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6083B1 - 항공등화시설 원격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항공등화시설 원격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6083B1
KR100546083B1 KR1020030008176A KR20030008176A KR100546083B1 KR 100546083 B1 KR100546083 B1 KR 100546083B1 KR 1020030008176 A KR1020030008176 A KR 1020030008176A KR 20030008176 A KR20030008176 A KR 20030008176A KR 100546083 B1 KR100546083 B1 KR 100546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facility
air
command
facility
cod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8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2199A (ko
Inventor
전제임스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맥스 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맥스 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맥스 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030008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6083B1/ko
Publication of KR20040072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6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6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6Airborne or Satellite Network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등화시설 원격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활주로의 이ㆍ착륙지점 표시 또는 위험구역 등을 표시하는 항공등화시설을 컴퓨터 입출력을 통해 원거리에서 제어하고,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서 배전반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통해 점등 및 소등되어 항공기의 이ㆍ착륙을 유도함과 더불어, 각종 유형의 이상유무를 감지 및 검출하여 그 결과데이터를 전송하는 항공등화시설, 사용자의 명령을 상기 무선통신을 통해 항공등화시설로 전송하고 그 결과데이타를 수신하여 항공등화시설을 관리 및 제어하는 메인서버 및 항공등화시설과 메인서버 간에 설치되어 항공등화시설과 메인서버간의 무선통신을 중계하는 항공등화시설 데이타 송수신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항공등화시설을 관련법규와 필요에 따라 개별, 그룹, 전체별로 전원을 온/오프하여 해당 항공등화시설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주위 밝기, 시정 및 운고 등에 따라 적정한 광도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항공기 조종사에게 이ㆍ착륙조작에 필요한 모든 시각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항공등화시설, 등대, 원격제어, CDMA, RF, 항공기

Description

항공등화시설 원격제어시스템{Aeronautical light remote controlling system}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항공등화시설 원격제어시스템의 망구성도.
도 2 는 도 1 의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와 유도로등의 구성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항공등화시설 원격제어시스템의 망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출력수단 20 : 메인 서버
30 : 항공등화시설 데이타 송수신기
40 : 항공등화시설 51 : RF 모듈
52 : 램 53 : 롬
54 : CPU 55 : 램프소손감지부
56 : 전류검출부 57 : 전압검출부
58 : 액튜에이터 42 : 전원부
44 : 누전차단기 46 : 안정기
48 : 램프 60 : 배전반
본 발명은 원격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항공기 조종사에게 이ㆍ착륙에 필요한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항공등화시설을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제어하고, 감시할 수 있도록 한 항공등화시설 원격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기 개발시대의 항공등화시설은 활주로의 이ㆍ착륙지점 표시 또는 위험구역 등을 표시하는 단순한 기능으로 사용하였다. 하지만, 오늘날의 항공등화는 빛, 색채 및 배열로 구성되어 주위 밝기, 시정 및 운고 등에 따라 적정한 광도조절을 하여 항공기 조종사에게 이ㆍ착륙조작에 필요한 모든 시각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최종 착륙단계에는 조종사의 시각에 의하여 인위적 착륙조작을 하여야 하므로 안전한 이ㆍ착륙의 상태를 결정하는 요소로서 항공등화시설의 역할은 대단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오늘날 공항의 항공등화시설은 일반 조명과는 달리 특수한 형태와 목적에 따라 고도의 기술 집약적 최첨단 장비 및 성능이 발휘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항공등화 시설 운영의 적합성은 항공기 안전 운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국내 법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및 미연방항공청(FAA) 등에서는 설치 및 운영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국내 공항에서도 제규정에 적합 하게 설치되어 운영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항공등화시설은 그 사용기능에 따라 여러가지로 나누어진다.
진입 조명은 먼저 주간 또는 야간에 항공기 조종사에게 활주로의 방향을 알려주며, 항공기가 활주로에 안전하게 정확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유도하여 주는 것으로서, 진입등, 진입각지시등, 활주로 말단식별등, 선회등으로 나누어진다.
활주로 조명은 항공기가 활주로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불빛 또는 색상으로 활주로의 지역을 알려주는 것으로서, 활주로등, 활주로중심선등, 활주로말단등, 활주로종단등, 접지대등, 활주로 거리등으로 나누어진다.
유도로 조명은 도로에서 일종의 교통신호등 및 표지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항공기가 유도로 주행시 안전하고 빠르게 지상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화이다. 이는 유도로등, 유도로중심선등, 정지선등, 유도안내등, 유도로교차등, 활주로경계등으로 나누어진다.
지시ㆍ신호 조명은 항공기가 비행중이거나 이동지역상에 있는 조종사에게 활주로 지역의 바람방향과 착륙방향 및 비상시 수동으로 어떤 목표지점을 알려주는 등화로서, 풍향등, 지향신호등, 착륙방향지시등으로 나누어진다.
마지막으로 위치 조명은 항행하는 비행장의 위치 등을 알려주는 등화로서, 비행장등대가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항공등화시설에 있어서, 전선 또는 배전반은 램프 또는 안 정기의 단선, 전선의 누전, 단선사고, 누전차단기의 오동작 등 예측할 수 없는 다양한 고장이 발생하는 데, 이러한 고장에 따라 시설물의 보수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보수요원이 램프나 안정기의 교체 등 기타 보수작업을 수행한 후 시각적으로 직접 확인하여야 하였다.
게다가, 시각적으로 직접 확인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배전반을 통해 해당 등화시설 전체에 전원을 공급하여 점등상태를 확인하여야 하므로 하나의 등화시설 고장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많은 전력이 소비되었고 또한 매우 번거로웠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항공기 조정사에게 이ㆍ착륙에 필요한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항공등화시설을 양방향 무선통신을 통해 원거리에서 제어하고, 그 이상유무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한 항공등화시설 원격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공등화시설의 이상유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파함으로서, 항공등화시설의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서 배전반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통해 점등 및 소등되어 항공기의 이ㆍ착륙을 유도함과 더불어, 각종 유형의 이상유무를 감지 및 검출하여 그 결과데이터를 전송하는 항공등화시설, 사용자의 명령을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항공등화시설로 전송하고 그 결과데이타를 수신하여 항공등화시설을 관리 및 제어하는 메인서버, 및 항공등화시설과 메인서버 간에 설치되어 항공등화시설과 메인서버간의 무선통신을 중계하는 항공등화시설 데이타 송수신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메인 서버는 명령 및 항공등화시설을 지정한 코드값과 항공등화시설에 대한 각종 데이타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 서버, CDMA 방식을 통해 명령 및 항공등화시설을 지정한 코드값을 상기 항공등화시설 데이타 송수신기로 전송하고, 명령에 대한 결과데이타를 항공등화시설로부터 수신하는 CDMA 모듈 및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데이타베이스 서버 및 CDMA 모듈을 제어하는 데이타처리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항공등화시설 데이타 송수신기는 메인서버의 CDMA 모듈을 통해 전송되는 명령 및 해당 항공등화시설을 지정한 코드값을 수신하는 CDMA 모듈, 항공등화시설 데이타 송수신기의 고유 코드값과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 명령 및 해당 항공등화시설을 지정한 코드값과 수행되는 각종 프로그램을 임시 저장하는 램, CDMA 모듈에서 수신된 항공등화시설을 지정한 코드값을 램에 임시 저장하여 상기 롬에 저장된 고유 코드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면, 램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명령 및 해당 항공등화시설을 지정한 코드값을 전송하는 CPU 및 명령 및 해당 항공등화시설에 대한 코드값을 RF 통신을 통해 항공등화시설로 전송하는 RF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항공등화시설은 명령 및 해당 항공등화시설을 지정한 코드값을 항공등화시설 데이타 송수신기의 RF 모듈로부터 수신하고 결과데이타를 전송하는 RF 모듈, 항공등화시설의 고유코드값과 명령을 지정한 코드값에 해당하는 명령을 저장하고, 명령을 수행하도록 하는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 명령 및 해당 항공등화시설을 지정한 코드값과 수행될 각종 프로그램을 임시로 저장하는 램, RF 모듈로 수신된 코드값을 롬에 저장된 고유의 코드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면 램에 임시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코드값에 해당하는 명령을 수행하고 제어하여 그 결과데이타를 RF 모듈을 통해 항공등화시설 데이타 송수신기로 전송하는 CPU, 배전반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램프를 점등 및 소등시키는 점등수단, 램프의 이상유무을 감지하는 램프소손감지부와 전류 및 전압을 감지하는 전류 검출부 및 전압 검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점등수단은 선로의 누전이나 순간적인 전원의 이상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각 선로에 공급되는 전기를 차단시키는 누전차단기, 누전차단기를 차단 또는 단락상태로 전환시키는 액튜에이터, 전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램프의 소손을 방지하는 안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메인서버와 항공등화시설 데이타 송수신기는 RF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항공등화시설 원격제어시스템의 망구성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와 유도로등의 구성 블럭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항공등화시설 데이타 송수신기는 활주로등 데이타 송수신기, 진입등 데이타 송수신기와 같이 모든 항공등화시설 데이타 송수신기에 대해 적용될 수 있고, 항공등화시설 역시 모든 항공등화시설에 대해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와 유도로등을 예시로 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항공등화시설 원격제어시스템은 각종 명령을 입력하고, 이에 대한 그 결과데이타를 출력 및 디스플레이하는 입출력수단(10), 입출력수단(10)을 통해 입력된 명령을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모듈을 이용하여 항공등화시설 데이타 송수신기(30a, 30b, 30c, 등; 이하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를 예시로 하여 설명한다)로 전송하고, 상기한 명령에 대한 결과 데이타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상기 입출력수단(10)을 통해 출력 및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서버(20)를 구비한다.
또한, 메인 서버(20)로부터 전송된 명령을 수신하여 해당되는 항공등화시설(40a, 40b, 40c, 등; 이하 간단히 유도로등을 예시로 하여 설명한다)로 그 명령을 전송하는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30c), 및 상기한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30c)의 명령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고, 각종 고장 등을 검출 하여 이를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30c)로 전송하는 유도로등(40c)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입출력수단(10)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수단(12), 상기한 입력수단(12)에 의해 입력된 명령에 따른 그 결과 데이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수단(14), 및 기타 출력수단(1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입력수단(10)으로는 유도로등(40c)에 대한 전류, 전압, 전력량 및 역율, 절연저항 등의 결과데이타 추출명령, 유도로등(40c)에 설치된 램프 등의 이상 유무에 대한 결과데이타 추출명령 등 유도로등(40c)에 대한 각종 결과데이타와 유도로등(40c)을 점등 및 소등시키는 각종 명령이 입력되며, 또한 후술한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30c) 또는 유도로등(40c)에 대한 코드값 등이 입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도면에는 전압, 전류, 램프소손감지에 국한되어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전선손상상태, 침수상태 기타 각종 기기에 대한 고장감지 등 당업자라면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수단(14)과 출력수단(16)은 상기한 입력수단(12)으로 입력된 명령에 따른 그 결과 데이타를 사용자가 시각 및 청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컴퓨터의 모니터 등의 화상장치와 스피커, 프린터 등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메인서버(20)는 상기한 입력수단(12)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을 전송받아 이를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30c)로 전송하고, 그 결과데이타를 처리 및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한 결과데이타를 입출력수단(12)의 디스플레이수단(14) 및 출력수단(16)으로 출력하는 것으로서, 데이타베이스 서버(22), 데이타처리 서버(24) 및 CDMA 모듈(26)로 이루어진다.
데이타베이스 서버(22)는 진입등 데이타 송수신기(30a)와 같은 항공등화시설 데이타 송수신기, 진입등(40a)과 같은 항공등화시설(40), 및 사용자의 명령에 해당하는 코드값을 저장하고, 상기한 명령에 대한 결과데이타 등 각종 코드값 및 결과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타베이스 처리서버(24)는 항공등화시설(40)과 이에 대한 사용자의 명령을 조합하여 CDMA 모듈(26)을 통해 항공등화시설 데이타 송수신기(40)로 전송하고, 그 명령에 대한 결과 데이타를 추출하여 상기한 데이타베이스 서버(22)에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그 결과데이타를 상기한 입출력수단(10)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등 결과데이타에 대한 처리 및 관리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CDMA 모듈(26)은 상기한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30c)와 CDMA 통신망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한 코드값이라 함은 항공등화시설 데이타 송수신기 예를 들면 진입등 데이타 송수신기(30a), 활주로등 데이타 송수신기(30b),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30c) 등과, 항공등화시설(40) 예를 들면, 진입등(40a), 활주로등(40b), 유도로등(40c) 등에 대한 각각의 코드값과 수행할 명령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말한다.
이러한 코드값과 그 조합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명령어에 해당하는 코드를 처음 세자리로 하고, 다음의 두자리를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30c)의 코드값으 로 하며, 마지막 네자리를 해당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30c)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을 수행하는 유도로등(40c)으로 지정한다.
즉, 항공등화시설 데이타 송수신기 중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30c)는 01로 지정하고, 항공등화시설 중 유도로등(40c)은 그 위치 및 갯수에 따라 0001, 0002, 0003, 0004로 지정하면, 전체적으로 010003은 유도로등(40c) 중 세번째에 위치한 유도로등(40a)으로 지정된다. 아울러, 램프소손감지 명령을 코드값 001로 지정하면, 00101003은 0003 코드값에 해당하는 유도로등(40c)의 램프소손을 감지하라는 명령이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유도로등(40c)에 대한 명령 뿐만 아니라, 유도로등(40c) 전체에 대한 점등, 소등, 각종 고장 등의 검출 명령도 이러한 방법을 통해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30c)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모듈(33c), RF(Radio Frequency) 모듈(35c),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 Unit;CPU)(31c), 램(Random Access Memory;RAM)(37c)과 롬(Read Only Memory;ROM)(39c)으로 이루어진다.
CDMA 모듈(33c)은 전술한 메인서버(20)의 CDMA 모듈(26)과 각종 데이타 및 명령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RF 모듈(35c)은 상기한 메인 서버(20)로부터 전송된 각종 명령과 해당 항공등화시설을 지정한 코드값을 고주파로 변환시켜 해당되는 각종 항공등화시설(40)로 전송하고, 그 결과데이타를 수신한다.
CPU(31c)는 CDMA 모듈(33c)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각종 명령과 함께 상기한 명령을 수행할 해당 항공등화시설(40)에 대한 코드값을 RF 로 변환시켜 해당 항공등화시설(40)로 전송한다.
롬(39c)은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30c)의 고유 코드값과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램(37c)는 CPU(31c)의 구동에 따라 프로그램과 고유 코드값을 임시로 저장하여 각종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CPU(31c)는 CDMA 모듈(33c)로부터 사용자의 명령과 해당 항공등화시설(40)에 대한 코드값이 전송되면 자신의 고유 코드값을 롬(39c)에서 읽어들이고, 이를 전송된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30c) 고유의 코드값 즉, 네번째와 다섯번째 코드값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에만 구동하게 하는 데, 이 경우 상기한 코드값이 동일한 경우이면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30c)의 제어를 받는 유도로등(40c)에 대한 명령 코드값 중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코드값과, 다시 마지막 네자리 코드값으로 지정되는 유도로등(40c)을 RF 모듈(35c)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램(37c)은 CPU(31c)가 이와 같은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또한, CPU(31c)는 이와 같은 명령에 따른 결과데이타를 RF 모듈(35c)을 통해 수신하여 이를 CDMA 모듈(33c)을 통해 메인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마지막으로, 유도로등(40c)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모듈(51c), 램(52c), 롬(53c), CPU(54c), 램프소손감지부(55c), 전류검출부(56c), 전압검출부(57c), 액튜에이터(58c), 램프(48c), 안정기(46c), 누전차단기(44c), 전원부(42c)로 이루어지고, 전원부(42c)는 배전반(60)과 연결된다.
먼저, RF 모듈(51c)은 상기한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30c)로부터 명령,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30c) 및 유도로등(40c)에 대한 코드값을 수신하고, 상기한 명령에 대한 결과 데이타를 유도로등(40c)의 코드값과 함께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30c)의 RF 모듈(35c)로 전송한다.
램(52c)은 CPU(54c)가 사용자 명령에 따라 구동할 수 있도록 각종 프로그램과 명령에 의해 도출된 결과데이타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롬(53c)은 유도로등(40c) 고유의 코드값과 함께 각종 명령어의 코드값에 대한 명령을 저장한다.
전원부(42c)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전반(60)으로부터의 전원을 항공등화시설(40)로 인가하고, 점등수단은 이러한 전원을 통해 램프(48c)를 점등 및 소등시킨다. 점등수단은 누전차단기(44c), 액튜에이터(58c) 안정기(46c) 및 램프(48c)로 이루어진다.
먼저, 누전차단기(44c)는 선로의 누전이나 순간적인 전원의 이상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각 선로에 공급되는 전기를 차단시키는 것이며, 액튜에이터(58c)는 상기한 누전차단기(44c)를 차단 또는 단락상태로 전환시킨다. 안정기(46c)는 전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램프(48c)의 소손을 방지한다.
이러한 전원부(42c), 누전차단기(44c), 안정기(46c), 램프(48c), 및 액튜에이터(58c)는 종래에 이미 채용된 것으로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 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램프소손감지부(55c)는 램프(48c)의 소손을 감지하고, 전류검출부(56c)와 전압검출부(57c)는 램프(48c)의 전류와 전압을 각각 검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램프소손감지부(55c), 전류감출부(56c), 전압검출부(57c)만 채용하였으나 이들은 전선손상측정부(도시되지 않음) 등과 같이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채택할 수 있고, 필요한 데이타에 따라 다른 감지 및 검출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마지막으로, CPU(54c)는 항공등화시설(40c)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서, RF 모듈(51c)로부터 명령과 해당 유도로등(40c)을 지정한 코드값이 수신되면 롬(53c)에 기 저장된 코드값과 비교하여 동일하면, 명령에 대한 코드값을 확인하여 그 코드값에 대한 명령을 따라 램(52c)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으로 유도로등(40c)을 제어한다.
즉, CPU(54c)는 상기한 명령에 따른 결과데이타 즉, 램프(48c)의 소손, 전류검출, 전압검출을 수행한 결과데이타를 롬(53c)에 저장함과 더불어 이를 RF 모듈(51c)을 통해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30c)로 그 결과데이타와 항공등화시설 데이타 송수신기(30)의 코드값을 전송하고, 상기한 명령이 램프(48c)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것일 경우엔 전원부(42c)를 제어하여 램프(48c)를 점등 또는 소등시킨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등화시설 원격제어시스템의 구동과정을 유도로등(40c)과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30c)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최초, 사용자가 입력수단(10)을 통해 예를 들면, 램프소손, 전류 또는 전압검출 및, 램프의 점등 또는 소등과 같은 명령과 이러한 명령을 수행할 해당 항공등화시설(40c)을 입력한다.
명령 수행 대상인 항공등화시설(40c)과 그 명령은 메인서버(20)로 전송되고, 메인 서버(20)의 데이타처리서버(24)는 데이타베이스 서버(22)에 이미 저장된 유도로등(40c)의 코드값과 상기 명령에 대한 코드값을 추출하여 이들을 조합한 후, 이를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30c)로 CDMA 모듈(26)을 통해 전송한다.
명령과 유도로등(40c)에 대한 코드값은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30c)로 전송되고,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30c)에서는 CPU(31c)가 상기한 전체 코드값 중 특정 위치에 있는 코드값, 즉 해당 유도로등(40c)과 롬(39c)에서 추출한 자신의 고유 코드값을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엔 이를 RF 모듈(35c)을 이용하여 다시 유도로등(40c)으로 전송한다.
유도로등(40c)은 CPU(54c)가 상기한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30c)로부터 전송된 명령과 코드값을 롬(53c)에 저장된 자신의 고유 코드값과 비교하여 이에 해당하는 경우 램(52c)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상기한 명령 코드값에 따라 램프소손을 감지하거나, 전류 및/또는 전압을 검출하고, 또는 램프(48c)를 점등 또는 소등시킨다.
이러한 명령은 롬에 저장된 코드값을 인식하여 그 코드값에 따라서 수행된다.
이와 같이, 그 명령을 수행한 결과는 다시 RF 모듈(51c)을 통해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30c)의 코드값과 함께 전송되고, 상기 코드값에 해당하는 유도로등 데이타 송수신기(30)는 이를 다시 CDMA 모듈(26)을 통해 메인 서버(20)로 전송한다.
메인서버(20)로 전송된 결과데이타는 이를 데이타베이스 서버(22)에 저장함과 더불어 입출력수단(10)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거나 출력한다.
이에 사용자는 자신이 명령한 것에 대한 결과데이타를 시각 또는 청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항공등화시설 데이타 송수신기 및 항공등화시설은 항공등화시설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기술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위치 및 특징에 따라 더욱 세분화되고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등대의 경우에 있어서도 전술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전술한 기술사상에 따른 실시예와 매우 유사하며 단지 등대 데이타 송수신기(93)가 특정된 하나의 등대(100)에 국한되고, 이에 따라 코드값 등이 항공등화시설에 비해 간단해 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등대의 경우는 전술한 실시예와 매우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메인서버와 항공등화시설 데이타 송수신기 간의 CDMA 모듈을 이용한 무선 뿐만 아니라, 공항에서 허용되는 소정의 RF 표준 주파수대역을 사용하는 RF 모듈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대해서는 메인서버와 항공등화시설 데이타 송수신기 각각에 RF 모듈을 채용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항공등화시설의 이상유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파함으로서, 항공등화시설의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항공등화시설을 관련법규와 필요에 따라 개별, 그룹, 전체별로 전원을 온/오프하여 해당 항공등화시설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주위 밝기, 시정 및 운고 등에 따라 적정한 광도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를 항공기 조종사에게 이ㆍ착륙조작에 필요한 모든 시각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Claims (6)

  1.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서 배전반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통해 점등 및 소등되어 항공기의 이ㆍ착륙을 유도함과 더불어, 각종 유형의 이상유무를 감지 및 검출하여 그 결과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상기 명령 및 해당 항공등화시설을 지정한 코드값을 상기 항공등화시설 데이타 송수신기의 RF 모듈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결과데이타를 전송하는 RF 모듈과, 상기 항공등화시설의 고유코드값과 상기 명령을 지정한 코드값에 해당하는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명령을 수행하도록 하는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과, 상기 명령 및 해당 항공등화시설을 지정한 코드값과 수행될 상기 각종 프로그램을 임시로 저장하는 램과, 상기 RF 모듈로 수신된 상기 코드값을 롬에 저장된 고유의 코드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면 램에 임시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코드값에 해당하는 명령을 수행하고 제어하여 그 결과데이타를 상기 RF 모듈을 통해 상기 항공등화시설 데이타 송수신기로 전송하는 CPU와,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램프를 점등 및 소등시키는 점등수단과, 상기 램프의 이상유무을 감지하는 램프소손감지부와 전류 및 전압을 감지하는 전류 검출부 및 전압 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항공등화시설;
    상기 명령 및 항공등화시설을 지정한 코드값과 상기 항공등화시설에 대한 각종 데이타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 서버와 CDMA 방식을 통해 상기 명령 및 항공등화시설을 지정한 코드값을 상기 항공등화시설 데이타 송수신기로 전송하고, 상기 명령에 대한 결과데이타를 상기 항공등화시설로부터 수신하는 CDMA 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데이타베이스 서버 및 CDMA 모듈을 제어하는 데이타처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명령을 상기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항공등화시설로 전송하고 그 결과데이타를 수신하여 상기 항공등화시설을 관리 및 제어하는 메인서버; 및
    상기 항공등화시설과 메인서버 간에 설치되어 상기 항공등화시설과 메인서버간의 무선통신을 중계하는 항공등화시설 데이타 송수신기로 이루어진 항공등화시설 원격제어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등화시설 데이타 송수신기는
    상기 메인서버의 CDMA 모듈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명령 및 해당 항공등화시설을 지정한 코드값을 수신하는 CDMA 모듈;
    상기 항공등화시설 데이타 송수신기의 고유 코드값과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
    상기 명령 및 해당 항공등화시설을 지정한 코드값과 수행되는 상기 각종 프로그램을 임시 저장하는 램;
    상기 CDMA 모듈에서 수신된 상기 항공등화시설을 지정한 코드값을 상기 램에 임시 저장하여 상기 롬에 저장된 고유 코드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면, 상기 램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명령 및 해당 항공등화시설을 지정한 코드값을 전송하는 CPU; 및
    상기 명령 및 해당 항공등화시설에 대한 코드값을 RF 통신을 통해 상기 항공등화시설로 전송하는 RF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등화시설 원격제어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수단은
    선로의 누전이나 순간적인 전원의 이상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각 선로에 공급되는 전기를 차단시키는 누전차단기;
    상기 누전차단기를 차단 또는 단락상태로 전환시키는 액튜에이터; 및
    전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램프의 소손을 방지하는 안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등화시설 원격제어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와 항공등화시설 데이타 송수신기는 RF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등화시설 원격제어시스템.
KR1020030008176A 2003-02-10 2003-02-10 항공등화시설 원격제어시스템 KR100546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176A KR100546083B1 (ko) 2003-02-10 2003-02-10 항공등화시설 원격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176A KR100546083B1 (ko) 2003-02-10 2003-02-10 항공등화시설 원격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199A KR20040072199A (ko) 2004-08-18
KR100546083B1 true KR100546083B1 (ko) 2006-01-24

Family

ID=37359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176A KR100546083B1 (ko) 2003-02-10 2003-02-10 항공등화시설 원격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60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062B1 (ko) * 2008-06-20 2010-09-10 에이피엘시스템(주) 활주로등(燈)의 제어를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KR101038700B1 (ko) * 2008-06-20 2011-06-02 에이피엘시스템(주) 활주로등의 제어를 위한 무선 수신기
KR100952645B1 (ko) * 2009-10-28 2010-04-13 (주)중앙기술단 발광 다이오드 램프를 이용한 항공 등화 시스템
KR20170006798A (ko) 2015-07-09 2017-01-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헬기의 안전착륙을 위한 헬리데크 난기류 알림장치
KR101885605B1 (ko) * 2016-08-18 2018-08-07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활주로 신호등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507A (ko) * 1994-06-25 1996-01-26 정명세 무선호출방식 안전등 제어장치 및 안전등 제어방법
KR20000056008A (ko) * 1999-02-12 2000-09-15 김영욱 주파수공용통신을 이용한 항로표지장치의 원격제어 및 동기점멸장치
US6282488B1 (en) * 1996-02-29 2001-08-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Airport surface movement guidance and control system
KR20030001614A (ko) * 2001-06-25 2003-01-08 (주)유너스테크놀러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도어락 원격 제어 시스템
KR20040021327A (ko) * 2002-09-03 2004-03-10 (주)티지더블유 무선 검침 단말기와 그를 이용한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507A (ko) * 1994-06-25 1996-01-26 정명세 무선호출방식 안전등 제어장치 및 안전등 제어방법
US6282488B1 (en) * 1996-02-29 2001-08-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Airport surface movement guidance and control system
KR20000056008A (ko) * 1999-02-12 2000-09-15 김영욱 주파수공용통신을 이용한 항로표지장치의 원격제어 및 동기점멸장치
KR20030001614A (ko) * 2001-06-25 2003-01-08 (주)유너스테크놀러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도어락 원격 제어 시스템
KR20040021327A (ko) * 2002-09-03 2004-03-10 (주)티지더블유 무선 검침 단말기와 그를 이용한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199A (ko) 200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0390B2 (en) Surface traffic movement system and method
US6246342B1 (en) Man-machine interface for airport traffic control purposes
US20030160707A1 (en) Supervision and control of airport lighting and ground movements
KR19990087359A (ko) 공항내 지상 교통 유도 및 제어 시스템
KR100546083B1 (ko) 항공등화시설 원격제어시스템
KR20150127972A (ko) 항공 등화 제어 시스템
JP2011028579A (ja) 地上走行誘導支援システム
KR101302521B1 (ko)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 및 제어 유닛
DE10011000B4 (de) Sicherheitssystem für Flughäfen
EP2962941B1 (en) Method for displaying dynamic visual stimuli on a runway
JP3946963B2 (ja) 飛行場灯火監視制御装置
EP0469094B2 (en) An aircraft parking and information system
CN111867202A (zh) 防止跑道侵入的禁止进入排灯控制方法以及系统
CN216718652U (zh) 一种快速接地装置及助航灯光单点接地故障定位系统
KR20110087682A (ko) 지능형 항공등화 제어시스템
CN212785967U (zh) 防止跑道侵入的禁止进入排灯控制系统
JP2001126200A (ja) 飛行場灯火監視制御装置
EP0532110A2 (en) Automatic equipment for controlling and guiding the movement of aircraft travelling on the ground
Ellejmi Evaluation of SESAR concepts for airport guidance function in live trial environment
CN114384828B (zh) 一种飞机增雨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20160007090A (ko)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Shamsiev et al. REMOTE CONTROL OF THE AIRFIELD LIGHTING SYSTEM
JP3663123B2 (ja) 灯火監視制御装置
KR101674612B1 (ko) 계기착륙시설 통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CN116828679A (zh) 一种基于5g通信的助航灯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