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5859B1 - 공진형 스위칭 전원 - Google Patents

공진형 스위칭 전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5859B1
KR100555859B1 KR1019990012070A KR19990012070A KR100555859B1 KR 100555859 B1 KR100555859 B1 KR 100555859B1 KR 1019990012070 A KR1019990012070 A KR 1019990012070A KR 19990012070 A KR19990012070 A KR 19990012070A KR 100555859 B1 KR100555859 B1 KR 100555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resonant
switching
power supply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2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3014A (ko
Inventor
고보리가쓰미
이마무라노리토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83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push-pull configuration
    • H02M3/337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push-pull configuration of the parallel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push-pull configuration
    • H02M3/33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push-pull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스위칭 전원은 MOS 트랜지스터가 교대로 온(on)이 됨에 따라,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卷線)에 스위칭 전류가 흘러, 2차측으로 교체 전력이 전송(轉送)된다. 그리고, 2차 권선에 발생한 교체 전압은 제1 및 제2 다이오드에 의해 전파(全波) 정류(整流)된다.
절연 트랜스포머에 결합되어 있는 3차 권선에 공진 소자(컨덴서 및 코일)을 접속함으로써, 1차측을 공진 상태로 할 수 있어, 전류 공진형의 스위칭 전원으로 할 수 있다.
트랜스포머의 누설 인덕턴스(leakage inductance)를 공진 소자로 하고 있지 않으므로, 절연 트랜스포머의 권선 간을 밀접하게 결합할 수 있다. 공진 전류를 직접 단속(斷續)하고 있지 않으므로, 1차 전류의 피크(peak)치가 저하되어 스위칭 로스(loss), 및 온 저항에 의한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전류 공진형 전원의 효율이 향상된다.
스위칭 전원, MOS 트랜지스터, 트랜스포머, 권선, 공진 소자.

Description

공진형 스위칭 전원{RESONANCE TYPE SWITCHING POWER SOURCE}
도 1은 본 발명의 스위칭 전원 회로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스위칭 동작 시의 각 부의 신호를 나타낸 파형도.
도 3은 3차 권선(卷線)에 배설한 공진 임피던스(impedance)의 등가적인 회로도.
도 4는 전류 공진형(共振型) 스위칭 전원의 개요를 나타낸 회로도.
도 5는 스위칭 전압과 공진 전류의 파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Q1, Q2: 스위칭 소자, T: 절연 트랜스포머, Cr: 공진 콘덴서, Lr: 공진 코일, L1: 1차 권선, L2: 2차 권선, L3: 3차 권선.
본 발명은 스위칭 전원 회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류 공진형(共振型) 스위칭 전원에 있어서 전력 손실을 경감할 때에 유용한 스위칭 전원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하프브리지(half-bridge)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스위칭 전원 회로의 원리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 부호 Q1, Q2는 직렬 접속되어 있는 MOSFET로 이루어지는 스위칭 소자, 도면 부호 T는 1차측의 스위칭 전력을 2차측으로 전송(轉送)하는 절연 트랜스포머이다.
IC는 상기 스위칭 소자 Q1, Q1을 교대로 개폐하기 위한 전원 콘트롤 회로를 나타내고, 통상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출력 전압 V0와 기준 전압을 비교하면서, 스위칭 소자 Q1, Q2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출력 전압 V0을 일정한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스위칭 소자 Q1, Q2의 출력은 절연 트랜스포머 T의 1차 권선(wiring) L1과 공진 콘덴서 C1에 공급되고 있다. 그리고, 스위칭 소자 Q1, Q2가 교대로 개폐되면, 트랜스포머 T의 누설 인덕턴스(leakage inductance)와 공진하는 공진 콘덴서 C1을 충방전(充放電)하는 전류에 의해,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 L1이 드라이브된다.
그리고, 이 공진 전류에 의해 스위칭 소자로 흐르는 전류가 0으로 되는 타이밍에서 스위칭 소자의 전환이 행해지도록 하면, 스위칭 소자의 손실 전력을 적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절연 트랜스포머 T의 2차 권선 L2에 전파(全波) 정류(整流)의 다이오드 D1, D2와, 평활(平滑) 콘덴서 C0이 접속되어, 직류 출력 전압 V0이 얻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스위칭 전원 회로는 스위칭 소자 Q1, Q2에 의한 개폐에 의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압 V1과 전류 I가 흐르고, 스위칭 소자 Q1의 턴온(turn on) 시에는, 트랜지스터로 흐르는 전류는 마이너스 방향으로부터 공진 조건에 의해 결정되는 기울기로 흐르기 시작하여, 제로-크로스(zero-cross)를 실현 하지만, 흐르는 전류 I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 전송만큰의 전류 I1에 대하여 공진 회로분의 공진 전류 IR이 중첩되어 있으므로, 그 피크 전류치가 증가한다.
이 때문에, 스위칭 소자 Q1, Q2에서의 포화(飽和) 전압과 전류의 적(積)의 전력 손실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특히 종래의 전류 공진형 스위칭 전원은 공진 전류를 형성하기 위해 절연 트랜스포머 T의 누설 인덕턴스를 이용하여, 이 누설 인덕턴스와 공진 콘덴서 C1에 의해 공진 주파수가 설정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절연 트랜스포머 T의 설계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는 동시에, 절연 트랜스포머 T에 일부러 누설 자속(磁束)이 생기도록, 예를 들면 1차 권선 L1과 2차 권선 L2를 소결합(疎結合)(loose coupling)이 되도록 설계하기 때문에, 전력의 변환 효율이 저하되어, 누설 자계(磁界)의 발생이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전원 전압을 소정의 스위칭 주파수로 스위칭하는 동시에, 이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생기는 교체 전력을 트랜스포머를 통해 출력하는 스위칭 전원 회로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의 권선에 소정의 주파수로 공진하는 공진 소자로 이루어지는 제3 권선을 배설하고, 이 공진 소자에 의해 스위칭 전원의 공진 주파수를 정하도록 한 것이다.
트랜스포머는 하프브리지 타입의 스위칭 전원의 경우, 통상 1차 권선과 2차 권선에 의해 구성되고, 제3 권선이 3차 권선으로 된다. 그리고 이 3차 권선에 공진 소자를 접속함으로써, 전류 공진형의 스위칭 전원을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전류 공진 회로를 트랜스포머의 제3 권선에 부가하여 스위칭 전원의 공진 주파수를 정하도록 했으므로, 스위칭 소자에 의해 직접 공진 전류를 단속(斷續)하는 일이 없어져, 그만큼 스위칭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절연 트랜스포머의 경우에는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밀접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전송하는 전력의 변환 효율을 종래의 전류 공진형 스위칭 전원과 비교하여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권수비(卷數比)에 따라 임의로 공진 회로의 인가 전압을 설정할 수 있어, 공진 회로의 최적 설계(저(低)손실화)를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하프브리지 타입의 전류 공진형 스위칭 전원 회로로서, 상기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 부호 E는 공급 전원, Q1, Q2는 하프브리지 접속의 스위칭 회로를 형성하는 스위칭 소자이고, 이것들은 MOS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출력은 절연 트랜스포머 T의 1차 권선 L1을 통해 하프브리지 구성으로 하기 위한 2개의 전류용(轉流用) 콘덴서 C1, C2의 중점(中點)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절연 트랜스포머 T의 2차 권선 L2에 유기(誘起)되는 유기 전압이 다이오드 D1, D2를 통해 평활(平滑) 콘덴서 C0을 충전하도록 전파 정류 회로(全波整流回路)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절연 트랜지스터 T에 제3 권선으로서 3차 권 선 L3을 배설하고, 이 3차 권선 L3에 대하여 공진용 콘덴서 Cr과 공진용 코일 Lr이 접속되어, 공진 회로를 부가하도록 하고 있다.
즉, 이 3차 권선 L3에 결합되어 있는 공진 소자(Cr, Lr)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가적으로는 절연 트랜스포머 T를 통해 1차측의 스위칭 회로에 권선비(卷線比) N1/N3=a를 통해 접속된 것으로 된다.
이 경우, R1과 (1-k) L1은 각각 1차 권선의 저항 성분과, 누설 인덕턴스분을 나타내고, K는 1차 권선과 3차 권선의 결합계수를 나타내고 있다.
밀접 결합에 의해 K=1로 간주할 수 있을 때는, 공진 소자 Cr, Lr의 임피던스는 권선비를 "a"로 할 때,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a2배된 것으로 된다.
그리고 이 등가적인 공진 소자의 임피던스에 의해 설정된 공진 주파수가, 스위칭 소자 Q1, Q2를 개폐했을 때에 공진 파형으로 되는 전류 IR을 3차 권선에 유기한다.
그리고, IC는 스위칭 소자 Q1, Q2를 드라이브하기 위한 제어용 IC 회로이며, 이 IC 회로는 통상은 출력 전압 V0을 일정한 전압으로 유지하도록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는 동시에, 스위칭 전원의 이상한 온도 상승 등을 검지하여 스위칭 동작을 정지시키는 보호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스위칭 전원의 동작을 설명한다.
예를 들면, MOS 트랜지스터 Q1이 온, MOS 트랜지스터 Q2가 오프로 되도록 구동되면, 전압 V1이 전원 E로부터 MOS 트랜지스터 Q1, 및 트랜지스터의 1차 권선 L1 을 통해 전류(轉流) 콘덴서 C1로 전류가 흘러, 전류 콘덴서 C1이 충전되는 동시에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 L1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류 I1이 흐른다.
다음에, 공진 주기에 대응하여 MOS 트랜지스터 Q1이 오프, MOS 트랜지스터 Q2가 온으로 되도록 구동됨으로써, 전압 V1이 트랜지스터의 포화 전압으로 되어, 전류 콘덴서 C2,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 L1을 통해 역(逆) 방향의 전류 I1이 절연 트랜스포머 T의 1차 권선 L1에 공급되고, 2차 권선 L2에 교체 전압(alternate voltage)이 유기된다.
스위칭 주기의 듀티(duty)가 50%이면, 전류 콘덴서 C1, C2에는 전원 전압의 1/2이 정상(定常) 상태로 각각 충전된다.
그런데, 이 절연 트랜스포머 T에 인가된 교체 전압은, 3차 권선 L3에도 유기되지만, 3차 권선은 공진 소자(Lr, Cr)에 의해 직렬 공진을 일으키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2의 전류 파형 IR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공진 소자의 영향을 받아 1차측의 전류 I도 공진 파형으로 된다.
즉, 도 3에 나타낸 절연 트랜스포머 T의 1차, 3차 간의 등가적인 회로로부터, 공진 소자의 임피던스 ωL1/ωC의 공진 임피던스를 권선비 a2배한 것이 1차측 회로에 삽입되어 있는 것과 등가로 되고, 종래의 전류 공진형 회로와 마찬가지로 스위칭 주기를 적당히 정함으로써 턴 온 및 턴 오프 시의 스위칭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경우에는 MOS 트랜지스터가 온인 때에도, 이 공진 전류 성분이 스위칭 소자에 의해 직접 단속되는 일이 없으므로, FET의 온 저항에 의한 손실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공진 주파수의 설정은 트랜스포머의 누설 인덕턴스를 사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절연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과 2차 권선, 및 3차 권선의 결합을 될 수 있는 한 밀접 결합이 되도록 권선을 배설할 수 있어, 절연 트랜스포머의 설계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특히 2차 권선에 대한 전력의 전송 효율을 높게 할 수 있다.
그리고, 1차 권선 L1에 대하여 3차 권선 L3을 약간 소결합이 되도록 설계하면, 1차 권선과 3차 권선 사이에서만 누설 플럭스(flux)가 생기고, 이 누설 플럭스를 누설 인덕턴스로서 이용함으로써, 도 1의 공진 코일 Lr을 생략하고, 콘덴서 Cr로 공진 주파수를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실시예는 하프브리지 타입의 전류 공진형 컨버터(converter)를 예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의 권선을 통과하는 전류를 단속하고, 그 스위칭 동작에 의해 교체 전압을 발생하는 동시에, 스위칭 전류를 공진 파형을 이용하여 단속하는 공진형 전력 변환 장치에 있어서, 공진 회로만을 접속하는 권선을 구비함으로써 공진형 스위칭 전원을 형성하는 다른 방식의 공진형 전력 변환 장치에도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의 누설 인덕턴스를 사용하여 공진형의 컨버터를 형성하는 전력 변환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공진 주파수로 공진하는 공진 회로만을 형성하는 제3 권선을 트랜스포머에 배설하고 있으므로, 공진 전류를 스위칭했을 때의 스위칭 로스를 없앨 수 있어, 변환 장치의 효율을 높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특히 절연형 전력 변환 장치의 경우에는,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결합을 밀접하게 할 수 있으므로, 트랜스포머의 설계가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전력의 전송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전원 전압을 소정의 스위칭 주파수로 스위칭 소자에 의해 단속(斷續)하는 스위칭 동작을 행하는 동시에, 이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생기는 교체 전력을 트랜스포머를 통해 출력하는 스위칭 전원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의 권선(卷線)에 소정의 주파수로 공진(共振)하는 공진 소자가 접속되어 있는 제3 권선을 배설하여, 상기 공진 소자에 의해 상기 트랜스포머의 권선 및 스위칭 전원의 공진 주파수를 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형 스위칭 전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는 1차 권선과 2차 권선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3 권선이 3차 권선으로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형 스위칭 전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하프브리지(half-bridge) 접속된 2개의 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형 스위칭 전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권선과 2차 권선은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형 스위칭 전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권선에 형성되어 있는 공진 회로는, 공진 코일과 공진 콘덴서의 직렬 접속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형 스위칭 전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권선과 제1 권선을 소결합(疎結合)(loose coupling)으로 하고, 제3 권선에 접속되어 있는 콘덴서와 제1 권선 및 제3 권선 간의 누설 인덕턴스(leakage inductance)에 의해 공진 주파수를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형 스위칭 전원.
KR1019990012070A 1998-04-10 1999-04-07 공진형 스위칭 전원 KR100555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99218 1998-04-10
JP9921898 1998-04-10
JP10204770A JPH11356044A (ja) 1998-04-10 1998-07-21 共振型スイッチング電源
JP98-204770 1998-07-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014A KR19990083014A (ko) 1999-11-25
KR100555859B1 true KR100555859B1 (ko) 2006-03-03

Family

ID=26440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2070A KR100555859B1 (ko) 1998-04-10 1999-04-07 공진형 스위칭 전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43993A (ko)
EP (1) EP0954089A3 (ko)
JP (1) JPH11356044A (ko)
KR (1) KR100555859B1 (ko)
CN (1) CN119247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17301A1 (de) * 2001-04-06 2002-10-10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Stromversorgungsschaltungsanordung mit einem DC/DC- Konverter
US6807073B1 (en) * 2001-05-02 2004-10-19 Oltronics, Inc. Switching type power converter circuit and method for use therein
JP3664173B2 (ja) * 2003-11-17 2005-06-22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直流変換装置
EP1869758B1 (en) * 2005-04-01 2012-10-10 Nxp B.V. Control of a resonant converter
WO2007116464A1 (ja) * 2006-03-31 2007-10-18 Fujitsu Limited 電源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装置及び電源回路の偏励磁防止方法
US8451632B2 (en) * 2009-03-12 2013-05-28 System General Corporation Dual-Switches flyback power converter with self-excited supply to power the high-side driver
KR101405878B1 (ko) * 2011-01-26 2014-06-12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전력 전송 시스템
JP5182458B2 (ja) * 2011-05-24 2013-04-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変圧器およびアーク放電加工装置
CN102497104B (zh) * 2011-11-30 2014-04-30 深圳市理邦精密仪器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医疗设备的具有同步整流控制的谐振变换电路
CN102832834B (zh) * 2012-08-31 2015-04-22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率的线性可调变压器
TWI596880B (zh) * 2014-06-30 2017-08-21 光寶科技股份有限公司 準諧振半橋轉換器及其控制方法
JP2020096499A (ja) * 2018-12-14 2020-06-18 シャープ株式会社 ハーフブリッジ回路および電源装置
CN110095648A (zh) * 2019-04-15 2019-08-06 深圳市致宸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llc拓扑开关电源输入功率检测装置及方法
US11574766B2 (en) * 2020-04-17 2023-02-07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Techniques for a coupled inductor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7458A (en) * 1978-08-07 1980-02-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Constant power regenerative magnetic switching regulator
US4631652A (en) * 1984-11-30 1986-12-23 Rca Corporation Frequency controlled resonant regulator
US4796173A (en) * 1988-02-01 1989-01-03 General Electric Company Low input voltage resonant power converter with high-voltage A.C. link
US5151852A (en) * 1991-03-08 1992-09-29 Raytheon Company Class E power amplifier
US5177675A (en) * 1991-10-16 1993-01-05 Shindengen Archer Corp. Zero voltage, zero current, resonant converter
US5159541A (en) * 1991-10-31 1992-10-27 Northern Telecom Limited Asymmetrical pulse width modulated resonant DC/DC converter
US5485362A (en) * 1993-09-08 1996-01-16 Eos Corporation Resonant power converter for changing the magnitude of a DC voltage
US5388040A (en) * 1993-09-30 1995-02-07 Hughes Aircraft Company Series resonant converter having an actively controlled third element
FR2720567B1 (fr) * 1994-05-27 1996-07-26 Europ Agence Spatiale Convertisseur continu continu à rendement élev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54089A3 (en) 1999-11-24
KR19990083014A (ko) 1999-11-25
US6043993A (en) 2000-03-28
CN1192473C (zh) 2005-03-09
CN1232312A (zh) 1999-10-20
JPH11356044A (ja) 1999-12-24
EP0954089A2 (en) 1999-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7358B1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US5268830A (en) Drive circuit for power switches of a zero-voltage switching power converter
KR100555859B1 (ko) 공진형 스위칭 전원
KR100623555B1 (ko) 전류 공진형 스위칭 전원
EP2211451A2 (en) Insulated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KR20000035380A (ko) 스위칭 전원 회로
KR20060083162A (ko) 다출력형 dc-dc 컨버터
CN101978590B (zh) 双极电源控制器
JP4381493B2 (ja) 電流共振型スイッチング電源
US6917528B2 (en) Switching power transmission device
US11527963B2 (en) Control unit for improving conversion efficiency
JP2000023455A (ja) 共振型スイッチング電源
JP4013952B2 (ja) Dc−dcコンバータ
JPH07123718A (ja) Dc−dcコンバ−タ
JP2020174465A (ja) 三相交流用の絶縁型力率改善装置
JP2003088118A (ja) 共振型dc−dcコンバータ
JP4367611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3334604B2 (ja) 共振型スイッチング電源
JPH114578A (ja) 電圧変換装置
JP2004072918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H11341802A (ja) 共振型ac―dcコンバ―タ装置
JP4304743B2 (ja) 補助電源なしでオンオフ制御を可能にする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9110659A (ja) 多出力絶縁電源装置
JPH0819253A (ja) 1石電流複合共振型コンバーター回路
JP2001086747A (ja)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