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9882B1 -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9882B1
KR100549882B1 KR20037003696A KR20037003696A KR100549882B1 KR 100549882 B1 KR100549882 B1 KR 100549882B1 KR 20037003696 A KR20037003696 A KR 20037003696A KR 20037003696 A KR20037003696 A KR 20037003696A KR 100549882 B1 KR100549882 B1 KR 100549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apparatus
mobile station
modulation
dedicated pilot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7003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6783A (ko
Inventor
하시모토가즈나리
후타기사다키
미요시겐이치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6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6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 H04L1/003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evaluation of received explicit sign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기지국 장치에서, 회선 추정에 이용되고 있는 기존의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는 이외에, 복수의 변조 방식 각각에 대하여 적응 변조를 행하기 위한 MCS 파일럿 신호를 코드 다중하여 송신하고, 이동국 장치는, 수신 신호로부터 코드 다중된 각 MCS 파일럿 신호를 역확산하여 취출하고, 각 MCS 파일럿 신호에 대하여 기지 심볼 패턴과 비교하고, 일치하는 MCS 파일럿 신호를 이동국 수신 결과로서 기지국 장치에 보고하며, 기지국 장치는, 이동국 장치로부터의 이동국 수신 결과의 보고를 받아 최대 변조 다치수의 변조 방식을 다운 링크 신호에 대하여 선택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무선 자원을 낭비하지 않고, 정확하고 용이하게 변조 방식을 전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STATION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패킷의 스케쥴링 방법에 관해서는,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 제 3 세대 이동 시스템용 기술 사양의 표준화 단체)에서의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에 있어서, 적응 변조의 선택 방법과 동시에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3GPP에서의 기술 보고서(3GTR V0.1.0)의 "12.3.5 패킷 스케쥴러(Packet Scheduler)"에는, 무선 회선상에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패킷으로서 받아들였을 때의 패킷 스케쥴링에 관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이동국측에서 CIR(Carrier to Interferer Ratio) 또는 SIR(Signal to Interferer Ratio)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기지국측에 보고함으로써, 기지국측에서 CIR 또는 SIR 값의 크기 에 근거하여 패킷 송신에 있어서의 이동국의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이 우선 순위 부여에 의해, 우선 순위가 높은 이동국의 통신 종료를 기다려, 다음 우선 순위의 이동국이 통신 가능으로 된다.
또한, CIR 값 또는 SIR 값의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변조 방식을 전환하여 알맞은 전송 속도를 얻는 것도 검토되고 있다. 회선 상태가 좋은 이동국의 통신을 우선하도록 함으로써,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전체적인 작업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다운 링크 송신 심볼 레이트를 변경하는 종래 기술로서, 예컨대 일본국 특허공개 평성 제8-274756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도 1에 동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도면에 있어, 기지국 장치(1)는, 안테나(2, 9), 수신부(3), 복조부(4), 신호 검출부(5), 제어부(6), 변조부(7) 및 송신부(8)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동국 장치(10)는, 안테나(11, 18), 수신부(12), 복조부(13), 추정부(14), 제어부(15), 변조부(16) 및 송신부(17)로 구성된다.
기지국 장치(1)에서는, 이동국 장치(10)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부(3)가 수신하여, 수신 신호를 복조부(4)에 입력한다. 복조부(4)는, 입력된 수신 신호로부터 원래의 기저 대역 신호를 복조하여, 신호 검출부(5)에 입력한다. 신호 검출부(5)는, 입력된 기저 대역 신호로부터 신호 전송 속도(기지국 장치(1)로부터 이동국 장치(10)에 대하여 신호를 전송할 때의 다운 링크 신호의 전송 속도)의 변경을 요구하는 신호를 추출하여 제어부(6)에 입력한다. 이 다운 링크 신호의 전송 속도의 변경을 요구하는 신호는 이동국 장치(10)로부터 송신된다.
제어부(6)는, 신호 검출부(5)로 추출된 신호 전송 속도 변경 요구 신호에 따라 다운 링크 신호의 전송 속도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 전송 속도 변경 신호를 생성하여, 그것을 변조부(7)에 입력한다. 변조부(7)는, 입력된 신호 전송 속도 변경 신호를 소정의 변조 방식을 이용해서 변조하여, 그것을 송신부(8)에 입력한다. 송신부(8)는 입력된 변조 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9)로부터 송신한다.
이동국 장치(10)에서는, 기지국 장치(1)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부(12)로 수신한 후, 복조부(13)에서 기저 대역 신호를 복조한다. 추정부(14)는, 복조부(13)에서 복조된 기저 대역 신호로부터 기지국 장치(1)와 자국 사이의 전송로를 추정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15)에 입력한다. 제어부(15)는, 입력된 전송로 추정 결과에 근거하여, 다운 링크 신호의 전송 속도를 변경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전송 속도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변경 요구 신호를 생성하여 변조부(16)에 입력한다. 변조부(16)는, 입력된 변경 요구 신호를 변조해서 변조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부(17)에 입력한다. 송신부(17)는, 변조부(16)로부터의 변조 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18)로부터 송신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기지국 장치(1)로부터 이동국 장치(10)에 대한 다운 링크 신호의 전송 속도가 변경된다.
도 2는 기지국 장치(1)와 이동국 장치(10) 사이에서의 전송 속도 변경 과정을 나타내는 순차도이다.
기지국 장치(1)로부터 이동국 장치(10)에 전송되는 다운 링크 신호에는, 어떤 일정 기간마다 전송로 상황 추정용 전용 워드(기지 패턴)가 삽입되어 있다. 이 동국 장치(10)는 그 전용 워드와의 상관을 갖는 전송로를 추정한다. 전송로 추정에는 도시하지 않은 상관기의 출력이나 도시하지 않은 수신 전계 강도 측정기의 출력 등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①수신 전계 강도, ②아이 패턴 분산, ③기지 패턴의 검출, ④이동국 장치에 있어서의 수신 후의 오류율 등을 바탕으로 전송 속도를 변경한다.
이동국 장치(10)로부터 기지국 장치(1)로의 전송로 추정 결과의 보고는, 전송로 추정의 실행에 따라 정기적으로 행하여진다. 기지국 장치(1)는, 이동국 장치(10)로부터의 전송로 추정의 결과를 받아, 다운 링크 신호의 전송 속도를 변경시킬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전송 속도 가변의 판단(42)). 기지국 장치(1)에 있어서의 전송 속도 가변의 판단(42) 결과, 다운 링크 신호의 전송 속도가 현 상태와 같은 경우에는 기지국 장치(1)는 이동국 장치(10)에 대하여 다운 링크 신호의 전송 속도만을 알린다(전송 속도 통지(43)). 전송 속도 가변의 판단(42) 결과, 전송 속도를 변화시키는 경우에는, 기지국 장치(1)는 전송 속도를 변경하는 취지 및 변경 후의 전송 속도, 변경 타이밍을 이동국 장치(10)에 알린다(44).
기지국 장치(1)가 이동국 장치(10)에 전송 속도를 변경하는 취지를 통지(44)한 때로부터 신호 전송 속도를 변경할 때까지의 사이에, 이동국 장치(10)로부터의 전송로 추정 결과의 보고(41)가 기지국 장치(1)에 도달한 경우, 기지국 장치(1)는 그 결과를 무시한다(45).
이동국 장치(10)에서 전송로 추정(40)이 정기적으로 행하여지지만, 다운 링크 신호의 전송 속도 변경 직후에는 행하여지지 않는다(46). 기지국 장치(1)는, 이동국 장치(10)로부터 전송로 추정 결과의 보고(41)가 일정 기간 경과 후에 행하여진 경우에는, 그것의 신고를 유효로 하여, 전송 속도 가변의 판단(42)을 실행한다. 그리고, 전송 속도가 현 상태와 같다고 판단한 경우, 이동국(10)에 대하여 전송 속도만을 알린다(43). 다운 링크 신호의 전송 속도를 변경시키는 경우에는, 이 시점에서 전송 속도를 변경하는 취지 및 변경 후의 전송 속도, 변경 타이밍을 이동국 장치(10)에 알린다(44).
이 종래 기술에서는, 다운 링크 송신 심볼 레이트의 변경 방법으로서, 이하의 2개의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i)도 3에 나타내는 방법
기지국 장치(1)는, 미리 결정된 기간 To 마다 시분할된 전송 속도의 다른 전용 워드(기지 패턴)를 송신한다(다운 링크 신호). 이동국 장치(10)는, 각 기간 To마다 전용 워드를 수신하고, 그 중에서 수신 가능한 최대 전송 속도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기지국 장치(1)에 보고한다(업 링크). 이것에 의해, 다운 링크 신호의 전송 속도를 알맞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ii)도 4에 나타내는 방법
기지국 장치(1)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기간 To에서 다운 링크 신호의 전송 속도를 미리 설정된 전송 속도 중, 고속인 쪽으로부터 저속인 쪽으로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간다. 이동국 장치(10)는, 기지국 장치(1)로부터 레이트4(rate4)로 전송되는 신호의 패리티 체크(parity check)를 실행하여, 수신 가능한 경우만 기지국 장치(1)에 대하여 전송 속도를 보고한다. 기지국 장치(1)는, 이동국 장치(10)로부 터 전송 속도의 보고를 받으면 그 전송 속도로 전환한다. 이 방법에서는, 최고속의 전송 속도로부터 수신하기 때문에, 통신 시의 전송로 상태에 있어서 가장 빠른 전송 속도를 짧은 시간에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다.
또, 전송 속도가 다른 전용 워드에는, 심볼 레이트가 10Msps, 20Msps, 30Msps, 40Msps, 50Msps, 53.24Msps, 60Msps, 70Msps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① 각 이동국 장치마다 SIR(또는 CIR) 측정 방법이 하나로 확정되어 있지 않고, SIR(또는 CIR)을 측정하는 회로를 구성하는 소자에 편차가 있기 때문에, 기지국 장치에서는, 각 이동국 장치의 다운 링크 신호 수신 품질을 정확히 비교할 수 없다. 이 때문에, SIR(또는 CIR) 측정 결과를 이용한 변조 방식의 선택에서는 정확성이 결여되어, 일정 이상의 통신 품질이 얻어지지 않는다.
② 일본국 특허 공개 평성 제8-274756호 공보에 개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심볼 레이트를 변경하고 있기 때문에, 무선 대역으로서 최고속 레이트를 이용할 때의 대역을 항상 확보해 두지 않으면 안되고, 저속 레이트를 선택했을 때에는 나머지 대역이 낭비되어 버린다(즉, 무선 자원이 낭비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자원을 낭비하지 않고, 정확히 변조 방식을 전환할 수 있는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기지국 장치에, 회선 추정에 이용되고 있는 기존의 파일럿 신호와는 별도로 복수의 변조 방식(예컨대, QPSK, 8PSK, 16PSK, 16QAM, 64QAM) 각각에 대하여, 적응 변조를 행하기 위한 전용 파일럿 신호(실시예에는 MCS 파일럿(Modulation Coding Scheme) 신호라고 칭하고 있음)를 마련하여, 이동국 장치가 그 전용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 결과의 수신 가부 판단인 이동국 수신 결과를 이용하여 변조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 장치와 기지국 장치 사이에서의 전송 속도 변경 과정을 나타내는 순차도,
도 3은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다운 링크 송신 심볼 레이트의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다운 링크 송신 심볼 레이트의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의 MCS 파일럿 채널 신호의 송신 패턴의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 장치의 구성 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 장치에 있어서의 이동국 수신 결과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 장치에 있어서의 이동국 수신 결과의 송신 패턴의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의 변조 방식 전환 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 장치에 있어서의 변조 방식 전환 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 장치와 기지국 장치 사이에서의 전송 속도 변경 과정을 나타내는 순차도,
도 13은 도 6에 나타내는 MCS 파일럿 채널 신호의 다른 송신 패턴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14는 도 9에 나타내는 이동국 수신 결과의 다른 송신 패턴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 장치에 있어서의 MCS 파일럿 채널 복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비트 오류율과 변조 방식의 대응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에 있어 서의 MCS 파일럿 채널 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 장치에 있어서의 MCS 파일럿 채널 복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의 MCS 파일럿 신호의 송신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비트 오류율과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의 대응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 장치와 기지국 장치 사이에서의 전송 속도 변경 과정을 나타내는 순차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5는,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의 MCS 파일럿 채널 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의 MCS 파일럿 채널 생성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을 주파수 방향의 멀티캐어 통신 방식에 채용한 경우의 MCS 파일럿 채널 신호의 송신 패턴의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49)는, 안테나(50), 공용기(51), 수신부(52), 역확산부(53), 회선 추정부(54), 왜곡 보정부(55), 복조부(56), 분리부(57), 선택부(58), 적응 변조부(59), 변조부(60), 다중부(61), 확산부(62), MCS 파일럿 채널 생성부(63), 가산부(64) 및 송신부(6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공용기(51)는 안테나(50)를 송신측과 수신측으로 전환한다. 수신부(52)는, 안테나(50)를 거쳐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신호를 역확산부(53)에 입력한다. 역확산부(53)는, 수신부(52)로부터 입력된 수신 신호를 역확산해서 1차 변조파를 추출하여, 그것을 회선 추정부(54)와 왜곡 보정부(55)에 입력한다. 회선 추정부(54)는, 역확산부(53)로부터 입력된 1차 변조파에 근거하여 IQ 성분의 왜곡을 추정하여, 그 결과를 왜곡 보정부(55)에 입력한다. 왜곡 보정부(55)는, 회선 추정 부(54)로부터 입력된 회선 추정값을 이용해서, 역확산부(53)로부터 입력된 1차 변조파의 왜곡을 보정하여, 보정한 1차 변조파를 복조부(56)에 입력한다. 복조부(56)는, 왜곡 보정부(55)로부터 입력된 왜곡 보정된 1차 변조파를 복조하여 이동국 장치(99)(도 6참조)로부터의 송신 데이터를 얻는다. 그리고, 얻어진 송신 데이터를 분리부(57)에 입력한다. 분리부(57)는, 복조부(56)로부터 입력된 송신 데이터로부터 이동국 수신 결과(상세한 것은 후술함)와 수신 데이터를 분리한다. 이동국 수신 결과에 관해서는, 선택부(58)에 입력한다.
선택부(58)는, 분리부(57)로부터 입력된 이동국 수신 결과로부터 변조 방식을 선택한다. 즉, 이동국 장치(99)로부터의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수신 가능한 최대 변조 다치수의 변조 방식을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한 변조 방식을 적응 변조부(59)에 통지한다. 적응 변조부(59)는, 선택부(58)로부터 통지된 변조 방식으로 송신 데이터를 변조한다. 이 변조파는 1차 변조파로서 다중부(61)에 입력된다. 변조부(60)에는 회선 추정용의 기존의 파일럿 신호가 입력된다. 변조부(60)는, 이 파일럿 신호를 변조하여, 1차 변조파로서 다중부(61)에 입력한다. 다중부(61)는, 적응 변조부(59)로부터 입력된 1차 변조파와 변조부(60)로부터 입력된 1차 변조파를 다중화하고, 다중화한 1차 변조파를 확산부(62)에 입력한다. 확산부(62)는, 확산 코드 PN0를 이용하여, 다중부(61)로부터 입력된 다중화 1차 변조파를 2차 변조하여, 2차 변조파를 생성한다.
한편, MCS 파일럿 채널 생성부(63)는, 4가지 변조 방식(QPSK, 8PSK, 16QAM, 64QAM) 각각에 대응시킨 적응 변조 전용의 파일럿 신호(이하, MCS 파일럿 신호라 함)를 동시에 출력하는 MCS 파일럿 신호 출력부(69)와, MCS 파일럿 신호 출력부(69)로부터 출력되는 각 변조 방식에 대응한 MCS 파일럿 신호를 변조하는 4개의 변조부(70∼73)와, 변조부(70)∼변조부(73)에 대응하여 마련된 확산부(75∼78)와, 확산부(75)∼확산부(78)의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부(80)를 구비하고 있다. 또, MCS 파일럿 신호 출력부(69)로부터 출력되는 각 MCS 파일럿 신호는, 데이터의 형태로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에 기억시켜도 좋고, 프로그램에서 생성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변조부(70)는, MCS 파일럿 신호 출력부(69)로부터 출력되는 QPSK에 대응하는 MCS 파일럿 신호를 변조한다. 도시하지 않은 변조부(71)는, MCS 파일럿 신호 출력부(69)로부터 출력되는 8PSK에 대응하는 MCS 파일럿 신호를 변조한다. 도시하지 않은 변조부(72)는, MCS 파일럿 신호 출력부(69)로부터 출력되는 16QAM에 대응하는 MCS 파일럿 신호를 변조한다. 변조부(73)는, MCS 파일럿 신호 출력부(69)로부터 출력되는 64QAM에 대응하는 MCS 파일럿 신호를 변조한다.
확산부(75)는, 확산 코드 PN1를 이용하여 변조부(70)로부터 출력된 변조파 신호를 확산한다. 도시하지 않은 확산부(76)는, 확산 코드 PN2를 이용하여 도시하지 않은 변조부(71)로부터 출력된 변조파 신호를 확산한다. 도시하지 않은 확산부(77)는, 확산 코드 PN3을 이용하여 도시하지 않은 변조부(72)로부터 출력된 변조파 신호를 확산한다. 확산부(78)는, 확산 코드 PN4를 이용하여 변조부(73)로부터 출력되는 변조파 신호를 확산한다.
가산부(80)는, 확산부(75)∼확산부(78)로부터의 변조파 신호를 가산한다. 가산부(64)는, 가산부(80)로부터의 변조파 신호와 확산부(62)로부터의 2차 변조파 신호를 가산한다. 가산부(64)에서 가산된 변조파 신호는 송신부(65)에 입력된다. 송신부(65)는, 가산부(64)로부터 입력된 변조파 신호를 소정의 무선 주파수에 업컨버팅한 후, 소정 레벨까지 전력 증폭하여, 공용기(51)를 거쳐서 안테나(50)로부터 송신한다.
여기서, 도 7은 MCS 파일럿 채널 신호의 송신 패턴의 개념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QPSK, 8PSK, 16QAM, 64QAM 각각 MCS 파일럿 채널 신호가 코드다중화되어 있다.
다음에, 도 6에 있어서, 이동국 장치(99)는, 안테나(100),공용기(101), 수신부(102), MCS 파일럿 채널 복조부(103), 역확산부(104), 회선 추정부(105), 왜곡 보정부(106), 선택부(107), 적응 복조부(108), 분리부(109), 다중부(110), 변조부(111), 확산부(112) 및 송신부(11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공용기(101)는, 안테나(100)를 송신측과 수신측으로 전환한다. 수신부(102)는 안테나(100)를 거쳐서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MCS 파일럿 채널 복조부(103)는, 역확산부(115)∼역확산부(118)와, 왜곡 보정부(120)∼왜곡 보정부(123)와, 복조부(125)∼복조부(128)와, 비교부(130)∼비교부(133)를 구비하고 있고, 수신 신호로부터 각 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MCS 파일럿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한 각 MCS 파일럿 신호와 각 MCS 파일럿 신호에 대응하여 마련된 기지 심볼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불일치의 형태로 비교 결과(이동국 수신 결과라 함)를 출력한다.
역확산부(115)는, 확산 코드 PN1을 이용하여 수신부(102)로부터의 수신 신호 로부터 코드다중화된 신호 중 하나를 추출한다. 도시하지 않은 역확산부(116)는, 확산 코드 PN2를 이용하여 수신부(102)로부터의 수신 신호로부터 코드다중화된 신호 중 하나를 추출한다. 도시하지 않은 역확산부(117)는, 확산 코드 PN3을 이용하여 수신부(102)로부터의 수신 신호로부터 코드다중화된 신호 중 하나를 추출한다. 역확산부(118)는, 확산 코드 PN4를 이용하여 수신부(102)로부터의 수신 신호로부터 코드다중화된 신호 중 하나를 추출한다.
왜곡 보정부(120)는, 회선 추정부(105)에서 추정된 회선 추정값을 이용하여 역확산부(115)에서 추출된 신호의 왜곡을 보정한다. 도시하지 않은 왜곡 보정부(121)는, 회선 추정부(105)에서 추정된 회선 추정값을 이용하여 도시하지 않은 역확산부(116)에서 추출된 신호의 왜곡을 보정한다. 도시하지 않은 왜곡 보정부(122)는, 회선 추정부(105)에서 추정된 회선 추정값을 이용하여 도시하지 않은 역확산부(117)에서 추출된 신호의 왜곡을 보정한다. 도시하지 않은 왜곡 보정부(123)는, 회선 추정부(105)에서 추정된 회선 추정값을 이용하여 도시하지 않은 역확산부(118)에서 추출된 신호의 왜곡을 보정한다.
복조부(125)는, 왜곡 보정부(120)에서 왜곡이 보정된 역확산 후의 신호로부터 QPSK에 대응하는 MCS 파일럿 신호를 복조한다. 도시하지 않은 복조부(126)는, 도시하지 않은 왜곡 보정부(121)에서 왜곡이 보정된 역확산 후의 신호로부터 8PSK에 대응하는 MCS 파일럿 신호를 복조한다. 도시하지 않은 복조부(127)는, 도시하지 않은 왜곡 보정부(122)에서 왜곡이 보정된 역확산 후의 신호로부터 16QAM에 대응하는 MCS 파일럿 신호를 복조한다. 복조부(128)는, 왜곡 보정부(123)에서 왜곡 이 보정된 역확산 후의 신호로부터 64QAM에 대응하는 MCS 파일럿 신호를 복조한다.
비교부(130)는, QPSK에 대응하는 MCS 파일럿 신호에 대응시킨 기지 심볼 패턴을 갖고, 이 기지 심볼 패턴과 복조부(125)에서 복조된 QPSK에 대응하는 MCS 파일럿 신호를 비교하여, 일치/불일치를 판정한다. 도시하지 않은 비교부(131)는, 8PSK에 대응하는 MCS 파일럿 신호에 대응시킨 기지 심볼 패턴을 갖고, 이 기지 심볼 패턴과 도시하지 않은 복조부(126)에서 복조된 8PSK에 대응하는 MCS 파일럿 신호를 비교하여, 일치/불일치를 판정한다. 도시하지 않은 비교부(132)는, 16QAM에 대응하는 MCS 파일럿 신호에 대응시킨 기지 심볼 패턴을 갖고, 이 기지 심볼 패턴과 도시하지 않은 복조부(127)에서 복조된 16QAM에 대응하는 MCS 파일럿 신호를 비교하여, 일치/불일치를 판정한다. 비교부(133)는, 64QAM에 대응하는 MCS 파일럿 신호에 대응시킨 기지 심볼 패턴을 갖고, 이 기지 심볼 패턴과 복조부(128)에서 복조된 64QAM에 대응하는 MCS 파일럿 신호를 비교하여, 일치/불일치를 판정한다. 비교부(130)∼비교부(133) 각각에 있어서의 기지 심볼 패턴과 MCS 파일럿 신호의 비교에 있어서, 일치하고 있으면 "1"이 출력되고, 일치하지 않으면 "0"이 출력된다.
비교부(130)∼비교부(133)로부터의 비교 결과가 상술한 이동국 수신 결과로서 기지국 장치(49)에 보고된다. 여기서, 도 8은 이동국 수신 결과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있어, QPSK와 8PSK 각각에 있어서 MCS 파일럿 신호와 기지 심볼 패턴이 일치하고, 16QAM과 64QAM 각각에 있어서 MCS 파일럿 신호와 기지 심볼 패턴이 불일치하여, QPSK와 8PSK에서의 수신 결과가 각각"1"(OK), 16QAM과 64QAM에서의 수신 결과가 각각 "0"(NG)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이하에 설명하지 만, 기지국 장치(49)는 이 이동국 수신 결과를 받으면, 이동국 장치(99)에서 수신 가능한 최대 변조 다치수의 변조 방식, 즉 도 8의 예에서는 8PSK을 선택하고, 그 결과(즉 변경하는 변조 방식과 변경하는 타이밍)를 이동국 장치(99)에 통지한다.
도 6으로 되돌아가, 역확산부(104)는, 확산 코드 PN0을 이용하여 기저 대역의 수신 데이터를 역확산해서 수신 정보를 추출하여 그것을 회선 추정부(105) 및 왜곡 보정부(106)에 입력한다. 회선 추정부(105)는, 역확산부(104)로부터 입력된 수신 정보에 근거하여 IQ 성분의 왜곡을 추정하고, 그 결과를 왜곡 보정부(106) 및 MCS 파일럿 채널 복조부(103)의 왜곡 보정부(120)∼왜곡 보정부(123) 각각에 입력한다. 왜곡 보정부(106)는, 회선 추정부(105)로부터 입력된 회선 추정값을 이용하여 역확산부(104)로부터의 수신 정보를 왜곡 보정한다. 그리고, 왜곡 보정한 수신 정보를 적응 복조부(108)에 입력한다. 적응 복조부(108)는, 선택부(107)에서 선택된 복조 방식을 이용해서 왜곡 보정된 수신 정보를 복조하여, 기지국 장치(49)로부터 송신된 송신 데이터를 얻는다. 그리고, 얻어진 송신 데이터를 분리부(109)에 입력한다. 분리부(109)는, 적응 복조부(108)로부터 입력된 송신 데이터로부터 수신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를 분리한다. 이 경우, 제어 데이터에는 복조 방식을 지정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분리한 제어 데이터를 선택부(107)에 입력한다.
선택부(107)는, 분리부(109)로부터 입력된 제어 데이터로부터 복조 방식을 선택한다. 즉, 기지국 장치(49)로부터의 응답 결과(상술한 이동국 수신 결과에 대한 응답)에 따라서 복조 방식을 선택한다. 선택한 복조 방식을 적응 복조부(108) 에 통지한다. 다중부(110)는, 기지국 장치(49)를 향해서 송신하는 송신 데이터와, MCS 파일럿 채널 복조부(103)의 비교부(130)∼비교부(134)로부터의 비교 결과(즉 이동국 수신 결과)를 다중화하여, 변조부(111)에 입력한다. 여기서, 도 9는 다중화된 이동국 수신 결과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는 시간축 방향으로 다중화되어 있지만, 통신용 데이터와 ACK(Acknowledgment)용 데이터를 IQ 다중화하도록 하더라도 상관없다.
도 6으로 되돌아가, 변조부(111)는, 다중부(110)로부터 입력된 다중 데이터를 1차 변조하여, 1차 변조파를 확산부(112)에 입력한다. 확산부(112)는, 확산 코드 PN0을 이용해서 변조부(11)로부터 입력된 1차 변조파를 2차 변조한다. 송신부(113)는, 확산부(112)로부터의 2차 변조파를 업컨버팅하고, 또한 소정 레벨까지 전력을 증폭하여 무선 신호로서 공용기(101)를 거쳐서 안테나(100)로부터 송신한다.
다음에, 도 10∼도 12를 참조하여 기지국 장치(49) 및 이동국 장치(99)의 변조 방식 전환 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기지국 장치(49)의 변조 방식 전환 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 우선 PSK, 8PSK, 16QAM, 64QAM 각각의 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MCS 파일럿 신호를 코드다중화하여 송신한다(ST10). 코드다중화된 각 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MCS 파일럿 신호를 송신한 후, 이동국 장치(99)(1대인 경우도 있지만, 대개 여러 대 있음)로부터의 이동국 수신 결과의 ACK를 수신하면(ST12), 그 이동국 수신 결과에 근거하여, 이동국 장치(99)마다 수신 가능한 최대 변조 다치수의 변조 방식을 선택한다(ST14). 또, 각 이동국 장치(99)에 대한 변조 방식의 선택에 있어서는, 각 이동국 장치(99)로부터의 1 슬롯분의 ACK 신호를 파라미터로서 이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복수 슬롯분의 ACK 신호를 평균한 것을 파라미터로서 이용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도 5에 나타내는 "평균화 제어 전환"(기지국 장치(49)의 선택부(58)에 입력됨)으로 기재한 신호가 복수 슬롯분의 평균을 나타내는 것이다. 선택부(58)는, "평균화 제어 전환" 신호가 입력되면, 이동국 장치(99)로부터의 복수 슬롯분의 ACK 신호를 평균한다. 그리고, 평균한 ACK 신호를 파라미터로서 변조 방식을 선택한다.
도 10으로 되돌아가, 기지국 장치(49)는, ST14에 있어서 이동국 장치(99)마다 최대 변조 다치수의 변조 방식을 선택한 후, 각 이동국 장치(99)에 대하여 변조 방식과 그것의 전환 타이밍을 통지한다(ST16). 이 통지를 한 후, 지정한 타이밍에서 다운 링크 신호의 변조 방식을 전환한다(ST18).
다음에, 도 11은 이동국 장치(99)의 변조 방식 전환 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 기지국 장치(49)로부터 송신된 코드다중화된 MCS 파일럿 신호를 수신한다(ST20). 코드다중화된 MCS 파일럿 신호를 수신한 후, 각 변조 방식마다 MCS 파일럿 신호의 복조 결과와 기지 심볼 패턴을 비교한다(ST22). 이 비교를 한 후, 이동국 수신 결과를 기지국 장치(49)에 보고한다(ST24). 그 후, 기지국 장치(49)로부터 변조 방식 및 전환 타이밍을 지정받으면(ST26), 지정된 타이밍에서 지정된 복조 방식으로 전환한다(ST28).
다음에, 도 12는 기지국 장치(49)와 2대의 이동국 장치(99-1) 및 이동국 장 치(99-2) 사이에서의 전송 속도 변경 과정을 나타내는 순차도이다.
기지국 장치(49)로부터 송신된 코드다중화된 MCS 파일럿 신호를 이동국 장치(99-1)와 이동국 장치(99-2)가 수신하면, 이동국 장치(99-1)와 이동국 장치(99-2)는, 각 변조 방식의 MCS 파일럿 신호마다 기지 심볼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MCS 파일럿 신호를 이동국 수신 결과로서 기지국 장치(99)에 보고한다. 또, 이 경우, 이동국 장치(99-1)와 이동국 장치(99-2)에 있어서의 최초의 변조 방식이 QPSK라고 한다.
기지국 장치(49)는, 이동국 장치(99-1)와 이동국 장치(99-2)로부터 수신 결과 보고를 받으면, 이동국 장치(99-1)와 이동국 장치(99-2)의 수신 상황에 따라서 각각의 변조 방식을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한 변조 방식과 변경 개시 타이밍을 이동국 장치(99-1)와 이동국 장치(99-2)에 통지한다. 이동국 장치(99-1)와 이동국 장치(99-2)는, 기지국 장치(49)로부터의 통지가 있으면, 변조 방식 전환의 유무를 확인한다.
기지국 장치(49)는, 이동국 장치(99-1)와 이동국 장치(99-2)에 통지한 변경개시 타이밍에서 변조 방식을 전환한다. 또한, 이 전환 타이밍과 동시에 이동국 장치(99-1)와 이동국 장치(99-2)도 변조 방식을 전환한다. 이 경우, 예컨대, 이동국 장치(99-1)와 이동국 장치(99-2)로부터의 수신 결과 보고에 의해, 이동국 장치(99-1)와 이동국 장치(99-2)에 있어서 수신 가능한 최대 변조 다치수의 변조 방식이 8PSK이면, 현재 상태의 QPSK에서 8PSK로 바뀐다. 기지국 장치(49)는 변조 방식을 전환한 후, 다시, 각 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MCS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여, 이동국 장치(99-1)와 이동국 장치(99-2)와 동시에 상기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한편, 변조 방식을 현재 상태대로 전환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변경 개시 타이밍과 같은 타이밍에서 MCS 파일럿 신호를 송신한다. 즉, 소정 간격마다 MCS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여, 변조 방식을 전환할 필요가 있는지의 유무를 판정해서, 전환할 필요가 있으면 새로운 변조 방식으로 전환한다. 전환할 필요가 없으면 다음 번 MCS 파일럿 신호를 송신할 때까지 현재 상태의 변조 방식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기지국 장치(49)는, 회선 추정에 이용되고 있는 기존의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는 이외에, 복수의 변조 방식(예컨대 QPSK, 8PSK, 16QAM, 64QAM) 각각 대하여 적응 변조를 하기 위한 전용 MCS 파일럿 신호를 송신한다. 이동국 장치(99)는, 수신 신호로부터 코드다중화된 각 MCS 파일럿 신호를 역확산하여 취출하고, 각각에 대하여 기지 심볼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MCS 파일럿 신호가 있으면, 그것을 이동국 수신 결과로서 기지국 장치(49)에 보고한다. 기지국 장치(49)는, 이동국 장치(99)로부터의 이동국 수신 결과의 보고를 수신하면, 기지 심볼 패턴과 일치하는 MCS 파일럿 신호에 대응하는 변조 방식중 최대 변조 다치수의 변조 방식을 다운 링크 신호에 대하여 선택하여, 선택한 변조 방식을 이동국 장치(99)에 통지함과 동시에, 그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이동국 장치(99)와의 사이에서 통신한다.
따라서, 이동국 장치(99)가 전용의 MCS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 결과의 수신 가부 판단인 이동국 수신 결과를 이용하여 변조 방식을 선택하므로, SIR(또는 CIR) 측정 결과를 이용한 변조 방식의 선택 방법보다도 정확히 변조 방식을 선택할 수 있게 되어, 회선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심볼 레이트를 변경하는 방법과 달리 무선 자원을 낭비하지 않는다.
또,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는, MCS 파일럿 신호를 슬롯마다 같은 전력으로 송신하도록 했지만, 처음에는 낮은 전력으로 송신하고, 그 후 서서히 높아지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는, 기지국 장치(49)가, QPSK, 8PSK, 16QAM 및 64QAM의 모든 변조 방식에 있어서의 MCS 파일럿 신호를 코드다중화하여 송신하기 때문에, 적지 않게 코드사이에서 간섭이 발생하여 해 버리는 일이 있다. 그래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조 다치수의 제일 작은 QPSK에 관해서는 송신하지 않도록 하면, 그만큼 코드간 간섭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국 장치(99)로부터의 ACK를 시간축 방향으로 다중시켰지만,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호 방향으로 다중화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시간축 방향으로 다중화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1슬롯으로 보내는 송신 데이터량을 많아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는, 변조 방식으로서, PSK, 8PSK, 16QAM 및 64QAM의 4가지로 준비했지만, 당연히 다른 변조 방식(예컨대 16PSK)을 더하더라도 상관없다.

(실시예 2)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국 장치의 MCS 파일럿 채널 복조부(139)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또, 이 도면에 있어, 전술한 도 6의 MCS 파일럿 채널 복조부(103)와 공통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MCS 파일럿 채널 복조부(139) 이외의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하기 때문에 도 6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 및 이동국 장치에 부여하는 부호도 실시예 1과 같이 기지국 장치를 "49", 이동국 장치를 "99"로 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동국 장치(99)는, 복조부(125)∼복조부(128) 각각의 출력으로부터 비트 오류수 또는 비트 오류율을 구하는 BER 측정부(140)∼BER 측정부(143)를 갖는 MCS 파일럿 채널 복조부(139)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국 장치(99)는, BER 측정부(140)∼BER 측정부(143)에서 측정된 결과, 즉 BER 측정 결과를 기지국 장치(49)에 보고한다. 이 경우, BER 측정부(140)∼BER 측정부(143)는, 각각 복조 방식에 의해 복조된 수신 데이터와 기지 심볼 패턴을 비교해서 잘못된 비트수(비트 오류수)를 카운트하여, 그 결과를 출력한다. 이 카운트값은 이동국 수신 결과로서 송신 데이터와 동시에 기지국 장치(49)에 송신된다.
기지국 장치(49)는, 이동국 장치(99)로부터 보고를 받은 비트 오류수를 파라미터로 하여 다운 링크 신호의 변조 방식을 선택한다. 또, 이 경우, 비트 오류수÷송신 비트수에 의해, 비트 오류율을 이동국 장치(99) 또는 기지국 장치(49)에서 구하여, 그것을 파라미터로서 이용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비트 오류율을 바탕으로 변조 방식을 선택하는 경우, 기지국 장치(49)는, 이동국 장치(99)로부터의 응답 결과로서 비트 오류수를 보고 받으면, 비트 오류수÷송신 비트수의 연산을 하여 비트 오류율을 구한다. 그리고, 구한 비트 오류율로부터 미리 준비된 비트 오류율과 변조 방식의 대응 테이블(도 16의 비트 오류율과 변조 방식의 대응 테이블의 일례를 참조)을 참조하여 변조 방식을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한 변조 방식과 그것을 변경하는 타이밍을 이동국 장치(99)에 통지한다. 이동국 장치(99)는 그 통지를 받으면, 변경하는 타이밍에서, 지정된 변조 방식으로 전환한다. 여기서, 이동국 장치(99)로부터의 이동국 수신 결과를 바탕으로 기지국 장치(49)에서 구한 각 변조 방식에 대한 비트 오류율이,
Figure 112003008810677-pct00001
이었다고 하면, 도 16의 대응 테이블로부터 QPSK만 비트 오류율을 만족하고 있기 때문에, 8PSK의 변조 방식으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국 장치(99)는, MCS 파일럿 신호의 복조 결과로부터 비트 오류수를 구하여, 이 결과를 기지국 장치(49)에 보내고, 기지국 장치(49)는, 이동국 장치(99)로부터의 비트 오류수에 근거하여 비트 오류율을 구하여, 구한 비트 오류율에 따라서 다운 링크 신호의 변조 방식을 선택하도록 했기 때문에, 실시예 1과 같이 SIR(또는 CIR) 측정 결과를 이용한 변조 방식의 선택 방법보다도 정확하게 변조 방식을 선택할 수 있게 되어, 회선 품질의 향상을 도모 할 수 있다. 또한, 심볼 레이트를 바꾸는 방법과 달리 무선 자원을 낭비하지 않는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비트 오류율에 따라서 다운 링크 신호의 변조 방식을 선택하기 때문에, 파일럿 패턴의 일치/불일치나, CRC 결과의 양호/불량 등과 같은 양자 택일의 판단 기준으로 다운 링크 신호의 변조 방식을 선택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이동국 자신의 수신 성능(복호 성능)에 기초를 둔, 보다 세밀한 변조 방식 선택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MCS 파일럿 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변조 방식에 있어서의 비트 오류율을 바탕으로 알맞은 변조 방식을 선택하도록 했지만,이 처리를 간략화하기 위해서 비트 오류율(또는 비트 오류수)을, 적어도 하나의 변조 방식을 이용한 MCS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QPSK에 착안하여, 비트 오류율이 6.5×10-4인 경우, 도 16의 대응 테이블로부터 9.0×10-4 이하 이므로, 16QAM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변조 방식을 이용한 MCS 파일럿 신호에 주목함으로써, 처리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MCS 파일럿의 송신 패턴 수를 줄임으로써 송신 회로의 간략화나 부호간 간섭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의 MCS 파일럿 채널 생성부(149)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또한,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국 장치의 MCS 파일럿 채널 복조부(169)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또, 이들 도면에 있어서, 상술한 도 5의 MCS 파일럿 채널 생성부(63)와 도 6의 MCS 파일럿 채널 복조부(103) 각각과 공통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MCS 파일럿 채널 생성부(63) 이외의 부분에 관해서는 도 5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며, 또한 MCS 파일럿 채널 복조부(103) 이외의 부분에 관해서는 도 6을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 및 이동국 장치에 부여하는 부호도 실시예 1과 같이 기지국 장치를 "49", 이동국 장치를 "99"로 한다.
본 실시예의 기지국 장치(49)는, 이동국 장치(99)로부터의 오류 검출 CRC(Cyclic Redundancy Check) 결과에 따라서 변조 방식을 선택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49)는, MCS 파일럿 신호 출력부(69)로부터 출력되는 각 변조 방식에 대응한 MCS 파일럿 신호 각각에 CRC 부호를 부가하는 CRC 부가부(150)∼CRC 부가부(153)와, CRC 부가부(150)∼CRC 부가부(153)각각의 출력을 오류 정정 부호(ECC : Error Correcting Code)화하는 부호화부(155)∼ 부호화부(158)를 구비한 MCS 파일럿 채널 생성부(149)를 갖고 있다. 도 19는, 부호화부(155)∼ 부호화부(158) 각각의 출력인 오류 정정 부호화 후의 MCS 파일럿 신호의 송신 파일럿 신호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MCS 파일럿 신호에 CRC와 EC C를 부가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이동국 장치(99)는, 각 복조 방식에 의해 복조된 수신 데이터의 CRC 판정 결과를 기지국 장치(49)에 ACK 신호로서 보고하는 기능을 갖고 있 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국 장치(99)는, 복조부(125)∼복조부(128) 각각의 출력을 오류 정정 복조하는 오류 정정 복호화부(170)∼오류 정정 복호화부(173)와, 오류 정정 복호화부(170)∼오류 정정 복호화부(173) 각각의 출력을 CRC(오류 검출) 판정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CRC 판정부(175)∼CRC 판정부(178)를 구비한 MCS 파일럿 채널 복조부(169)를 갖고 있다. CRC 판정부(175)∼CRC 판정부(178)로부터의 CRC 판정 결과가 기지국 장치(49)에 보고된다.
이동국 장치(99)로부터는 각 복조 방식에 의해 복조된 수신 데이터의 CRC 판정 결과가 기지국 장치(49)에 ACK 신호로서 보고된다. 이 보고의 방법은 상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고, 도 8에 있어서의 "수신 결과"를 "CRC 판정 결과"로 치환하여 생각하면 좋다. 기지국 장치(49)는, CRC 판정 결과를 파라미터로 해서, CRC 판정 결과가 양호한 최대 변조 다치수의 변조 방식을 선택하여, 변경하는 변조 방식과 변경하는 타이밍을 이동국 장치(99)에 통지한다. 또, 순간 CRC 판정 결과를 복수 슬롯 평균화하여, 평균화 후의 CRC 판정 결과를 변조 방식 선택의 파라미터로서 이용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 장치(49)는, 각 변조 방식에 대응시킨 MCS 파일럿 신호 각각에 CRC 부호를 부가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를 하고, 그 결과를 이동국 장치(99)에 보낸다. 이동국 장치(99)는, 역확산 후의 신호에, 오류 정정 복호화 처리를 한 후의 MCS 파일럿 신호에 대한 CRC 판정을 하여 그 결과를 기지국 장치(49)에 보낸다. 기지국 장치(49)는, 이동국 장치(99)로부터의 CRC 판 정 결과에 따라서 변조 방식을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실시예 1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4)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또한, 도 2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또, 이들의 도면에 있어, 상술한 도 5의 기지국 장치(49)와 도 6의 이동국 장치(99) 각각과 공통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 및 이동국 장치에 부여하는 부호도 실시예 1과 같이 기지국 장치를 "49", 이동국 장치를 "99"로 한다.
본 실시예의 기지국 장치(49)는, 이동국 장치(99)의 수신 상태에 따라 오류 정정 부호화의 부호화율을 선택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49)는, 이동국 수신 결과로부터 변조 방식을 선택함과 동시에 부호화율을 선택하는 선택부(190)와, 이 선택부(190)로부터의 부호화율 선택 결과에 근거하여 송신 데이터를 오류 정정 부호화하는 부호화부(191)를 구비하고 있다. 부호화부(191)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된 송신 데이터는 적응 변조부(59)에 입력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이동국 장치(99)는, 기지국 장치(49)에서 선택된 부호화율에 근거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국 장치(99)는, 분리부(109)로 분리된 제어 데이터에 따라서 부호화율과 복조 방식을 선택하는 선택부(193)와, 이 선택부(193)에서 선택된 부호화율에 근거 하여 수신 데이터를 오류 정정 복호화하는 복호화부(194)를 구비하고 있다.
기지국 장치(49)의 선택부(193)에는, 비트 오류율에 있어서의 오류 정정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의 대응을 테이블화한 오류 정정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 선택 테이블이 마련되어 있고, 이 테이블에 근거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이 선택된다. 도 22에 비트 오류율과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의 대응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다.
기지국 장치(49)는, 이동국 장치(99)로부터의 비트 오류수의 보고를 받아 비트 오류율을 구한다. 그리고, 구한 비트 오류율을 바탕으로, 도 22에 나타내는 비트 오류율과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의 대응 테이블을 참조하여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을 선택한다. 여기서, 예컨대, 각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된 MCS 파일럿 신호의 비트 오류율을 구한 결과가,
Figure 112003008810677-pct00002
라는 결과였다고 하면, 상기 비트 오류율과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의 대응 테이블로부터, 변조 방식이 16QAM, 부호화율1/2이 선택된다.
도 2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 장치와 기지국 장치 사이에서의 전송 속도 변경 과정을 나타내는 순차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 기지국 장치(49)로부터 송신된 MCS 파일럿 신호가 이동국 장치(99-1)와 이동국 장치(99-2)에서 수신되면, 이동국 장치(99-1)와 이동국 장치(99-2)는, 각 변조 방식의 MCS 파 일럿 신호마다 기지 심볼 패턴을 비교하여, 각 변조 방식에 있어서의 수신 오류 비트수를 기지국 장치(49)에 보고한다. 또, 이동국 장치(99-1)와 이동국 장치(99-2)에 있어서의 최초의 변조 방식은 QPSK에서, 부호화율 K가 1/4이라고 한다.
기지국 장치(49)는, 이동국 장치(99-1)와 이동국 장치(99-2)로부터 각 변조 방식마다 비트 오류수의 보고를 받으면, 보고를 받은 비트 오류수로부터 비트 오류율을 구한다. 그리고, 이동국 장치(99-1)와 이동국 장치(99-2)의 변조 방식과 오류 정정 부호화율을 비트 오류율과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의 대응 테이블(도 22를 참조)로부터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한 변조 방식과 오류 정정 부호화율과, 이들의 변경 개시 타이밍을 이동국 장치(99-1)와 이동국 장치(99-2)에 통지한다. 이동국 장치(99-1)와 이동국 장치(99-2)는, 기지국 장치(49)로부터의 통지를 받으면, 변조 방식 전환의 유무를 확인한다.
그리고, 이동국 장치(99-1)와 이동국 장치(99-2)에 통지한 변경 개시 타이밍을 실행하는 시간이 되면, 기지국 장치(49)는 변조 방식과 오류 정정 부호화율을 전환한다. 또한, 이동국 장치(99-1)와 이동국 장치(99-2)도 지정된 타이밍에서 변조 방식과 오류 정정 부호화율을 전환한다. 예컨대, 이동국 장치(99-1)와 이동국 장치(99-2)로부터의 수신 결과 보고에 의해, 이동국 장치(99-1)와 이동국 장치(99-2)에 있어서 수신 가능한 최대 변조 다치수의 변조 방식이 8PSK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율 K가 3/4이면, 현재 상태의 QPSK, K=1/4로부터 8PSK, K=3/4로 전환된다.
기지국 장치(49)는, 변조 방식과 오류 정정 부호화율을 전환한 후, 다시, MCS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여, 이동국 장치(99-1)와 이동국 장치(99-2)와 동시에 상 기와 같은 처리를 한다. 한편, 변조 방식과 오류 정정 부호화율을 현재 상태대로 전환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변경 개시 타이밍과 같은 타이밍에서 MCS 파일럿 신호를 송신한다. 즉, 소정 간격마다 MCS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여, 변조 방식과 오류 정정 부호화율을 전환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전환할 필요가 있으면 새로운 변조 방식과 오류 정정 부호화율로 전환하고, 전환할 필요가 없으면 다음번 MCS 파일럿 신호를 송신할 때까지, 현재 상태의 변조 방식과 오류 정정 부호화율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국 장치(99)는, MCS 파일럿 신호의 복조 결과로부터 비트 오류수를 구하여, 이 결과를 기지국 장치(49)에 보낸다. 기지국(49)은 이동국(99)으로부터의 비트 오류수로부터 비트 오류율을 구하여, 구한 비트 오류율에 따라서 다운 링크 신호의 오류 정정 부호화의 부호화율을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알맞은 전송 레이트에서의 데이터 수신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국 장치(99)로부터의 이동국 수신 결과의 정보로서 비트 오류수를 이용했지만, 비트 오류율, CRC 판정 결과, MCS 파일럿 신호와 기지의 심볼 패턴의 일치/불일치 결과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각 MCS 파일럿 신호에 대응하는 변조 방식에서의 비트 오류율을 바탕으로 오류 정정 부호화의 부호화율을 선택할 필요는 없고, 적어도 하나의 변조 방식에서의 비트 오류율을 바탕으로 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의 부호화율을 선택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QPSK에 착안하여, 비트 오류율이 6.5×10-4인 경우, 도 22의 대응 테이블로부터 9.0×10-4 이하이기 때문에, 부호화율 3/4, 16QAM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변조 방식을 이용한 MCS 파일럿 신호에 주목함으로써, 처리의 간략화가 가능해짐과 동시에, MCS 파일럿의 송신 패턴수를 줄여 송신 회로의 간략화나 부호간 간섭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각 이동국 장치(99)에 대한 오류 정정 부호화의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의 선택에 있어서, 각 이동국 장치(99)로부터의 1 슬롯분의 ACK 신호를 파라미터로서 이용하더라도 좋고, 복수 슬롯분의 ACK 신호를 평균하여, 평균한 ACK 신호를 파라미터로서 이용하더라도 좋다. 도 20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99)의 선택부(190)에 입력되는 "평균화 제어 전환"이라고 기재한 신호가 복수 슬롯분의 평균을 나타내는 것이며, 선택부(190)는, 이 "평균화 제어 전환" 신호가 입력되면, 이동국 장치(99)로부터의 복수 슬롯분의 ACK 신호를 평균하여, 평균한 ACK 신호를 파라미터로서, 오류 정정 부호화의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의 선택을 한다.
(실시예 5)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또, 이 도면에 있어, 상술한 도 5의 기지국 장치(49)와 공통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 에 부여하는 부호도 실시예 1과 같이 "49"로 한다. 또한, 이동국 장치에 있어서는 도 5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기지국 장치(49)는, 비트 오류율을 바탕으로 패킷 스케쥴링을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동국 장치(99)는, 복조한 각 변조 방식에 있어서의 MCS 파일럿 신호와 기지의 심볼 패턴을 비교하여 비트 오류수를 구하고, 이 결과를 기지국 장치(49)에 보고한다. 기지국 장치(49)는, 사용자 선택부(패킷 스케쥴링 수단)(199)에 의해서, 이동국 장치(99)로부터의 비트 오류수의 보고를 받아 비트 오류율을 구하고, 이 비트 오류율을 이동국 장치(99)마다 기억해 둔다. 그리고, 패킷 송신 데이터가 비어 있지 않은 이동국 장치(99) 중 비트 오류율이 양호한 순서대로 각 사용자의 송신 데이터 1, 2 …, n을 배신한다. 또, 비트 오류율 이외에 패킷 일치, CRC 판정 결과를 이용하더라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국 장치(99)의 복조 성능을 바탕으로 패킷 스케쥴링을 행하여, 수신의 성공율이 높은 이동국 장치(99)로의 통신의 우선도를 높임으로써 전송 오류에 따르는 재전송을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6)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치의 MCS 파일럿 채널 생성부(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또, 이 도면에 있어, 상술한 도 5의 MCS 파일럿 채널 생성부(63)와 공통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MCS 파일럿 채널 생성부(200) 이외의 부분에 관해서는, 도 5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 및 이동국 장치에 부여하는 부호도 실시예 1과 같이 기지국 장치를 "49", 이동국 장치를 "99"로 한다.
64QAM, 16QAM, QPSK의 각 변조 방식의 MCS 파일럿 신호를 다중화하는 경우, MCS 파일럿 신호로서 도 26에 나타내는 원점 최근방 4점을 송신하는 구성을 생각하면, 출력 진폭만 변경하면 유사하게 QPSK에서 16QAM과 64QAM의 MCS 파일럿 신호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MCS 파일럿 채널 생성 회로의 간략화가 도모할 수 있다.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QPSK의 MCS 파일럿 신호에 관해서는, 확산부(75)로부터의 신호를 그대로 출력하지만, 16QAM의 MCS 파일럿 신호에 관해서는 확산부(77)로부터의 신호를 증폭기(202)로 확산부(75)의 출력 레벨에 대하여 16QAM에서의 출력 레벨(구체적으로는 0.33배)이 되도록 조정하고, 64QAM의 MCS 파일럿 신호에 관해서는, 확산부(78)로부터의 신호를 증폭기(203)로 산부(75)의 출력 레벨에 대하여 64QAM에서의 출력 레벨(구체적으로는 0.14배)이 되도록 조정한다.
확산부(75)의 출력과 증폭기(202)의 출력은 가산기(204)에서 가산되고, 가산기(204)의 출력과 증폭기(203)의 출력은 가산기(205)에서 가산된다. 한편, 8PSK의 MCS 파일럿 신호에 관해서는, 전용의 변조부(71)와 확산부(76)가 있어, 확산부(76)의 출력이 가산기(205)의 출력과 가산기(206)에서 가산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 장치(49)에서, QPSK에 대응하는 MCS 파일럿 신호의 변조 후의 신호로부터 유사하게 16QAM과 64QAM 각각 대응하는 MCS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도록 했기 때문에, 16QAM과 64QAM 각각의 변조부가 불필요하 게 되어, 그 만큼 비용을 삭감할 수 있게된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주파수 방향의 멀티캐어 통신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파수 방향에도 MCS 파일럿 신호를 병행하여 보낼 수 있기 때문에, MCS 파일럿 신호의 송신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르면, 무선 자원을 낭비하지 않고, 정확하고 용이하게 변조 방식을 전환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2001년 7월 13일 출원의 일본특허출원 제2001-214531호에 근거한 것이다. 이 내용을 여기에 포함해둔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의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이용하기 적합하다.

Claims (19)

  1. 복수의 상이한 변조 방식에 각각 대응시킨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를 출력하는 파일럿 신호 출력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를 각각에 대응하는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하는 변조 수단과,
    상기 변조 수단에 의해 변조된 신호를 다중하여 생성한 다중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
    을 구비하는 기지국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신호 중의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 각각에 대한 수신의 가부(可否)를 나타내는 이동국 수신 결과를 이동국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이동국 수신 결과가 수신 가능을 나타내는 전용 파일럿 신호에 대응하는 변조 방식 중, 최대 변조 다치수(maximum modulation multinary number)의 변조 방식을 선택하는 변조 방식 선택 수단을 더 구비하는 기지국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방식 선택 수단은, 상기 이동국 수신 결과가, 상기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 각각과, 상기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 각각에 대하여 마련된 기지 심볼 패턴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인 경우, 상기 기지 심볼 패턴에 일치하는 전용 파일럿 신호에 대응하는 변조 방식 중, 최대 변조 다치수의 변조 방식을 선택하는 기지국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방식 선택 수단은, 상기 이동국 수신 결과가, 상기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 각각과, 상기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 각각에 대하여 마련된 기지 심볼 패턴의 비교로부터 구해진 비트 오류수를 나타내는 것인 경우, 그 비트 오류수를 송신 비트 수로 나누어서 얻어지는 비트 오류율에 근거하여 이동국 장치에서 수신 가능한 변조 방식 중 최대 변조 다치수의 변조 방식을 선택하는 기지국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방식 선택 수단은, 상기 이동국 수신 결과가 상기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 중 적어도 하나와 그의 전용 파일럿 신호에 대하여 마련된 기지 심볼 패턴과의 비교로부터 구해진 비트 오류율을 나타내는 것인 경우, 복수의 변조 방식 각각과 비트 오류율을 대응시킨 대응 테이블을 참조하여 이동국 장치에서 수신가능한 변조 방식 중 최대 변조 다치수의 변조 방식을 선택하는 기지국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 각각에 대하여 오류 검출 및 오류 정정 부호화 처리를 행하는 오류 정정 부호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변조 방식 선택 수단은 상기 이동국 수신 결과가, 오류 검출 및 오류 정정 부호화 처리된 상기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의 오류 검출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것인 경우, 그 오류 검출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최대 변조 다치수의 변조 방식을 선택하는 기지국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방식 선택 수단은, 변조 방식의 선택과 함께 다운 링크 신호에 대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하는 부호화율을 선택하는 기지국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신호 출력 수단은, 변조 다치수가 가장 작은 변조 방식 이외의 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전용 파일럿 신호를 출력하는 기지국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이동국 장치로부터의 이동국 수신 결과를 이동국 장치마다에 기억하고, 패킷 송신이 비어 있지 않은 이동국 장치 중 상기 이동국 수신 결과가 양호한 순으로 패킷 스케쥴링을 행하는 패킷 스케쥴링 수단을 구비하는 기지국 장치.
  10. 복수의 변조 방식 중 하나의 변조 방식에 대응시킨 전용 파일럿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 수단과,
    상기 변조 수단에 의해 변조된 전용 파일럿 신호의 출력 레벨에 근거하여, 상기 전용 파일럿 신호를 다른 변조 방식에 있어서의 출력 레벨로 되도록 조정하는 출력 레벨 조정 수단과,
    상기 변조 수단에 의해 변조된 전용 파일럿 신호와, 상기 출력 레벨 조정 수단에 의해 출력 레벨이 조정된 전용 파일럿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 수단과,
    상기 가산 수단에 의해 가산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
    을 구비하는 기지국 장치.
  11. 복수의 상이한 변조 방식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가, 대응하는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되고 또한 다중된 다중 신호를 기지국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다중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 수단과,
    상기 복조 수단에서 복조된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 각각을, 상기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된 기지 심볼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 각각에 대한 수신의 가부를 나타내는 이동국 수신 결과를 출력하는 수신 결과 출력 수단과,
    상기 수신 결과 출력 수단으로부터의 이동국 수신 결과를 상기 기지국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
    을 구비하는 이동국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결과 출력 수단은, 상기 복조 수단에서 복조된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 각각을, 상기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된 기지 심볼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불일치를 판정하고, 일치한 전용 파일럿 신호는 수신 가능으로 하고 일치하지 않은 전용 파일럿 신호는 수신 불가능으로 하는 이동국 수신 결과를 출력하는 이동국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결과 출력 수단은, 상기 복조 수단에서 복조된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 각각을, 상기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된 기지 심볼 패턴과 비교하여 비트 오류수를 구하고, 구한 각 전용 파일럿 신호에 대응하는 비트 오류수를 이동국 수신 결과로서 출력하는 이동국 장치.
  14. 삭제
  15. 복수의 상이한 변조 방식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가, 대응하는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되고 또한 다중된 다중 신호를 기지국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다중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 수단과,
    상기 복조 수단에서 복조된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 각각에 대하여 오류 정정 복호화 처리를 행하는 오류 정정 복호화 처리 수단과,
    상기 오류 정정 복호화 처리 수단으로부터의 오류 정정 복호화 처리 후의 상기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 각각에 대하여 오류 검출 판정을 행하고, 그 결과를 이동국 수신 결과로서 출력하는 오류 검출 판정 수단과,
    상기 오류 검출 판정 수단으로부터의 이동국 수신 결과를 상기 기지국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
    을 구비하는 이동국 장치.
  16. 기지국 장치와, 이동국 장치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장치는,
    복수의 상이한 변조 방식에 각각 대응시킨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를 출력하는 파일럿 신호 출력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를 각각에 대응하는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하는 변조 수단과,
    상기 변조 수단에 의해 변조된 신호를 다중하여 생성한 다중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국 장치는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다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다중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 수단과,
    상기 복조 수단에서 복조된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 각각을, 상기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된 기지 심볼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 각각에 대한 수신의 가부를 나타내는 이동국 수신 결과를 출력하는 수신 결과 출력 수단과,
    상기 수신 결과 출력 수단으로부터의 이동국 수신 결과를 상기 기지국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장치는 상기 이동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이동국 수신 결과가 수신가능을 나타내는 전용 파일럿 신호에 대응하는 변조 방식 중, 최대 변조 다치수의 변조 방식을 선택하는 변조 방식 선택 수단을 더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8. 기지국 장치는, 복수의 상이한 변조 방식에 각각 대응시킨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를 각각에 대응하는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신호를 다중하여 생성한 다중 신호를 송신하며,
    이동국 장치는,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다중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 각각과, 상기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 각각에 대하여 마련된 기지 심볼 패턴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 각각에 대한 수신의 가부를 나타내는 이동국 수신 결과를 상기 기지국 장치로 보고하며,
    상기 기지국 장치는 상기 이동국 장치로부터의 보고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국 수신 결과가 수신 가능을 나타내는 전용 파일럿 신호에 대응하는 변조 방식 중, 최대 변조 다치수의 변조 방식을 선택하는
    무선 통신 방법.
  19. 기지국 장치는, 복수의 상이한 변조 방식에 각각 대응시킨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 각각에 대하여 오류 정정 부호를 부가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하고,
    상기 오류 정정 부호화한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를, 상기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신호를 다중하여 생성한 다중 신호를 송신하며,
    이동국 장치는,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다중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복수의 전용 파일럿 신호 각각에 대하여 오류 정정 복호화한 후, 오류 검출 판정하고,
    그 결과를 상기 기지국 장치로 보고하며,
    상기 기지국 장치는 상기 이동국 장치로부터의 보고를 수신하여, 오류 검출 판정 결과로부터 상기 이동국 장치에 있어 수신가능한 변조 방식 중 최대 변조 다치수의 변조 방식을 선택하는
    무선 통신 방법.
KR20037003696A 2001-07-13 2002-07-15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통신 방법 KR100549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14531A JP3660278B2 (ja) 2001-07-13 2001-07-13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JPJP-P-2001-00214531 2001-07-13
PCT/JP2002/007149 WO2003007646A1 (fr) 2001-07-13 2002-07-15 Station de base, station mobile, systeme et procede de radio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6783A KR20030036783A (ko) 2003-05-09
KR100549882B1 true KR100549882B1 (ko) 2006-02-06

Family

ID=19049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7003696A KR100549882B1 (ko) 2001-07-13 2002-07-15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통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97466B2 (ko)
EP (1) EP1408712B1 (ko)
JP (1) JP3660278B2 (ko)
KR (1) KR100549882B1 (ko)
CN (1) CN100388848C (ko)
WO (1) WO20030076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06532A1 (en) 2002-05-06 2003-11-06 Extricom Ltd. Collaboration between wireless lan access points
JP4256207B2 (ja) 2002-06-28 2009-04-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信装置および通信モード選択用テーブル更新方法
US7697549B2 (en) * 2002-08-07 2010-04-13 Extricom Ltd. Wireless LAN control over a wired network
US6912198B2 (en) * 2003-03-26 2005-06-28 Sony Corporation Performance of data transmission using adaptive technique
EP1625720B1 (en) * 2003-05-16 2008-09-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a communication network
JP2005057497A (ja) 2003-08-04 2005-03-03 Science Univ Of Tokyo 無線伝送制御方法並びに無線受信装置及び無線送信装置
JP4100304B2 (ja) * 2003-09-10 2008-06-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復調方法並びにデータレート制御方法
KR100557191B1 (ko) * 2003-12-01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셀 커버 영역에 따라 변조 방식을 가변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소프트 변조 전환방법
US7260361B2 (en) * 2003-12-29 2007-08-21 Intel Corporation Locating interfering devices in wireless networks using channel adaptation metrics
WO2005081439A1 (en) 2004-02-13 2005-09-01 Neocific,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s with adaptive transmission and feedback
WO2005076655A1 (ja) * 2004-02-10 2005-08-1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移動局、基地局、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CN1965513B (zh) 2004-05-01 2014-11-26 桥扬科技有限公司 用于以时分双工进行通信的方法和装置
US8891349B2 (en) * 2004-07-23 2014-11-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optimizing portions of a frame
CN101099323B (zh) * 2004-11-10 2011-07-27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用于减少码复用下行链路控制信道中的峰值功率的方法和设备
WO2006075372A1 (ja) * 2005-01-13 2006-07-20 Fujitsu Limited 無線通信システム
JP4521308B2 (ja) 2005-03-29 2010-08-1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伝送速度制御方法、移動局及び無線回線制御局
WO2006102909A1 (en) * 2005-03-29 2006-10-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daptive modulation with non-pilot symbols
US8121554B2 (en) 2005-07-01 2012-02-21 Sanyo Electric Co., Ltd. Radio apparatus
US7813738B2 (en) * 2005-08-11 2010-10-12 Extricom Ltd. WLAN operating on multiple adjacent bands
US20090207790A1 (en) * 2005-10-27 2009-08-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tuneawaystatus in an open st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957745B2 (en) 2005-11-23 2011-06-07 Motorola Mobility, Inc. Adaptive bearer configuration for broadcast/multicast service
KR100958636B1 (ko) * 2006-01-19 2010-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변조 및 코드율 레벨에 따른 전용 파일롯의 송수신 제어 방법 및 장치
EP1811734B1 (en) * 2006-01-19 2009-1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edicated pilots according to MCS lev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732935B2 (ja) * 2006-03-20 2011-07-2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移動局及び方法
JP2007288708A (ja) * 2006-04-20 2007-11-01 Sony Corp 通信装置、伝送方式設定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8306060B2 (en) * 2006-11-07 2012-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uncompressed video having a composite frame format
US8098601B2 (en) 2007-03-23 2012-01-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Slow adaptation of modulation and coding for packet transmission
US8190092B1 (en) * 2007-08-29 2012-05-29 Marvell International Ltd. Selecting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in the presence of interference
KR20100031770A (ko) 2007-07-11 2010-03-24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에폭시 화합물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US8798665B2 (en) * 2007-11-15 2014-08-05 Qualcomm Incorporated Beacon-based control channels
US9326253B2 (en) * 2007-11-15 2016-04-26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blanking
US8761032B2 (en) 2007-11-16 2014-06-24 Qualcomm Incorporated Random reuse based control channels
US8036240B2 (en) * 2007-12-14 2011-10-11 Microsoft Corporation Software defined cognitive radio
US9009573B2 (en) * 2008-02-01 2015-04-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concatenated codes for beacon channels
US9107239B2 (en) 2008-04-07 2015-08-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to define control channels using reserved resource blocks
US8675537B2 (en) * 2008-04-07 2014-03-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MBSFN subframes to send unicast information
DK2151939T3 (da) * 2008-08-08 2013-07-01 Nokia Siemens Networks Oy Rapportering om forbindelseskvalitet for et kommunikationssystem, der er i stand til at anvende forskellige modulationsplaner
US8694017B2 (en) * 2009-03-25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007639A1 (en) * 2009-07-10 2011-01-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identifiers
US8588844B2 (en) 2010-11-04 2013-11-19 Extricom Ltd. MIMO search over multiple access points
JP2012116758A (ja) 2010-11-29 2012-06-21 Sumitomo Chemical Co Ltd オレフィンオキサイドの製造方法
JP5742515B2 (ja) * 2011-06-30 2015-07-01 富士通株式会社 伝送システムおよび誤り訂正制御方法
CN102316068A (zh) * 2011-09-21 2012-01-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信令的传输方法及系统
CN102316070B (zh) * 2011-09-21 2017-11-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装置、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03209048B (zh) 2012-01-13 2017-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专用导频的解码方法和用户设备
JPWO2014097506A1 (ja) * 2012-12-20 2017-01-12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受信装置、送信装置、通信方法、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US9158642B2 (en) * 2012-12-20 2015-10-13 Litepoint Corporation Method of testing multiple data packet signal transceivers concurrently
US9313059B2 (en) 2012-12-21 2016-04-12 Qualcomm Incorporated Data-modulated pilots for phase and gain detectors
CN104980247B (zh) * 2014-04-04 2019-11-22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自适应调整调制编码方式和参考信号图样的方法、基站、终端和系统
US10368282B2 (en) * 2017-03-03 2019-07-30 Itron Networked Solutions, Inc. Mode control design
JP7389585B2 (ja) * 2019-08-26 2023-11-30 日本放送協会 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2408B2 (ja) * 1994-03-09 1999-02-03 郵政省通信総合研究所長 データ伝送方法
JPH08274756A (ja) 1995-03-30 1996-10-18 Toshib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
US5991308A (en) * 1995-08-25 1999-11-23 Terayon Communication Systems, Inc. Lower overhea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using ATM and SCDMA over hybrid fiber coax cable plant
US6826169B1 (en) * 1996-12-20 2004-11-30 Fujitsu Limited Code multiplexing transmitting apparatus
JP3311951B2 (ja) * 1996-12-20 2002-08-05 富士通株式会社 符号多重送信装置
US5867478A (en) * 1997-06-20 1999-02-02 Motorola, Inc. Synchronous coherent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method, software and device
JP2914442B2 (ja) * 1997-06-25 1999-06-28 日本電気株式会社 符号多重化通信装置
US6996077B1 (en) * 1997-07-03 2006-02-07 Kabushiki Kaisha Toshiba Satellite broadcasting system
US6167031A (en) 1997-08-29 2000-12-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selecting a combination of modulation and channel coding schemes in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US6389066B1 (en) 1997-09-21 2002-05-14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modification of modulated and coded scheme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529492B1 (en) * 1997-12-30 2003-03-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DMA radio multiplex transmitting device and a CDMA radio multiplex receiving device
KR100304924B1 (ko) * 1997-12-30 2001-11-22 서평원 코드분할다중접속셀룰러시스템의주파수간핸드오프제어방법
JP2866642B1 (ja) 1998-02-09 1999-03-08 株式会社ワイ・アール・ピー移動通信基盤技術研究所 スペクトル拡散多重伝送装置
JP3741866B2 (ja) * 1998-06-05 2006-02-01 富士通株式会社 適応変調方式
JP2970656B1 (ja) * 1998-06-25 1999-11-02 日本電気株式会社 Ds−cdmaマルチユーザ干渉キャンセラ
JP3904754B2 (ja) * 1999-02-25 2007-04-11 富士通株式会社 符号分割多重通信における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その方法
EP1054526A1 (en) 1999-05-18 2000-11-22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ink adaptation in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6804211B1 (en) * 1999-08-03 2004-10-12 Wi-Lan Inc. Frame structure for an adaptive modul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32391C (zh) * 1999-08-09 2003-12-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移动通信系统的导频同步信道的方法
JP2002009733A (ja) * 2000-06-27 2002-01-11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直交周波数分割多重変調方式の伝送装置
JP3343107B2 (ja) * 2000-08-25 2002-11-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基地局装置、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方法
FR2814012B1 (fr) * 2000-09-14 2002-10-31 Mitsubishi Electric Inf Tech PROCEDE D'ATTRIBUTION D'UN NIVEAU DE PUISSANCE D'EMISSION A DES SYMBOLES PILOTES UTILISES POUR l'ESTIMATION DU CANAL D'UN SYSTEME DE TRANSMISSION
KR100355271B1 (ko) * 2000-10-11 2002-1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적응형 전송기법을 이용한 강우 감쇠 보상방법
US6940915B2 (en) * 2000-11-30 2005-09-06 Nokia Mobile Phones Ltd. Adaptive learning method and system to adaptive modulation
US6721834B2 (en) * 2001-02-09 2004-04-13 Lucent Technologies Inc. Rate adap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20191568A1 (en) * 2001-03-29 2002-12-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daptive chip equalizers for synchronous DS-CDMA systems with pilot sequences
US6657980B2 (en) * 2001-04-12 2003-12-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packet data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027420B2 (en) * 2001-07-24 2006-04-11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link adaptation in WCDMA commun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6783A (ko) 2003-05-09
EP1408712A4 (en) 2007-09-19
CN100388848C (zh) 2008-05-14
WO2003007646A1 (fr) 2003-01-23
US7697466B2 (en) 2010-04-13
US20040022176A1 (en) 2004-02-05
CN1473448A (zh) 2004-02-04
JP2003032745A (ja) 2003-01-31
JP3660278B2 (ja) 2005-06-15
EP1408712A1 (en) 2004-04-14
EP1408712B1 (en)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9882B1 (ko)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통신 방법
CN100431312C (zh) 发送/接收上行发送功率偏移和功率电平的设备和方法
US20050213505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data retransmission control method
US80899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rate packet data transmission
KR100438432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어 데이터 전송방법
US7830818B2 (en) Reception quality measurement metho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s thereof
US74994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transmission status information and buffer state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supports uplink packet service
US8315339B2 (en) Channel estimation
JPWO2006095398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
CN101364858A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信道信息的方法
JP2002026808A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WO2004071045A1 (ja) 無線送信装置および伝送レート決定方法
US8073077B2 (en) Reception quality calculation method, reception quality calcul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apparatus
CA2374972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demodulation method
US843325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terminal
JP4409793B2 (ja) 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20030077733A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순방향 채널 품질을 보고하기 위한 채널 품질 보고 패턴결정 장치 및 방법
US7440740B2 (en) Method of transmitting data where in a first mode, the power level is not indicated in a message and an NPSK modulation scheme is used, and in a second mode, the power level is indicated in a message in an NQAM modulation scheme is used
JP4359218B2 (ja) 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