-10109"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 따르면, 텔레비전 방송국에서 방송신호를 이동통신망의 특성에 적합한 포맷 및 전송률로 변환하여 송출하면 상기 이동통신망의 가입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를 시청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프로그램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시청할 수 있는 데 그칠 뿐이어서, 단순히 텔레비전을 시청할 수 있는 장치가 달라졌다는 것 뿐, 이동통신 단말기 고유의 특성인 "타인과의 소통" 측면을 고려하여 추가 개발된 기능은 없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의 "특허출원공개번호 특개2001-60993"에는 전화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는 통화 상대편에게 자신의 음성과 함께 배경음악을 송신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배경음악은 단순히 단말기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대편의 기호나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배경음악을 송출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메모리의 용량이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메모리의 용량이 충분히 크다고 하더라도 그 다양성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한 방송 오디오신호를 상대편에게 송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제1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송출 장치가, 적어도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여 전송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으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방송 수신 처리부와, 상기 분리된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와, 음성 통화 수행 중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의 송출이 요구되는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사용자의 통화 음성신호와 합성하는 합성부와, 상기 합성된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통화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제2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송출 장치가, 적어도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여 전송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으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방송 수신 처리부와, 통화 음성신호와 상기 분리된 오디오신호의 비율을 조정하는 비율 조정부와, 상기 비율 조정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사용자의 통화 음성신호와 합성하는 제1합성부와, 상기 합성된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통화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제3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송출 장치가, 적어도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여 전송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으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방송 수신 처리부와, 상기 분리된 오디오신호가 데이터 송출 전용 채널을 통해 송출될 수 있도록 비율을 조정하는 비율 조정부와, 무선 환경에 따라 상기 비율 조정부의 조정 비율이 가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오디오신호를 데이터 송출 전용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통화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 제3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 통화 음성 입력을 뮤트(mute) 처리하고 오디오신호만을 송출하여 통화 중 사용자의 사정에 의해 잠시 통화를 보류할 때 오디오를 쓸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제4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송출 방법이, 음성 통화 기능의 수행 중 방송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 수신된 방송신호에 오디오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체크하는 제2과정과, 수신된 방송신호에 오디오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이를 검출하여 음성 채널을 통해 송출하는 제3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제5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송출 방법이, 음성 통화 기능의 수행 중 방송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 수신된 방송신호에 오디오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체크하는 제2과정과, 수신된 방송신호에 오디오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이를 검출하여 데이터 전용 채널을 통해 송출하는 제3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TV 방식 등과 같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아날로그 방식으로 방송 오디오신호를 처리하여 상대편에게 송출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영상, 문자, 오디오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를 포함한다. 방송 수신 처리부 BRO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고 영상, 문자, 오디오신호로 분리한 후 각각 복호하여 출력한다. 상기 방송 수신 처리부 BRO는 무선(Radio Frequency: RF)부 52, DMB 수신모듈 54, 역다중화기 56, 그리고 복호부 58을 포함한다. 상기 RF부 52는 안테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DMB 수신모듈 54는 상기 RF부 52를 통해 수신한 신호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신호를 검출한다. 역다중화기 56은 상기 DMB 수신모듈 54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영상, 문자, 오디오신호로 역다중화 한다. 상기 복호부 58은 역다중화한 영상, 문자, 오디오신호를 복호하여 출력한다. 멀티미디어 방송국에서 전송하는 방송신호에는 영상(video), 오디오, 문자 데이터 등이 포함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중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송출하는 방법에 핵심이 있으므로 영상, 문자 데이터의 처리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하지 않는다.
통화부 COM은 통화 음성, 방송 오디오 혹은 그 합성신호 등을 상대편에게 무선 송출하거나 반대로 상대편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통화부 COM은 아날로그/디지털-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260, 기저대역 모뎀(Base Band Modem) 240, RF부 220, 마이크 300, 그리고 스피커 180을 포함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260은 무선 송출할 혹은 수신된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혹은 디지털 형태로 변환한다. 기저대역 모뎀 240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260으로부터 입력되는 무선 송출할 신호를 RF부 220에 전달하거나 상기 RF부 220으로부터 입력되는 무선 수신된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260으로 전달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160은 복호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상기 변환된 신호는 스피커 180을 통해 가청음 형태로 출력됨으로써 사용자는 방송 오디오 신호를 청취할 수 있다.
이득 조정 및 합성부 320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16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방송 오디오신호와 마이크 300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통화 음성신호의 이득을 조정하고 이들을 합성한다. 도시된 예는 저항 등과 같은 몇 가지 소자들을 이용하여 이득 조정 부분과 합성 부분을 함께 구현한 경우이나 이들을 별도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득 조정은 상기 방송 오디오신호와 상기 통화 음성신호의 입력 혹은 증폭 비율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정하는 것이다.
합성부 280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260을 통해 입력되는 수신(상대편) 통화 음성신호와 상기 이득 조정 및 합성부 320에서 출력되는 신호(사용자 통화 음성신호와 방송 오디오신호의 합성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합성된 신호는 스피커 180에서 가청음 형태로 출력된다. 이는 마이크 300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통화 음성신호와 방송 오디오신호의 크기가 적절한지 여부 를 사용자가 직접 감시(monitor) 하고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득 조정 및 합성부 320과 마이크 300 사이에는 신호 전달 통제부 340을 연결할 수 있는데, 이는 기저대역 모뎀 240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 S5에 응답하여 마이크 300으로부터의 사용자 통화 음성신호를 이득조정 및 합성부 320으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저대역 모뎀 240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 S5는 사용자가 음성 뮤트 기능을 선택했을 때 통화 음성을 뮤트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신호 S5를 이용하여 사용자 통화 음성신호를 제외하고 수신(상대편) 통화 음성신호와 오디오 신호만이 합성되게 구성함으로써 합성된 신호(수신 통화 음성 신호 + 오디오 신호)의 크기가 적절한지 여부를 사용자가 직접 감시(monitor) 하고 조정할 수도 있다.
상기 기저대역 모뎀 240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뮤트 기능 선택을 감지하면 제어신호 S4-1을 제1상태(on)로 발생하여 상기 이득조정 및 합성부 320이 상기 통화 음성신호를 처리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기저대역 모뎀 240의 일 예로는 퀄컴(Qualcomm)사의 MSM(Mobile Station Modem) 칩(chip)들이 있다.
표시부 140은 상기 방송 오디오신호의 송출이 가능함을 표시한다. 이를 위해 상기 기저대역 모뎀 240 혹은 복호부 58은 방송 수신 처리부 BRO에서 수신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에 오디오신호가 포함되어 있음이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 140으로 하여금 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 140은 단말기의 고유의 동작에 따른 각종 상태를 표시한다.
영상처리부 120은 방송 수신 처리부 BRO에서 수신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로부터 검출하여 복호한 영상신호가 상기 표시부 140에 표시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방송 오디오신호를 처리하여 상대편에게 송출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방송 수신 처리부 BRO, 통화부 COM,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160의 기본적인 기능과 영상처리부 120과 표시부 140의 기능 등은 전술한 도 1과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방송 수신 처리부 BRO의 복호부 58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는 비율 조정부(rate matching portion) 460으로 전달된다. 상기 비율 조정부 460은 상기 복호된 방송 오디오신호의 비율을 통화 음성의 비율과 일치되도록 조정한다. 복호부 58에서 복호된 방송 오디오신호는 통화 음성신호에 비해 고품질(high sampling rate)의 신호이다. 그러므로 그대로 음성신호와 합성될 수 없다. 그래서 음성 통화를 위한 신호와 같은 품질로 맞춰야 한다. 또한 비율 조정부 460은 오디오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거나 스무딩(smoothing) 하여 현재 상용화된 음성신호 전달에 알맞은 형태로 가공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이는 이동통신 기저대역 모뎀의 보코더(vocoder)에서 음성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알맞은 신호만을 처리하게 구성되어 있는 경우 더욱 유용하다. 현재 상용화된 보코더의 경우 일정 주파수 이상의 성분은 자동으로 삭제하고 있다. 그러므로 비율 조정부 460에서 적절하게 특정 주파수 성분을 처리해줄 경우 사용된 보코더와 매치(match)시켜 청취하기 좋은 오 디오를 송출할 수 있다.
제1가변이득제어부 480은 상기 비율 조정된 방송 오디오신호의 이득을 조정한다. 제2가변이득제어부 470은 상기 통화부 COM에서 디지털 형태로 변환된 통화 음성신호의 이득을 조정한다. 제1합성부 420은 비율 조정부 460에서 제1가변이득제어부 480을 거쳐 출력되는 방송 오디오신호를 제2가변이득제어부 47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의 통화 음성신호와 합성하여 통화부 COM으로 전달한다.
제1신호전달통제부 340은 상기 통화부 COM의 기저대역 모뎀 240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 S5에 응답하여 마이크 300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통화 음성신호를 상기 통화부 COM으로 전달하거나 차단한다. 상기 기저대역 모뎀 240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뮤트 기능 선택을 감지했을 때 상기 제1신호전달통제부 340이 상기 통화 음성신호를 상기 통화부 COM에 전달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해 제어신호 S5를 발생한다. 상기 제1신호전달통제부 340에 의한 음성 뮤트 기능의 수행 외에, 기저대역 모뎀 240의 제어를 받아 아날로그/디지털-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260에서 통화 음성을 처리하지 않는 방법 혹은 상기 제2가변이득제어부 470에서 이득을 "0"으로 설정함으로써 통화 음성이 송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제2합성부 440은 상기 제1합성부 420의 출력과 무선 수신된(상대편) 통화 음성신호를 합성하여, 아날로그/디지털-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260을 통해 스피커 180으로 전달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가청음 형태로 출력되는 합성 소리를 듣고 그 크기가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득 조정을 할 수 있다. 단, 상기 제1합성부 420의 출력은 제1신호전달통제부 340에 인가되는 제어신호 S5에 의해 사용자의 통 화 음성을 포함하지 않은 신호일 수도 있다.
제2신호전달통제부 360은 상기 기저대역 모뎀 240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 S6에 응답하여 상기 제1합성부 420의 출력을 상기 제2합성부 440으로 전달하거나 차단한다.
상기 기저대역 모뎀 240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감시(monitoring) 기능 선택을 감지하면 상기 제2신호전달통제부 360이 상기 제1합성부 420의 출력을 상기 제2합성부 440에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 S6을 발생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방송 오디오신호를 처리하여 상대편에게 송출하는 장치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방송 수신 처리부 BRO, 통화부 COM,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160의 기본적인 기능과 영상처리부 120과 표시부 140의 기능 등은 전술한 도 1과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음성 뮤트 기능의 선택을 위한 구성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술한 도 1 혹은 도 2와 마찬가지로 구현 가능함을 밝혀둔다.
방송 수신 처리부 BRO의 복호부 58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는 비율 조정부 460으로 전달된다. 상기 비율 조정부 460은 복호부 58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의 비율을 데이터 전용 송신 채널{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1X의 경우 데이터 전용 채널을 SCH(Supplemental Channel), 일반 음성 전송 채널은 FCH(Fundamental Channel)로 약칭한다.}의 전송속도에 맞춰 가변적으로 조정해준다.
기저대역 모뎀 240은 무선 송출할 신호를 RF부 220에 전달하거나 상기 RF부 220을 통해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환경에 따라 상기 비율 조정부 460의 조정 비율을 변화시키기 위해 제어신호 S9를 출력한다. 통화부 COM는 오디오신호와 통화 음성 신호를 각각 데이터 전용 송신 채널과 일반 음성 전송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송 오디오신호 송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4a단계에서 기저대역 모뎀 240은 사용자로부터 음성 통화 요구가 있는지 체크하여 요구가 있으면 4b단계에서 음성 통화 기능 수행을 시작한다. 그리고 4c단계에서와 같이, 음성 통화 기능의 수행 중 방송신호를 수신 중인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방송신호의 수신이 감지되면, 4d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에 오디오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체크한다. 수신된 방송신호에 오디오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4e단계에서 표시부 140으로 하여금 오디오 송출 가능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시된 예는 시각적인 알림이지만, 청각적인 알림이나 진동 등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4f단계에서 기저대역 모뎀 240은 상기 알림 결과 사용자가 송출 기능을 선택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송출 기능 선택을 감지하면 4g단계에서 오디오 처리 루틴을 수행한다. 상기 4g단계에서 처리된 오디오는 4h단계에서 상대편으로 송출된다. 상기 4h단계에서 방송 오디오신호의 송출은 사용자의 통화 음성신호와 합성된 형태로 음성 채널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혹은 사용자의 통화 음성신호는 뮤트되고 방송 오디오신호만 음성 채널을 통하여 송출될 수 있다. 또한 음성 채널을 통해 송출되는 통화 음성신호와 별개로 데이터 전용 채널을 통해 방송 오디오신호를 송출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4 중 오디오 처리 루틴의 구체적인 동작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 1의 구성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5a단계에서 기저대역 모뎀 240은 사용자가 음성 뮤트 기능을 선택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뮤트 기능 선택이 감지되지 않으면, 기저대역 모뎀 240은 5b ~ 5f단계를 수행하여 사용자의 통화 음성신호와 오디오신호를 합성하여 음성 채널을 통해 송출한다. 즉, 5b단계에서 기저대역 모뎀 24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신호 S4를 발생하여 이득 조정 및 합성부 320이 통화 음성신호 및 오디오신호의 이득을 조정하고, 5c단계에서 이들을 합성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5d단계에서 기저대역 모뎀 240은 상기 합성된 소리와 상대편 음성이 합성부 280에서 합성되어 스피커 180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사용자의 음성과 상대편의 음성 및 오디오가 모두 합성된 소리의 크기를 감시(음량의 크기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5e단계에서 기저대역 모뎀 240은 사용자가 오디오/음성 이득 조정을 위한 입력을 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오디오/음성 이득 조정을 위한 입력을 하였으면 상기 5b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에, 이득 조정 입력이 감지되지 않았으면 5f단계로 진행하여 기저대역 모뎀 240은 RF부 220으로 하여금 음성 채널을 통해 사용자의 통화 음성신호와 오디오신호를 합성한 소리가 상대편에 송출되도록 제어한다.
5a단계에서의 체크결과 뮤트 기능 선택이 감지되면, 기저대역 모뎀 240은 5g ~ 5m단계를 수행하여 통화 음성신호를 차단하고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로부터 검출한 오디오신호만을 상기 음성 채널을 통해 송출한다. 즉, 5g단계에서 기저대역 모뎀 240은 제어신호 S4-1을 발생하여 이득 조정 및 합성부 320이 음성 이득:오디오 이득을 0:1로 조정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5h단계에서 사용자가 감시 기능을 선택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 결과 감시 기능이 선택되었으면 5i단계에서 기저대역 모뎀 240은 방송 신호로부터 검출한 오디오 신호가 상대방의 통화 음성 신호와 합성되어 스피커 180을 통해 가청음 형태로 출력되도록 S4-2를 제1상태(on)로 발생한다. 이때 사용자의 음성 신호는 이득이 "0"이므로 이득 조정 및 합성부 320에서 출력되지 않는다. 상기 5i단계 수행 후 혹은 상기 5h단계에서 감시 기능이 선택되지 않았으면 5j단계에서 기저대역 모뎀 240은 사용자가 오디오 이득 조정을 위한 입력을 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오디오 이득 조정을 위한 입력을 하였으면 5k단계에서 기저대역 모뎀 240은 해당 제어신호 S4-1을 발생하여 이득 조정 및 합성부 320으로 하여금 이득을 조정하게 한다. 상기 5k단계 수행 후 혹은 상기 5j단계에서 이득 조정 입력이 감지되지 않았으면 5l단계로 진행하여 기저대역 모뎀 240은 RF부 220으로 하여금 음성 채널을 통해 오디오신호만 상대편에 송출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5m단계에서 사용자가 음성 뮤트 기능을 해제했는지를 체크하고 해제가 감지되면 전술한 5b단계로 진행한다. 반면에, 해제가 감지되지 않으면 5m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도 6은 도 4 중 오디오 처리 루틴의 다른 구체적인 동작 순서를 나타낸 흐름 도로서, 도 2의 구성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6a단계에서 기저대역 모뎀 240은 오디오 복호 데이터의 입력을 감지하고, 6b단계에서 비율 조정(rate mating) 처리를 한다.
6c단계에서 기저대역 모뎀 240은 사용자가 음성 뮤트 기능을 선택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뮤트 기능 선택이 감지되지 않으면, 기저대역 모뎀 240은 6d∼6h단계를 수행하여 통화 음성신호와 오디오신호를 합성하여 음성 채널을 통해 송출한다. 즉, 6d단계에서 기저대역 모뎀 240은 제어신호 S7-1, S7-2를 발생하여 제1 및 제2가변이득제어부 480, 470이 각각 오디오신호와 통화 음성신호의 이득을 조정하도록 제어한다. 이 값은 가장 최근의 전원 오프 직전에 기억된 값일 수 있다. 6e단계에서 기저대역모뎀 240은 제1합성부 420으로부터 상기 이득 조정된 통화 음성신호와 오디오신호의 합성신호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6f단계에서 제어신호 S6을 제1상태(on)로 발생하여 합성 소리 및 상대편 음성이 스피커 180을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6g단계에서 기저대역 모뎀 240은 사용자가 음성/오디오 이득 조정을 위한 입력을 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 결과 음성/오디오 이득 조정을 위한 입력을 하였으면 상기 6d단계로 되돌아간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음성과 상대편 음성 및 오디오가 모두 합성된 소리의 크기를 감시하고 음량의 크기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반면에, 이득 조정 입력이 감지되지 않았으면 6h단계로 진행하여 기저대역 모뎀 240은 RF부 220으로 하여금 음성 채널을 통해 통화 음성신호와 오디오신호를 합성한 소리가 상대편에 송출되도록 제어한다.
6c단계에서의 체크 결과 뮤트 기능 선택이 감지되면, 기저대역 모뎀 240은 6i ~ 6p단계를 수행하여 통화 음성신호를 차단하고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로부터 검출한 오디오신호만을 상기 음성 채널을 통해 송출한다. 즉, 6i단계에서 기저대역 모뎀 240은 제어신호 S5를 제2상태(off)로 발생하여 마이크 300으로부터 아날로그/디지털-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260으로 전달되는 통화 음성신호의 전달 경로를 차단한다. 6j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감시 기능이 선택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감시 기능이 선택되었으면, 6k단계에서 방송신호로부터 검출한 오디오신호와 상대편 통화 음성신호의 합성신호(이때 사용자 음성은 뮤트 상태이므로 상대편 음성과만 합성되는 것임.)가 스피커 180을 통해 가청음 형태로 출력되도록 신호의 전달 경로를 연결하기 위한 제어신호 S6을 발생한다. 상기 6k단계 수행 후 혹은 상기 6j단계에서 감시 기능이 선택되지 않았으면, 6l단계에서 기저대역 모뎀 240은 사용자가 오디오 이득 조정을 위한 입력을 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오디오 이득 조정을 위한 입력을 하였으면 6m단계에서 기저대역 모뎀 240은 해당 제어신호 S7-1을 발생하여 이득을 조정하게 한다. 상기 6m단계 수행 후 혹은 상기 6l단계에서 이득 조정 입력이 감지되지 않았으면 6n단계로 진행하여 기저대역 모뎀 240은 RF부 220으로 하여금 음성 채널을 통해 오디오신호만 상대편에 송출되도록 제어한다. 6o단계에서 사용자가 음성 뮤트 기능을 해제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뮤트 기능 해제가 감지되면 6p단계에서 제어신호 S5를 제1상태(on)로 발생하여 마이크 300으로부터 아날로그/디지털-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260으로 통화 음성신호가 전달되도록 경로를 복구한 다음 상기 6d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에, 상기 6o단계에서 음성 뮤트 기능이 해제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 기 6o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도 7은 도 4 중 오디오 처리 루틴의 또 다른 구체적인 동작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 3의 구성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7a단계에서 기저대역 모뎀 240은 상대편 단말기가 데이터 전용 채널 수신 가능한 단말기인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대편 단말기가 데이터 전용 채널을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는 최초 통화로 형성 시에 주고받는 정보를 통해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이 갖는 장점은 데이터 전용 채널의 전송 속도나 상대편 단말기에 따라 복호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원본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 채널(SCH)을 통해 음성 채널(FCH)과는 별도로 보낼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실시예에서 전송을 위한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는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즉, 도 3의 복호부 58에서 복호를 하지 않고 비율 조정부 460으로 전달하거나 복호한 신호를 전달하더라도 비율 조정부 460 혹은 기저대역 모뎀 240에서 부호화를 할 수도 있다.
상기 7a단계에서 상대편 단말기가 데이터 전용 채널 수신 가능한 단말기이면, 기저대역 모뎀 240은 7b단계에서 오디오 복호 데이터의 입력을 감지하고, 7c단계에서 송신 채널(데이터 전용 채널)의 전송 속도를 확인하고, 7d단계에서 비율 조정부 460에 제어신호(S9)를 보냄으로써 비율 조정부 460으로 하여금 전송 속도에 따른 이득 조정을 하게 한다.
7e단계에서 기저대역 모뎀 240은 사용자가 음성 뮤트 기능을 선택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뮤트 기능 선택이 감지되지 않으면, 기저대역 모뎀 240은 7j단계를 수행하여 음성 채널을 통해 통화 음성신호를 송출하는 동시에 데이 터 전용 채널을 통해 오디오를 송출하도록 RF부 220을 제어한다.
상기 7e단계에서 뮤트 기능 선택이 감지되면, 기저대역 모뎀 240은 7f ~ 7h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7f단계에서 음성 뮤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S8을 제2상태(off)로 발생시켜 아날로그/디지털-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260으로 하여금 사용자의 입력 음성을 처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7g단계에서 기저대역 모뎀 240은 데이터 전용 채널을 통해 오디오만 송출하도록 RF부 220을 제어한다. 7h단계에서 기저대역 모뎀 240은 사용자에 의한 음성뮤트기능 해제가 감지되었는지 체크하고 해제되었으면 7i단계에서 음성 뮤트 해제 제어신호 S8을 제1상태(on)로 발생한 다음 상기 7j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상기 7h단계에서 사용자의 의한 음성뮤트기능 해제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7h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감시 기능이 선택되었을 때, 전술한 도 5와 도 6의 경우에는 상대편 음성을 함께 들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치 송출 오디오가 배경음악(back ground music)으로 활용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했다. 그러나 상기 도 7의 경우에는 오디오 송출이 별개의 데이터 전용 채널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상대편 음성과 함께 들을 수 없다. 즉, 통화 배경음 기능을 활용할 수 없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서의 신호들 S4-1, S4-2, S5, S6, S7-1, S7-2, S8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별도로 두거나, DMB수신 모듈 54, 복호부 58 혹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대역 모뎀 240에 포함시켜 구현할 수도 있다. 단, 도 3의 신호 S9는 기저대역 모뎀 240에서 발생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별도로 구현하였으나, DMB 수신모듈 54와 기저대역 모뎀 240, 아날로그/디지털-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260 등을 하나의 칩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대방과 통화를 할 때 비디오 채널(video channel)의 연속극을 상대방과 같이 들을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채널(audio channel)을 통해 좋은 음악이 수신될 때에도 그 음악을 상대방과 같이 들을 수 있게 송출하거나 배경음 혹은 대기음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처럼 방송 오디오신호를 통화 음성신호와 함께 혹은 단독으로 상대편에게 송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활용 범위(혹은 부가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업자 측면에서도 TV 시청에 관련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사용 시간이 늘어나는 등 이익 창출 수단으로 이용 가능한 이점도 있다.

Claims (40)

  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송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여 전송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으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방송 수신 처리부와,
    상기 분리된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와,
    음성 통화 수행 중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의 송출이 요구되는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사용자의 통화 음성신호와 합성하는 합성부와,
    상기 합성된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통화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부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통화 음성신호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의 이득을 조정하고 이들을 합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조정은 상기 오디오신호와 상기 통화 음성신호의 입력 혹은 증폭 비율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부를 통해 입력되는 수신(상대편) 통화 음성신호와 상기 합성부에서 출력되는 제1차 합성신호(오디오 및/또는 사용자 통화 음성)가 제2차 합성되어 스피커를 통해 감시용 가청음으로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제2합성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뮤트 기능 선택을 감지하면 상기 합성부가 상기 사용자의 통화 음성신호의 처리를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음성신호의 처리를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의 통화 음성신호를 상기 합성부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신호 전달 통제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처리부에서 수신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오디오신호가 포함되어 있음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방송 오디오신호의 송출이 가능함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송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여 전송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으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 는 방송 수신 처리부와,
    통화 음성신호와 상기 분리된 오디오신호의 비율을 조정하는 비율 조정부와,
    상기 비율 조정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사용자의 통화 음성신호와 합성하는 제1합성부와,
    상기 합성된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통화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율 조정된 오디오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상기 제1합성부에 전달하는 제1가변이득제어부와,
    상기 통화부에서 디지털 형태로 변환된 사용자의 통화 음성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상기 제1합성부에 전달하는 제2가변이득제어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통화 음성신호를 상기 통화부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제1신호전달통제부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뮤트 기능 선택을 감지하면 상기 제1신호전달통제부가 상기 사용자의 통화 음성신호를 상기 통화부에 전달하거나 차단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부의 스피커를 통해 가청음 형태로 출력되도록 상기 제1합성부 출력과 무선 수신된(상대편) 통화 음성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통화부의 스피커에 전달하는 제2합성부와,
    상기 제1합성부 출력을 상기 제2합성부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제2신호전달통제부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감시 기능 선택을 감지하면 상기 제2신호전달통제부가 상기 제1합성부 출력을 상기 제2합성부에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제2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1항 혹은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부내의 기저대역 모뎀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1항 혹은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수신 처리부내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모듈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1항 혹은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수신 처리부내의 복호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처리부에서 수신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에 오디오신호가 포함되어 있음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오디오신호의 송출이 가능함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송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여 전송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으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방송 수신 처리부와,
    상기 분리된 오디오신호가 데이터 송출 전용 채널을 통해 송출될 수 있도록 비율을 조정하는 비율 조정부와,
    무선 환경에 따라 상기 비율 조정부의 조정 비율이 가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오디오신호를 데이터 송출 전용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통화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오디오신호의 송출이 가능함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통화부는 상기 방송 수신 처리부에서 수신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에 오디오신호가 포함되어 있음이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이를 표시하게 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부는 데이터 전송 속도에 따른 비율 조정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비율조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8항 혹은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디지털 통신을 위한 기저대역 모뎀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뮤트 기능 선택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통화 음성신호의 처리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통화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통화 음성신호의 처리를 중지하는 아날로그/디지털-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삭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통신부내의 기저대역 모뎀으로부터 발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방송 수신부내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방송 수신부내의 복호부로부터 발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삭제
  27.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송출 방법에 있어서,
    음성 통화 기능의 수행 중 방송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1과정 과,
    수신된 방송신호에 오디오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체크하는 제2과정과,
    수신된 방송신호에 오디오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이를 검출하여 음성 채널을 통해 송출하는 제3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은 수신된 방송신호로부터 검출한 오디오신호를 통화 음성신호와 합성하여 송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소리 감시 기능의 선택 여부를 체크하는 제4과정과,
    상기 소리 감시 기능이 선택되었으면, 상기 방송신호로부터 검출한 오디오신호와 통화 음성신호의 합성신호가 스피커를 통해 가청음 형태로 출력되도록 신호의 전달 경로를 연결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5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소리 감시 기능의 선택 여부를 체크하는 제4과정과,
    상기 소리 감시 기능이 선택되었으면, 상기 방송신호로부터 검출한 오디오신호와 사용자의 통화 음성신호 및 수신(상대편) 통화 음성신호의 합성신호가 스피커를 통해 가청음 형태로 출력되도록 신호의 전달 경로를 연결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5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27항에 있어서,
    사용자 뮤트 기능 선택 여부를 감지하는 제7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뮤트 기능 선택을 감지하면, 상기 제3과정에서 상기 통화 음성신호를 차단하고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로부터 검출한 오디오신호만을 상기 음성 채널을 통해 송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27항에 있어서,
    수신된 방송신호에 오디오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사용자에게 방송 오디오 송출이 가능함을 알리는 제7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7과정에서의 알림 후, 사용자에 의한 송출 기능 선택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제3과정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8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오디오신호의 증폭 이득을 제어하는 제9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통화 음성신호의 증폭 이득을 제어하는 제10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송출 방법에 있어서,
    음성 통화 기능의 수행 중 방송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
    수신된 방송신호에 오디오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체크하는 제2과정과,
    수신된 방송신호에 오디오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이를 검출하여 데이터 전용 채널을 통해 송출하는 제3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사용자 뮤트 기능 선택 여부를 감지하는 제4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과정에서 상기 데이터 전용 채널을 통한 오디오신호의 송출과 동시에 음성 채널을 통한 통화 음성신호의 송출이 이루어지다가, 상기 제4과정에서 사용자 뮤트 기능 선택이 감지되면, 상기 음성 채널을 통한 통화 음성신호의 송출이 중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36항에 있어서,
    수신된 방송신호에 오디오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사용자에게 방송 오디오 송출이 가능함을 알리는 제5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송출 기능 선택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제3과정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6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 법.
  40.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용 채널의 전송 속도에 따라 상기 오디오신호의 증폭 이득을 제어하는 제7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30069739A 2003-10-07 2003-10-07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송출 장치 및 방법 KR100557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739A KR100557131B1 (ko) 2003-10-07 2003-10-07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송출 장치 및 방법
US10/740,893 US20050075098A1 (en) 2003-10-07 2003-12-22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 audio sig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rving as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receiver
CNA2004100058155A CN1606241A (zh) 2003-10-07 2004-01-20 用于在移动通信终端中发送音频信号的装置和方法
EP04001778A EP1523115A2 (en) 2003-10-07 2004-01-28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 audio sig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rving as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receiver
JP2004237693A JP2005117630A (ja) 2003-10-07 2004-08-17 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受信用の移動通信端末機のオーディオ送出装置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739A KR100557131B1 (ko) 2003-10-07 2003-10-07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송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994A KR20050033994A (ko) 2005-04-14
KR100557131B1 true KR100557131B1 (ko) 2006-03-03

Family

ID=34309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739A KR100557131B1 (ko) 2003-10-07 2003-10-07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송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075098A1 (ko)
EP (1) EP1523115A2 (ko)
JP (1) JP2005117630A (ko)
KR (1) KR100557131B1 (ko)
CN (1) CN16062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848B1 (ko) * 2005-06-08 2007-03-19 (주) 엘지텔레콤 Dmb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방송 데이터 및사용자 데이터 합성 방법
KR101108052B1 (ko) * 2005-06-14 2012-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채널 방송수신용 이동통신단말기
KR100730722B1 (ko) * 2005-07-29 200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dmb패키지와 이동 단말기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수신 방법
KR100660246B1 (ko) * 2005-08-31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시청을 권유하는 메시지를전송하는 방법과 그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73508B1 (ko) * 2005-09-23 2007-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설정 방법
KR100728019B1 (ko) 2005-12-12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오디오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KR100790058B1 (ko) * 2005-12-16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취침 예약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취침 예약 방법
KR101154990B1 (ko) * 2006-01-17 2012-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화 상대에게 방송을 전달하는 방법 및 그 기능을 갖는이동통신단말기
US8738103B2 (en) 2006-07-18 2014-05-27 Fractus, S.A. Multiple-body-configuration multimedia and smartphone multifunction wireless devices
KR100827125B1 (ko) 2006-10-25 2008-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상파 디엠비(t-dmb)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의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
JP5079438B2 (ja) * 2007-09-27 2012-11-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装置
US7733596B2 (en) * 2007-12-13 2010-06-08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the signal integrity of a signal from a tape drive
JP2009159249A (ja) * 2007-12-26 2009-07-16 Fujitsu Ltd 通信端末機
US8896651B2 (en) * 2011-10-27 2014-11-25 Polycom, Inc. Portable devices as videoconferencing peripherals
JP6852543B2 (ja) * 2017-04-24 2021-03-31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オーディオ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17630A (ja) 2005-04-28
KR20050033994A (ko) 2005-04-14
CN1606241A (zh) 2005-04-13
US20050075098A1 (en) 2005-04-07
EP1523115A2 (en) 2005-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7131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송출 장치 및 방법
EP1104968B1 (en) A method of simultaneously playing back audio files in two telephones
JP3905509B2 (ja) 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受信用移動端末における音声通話時のオーディオ信号を処理する装置及び方法
JP2007142744A (ja) 携帯無線通信端末及び緊急放送送受信システム
JP4611256B2 (ja) 映像通信機能を備えた移動通信端末機及び映像通信方法
EP1091543A1 (en) Method of using a cellular telephone for playback of audio signals downloaded from the network
JP2004312662A (ja) 通話中キーボタンを利用した効果音/背景音の出力機能を持つ携帯用端末機
JP5115120B2 (ja) 映像表示装置及び音声出力装置
KR100541344B1 (ko) 다중채널 음향 전송용 광대역 cdma 휴대장비
KR20100083271A (ko) 휴대 방송 서비스 공유 방법 및 장치
JP4372677B2 (ja) 通話装置
KR101206956B1 (ko) 푸쉬-투-토크 서비스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의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0444734B1 (ko) 광대역 음성부호화기 기능과 dab 수신 기능을 가진다기능 이동통신 단말기
JP2006211431A (ja) ストリ−ム受信機能付き電話機およびストリーム受信機能付き電話機におけるストリーム再生方法
KR10064403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실시간 송, 수신 방법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10044456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및 주문형 무선방송서비스방법
KR20070076016A (ko) 통화 상대에게 방송을 전달하는 방법 및 그 기능을 갖는이동통신단말기
JPH11187086A (ja) 音声通信機
KR20070105667A (ko) 휴대 단말기의 배경음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JP2004096697A (ja) 光伝送有線放送方法及びその設備
JP2007166249A (ja) 携帯端末装置
JP2003218781A (ja) 通信端末および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
JP2006203643A (ja) デジタルデータ処理装置
KR101467413B1 (ko) 오디오 및 음성 출력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KR100689459B1 (ko) 외부 음향 장치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fm트랜스미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