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7576B1 -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텔레스코픽붐 - Google Patents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텔레스코픽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576B1
KR100547576B1 KR1019980063361A KR19980063361A KR100547576B1 KR 100547576 B1 KR100547576 B1 KR 100547576B1 KR 1019980063361 A KR1019980063361 A KR 1019980063361A KR 19980063361 A KR19980063361 A KR 19980063361A KR 100547576 B1 KR100547576 B1 KR 100547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segment
telescopic
boom segment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6655A (ko
Inventor
이용기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63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576B1/ko
Publication of KR20000046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6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5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with jibs of adjustable configuration, e.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66C23/705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telescoped by hydraulic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실린더의 선택적인 작동에 의해 각각의 붐세그먼트가 동시에 순차적으로 연동되어 그 신축동작이 신속하고 유연하게 이루어지며 압유공급라인이 단일화되고 안정적으로 지지 및 안내되는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텔레스코픽붐을 제공한다.
그 텔레스코픽붐은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유압의 공급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작동실린더(36)가 설치된 제 1붐세그먼트(22)와; 작동실린더(36)의 작동에 따라 왕복동하는 구동로드(38)의 선단부가 고정되는 제 2붐세그먼트(24)와; 제 2붐세그먼트(24)에 순차적으로 수축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3 및 제 4붐세그먼트(26,28)와; 작동실린더(36)의 선택적작동에 따라 상기 제 3 및 제 4붐세그먼트(26,28)를 동시에 신축시키기 위한 연동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텔레스코픽붐
본 발명은 텔레스코픽 핸들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든 붐세그먼트를 동시에 연동시켜 신장 또는 신축시킬 수 있으며 압유공급라인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텔레스코픽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한적이진 않지만 유압식 차량으로서 텔레스코픽 핸들러가 있으며, 이같은 텔레스코픽 핸들러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붐세그먼트가 상호 교합되어 슬라이딩가능하게 조립된 텔레스코픽붐의 신축운동에 의해 비교적 고소위치에 있는 화물을 리프트시키고 이를 하역하거나 또는 이를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종래의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텔레스코픽붐에는 각각 2개의 유압실린더가 설치되어 있어 그 텔레스코픽붐을 신축작동시킨다. 즉, 예컨대 4개의 붐세그먼트로 구성된 텔레스코픽붐의 제 1붐세그먼트(차체에 직접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붐세그먼트)와 그 제 1붐세그먼트에 대해 슬라이딩식으로 연동하는 제 2붐세그먼트에는 제 1유압실린더가 설치되어 있어 그 제 1유압실린더에 의해 2단붐이 신축작동하며, 또한 제 3붐세그먼트와 그 제 3붐세그먼트에 대해 슬라이딩식으로 연동하는 제 4붐세그먼트(최선단 붐세그먼트)에는 제 2유압실린더가 설치되어 있어 그 제 2유압실린더에 의해 4단붐이 신축작동작하게되는 것이다. 또한 제 2붐세그먼트와 제 3세그먼트 사이에는 이들 각각의 세그먼트를 상호 상대적으로 신축시키기 위해 별도의 연동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예컨대 텔레스코픽 붐을 최대로 신장시키는 경우에는 먼저 제 1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제 2붐세그먼트를 제 1세그먼트에 대해 최대로 신장시킨 후, 이어서 제 2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제 4붐세그먼트를 제 3붐세그먼트에 대해 최대로 신장시켜 텔레스코픽붐을 신장시키는 것이다. 물론 이때 제 3붐세그먼트는 연동장치의 별도의 동작에 의해 제 2붐세그먼트에 대해 신장되는 것이며, 그 텔레스코픽붐의 수축동작은 그 역순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그러나, 2개의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텔레스코픽붐이 신축됨으로 인해 그 신축속도가 매우 느리며, 또한 연동장치에 의해 제 3붐세그먼트가 제 2붐세그먼트에 대해 신축될 때 그 연동작동이 스므드하지 못하여 운전자가 조작상 불쾌감을 느끼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의 유압실린더 및 별도의 연동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복수개의 호스가 필요하며 그 호스의 구조상 호스의 연결부위가 많게되어 내부구조가 복잡하게됨은 물론 텔레스코픽붐의 신축시 그 호스를 지지하거나 안내하는 수단의 부재로 인해 그 호스가 꼬이거나 파단되어 압유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연동장치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붐세그먼트를 신축시킬 수 있는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텔레스코픽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압유공급라인만을 필요로 하며 그 압유공급라인이 안정적으로 배설될 수 있는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텔레스코픽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 같은 목적들은 복수개의 붐세그먼트가 신축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텔레스코픽붐에 있어서,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유압의 공급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작동실린더가 설치된 제 1붐세그먼트와; 상기 작동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왕복동하는 구동로드의 선단부가 고정되는 제 2붐세그먼트와; 상기 제 2붐세그먼트에 순차적으로 수축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3 및 제 4붐세그먼트와; 상기 작동실린더의 선택적작동에 따라 상기 제 3 및 제 4붐세그먼트를 동시에 신축시키기 위한 연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텔레스코픽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중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스코픽붐이 적용되는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텔레스코픽붐의 작동장치를 상세히 보여주는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스코픽붐의 유압호스라인을 상세히 보여주는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텔레스코픽붐이 부분신장 또는 수축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텔레스코픽붐이 완전신장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텔레스코픽 핸들러는 기본적으로 4개의 구동휠 또는 2개의 궤도를 구비한 차체(10)를 포함하며, 그 차체(10)에는 선회베어링(12)에 의해 상부선회체(1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있으며, 또한 그 차체(10)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아웃트리거(1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선회체(14)에는 피봇(18)에 의해 텔레스코픽붐(20)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텔레스코픽붐(20)은 기본적으로 유압에 의해 신축되는 복수개의 붐세그먼트를 구비하는 바, 즉, 도면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로 상부선회체(1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 1붐세그먼트(22)와, 그 제 1붐세그먼트(22)에 대해 신축가능하게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제 2붐세그먼트(24), 제 3붐세그먼트(26) 및 제 4붐세그먼트(28)로 구성된다. 물론, 최종의 제 4붐세그먼트(28)의 일단에는 캐리지부재(30)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캐리지 부재에는 실제로 화물을 들어올리거나 운반할 수 있으며 유압실린더(32)에 의해 틸트작동되는 포크(34)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텔레스코픽붐(20)은, 제 1붐세그먼트(22)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제 2, 제 3 및 제 4붐세그먼트(24,26,28)가 제 1붐세그먼트(22)에 대해 동시에 순차적으로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순차적인 연동동작을 위해, 제 1붐세그먼트(22)에는 작동실린더(36)가 설치되며, 그 작동실린더(36)에서 왕복동하는 구동로드(38)의 선단은 브래킷(40)에 의해 제 2붐세그먼트(24)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그 작동실린더(36)의 구동로드(38)의 작동에 따라 제 2붐세그먼트(24)가 제 1붐세그먼트(22)에 대해 신축동작하게되는 것이다. 물론 그 작동실린더(36)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유압 콘트롤 유닛(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2붐세그먼트(24)의 전방 일측에는 제 1풀리(42)가 설치되고 그 풀리에는 일단이 제 1붐세그먼트(22)의 선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 3붐세그먼트(26)의 후단에 고정되는 제 1체인(44)의 일부가 감겨져 있으며, 이에 대칭적으로 제 2붐세그먼트(24)의 후방 타측에는 제 2풀리(46)가 설치되고 그 풀리에는 일단부가 제 1붐세그먼트(22)의 선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 3붐세그먼트(26)의 후단에 고정되는 제 2체인(48)의 일부가 감겨져 있다. 이에 따라, 제 2붐세그먼트(24)가 신축됨과 동시에 제 3붐세그먼트(26)가 신축되는 것이다.
유사하게, 제 3붐세그먼트(26)의 전방 일측에는 제 3풀리(50)가 설치되고 그 풀리에는 일단이 제 2붐세그먼트(24)의 선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 4붐세그먼트(28)의 후단에 고정되는 제 3체인(52)의 일부가 감겨져 있으며, 이에 대칭적으로 제 3붐세그먼트(26)의 후방 타측에는 제 4풀리(54)가 설치되고 그 풀리에는 일단이 제 2붐세그먼트(24)의 선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 4붐세그먼트(28)의 후단에 고정되는 제 4체인(56)의 일부가 감겨져 있다. 이에 따라, 제 3붐세그먼트(26)가 신축됨에 따라 동시에 제 4붐세그먼트(28)가 신축되는 것이다.
물론, 각각의 체인(44,48,52,56)의 각각의 세그먼트(22,24,26,28)에 대한 고정에는 앵커(58)들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붐(20)에는 제 4붐세그먼트(28)에 설치된 유압실린더(36)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압유공급라인이 설치된다. 그 압유공급라인은 유압콘트롤 라인에 연결되고 제 1세그먼트(22)에 고정설치되는 제 1파이프(60)와, 그 제 1파이프(60)에 연결되며 제 1세그먼트(22)에 굴곡 또는 롤링가능하게 내설되는 제 1호스(62)와, 그 제 1호스(62)에 연결되며 제 2 내지 제 4세그먼트(24,26,28)에 신축가능하게 내설되는 제 2호스(64)와, 그 제 2호스(64)에 연결되며 제 4세그먼트(28)에 고정적으로 내설되는 제 2파이프(66)와, 그 제 2파이프(66)와 유압실린더(3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호스(68)로 이루어진다. 이들 각각의 파이프 및 호스는 그들 상호간의 용이하고 안정적인 연결을 위해 커넥터(7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그 압유공급라인, 보다 상세하게는 그 압유공급라인의 제 2호스(64)를 안정적으로 지지 및 안내하기 위해 제 3붐세그먼트(26)에는 가이더(72)가 설치된다. 그 가이더(72)의 선단에는 제 2호스(64)가 걸쳐지거나 감겨져 지지 및 안내되는 롤러 또는 풀리(74)가 설치된다. 실제로, 그 가이더(72)의 일부 및 풀리(74)는 제 4붐세그먼트(28)내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그 가이더(72) 및 풀리(74)가 제 4붐세그먼트(28)내에서 안정적이고 원할하게 상대운동할 수 있도록 그 가이더(72)의 전방 하부에는 그 제 4붐세그먼트(28)의 내부에 미끄럼접촉되는 슬라이딩패드(76)가 구비된다.
물론, 그 텔레스코픽붐(20)에 설치되는 각각의 체인 및 호스는 그 텔레스코픽붐이 완전히 신장되거나 수축될 때 각각의 붐세그먼트의 최대 신장 및 수축작용에 영향을 주지않는 길이로 설정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텔레스코픽붐의 작동 및 그 작용모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상태에서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텔레스코픽붐(20)을 일부만 신장시켜 작업하기 위해 유압콘트롤 유닛을 조작하면 작동실린더(36)에 소정의 유압이 공급되어 이에 비례하게 구동로드(36)가 소정의 길이로 신장됨에 따라 제 2붐세그먼트(24)가 실선의 화살표방향으로 신장된다.
이와 같이 제 2붐세그먼트(24)가 신장됨과 동시에 제 1체인(44)과 제 2체인(48)에 실선의 화살표방향으로 인장력이 발생되며, 그 제 1 및 제 2체인(44,48)에 연계된 제 1 및 제 2풀리(42,46) 또한 실선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제 3붐세그먼트(26) 또한 실선의 화살표방향으로 신장된다.
또한, 제 3붐세그먼트(26)가 신장됨과 동시에 제 3체인(52)과 제 4체인(56)에 실선의 화살표방향으로 인장력이 발생되며, 그 제 3 및 제 4체인(52,56)에 연계된 제 3 및 제 4풀리(50,54) 또한 실선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제 4붐세그먼트(28) 또한 실선의 화살표방향으로 신장된다. 이에 따라, 붐조립체(20)의 각각의 붐세그먼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신장되는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은 상태에서 그 텔레스코픽붐(20)을 최대로 신장시키기 위해 작동실린더(36)에 계속적으로 압유를 공급하면, 각각의 체인(44,48,52,56) 및 풀리(42,44,48,52)의 작동에 의해 각각의 세그먼트(24,26,28)가 계속적으로 신장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로 신장되는 것이다.
결국, 작동실린더(36)의 작동에 따른 구동로드(38)의 신장이동에 따라 각각의 제 2내지 제 4붐세그먼트(24,26,28)가 동시에 순차적으로 신장되는 것이다.
이때, 그 텔레스코픽붐(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압실린더(32)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압유공급라인 또한 각각의 붐세그먼트의 신장작동에 따라 신장 또는 롤링된다. 즉,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붐세그먼트(24)가 실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신장되면 그 후단의 커넥터(70)에 연결된 제 1호스(62) 또한 실선의 화살표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동시에 제 3 및 제 4붐세그먼트(26,28)가 역시 실선의 화살표방향으로 신장되면 제 2호스(64) 또한 실선의 화살표방향으로 신장되는 바, 이때 그 제 2호스(64)는 제 3붐세그먼트(26)에 설치된 가이더(72)에 의해 안내 및 지지된다. 즉, 그 제 2호스(64)는 제 3 및 제 4붐세그먼트(26,28)가 전방으로 신장됨에 따라 가이더(72)의 풀리(74)에 의해 지지 및 안내되어 스므드하게 전개 또는 신장되는 것이다. 물론 이때, 그 가이더(72)는 그 것의 하부에 제공된 슬라이딩패드(76)에 의해 제 4붐세그먼트(28)의 내부에서 부드럽게 이동 및 안내되는 것이다.
역으로, 텔레스코픽붐을 수축시키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유압콘트롤 유닛을 이용하여 작동실린더(36)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키면 구동로드(38)가 점선의 화살표방향으로 수축됨에 따라 제 2붐세그먼트(24)가 점선의 화살표방향으로 수축된다.
이와 같이 제 2붐세그먼트(24)가 수축됨과 동시에 제 1체인(44)과 제 2체인(48)에 점선의 화살표방향으로 인장력이 발생되며, 그 제 1 및 제 2체인(44,48)에 연계된 제 1 및 제 2풀리(42,46) 또한 점선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제 3붐세그먼트(26) 또한 점선의 화살표방향으로 수축된다.
또한, 제 3붐세그먼트(26)가 수축됨과 동시에 제 3체인(52)과 제 4체인(56)에 점선의 화살표방향으로 인장력이 발생되며, 그 제 3 및 제 4체인(52,56)에 연계된 제 3 및 제 4풀리(50,54) 또한 점선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제 4붐세그먼트(26) 또한 점선의 화살표방향으로 수축된다. 이에 따라, 붐조립체(20)의 각각의 붐세그먼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수축되거나 또는 계속적인 각각의 붐세그먼트의 수축에 의해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완전히 수축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텔레스코픽붐(20)의 수축동작 또한 신장동작과 마찬가지로 작동실린더(36)의 작동에 따른 구동로드(38)의 수축이동에 따라 각각의 제 2내지 제 4붐세그먼트(24,26,28)가 동시에 순차적으로 수축되는 것이다.
또한, 그 텔레스코픽붐(20)의 내부에 설치된 압유공급라인 또한 각각의 붐세그먼트의 수축작동에 따라 수축 또는 복귀된다. 즉,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붐세그먼트(24)가 점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수축되면 그 후단의 커넥터(70)에 연결된 제 1호스(62) 또한 점선의 화살표방향으로 당겨지게된다. 동시에 제 3 및 제 4붐세그먼트(26,28)가 역시 점선의 화살표방향으로 수축되면 제 2호스(64) 또한 점선의 화살표방향으로 수축 또는 복귀되는 바, 이때 그 제 2호스(64)는 제 3붐세그먼트(26)에 설치된 가이더(72)에 의해 안내 및 지지된다. 즉, 그 제 2호스(64)는 제 3 및 제 4붐세그먼트(26,28)가 후방으로 수축됨에 따라 가이더(72)의 풀리(74)에 의해 지지 및 안내되어 스므드하게 수축 또는 복귀되는 것이다. 물론 이때, 그 가이더(72)는 그 것의 하부에 제공된 슬라이딩패드(76)에 의해 제 4붐세그먼트(28)의 내부에서 부드럽게 이동 및 안내된다.
이에 따라,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텔레스코픽붐을 신장 또는 수축시키기 위해 작동실린더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면 그 작동실린더의 구동로드의 신장 또는 수축에 따라 각각의 붐세그먼트가 동시에 순차적으로 연동됨으로서 그 신장속도 및 수축속도가 신속하며 신축동작이 유연하게 실행되는 것이다. 또한, 텔레스코픽붐의 신축작동시 그 내부에 설치된 압유공급라인이 안정적으로 안내 및 지지되어 그것의 꼬임 및 손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텔레스코픽붐에 의하면, 작동실린더의 선택적인 작동에 의해 각각의 붐세그먼트가 동시에 순차적으로 연동되어 그 신축동작이 신속하고 유연하게 이루어져 작업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며, 압유공급라인이 단일화되고 안정적으로 지지 및 안내되어 그것의 꼬임 및 손상이 완전 방지됨으로서 제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텔레스코픽붐이 적용되는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텔레스코픽붐의 연동장치를 상세히 보여주는 구성도.
도 3은 도 1의 텔레스코픽붐의 압유공급라인을 상세히 보여주는 구성도.
도 4는 텔레스코픽붐이 부분신장 또는 수축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텔레스코픽붐이 완전신장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텔레스코픽붐 22: 제 1붐세그먼트
24: 제 2붐세그먼트 26: 제 3붐세그먼트
28: 제 4붐세그먼트 32: 유압실린더
36: 작동실린더 38: 구동로드
42: 제 1풀리 44: 제 1체인
46: 제 2풀리 48: 제 2체인
50: 제 3풀리 52: 제 3체인
54: 제 4풀리 56: 제 4체인
72: 가이더 76: 슬라이딩패드

Claims (4)

  1. 복수개의 붐세그먼트가 신축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텔레스코픽붐에 있어서,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유압의 공급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작동실린더(36)가 설치된 제 1붐세그먼트(22)와;
    상기 작동실린더(36)의 구동로드(38)의 선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 1세그먼트(22)내부의 안내면을 따라 출몰안내되는 제 2붐세그먼트(24)와;
    상기 제 2붐세그먼트(24)에 순차적으로 수축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3 및 제 4붐세그먼트(26,28)와;
    상기 작동실린더(36)의 선택적 작동에 따라 상기 제 3 및 제 4붐세그먼트(26,28)를 동시에 신축시키기 위한 연동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동수단은
    제 2붐세그먼트(24)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는 제 1풀리(42)와,
    상기 제 1풀리에 일부가 감겨지고 일단이 상기 제 1붐세그먼트(22)의 선단에 고정되며 타단이 제 3붐세그먼트(26)의 후단에 고정되는 제 1체인(44)과,
    상기 제 2붐세그먼트(24)의 후방 타측에 설치되는 제 2풀리(46)와,
    상기 제 풀리(46)에 일부가 감겨지고 일단이 제 1붐세그먼트(22)의 선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 3붐세그먼트(26)의 후단에 고정되는 제 2체인(48)과,
    제 3붐세그먼트(26)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는 제 3풀리(50)와,
    상기 제 3풀리(50)에 일부가 감겨지고 일단이 제 2붐세그먼트(24)의 선단에 고정되며 타단이 제 4붐세그먼트(28)의 후단에 고정되는 제 3체인(52)과,
    상기 제 3붐세그먼트(26)의 후방 타측에 설치되는 제 4풀리(54)와,
    상기 제 4풀리에 일부가 감겨지고일단이 제 2붐세그먼트(24)의 선단에 고정되며 타단이 제 4붐세그먼트(28)의 후단에 고정되는 제 4체인(5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텔레스코픽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붐세그먼트(28)에는 포크를 구비하고 이 포크를 틸트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32)가 설치되며, 그 유압실린더(32)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압유공급라인이 상기 제 1,2,3,4붐세그먼트(22,24,26,28)의 내부에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텔레스코픽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유공급라인은
    유압콘트롤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제 1세그먼트(22)에 고정설치되는 제 1파이프(60)와,
    상기 제 1파이프(60)에 연결되며 제 1세그먼트(22)에 굴곡가능하게 내설되는 제 1호스(62)와,
    상기 제 1호스(62)에 연결되며 제 2 내지 제 4세그먼트(24,26,28)에 신축가능하게 내설되는 제 2호스(64)와,
    상기 제 2호스(64)에 연결되며 제 4세그먼트(28)에 고정적으로 내설되는 제 2파이프(66)와,
    상기 제 2파이프(66)와 유압실린더(3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호스(6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텔레스코픽붐.
  4.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붐세그먼트(26)의 후방에 고정되고, 선단에 상기 제 2호스(64)의 일부가 감겨져 지지 및 안내되는 풀리(74)가 설치되며, 상기 제 4세그먼트(28)의 내측면에 미끄럼접촉하는 슬라이딩패드(76)가 구비되는 가이더(7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텔레스코픽붐.
KR1019980063361A 1998-12-31 1998-12-31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텔레스코픽붐 KR100547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361A KR100547576B1 (ko) 1998-12-31 1998-12-31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텔레스코픽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361A KR100547576B1 (ko) 1998-12-31 1998-12-31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텔레스코픽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655A KR20000046655A (ko) 2000-07-25
KR100547576B1 true KR100547576B1 (ko) 2006-03-23

Family

ID=19569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361A KR100547576B1 (ko) 1998-12-31 1998-12-31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텔레스코픽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75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446B1 (ko) 2010-01-25 2010-08-26 유차근 크레인의 익스텐션 빔 장치
CN108568840A (zh) * 2017-03-13 2018-09-25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物料拣选用升降机构及物料拣选机器人
CN111847329A (zh) * 2019-04-30 2020-10-30 (株)东海机械航空 用于带电作业车的四级悬臂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080B1 (ko) * 1998-04-23 2006-11-30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치 코포레이션 신축성 붐
KR101130831B1 (ko) * 2010-03-30 2012-03-2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천장이동장치용 텔레스코픽 튜브
CN107961979A (zh) * 2017-12-13 2018-04-27 浙江机电职业技术学院 包裹的快速分拣装置
KR102136603B1 (ko) * 2018-10-17 2020-07-23 이준호 케이블 베이어가 없는 경량형 붐시스템
KR102246187B1 (ko) * 2020-12-28 2021-04-30 루스코리아 주식회사 와이어 로프의 교체가 용이한 크레인 붐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7996A (ja) * 1990-11-29 1992-07-17 Tadano Ltd 四段同時伸縮ブーム部分
JPH04197995A (ja) * 1990-11-29 1992-07-17 Tadano Ltd 四段同時伸縮ブーム部分
JPH07172770A (ja) * 1994-11-07 1995-07-11 Komatsu Ltd 移動式クレーンの伸縮シリンダ送油装置
KR20000012884U (ko) * 1998-12-22 2000-07-15 추호석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체인과 호스의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7996A (ja) * 1990-11-29 1992-07-17 Tadano Ltd 四段同時伸縮ブーム部分
JPH04197995A (ja) * 1990-11-29 1992-07-17 Tadano Ltd 四段同時伸縮ブーム部分
JPH07172770A (ja) * 1994-11-07 1995-07-11 Komatsu Ltd 移動式クレーンの伸縮シリンダ送油装置
KR20000012884U (ko) * 1998-12-22 2000-07-15 추호석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체인과 호스의 설치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446B1 (ko) 2010-01-25 2010-08-26 유차근 크레인의 익스텐션 빔 장치
CN108568840A (zh) * 2017-03-13 2018-09-25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物料拣选用升降机构及物料拣选机器人
CN111847329A (zh) * 2019-04-30 2020-10-30 (株)东海机械航空 用于带电作业车的四级悬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655A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11111A (en) Mobile hydraulic crane
KR100547576B1 (ko)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텔레스코픽붐
AU2014218354B2 (en) Boom extension and contraction mechanism for crane apparatus
KR970007462B1 (ko) 신축자재한 부움기용 캐리어 트랙 조립체
US5924837A (en) Extensible telescopic machine part
US4193505A (en) Arrangement in a hydraulically operated crane
US5992571A (en) Mast assembly for forklift trucks
CN2351417Y (zh) 起重机多节伸缩臂架
US4967917A (en) Jib derricking gear for a crane
KR950012718B1 (ko) 크레인의 지브 신장 및 격납장치
JP4283385B2 (ja) N段伸縮ブームにおける同時伸縮機構
JP4174309B2 (ja) 伸縮ブーム
JP4326053B2 (ja) 伸縮ブーム装置
JPH082876A (ja) 多段伸縮ブームのホース保持構造
JP3987786B2 (ja) 伸縮ブーム式高所作業車
JPH0314727B2 (ko)
JPS6282131A (ja) 建設機械の多段伸縮ア−ム
FI58105B (fi) Slangfoeringsanordning vid kranar
US3154198A (en) Rotatable derricks for use on a truck or other similar mobile platform
KR0138442B1 (ko) 신축부움을 갖춘 산업용지게차
JP3062058B2 (ja) 三段マスト式フォークリフトの油圧配管装置
US4404986A (en) Take up system for long lengths of high pressure hose
FI88492B (fi) Anordning vid en kranarm
CN220787880U (zh) 一种二节臂自由伸缩的伸缩臂
JP2002128486A (ja) 伸縮ブ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