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5431B1 - 문자 표시장치 및 문자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문자 표시장치 및 문자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5431B1
KR100555431B1 KR1019990008818A KR19990008818A KR100555431B1 KR 100555431 B1 KR100555431 B1 KR 100555431B1 KR 1019990008818 A KR1019990008818 A KR 1019990008818A KR 19990008818 A KR19990008818 A KR 19990008818A KR 100555431 B1 KR100555431 B1 KR 100555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haracter
display
segmen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7929A (ko
Inventor
와타나베켄지
스에타니타쿠야
오가와키요시
칸다미와
우노테루히코
코바야시히로시
츠쿠타히데유키
쿠레바야시시게유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77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27Segmented, e.g. alpha numeric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 G09G3/045Selecting complete charac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ome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도트(Dot) 방식의 세그먼트(Segment) 구성에 의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소정의 문자에 대한 다양한 표시형태에서의 표시를 실현한다.
본 발명의 문자 표시장치는 (1) 문자형상을 갖는 문자 세그먼트와, 백발문자(인쇄에서 검은 바탕에 백발로 문자를 뺀 것)에 대한 배경부를 구성하고 있고, 적어도 문자 세그먼트의 주위에 위치하고 있는 배경 세그먼트를 갖는 문자 표시수단과, (2) 이 문자 표시수단을 구성하는 문자 세그먼트 및 배경 세그먼트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수단을 갖는 것이다.
문자표시, 문자입력, 행번호 인디케이트, 문자 표시영역, 테이프 인쇄장치

Description

문자 표시장치 및 문자 입력장치{DISPLAY UNIT OF CHARACTER AND INPUT UNIT OF CHARACTER}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행번호 인디케이트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실시형태 및 종래의 표시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실시형태에 의한 행번호 인디케이트의 표시형태의 설명도이며,
도 5는 실시형태에 의한 키정보의 입력시의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고,
도 6은 실시형태의 행번호 인디케이트의 표시형태와 의미내용에 대응하는 관계의 설명도이며,
도 7은 실시형태의 행번호 인디케이트의 표시형태의 변화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표시면2: 문자 표시영역
3-1∼3-4: 행번호 인디케이트10: 입력부
12: 키입력부20: 제어부
21: CPU22: 롬
22a: 문자 입력 프로그램23b: 표시버퍼
23c: 택스트 버퍼23d: 행번호 인디케이트 상태유지 버퍼
30: 출력부32: 서멀헤드
35: 액정디스플레이
본 발명은 문자 표시장치 및 문자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테이프 인쇄장치와 인장 작성장치 등의 표시장치에서의 표시 가능한 행수 및 각 행 문자수가 적지 않은 장치에 적용한 것이다.
테이프 인쇄장치는 입력된 문자(기호, 그림문자, 바깥 테두리, 지문 등을 포함하는 개념임)의 열을 연속하는 테이프에 필요에 응하여 인쇄함과 동시에, 인쇄된 테이프를 배출하여 절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절단후의 문자열이 인쇄된 테이프는 라벨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테이프 인쇄장치의 작성물이 라벨인 일반적인 문자열의 행수가 적지 않기 때문에 테이프 인쇄장치 자체가 인쇄가능한 문자열의 행수를 제한하고 있다. 또한, 테이프 인쇄장치의 경우, 테이프 길이방향에 있어서 각 행의 입력 문자수도 갖가지이고, 판단컨대 각 행의 최대 문자수에 표시장치를 대응시키는 것은 실제로 곤란하다.
그 때문에, 입력된 문자열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로, 표시행수가 적지않고, 표시하는 각 행문자수도 적지 않은 소형의 것(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이 적용되 고 있다. 테이프 인쇄장치에 적용되고 있는 것에 의한 소형의 표시장치로는, 종래 최대 테이프 폭에 대한 인쇄가능한 최대 행수(예를 들면, 4행과 8행) 보다 적지 않은 행수의 문자열만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표시하는 각 행의 문자열부분도 수문자(예를 들면, 6문자)의 것이다.
따라서, 입력 문자열의 행수가 표시장치에 동시에 표시가능한 행수보다 많은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문자열이 어떤 행에 관한 것인지가 명확하기 때문에 종래에 있어서는 이하의 방법이 있었다.
도 2는 인쇄 가능한 최대 행수가 4행으로, 더구나 표시가능한 행수가 1행으로 된 테이프 인쇄장치에서의 표시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면(1)에 있어서 입력 문자열의 표시영역(이하 문자 표시영역이라 함)(2)의 좌측 옆에 행번호 인디케이트(3-1∼3-4)를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고, 각 행번호 인디케이트(3-1), ..., (3-4)의 점멸, 점등, 소등을 문자 표시영역(2)에서의 현시점에서의 표시행(또한, 2행 이상을 표시하는 것의 경우는 커서가 위치되어 있는 행), 입력 문자열에 있어서 그 행의 존재(후술하는 실질 행 또는 공백행; 또는 2행 이상을 표시하는 것의 경우는 커서가 위치하지 않은 행), 입력 문자열에 있어서 그 행의 존재하지 않음(후술하는 실질 행에서도 공백행에서도 없음)에 대응하여 붙이는 방법에 있다.
여기에서, 문자 표시영역(2)은 온·오프 단위에 있는 도트 세그먼트를 종횡으로 설치한 도트방식(매트리스 방식이라 함)에 따라 표시구성을 하고 있는 임의의 문자를 표시가능하게 하는 영역이다. 또한, 각 행번호 인디케이트(3-1), ..., (3-4)는 각각 온·오프 단위에 있는 세그먼트가 1개(또는 2개) 정도인 고정숫자의 표시전용이다. 또한, 고정숫자의 표시전용이라는 점에서 인디케이트를 구성하고 있고, 이 점에서 세그먼트를 8자 상태로 배치하고 있는 이른바 7세그먼트의 범용적인 숫자 표시용과는 그 기능이 다르다.
또한, 도 2에서, 문자 표시영역(2)에 표시된 백발문자 「1」은 행두(行頭) 마크(2M)을 나타내고 있고, 이 다음의 표시문자가 이루어지는 선두의 문자라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행두 마크(2M)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것은 그 행에는 표시장치에 표시가능한 문자수(여기에서는 5문자) 이상의 입력문자가 있고, 예로써 8문자째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자면, 문자 표시영역(2)에 행두 마크(2M)를 포함하지 않는 문자열을 표시하고 있는 것은 그 행의 1문자째에서 상당히 뒤쪽의 문자열 부분이 표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종래의 테이프 인쇄장치에 있어서는 행번호 인디케이트를 설치하고 있고, 입력 문자열의 행수가 표시가능한 행수보다 많은 경우에도 어떤 행이 존재하고 어떤 행이 존재하지 않는 지와 입력중의 행은 어떤 행에 있는 지를 사용자가 충분히 이해하고 있느냐가 유효한 것이다.
그런데, 표시되고 있는 입력 문자열의 정보에서는 사용자가 읽어 들이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각 행에 있어서의 정보를 가능한 한 많은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그 만큼 사용자의 사용에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행속성의 하나로서, 실질행 및 공백행이라는 개념이 있다. 실 질행은 그 행에 문자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묻지 않고, 그 행이 실질적으로 입력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행이다. 한편, 공백행은 그 행에 문자의 입력이 없고 개행(改行; 행을 고치거나 바꿈) 조작된 경우에 있어서, 그 행 이하의 행에 대한 확정문자가 존재하지 않고, 그 행이 입력 문자열을 구성하는 행인 것은 확정될 수 없는 행이다. 이와 같이 실질행이 공백행인가의 구별을 행번호 인디케이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으며, 문자 표시영역(2)의 표시가 공백행 이하에서 변하여도 사용자는 공백행의 입력이 정확한 장치를 받아 들이는 것임을 인식할 수 있다.
그렇지만, 행번호 인디케이트의 표시형태는 점멸(백발숫자의 표시, 비표시의 반복 상태), 점등(백발숫자의 표시상태) 및 소등의 3종류만이 가능한 것은 아니고, 상술한 것과 같이 그 행에 있어서의 속성 등을 3종류만 표시할 수 있는 것만 아니며, 4종류 이상의 속성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즉 종래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인 3종류의 속성표시는 실행할 수 있어도, 공백행과 실질행을 구별되도록 하는 표시는 종래의 행번호 인디케이트(3-1∼3-4)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것을 가능하게 함과, 행번호 인디케이트를 설치하는 것은 문자 표시영역(2)에 행번호의 표시영역을 설치하고, 4종류 이상의 표시형태를 실현하는 것을 고려하면 이러한 테이프 인쇄장치도 이미 존재한다.
그러나, 문자 표시영역(2)에 행번호의 표시영역을 설치하고, 그 부분 표시장치가 크진다. 그 때문에 테이프 인쇄장치 중에서도 특히 소형, 저렴한 가격을 얻 는 저가격품에 대해서는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표시장치를 크게하지 않은 채, 문자 표시영역(2)에 행번호의 표시영역을 설치함으로 표시된 입력 문자수가 감소되어 사용상 편의가 나빠진다.
이러한 과제는 입력 문자열의 행수가 적지 않은 인장 작성장치 등에 있어서도 동일한 형태로, 발생하게 된다.
그 때문에 소정 문자(예를 들어, 숫자)를 많은 표시형태의 어느 것도 표시할 수 있는 문자 표시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입력 문자열의 각 행에 있어서의 다양한 정보가 표시장치를 복잡화 및 대형화하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문자 입력장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 1의 본 발명의 문자 표시장치는 (1) 문자형상을 갖는 문자 세그먼트와, 백발문자에 대한 배경부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문자 세그먼트의 주위에 위치하고 있는 배경 세그먼트를 갖는 문자 표시수단과, (2) 이 문자 표시수단을 구성하는 문자 세그먼트 및 배경 세그먼트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수단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제 2의 본 발명은, (1) 입력 문자열을 입력을 허용하는 최대 행수보다 적지 않은 행수만큼 도트형태로 표시하는 문자 표시영역과, 상기 입력을 허용하는 최대 행수의 각 행에 대응하고, 각 행의 입력상태와 표시상태 등의 행 속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설치된 복수의 행번호 인디케이트를 갖는 표시수단과, (2) 이 표시수단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수단이 구비된 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3) 상기 각 행번호 인디케이트가 각각 행번호를 나타내는 숫자형상을 갖는 숫자 세그먼트와, 백발문자에 대한 배경부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숫자 세그먼트의 주위에 위치하고 있는 배경 세그먼트가 있으며, (4) 상기 표시 제어수단은 각 행의 입력상태와 표시상태에 대하여 상기 각 행번호 인디케이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문자 세그먼트 및 배경 세그먼트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표시장치 및 문자 입력장치를 테이프 인쇄장치에 적용한 일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 실시형태의 테이프 인쇄장치의 전기적인 전체구성을 도 3의 기능 불록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이 실시형태의 테이프 인쇄장치도 다른 정보 처리장치와 동일한 형태로 크게는 입력부(10), 제어부(20) 및 출력부(3)로 구성되고, 제어무(20)는 입력부(10)로부터의 정보와 그 시점의 처리단계 등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며, 그 처리결과 등을 출력부(30)에 의해 표시출력 또는 인쇄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입력부(10)는 상세한 구성은 생략하지만, 누름키와 다이얼키 등을 구비한 키입력부(11)와, 테이프폭 검출센서(12)를 갖는다. 키입력부(11)는 제어부(20)에 부여하는 문자코드 데이터와 각종의 제어 데이터를 발생하는 것이다. 테이프폭 검출센서(12)는 장전되어 있는 테이프의 폭을 검출하는 테이프폭 정보를 제어부(20)에 부여하는 것이다. 실제로, 테이프는 테이프 카트리지에 수납되고, 테이프 카트리지에는 테이프폭을 규정하는 구멍 등의 물리적인 식별요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테이프폭 검출센서(12)는 이 물리적인 식별요소를 읽어 들여 테이프폭 정보를 출력한다.
출력부(30)는 인쇄구성과 표시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스테핑 모터와 직류모터 등에 있는 테이프리본 송출모터(31)는 장전되어 있는 도시되지 않은 테이프와 잉크리본을 소정의 인쇄위치와 장치 외부까지 송출하거나, 인쇄헤드(여기에서는 서멀헤드라고 함)(32)는 예를 들어, 고정되어 있어 주행하는 테이프에 대한 열전사에 의한 인쇄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테이프리본 송출모터(31) 및 서멀헤드(32)는 각각 제어부(20)의 제어하에서 모터 구동회로(33)와 헤드 구동회로(34)에 의해 구동된다. 인쇄된 테이프의 절단은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의 외력 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된 도시되지 않은 커터에 의해 수행된다.
이 실시형태에 관한 테이프 인쇄장치의 경우, 표시부로서 예를 들어, 소정 크기의 문자를 수행(數行)(여기에서는 1행이라 함)으로 넘어가는 수문자(數文字)(여기에서는 6문자라 함) 정도표시될 수 있는 정도의 액정디스플레이(35)가 설치되고, 이 액정디스플레이(35)는 제어부(20)의 제어하에서 디스플레이 구동회로(36)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테이프 인쇄장치는 입력 문자열의 최대 행수가 4행의 것이다.
이 실시형태의 테이프 인쇄장치에 있어서 액정디스플레이(35)의 표시면도 상술한 도 2에 나타낸 것과 거의 동일한 형태의 구성을 갖는다.
즉 액정디스플레이(35)의 표시면(1)은 문자 표시영역(2)과 행번호 인디케이트(3-1∼3-4)를 갖는다. 또한, 종래의 기술항목에서는 설명하였지만, 입력 문자열에 관한 각종의 속성 등을 나타내는 속성 인디케이트(4-1∼4-n)도 갖는다. 속 성 인디케이트(4-1∼4-n)는 그 온(On) 표시가 그 속성 인디케이트(4-1), ..., (4-n)에 대응하는 표시면(1)의 주위에 기재되어 있는 문자를 나타내는 속성이 채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속성 인디케이트(4-1), ..., (4-n)가 지시하는 속성으로는 문자 크기에 관한 것과, 가나입력 및 로마자 입력 등의 입력방식에 관한 것과, 세로쓰기와 중간 짤음 등의 문자열이 있는 정도의 덩어리 단위로 된 것과, 장식문자와 영문서체 등의 문자단위의 것과, 기본적인 서식의 채용유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문자 표시영역(2)에서의 표시행수가 1행으로 있거나 2행 이상으로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액정디스플레이(35)는 표시 문자영역(2), 행번호 인디케이트부(3)(3-1∼3-4) 및 속성 인디케이트부(4)(4-1∼4-n)가 있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구동회로(36)도 대별해서 문자 표시영역(2)에 대응하는 구동부(36a), 행번호 인디케이트부(3)(3-1∼3-4)에 대응하는 구동부(36b) 및 속성 인디케이트부(4)(4-1∼4-n)에 대응하는 구동부(36c)로 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 실시형태의 경우, 각 행번호 인디케이트(3-1), ..., (3-4)의 세그먼트 구성이 종래의 것과 다르고, 그것에 대응하는 구동부(36b)의 구성도 다르다.
도 1은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행번호 인디케이트(3-1∼3-4)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종래에 있어서는 각 행번호 인디케이트(3-1), ..., (3-4)는 각각 백발 숫자 용의 1개(또는 2개) 정도의 세그먼트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 실시형태의 경우, 각 행번호 인디케이트(3-1), ..., (3-4)는 각각 숫자형상의 세그먼트(이하, 숫자 세그먼트라 함)(40-1), ..., (40-4)와, 백발숫자라는 면에서 볼 경우에 배경부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숫자 세그먼트(40-1), ..., (40-4)와, 거의 정방형 형상의 테두리를 구성하고 있는 배경 세그먼트(40-1), ..., (40-4)의 주위에 위치하고 있는 세그먼트(이하, 테두리 세그먼트라 함)(42-1), ..., (42-4)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각 배경 세그먼트(40-1), ..., (40-4)가 각각 2개 1조의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1개로 된 것도 좋고 3개 이상으로 1조를 구성하고 있는 것도 좋다. 또한, 도 1에서는 각 테두리 세그먼트(42-1), ..., (42-4)가 각각 4개 1조의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1개로 된 것도 좋고 2개 이상으로 1조를 구성하고 있는 것도 좋다. 도 1의 경우, 세그먼트 구동선의 배선을 고려하여 상기와 같이 분할되어 있다.
숫자 세그먼트(40-i)(i는 1∼4) 및 테두리 세그먼트(42-i)는 행번호 인디케이트부(3)에 대응하는 구동부(36b)로부터 인출되어 있어 동일의 세그먼트 구동선(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숫자 세그먼트(40-i) 및 테두리 세그먼트(42-i)의 온, 오프상태는 상당히 동일하다. 한편, 배경 세그먼트(41-i)는 행번호 인디케이트부(3)에 대응하는 구동부(36b)로부터 인출되어 다른 세그먼트 구동선(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도 4aa∼도 4da은 각각 배경 세그먼트(41-i)를 온(on) 제어함과 동시에, 숫자 세그먼트(40-i) 및 테두리 세그먼트(42-i)를 오프(off) 제어하는 경우의 각 행 번호 인디케이트(3-1), ..., (3-4)의 표시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4ab∼도 4db는 각각 배경 세그먼트(41-i)를 오프 제어함과 동시에 슷자 세그먼트(40-i) 및 테두리 세그먼트(42-i)를 온 제어하는 경우의 각 행번호 인디케이트(3-1), ..., (3-4)의 표시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숫자 세그먼트(40-i), 배경 세그먼트(41-i) 및 테두리 세그먼트(42-i)의 전부를 오프 제어하는 경우에는(도 1 참조), 각 행번호 인디케이트(3-1), ..., (3-4)는 볼 수 없는 상태(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또한, 숫자 세그먼트(40-i), 배경 세그먼트(41-i) 및 테두리 세그먼트(42-i)의 전체 온 제어하는 경우에는 숫자가 표시상 명확하지 않아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 표시형태를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의 경우, 각 행번호 인디케이트(3-1), ..., (3-4)의 표시형태로는 도 4aa∼도 4da에 나타낸 상태를 계속하는 표시형태(이하, 네가티브(negative) 점등표시라고 함)와, 도 4aa∼도 4da에 나타낸 상태와 소등상태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표시형태(이하, 네가티브 점멸표시하고 함)와, 도 4ab∼도 4db에 나타낸 상태를 계속하는 표시형태(이하, 포지티브(positive) 점등표시라고 함)와, 도 4ab∼도 4db에 나타낸 상태와 소등상태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표시형태(이하, 포지티브 점멸표시라고 함)와, 전체 세그먼트가 오프 제어되는 표시형태(이하, 소등표시라고 함)와, 도 4aa∼도 4da에 나타낸 상태와 도 4ab∼도 4db에 나타낸 상태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표시형태(이하, 네가티브-포지티브 점멸표시라고 함)와의 6가지 표시형태의 어느 쪽이든 가능하다.
또한, 네가티브 점멸표시와 포지티브 점멸표시와 네가티브-포지티브 점멸표시에 있어서 표시내용을 변경하는 반복적인 제어는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서도수행할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구동부(36b)가 예를 들면, 소정 주기의 하드타이머를 내장하여 수행하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0)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고, CPU(21), ROM(22), RAM(23), 캐릭터 제너레이터 ROM(CG-ROM)(24), 입력 인터페이스(25) 및 출력 인터페이스(26)가 시스템 버스(27)를 통해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ROM(22)에는 각종의 처리 프로그램과 가나(カナ; 일본문자)-한자 변환용 사전 등의 고정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행번호 인디케이트(3-1∼3-4)의 제어를 수반하는 입력 처리프로그램(22a)도 격납되어 있다.
RAM(23)은 워킹(working: 작업용) 메모리로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자 입력에 관련된 고정 데이터 등도 격납되어 있다. 도 3에서는 램(23)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워킹 메모리로 사용되는 EEPROM(전기적 소거가능한 롬) 등의 다른 메모리소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RAM(23)은 인쇄된 문자열을 도트전개하여 격납하는 인쇄버퍼(23a)와, 입력 문자열 따위에 있어서의 표시화상을 격납하는 표시버퍼(23b)와, 인쇄 및 입력에 관련된 문자데이터 등을 격납하는 택스터 버퍼(23c)와, 행번호 인디케이트(3-1∼3-4)에 있어서의 표시형태를 유지하는 행번호 인디케이트상태 유지버퍼(23d)와, 속성 인디케이트(4-1∼4-n)에 있어서의 표시형태를 유지하는 속성 인 디케이트상태 유지버퍼(23e) 등을 갖는다.
여기에서, 표시버퍼(23b)에 전개된 도트패턴은 문자 표시영역(2)용 구동부(36a)에 부여된 문자 표시영역(2)에 표시된다. 또한, 행번호 인디케이트상태 유지버퍼(23d)의 격납내용은 행번호 인디케이트부(3)(3-1∼3-4)용의 구동부(36b)에 부여되고, 그 내용으로 정해진 표시형태로 각 행번호 인디케이트(3-1), ..., (3-4)가 표시된다. 더욱이, 속성 인디케이트상태 유지버퍼(23e)의 격납내용이 속성 인디케이트부(4)(4-1∼4-n)용의 구동부(36c)에 부여되고, 그 내용으로 정해진 표시형태에서 각 속성 인디케이트(4-1, ..., 4-n)이 표시된다.
또한, 행번호 인디케이트상태 유지버퍼(23d)와 속성 인디케이트상태 유지버퍼(23e)를 설치하여 CPU(21)가 직접 구동부(36b) 및 (36c)를 제어하는 형식이라도 좋다.
CG-ROM(24)은 해당하는 테이프 인쇄장치에 마련되어 있는 문자와 기호의 도트패턴을 격납하고 있고, 문자와 기호를 특정하는 코드데이터가 부여되어 있어 대응하는 도트패턴을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표시용과 인쇄용의 CG-ROM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격납형식은 라인폰트 형식 및 비트맵 형식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입력 인터페이스(25)는 입력부(10) 및 제어부(2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고, 출력 인터페이스(26)는 출력부(30) 및 제어부(2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CPU(21)는 입력부(10)로부터의 입력신호와 그 때의 처리단계에 대하여 정해 진 ROM(22)내의 처리프로그램을 RAM(23)을 워킹영역으로 이용하면서, 또한, 필요하면 ROM(22)과 RAM(23)에 격납되어 있는 고정데이터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처리하고, 그 처리상황과 처리결과 등을 액정디스플레이(35)에 표시하며 도시되지 않은 테이프에 인쇄되도록 한다.
이하, 키입력부(11)로부터 조작된 키정보가 부여된 때에 CPU(21)가 실행하는 입력 프로그램(22a)을 도 5을 참조하면서 상술한다. 또한, 도 5는 1개의 키정보가 부여된 때의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키입력부(11)로부터 키정보가 부여되고, CPU(21)는 문자열의 입력과 편집 등에 관한 키가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우선 판별한다(단계 100). 여기에서, 부정결과를 얻으면 그 키정보에 대한 해당하는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101). 예를 들면, 문자열 입력에 관계되지 않은 인쇄키와 레이아웃(layout) 표시키가 조작된 경우에는 인쇄처리와 레이아웃 표시처리를 수행한다.
문자열의 입력과 편집 등에 관한 키가 조작된 경우에는 문자 표시영역(1), 행번호 인디케이트(3-1∼3-4), 속성 인디케이트(4-1∼4-n)의 순으로 차례로 수행한다(단계 102∼107).
즉 먼저, 문자 표시영역(2)의 표시내용의 변경이 필요하면, 그 변경을 수행한다(단계 102, 103). 많은 문자열의 입력용 조작의 경우에는 문자 표시영역(2)의 표시내용의 변경이 필요하다. 문자를 표시하는 조작키 뿐만 아니라, 커서 이동키와 삭제키와 행바꿈키 등이 조작되는 경우에도 문자 표시영역(2)이 필요하다. 문자 표시영역(2)의 표시내용의 변경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가나 입력모드를 로마자 입력모드로 변환하는 조작키가 부여된 경우 등이다.
문자 표시영역(2)의 표시내용의 변경은 표시버퍼(23b)에 이번의 키조작에 대한 입력 문자열 등에 있어서의 표시화상을 표시버퍼(23b)에 전개하고, 표시버퍼(23b)에 전개된 도트패턴을 문자 표시영역(2)용의 구동부(36a)에 부여하여 구동되도록 수행한다.
문자 표시영역(2)의 표시내용의 변경이 종료된 후, 또는 문자 표시영역(2)의 표시내용의 변경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행번호 인디케이트(3-1∼3-4)의 형태의 변경이 필요한 지에 대하여 판단하고(단계 104), 필요로 한다면, 행번호 인디케이트(3-1∼3-4)의 표시형태의 변경을 수행한다(단계 105). 변경이 필요한 경우로서는 행바꿈키 또는 커서 이동키가 조작되어 문자 표시영역(2)에 표시된 행이 변환된 경우와, 문자 표시영역(2)의 표시행에 확정문자가 존재하지 않는 단계로부터 히라가나와 한자에 대한 확정키와 선택키의 조작에 의한 확정문자가 존재하도록 변환된 경우를 들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처리단계의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문자 표시영역(2)에 표시되어 있는 내용이 입력 문자열 자체에서는 없는 경우, 가나-한자변환의 한자 후보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와 문자크기를 선택하기 위한 메시지(문자열)를 표시하고 있는 등은 전체 행번호 인디케이트(3-1∼3-4)는 소등되게 되고, 이러한 행번호 인디케이트(3-1∼3-4)의 표시형태의 변경도 되게 된다.
행번호 인디케이트(3-1∼3-4)의 표시형태의 변경은 행번호 인디케이트 상태 유지버퍼(23d)의 격납내용을 변경시키고, 그 변경후의 행번호 인디케이트 상태 유 지버퍼(23d)의 격납내용을 행번호 인디케이트부(3)(3-1∼3-4)용의 구동부(36b)에 부여하여 그 내용에서 정해진 행번호 인디케이트(3-1), ..., (3-4)의 해당하는 세그먼트(한자 세그먼트 및 테두리 세그먼트의 조합, 또는 배경 세그먼트)를 점등(온 제어), 점멸(온·오프 반복제어 또는 온 세그먼트의 반복 절환제어), 소등(오프 제어)을 수행하게 된다.
행번호 인디케이트(3-1∼3-4)의 표시형태의 변경이 종료된 후, 또는 행번호 인디케이트(3-1∼3-4)의 표시형태의 변경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속성 인디케이트(4-1∼4-n)의 표시형태의 변경이 필요한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106), 필요로 한다면, 속성 인디케이트(4-1∼4-n)의 표시형태의 변경을 수행한다(단계 107). 변경이 필요한 경우로서는 가나 입력모드로부터 로마자 입력모드로 변경하는 경우와, 커서 이동키의 조작에 의한 커서가 지시하는 문자의 문자크기가 앞의 문자크기로부터 변경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속성 인디케이트(4-1∼4-n)의 표시형태의 변경은 속성 인디케이트 상태 유지버퍼(23e)의 격납내용을 변경시키고, 그 변경후의 속성 인디케이트 상태 유지버퍼(23e)의 격납내용을 속성 인디케이트(4)(4-1∼4-n)용의 구동부(36c)에 부여하여 그 내용에서 정한 속성 인디케이트(4-1), ..., (4-n)를 점등, 소등하는 것을 수행한다.
도 6은 각 행번호 인디케이트(3-i)에 있어서의 표시형태와, 그 표시형태의 의미내용을 대응하여 부여한 설명도이고, CPU(21)는 각 행이 일치하고 있는 의미내용에 대응하는 표시형태를 갖도록 각 행번호 인디케이트(3-i)의 표시형태를 제어한 다.
이 도 6의 예는, (1) 「네가티브 점등표시」를 그 행이 문자 표시영역(2)의 표시행에 있지 않고, 더구나 그 행에 확정문자가 존재하는 것에 대응하여 부여하며, (2) 「네가티브 점멸표시」를 그 행이 문자 표시영역(2)의 표시행에 있고, 더구나 그 행에 확정문자가 존재하는 것에 대응하여 부여하며, (3) 「포지티브 점등표시」를 그 행이 문자 표시영역(2)의 표시행에 있지 않고, 더구나 그 행이하에 확정문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응하여 부여하며, (4) 「포지티브 점멸표시」를 그 행이 문자 표시영역(2)의 표시행에 있고, 더구나 그 행이하에 확정문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응하여 부여하며, (5) 「소등표시」를 현재 입력단계에서는 그 행이 문자열을 구성하는 행에 있지 않은 것에 대응하여 부여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의 경우, (6) 「네가티브-포지티브 점멸표시」는 행번호 인디케이트(3-1∼3-4)의 표시형태로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행번호 인디케이트(3-1∼3-4)의 표시형태와 의미내용의 대응관계는 도 6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행번호 인디케이트(3-1∼3-4)의 표시형태의 변화예를 구체적인 입력예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이러한 행번호 인디케이트(3-1∼3-4)의 표시형태의 변화예의 설명으로 제공하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7에서는 속성 인디케이트(4-1∼4-n)의 표시는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 7은 커서(종방향 커서)가 기본적으로는 문자 표시영역(2)의 6번째의 표시위치에 표시된 커서 고정 표시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예이다. 더욱이 문자 표시영역(2)내의 표시숫자는 행머리 마크를 나타내고 있다.
문자열의 입력전의 초기상태에 있어서는 도 7(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문자 표시영역(2)의 표시행은 제 1행째에 있어 확정문자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제 1행째에 관한 행번호 인디케이트(3-1)가 포지티브 점멸표시(도 6의 (4) 참조)이고, 다른 행번호 인디케이트(3-2∼3-4)는 소등표시(표시되어 있지 않음; 도 6의 (5) 참조)이다.
그 후, 「あ」가 입력되고, 그것이 히라가나로서 확정된 때에는 문자 표시영역(2)의 표시행은 계속하여 제 1행째이지만, 확정문자가 존재하도록 변화된 것에서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행째에 관한 행번호 인디케이트(3-1)가 네가티브 점멸표시(도 6의 (2) 참조)이고, 다른 행번호 인디케이트(3-2∼3-4)는 소등표시(도 6의 (5) 참조)이다.
도 7(b)에 나타낸 표시상태로부터 행바꿈키가 조작되고, 제 2행째가 문자 표시영역(2)의 표시행으로 바뀌며, 당연히 이 시점에서는 확정문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제 2행째에 관한 행번호 인디케이트(3-2)는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지티브 점멸표시(도 6의 (4) 참조)이다. 한편, 제 1행째는 확정문자가 존재하지만, 표시행에서는 있으므로,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행째에 관한 행번호 인디케이트(3-1)은 네가티브 점등표시(도 6의 (1) 참조)로 바뀐다. 다른 행번호 인디케이트(3-3) 및 (3-4)는 소등표시(도 6의 (5) 참조)를 유지한다.
도 7(c)에 나타난 표시상태로부터 행바꿈키가 조작되고, 제 3행째가 문자 표시영역(2)의 표시행으로 바뀌며, 당연히 이 시점에서는 확정문자는 존재하지 않는 다. 그 때문에 제 32행째에 관한 행번호 인디케이트(3-3)는 도 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지티브 점멸표시(도 6의 (4) 참조)이다. 이번의 행바꿈 조작에는 제 1행째는 영향이 없지만, 제 1행째에 관한 행번호 인디케이트(3-1)는 도 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가티브 점등표시(도 6의 (1) 참조)를 계속한다. 한편, 제 2행째는 확정문자가 존재하지 않은 채로 행바꿈 조작되기 때문에, 표시행에서는 있지 않았을 뿐이고, 이 시점에서는 이 제 2행째 이하에 확정문자를 포함하여 수행하지 않는다. 그 결과, 제 2행째에 관한 행번호 인디케이트(3-2)는 도 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백행을 표시하는 포지티브 점등표시(도 6의 (3) 참조)로 바뀐다. 다른 행번호 인디케이트(3-4)는 소등표시(도 6의 (5) 참조)를 유지한다.
그 후, 「い」가 입력되고, 그것이 히라가나로서 확정된 때에는 문자 표시영역(2)의 표시행은 계속하여 제 3행째이지만, 확정문자가 존재하도록 변화된 것에서 도 7(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행째에 관한 행번호 인디케이트(3-3)가 네가티브 점멸표시(도 6의 (2) 참조)로 바뀐다. 이때, 제 2행째에는 문자는 입력되지 않지만, 제 2행째가 공백행으로부터 실질행으로 변화된 것으로, 제 2행째에 관한 행번호 인디케이트(3-2)는 도 7(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가티브 점등표시(도 6의 (1) 참조)로 바뀐다. 또한, 이번의 히라가나 확정에는 제 1행째는 영향이 없지만, 제 1행째에 관한 행번호 인디케이트(3-1)은 도 7(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가티브 점등표시(도 6의 (1) 참조)를 계속한다. 다른 행번호 인디케이트(3-4)는 소등표시(도 6의 (5) 참조)를 유지한다.
이 제 3행째에 있어서, 「い」에 이어서「うえおかき」가 입력되어 히라가나 로 확정되고, 6문자 표시용의 문자 표시영역(2)에는 도 7(f)에 나타낸 바와 같이 「うえおかき」가 표시되며, 행머리 마크 및 제 1문자째의 문자에 있는 「い」는 표시되지 않는다. 이때, 각 행의 행속성으로 변화는 없어 행번호 인디케이트(3-1∼3-4)의 표시형태는 도 7(e)의 경우와 동일하다.
여기에서, 행머리 마크는 표시되어 있어도, 제 3행째에 관한 행번호 인디케이트(3-3)가 네가티브 점멸표시(도 6의 (2) 참조)되므로, 사용자는 표시행이 제 3행째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문자 표시영역(2)내에 행속성을 나타내는 표시영역을 설치하지 않아도 행번호 인디케이트(3-1∼3-4)의 표시형태에서 속성을 제공할 수 있어 문자 표시영역(2)에 최대한의 문자수의 문자를 표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행번호 인디케이트의 세그먼트 구성을 도 1에 나타낸 구성으로, 행번호 인디케이트의 표시형태를 많이 할 경우에는 도트방식의 세그먼트 구성에 의하여 다양한 내용을 행번호 인디케이트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구성을 복잡, 대형화하지 않고 사용자의 사용에 편의를 일층 향상시킨 테이프 인쇄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행번호 인디케이트가 테두리 세그먼트를 갖는 것으로 나타냈지만, 테두리 세그먼트를 생략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문자 세그먼트(숫자 세그먼트) 및 배경 세그먼트로 구성을 행번호 인디케이트에 적용한 것을 나타냈지만, 다른 인디케이트에 적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중간적인 문자크기를 나타낸 「M」의 문자를 갖는 문자 세그먼트와 배경 세그먼트로 구성하고, 그 네가티브 점등표시를 그 문자크기 로 나타내며, 그 포지티브 점멸표시를 그 문자크기의 축소크기로 나타내고, 그 네가티브 점멸표시를 그 문자크기의 늘임크기로 표시하며, 소등표시를 그 문자크기에 관계없이 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축소크기와 늘임크기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트는 필요하지 않다.
더욱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테이프 인쇄장치에 적용하는 것을 나타냈지만, 인장 작성장치 등의 문자열의 입력행수가 한정되어 있는 다른 장치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또, 적어도 문자 세그먼트 및 배경 세그먼트로 된 문자표시 구성은 인디케이트로서 뿐만 아니라, 문자 표시장치로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광고등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문자 세그먼트와 배경 세그먼트는 액정으로 된 것을 나타냈지만, 다른 표시소자로 세그먼트를 구성하여도 바람직하다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문자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문자도 영문 및 숫자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와 같이, 제 1의 본 발명의 문자 표시장치에 의하면, (1) 문자형상을 갖는 문자 세그먼트와 백발문자에 대한 배경부를 구성하고 있고, 적어도 문자 세그먼트의 주위에 위치하고 있는 배경 세그먼트를 갖고 있는 문자 표시수단과, (2) 이 문자 표시수단을 구성하는 문자 세그먼트 및 배경 세그먼트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수단을 갖고 있어, 도트방식의 세그먼트 구성에 의하지 않고 간 단한 구성으로 소정 문자에 대한 다양한 표시형태에서의 표시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제 2의 본 발명의 문자 표시장치에 의하면, 문자 표시영역과 행번호 인디케이트를 갖는 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1) 각 행번호 인디케이트가 각각 행번호를 나타내는 숫자형상을 갖는 숫자 세그먼트와, 백발문자에 대한 배경부를 구성하고 있고, 숫자 세그먼트의 주위에 위치하고 있는 배경 세그먼트가 있으며, (2) 표시 제어수단은 각 행의 입력상태와 표시상태에 대하여 상기 각 행번호 인디케이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문자 세그먼트 및 배경 세그먼트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으로, 행번호 인디케이트의 표시형태를 많이 할 수 있고, 도트방식의 세그먼트 구성에 의하여 다양한 내용을 행번호 인디케이트를 통해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구성을 복잡, 대형화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사용에 편의를 일층 향상시킨 문자 입력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6)

  1. 입력문자열을 입력을 허용하는 최대 행수보다 적은 행수만큼 도트 형태로 표시하는 문자 표시영역과, 상기 입력을 허용하는 최대 행수의 각 행에 대응하고, 각 행의 입력상태와 표시상태 등의 행속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설치된 복수의 행번호 인디케이트를 갖는 표시수단과, 이 표시수단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한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행번호 인디케이트가 각각 행번호를 나타내는 숫자형상을 갖는 숫자 세그먼트와, 백발 숫자에 대한 배경부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숫자 세그먼트의 주위에 위치하고 있는 배경 세그먼트로 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각 행의 입력상태나 표시상태 등에 따라서 상기 각 행번호 인디케이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문자 세그먼트 및 배경 세그먼트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행번호 인디케이트가 제공하는 행속성이, 입력문자열에 그 행 또는 그보다 앞의 행에 있어서의 문자열 부분이 있는지 아닌지, 그 행은 입력문자열을 구성하는 행이 있는지 아닌지의 입력상태와, 상기 문자표시영역에서의 표시대상에 그 행이 있는지 아닌지 등의 표시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행번호 인디케이트는 각각 상기 배경 세그먼트의 주위에 위치하고 있는 테두리를 구성하는 테두리 세그먼트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테두리 세그먼트에 있어서 상기 숫자 세그먼트의 온·오프와 동일한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 세그먼트의 주위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배경 세그먼트가 장방형(長方形) 형상의 주위를 가지고, 상기 테두리 세그먼트가 대응하는 상기 배경 세그먼트의 장방형 형상의 주위를 둘러싼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행번호 인디케이트의 상기 표시형태로써, 상기 숫자 세그먼트 또는 상기 배경 세그먼트의 점멸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편집 대상으로써 표시되어 있는 행은, 해당 행의 행번호 인디케이트가 점멸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행의 입력상태로써, 상기 숫자 세그먼트가 온(on) 상태이면서 상기 배경 세그먼트가 오프(off) 상태인 상태는, 해당 행번호 인디케이트에 관한 행에 입력문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숫자 세그먼트가 오프(off) 상태이면서 상기 배경 세그먼트가 온(on) 상태인 상태는, 해당 행번호 인디케이트에 관한 행에 입력문자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KR1019990008818A 1998-03-19 1999-03-16 문자 표시장치 및 문자 입력장치 KR1005554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69690 1998-03-19
JP6969098A JP3560467B2 (ja) 1998-03-19 1998-03-19 文字入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929A KR19990077929A (ko) 1999-10-25
KR100555431B1 true KR100555431B1 (ko) 2006-02-24

Family

ID=13410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818A KR100555431B1 (ko) 1998-03-19 1999-03-16 문자 표시장치 및 문자 입력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41912B1 (ko)
EP (1) EP0944006A1 (ko)
JP (1) JP3560467B2 (ko)
KR (1) KR100555431B1 (ko)
CN (1) CN1154064C (ko)
HK (1) HK1022669A1 (ko)
TW (1) TW41537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10705A2 (en) * 1999-05-12 2002-06-05 Lim Choi Signboard us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20010083680A (ko) * 2000-02-18 2001-09-01 림 최 다양한 표시가 가능한 액정패널
JP4198343B2 (ja) * 2001-08-27 2008-12-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文書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文書表示装置
JP4079268B2 (ja) 2003-07-03 2008-04-23 シャープ株式会社 文字表示装置、文字表示方法、文字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可読記録媒体
JP3933636B2 (ja) * 2004-03-16 2007-06-20 エーシ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0357965C (zh) * 2005-02-06 2007-12-26 陈锦昌 一种防伪印章的制造方法和与之配套使用的检验胶片
JP2007322514A (ja) * 2006-05-30 2007-12-13 Toyota Motor Corp 表示装置
CN103874459B (zh) * 2011-10-11 2016-07-13 诺沃—诺迪斯克有限公司 双用途咨询设备
CN105448231B (zh) * 2014-08-14 2018-09-04 北京维信诺科技有限公司 一种oled显示图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82064A2 (en) * 1995-12-28 1997-07-02 King Jim Co., Ltd. Character input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2011A (en) * 1978-08-30 1980-07-08 General Electric Company Multimode liquid crystal display
CA2107759A1 (en) 1992-10-06 1994-04-07 Masahiko Nunokawa Tape printing device
JP3349577B2 (ja) 1993-12-30 2002-11-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字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82064A2 (en) * 1995-12-28 1997-07-02 King Jim Co., Ltd. Character inpu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15374U (en) 2000-12-11
HK1022669A1 (en) 2000-08-18
JPH11272211A (ja) 1999-10-08
CN1229731A (zh) 1999-09-29
US6441912B1 (en) 2002-08-27
CN1154064C (zh) 2004-06-16
EP0944006A1 (en) 1999-09-22
KR19990077929A (ko) 1999-10-25
JP3560467B2 (ja) 2004-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1726B1 (ko) 테이프인쇄장치의레이아웃표시장치
US6104381A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KR100555431B1 (ko) 문자 표시장치 및 문자 입력장치
US5479588A (en) Bar code printing apparatus
JPH05185653A (ja) テープ印字装置
KR100516613B1 (ko) 문자인쇄장치
EP0632394B1 (en) Text processing device
JPH05305748A (ja) 印字装置
US7033092B2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producing small prints
JP3714827B2 (ja) 文字入力装置
US6424423B1 (en) Charact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P0573262B1 (en) Wordprocessing device
EP0656594B1 (en) Word processor
JPS58211476A (ja) 電子印字装置
JP3714941B2 (ja) 文字入力装置
EP0593190A2 (en) Print processing apparatus
KR890003283B1 (ko) 플로팅 메카니즘을 이용한 한글 인자 방법
JPH07125373A (ja) 印刷装置
KR890005312B1 (ko) 돗트 메트릭스 프린터의 비례 공간 인자방법
EP0631242A2 (en) Text processing device with decorative character shading function
JPH08221048A (ja) 文書処理装置
JPH07179013A (ja) リボンカセットの種類判定方法及び印刷装置
JPH07219950A (ja) 文書処理装置
JP2001353919A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H11105314A (ja) 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