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2719B1 - 자동차의 전방차륜 탈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전방차륜 탈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2719B1
KR100552719B1 KR1020000079799A KR20000079799A KR100552719B1 KR 100552719 B1 KR100552719 B1 KR 100552719B1 KR 1020000079799 A KR1020000079799 A KR 1020000079799A KR 20000079799 A KR20000079799 A KR 20000079799A KR 100552719 B1 KR100552719 B1 KR 100552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collision
ecu
vehicle
offset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0608A (ko
Inventor
한상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9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2719B1/ko
Publication of KR20020050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30Increase in
    • B60B2900/331Safety or secur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13Means for detecting collision, impending collision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11Expansion of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방차륜 탈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체의 전방 좌우측부에 장착되어 차량의 충돌상태를 감지하도록 된 전방좌측 충돌감지센서(1) 및 전방우측 충돌감지센서(2)와, 이 전방좌우측 충돌감지센서(1,2)로부터 전달된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오프셋충돌인지를 판단하면서 에어백모듈(3)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도록 된 ECU(4;전자제어유니트)와, 상기 에어백모듈(3)이 작동되어 에어백이 전개되면서 상기 ECU(4)의 전기신호에 의해 오프셋충돌이 발생된 측의 전방차륜을 강제적으로 탈거시키도록 된 차륜탈거수단(20)으로 이루어져, 주행중 에어백이 전개될 정도의 충격력으로 오프셋충돌사고가 발생되면 ECU(4)가 차륜탈거수단(20)을 작동시켜 오프셋충돌이 발생된 차륜쪽의 전방차륜을 강제적으로 탈거시키게 되므로, 오프셋충돌후 차량의 계속적인 주행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2차적인 충돌사고가 발생되는 것이 미리 예방되면서 탑승자의 안전이 효과적으로 보호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전방차륜 탈거장치 및 방법{front wheel take away device and method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차륜 탈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차륜 탈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륜탈거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차륜 탈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및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방좌측 충돌감지센서 2 - 전방우측 충돌감지센서
3 - 에어백모듈 4 - ECU(전자제어유니트)
5 - 좌측륜 6 - 우측륜
7,8 - 좌우측 액슬허브 9,10 - 조립볼트
11,12 - 조립너트 20 - 차륜탈거수단
21 - 좌측륜 이탈판 22 - 우측륜 이탈판
23,24 - 압축스프링 25 - 좌측륜 점화스위치
26 - 우측륜 점화스위치 27,28 - 기폭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방차륜 탈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백이 작동될 수 있을 정도의 충격력을 발생시키는 오프셋(offset)충돌사고 발생시 전방차륜을 강제적으로 탈거시켜 탑승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전방차륜 탈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프셋(offset)충돌이란 랩충돌(lab clash)이라고도 하며 장애물에 대한 자동차 전면에 부분적인 충돌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오프셋충돌이 발생되면 차체의 파손은 물론이거니와 탑승자도 심한 부상을 당하게 되는데, 만약 오프셋충돌후 차량이 정지하지 않고 계속적인 주행을 하게 되면 2차적인 충돌사고가 발생하면서 탑승자의 안전이 위험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에어백이 전개될 정도의 충격력으로 오프셋충돌이 발생되면 차량의 전방차륜을 강제적으로 탈거시켜, 오프셋충돌후 차량의 계속적인 주행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2차적인 충돌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리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인해 탑승자의 안전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전방차륜 탈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방차륜 탈거장치는, 차체의 전방 좌우측부에 장착되어 차량의 충돌상태를 감지하도록 된 전방좌측 충돌감지센서 및 전방우측 충돌감지센서와, 이 전방좌우측 충돌감지센서로부터 전달된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오프셋충돌인지를 판단하면서 에어백모듈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도록 된 ECU(전자제어유니트)와, 상기 에어백모듈이 작동되어 에어백이 전개되면서 상기 ECU의 전기신호에 의해 오프셋충돌이 발생된 측의 전방차륜을 강제적으로 탈거시키도록 된 차륜탈거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전방차륜 탈거방법은, 충돌사고 발생시 전방좌우측 충돌감지센서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ECU가 분석하여 오프셋충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오프셋충돌이면서 에어백이 전개될 정도의 충격력이면 ECU의 제어신호에 의해 에어백모듈이 작동되면서 오프셋충돌이 발생된 측의 점화스위치가 온(on)되는 단계와, 오프셋충돌이 발생된 측의 점화스위치가 온(on)되면서 기폭제가 폭발되어 오프셋충돌이 발생된 측의 이탈판 및 차륜이 액슬허브로부터 동시에 탈거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차륜 탈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방차륜 탈거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전방 좌우측부에 장착되어 차량의 충돌상태를 감지하도록 된 전방좌측 충돌감지센서(1) 및 전방우측 충돌감지센서(2)와, 이 전방좌우측 충돌감지센서(1,2)로부터 전달된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오프셋충돌인지를 판단하면 서 에어백모듈(3; 도4에 도시됨)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도록 된 ECU(4;전자제어유니트)와, 상기 에어백모듈(3)이 작동되어 에어백이 전개되면서 상기 ECU(4)의 전기신호에 의해 오프셋충돌이 발생된 측의 전방차륜을 강제적으로 탈거시키도록 된 차륜탈거수단(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차륜탈거수단(20)은, 좌우측륜(5,6)과 좌우측 액슬허브(7,8)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좌우측륜(5,6)과 좌우측 액슬허브(7,8)를 관통하여 조립되는 복수개의 조립볼트(9,10) 및 조립너트(11,12)에 의해 결합되는 좌우측륜 이탈판(21,22)과, 이 좌우측륜 이탈판(21,22)과 좌우측 액슬허브(7,8)사이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좌우측륜 이탈판(21,22)을 좌우측륜(5,6)의 안쪽면으로 밀착시키도록 된 복수개의 압축스프링(23,24)과, 상기 좌우측 액슬허브(7,8)에서 조립볼트(9,10)의 관통부위에 도포됨과 더불어 상기 ECU(4)의 제어신호에 의해 좌우측륜 점화스위치(25,26)가 온(on)될 때 폭발되면서 압축스프링(23,24)의 탄성력으로 좌우측륜 이탈판(21,22) 및 좌우측륜(5,6)을 좌우측 액슬허브(7,8)로부터 동시에 탈거시키기 위해 상기 조립볼트(9,10)를 절단시키도록 된 기폭제(27,28)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좌우측륜 이탈판(21,22)의 결합구조는 도 3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좌우측륜(5,6)에는 복수개의 조립구멍(5a,6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우측륜(5,6)쪽을 향하는 좌우측 액슬허브(7,8)의 일면에는 복수개의 오목홈(7a,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륜(5,6)쪽을 향하는 좌우측륜 이탈 판(21,22)의 일면에는 복수개의 결합너트홈(21a,2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 액슬허브(7,8)에 형성된 오목홈(7a,8a)과 오목홈(7a,8a)사이에는 복수개의 스프링안착홈(7b,8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우측 액슬허브(7,8)쪽을 향하는 좌우측륜 이탈판(21,22)의 일면에도 복수개의 스프링안착홈(21b,22b)이 결합너트홈(21a,22a)의 사이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우측 액슬허브(7,8)에 형성된 오목홈(7a,8a)에는 충분한 양의 기폭제(27,28)가 봉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스프링(23,24)의 양단을 상기 좌우측 액슬허브(7,8)에 형성된 스프링안착홈(7b,8b)과 상기 좌우측륜 이탈판(21,22)에 형성된 스프링안착홈(21b,22b)으로 삽입시켜 양단을 지지시킨 다음, 다수개의 조립볼트(9,10)를 좌우측 액슬허브(7,8)에 형성된 오목홈(7a,8a)과 좌우측륜 이탈판(21,22)의 결합너트홈(21a,22a)으로 관통시킨 상태에서 결합너트(21c,22c)를 상기 조립볼트(9,10)에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좌우측 액슬허브(7,8)와 좌우측륜 이탈판(21,22)이 다수개의 압축스프링(23,24)에 의해 탄성지지되면서 서로 결합되게 된다.
이후, 상기 조립볼트(9,10)의 선단을 상기 좌우측륜(5,6)에 형성된 조립구멍(5a,6a)으로 관통시킨 상태에서 복수개의 조립너트(11,12)를 상기 조립볼트(9,10)에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좌우측륜(5,6)이 좌우측륜 이탈판(21,22)을 사이에 두고 상기 좌우측 액슬허브(7,8)와 단단히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전방차륜 탈거방법은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사고 발생시 전방좌우측 충돌감지센서(1,2)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ECU(4)가 분석하여 오프셋충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오프셋충돌이면서 에어백이 전개될 정도의 충격력이면 상기 ECU(4)의 제어신호에 의해 에어백모듈(3)이 작동되면서 오프셋충돌이 발생된 차륜의 점화스위치(25,26)가 온(on)되는 단계와, 오프셋충돌이 발생된 측의 점화스위치(25,26)가 온(on)되면서 기폭제(27,28)가 폭발되어 오프셋충돌이 발생된 차륜측의 이탈판(21,22) 및 차륜(5,6)이 액슬허브(7,8)로부터 동시에 탈거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ECU(4)에 의해 오프셋충돌사고 발생시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을 정도의 충격력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ECU(4)는 좌우측륜 점화스위치(25,26)가 오프(off)되도록 제어하게 되며, 이로인해 좌우측 액슬허브(7,8)에 봉입된 기폭제(27,28)는 폭발이 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좌우측륜 이탈판(21,22) 및 좌우측륜(5,6)을 좌우측 액슬허브(7,8)로부터 탈거되지 않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의 전방차륜을 탈거시키는 과정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자동차의 주행중 충돌사고가 발생되면 전방좌우측 충돌감지센서(1,2)가 이를 감지하여 ECU(4)로 전기신호를 전송하게 된다.(단계 31)
그리고, 상기 ECU(4)는 전방좌우측 충돌감지센서(1,2)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분석하여 오프셋충돌인지를 판단하게 되고(단계 32), 상기 ECU(4)가 오프셋충돌로 판단하게 되면 이와 동시에 에어백모듈(3)을 작동시키면서 에어백이 전개되었는가를 판별하게 된다.(단계 33)
그리고, 상기 ECU(4)에 의해 에어백이 전개되었다고 판별되면 상기 ECU(4)는 전방차륜중 좌측륜(1)쪽으로 오프셋충돌이 발생되었는지 또는 우측륜(2)쪽으로 오프셋충돌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ECU(4)가 좌측륜(1)쪽으로 오프셋충돌이 발생되었다고 판별하게 되면(단계 34), 상기 ECU(4)가 좌측륜 점화스위치(25)를 온(on)시키게 되며(단계 35), 이로인해 상기 좌측 허브액슬(7)상에 봉입된 기폭제(27)가 폭발되면서 조립볼트(9)의 소정부위가 절단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립볼트(9)가 절단되면 압축스프링(23)의 탄성력으로 인해 좌측륜 이탈판(21) 및 좌측륜(5)이 좌측 액슬허브(7)로부터 동시에 탈거되게 되며(단계 36), 이로인해 전방 좌측부의 차체가 지면과 접촉되면서 오프셋충돌후 차량이 계속적으로 주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프셋충돌후 차량의 계속적인 주행이 방지되면, 2차적인 충돌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되며, 이로인해 탑승자의 안전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ECU(4)가 전방차륜중 우측륜(2)쪽으로 오프셋충돌이 발생되었다고 판별하게 되면, 상기 ECU(4)가 우측륜 점화스위치(26)를 온(on)시키게 되며(단계 37), 이로인해 상기 우측 허브액슬(8)상에 봉입된 기폭제(28)가 폭발되면서 조립볼트(10)의 소정부위가 절단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립볼트(10)가 절단되면 압축스프링(24)의 탄성력으로 인해 우측륜 이탈판(22) 및 우측륜(6)이 우측 액슬허브(8)로부터 동시에 탈거되게 되며(단계 38), 이로인해 전방 우측부의 차체가 지면과 접촉되면서 오프셋충돌후 차량이 계속적으로 주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프셋충돌후 차량의 계속적인 주행이 방지되면, 2차적인 충돌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되며, 이로인해 탑승자의 안전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중 에어백이 전개될 정도의 충격력으로 오프셋충돌사고가 발생되면 ECU가 차륜탈거수단을 작동시켜 오프셋충돌이 발생된 차륜쪽의 전방차륜을 강제적으로 탈거시키게 되므로, 오프셋충돌후 차량의 계속적인 주행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2차적인 충돌사고가 발생되는 것이 미리 예방되면서 탑승자의 안전이 효과적으로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차체의 전방 좌우측부에 장착되어 차량의 충돌상태를 감지하도록 된 전방좌측 충돌감지센서(1) 및 전방우측 충돌감지센서(2)와, 이 전방좌우측 충돌감지센서(1,2)로부터 전달된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오프셋충돌인지를 판단하면서 에어백모듈(3)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도록 된 ECU(4;전자제어유니트)와, 상기 에어백모듈(3)이 작동되어 에어백이 전개되면서 상기 ECU(4)의 전기신호에 의해 오프셋충돌이 발생된 측의 전방차륜을 강제적으로 탈거시키도록 된 차륜탈거수단(20)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전방차륜 탈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탈거수단(20)이, 좌우측륜(5,6)과 좌우측 액슬허브(7,8)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좌우측륜(5,6)과 좌우측 액슬허브(7,8)를 관통하여 조립되는 복수개의 조립볼트(9,10) 및 조립너트(11,12)에 의해 결합되는 좌우측륜 이탈판(21,22)과, 이 좌우측륜 이탈판(21,22)과 좌우측 액슬허브(7,8)사이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좌우측륜 이탈판(21,22)을 좌우측륜(5,6)의 안쪽면으로 밀착시키도록 된 복수개의 압축스프링(23,24)과, 상기 좌우측 액슬허브(7,8)에서 조립볼트(9,10)의 관통부위에 봉입됨과 더불어 상기 ECU(4)의 제어신호에 의해 좌우측륜 점화스위치(25,26)가 온(on)될 때 폭발되면서 압축스프링(23,24)의 탄성력으로 좌우측륜 이탈판(21,22) 및 좌우측륜(5,6)을 좌우측 액슬허브(7,8)로부터 동시에 탈거시키기 위해 상기 조립볼트(9,10)를 절단시키도록 된 기폭제(27,2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방차륜 탈거장치.
  3. 충돌사고 발생시 전방좌우측 충돌감지센서(1,2)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ECU(4)가 분석하여 오프셋충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오프셋충돌이면서 에어백이 전개될 정도의 충격력이면 상기 ECU(4)의 제어신호에 의해 에어백모듈(3)이 작동되면서 오프셋충돌이 발생된 차륜의 점화스위치(25,26)가 온(on)되는 단계와, 오프셋충돌이 발생된 측의 점화스위치(25,26)가 온(on)되면서 기폭제(27,28)가 폭발되어 오프셋충돌이 발생된 차륜측의 이탈판(21,22) 및 차륜(5,6)이 액슬허브(7,8)로부터 동시에 탈거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전방차륜 탈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ECU(4)가 오프셋충돌사고 발생시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을 정도의 충격력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좌우측륜 점화스위치(25,26)를 오프(off)시키도록 제어하여 기폭제(27,28)의 폭발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방차륜 탈거방법.
KR1020000079799A 2000-12-21 2000-12-21 자동차의 전방차륜 탈거장치 및 방법 KR100552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799A KR100552719B1 (ko) 2000-12-21 2000-12-21 자동차의 전방차륜 탈거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799A KR100552719B1 (ko) 2000-12-21 2000-12-21 자동차의 전방차륜 탈거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608A KR20020050608A (ko) 2002-06-27
KR100552719B1 true KR100552719B1 (ko) 2006-02-20

Family

ID=27684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799A KR100552719B1 (ko) 2000-12-21 2000-12-21 자동차의 전방차륜 탈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27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9918B4 (de) 2002-12-20 2005-06-23 Rheinmetall Landsysteme Gmbh Minenschutz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Radfahrzeu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608A (ko) 200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3256B1 (en) Motor vehicle capable of preventing malfunction and interrupting high-voltage system when accident occurs
US20080269991A1 (en) Activation-Control Device for Occupant Crash-Protection Apparatus
KR20050037169A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JP4845885B2 (ja) 動力車両の拘束システム
KR100552719B1 (ko) 자동차의 전방차륜 탈거장치 및 방법
AU2002334283A1 (en) Collision Type Identifying Device
EP1438217A1 (en) Collision type identifying device
JP4258727B2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6131871B2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2519448B2 (ja) 自動車におけるエアバツグモジユ−ルの誤作動防止装置
KR100527929B1 (ko) 폐차의 폭발위험부품 통합 처리를 위한 폭발처리기
CN2380446Y (zh) 汽车辅助约束安全气囊装置
KR100202724B1 (ko) 충돌시 배터리 전원차단 장치
US8428826B1 (en) Method of actuating external active safety system for vehicle
KR20080008107A (ko) 에어백 장치와 그 제어방법
JP2003175797A (ja) 乗員保護システム
JP2002200952A (ja) 自動車の操舵系故障診断装置
US8444178B2 (en) Airbag apparatus
KR100505879B1 (ko) 무릎보호용 에어백 설치구조
JP3306230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0118515Y1 (ko) 차량의 에어 백 구동장치
KR20030000249A (ko)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의 폭발 처리장치
KR100622123B1 (ko)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100194440B1 (ko) 자동차의 추락시 제어회로
KR100680344B1 (ko) 폐차 에어백 처리용 와이어링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