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1095B1 - 부품이송용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차폐용 카바테이프 - Google Patents

부품이송용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차폐용 카바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1095B1
KR100551095B1 KR1020030025874A KR20030025874A KR100551095B1 KR 100551095 B1 KR100551095 B1 KR 100551095B1 KR 1020030025874 A KR1020030025874 A KR 1020030025874A KR 20030025874 A KR20030025874 A KR 20030025874A KR 100551095 B1 KR100551095 B1 KR 100551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base film
lining
adhes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5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4714A (ko
Inventor
안영하
박진성
안승배
Original Assignee
안영하
안승배
박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하, 안승배, 박진성 filed Critical 안영하
Publication of KR20030084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4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84Containers and magazines for components, e.g. tube-like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face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32B3/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face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secured to a flexible b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77Edge fe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 전기, 전자, 기전, 식품, 제약등의 업계에서 사용하는 부품 자동삽입기, 또는 자삽기라고 당업계에서 흔히 불리워지는 부품 자동식재기에 사용되는 것으로 부품이송용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을 차폐하는 카바테이프 9 가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첫번째 카바테이프는 (a) 하면에 대전방지재 또는 염료의 박층이 형성된 1 개의 선형의 베이스필름, (b) 첫번째 필름과 그 하면에 첫번째 비점착라이닝의 박층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면의 왼쪽 부위가 전기 베이스필름의 상면의 오른쪽 부위에 오른쪽으로 돌출되도록 열용착된 1 개의 첫번째 라이닝, (c) 두번째 필름과 그 하면에 두번째 비점착라이닝의 합지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하면의 오른쪽 부위가 상기 베이스필름의 상면의 왼쪽 부위에 왼쪽으로 돌출되도록 열용착된 1 개의 두번째 라이닝을 포괄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세번째, 네번째, 여섯번째, 그리고 여덟번째 카바테이프는 (a) 상하면에 대전방지재, 염료, 또는 이형제의 박층이 형성되어 있는 1 개의 선형의 베이스필름, (b)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면의 박층의 하면의 오른쪽 부위에 점착성, 비점착성 또는 그의 복합형의 첫번째 라이닝, (c)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면의 박층의 하면의 왼쪽 부위에 점착성, 비점착성 또는 그의 복합형의 두번째 라이닝을 포괄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두번째, 다섯번째, 그리고 아홉번째 카바테이프는 (a) 상면에 대전방지재, 염료, 또는 이형제의 박층이 형성되어 있는 1 개의 선형의 베이스필름, (b)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면의 오른쪽 부위에 점착성, 비점착성 또는 그의 조합형 및 복합형의 첫번째 라이닝, (c)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면의 왼쪽 부위에 점착성, 비점착성 또는 그의 조합형 및 복합형의 두번째 라이닝을 포괄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곱번째 카바테이프는 (a) 1 개의 선형의 베이스필름, (b)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면의 오른쪽 부위에 첫번째 비점착성라이닝, (c)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면의 왼쪽 부위에 두번째 비점착성라이닝을 포괄하여 구성된다. 이와같은 카바테이프의 구성에 의하여 내부에 부품이 포획되어 있는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에 상기 카바테이프를 덮어 밀착하여 가압점착 또는 열용착하여 부품을 이송한 후 상기 캐리어테이프로부터 상기 카바테이프를 떼어내면 전기 첫번째 및 두번째 라이닝의 각각의 하면과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이 서로 분리되면서 각각의 상기 부품들을 꺼낼 수 있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바테이프에 관한 발명이다.
캐리어, 카바, 테이프, 필름, 점착, 비점착, 핫멜트, 자삽기, 삽입기, 식재기

Description

부품이송용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차폐용 카바테이프{A Cover Tape to be Overlaid on a Carrier Tape for Carrying Parts therewith}
도 1은 도 2A의 횡단면을 갖는 본 발명의 첫번째 카바테이프의 실시예의 사이도;
도 2는 본 발명의 첫번째 카바테이프의 횡단면도로서,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의 차폐가 베이스필름의 상면의 우단 및 좌단에 합지하여 형성하는 비점착성의 첫번째 라이닝의 하면의 우측 및 비점착성의 두번째 라이닝의 하면의 좌측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실시예;
도 3은 도 4A의 횡단면을 갖는 본 발명의 두번째 카바테이프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두번째 카바테이프의 횡단면도로서,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의 차폐가 베이스필름의 하면의 부분에 합지하여 형성하는 점착성의 첫번째 샌드위치형 라이닝의 하면 및 점착성의 두번째 샌드위치형 라이닝의 하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세가지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세번째 카바테이프의 횡단면도로서,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의 차폐가 베이스필름의 하면에 박층을 형성하는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제의 하면의 부분에 합지하여 형성하는 첫번째 점착성라이닝의 하면 및 두번째 점착성라이닝의 하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두가지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네번째 카바테이프의 횡단면도로서,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의 차폐가 베이스필름의 하면에 박층을 형성하는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제의 하면의 부분에 합지하 형성하는 첫번째 비점착성라이닝의 하면 및 두번째 비점착성라이닝의 하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두가지 실시예;
도 7는 본 발명의 다섯번째 카바테이프의 횡단면도로서,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의 차폐가 베이스필름의 하면의 부분에 합지하여 형성하는 점착과 비점착층의 적층에 의한 첫번째 복합형라이닝의 하면 및 두번째 복합형라이닝의 하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두가지 실시예;
도 8는 본 발명의 여섯번째 카바테이프의 횡단면도로서,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의 차폐가 베이스필름의 하면에 박층을 형성하는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제의 하면의 부분에 합지하여 형성하는 점착과 비점착층의 적층에 의한 첫번째 복합형라이닝의 하면 및 두번째 복합형라이닝의 하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두가지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일곱번째 카바테이프의 횡단면도로서,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의 차폐가 베이스필름의 하면의 부분에 합지하여 형성하고 있는 첫번째 비점착성라이닝의 하면 및 두번째 비점착성라이닝의 하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두가지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여덟번째 카바테이프의 횡단면도로서,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의 차폐가 베이스필름의 하면에 박층을 형성하고 있는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제의 하면의 부분에 첫번째 비점착성라이닝의 하면 및 두번째 비점착성라이닝의 하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두가지 실시예;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아홉번째 카바테이프의 횡단면도로서,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의 차폐가 베이스필름의 하면의 부분에 합지하여 형성하고 있는 첫번째 점착성라이닝의 하면 및 두번째 점착성라이닝의 하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두가지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a,30b: 캐리어테이프;
31: 피견인공; 32a,32b: 직사각형포획구;
33a,33b: 부품; 40: 베이스필름;
41: 첫번째 필름; 42: 두번째 필름;
43a,43b: 첫번째 비점착라이닝; 44a,44b: 두번째 비점착라이닝;
47: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층; 50a: 베이스필름;
51a,51b: 첫번째 필름; 52a,52b: 두번째 필름;
54a,54b: 첫번째 하부점착라이닝; 55a,55b: 두번째 하부점착라이닝;
57a,57b: 첫번째 상부점착라이닝; 58a,58b: 두번째 상부점착라이닝;
60a,60b: 베이스필름 상면도포제; 61a: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제;
63a,63b: 첫번째 점착라이닝; 64a,64b: 두번째 점착라이닝;
71a,71b,71c: 첫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2a,72b,72c: 두번째 비점착성라이닝;
81a,81b: 첫번째 비점착상라이닝; 82a,82b: 첫번째 점착하라이닝;
83a,83b: 두번째 비점착상라이닝; 84a,84b: 두번째 점착하라이닝;
87a,87b: 첫번째 점착성라이닝; 88a: 두번째 점착성라이닝;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는 부품자동삽입기에 사용되는 카바테이프의 다양한 형상의 부품포획수단에 당해 부품을 삽입한 후에 그 상면을 차폐하는 캐리어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이나 여타의 판상 또는 그러한 부품이 배설되는 수단등에 다양한 기계적, 전기적, 전자적, 그리고 제약/식품관련 등의 부품을 자동 식재하는 공정은 특히 전자제품 제조분야에서 신뢰성이 높고 경제적인 대량생산수단의 하나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캐리어테이프는 그 내부에 전술한 부품을 포획하기 위하여 통상 종방향으로 다양한 형상의 부품포획수단이 배설된 카바테이프와 함께 바늘과 실처럼 사용되어 전기 부품포획수단에 포획된 각각의 부품이 캐리어테이프와 함께 자동이송되어 인쇄회로기판등에 부품을 식재하게 카바테이프의 하면에는 점착재로 된 점착성 라이닝이 그 종방향으로 그 하면에 좌우단에 층을 이루어 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부품을 포획시키면서 밀착가압하게 된다. 기관총의 탄띠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캐리어테이프의 종방향의 일단에는 전기 자동식재기로 끌어들이는 피견인수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카바테이프의 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먹여 대상부품이 이송되어야 할 자동식재기내의 일정위치로 이송되기 직전에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으로 부터 카바테이프를 연속적으로 뜯어내게 되면 캐리어테이프의 각각의 부품포획수단내의 부품들을 공압적으로 작동되는 흡입컵 또는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죠에 의하여 들어내어져서 궁극적으로 인쇄회로기판등에 부품이 자동식재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카바테이프의 기재는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에이트, 폴리플로필렌, 폴리스타이린, 염화폴리비닐, 나일론, 그리고 제약 캡슐이나 정제의 경우에는 폴리카보닛등이 사용되며, 그라비아 인쇄기 또는 나이프 도포기등을 사용하여 그 하면에 협폭의 띠 형상의 점착성 라이닝이 카바테이프의 횡방향으로 배설되어 있어 전기 점착성 라이닝의 하면이 전기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에 점착되며 캐리어테이프와 카바테이프의 사이에 포획되어 있는 부품들을 카바테이프를 뜯어내면서 순차적으로 발출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기존의 카바테이프의 제조공정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보면, 카바테이프의 폭의 수배의 폭을 갖는 베이스필름의 원단위에 전술한 점착성 라이닝의 폭의 2 배의 폭을 갖는 점착성의 물질을 그라비아 인쇄 로울러를 사용하여 전기 원단상에 제조하려는 카바테이프의 폭의 크기만큼의 폭주기로 도포하게 되는데 일단 이러한 공정이 이루어진 후에 카바테이프의 폭주기로 디스크 나이프로 인쇄된 점착성 라이닝의 중심선을 스릿팅을 하여 주게되는데 이러한 디스크 나이프의 횡방향으로의 배설간격이 정확히 폭주기로 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관계로 인하여 생산된 카바테이프의 좌우단의 점착성 라이닝의 각각의 폭의 크기가 동일하지 않게되는 불량이 발생하여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인쇄공정을 수행하는 기계와 슬릿팅공정을 수행하는 기계와의 거리가 있어 이러한 불량률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어 궁극적으로 카바테이프의 제조원가가 상승될 뿐 아니라 슬릿팅된 카바테이프 자체의 폭의 불균일성도 있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방안으로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 221,330 호, 안 승배, 그리고 한국특허출원 제 1998-0009322, 이토오 가즈미 외, 등에 명시된 바와 같이 제 카바테이프의 하면의 전면에 점착성층을 도포하고 좌우단의 점착성라이닝의 폭의 크기를 제외한 카바테이프의 폭의 크기 만큼의 폭을 갖는 별도의 차단필름을 덧대어 동일한 효과를 얻는 방안도 있으나 제조원가의 상승, 권취상 카바테이프의 종방향으로의 기재와 전기 차단필름간의 탈리, 그리고 그로인한 권취된 카바테이프 로울의 용적의 증가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기타의 방법은 전술한 중심부위에 도포한 후 건조 또는 경화후에 비점착성을 띠게 되는 액을 도포하는 방안등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카바테이프의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카바테이프의 제조원가를 낮추면서도 최소한도 기존의 카바테이프에 요구되는 성능, 즉 카바테이프의 권취시 및 권취후의 구조적 안정성의 확보 및 권취된 카바테이프 로울의 상하면의 먼지의 부착방지 등,을 유지 내지 개선하면서 점착층, 핫멜트로 대표되는 비점착층, 점착층과 비점착층의 복합형 및 협폭의 필름의 상하면에 박층의 점착층이 형성된 샌드위치형 라이닝들을 베이스필름의 상하면에 형성한 카바테이프군을 창안함을 기술적과제로 삼고 있으며, 아울러, 카바테이프의 베이스필름의 상면 또는 하면상의 좌우부분에 전술한 다양한 라이닝폭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의 제시도 부차적 기술적 과제의 하나로 삼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진보성의 하나는 점착성의 라이닝, 비점착성의 라이닝, 비점착상라이닝과 점착하라이닝이 적층된 복합형 라이닝, 그리고 협폭의 필름의 상하면에 상부점착라이닝과 하부점착라이닝으로 형성된 샌드위치형 라이닝들의 각각을 이형필름에 적층하여 카바테이프에 전사했을 때의 최종의 라이닝들의 폭과 동일하게 슬릿팅하여 이를 요구되는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상에 전사한 이후 상기 이형필름을 제거하여 제조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출원의 카바테이프들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도 2A의 횡단면을 갖는 본 발명의 첫번째 카바테이프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캐리어테이프 30a에는 그 종방향으로 직사각형포획구 32a가 배설되어 있고 한쪽끝에는 피견인공 31이 종방향으로 배설되어 있어 부품자동식재기에 먹일 때 견인 스프라켓등으로 이를 견인할 수 있게 된다. 부품 33a이 직각형포획구 32a에 각각 포획된 이후 도 2A의 횡단면도를 갖는 카바테이프를 캐리어테이프 30a의 상면에 덮어서 첫번째필름 41의 오른쪽 상면과 두번째필름 42의 왼쪽상면을 당해 캐리어테이프의 상면과 맞닿은 상황에서 하방으로 밀착하여 열용착하게 되면 본 카바테이프가 캐리어테이프 30a의 상면의 일부분에 용착되어 캐리어테이프 조립체가 기관총의 딴띠와 유사한 형상으로 완성되어 자동식재기에 먹일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첫번째 카바테이프의 횡단면도로서,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의 차폐가 베이스필름 40의 상면의 우단 및 좌단에 합지하여 형성하는 비점착성의 첫번째 라이닝 41,43a의 하면의 우측 및 비점착성의 두번째 라이닝 42,44a의 하면의 좌측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실시예이다. 도 2A의 횡단면도를 갖는 카바테이프는: (a) 유연한 고형 박판재로 되고, 그 종방향을 따라 그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1 개의 선형의 베이스필름 40; (b) (1) 유연한 고형 박판재로 되고, 그 종방향을 따라 그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1 개의 선형의 첫번째 필름 41, 그리고 (2) 비점착성의 재질로 되고 첫번째필름 41의 하면상에 합지하여 형성하는 첫번째 비점착라이닝 43a으로 구비되고, 첫번째 비점착라이닝 43a의 하면의 왼쪽 부위가 베이스필름 40의 종방향을 따라 베이스필름 40의 상면의 오른쪽 부위에 열용착되는 1 개의 첫번째 라이닝 41,43a; (c) (1) 유연한 고형 박판재로 되고, 그 종방향을 따라 그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1 개의 선형의 두번째 필름 42, 그리고 (2) 비점착성의 재질로 되고 두번째 필름 42의 하면상에 합지하여 형성하는 두번째 비점착라이닝 44a으로 구비되고, 두번째 비점착라이닝 44a의 하면의 오른쪽 부위가 베이스필름 40의 종방향을 따라 베이스필름 40의 상면의 왼쪽 부위에 열용착되는 1 개의 두번째 라이닝 42,44a; 그리고 (d) (1) 탄소, 금속, 금속산화물, 양이온, 음이온, 비이온, 그리고 고분자유기물을 포괄하는 도체중에서 선택된 1 개 이상의 물질로 된 대전방지제, 그리고 (2) 염료중의 어느 하나로 되고, 베이스필름 40의 종방향을 따라 하면상에 박층을 형성하는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층 47;으로 구성되는 카바테이프의 실시예이다. 내부에 부품이 포획되어 있는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에 본 실시예의 카바테이프를 덮고 밀착하여 열용착하면, 첫번째 비점착라이닝 43a의 하면의 오른쪽 부위와 두번째 비점착라이닝 44a의 하면의 왼쪽 부위의 각각이 이와 조합되는 캐리어테이프의 종방향을 따라 그 상면의 일정부위와 열용착되어 이와 본 실시예의 횡단면을 갖는 카바테이프 사이에 포획되어 있는 각각의 부품들이 그들이 의도된 장소로 이송되어 캐리어테이프로부터 본 카바테이프를 떼어내면 첫번째 비점착라이닝 43a의 하면의 오른쪽 부위와 두번째 비점착성라이닝 44a의 하면의 왼쪽 부위의 각각과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이 서로 분리되면서 부품들의 각각을 꺼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B는 본 첫번째 카바테이프의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로서, 도 2A의 첫번째 필름 41 및 두번째 필름 42의 하면의 일부분에 각기 첫번째 비점착라이닝 43a 및 두번째 비점착라이닝44a이 합지하여 형성된 실시예로서, 이 또한 본원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아울러 베이스필름 40의 하면의 일부분에만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층을 형성하는 것도 본원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도 3은 도 4A의 횡단면을 갖는 본 발명의 두번째 카바테이프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캐리어테이프 30b에는 그 종방향으로 직사각형포획구 32b가 배설되어 있고 본 캐리어테이프에도 역시 한쪽끝에는 피견인공 31이 종방향으로 배설되어 있어 부품자동식재기에 먹일 때 견인할 수 있게 된다. 부품 33b이 직사각형포획구 32b에 각각 포획된 이후 도 4A의 횡단면도를 갖는 카바테이프를 캐리어테이프 30b의 상면에 덮어서 첫번째 샌드위치형 점착라이닝 51a,54a,57a과 두번째 샌드위치형 점착라이닝 52a,55a,58a의 각각의 하면을 하방으로 밀착하여 가압점착하게 되면 본 카바테이프가 캐리어테이프 30b의 상면의 일부분에 점착되어 캐리어테이프 조립체가 기관총의 딴띠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형상으로 완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두번째 카바테이프의 횡단면도로서,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의 차폐가 첫번째 샌드위치형 점착라이닝의 하면 및 두번째 샌드위치형 점착라이닝의 하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세가지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의 횡단면도를 갖는 카바테이프는: (a) 유연한 고형 박판재로 되고, 그 종방향을 따라 그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1 개의 선형의 베이스필름 50a; (b) (1) 유연한 고형 박판재로 되고, 그 종방향을 따라 그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1 개의 선형의 첫번째 필름 51a, (2) 점착성의 재질로 되고 첫번째 필름 51a의 하면상에 박층을 합지하여 첫번째 하부점착라이닝 54a, 그리고 (3) 점착성의 재질로 되고 첫번째 필름 51a의 상면상에 합지하여 형성하는 첫번째 상부점착라이닝 57a으로 구비되어, 첫번째 상부점착라이닝 57a의 상면이 베이스필름 50a의 하면의 오른쪽 부위에 베이스필름 50a의 종방향을 따라 합지하여 첫번째 샌드위치형 점착라이닝 51a,54a,57a; (c) (1) 유연한 고형 박판재로 되고, 그 종방향을 따라 그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1 개의 선형의 두번째 필름 52a, (2) 점착성의 재질로 되고 두번째 필름 52a의 하면상에 박층을 형성하는 두번째 하부점착라이닝 55a, 그리고 (3) 점착성의 재질로 되고 두번째 필름 52a의 상면상에 합지하여 형성하는 두번째 상부점착라이닝 58a으로 구비되어, 두번째 상부점착라이닝 58a의 상면이 베이스필름 50a의 하면의 왼쪽 부위에 베이스필름 50a의 종방향을 따라 점착되는 두번째 샌드위치형 점착라이닝 52a,55a,58a; 그리고 (d) (1) 탄소, 금속, 금속산화물, 양이온, 음이온, 비이온, 그리고 고분자유기물을 포괄하는 도체중에서 선택된 1 개 이상의 물질로 된 대전방지제, (2) 염료, 그리고 (3) 이형제중의 어느 하나로 되고, 베이스필름 50a의 종방향을 따라 베이스필름 50a의 상면상에 박층을 형성하는 베이스필름 상면도포제 60a;로 구성되는 카바테이프의 횡단면도이다. 본 카바테이프와 면합되는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에 본 카바테이프를 덮어 가압점착하면, 첫번째 하부점착라이닝 54a의 하면과 두번째 하부점착라이닝 55a의 하면의 각각이 캐리어테이프의 종방향을 따라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의 일정부위와 점착되어 캐리어테이프와 카바테이프 사이에 포획되어 있는 각각의 상기 부품들이 그들이 의도된 장소로 이송되어 캐리어테이프로부터 본 카바테이프를 떼어내면 첫번째 하부점착라이닝 54a의 하면과 두번째 하부점착라이닝 55a의 하면의 각각과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이 서로 분리된다. 도 4B는 도 4A의 베이스필름 50a의 상면의 좌우단을 제외한 부분에만 베이스필름 상면도포제 60b가 박층을 형성하고 있는 카바테이프의 실시예이고, 도 4C는 도 4A 및 도 4B의 첫번째 및 두번째 샌드위치형 점착라이닝의 각각의 폭보다 작은 첫번째 샌드위치형 점착라이닝 51b,54b,57b 및 두번째 샌드위치형 점착라이닝 52b,55b,58b이 베이스필름 50a의 하면에 각기 점착되어 있는 두번째 카바테이프의 두번째 및 세번째 실시예의 횡단면도로서, 이들로 역시 본원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세번째 카바테이프의 횡단면도로서,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의 차폐가 베이스필름 50a의 하면에 박층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제 61a의 하면의 우단 및 좌단에 형성되어 있는 첫번째 점착라이닝 63a 의 하면 및 두번째 점착라이닝 64a의 하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두가지 실시예이다. 도 5A의 횡단면도를 갖는 카바테이프는: (a) 유연한 고형 박판재로 되고, 그 종방향을 따라 그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1 개의 선형의 베이스필름 50a; (b)(1) 탄소, 금속, 금속산화물, 양이온, 음이온, 비이온, 그리고 고분자유기물을 포괄하는 도체중에서 선택된 1 개 이상의 물질로 된 대전방지제, 그리고 (2) 염료중의 어느 하나로 되고, 베이스필름 50a의 종방향을 따라 그 하면상에 박층을 형성하고 있는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제 61a; (c) 점착성 재질로 되고, 베이스필름 50a의 종방향을 따라,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제 61a의 하면의 오른쪽 부위에 합지하여 이루고 있는 첫번째 점착라이닝 63a; (d) 점착성 재질로 되고, 베이스필름 50a의 종방향을 따라,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제 61a의 하면의 왼쪽 부위에 합지하여 이루고 있는 두번째 점착라이닝 64a; 그리고 (e) (1) 탄소, 금속, 금속산화물, 양이온, 음이온, 비이온, 그리고 고분자유기물을 포괄하는 도체중에서 선택된 1 개 이상의 물질로 된 대전방지제, (2) 염료, 그리고 (3) 이형제중의 어느 하나로 되고, 베이스필름 50a의 종방향을 따라 베이스필름 50a의 상면상에 베이스필름 상면도포제 60a가 박층을 형성하고 있는 카바테이프의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횡단면을 갖는 카바테이프는 내부에 부품이 포획되어 있는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에 가압점착되어, 첫번째 점착라이닝 63a의 하면과 두번째 점착라이닝 64a의 하면의 각각이 캐리어테이프의 종방향을 따라 그 상면의 일정부위와 점착되어 캐리어테이프와 카바테이프 사이에 포획되어 있는 각각의 부품들이 그들이 의도된 장소로 이송되어 캐리어테이프로부터 본 카바테이프를 떼어내면 첫번째 점착라이닝 63a의 하면과 두번째 점착라이닝 64a의 하면의 각각과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이 서로 분리되면서 상기 부품들의 각각을 꺼낼 수 있도록 되는 카바테이프이다.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점착라이닝 63b 및 두번째 점착라이닝 64b이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제 61a의 하면의 우단이 아닌 오른쪽 부위에 그리고/또는 좌단이 아닌 왼쪽 부위에 각기 합지하여 형성하는 것도 본원의 청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고,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제 61a 및 베이스필름 상면도포제 60a의 각각이 베이스필름 50a의 하면 및 상면의 일부분에만 박층이 형성된 카바테이프도 본원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네번째 카바테이프의 횡단면도로서,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의 차폐가 첫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1a,71b의 하면 및 두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2a,72b의 각각의 하면과 본 네번째 카바테이프와 면합되는 캐리어테이프의 상면간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두가지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의 횡단면도를 갖는 카바테이프는: (a)유연한 고형 박판재로 되고, 그 종방향을 따라 그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1 개의 선형의 베이스필름 50a; (b) (1) 탄소, 금속, 금속산화물, 양이온, 음이온, 비이온, 그리고 고분자유기물을 포괄하는 도체중에서 선택된 1 개 이상의 물질로 된 대전방지제, 그리고 (2) 염료중의 어느 하나로 되고, 베이스필름 50a의 종방향을 따라 그 하면상에 박층을 형성하는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제 61a; (c) 비점착성 재질로 되고, 베이스필름 50a의 종방향을 따라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제 61a의 하면의 우단을 약간 제외한 오른쪽 부위에 합지하여 이루는 첫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1a; (d) 비점착성 재질로 되고, 베이스필름 50a의 종방향을 따라,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제 61a의 하면의 좌단을 약간 제외한 왼쪽 부위에 합지하여 이루는 두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2a; 그리고 (e) (1) 탄소, 금속, 금속산화물, 양이온, 음이온, 비이온, 그리고 고분자유기물을 포괄하는 도체중에서 선택된 1 개 이상의 물질로 된 대전방지제, 그리고 (2) 염료중의 어느 하나로 되고, 베이스필름 50a의 종방향을 따라 그 상면상에 박층을 형성하는 베이스필름 상면도포재 60a;로 구성되는 카바테이프이다. 본 카바테이프와 면합되는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에 본 카바테이프를 덮어 가압열용착하면, 첫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1a의 하면과 두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2a의 하면의 각각이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종방향을 따라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의 일정부위와 용착되어, 상기 캐리어테이프와 본 카바테이프 사이에 포획되어 있는 각각의 부품들이 그들이 의도된 장소로 이송되어 상기 캐리어테이프로부터 본 카바테이프를 떼어내면 첫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1a의 하면과 두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2a의 하면의 각각과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이 서로 분리되면서 부품들의 각각을 꺼낼 수 있도록 된다. 도 6B의 횡단면도를 갖는 네번재 카바테이프의 두번째 실시예는 첫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1a과 두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2a의 각각은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제 61a의 우단부위와 좌단부위에 합지하여 형성하고 있는 경우이며, 첫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1a,71b; 그리고 두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2a의 각각은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제 61a의 하면의 중심부위와 오른쪽부위; 그리고 중심부위와 왼쪽부위에 박층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도 본원의 청구범위에 속하며 본원의 두번째 내지 아홉번째 카바테이프의 제 첫번째 및 두번째 라이닝들의 각각도 베이스필름 또는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재의 하면의 중심부위에 박층을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이도 역시 본원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섯번째 카바테이프의 횡단면도로서, 본 카바테이프와 면합되는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의 차폐가 베이스필름 50a의 하면에 박층을 형성하는 점착층과 비점착층의 적층에 의한 첫번째 복합형라이닝 81a,82a; 81b,82b의 하면 및 두번째 복합형라이닝 83a,84a; 83b,84b의 하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두가지 실시예이다. 도 7A의 카바테이프는: (a) 유연한 고형 박판재로 되고, 그 종방향을 따라 그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1 개의 선형의 베이스필름 50a; (b) (1) 비점착성 재질로 된 첫번째 비점착상라이닝 81a, 그리고 (2) 첫번째 비점착상라이닝 81a의 종방향을 따라 그 하면상에 합지하여 형성하는 첫번째 점착하라이닝 82a으로 구비되고, 베이스필름 50a의 종방향을 따라 그 하면의 오른쪽 부위에 합지하여 형성하는 첫번째 복합형라이닝 81a,82a; (c) (1) 비점착성 재질로 된 두번째 비점착상라이닝 83a, 그리고 (2) 두번째 비점착상라이닝 83a의 종방향을 따라 그 하면상에 합지하여 형성하는 두번째 점착하라이닝 84a으로 구비되고, 베이스필름 50a의 종방향을 따라 그 하면의 왼쪽 부위에 덧층을 형성하는 두번째 복합형라이닝 83a,84a; 그리고 (d) (1) 탄소, 금속, 금속산화물, 양이온, 음이온, 비이온, 그리고 고분자유기물을 포괄하는 도체중에서 선택된 1 개 이상의 물질로 된 대전방지제, (2) 염료, 그리고 (3)이형제중의 어느 하나로 되고, 베이스필름 50a의 종방향을 따라 그 상면상에 박층을 형성하는 베이스필름 상면도포제 60a;로 구성되는 카바테이프이다. 본 카바테이프와 면합되는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에 본 카바테이프를 덮어 가압점착하면, 첫번째 점착하라이닝 82a의 하면과 두번째 점착하라이닝 84a의 하면의 각각이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종방향을 따라 그 상면의 일정부위와 점착되어 전기 캐리어테이프와 본 카바테이프 사이에 포획되어 있는 각각의 상기 부품들이 그들이 의도된 장소로 이송되어 상기 캐리어테이프로부터 본 카바테이프를 떼어내면 상기 첫번째 복합형라이닝 81a,82a의 하면과 상기 두번째 복합형라이닝 83a,84a의 하면의 각각과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이 서로 분리되면서 부품들의 각각을 꺼낼 수 있도록 된다. 한편 도 7A의 카바테이프의 변형으로서, 도 7B의 베이스필름 50a의 하면에 합지하여 형성하고 있는 첫번째 복합형라이닝 81b,82b과 두번째 복합형라이닝 83b,84b의 각각은 역시 본 실시예의 횡단면도에서도 각기 우단을 제외한 오른쪽부위와 좌단을 제외한 왼쪽부위에 덧층이 형성되도록 실시할 수도 있고, 또한 베이스필름의 상면의 일부분에만 상기 베이스필름 상면도포제의 박층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원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여기서 각각의 첫번째 점착하라이닝 82a,82b 및 두번째 점착하라이닝 84a,84b의 폭은 각기 첫번째 비점착상라이닝 81a,81b 및 두번째 비점착상라이닝 83a,83b의 폭보다 작거나 크게 실시할 수도 있으며 역시 이도 또한 본원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여섯번째 카바테이프의 횡단면도로서,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의 차폐가 베이스필름 50a의 하면에 박층을 형성하고 있는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제 61a의 하면의 우단 및 좌단에 합지하여 형성하는 점착층과 비점착층의 적층에 의한 첫번째 복합형라이닝 81a,82a;81b,82b의 하면 및 두번째 복합형라이닝 83a,84a;83b,84b의 하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두가지 실시예를 도시하고 잇다. 도 8A의 카바테이프는: (a) 유연한 고형 박판재로 되고, 그 종방향을 따라 그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1 개의 선형의 베이스필름 50a; (b) (1) 탄소, 금속, 금속산화물, 양이온, 음이온, 비이온, 그리고 고분자유기물을 포괄하는 도체중에서 선택된 1 개 이상의 물질로 된 대전방지제, 그리고 (2) 염료중의 어느 하나로 되고, 베이스필름 50a의 종방향을 따라 그 하면상에 박층을 형성하는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제 61a; (c) (1) 비점착성 재질로 된 첫번째 비점착상라이닝 81a, 그리고 (2) 첫번째 비점착상라이닝 81a의 종방향을 따라 그 하면상에 합지하여 형성하는 첫번째 점착하라이닝 82a으로 구비되고, 베이스필름 50a의 종방향을 따라,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제 61a의 하면의 오른쪽 부위에 합지하여 이루는 첫번째 복합형라이닝 81a,82a; (d) (1) 비점착성 재질로 된 두번째 비점착상라이닝 83a, 그리고 (2) 두번째 비점착하라이닝 83a의 종방향을 따라 그 하면상에 박층을 형성하는 두번째 점착하라이닝 84a으로 구비되고, 베이스필름 50a의 종방향을 따라,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제 61a의 하면의 왼쪽 부위에 합지하여 이루는 두번째 복합형라이닝 83a,84a; 그리고 (e) (1) 탄소, 금속, 금속산화물, 양이온, 음이온, 비이온, 그리고 고분자유기물을 포괄하는 도체중에서 선택된 1 개 이상의 물질로 된 대전방지제, (2) 염료, 그리고 (3) 이형제중의 어느 하나로 되고, 베이스필름 50a의 종방향을 따라 그 상면상에 합지하여 형성하는 베이스필름 상면도포제 60a;로 구성되어 있다. 본 카바테이프와 면합되는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에 본 카바테이프를 덮어 가압점착하면, 첫번째 점착하라이닝 82a의 하면과 두번째 점착하라이닝 84a의 하면의 각각이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종방향을 따라 그 상면의 일정부위와 점착되어 상기 캐리어테이프와 본 카바테이프 사이에 포획되어 있는 각각의 부품들이 그들이 의도된 장소로 이송되어 상기 캐리어테이프로부터 본 카바테이프를 떼어내면 첫번째 복합형라이닝 81a,82a의 하면과 두번째 복합형라이닝 83a,84a의 하면의 각각과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이 서로 분리되면서 각각의 부품들을 꺼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B의 카바테이프는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재 61a의 하면에 각기 우단을 제외한 오른쪽부위와 좌단을 제외한 왼쪽부위에 합지하여 형성하고 있는 첫번째 복합형라이닝 81b,82b과 두번째 복합형라이닝 83b,84b을 도시하고 있으며, 실시예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베이스필름 50a의 상면의 일부분에만 상기 베이스필름 상면도포제의 박층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며, 다섯번째 카바테이프에서와 같이 각각의 첫번째 점착하라이닝 82a,82b 및 두번째 점착하라이닝 84a,84b의 폭은 각기 첫번째 비점착상라이닝 81a,81b 및 두번째 비점착상라이닝 83a,83b의 폭보다 작거나 크게 실시할 수도 있으며 역시 이도 본원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곱번째 카바테이프의 횡단면도로서, 본 카바테이프에 의한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의 차폐가 베이스필름 50a의 하면상의 우단 및 좌단에 각기 합지하여 형성하는 첫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1c의 하면 및 두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2c의 하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두가지 실시예이다. 본 두가지 실시예중, 도 9A는 부품이송용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차폐용 카바테이프로서 (a) 유연한 고형 박판재로 되고, 그 종방향을 따라 그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1 개의 선형의 베이스필름 50a; (b) 비점착성 재질로 되고, 베이스필름 50a의 종방향을 따라 그 하면의 오른쪽 부위에 합지하여 형성하는 첫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1c; 그리고 (c)비점착성 재질로 되고, 베이스필름 50a의 종방향을 따라 그 하면의 왼쪽 부위에 합지하여 형성하는 두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2c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카바테이프와 면합되는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에 본 카바테이프를 덮어 가압열용착하면, 첫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1c의 하면과 두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2c의 하면의 각각이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종방향을 따라 그 상면의 일정부위와 열용착되어 상기 캐리어테이프와 본 카바테이프 사이에 포획되어 있는 각각의 부품들이 그들이 의도된 장소로 이송되어 상기 캐리어테이프로부터 본 카바테이프를 떼어내면 첫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1c의 하면과 두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2c의 하면의 각각과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이 서로 분리되면서 부품들의 각각을 꺼낼 수 있도록 된다. 한편 도 9B의 횡단면을 갖는 카바테이프는 베이스필름 50a의 하면의 우단을 제외한 오른쪽 부위에 그리고 좌단을 제외한 왼쪽 부위에 베이스필름 50a의 종방향을 따라 각기 첫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1d 그리고 두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2d가 합지하여 형성하고 있는 카바테이프의 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역시 본원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여덟번째 카바테이프의 횡단면도로서,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의 차폐가 베이스필름 50a의 하면에 박층을 형성하고 있는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제 61a의 하면의 우단 및 좌단에 각기 합지하여 형성하고 있는 첫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1c,71d의 하면 및 두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2c,72d의 하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두가지 실시예로서, 도 10A의 횡단면을 갖는 카바테이프는: (a) 유연한 고형 박판재로 되고, 그 종방향을 따라 그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1 개의 선형의 베이스필름 50a; (b) (1) 탄소, 금속, 금속산화물, 양이온, 음이온, 비이온, 그리고 고분자유기물을 포괄하는 도체중에서 선택된 1 개 이상의 물질로 된 대전방지제, 그리고 (2) 염료중의 어느 하나로 되고, 베이스필름 50a의 종방향을 따라 그 하면상에 박층을 형성하는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제 61a; (c) 비점착성 재질로 되고, 베이스필름 50a의 종방향을 따라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제 61a의 하면의 오른쪽 부위에 합지하여 형성하는 첫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1c; (d) 비점착성 재질로 되고, 베이스필름 50a의 종방향을 따라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제 61a의 하면의 왼쪽 부위에 합지하여 형성하는 두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2c; 그리고 (e) (1) 탄소, 금속, 금속산화물, 양이온, 음이온, 비이온, 그리고 고분자유기물을 포괄하는 도체중에서 선택된 1 개 이상의 물질로 된 대전방지제, (2) 염료, 그리고 (3) 이형재중의 어느 하나로 되고, 베이스필름 50a의 종방향을 따라 그 상면상에 박층을 형성하는 베이스필름 상면도포제 60a;로 구성되어 있다.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에 본 카바테이프를 덮어 가압열용착하면, 첫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1c의 하면과 두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2c의 하면의 각각이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종방향을 따라 그 상면의 일정부위와 용착되어 상기 캐리어테이프와 본 카바테이프 사이에 포획되어 있는 각각의 부품들이 이송되어 상기 캐리어테이프로부터 본 카바테이프를 떼어내면 첫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1c의 하면과 두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2c의 하면의 각각과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이 서로 분리되면서 부품들의 각각을 꺼낼 수 있도록 된다. 도 10B에는 첫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1d과 두번째 비점착성라이닝 72d은 각기 베이스필름 하면도포제 61a의 하면의 우단을 제외한 오른쪽 하면, 그리고 좌단을 제외한 왼쪽 하면에 박층을 형성하고 있는 두번째 실시예이다.
마지막으로, 도 11은 본 발명의 아홉번째 카바테이프의 횡단면도로서, 본 횡단면도를 갖는 카바테이프에 의한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의 차폐가 베이스필름 50a의 하면의 우단 및 좌단부위에 합지하여 형성하고 있는 첫번째 점착성라이닝 87a,87b의 하면 및 두번째 점착성라이닝 88a의 하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두가지 실시예이다. 첫번째 실시예의 횡단면도인 도 11A는: (a) 유연한 고형 박판재로 되고, 그 종방향을 따라 그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1 개의 선형의 베이스필름 50a; (b) (1) 탄소, 금속, 금속산화물, 양이온, 음이온, 비이온, 그리고 고분자유기물을 포괄하는 도체중에서 선택된 1 개 이상의 물질로 된 대전방지제, (2) 염료, 그리고 (3) 이형재중의 어느 하나로 되고, 베이스필름 50a의 종방향을 따라 그 상면상에 박층을 형성하는 베이스필름 상면도포제 60a; (c) 점착성 재질로 되고, 베이스필름 50a의 종방향을 따라 그 하면의 우단을 제외한 오른쪽 부위에 합지하여 형성하는 첫번째 점착성라이닝 87a; 그리고 (d) 점착성 재질로 되고, 베이스필름 50a의 종방향을 따라 그 하면의 왼쪽 부위에 합지하여 형성하는 두번째 점착성라이닝 88a;으로 구성된다.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에 본 카바테이프를 덮어 가압점착하면, 첫번째 점착성라이닝 87a의 하면과 두번째 점착성라이닝 88a의 하면의 각각이 캐리어테이프의 종방향을 따라 그 상면의 일정부위와 합지되어 상기 캐리어테이프와 본 카바테이프 사이에 포획되어 있는 각각의 부품들이 그들이 의도된 장소로 이송되어 상기 캐리어테이프로부터 본 카바테이프를 떼어내면 첫번째 점착성라이닝 87a의 하면과 두번째 점착성라이닝 88a의 하면의 각각과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이 서로 분리되면서 각각의 부품들을 꺼낼 수 있게 된다. 도 11B의 실시예는 두번째 점착성라이닝 88b이 베이스필름 50a의 하면의 우단을 제외한 오른쪽부위에 박층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카바테이프를 사용하게 되면 제품자체에 몇가지 사전 공정이 요구되는 기존의 카바테이프 대신 제품자체에 요구되는 성능의 구현수단을 직접 최종치수에 의거하여 사전에 준비하여 이를 베이스필름을 기저로 한 기재에 막바로 전사함으로써 동일한 카바테이프의 길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제조원가가 대폭적으로 절감되고 카바테이프 로울의 외곽치수도 줄이고 경량화하여 취급비용도 줄이며, 포장비 및 창고비를 비롯하여 운송비용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기존의 카바테이프의 라이닝의 도포과정에 과도한 용제의 사용에 기인한 환경보호규제치의 침해가능성을 또한 배제할 수 있으며, 상당한 용적을 갖는 별도의 코우팅기를 사용함이 없이 부품자동식재기에 부속장치를 부가함으로써 카바테이프의 라이닝재질을 코우팅 또는 별도의 이형필름에 의한 첫번째 및 두번째 라이닝의 정확한 폭치수를 갖는 라이닝 원소재를 별도로 준비하여 전사시킬 수 있어 제품의 불량률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점착성의 홑 라이닝, 비점착성의 홑 라이닝, 비점착층과 점착층의 조합형라이닝, 점착성의 샌드위치형라이닝들의 아홉가지 카바테이프의 몇가지 실시예를 서술함으로써 당업자가 전기 실시예들을 인지한 후에 전술한 다양한 형상의 첫번째 및 두번째 라이닝, 그리고 전기 첫번째 및 두번째 라이닝의 중간에 1 개 이상의 세번째 라이닝의 다양한 그룹을 포함하여 이들의 각각을 개조 및 변형을 하여 본 발명출원서에 제시된 특정 실시예로 부터 자명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들을 포괄하여 다음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로 한다.

Claims (9)

  1. 삭제
  2. 부품이송용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차폐용 카바테이프가:
    (a) 유연한 고형 박판재로 되고, 그 종방향을 따라 그 횡방향으로 길고 직사각형인 횡단면을 갖는 1 개의 선형의 베이스필름;
    (b) (1) 유연한 고형 박판재로 되고, 그 종방향을 따라 그 횡방향으로 길고 직사각형인 횡단면을 갖는 1 개의 선형의 첫번째 필름, (2) 점착성의 재질로 되고 상기 첫번째 필름의 하면상에 박층을 형성하는 첫번째 하부점착라이닝, 그리고 (3) 점착성의 재질로 되고 전기 첫번째 필름의 상면상에 박층을 형성하는 첫번째 상부점착라이닝을 포괄하여 구비되어, 전기 첫번째 상부점착라이닝의 상면이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면의 오른쪽 부위에 전기 베이스필름의 종방향을 따라 합지되는 첫번째 샌드위치형 점착라이닝;
    (c) (1) 유연한 고형 박판재로 되고, 그 종방향을 따라 그 횡방향으로 길고 직사각형인 횡단면을 갖는 1 개의 선형의 두번째 필름, (2) 점착성의 재질로 되고 상기 두번째 필름의 하면상에 박층을 형성하는 두번째 하부점착라이닝, 그리고 (3) 점착성의 재질로 되고 상기 두번째 필름의 상면상에 박층을 형성하는 두번째 상부점착라이닝을 포괄하여 구비되어, 상기 두번째 상부점착라이닝의 상면이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면의 왼쪽 부위에 상기 베이스필름의 종방향을 따라 합지되는 두번째 샌드위치형 점착라이닝; 그리고
    (d) (1) 탄소, 금속, 금속산화물, 양이온, 음이온, 비이온, 그리고 고분자유기물을 포괄하는 도체중에서 선택된 1 개 이상의 물질로 된 대전방지제, (2) 염료, 그리고 (3) 이형제중의 어느 하나로 되고, 상기 베이스필름의 종방향을 따라 상기베이스필름의 상면상에 박층을 형성하는 베이스필름 상면도포제;를 포괄하여 구성되어, 그 내부에 부품이 포획되어 있는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에 상기 카바테이프를 덮어 밀착하여 가압점착하면, 상기 첫번째 하부점착라이닝의 하면과 상기 두번째 하부점착라이닝의 하면의 각각이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종방향을 따라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의 일정부위와 점착되어 상기 캐리어테이프와 카바테이프 사이에 포획되어 있는 각각의 상기 부품들이 그들이 의도된 장소로 이송되어 상기 캐리어테이프로부터 상기 카바테이프를 떼어내면 상기 첫번째 샌드위치형 점착라이닝의 하면과 상기 두번째 샌드위치형 점착라이닝의 하면의 각각과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이 서로 분리되면서 상기 부품들의 각각을 꺼낼 수 있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이송용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차폐용 카바테이프.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30025874A 2002-04-23 2003-04-23 부품이송용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차폐용 카바테이프 KR100551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22304 2002-04-23
KR1020020022304 2002-04-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949A Division KR100615060B1 (ko) 2005-10-14 2005-10-14 부품이송용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차폐용 카바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714A KR20030084714A (ko) 2003-11-01
KR100551095B1 true KR100551095B1 (ko) 2006-02-09

Family

ID=29208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5874A KR100551095B1 (ko) 2002-04-23 2003-04-23 부품이송용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차폐용 카바테이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30198785A1 (ko)
KR (1) KR1005510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086B1 (ko) * 2006-04-12 2007-11-19 안승배 전자 부품 이송용 커버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AT511681B1 (de) * 2011-06-30 2015-05-15 Alexander Mag Wieser Verfahren zum partiellen einfärben von filmen
USD871233S1 (en) * 2018-02-12 2019-12-31 Advantek, Inc. Carrier tape
USD876963S1 (en) * 2018-03-30 2020-03-03 Advantek, Inc. Carrier tap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3412A (ko) * 1997-06-25 1999-01-15 구형우 캐리어테이프용 도전 열접착테이프
JPH11154796A (ja) * 1997-11-20 1999-06-08 Shin Etsu Polymer Co Ltd トップテープ
KR19990062658A (ko) * 1997-12-01 1999-07-26 쇼지 고메이 칩 운송용 커버 테이프 및 밀봉 구조체
KR19990067555A (ko) * 1995-11-22 1999-08-25 엔다 나오또 전자 부품 포장용 커버 테잎
JP2001301819A (ja) * 2000-04-27 2001-10-31 Achilles Corp 導電性カバーテープ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6621A (en) * 1995-09-15 1998-12-0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mponent carrier tape having static dissipative properties
US5670254A (en) * 1995-09-29 1997-09-23 Brady Precision Tape Co. Cover tape for surface mount device packag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7555A (ko) * 1995-11-22 1999-08-25 엔다 나오또 전자 부품 포장용 커버 테잎
KR19990003412A (ko) * 1997-06-25 1999-01-15 구형우 캐리어테이프용 도전 열접착테이프
JPH11154796A (ja) * 1997-11-20 1999-06-08 Shin Etsu Polymer Co Ltd トップテープ
KR19990062658A (ko) * 1997-12-01 1999-07-26 쇼지 고메이 칩 운송용 커버 테이프 및 밀봉 구조체
JP2001301819A (ja) * 2000-04-27 2001-10-31 Achilles Corp 導電性カバーテー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98785A1 (en) 2003-10-23
KR20030084714A (ko) 200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910163T2 (de) Verpackung mit wiederverschliessbarem Verschluss
CA1265032A (en) Easily breakable sticking material
US5846621A (en) Component carrier tape having static dissipative properties
CA1313493C (en) Method for making selectively metallized microwave heating packages
RU2460646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гибкого упаковочного ламината
KR100457874B1 (ko) 사이드가젯포대및그제조법
US5120590A (en) Protected conductive foil and procedure for protecting an electrodeposited metallic foil during further processing
MXPA01006248A (es) Empaque que tiene un cierre de extremo resellable y metodo para la elaboracion del mismo.
US5167997A (en) Protected conductive foil assemblage and procedure for preparing same using static electrical forces
US20070151213A1 (en) Methods for making temporary electronic component-carrying tapes with weakened areas
EP1535729B1 (en) Laminated material, process for producing laminated material, method of heat sealing laminated material and packaging container
KR100551095B1 (ko) 부품이송용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차폐용 카바테이프
JPH03256856A (ja) 配線回路基板包装体、および、配線回路基板包装体からの配線回路基板取出し方法と装置
KR100615060B1 (ko) 부품이송용 캐리어테이프의 상면차폐용 카바테이프
JPH02307296A (ja) 保護された伝導フオイル及び処理中の電着金属フオイルを保護するための処理方法
US6544629B1 (en) Food grade laminate
EP0535868A1 (en) Improved protected conductive foil assemblage and procedure for preparing same using static electrical forces
US6521322B1 (en) Food package insert
EP1160168B1 (en) Dustproof seal strip and adhesive system
US20050037182A1 (en) Separating plate-composite component for producing printed circuit board components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component of this type
DE4018458A1 (de) Aufklebbare tasche
EP2011104A1 (en) Bottle label
JP2548486Y2 (ja) ガムテープ
JP3751416B2 (ja) 基板のラミネート方法およびラミネータ
US20020197433A1 (en) Component for use in manufacture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lamin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