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090A -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090A
KR20160007090A KR1020140087246A KR20140087246A KR20160007090A KR 20160007090 A KR20160007090 A KR 20160007090A KR 1020140087246 A KR1020140087246 A KR 1020140087246A KR 20140087246 A KR20140087246 A KR 20140087246A KR 20160007090 A KR20160007090 A KR 20160007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craft
information
airport
control system
ground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금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7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7090A/ko
Publication of KR20160007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17Arrangements for implementing traffic-related aircraft activities, e.g. arrangements for generating, displaying, acquiring or managing traffic information
    • G08G5/0026Arrangements for implementing traffic-related aircraft activities, e.g. arrangements for generating, displaying, acquiring or managing traffic information located on the grou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47Navigation or guidance aids for a single aircraf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6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for control when on the ground
    • G08G5/065Navigation or guidance aids, e.g. for taxiing or 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이착륙할 항공기의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를 위해 활주로의 상황을 시각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공항 정보를 제공하는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서버; 항공기내에 탑재되며,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서버로부터 제공된 공항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화면 정보를 제공하는 항공기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클라이언트; 및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서버와 항공기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클라이언트간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중계 서버를 포함하는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Surface Movement Guidance and Control System for aircraft}
본 발명은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공항의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Surface Movement Guidance & Control System; SMGCS)에 의해 관제사나 유지 보수자에게 한정적으로 제공되던 공항 정보를 항공기 조종사에게 제공함으로써 항공기 조종사가 이를 활용하여 항공기의 지상 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항공등화 시설은 야간이나 악천후 때에 등화에 의하여 항공기의 항행을 돕는 땅 위의 보안시설로서, 활주로의 진입등, 진입 지시등, 활주로등, 유도등, 항공 장애등, 항공 등대 등이 있다.
이러한 항공등화 시설 운영의 적합성은 항공기 안전 운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국내 법규, 국제 민간항공기구(ICAO) 및 미연방항공청(FAA) 등에서는 설치 및 운영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국내 공항에서도 제규정에 적합하게 설치되어 운영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항공등화시설은 그 사용기능에 따라 아래와 같이 나누어진다. 먼저, 진입 조명은 주간 또는 야간에 항공기 조종사에게 활주로의 방향을 알려주며, 항공기가 활주로에 안전하고 정확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유도하여 주는 것으로서, 진입등, 진입각지시등, 활주로 말단식별등, 선회등으로 나누어진다.
활주로 조명은 항공기가 활주로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불빛 또는 색상으로 활주로의 지역을 알려주는 것으로서, 활주로등, 활주로중심선등, 활주로 말단등, 활주로 종단등, 접지대등, 활주로 거리등으로 나누어진다.
유도로 조명은 도로에서 일종의 교통신호등 및 표지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항공기가 유도로 주행시 안전하고 빠르게 지상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화이다. 이는 유도로등, 유도로 중심선등, 정지선등, 유도 안내등, 유도로 교차등, 활주로 경계등으로 나누어진다.
지시ㆍ신호 조명은 항공기가 비행중이거나 이동지역상에 있는 조종사에게 활주로 지역의 바람방향과 착륙방향 및 비상시 수동으로 어떤 목표지점을 알려주는 등화로서, 풍향등, 지향신호등, 착륙방향지시등으로 나누어진다.
마지막으로 위치 조명은 항행하는 비행장의 위치 등을 알려주는 등화로서, 비행장등대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항공등화와 관련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10-2004-72199호(항공등화 시설의 원격 제어시스템)는 항공기 조종사에게 이,착륙에 필요한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항공등화 시설을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제어하고 감시할 수 있는 기술로서, 항공등화 시설의 유지 및 보수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며,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10-2009-35952호(공항 활주로 지상 이동 유도 시스템 및 유도 방법)은 공항의 활주로 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기술로서, 이동 물체마다 고유 아이디(ID)를 부여하고, 각 아이디에 해당하는 최적 경로를 설정하여 설정된 경로로 이동물체를 유도하는 유도 기술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특허기술들은 항공등화 시설의 유지 보수의 편의성 증대와, 고유 ID를 부여하는 방식의 이동물체 유도 기술에 한정된다.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Surface Movement Guidance & Control System; SMGCS)은 항공기의 이착륙에 필요한 항공기의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를 수행한다.
종래의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은 관제사나 유지보수자에게만 항공기와 항공등화, 활주로의 상태 정보를 한정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한편, 실제 항공기를 운영하는 항공기 조종사는 관제사와의 무선통신과, 유도로 중심선등의 항공등화를 통해서만 시각적으로 유도 경로를 제공받고 있다.
이에 따라, 관제사의 판단이 늦거나 오판단을 할 시에는 공항에서 항공기의 이동시에 다른 물체와의 충돌 위험성을 내포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항의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에 의해 관제사나 유지 보수자에게 한정적으로 제공되던 공항 정보를 항공기 조종사에게 제공함으로써 항공기 조종사가 이를 활용하여 항공기의 지상 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이착륙할 항공기의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를 위해 활주로의 상황을 시각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공항 정보를 제공하는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Surface Movement Guidance & Control System; SMGCS) 서버; 항공기내에 탑재되며,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서버로부터 제공된 공항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화면 정보를 제공하는 항공기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클라이언트; 및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서버와 항공기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클라이언트간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중계 서버를 포함하는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항공기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클라이언트는 공항 맵 정보를 저장하고,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공항 정보를 공항 맵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은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서버와 통신하고 항공기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클라이언트에 실시간 공항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클라이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클라이언트는, 공항의 실시간 유지 보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유지 보수용 클라이언트; 및 공항의 실시간 관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관제용 클라이언트를 포함할 수 있다.
공항 정보는 시각적으로 가공된 이착륙 항공기 정보, 활주로 상태 정보, 활주로에 표시된 항공기의 위치 정보, 이착륙할 항공기가 사용가능한 이동 경로 정보, 공항 정보는 활주로의 시정거리, 운고, 가시거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공항 정보는 복수의 등급으로 분류되고, 보안등급에 따라 상이하게 해당 항공기에 제공될 수 있다.
공항 정보는 항공기의 기종별로 가공 처리되어 있는 정보이며, 항공기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클라이언트는 해당 항공기의 기종 정보를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서버에 제공하여 해당 항공기의 기종에 따라 가공처리된 공항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항의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에 의해 관제사나 유지 보수자에게 한정적으로 제공되던 공항 정보를 항공기 조종사가 제공받아 제공받은 공항 정보를 활용하여 항공기의 지상 이동을 수행할 수 있음에 항공기의 이착륙시 안전한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정보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에서 공항 상공에 떠있는 항공기의 정보 송수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에서 공항에 착륙한 항공기의 정보 송수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
즉,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1)은 항공기 SMGCS(Surface Movement Guidance & Control System) 클라이언트(11), 통신 중계 서버(21), SMGCS 서버(22), SMGCS 클라이언트(23), CCR(24), LCU(25), IRU(26), 항공등화(27), 인터페이스 서버(28), 외부 시스템(29)을 포함할 수 있다.
항공기 SMGCS 클라이언트(11)는 항공기에 설치되며, 통신 중계 서버(21), SMGCS 서버(22), SMGCS 클라이언트(23), CCR(24), LCU(25), IRU(26), 항공등화(27), 인터페이스 서버(28), 외부 시스템(29)은 지상 시스템(20)에 설치될 수 있다.
항공기 SMGCS 클라이언트(11)는 각 공항에 대하여 공항 맵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항공기 SMGCS 클라이언트(11)는 각각의 공항에 대하여 공항 맵 정보의 버전 관리를 수행하여, 공항 맵 정보를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공항 맵 정보는 각 공항에 대한 계류장 위치, 유도로 위치, 활주로 위치, 공항 주변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항 맵 정보는 기본 맵 정보, 위성 맵 정보, 3D 맵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항공기 SMGCS 클라이언트(11)는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서버(22)와 통신을 수행하며, SMGCS 서버(22)로부터 제공된 공항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화면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항공기 SMGCS 클라이언트(11)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항공기(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사용하여 SMGCS 서버(22)로부터 제공된 공항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항공기 SMGCS 클라이언트(11)는 SMGCS 서버(22)로부터 제공된 공항 정보를 미리 저장되어 있던 공항 맵상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항공기의 조종사는 이착륙할 공항의 활주로 위치, 계류장 위치, 유도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공항에 있는 항공기의 위치, 대수, 공항의 활주로 상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통신 중계 서버(21)는 SMGCS 서버(22)와 항공기 SMGCS 클라이언트(11)간의 무선 통신을 중계한다. 통신 중계 서버(21)는 SMGCS 서버(22)와 항공기 SMGCS 클라이언트(11)간에 송수신하는 각종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수신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통신 중계 서버(21)는 항공기(10)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장치로부터 각 항공기(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중계 서버(21)는 공항내에 복수의 무선 통신부(21a)를 운영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1a)는 통신 중계 서버(21)가 항공기(10)의 항공기 SMGCS 클라이언트(11)와 통신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1a)는 항공기(10)의 위치를 측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MGCS 서버(22)는 이착륙할 항공기의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를 위해 활주로의 상황을 시각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공항 정보를 제공한다.
SMGCS 서버(22)는 시각적으로 가공된 이착륙 항공기 정보, 활주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공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MGCS 서버(22)는 활주로에 표시된 항공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공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MGCS 서버(22)는 이착륙할 항공기가 사용가능한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공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MGCS 서버(22)는 활주로의 시정거리, 운고, 가시거리를 포함하는 공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공항 정보는 복수의 등급으로 분류되고, 보안등급에 따라 상이하게 해당 항공기에 제공될 수 있다. 공항 정보는 항공기의 기종별로 가공 처리되어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이런 경우, SMGCS 서버(22)는 항공기 SMGCS 클라이언트(11)로부터 해당 항공기의 기종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항공기의 기종에 따라 가공처리된 공항 정보를 항공기 SMGCS 클라이언트(11)에 제공할 수 있다.
항공기 SMGCS 클라이언트(11)는 항공기(10)내에 탑재되며, SMGCS 서버(22)로부터 제공된 공항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화면 정보를 제공한다.
SMGCS 클라이언트(23)는 SMGCS 서버(22)와 통신하고 항공기 SMGCS 클라이언트(11)에 실시간 공항 정보를 제공한다.
SMGCS 클라이언트(23)는 유지 보수용 클라이언트와 관제용 클라이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유지 보수용 클라이언트는 공항의 실시간 유지 보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클라이언트이다. 관제용 클라이언트는 공항의 실시간 관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클라이언트이다.
CCR(24)는 정전류 조정기(Constant Current Regulator)로서 항공등화의 동작 전류를 단계별로 공급할 수 있다.
LCU(Local Control Unit)(25)는 SMGCS 서버(2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해당하는 CCR(24)의 전력선에 송출하여 IRU(26)에 전송한다.
IRU(26)는 항공 등화(27)별로 설치되어 각각의 항공 등화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고 항공 등화(27)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다.
IRU(26)는 LCU(25)로부터 항공 등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연결된 항공등화(27)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고, 제어한 상태값을 다시 전력선 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LCU(25)에 회신할 수 있다. LCU(25)는 그 신호를 수신하여 SMGCS 서버(22)에 전송하고, SMGCS 서버(22)는 항공등화의 제어 상태를 화면에 표시하여 운영자가 체크할수 있게 한다.
항공등화(27)는 실제 등화를 밝히는 발광 설비로서 예를 들어 할로겐 항공등화 또는 LED 항공등화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서버(28)는 SMGCS 서버(22)와 다양한 외부 시스템(29)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외부 시스템(29)은 SMGCS 서버(22)에서 항공기 SMGCS 클라이언트(11)에 제공하는 공항 정보에 포함시켜서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시스템(29)은 지상 감시 레이더 시스템(ASDE), 다변 측정 감시 시스템(MLAT), 자동 기상 관측 시스템(AWOS), ARTS(공항 레이더), 종합 정보 시스템(EAIO HUB), 운항 정보 시스템(FIMS)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정보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지상 시스템(20)은 무선 통신부(21a), 통신 중계 서버(21), SMGCS 서버(22)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항공기(10)는 항공기 SMGCS 클라이언트(11)와 무선 통신부(12)를 구비할 수 있다.
각 항공기(10)는 무선 통신부(12)를 통하여 지상 시스템(20)의 무선 통신부(21a)와 미리 설정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신을 수행한다.
항공기(10)는 공항에서 이륙을 위해 계류장에서 승객을 탑승시키고 있는 항공기일 수 있다. 항공기(10)는 공항에서 이륙을 위해 계류장에서 활주로로 이동중인 항공기일 수 있다. 항공기(10)는 공항에서 활주로를 주행하여 공항 상공으로 이륙중인 항공기일 수 있다. 항공기(10)는 공항에 착륙하기 위해 공항 상공에서 공항으로 접근하거나 선회중인 항공기일 수 있다.
통신 중계 서버(21)는 지상 감시 레이더 시스템(ASDE), 다변 측정 감시 시스템(MLAT), ARTS(공항 레이더), 종합 정보 시스템(EAIO HUB)으로부터 항공기(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통신 중계 서버(21)는 항공기(10)로부터 항공기의 정보 및 이착륙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SMGCS 서버(22)에 전송하거나, SMGCS 서버(22)가 항공기(10)에 제공하는 공항 정보를 항공기(10)에 전송하기 위해 통신 중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1a)는 통신 중계 서버(21)로부터 항공기(10)의 위치 정보를 받아서 항공기(10)에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1a)는 항공기(10)로부터 항공기의 정보 및 이착륙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 중계 서버(21)에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1a)는 통신 중계 서버(21)로부터 SMGCS 서버(22)가 항공기(10)에 제공하는 공항 정보를 받아서 항공기(10)에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1a)는 지상 감시 레이더 시스템(ASDE), 다변 측정 감시 시스템(MLAT), ARTS(공항 레이더), 종합 정보 시스템(EAIO HUB)내에 구현되어 항공기(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에서 공항 상공에 떠있는 항공기의 정보 송수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항공기(10)는 공항 상공에서 공항(30)의 곳에 설치된 무선 통신부(21a)와 통신을 수행하여 항공기의 정보 및 이착륙 요청 정보를 SMGCS 서버(22)에 전송할 수 있다. 항공기(10)는 공항 상공에서 공항(30)의 곳에 설치된 무선 통신부(21a)와 통신을 수행하여 항공기(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항공기(10)는 무선 통신부(21a)를 통해 획득된 항공기(10)의 위치 정보를 항공기(10)의 항공기 SMGCS 클라이언트(11)에 저장되어 있는 공항맵에 매칭시켜서 미리 준비된 GUI 화면으로 조종사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부(21a)는 지상 감시 레이더 시스템(ASDE), 다변 측정 감시 시스템(MLAT), ARTS(공항 레이더), 종합 정보 시스템(EAIO HUB)내에 구현되어 항공기(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21a)는 통신 중계 서버(21)에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1a)는 통신 중계 서버(21)로부터 통신 중계 서버(21)가 외부 시스템(29)의 지상 감시 레이더 시스템(ASDE), 다변 측정 감시 시스템(MLAT), ARTS(공항 레이더), 종합 정보 시스템(EAIO HUB)로부터 획득한 항공기(10)의 위치 정보를 항공기(10)와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에서 공항에 착륙한 항공기의 정보 송수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항공기(10)는 공항의 계류장에서 탑승객을 탑승시키거나, 유도로, 또는 활주로에서 이착륙을 위해 이동하면서 공항(30)의 곳에 설치된 무선 통신부(21a)와 통신을 수행하여 항공기의 정보 및 이륙 요청 정보를 SMGCS 서버(22)에 전송할 수 있다. 항공기(10)는 공항의 지상에서 이동하면서 공항(30)의 곳곳에 설치된 무선 통신부(21a)와 통신을 수행하여 항공기(10)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항공기(10)는 무선 통신부(21a)를 통해 획득된 항공기(10)의 위치 정보를 항공기(10)의 항공기 SMGCS 클라이언트(11)에 저장되어 있는 공항맵에 매칭시켜서 미리 준비된 GUI 화면으로 조종사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부(21a)는 지상 감시 레이더 시스템(ASDE), 다변 측정 감시 시스템(MLAT), ARTS(공항 레이더), 종합 정보 시스템(EAIO HUB)내에 구현되어 항공기(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21a)는 통신 중계 서버(21)에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1a)는 통신 중계 서버(21)로부터 통신 중계 서버(21)가 외부 시스템(29)의 지상 감시 레이더 시스템(ASDE), 다변 측정 감시 시스템(MLAT), ARTS(공항 레이더), 종합 정보 시스템(EAIO HUB)로부터 획득한 항공기(10)의 위치 정보를 항공기(10)와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항공기 SMGCS 클라이언트(11)가 해당 항공기 정보 및 이착륙 요청 정보를 SMGCS 서버(22)에 전송한다(S1). 항공기 정보는 항공기의 편명, 항공기의 기종, 승무원 정보, 출발지 정보, 목적지 정보, 탑승객 정보, 응급상황 발생 정보, 보안요원 호출 정보등을 포함할 수 있다.
SMGCS 서버(22)는 해당 항공기의 기종, 보안등급을 고려하여 활주로의 상황을 시각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공항 정보를 항공기 SMGCS 클라이언트(11)에 전송한다(S2).
SMGCS 서버(22)는 시각적으로 가공된 이착륙 항공기 정보, 활주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공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MGCS 서버(22)는 활주로에 표시된 항공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공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MGCS 서버(22)는 이착륙할 항공기가 사용가능한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공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항공기 SMGCS 클라이언트(11)는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공항 맵을 읽어들여서 GUI 화면으로 표시한 상태에서, SMGCS 서버(22)로부터 수신한 공항 정보를 그위에 표시한다(S3). 항공기 SMGCS 클라이언트(11)는 SMGCS 서버(22)로부터 수신된 각종 공항 정보중에서 활주로의 항공기 위치 정보, 사용가능한 이동 경로 정보, 시정 거리, 운고, 가시거리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항공기 SMGCS 클라이언트(11)는 SMGCS 서버(22)로부터 수신된 모든 공항 정보를 GUI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항공기의 조종사는 이착륙할 공항의 활주로 위치, 계류장 위치, 유도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공항에 있는 항공기의 위치, 대수, 공항의 활주로 상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항공기의 조종사는 화면에 표시된 공항 정보를 참조하여 이착륙시에 공항내의 활주로, 유도로, 계류장에서의 이동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7)

  1. 이착륙할 항공기의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를 위해 활주로의 상황을 시각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공항 정보를 제공하는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서버;
    항공기내에 탑재되며, 상기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공항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화면 정보를 제공하는 항공기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클라이언트; 및
    상기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서버와 상기 항공기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클라이언트간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중계 서버를 포함하는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클라이언트는 공항 맵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공항 정보를 상기 공항 맵상에 표시하는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항공기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클라이언트에 실시간 공항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클라이언트를 더 포함하는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클라이언트는,
    공항의 실시간 유지 보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유지 보수용 클라이언트; 및
    공항의 실시간 관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관제용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항 정보는 시각적으로 가공된 이착륙 항공기 정보, 활주로 상태 정보, 활주로에 표시된 항공기의 위치 정보, 이착륙할 항공기가 사용가능한 이동 경로 정보, 활주로의 시정거리, 운고, 가시거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항 정보는 복수의 개의 등급으로 분류되고, 보안등급에 따라 상이하게 해당 항공기에 제공되는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항 정보는 항공기의 기종별로 가공 처리되어 있는 정보이며,
    상기 항공기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클라이언트는 해당 항공기의 기종 정보를 상기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서버에 제공하여 해당 항공기의 기종에 따라 가공처리된 공항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KR1020140087246A 2014-07-11 2014-07-11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KR201600070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246A KR20160007090A (ko) 2014-07-11 2014-07-11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246A KR20160007090A (ko) 2014-07-11 2014-07-11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090A true KR20160007090A (ko) 2016-01-20

Family

ID=55307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246A KR20160007090A (ko) 2014-07-11 2014-07-11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70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83211A (zh) * 2022-03-22 2022-07-22 南京莱斯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视频数据融合的场面目标监视增强系统及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83211A (zh) * 2022-03-22 2022-07-22 南京莱斯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视频数据融合的场面目标监视增强系统及方法
CN114783211B (zh) * 2022-03-22 2023-09-15 南京莱斯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视频数据融合的场面目标监视增强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1343B1 (ko) 공항지상교통안내및제어시스템
AU2018317851B2 (en) An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for inspecting railroad assets
RU2560220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наземным движением мобильных объектов на аэродроме
EP2660152B1 (en) Method for identifying an airplane in connection with parking of the airplane at a stand
EP1946285B1 (de) Verfahren, anordnung und kontrolleinrichtung zum navigieren von luft- und bodenfahrzeugen unter einsatz satelliten-gestützter positionsbestimmung
CN111613095B (zh) 面向商用飞机远程驾驶系统的起飞前场面运行控制方法
US20180181125A1 (en) On-ground vehicle collision avoidance utilizing unmanned aerial vehicles
US20140088857A1 (en) Video-graphic runway activity monitoring system
KR101656280B1 (ko) 드론을 이용한 첨단 항공기 지상유도관제 시스템 및 방법
US10621874B2 (en) Device arrangement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detection quality of ground situation representation systems and traffic guidance or traffic management systems
WO2013058452A1 (ko) 공항 또는 항만 교통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WO2004114252A1 (en) Airfield vehicle monitoring system and respective vehicle
KR101650905B1 (ko) 드론을 이용한 항공기 지상유도관제 시스템 및 방법
WO2022220461A1 (ko) 지능형 첨단 항공기 지상유도관제 시스템 및 방법
CN112189226B (zh) 利用无人机的航空器地面引导管制系统及方法
US20080158041A1 (en) Airport Surface Detector and Control System
JP2002245600A (ja) 航空機地上走行誘導管制システム
US953032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optimal taxi clearances
CN113990114A (zh) 基于机场数字地图实现对机场地面航空器运行管理的方法
JP2011028579A (ja) 地上走行誘導支援システム
KR20150127972A (ko) 항공 등화 제어 시스템
KR20160007090A (ko) 항공기용 지상 이동 안내 및 제어 시스템
EP2962941A1 (en) System for displaying dynamic visual stimuli on a runway
EP375617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ng and configuring an aircraft de-icing pad facility
KR20160090483A (ko) 항공등화제어 및 지상유도관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