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7045B1 -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045B1
KR100547045B1 KR1020030015047A KR20030015047A KR100547045B1 KR 100547045 B1 KR100547045 B1 KR 100547045B1 KR 1020030015047 A KR1020030015047 A KR 1020030015047A KR 20030015047 A KR20030015047 A KR 20030015047A KR 100547045 B1 KR100547045 B1 KR 100547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play
strik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5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0169A (ko
Inventor
신한철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to KR1020030015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045B1/ko
Publication of KR20040080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0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6Noise prevention; Anti-rattling means
    • E05B77/38Cushion elements, elastic guiding elements or holding elements, e.g. for cushioning or damping the impact of the bolt against the striker during closing of the w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의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도어를 차체에 닫힘 상태로 고정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 있어서, 걸쇠를 구비하여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래치와, 상기 도어 래치의 걸쇠에 맞물림으로써 도어를 고정하도록 상기 차체에 설치된 브래킷 상에 고정되는 스트라이커와, 상기 브래킷 상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 래치를 도어 개방방향으로 지지하는 유격방지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유격방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스트라이커와 도어 래치사이에 유격이 거의 발생되지 아니하며, 유격이 발생하여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서 도어 잠금 장치의 내구성과 성능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어, 잠금장치, 래치, 스트라이커, 범퍼, 유격, 로킹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 Locking mechanism for a car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 잠금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트라이커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격방지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격방지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 잠금 장치의 유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20 : 범퍼
2 : 차체 21 : 하우징
10 : 도어 잠금 장치 23 : 탭
11 : 래치 26 : 너트
12 : 걸쇠 30 : 헤드부
13 : 래치브라켓 31 : 하우징
14 : 래치박스 35 : 로드부
15 : 스트라이커 36 : 스프링
16 : 브라켓 40 : 범퍼
17 : 볼트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잠금 장치에 유격방지장치를 설치하여 스트라이커와 도어 래치의 유격을 최소화하고, 발생되는 유격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에는 도어가 힌지 고정되는데, 이 도어가 차체에 대해 닫힌 상태로 고정되고 필요시에는 개방될 수 있도록 도어 잠금 장치가 설치된다. 도어 잠금 장치는 차체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와 이 스트라이커에 맞물리도록 도어 상에 설치되는 도어 래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 래치는 도어가 닫힐 때에는 스트라이커와 맞물림으로써 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도어를 고정 지지하며, 차량의 가로 세로 방향으로 전해지는 진동에 견딜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어 잠금 장치의 스트라이커는 볼트에 의해 차체에 고정된 브라켓 상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도어 잠금 장치와 도어를 차체에 설치할 때, 도어 래치와 스트라이커의 맞물리는 위치에 편차가 발생하면 도어와 차체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여 차량의 외관이 불량하게 되고 주행 시에는 소음이 발생하기도 한다.
종래에는 도어 스트라이커와 도어 래치의 유격을 조정하기 위해 스트라이크 가 고정되는 브라켓과 차체 사이에 심(shim)을 추가 삽입하거나, 볼트를 약간 풀고 브라켓을 상하좌우로 조정한 후 볼트를 재체결 고정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작업자의 감각 또는 축적된 기술에 의하여 행하는 것이므로 부정확하여 미세한 조정이 곤란하기 때문에 재조정하는 경우가 많아서 작업공수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 잠금 장치의 유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차체에 대한 도어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도어에 범퍼를 설치하기도 하였다. 도어에 설치된 범퍼는 차체에 대한 도어의 진동을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으나, 도어 잠금 장치의 스트라이커와 도어 래치 사이에는 유격이 계속 존재하고 있어서, 사용에 의한 마모와 차량 주행 진동에 의해 유격이 더 커짐으로 인해 심한 경우에는 도어를 차체에 고정하는 힌지 부위가 파손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라이커와 도어 래치사이에 유격이 거의 발생되지 아니하며, 유격이 발생하여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서 내구성과 성능이 향상된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격방지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는 차량의 도어를 차체에 닫힘 상태로 고정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 있어서, 걸쇠를 구비하여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래치와, 상기 도어 래치의 걸쇠에 맞물림으로써 도어를 고정하도록 상기 차체에 설치된 브래킷 상에 고정되는 스트라이커와, 상기 브래킷 상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 래치를 도어 개방방향으로 지지하는 유격방지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유격방지장치는 상기 브라켓에서 수직 연장되는 중공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 일단에 설치되어 도어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도어 래치에 접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격방지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벽과 로드부의 외벽에 각각 탭이 형성되어 하우징과 로드부가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격방지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로드부를 상기 도어 래치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 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 잠금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트라이커의 사시도이다.
도어 잠금 장치(10)는 차량의 도어(1)를 차체(2)에 고정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도어 잠금 장치(10)는 도어(1)에 설치되는 도어 래치(11)와 차체에 고정되는 스트라이커(15)와 유격방지장치인 범퍼(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어 래치(11)는 도어(1) 상에 고정된 래치브라켓(13)과 래치박스(14)를 포함하는데, 래치박스(14)에는 스프링(미도시) 등에 의해 탄지되는 걸쇠(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도어 래치(11)에 대향하는 차체(2)에는 브라켓(16)이 볼트(17)로 고정되고, 이 브라켓(16)에 스트라이커(15)가 설치된다. 스트라이커(15)는 상기 도어(1)가 차체(2)에 대해 닫힐 때 도어 래치(11)의 걸쇠(12)에 맞물리도록 이루어진다. 스트라이커(15)가 걸쇠(12)에 맞물리면, 도어(1)는 잠김 상태에 고정 지지되며 차량이 주행되는 동안 진동이 전달되어도 열리지 않는다.
도어(1)를 개방할 때에는 도어(1) 외측의 손잡이(미도시)를 조작하여 스트라이커(15)와 맞물린 걸쇠(12)의 잠김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도어(1)를 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격방지장치로서 범퍼(20)가 설치된다. 범퍼(20)는 스트라이커(15) 양측으로 스트라이커(15)가 설치된 브라켓(16)상에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격방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범퍼(20)는 브라켓(16)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중공의 하우징(21)과, 이 하우징(21)에 삽입되는 로드부(25) 및 로드부(25) 끝단에 형성되는 헤드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21)의 내측면에는 탭(22)이 형성되고, 하우징(21)에 삽입되는 로드부(25)의 외측면에도 탭(23)이 형성되어 하우징(21)과 로드부(25)가 나사 결합된다. 로드부(25)는 너트(26)에 의해 하우징(21)에 대해 고정된다. 따라서, 로드부(25)를 하우징(21)에 대해서 나사 조정함으로써, 도어(1)가 닫힐 때 범퍼(20)의 헤드부(30)가 도어 래치(11)의 래치브라켓(13)과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 잠금 장치의 유격 상태도로서, 도5(a)는 유격방지장치를 설치하기 전의 유격 상태이고, 도 5(b)는 유격방지장치를 설치한 후의 유격상태를 도시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격방지장치인 범퍼(20)가 설치되기 전에는 도어 래치(11)의 걸쇠(12)와 스트라이커(15)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 d로 인해 도어(1)가 상하로 심하게 진동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유격방지장치(10)를 설치한 후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20)의 의해 도어 래치(11)의 걸쇠(12)가 도어(1)의 개방방향 A로 지지되기 때문에, 도어 래치(11)와 스트라이커(15) 사이의 유격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도어(1)의 계속적인 사용과 차량 진동으로 인해 도어 래치(11)와 스트라이커(15)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하여 유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범퍼(20)의 로드부(25)를 하우징(21)에 대해 나사 조정하여 헤드부(30)가 도어 래치(11)를 지지하는 높이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도어 잠금 장치(10)의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상태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격방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격방지장치인 범퍼(40)의 하우징(31) 내에는 탄성수단으로써 스프링(36)이 설치되는데, 이 스프링(36)은 로드부(35)를 도어 래치(11) 방향으로 탄성가압함으로써 범퍼(40)의 헤드부(30)는 도어 래치(11)와 스트라이커(15)의 상대 위치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도어 래치(11)를 도어 개방방향으로 항상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차량의 도어(1)는 도어 잠금 장치(10)의 유격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차체(2)에 고정될 수 있으며, 오랜 사용으로 인해 도어 래치(11)와 스트라이커(15) 사이의 위치 편차가 발생하여도 변화된 위치에 맞추어서 범퍼(40) 헤드부(30) 높이가 자동적으로 변화되므로 유격을 조정할 필요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 따르면, 유격방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스트라이커와 도어 래치사이에 유격이 거의 발생되지 아니하며, 유격이 발생하여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서 도어 잠금 장치의 내구성과 성능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4)

  1. 삭제
  2. 차량의 도어를 차체에 닫힘상태로 고정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걸쇠(12)를 구비하여 도어(1)에 설치되는 도어 래치(11);
    상기 걸쇠(12)에 맞물림으로써 도어(1)를 고정하도록 차체(2)에 설치된 브래킷(16)상에 고정되는 스트라이커(15); 및
    상기 브래킷(16)에서 수직 연장되는 중공의 하우징(21)과, 하우징(21)에 삽입되는 로드부(25)와, 로드부(25) 일단에 설치되어 도어(1)가 닫힌 상태일 경우 도어 래치(11)에 접하는 헤드부(30)를 포함하여, 상기 도어래치(11)를 도어(1) 개방방향으로 지지하는 유격방지장치(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 내벽과 로드부(25)의 외벽에는 각각 탭(22,23)이 형성되어 하우징(21)과 로드부(25)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4. 삭제
KR1020030015047A 2003-03-11 2003-03-11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KR100547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047A KR100547045B1 (ko) 2003-03-11 2003-03-11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047A KR100547045B1 (ko) 2003-03-11 2003-03-11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169A KR20040080169A (ko) 2004-09-18
KR100547045B1 true KR100547045B1 (ko) 2006-01-31

Family

ID=37364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047A KR100547045B1 (ko) 2003-03-11 2003-03-11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70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169A (ko) 200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045B1 (ko)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KR20100059521A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 가이드 범퍼
JP2863136B2 (ja) 引き戸装置
KR200156078Y1 (ko) 자동차 휀더의 완충러버 체결구조
JPH0243865B2 (ja) Jidoshayodoanoboshinsochi
KR100494670B1 (ko) 테일 게이트 록킹 장치
JP3475825B2 (ja) 自動ドア用ドアの取付け構造
JPH0541084Y2 (ko)
JP5418002B2 (ja) スライドドアのストッパ構造
JPH024207Y2 (ko)
KR100359517B1 (ko) 상용차 데크 여닫이용 래치
KR100423667B1 (ko) 차량의 슬라이드 도어의 상단부 스토퍼의 구조
KR100600655B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기구
KR200283534Y1 (ko) 붙박이장용상부호차
JPH1134932A (ja) 作業機のキャビン構造
KR100345855B1 (ko) 자동차의 리어리드 장착구조
KR0112750Y1 (ko) 철도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KR200327508Y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래치 구조
KR100558735B1 (ko) 슬라이딩 도어 완충장치
KR100552048B1 (ko) 자동차의 도어 래치
KR20070034671A (ko) 차량의 후드 스트라이커 체결구조
KR100226286B1 (ko) 자동차 트렁크 가이드 범퍼장치
JP3755121B2 (ja) 引き戸
KR0126156Y1 (ko) 자동차 체크 링크 결합구조
KR200157296Y1 (ko) 자동차의 엔진마운팅 브라켓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