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6423B1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6423B1
KR100546423B1 KR1020040001943A KR20040001943A KR100546423B1 KR 100546423 B1 KR100546423 B1 KR 100546423B1 KR 1020040001943 A KR1020040001943 A KR 1020040001943A KR 20040001943 A KR20040001943 A KR 20040001943A KR 100546423 B1 KR100546423 B1 KR 100546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ver
contact
annular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2031A (ko
Inventor
다께다마사유끼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2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6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6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of switch contacts
    • H01H11/06Fixing of contacts to carrier ; Fixing of contacts to insulating carrier
    • H01H2011/062Fixing of contacts to carrier ; Fixing of contacts to insulating carrier by inserting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1/24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용착이나 접착 등의 특별한 후가공을 할 필요가 없어 저비용 대응이 가능하고, 2부품을 끼워 맞추기만 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밀폐성이 높은 스위치 장치의 시일드 구조를 제공한다.
케이스 (1) 와 커버 (6) 의 접합부 중 어느 한 쪽에 환형 돌출벽부 (1n) 를 형성하는 동시에 다른 쪽에 돌출벽부 (1n) 와 끼워 맞춰지는 환형 오목홈부 (6f) 를 형성하고, 또한 환형 돌출벽부 (1n) 의 선단에 탄성변형부 (1p) 를 형성하는 동시에 환형 오목홈부 (6f) 의 저부 근방에 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부 (6g) 를 형성하여 케이스 (1) 와 커버 (6) 를 끼워 맞출 때 탄성변형부 (1p) 와 경사부 (6g) 를 압접시켜 밀착하게 하였다.

Description

스위치 장치{SWITCH DEVIC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케이스와 커버의 끼워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초기 상태의 접점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동작 상태의 접점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1a : 패널부
1b : 베이스부 1c : 창구멍부
1d : 개구부 1e : 수납부
1f : 탄성아암부 1g : 로크부
1h : 축구멍 1i : 걸어맞춤 돌기
1j : 스핀들부 1k, 1l, 1m : 접점유지부
1n : 돌출벽부 1o : 절결부
1p : 박육부 (탄성변형부) 1q : 경사부
2 : 구동부재 2a, 2b : 회전운동축
2c : 레버 걸어맞춤부 2d : 회전운동 아암
3, 4 : 고정접점 3a, 4a : 접점
3b, 4b : 접속단자 5 : 가동접점
5a : 접점 5b : 아암판
5c : 접속단자 6 : 커버
6a : 걸림부 6b, 6c, 6d : 단자유지부
6e : 걸어맞춤 구멍 6f : 오목홈부
6g : 경사부 6h : 측벽부
6i : 세벽부(細壁部:탄성변형부) 7 : 레버
7a : 조작부 7b : 끼워맞춤 구멍
7c : 스프링 받이부 8 : 복귀 스프링
본 발명은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고 등에 사용되는 스위치 장치의 시일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위치 장치의 시일드 구조로는, 예를 들어 케이스와 커버를 끼워 맞추 는 경우에는, 케이스와 커버를 겹쳐 맞춘 후에 가열하거나 초음파 등에 의해 접합면을 용착함으로써 시일드하는 구조인 것이 알려져 있다.
또, 케이스와 커버를 겹쳐 맞춘 후에 서로의 끼워맞춤면 틈에 수지로 만든 접착제를 부어 넣어 접착함으로써 시일드하는 구조인 것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6660호 및 동 13-77503호 참조).
그러나, 상기 서술한 종래 스위치 장치의 시일드 구조에서는, 접합면을 용착하는 경우이건 끼워맞춤면의 틈에 접착제를 부어 넣어 접착하는 경우이건 스위치 장치의 조립 종료후에 용착하거나 접착하는 공정이기 때문에 시일드를 위한 공정이 증가하여 비용이 상승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시일드하기 위한 전용 설비가 필요해져 그 유지,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서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스위치 장치의 시일드 구조에서 용착이나 접착 등의 특별한 후공정을 할 필요가 없어 저비용 대응이 가능하고, 2부품을 끼워 맞추기만 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밀폐성이 높은 스위치 장치의 시일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 1 수단으로서, 한 면에 개구된 수납부를 갖는 케이스, 상기 수납부에 배치된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으로 이루어지는 접점부, 이 접점부를 구동하여 접촉분리시키는 구동부재, 이 구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 및 상기 케이스의 수납부 개 구를 덮도록 부착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의 접합부에는 어느 한 쪽에 환형 돌출벽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다른 쪽에 상기 돌출벽부와 끼워 맞춰지는 환형 오목홈부를 형성하고, 또한 환형 돌출벽부의 선단에 탄성변형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환형 오목홈부의 저부 근방에 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를 끼워 맞출 때 상기 탄성변형부와 상기 경사부를 압접시켜 밀착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수단으로서, 상기 탄성변형부에는 탄성변형 가능한 박육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수단으로서, 탄성변형 가능한 상기 박육부를, 중앙에 절결부가 있는 두 갈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수단으로서, 상기 환형 오목홈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측벽부의 적어도 한 쪽을 돌출벽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돌출벽 형상의 측벽부 선단에 탄성변형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탄성변형부와 대향하는 상기 환형 돌출벽부의 기부 근방에 바깥쪽으로 넓어지는 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5 수단으로서, 돌출벽 형상인 상기 측벽부의 선단을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테이퍼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낸다. 도 1 은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스위치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3 은 스위치 장 치의 단면도, 도 4 는 케이스와 커버의 끼워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5 는 초기 상태의 접점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 은 동작 상태의 접점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케이스 (1) 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평판형 패널부 (1a) 와 이 패널부 (1a) 에 연결접속된 베이스부 (1b) 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널부 (1a) 의 상면에는 창구멍부 (1c)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창구멍부 (1c) 에 후술할 레버 (7) 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삽입장착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창구멍부 (1c) 에 연속하여 상기 케이스 (1) 의 일측면부에 개구하는 개구부 (1d) 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베이스부 (1b) 의 측부 중 한 면에는 박스형으로 개구되어 이 개구내에 후술할 접점부 등이 배치되는 수납부 (1e)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케이스 (1) 의 배면측에는 편면이 자유단으로 되고 탄성이 있는 탄성 아암부 (1f) 가 형성되어 있고, 이 탄성 아암부 (1f) 의 자유단에는 전자기기의 패널 등에 끼워 장착되는 물결형 요철부로 이루어지는 로크부 (1g)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케이스 (1) 의 배면에는 후술할 구동부재 (2) 의 회전운동축 (2b) 이 축지지되는 축구멍 (1h) 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케이스 (1) 에서 상기 수납부 (1e) 의 대향하는 측면부에는 후술할 커버 (6) 의 걸어맞춤 구멍 (6e) 에 걸어맞춰지는 볼록형 걸어맞춤 돌기 (1i)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부 (1e) 에는 상부의 일단측에 후술할 구동부재 (2) 의 회전운동축 (2a) 이 축지지되는 스핀들부 (1j) 가 설치되어 있고, 또 하부 중앙에는 후술할 접 점부가 삽입되어 유지되는 접점유지부 (1k, 1l, 1m) 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납부 (1e) 의 가장자리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 (1e) 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환형 돌출벽부 (1n) 가 설치되어 있고, 이 환형 돌출벽부 (1n) 의 선단에는 중앙에 절결부 (1o) 를 갖는 두 갈래 형상의 박육부 (1p)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박육부 (1p) 는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탄성변형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환형 돌출벽부 (1n) 의 기부 근방에는 기부 방향으로 두꺼워지고 바깥쪽으로 넓어지는 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부 (1q) 가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부 (1q) 에 후술할 커버 (6) 의 환형 오목홈부 (6f) 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측벽부의 한 쪽에 테이퍼형으로 설치된 탄성변형부인 세벽부 (6i) 가 맞닿게 되어 있다.
구동부재 (2) 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되어 있고, 원주형으로 이루어지는 크고 작은 회전운동축 (2a, 2b) 과, 이 회전운동축 (2a, 2b) 과 동축상에 설치된 레버 걸어맞춤부 (2c) 와, 후술할 접점부를 구동하는 회전운동 아암 (2d) 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동부재 (2) 는 상기 레버 걸어맞춤부 (2c) 에 후술할 레버 (7) 의 끼워맞춤 구멍 (7b) 이 끼워 맞춰지고, 상기 회전운동축 (2a, 2b) 이 상기 케이스 (1) 에 설치된 상기 스핀들부 (1j) 및 상기 축구멍 (1h) 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되게 되어 있다.
접점부는 도전성 금속판을 펀칭하고 절곡가공하여 형성된 한 쌍의 고정점점 (3, 4) 과 이 고정접점 (3, 4) 을 접속분리하는 가동접점 (5) 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고정접점 (3, 4) 의 일단측에는 도전성이 우수한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접점 (3a, 4a) 이 고착되고, 타단측에는 바깥쪽으로 도출되는 접속단자 (3b, 4b) 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동접점 (5) 은 탄성을 갖는 박판형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일단측에 접점 (5a) 이 고착된 가동성 아암판 (5b) 과, 이 아암판 (5b) 에 연결접속되어 2장 접어 겹친 상태로 소정 형상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접속단자 (5c) 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접점 (5) 은 가동성인 상기 아암판 (5b) 을 갖기 때문에 상기 고정접점 (3, 4) 의 금속판보다도 박판형인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접속단자 (5c) 는 2장 접어 겹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 단자부의 강도 상승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2장 접어 겹친 상태로 소정 형상으로 절단하기 때문에 마지막 절단 공정에서 외형 치수 등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어 상대부품과의 걸어맞춤 정밀도도 향상되고 후술할 커버 (6) 의 단자유지부 (6d) 와의 시일드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접점 (3, 4) 과 상기 가동접점 (5) 은, 상기 케이스 (1) 에 설치된 상기 접점유지부 (1k, 1l, 1m) 에 상기 접속단자 (3b, 4b, 5c) 가 삽입장착되어 각각 유지되게 되어 있다.
커버 (6) 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일측면이 개구된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커버 (6) 의 개구측과 반대측인 정면 상단부에는 물결형 요철부로 이루어지는 걸림부 (6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부 (6a) 와 상기 케이스 (1) 에 설치된 탄성아암부 (1f) 의 상기 로크부 (1g) 가 협동하여 전자기기의 패널 등에 끼워 장착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커버 (6) 의 정면 중앙에는 상기 접점부의 접속단자 (3b, 4b, 5c) 가 돌출하여 도출되는 단자유지부 (6b, 6c, 6d) 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 (6) 의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 측판부에는 상기 케이스 (1) 에서 상기 수납부 (1e) 의 대향하는 측면부에 설치된 상기 걸어맞춤 돌기 (1i) 에 걸어 맞춰 상기 커버 (6) 를 상기 케이스 (1) 에 끼워 장착하기 위해 걸어맞춤 구멍 (6e)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 (6) 의 개구부 가장자리에는 개구부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환형 오목홈부 (6f) 가 형서되어 있고, 이 환형 오목홈부 (6f) 의 저부 근방에는 저부 방향을 향해 테이퍼형이 되는 사면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경사부 (6g, 6g)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 (6) 의 환형 오목홈부 (6f) 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측벽부 중 내측의 측벽부 (6h) 는 돌출벽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측벽부 (6h) 의 선단측은 탄성변형 가능하게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세벽부 (6i) 를 구성하고 있다. 이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상기 세벽부 (6i) 가 탄성변형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를 조립할 때에는 상기 커버 (6) 가 상기 케이스 (1) 의 상기 수납부 (1e) 의 개구를 덮도록 끼워 장착되며, 상기 케이스 (1) 의 상기 수납부 (1e) 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상기 환형 돌출벽부 (1n) 가 상기 커버 (6) 에 설치된 상기 환형 오목홈부 (6f) 에 끼워 맞춰진다.
이 때, 상기 환형 돌출벽부 (1n) 의 선단에 설치된 탄성변형부인 두 갈래 형상의 상기 박육부 (1p, 1p) 가 상기 환형 오목홈부 (6f) 의 저부 근방에 설치된 테이퍼형의 상기 경사부 (6g, 6g) 에 맞닿게 되어 상기 박육부 (1p, 1p) 가 상기 경사부 (6g, 6g) 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박육부 (1p, 1p) 가 상기 경사부 (6g, 6g) 에 탄발력에 의해 압접됨으로써 상기 케이스 (1) 와 상기 커버 (6) 가 밀착된 상태로 끼워 맞춰지게 된다. 따라서, 2부품을 끼워 맞추기만 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높은 밀폐성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탄성변형부에는 탄성변형 가능한 상기 박육부 (1p) 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변형이 용이해지고 간단한 구조로 확실한 탄발력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박육부 (1p) 를 중앙에 절결부가 있는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2장소에서의 압접이 가능해져 간단한 구조로 확실한 밀폐성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환형 돌출벽부 (1n) 의 기부 근방에는 기부의 방향으로 두꺼워지고 바깥쪽으로 넓어지는 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부 (1q) 가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부 (1q) 에 상기 커버 (6) 의 환형 오목홈부 (6f) 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측벽부 중 내측의 상기 측벽부 (6h) 에 테이퍼형으로 설치된 탄성변형부인 세벽부 (6i) 가 맞닿게 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상기 세벽부 (6i) 가 상기 경사부 (1q) 에 탄발력에 의해 압접됨으로써 상기 케이스 (1) 와 상기 커버 (6) 가 더욱 밀착된 상태로 끼워 맞춰지게 된다.
이처럼, 복수 장소에서 2중으로 압접시켜 밀착하게 하였기 때문에 더 높은 밀봉성을 얻을 수 있게 되고, 또 돌출벽 모양의 상기 측벽부 (6h) 의 선단을 탄성변형 가능하게 테이퍼형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확실한 탄발력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레버 (7) 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에 의해 대략 산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자기기에 내장된 액튜에이터 등으로 회전운동 조작되는 조작부 (7a) 와, 접점부를 구동하는 상기 구동부재 (2) 의 레버 걸어맞춤부 (2c) 와 끼워 맞춰지는 끼워맞춤 구멍 (7b)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저면측에는 상기 레버 (7) 와 걸어 맞춰져 상기 레버 (7) 를 초기 위치로 탄성지지하는 복귀스프링 (8) 을 거는 스프링 받이부 (7c) 가 형성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 (1) 의 패널부 (1a) 의 창구멍부 (1c) 에 상기 복귀스프링 (8) 과 상기 레버 (7) 를 삽입 장착하여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부 (1b) 의 수납부 (1e) 의 상기 스핀들부 (1j) 에 상기 구동부재 (2) 의 회전운동축 (2a) 을 축지지하고 상기 레버 (7) 의 끼워맞춤 구멍 (7b) 에 상기 구동부재 (2) 의 레버 걸어맞춤부 (2c) 를 끼워 맞춰 고정한다.
이어서, 상기 수납부 (1e) 의 접점유지부 (1k, 1l, 1m) 에 상기 고정접점 (3, 4) 및 가동접점 (5) 의 접속단자 (3b, 4b 및 5c) 를 삽입 장착하여 각각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 (1e) 의 개구를 덮도록 상기 커버 (6) 를 끼워 장착하고 상기 접속단자 (3b, 4b, 5c) 를 상기 단자유지부 (6b, 6c, 6d) 에서 돌출시켜 유지한다.
이 때, 상기 케이스 (1) 의 상기 수납부 (1e) 주위를 덮도록 설치된 상기 환 형 돌출벽부 (1n) 와 상기 커버 (6) 에 설치된 상기 환형 오목홈부 (6f) 를 끼워 맞춘 상태로 상기 케이스 (1) 의 측면부에 설치된 상기 걸어맞춤 돌기 (1i) 와 상기 커버 (6) 의 측판부에 설치된 상기 걸어맞춤 구멍 (6e) 을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케이스 (1) 에 상기 커버 (6) 가 고착되게 되어 조립이 종료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도 5, 도 6 으로 설명한다.
도 5 에 나타내는 것은 초기 상태로서, 이 때 상기 레버 (7) 는 복귀스프링 (8) 에 의해 위쪽으로 탄성지지되고 있고, 상기 구동부재 (2) 의 회전운동 아암 (2d) 이 상기 가동접점 (5) 의 아암판 (5b) 을 위쪽으로 들어올려 상기 고정접점 (3) 의 접점 (3a) 과 상기 가동접점 (5) 의 접점 (5a) 이 온 상태가 되어 있다.
이어서,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레버 (7) 의 조작부 (7a) 가 아래쪽으로 눌리면, 상기 구동부재 (2) 의 회전운동 아암 (2d) 이 아래쪽으로 회전운동하여 상기 가동접점 (5) 의 아암판 (5b) 이 자체의 탄발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가동접점 (5) 의 접점 (5a) 이 상기 고정접점 (3) 의 접점 (3a) 에서 떨어져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접점 (4) 의 접점 (4a) 과 온 상태가 됨으로써 접점부가 전환되게 되어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면, 스위치 장치의 케이스와 커버를 접합시키는 경우에, 상기 케이스 (1) 에 환형 돌출벽부 (1n) 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커버 (6) 에 이 돌출벽부 (1n) 와 끼워 맞춰지는 환형 오목홈부 (6f) 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환형 돌출벽부 (1n) 의 선단에 탄성변형부인 두 갈래 형상의 상기 박육부 (1p) 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환형 오목홈부 (6f) 의 저부 근방에 테이퍼형 사면으로 이루 어지는 상기 경사부 (6g) 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 (1) 와 상기 커버 (6) 를 끼워 맞출 때에는 상기 박육부 (1p) 와 상기 경사부 (6g) 를 압접시킨 상태로 밀착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환형 돌출벽부 (1n) 의 선단에 형성한 상기 박육부 (1p) 가 상기 환형 오목홈부 (6f) 의 저부 근방에 형성한 상기 경사부 (6g) 에 의해 탄성변형됨으로써 탄발력에 의해 눌려지기 때문에, 스위치 장치의 시일드에 용착이나 접착 등의 특별한 후공정을 할 필요가 없어 저비용 대응이 가능하고, 2부품을 끼워 맞추기만 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높은 밀폐성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한 면에 개구된 수납부를 갖는 케이스, 상기 수납부에 배치된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으로 이루어지는 접점부, 이 접점부를 구동하여 접촉분리시키는 구동부재, 이 구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 및 상기 케이스의 수납부 개구를 덮도록 부착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의 접합부에는 어느 한 쪽에 환형 돌출벽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다른 쪽에 상기 돌출벽부와 끼워 맞춰지는 환형 오목홈부를 형성하고, 또한 환형 돌출벽부의 선단에 탄성변형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환형 오목홈부의 저부 근방에 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를 끼워 맞출 때 상기 탄성변형부와 상기 경사부를 압접시켜 밀착하게 하여, 환형 돌출벽부의 선단에 형성한 탄성변형부가 환형 오목홈부의 저부 근방에 형성한 경사부에 의해 탄성 변형됨으로써 탄발력에 의해 눌러져 스위치 장치의 시일드에 용착이나 접착 등의 특별한 후공정을 할 필요가 없어 저비용 대응이 가능하고, 2부품을 끼워 맞추기만 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높은 밀폐성을 얻을 수 있다.
탄성변형부에는 탄성변형 가능한 박육부를 형성하여, 변형이 용이해지고 간단한 구조로 확실한 탄발력을 얻을 수 있다.
탄성변형 가능한 상기 박육부를, 중앙에 절결부가 있는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하여, 2개소에서의 압접이 가능해져 간단한 구조로 확실한 밀봉성을 얻을 수 있다.
환형 오목홈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측벽부의 적어도 한 쪽을 돌출벽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돌출벽 형상의 측벽부 선단에 탄성변형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탄성변형부와 대향하는 상기 환형 돌출벽부의 기부 근방에 바깥쪽으로 넓어지는 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부를 형성하여, 복수 개소에서 2중으로 압접시켜 밀착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더 높은 밀봉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돌출벽 형상인 상기 측벽부의 선단을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테이퍼형으로 형성하여, 간단한 구조로 확실한 탄발력을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한 면에 개구된 수납부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수납부에 배치된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으로 이루어지는 접점부와, 이 접점부를 구동하여 접촉분리시키는 구동부재와, 이 구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와, 상기 케이스의 수납부 개구를 덮도록 부착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의 접합부에는, 어느 한 쪽에 환형 돌출벽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다른 쪽에 상기 돌출벽부와 끼워 맞춰지는 환형 오목홈부를 형성하고, 또한 환형 돌출벽부의 선단에 탄성변형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환형 오목홈부의 저부 근방에 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를 끼워 맞출 때 상기 탄성변형부와 상기 경사부를 압접시켜 밀착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부에는 탄성변형 가능한 박육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탄성변형 가능한 상기 박육부를, 중앙에 절결부가 있는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오목홈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측벽부의 적어도 한 쪽을 돌출벽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돌출벽 형상의 측벽부 선단에 탄성변형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탄성변형부와 대향하는 상기 환형 돌출벽부의 기부 근방에 바깥쪽으로 넓어지는 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돌출벽 형상인 상기 측벽부의 선단을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테이퍼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040001943A 2003-02-07 2004-01-12 스위치 장치 KR1005464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31621 2003-02-07
JP2003031621A JP2004241327A (ja) 2003-02-07 2003-02-07 スイ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031A KR20040072031A (ko) 2004-08-16
KR100546423B1 true KR100546423B1 (ko) 2006-01-26

Family

ID=32653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943A KR100546423B1 (ko) 2003-02-07 2004-01-12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445783B1 (ko)
JP (1) JP2004241327A (ko)
KR (1) KR100546423B1 (ko)
CN (1) CN1246870C (ko)
DE (1) DE602004003727T2 (ko)
TW (1) TWI2353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4422B2 (ja) * 2005-11-08 2012-02-01 株式会社東芝 誘導加熱調理器
JP4862697B2 (ja) * 2007-03-08 2012-01-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5497591B2 (ja) * 2010-09-09 2014-05-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CN102931011A (zh) * 2011-08-09 2013-02-13 株式会社Magma 易于组装盖子的按钮开关装置
DE102013210208A1 (de) * 2013-05-31 2014-12-04 Tyco Electronics Amp Gmbh Schaltkontaktkammerabdichtung
JP7010484B2 (ja) * 2018-07-17 2022-01-26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揺動式電子部品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09207C3 (de) * 1975-03-04 1979-02-15 Brown, Boveri & Cie Ag, 6800 Mannheim Gehäuse für einen magnetischen Auslöser, insbesondere für Fehlerstromschutzschalter
US4652706A (en) * 1986-01-29 1987-03-24 Tower Manufacturing Corporation Double pole switch construction
US5260532A (en) * 1991-11-01 1993-11-09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Sealed housing for a remote switching device
US5276299A (en) * 1991-11-05 1994-01-0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limit switch
DE29612829U1 (de) * 1996-07-24 1996-10-02 Schlegel Georg Gmbh & Co Schutzkappe für Betätiger von Befehlsgeräten
JP2000331567A (ja) * 1999-05-24 2000-11-30 Mikku Enterprise:Kk 防水型レバー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241327A (ja) 2004-08-26
CN1246870C (zh) 2006-03-22
CN1521782A (zh) 2004-08-18
EP1445783B1 (en) 2006-12-20
DE602004003727D1 (de) 2007-02-01
KR20040072031A (ko) 2004-08-16
EP1445783A3 (en) 2005-09-14
TWI235397B (en) 2005-07-01
EP1445783A2 (en) 2004-08-11
TW200503034A (en) 2005-01-16
DE602004003727T2 (de)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4565A (en) Sealed slide switch
CA2809559C (en) Terminal and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ame
KR100546423B1 (ko) 스위치 장치
JP4540527B2 (ja) 回転型電気部品
JP2916127B2 (ja) 防水用のプッシュスイッチ
CN102484009A (zh) 通用负载开关
JP4174222B2 (ja) 回転型センサ
JP2005294112A (ja) スイッチ装置
JP4170023B2 (ja) 回転型センサ
JP3803496B2 (ja) 押釦スイッチ
KR100501059B1 (ko) 푸시버튼 스위치
KR890004966B1 (ko) 슬라이드 스위치
JP3942423B2 (ja) 熱応動スイッチ
JP6541083B1 (ja) センサ用コネクタ
JP6563356B2 (ja) スライドスイッチ
JPH0447860Y2 (ko)
JP3692218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装置
TWI223822B (en) Switching device
JP5508056B2 (ja) 電気接続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3627A (ja) スイッチ
JPH0345395Y2 (ko)
JPS5927025Y2 (ja) ジヤツク
JP3224701B2 (ja) スイッチ装置
JPH11265634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CN113555237A (zh) 一种开关自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