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075B1 - 토너유출 방지를 위한 서랍식 밀봉틀과 이를 이용한 토너카트리지 밀봉방법 - Google Patents

토너유출 방지를 위한 서랍식 밀봉틀과 이를 이용한 토너카트리지 밀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075B1
KR100554075B1 KR1020030074343A KR20030074343A KR100554075B1 KR 100554075 B1 KR100554075 B1 KR 100554075B1 KR 1020030074343 A KR1020030074343 A KR 1020030074343A KR 20030074343 A KR20030074343 A KR 20030074343A KR 100554075 B1 KR100554075 B1 KR 100554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oner
sealing
sealing fram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4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9005A (ko
Inventor
전명표
송관섭
김흥중
Original Assignee
(주) 대성테크놀러지
주식회사 티랜드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성테크놀러지, 주식회사 티랜드상사 filed Critical (주) 대성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030074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4075B1/ko
Publication of KR20050039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9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2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a slidable sealing member, e.g. shut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빔 프린터용 토너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토너유출 방지를 위한 서랍식 밀봉틀과 이를 이용한 토너카트리지 밀봉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너유출 방지를 위한 서랍식 밀봉틀과 이를 이용한 토너카트리지 밀봉방법은 긴 통상으로 된 토너통과 토너통개구부프레임과 현상롤러지지프레임과 현상롤러 등으로 조립 구성된 토너카트리지의 토너통개구부프레임과 현상롤러지지프레임이 서로 접착하고 상부와 하부 일부면은 접착고정되고 중앙은 서로 분리되어 좌우로 관통하는 사각 공간인 밀봉용 슬릿에 삽입 되는 것으로, 상기 밀봉용 슬릿에 삽입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서랍식 밀봉틀이 구비되어 토너통현상제개구부를 밀봉하는 것으로 상기 서랍식 밀봉틀은 프레임슬릿이 구비된 봉투형 밀봉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슬릿에

Description

토너유출 방지를 위한 서랍식 밀봉틀과 이를 이용한 토너카트리지 밀봉방법{The sealing method of toner cartridge to make use of the drawer type sealing for the toner outflow thwarthing frame}
도 1 은 종래의 접착식 밀봉재를 구비한 토너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접착식 밀봉재를 구비한 토너카트리지의 분리사시도
도 3 은 종래의 접착식 밀봉재의 부분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식 밀봉틀의 분리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서랍식 밀봉틀을 구성하는 밀봉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 6 은 폐 토너 카트리지와 본 발명의 밀봉프레임이 삽입되기 전상태의 사시도
도 7 은 폐토너카트리지에 본 발명의 밀봉프레임이 삽입된 상태도
도 8 은 폐토너카트리지에 본 발명의 밀봉틀이 완전 조립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서랍식 밀봉틀
110 : 밀봉후레임
120 : 분리카드
본 발명은 레이저 빔 프린터용 토너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토너유출 방지를 위한 서랍식 밀봉틀과 이를 이용한 토너카트리지 밀봉방법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빔 프린터용 토너 카트리지는 일회용으로 제작되어져 있으며, 사용한 후에는 폐기물로 처리되어 왔다. 수년 전부터 폐자원의 재활용 및 경비절감을 위해 토너 카트리지를 재생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사용된 토너 카트리지를 회수하여 분해하고 주요부품은 교환하며, 토너 개구부를 밀봉재(Sealing material)로 밀봉한 후 조립하고 소모된 현상제(Toner)를 재 충진하여 다시 사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폐 토너 카트리지의 재생방법은 소모성이 가장 큰 토너를 충진한 후, 유통 및 보관과정에서의 토너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토너 충진통 프레임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종래의 토너 카트리지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가 충진되고 전면에 토너통개구부(D)가 형성된 긴통상으로 된 토너통(20)과 상기 토너통(20)의 개구부가 형성된 부분에 부착된 것으로 개구부(40D)가 형성된 사각 사진틀형태의 토너통개구부프레임(40)과 토너통개구부프레임(40)의 전면에 부착되어 개구부를 밀봉시키는 밀봉재(10)와 상기 밀봉재(10)의 전면에 부착되고 상기 토너통개구부(도시생략)와 동일한 형상의 개구부(50D)를 갖고 후술하는 현상롤러를 조립되는 현상롤러지지프레임(50)과 봉상체인 현상롤러(60)로 구성된다.
이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토너 카트리지 재생공정은 회수된 폐 토너 카트리지에서 현상롤러(60)를 분리하여 사용 가능한 부품을 재사용하며, 도 2 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를 토너통개구부프레임(40)과 현상롤러지지프레임(50)의 접착면(41, 51)을 2개의 부분으로 절개 분리하여 토너 유출 방지용 밀봉재의 잔류 이물질을 제거하고 깨끗이 청소하며, 접착식 밀봉재(10)를 부착한 후, 토너통(20) 일측에 형성된 덮개(21)을 분리하고 충진구(22)를 통해 토너를 충진한다.
종래의 밀봉재(10)는 폴리에칠렌, 폴리비닐, 폴리아미드 등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접착제, 접착테이프 및 열적 밀봉 방식 등을 이용하여 접착하고 있다. 도 3은 종래의 접착식 밀봉재(10)을 도시한 것으로써 종래의 접착식 밀봉재(10)는 토너통개구부(D) 및 토너통개구부프레임(40)의 개구부(40D)를 밀봉하기 적당한 크기의 사각 박판상의 기판(基板, 11)과 상기 기판(11)의 일측표면에 가열압착되어 부착된 접착식분리카드(12)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기판(11)의 중앙에는 상기 접착식분리카드(12)을 잡아당기면 접착식분리카드(12)와 함께 기판(11)에서 분리 제거되어 개구부가 만들어지는 개구부절개면(11D)가 형성된다. 상기 기판(11)의 개구부는 토너 카트리지의 사용시 토너충진통의 토너를 현상롤러에 공급하는 토너공급구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상기 접착식 밀봉재(10)를 토너통개구부프레임(40)의 전면인 접착면(41)에 형성된 사각요홈으로 된 밀봉용슬릿(S)에 부착하고 이상태에서 현상롤러지지프레임(50)이 접착면(51)에 의하여 부착되고 현상롤러(60)가 설치되므로서 레이저 빔 프린터용 카트리지가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밀봉용슬릿(S)는 토너통개구부프레임(40)과 현상롤러지지프레임(50)이 서로 접착되면서 토너카트리지(TC)의 양측을 관통하는 사각공간으로 형성되고, 이 공간에 접착식 밀봉재(10)가 접착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토너 카트리지를 재활용할 경우 종래의 밀봉재(10)를 현상롤러지지프레임(50)과 토너통개구부프레임(40)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기존의 접착식 밀봉재(10)를 토너통개구부프레임(40)의 밀봉용슬릿(S)에서 분리 제거하고 새로운 접착식 밀봉재(10)을 부착하되 밀봉용슬릿(S)의 표면에 신축성이 있는 스폰지형태의 신축포움(F)을 접착제로 부착하여 미세한 틈새를 막아주고 절개된 두 개의 부분을 재 결합한 후 잔넬로 그 틈이 벌어지지 않게 고정한다.
사용 시에는 밀봉용슬릿(S)에서 외부로 노출된 접착식분리카드(12)을 슬리트 앞으로 끌어 당겨서 접착식분리카드(12)을 기판(11)에서 토너 충진프레임 측면의 밀봉용슬릿(S)를 통해 접착식분리카드(12)를 분리하여 토너통개부(D)를 개방하여 사용한다.
종래에는 토너 카트리지에 토너를 재충진하여 재사용하고자 할 때 토너 카트리지의 접착면(41, 51)에 따라 반드시 절개하여야 하며, 절개를 위한 기계장치가 필요하고, 절개된 카트리지 부분을 깨끗이 청소하여야 하며, 청소가 불충분하거나 밀봉재 일부가 잔류하는 경우 새로운 밀봉재가 완전하게 접착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며, 절개 후 재 조립된 카트리지는 외형에 변화가 생겨 불량발생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경우 운송 및 프린터 사용시에 밀봉재 접착부분에서 토너가 유출되어 프린터 내부를 오염시키거나 복사 화질에 악영향을 준다. 또한 절개 및 재 조립과정에서 밀봉재 주요부품의 교체에 따른 원자재 비용이 증가하고, 작업공정이 복잡하며, 청소과정에는 수작업이 필요하여 작업성이 떨어지고 인건비가 증가한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 접착식 밀봉재가 구비된 종래의 토너 카트리지는 최초 생산되어 사용하고자 할 때 접착식분리카드(12)의 일단을 잡아당겨 분리 제거하여 사용하는데, 종래의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에 토너통개구부프레임(40)과 현상롤러지지프레임(50)이 서로 접하면서 만들어진 공간인 밀봉용슬릿(S)에 상술한 바와 같이 부착식 밀봉재(10)가 부착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착식분리카드(12)는 제거된다 하여도 기판(11)는 밀봉용슬릿(S)내에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기판(11)는 지극히 얇은 필름상으로 거의 두께가 없다시피하므로 상기 밀봉용슬릿(S)는 거의 이미 만들어진 크기의 틈새를 형성 하기에 토너카트리지 사용시 토너가 이 밀봉용슬릿(S)에서 누설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토너카트리지는 토너 재충진하여 사용할 경우 밀봉재(10)를 밀봉용슬릿(S)에 부착한 후에 스폰지형 호움(foam)으로 밀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폐 토너 카트리지를 절개하지 않은 상태에서 소모된 현상제(Toner)를 재 충진하고 밀봉한 후 조립하도록 하기 위하여 현상제 개구부의 형상에 따라 현상제 개구부를 밀봉하는 수단을 부착방식이 아닌 서랍식 밀봉수단을 제공하고, 토너통개구부프레임과 현상롤러지지프레임이 서로 접하여 만드는 공간인 밀봉용슬릿(S)로 충진된 현상제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빔 프린터용 토너 카트리지 재생용 토너밀봉수단은 토너 카트리지를 분해 및 절개하지 않고 토너 유출방지용 밀봉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토너유출 방지를 위한 서랍식 밀봉틀과 이를 이용한 토너카트리지 밀봉방법은 종래의 접착식 밀봉재(10)를 서랍식 밀봉틀(100)로 대체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식 밀봉틀(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상기 서랍식 밀봉틀(100)은 도 4 에 도시되어 있듯이 밀봉프레임(110)과 분리카드(120)로 구성된다.
도 5 는 상기 밀봉프레임(110)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밀봉프레임(110)은 토너 카트리지의 개구부(D)의 형상에 따라 제작하되 밀봉프레임(110) 폭은 개구부(D) 크기보다 10mm정도 크게 제작한다. 이같은 밀봉프레임(110)은 도 4 및 도 5 에 도시되어 있듯이 사각 창틀 또는 사각 봉투형태를 취하는데 사각구멍인 밀봉틀개구부(100D)가 판의 중앙에 형성된 두 개의 판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판상을 위 덮개판(111)과 아래 덮개판(112)이라 하고, 상기 위 덮개판(111)과 아래 덮개판(112)의 안쪽 상부와 하부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각각 가로방향으로 양면접착테이프(113)를 부착형성하여 상술 한 바와 같이 창틀 또는 봉투형의 밀봉프레임(110)을 제작한다.
위 덮개판(111)과 아래 덮개판(112)의 크기는 현상롤러지지프레임(50)의 토너통개구부(D)보다 약간 크게 또는 현상롤러지지프레임(50)의 접착면(51)에 형성된 홈턱의 안쪽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크기를 조절하여 제작하며,양 판면의 중앙에 토너통개구부(D)에 맞추어 그 보다 약간 작은 관통구멍인 상기 밀봉프레임개구부(110D)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밀봉프레임(110)은 도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좌우측면을 관통하는 틈새로 된 프레임슬릿(110S)이 형성되어 분리카드(12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서랍식 분리카드(12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걱형태로 된 판상체인데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보다 넓고 긴판면을 이루는 밀봉판부(121)와 상기 밀봉판부(121)의 일측가장자리에 보다 좁고 짧은면으로 된 손잡이부(122)로 구성된다.
상기 밀봉판부(121)은 상술한 밀봉프레임(110)의 프레임슬릿(110S)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프레임슬릿(110S)의 공간크기에 맞게 제단되어 제작되어야 하고, 상기 손잡이부(122)는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잡아 당길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제작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서랍식 밀봉틀(100)을 구성하는 밀봉프레임(110)과 분리카드(120)는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유연성이 있는(Flexible) 아스테이지 필름으로 제작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랍식 밀봉틀(100)을 구성하는 밀봉프레임(110)과 분리카드(120)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류 및 토너 개구부의 형상에 따라 서랍식으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 은 폐토너카트리지(TC)에 본 발명에 따른 서랍식 밀봉프레임(110)이 삽입되기 전상태를 사시도로 표현하고 있는 도면이다.
폐토너 카트리지의 측면에 토너통개구부프레임(40)과 현상롤러지지프레임(50)이 서로 접하면서 만들어진 공간인 밀봉용슬릿(S)이 형성되는데 상기 밀봉용슬릿(S)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부착식 밀봉재(10)가 형성된 공간으로 이미 밀봉재(10)를 구성하는 접착식분리카드(12)는 제거되어 있고 기판(11)은 밀봉용슬릿(S)내에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기판(11)은 지극히 얇은 필름상으로 거의 두께가 매우 얇은 박판이므로 상기 밀봉용슬릿(S)은 종래의 접착식 밀봉재의 잔류 부분인 기판(11)이 남아 있어도 카트리지의 양측을 관통하는 이미 만들어진 크기의 틈새(40D와 50D사이)를 그대로 형성함은 공지(公知) 또는 주지(周知)의 사실이다.
따라서 상기 밀봉용슬릿(S)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식 밀봉틀(10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된다.
도 7 은 폐토너카트리지(TC)의 밀봉용슬릿(S)에 본 발명에 따른 서랍식 밀봉틀(100)의 밀봉프레임(110)이 조립된 상태에서 분리카드(120)가 삽입되기 전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8 은 폐토너카트리지(TC)에 본 발명의 서랍식 밀봉틀(100)이 완전 조립된 상태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7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서랍식 밀봉틀(100)의 밀봉프레임(110)은 토너충진통개구부프레임(40)과 현상롤러지지프레임(50) 사이에 형성된 밀봉용슬릿(S)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폐토너카트리지(TC)에 본 발명의 서랍식 밀봉틀(100)을 조립한 후에는 현상롤러지지프레임(50)으로 노출된 토너 개구부(D)를 통해 토너를 재 충진하고, 삽입식 분리카드(120)를 밀봉프레임(110) 측면의 프레임슬릿(110S)에 삽입하여 본발명에 따른 서랍식 밀봉틀을 구비한 재생된 토너카트리지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폐 토너카트리지의 재사용을 도모하는데 상기에 기술한 것은 종래의 접착식 밀봉재를 사용한 토너카트리지의 재사용을 기술한 것인데 처음부터 즉 토너카트리지를 본 발명에 따른 서랍식 밀봉틀을 구비하여 생산된 경우에는 토너의 소진시 토너를 충진한 후 삽입식 분리카드(120)만 새것으로 교환하여 사용하면 된다.
특히, 종래의 접착식 밀봉재를 구비한 토너카트리지의 재생시 본발명에 따른 서랍식 밀봉방식 즉 서랍식 밀봉틀(100)을 사용한 토너카트리지의 재사용을 위한 재생공정에서는 밀봉프레임(110)의 상태에 따라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며, 토너 충진후 분리카드(120)만 새것으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서랍식 밀봉틀(100)을 사용하여 토너카트리지를 재생하는 경우 토너통에 토너를 충진하는 수단은 먼저 서랍식 밀봉틀(100)의 밀봉프레임(110)을 밀봉용슬릿(S)에 삽입하여 조립한 후 폐 토너카트리지의 현상롤러지지프레임(50)의 전면에 형성되어 노출된 토너통개구부(D)에 맞추어 그 보다 약간 작은 관통구멍인 상기 밀봉프레임개구부(110D)을 통해 토너를 충진한다. 이렇게 토너를 충진한 후 밀봉프레임(110)의 프레임슬릿(110S)에 삽입식 분리카드(120)를 삽입하여 토너카트리지의 재생 또는 생산을 완료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토너 카트리지의 재생공정에서 토너를 충진한 후, 토너유출 방지를 위한 밀봉방법에서 종래의 방식은 토너통개구부프레임(40)의 접착면(41)과 현상롤러 지지프레임(50)의 접착면(51)을 반드시 분해 및 절개하여 토너 유출방지용 접착식 밀봉재를 접착하여야 하나, 본 발명에서는 서랍식 밀봉방법을 채택하여 토너 카트리지를 분해 및 절개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각봉투형의 밀봉프레임과 삽입식 분리카드로 구성된 서랍식 밀봉틀을 제작하여, 토너카트리지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슬리트에 간편하게 삽입하는 방식이기에 작업이 용이하여 생산량이 증가하며, 분해 및 절개와 재조립에 따라 소요되는 부품(접착제, 시일재, 잔넬 등)의 추가비용이 절감되고, 외관의 손상이 없어 정품과 같은 깔끔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그동안 수입에 의존해오던 접착식 밀봉재의 수입대체효과가 크게 기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랍식 밀봉틀을 구비한 토너카트리지는 종래의 접착식 밀봉재를 사용한 폐토너카트리지의 재활용에 기여한바도 크나 처음부터 본 발명에 따른 토너유출 방지를 위한 서랍식 밀봉틀과 이를 이용한 토너카트리지 밀봉방법으로 생산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새로운 삽입식 분리카드만 교환하면 되므로 그만큼 경제적일 뿐아니라 편리하다.
그리고 무었보다도 토너카트리지를 생산하거나 폐토너카트리지의 재생시에 토너통에 토너를 충진하고자 할 경우 기존의 접착식 밀봉재를 구비한 토너카트리지는 토너통(20) 일측에 형성된 덮개(21)을 분리하고 충진구(22)를 통해 토너를 충진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서랍식 밀봉틀(100)을 구비한 토너카트리지는 현상롤러를 현상롤러지지프레임에 조립하거나 삽입식 분리카드를 밀봉프레임의 프레임슬릿에 삽입하기 전에 현상롤러지지프레임의 전면에 노출된 밀봉프레임개구부(110D)를 통해 토너통에 토너를 충진시키게 되므로 그만큼 토너의 충진 작업이 용이하여(충진시키는 구멍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되고, 종래와 달리 토너통(20)의 일측에 충진구와 덮개를 형성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토너통의 제작비용(사출용 금형제작비등)이 저렴하고 제작도 단순화 되어 매우 경제적인 토너카트리지를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5)

  1. 긴 통상으로 된 토너통과, 토너통개구부프레임과, 현상롤러지지프레임과 현상롤러를 구비한 토너카트리지의 상기 토너통개구부프레임과 상기 현상롤러지지프레임 중앙에 좌우로 관통하는 사각공간인 밀봉용 슬릿에 삽입되는 서랍식 밀봉틀에 있어서,
    상기 서랍식 밀봉틀은 토너통개구부(D)의 형상에 따르되 그 폭이 토너통개구부(D)의 크기보다 큰 밀봉프레임(110)과 상기 밀봉프레임(110)에 삽입되는 분리카드(120)로 구성되며, 상기 밀봉프레임(110)은 밀봉틀개구부(100D)가 판의 중앙에 형성된 위 덮개판(111)과 아래 덮개판(112)이 상호 부착되어 토너통개구부(D)보다 약간 작은 관통구멍인 밀봉프레임개구부(110D)를 형성함과 동시에 가로방향으로 좌우측면을 관통하는 틈새인 프레임슬릿(110S)을 형성하여 분리카드(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밀봉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카드(120)는 밀봉판부(121)와 손잡이부(1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밀봉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프레임(110)과 분리카드(120)는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유연성이 있는 아스테이지 필름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밀봉틀.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의 서랍식 밀봉틀을 구비한 토너카트리지.
  5. 토너 유출방지를 위해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의 서랍식 밀봉틀을 이용하여 분해 및 절개 없이 토너카트리지를 밀봉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랍식 밀봉틀(100)의 밀봉프레임(110)을 토너충진통개구부프레임과 현상롤러지지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밀봉용슬릿(S)에 삽입하는 단계;
    토너통개구부(D)에 맞추어 그보다 약간 작은 관통구멍인 밀봉프레임개구부(110D)를 통해 토너를 충진하는 단계;
    토너를 충진한 후 밀봉프레임의 프레임슬릿(110S)에 삽입식 분리카드(120)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밀봉방법.
KR1020030074343A 2003-10-23 2003-10-23 토너유출 방지를 위한 서랍식 밀봉틀과 이를 이용한 토너카트리지 밀봉방법 KR100554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343A KR100554075B1 (ko) 2003-10-23 2003-10-23 토너유출 방지를 위한 서랍식 밀봉틀과 이를 이용한 토너카트리지 밀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343A KR100554075B1 (ko) 2003-10-23 2003-10-23 토너유출 방지를 위한 서랍식 밀봉틀과 이를 이용한 토너카트리지 밀봉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884U Division KR200346655Y1 (ko) 2003-10-29 2003-10-29 서랍식 밀봉수단을 구비한 토너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005A KR20050039005A (ko) 2005-04-29
KR100554075B1 true KR100554075B1 (ko) 2006-02-22

Family

ID=37241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4343A KR100554075B1 (ko) 2003-10-23 2003-10-23 토너유출 방지를 위한 서랍식 밀봉틀과 이를 이용한 토너카트리지 밀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40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4551U (ko) * 1990-01-05 1991-08-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사진 복사기용 폐토너 상자의 출입구 개폐장치
JPH0728318A (ja) * 1993-07-14 1995-01-31 Canon Inc 現像剤容器の封鎖方法及び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84446A (ja) * 1993-06-30 1995-03-31 Canon Inc 現像剤収容容器の再シール部材、この再シール部材を使用した現像剤収容容器の再シール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シール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使用方法
KR200288579Y1 (ko) * 2002-04-30 2002-09-10 주식회사 오피스메카 재생 토너 카트리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4551U (ko) * 1990-01-05 1991-08-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사진 복사기용 폐토너 상자의 출입구 개폐장치
JPH0784446A (ja) * 1993-06-30 1995-03-31 Canon Inc 現像剤収容容器の再シール部材、この再シール部材を使用した現像剤収容容器の再シール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シール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使用方法
JPH0728318A (ja) * 1993-07-14 1995-01-31 Canon Inc 現像剤容器の封鎖方法及び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288579Y1 (ko) * 2002-04-30 2002-09-10 주식회사 오피스메카 재생 토너 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005A (ko) 200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5169C (zh) 具有废墨吸收功能的墨盒
US69932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process cartridges to fit various types of printing machines
RU2411131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нтейнера для жидкости (варианты) и контейнер для жидкости
US6220701B1 (en) Ink cartridge and method of disassembling the same
JP2007326374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AU663456B2 (en) Insertable toner hopper sealing strip
KR100554075B1 (ko) 토너유출 방지를 위한 서랍식 밀봉틀과 이를 이용한 토너카트리지 밀봉방법
CN107111272B (zh) 盒、单元以及制备盒及单元的方法
CN103207550A (zh) 色粉盒密封组件
KR200346655Y1 (ko) 서랍식 밀봉수단을 구비한 토너카트리지
JP2013536769A (ja) 再生液体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液体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及び、液体カートリッジ
KR20080017936A (ko) 밀봉수단을 구비한 토너 카트리지
WO2012132036A1 (ja) 再生液体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及び液体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2001055201A (ja) 容器の製造方法、再使用方法、及び再使用可能な容器
JPH0994973A (ja)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370384A (ja) 液体収納容器及び該容器を用いる液体吐出記録装置
JP2005014437A (ja) インク袋、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10656589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cartridge attachable to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artridge
US8374524B2 (en) Retaining clip for printer cartridge
JP6425465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US20060198656A1 (en) Toner cartridge seal assembly
JP2005077751A (ja) カートリッジ
JPH11342622A (ja) 液体収納容器、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カートリッジ、液体収納容器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カートリッジの分解方法
KR100563807B1 (ko) 토너카트리지 씰
JP2003195722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分解方法、スペーサー、現像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再生され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再生された現像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