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521B1 -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 및 제어 유닛 - Google Patents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 및 제어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521B1
KR101302521B1 KR1020100117378A KR20100117378A KR101302521B1 KR 101302521 B1 KR101302521 B1 KR 101302521B1 KR 1020100117378 A KR1020100117378 A KR 1020100117378A KR 20100117378 A KR20100117378 A KR 20100117378A KR 101302521 B1 KR101302521 B1 KR 101302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aircraft
unit
control unit
sequ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5922A (ko
Inventor
김휴찬
한금현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항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항공사 filed Critical 한국공항공사
Priority to KR1020100117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521B1/ko
Publication of KR20120055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8Visual or acoustic landing aids
    • B64F1/20Arrangement of optical beac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은 광을 출력하는 광원 및 순차적으로 광원을 점멸시키는 점멸 신호를 발생시키고, 점멸 신호를 기초로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여 광원의 점멸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되, 제어 유닛은 디지털 방식의 공용 주파수 동기신호를 기초로 점멸 신호를 발생시킨다.

Description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 및 제어 유닛{CONTROL SYSTEM AND CONTORL UNIT FOR AIRCRAFT LIGHTING IN SEQUENCE}
본 발명은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 및 제어 유닛에 관한 것이다.
항공등화는 빛, 색채 및 배열로 구성되어 주위 밝기, 시정 및 운고 등에 따라 적정한 광도조절을 하여 항공기 조종사에게 이착륙조작에 필요한 시각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최종 착륙단계에서 조종사의 시각에 의하여 인위적 착륙조작을 하여야 하므로 안전한 이착륙의 상태를 결정하는 요소로서 항공등화시설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항공등화시설 운영의 적합성은 항공기 안전 운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국내 법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및 미연방항공청(FAA) 등에서는 설치 및 운영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진입등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진입등시스템(ALS, Approach Light Systems)은 섬광등(10)(capacitor discharge light), 전원공급유닛(20) 및 마스터 타이머 유닛(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진입등시스템은 착륙하고자 하는 항공기의 진입로를 알려주기 위하여 진입 구역에 설치된 시스템으로, 순차적으로 섬광등(10)의 점멸을 제어한다.
여기서, 섬광등(10)은 관속에 봉입된 가스를 통해 고전압 전기방전으로 극히 단시간의 고광도 섬광을 발생하는 전구를 말한다. 이러한 섬광등(10)은 예컨대 주변 여건 및 시설의 특성, 기상조건 등을 고려하여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외에는 중심선표시등의 각 바렛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활주로 시단에서 300m 지점부터 진입방향 중심선표시등의 각 바렛에 섬광등(1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섬광등(10)은 활주로 중심선등의 연장선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활주로 중심선등이 없는 경우에는 활주로중심선의 연장선상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섬광등(10)은 중심선표시등이 4개의 등일 경우에는 바렛 가운데 설치되며, 중심선표시등이 5개의 등일 경우에는 바렛 중앙 위치에서 아래 방향으로 설치되되 이격거리가 1.2m를 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섬광등(10)은 활주로시단 방향으로 1초당 2회씩 순차적으로 점등되어야 하며, 섬광등(10)의 실효광도는 2천 칸델라(cd) 이상이어야 한다.
전원공급유닛(20)은 섬광등(1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전원 공급용 직렬회로가 사용될 수 있다.
마스터 타이머 유닛(30)(master timer unit)은 섬광등(10)의 점멸 시간을 제어한다. 예컨대, 0.5초마다 점멸 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켜 전원공급유닛(20)으로 전달함으로써 섬광등(10)의 점멸 시간을 제어한다. 여기서 전원공급유닛(20)의 콘덴서에 충전된 전압은 점멸 신호를 수신하면 릴레이 접점을 통해 섬광등(10)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섬광등(10)은 방전하게 된다. 이때, 릴레이 접점 마모로 인해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상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종래의 진입등시스템의 경우, 섬광등(10)의 수명이 짧고 에너지 소비가 크며, 마스터 타이머 유닛(30)은 아날로그 방식을 사용하여 구성이 복잡하고, 이로 인해 점멸 신호의 발생 장애가 다수 발생하였다. 또한, 전원공급유닛(20)과 마스터 타이머 유닛(30)이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고, 제어선으로 사용되는 케이블을 사용하여 광활한 비행장에 배치함으로써 낙뢰로 인한 회로 장애 발생 및 유지 보수의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행장의 일정구역에 설치된 광원의 점멸을 모듈화된 제어 유닛을 통해 순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항공등화를 제공하는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 및 제어 유닛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종래의 아날로그 방식의 섬광등 점멸 방식을 개선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광원을 제어함으로써, 기존의 복잡한 전원 회로 구성을 단순화시켜 회로 장애로 인한 고장 발생률을 낮추는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 및 제어 유닛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효율의 시인성이 높은 LED 광원을 통해 비용 절감 및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보다 효과적으로 항공기를 유도할 수 있는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 및 제어 유닛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은 광을 출력하는 광원 및 순차적으로 광원을 점멸시키는 점멸 신호를 발생시키고, 점멸 신호를 기초로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여 광원의 점멸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되, 제어 유닛은 디지털 방식의 공용 주파수 동기신호를 기초로 점멸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유닛은 디지털 방식의 공용 주파수 동기신호를 기초로 순차적으로 광원을 점멸시키는 점멸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점멸 신호를 통해 광원의 순차적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은 비행장의 복수 개의 일정구역에 용도에 따라 그룹 단위로 설치된 광원 및 일정구역마다 배치되어 그룹 단위로 묶인 광원의 점멸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되, 제어 유닛은 디지털 방식의 공용 주파수 동기신호를 기초로 순차적으로 광원을 점멸시키는 점멸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및 점멸 신호를 기초로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비행장의 일정구역에 설치된 광원의 점멸을 모듈화된 제어 유닛을 통해 순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항공등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종래의 아날로그 방식의 섬광등 점멸 방식을 개선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광원을 제어함으로써, 기존의 복잡한 전원 회로 구성을 단순화시켜 회로 장애로 인한 고장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고효율의 시인성이 높은 LED 광원을 통해 비용 절감 및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보다 효과적으로 항공기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진입등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식의 공용 주파수 동기신호를 기초로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점멸 신호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차적 항공등화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은 LED 광을 출력하는 LED 광원(100) 및 해당 LED 광원(100)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LED 광원(100)과 제어 유닛(200)은 전력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광원으로서 LED 광원(100)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반드시 광원이 LED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은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의 항공등화 제어방식을 디지털 방식으로 수행한다. 그리고,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은 예컨대 진입등시스템(ALS)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순차적으로 항공등화가 이루어지는 비행장의 항공등화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비행장(Aerodrome)은 항공기의 도착, 출발 및 지상이동을 위하여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려는 목적을 가진 육상의 일정구역(건물, 시설 및 장비를 포함)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LED 광원(100)은 LED 광을 출력한다. LED 광원(100)은 예컨대 1단계에서 3단계로 광도 조절이 가능하며, 제어 유닛(200)의 제어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 유닛(200)은 순차적으로 LED 광원(100)을 점멸시키는 점멸 신호를 발생시키고, 점멸 신호를 기초로 LED 광원(10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여 LED 광원(100)의 점멸을 순차적으로 제어한다.
이하, 도 3을 통해 제어 유닛(200)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어 유닛(200)은 정보 제공부(205), 신호 발생부(210), 제어부(220), 전원 공급부(230), 광도 조절부(240), 점등 상태 감시부(250) 및 통신부(260)를 포함한다.
정보 제공부(205)는 항공기 감지 정보, 항공기의 방향정보, 정지점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한다. 여기서, 정보 제공부(205)는 지상 감시 레이더와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항공기 감지 정보는 항공기의 종류 등 해당 항공기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항공기의 방향정보는 현재 항공기의 위치, 이동 경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정지점에 대한 정보는 예컨대 주기장의 정치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신호 발생부(210)는 디지털 방식의 공용 주파수 동기신호를 기초로 순차적으로 점멸 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신호 발생부(210)는 디지털 방식의 공용 주파수 동기신호와 신호 발생부(210)의 타이머를 동기시켜 점멸 신호(또는 트리거 신호)를 0.5초마다 1회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방식의 공용 주파수 동기신호는 바람직하게는 60Hz일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제어 유닛(200) 내의 각 구성요소들간의 동작 기능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220)는 정보 제공부(205)로부터 항공기 감지 정보, 항공기의 방향정보, 정지점에 대한 정보 등의 정보를 수신하면 순차적 항공등화 점멸을 위한 명령을 신호 발생부(210)로 전달한다. 그리고, 신호 발생부(210)를 통해 점멸 신호를 발생시키고, 해당 점멸 신호에 따라 LED 광원(100)의 순차적 점멸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광도 조절부(240)를 통해 LED 광원(100)의 광도를 각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3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해 LED 광원(10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여, LED 광원(100)을 순차적으로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킨다. 여기서, 전원 공급부(230)는 정전류 조정기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30)는 회로의 부하가 변하거나 전원의 전압이 변해도 일정전류의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230)는 LED 광원(100)의 감광이 필요한 경우는 2종 또는 그 이상의 출력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230)는 LED 광원(100)으로 적절한 전류를 공급하도록 하고, LED 광원(100)의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개로 사고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절연 변압부(미도시)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광도 조절부(240)는 LED 광원(100)의 광도를 조절한다. 예컨대, 1단계 내지 3단계 범위 내에서 LED 광원(100)의 광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광도 조절부(240)는 주위 밝기, 시정 및 운고 등에 따라 적정한 광도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점등 상태 감시부(250)는 LED 광원(100)의 점등 상태를 감시한다. LED 광원(100)의 점등 상태를 감시하여 통신부(260)를 통해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컨대, 점등 상태 감시부(25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각 단계로 조절되는 LED 광원(100)의 상태를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를 통해 LED 광원(100)의 비정상 점멸이 이루어질 경우, 관리자가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점등 상태 감시부(250)는 제어부(220)로 LED 광원(100)의 점등 상태를 알려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광도 조절부(240)를 통해 LED 광원(100)의 광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통신부(260)는 제어 유닛(200)내의 각 구성요소와 외부 장치간에 통신을 수행하도록 한다. 예컨대, 통신부(260)는 제어 유닛(200)과 LED 광원(100)내의 모듈간의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거나, 제어 유닛(200)과 관제탑의 등화 제어반간의 데이터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60)는 예컨대 항공기로부터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신호를 수신하거나, 후술될 지상이동안내관제시스템 및 시각주기유도시스템과 제어 유닛(200)간 통신을 수행한다.
도 3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일종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상술한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식의 공용 주파수 동기신호를 기초로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점멸 신호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방식의 공용 주파수 동기신호와 신호 발생부(210)의 타임을 동기시켜 점멸 신호(a’)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점멸 신호(a’)를 0.5초마다 1회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방식의 공용 주파수 동기신호는 바람직하게는 60Hz일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에 아날로그 방식으로 이루어졌던 등화 방식을 디지털 방식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은 종래의 아날로그 방식의 섬광등(10) 점멸 방식을 개선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LED 광원(100)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수명이 길고 점멸 시간이 짧으며 단파장의 광원으로서 시인성 (視認性)이 좋아 먼 곳에서도 잘 보이는 고효율의 LED 광원(100)을 통해 비용 절감 및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보다 효과적으로 항공기를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아날로그 방식 사용으로 인해 복잡했던 구성들을 단순화시켜 유지 보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유닛(200)의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은 모듈화되어 일체로 제어 유닛(20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유닛(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 항공등화를 위해 비행장의 복수 개의 일정구역(제 1 구역~제 n 구역)에 용도별로 설치된 LED 광원(100) 그룹마다 분산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활주로, 유도로 등에 설치된 각 LED 광원(100)의 그룹마다 제어 유닛(200)이 분산 배치되어 그룹 단위로 묶인 LED 광원(10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항공등화는 용도별로 항공로 조명, 비행장 조명, 장애물조명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LED 광원(100)은 용도에 따라 사용되어 일정구역에 그룹 단위로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용도별 항공등화에 있어서, 진입조명은 착륙하는 항공기에 최종진입경로를 나타내주기 위하여 진입구역내 및 착륙지 내에 설치되고, PAR, ILS 등과 결합되어 운영된다. 진입조명은 진입등, 진입각지시등, 활주로 말단식별등, 선회등을 포함한다. 또한, 활주로 조명은 착륙 또는 이륙하는 항공기에게 활주로를 나타내기 위하여 활주로 양측에 설치되고, 활주로의 윤곽을 표시해주는 역할을 한다. 활주로 조명은 활주로등, 활주로중심선등, 활주로말단등, 활주로 종단등, 접지대등, 활주로거리등을 포함한다.
또한, 유도로 조명은 활주하는 항공기기에게 유도로를 나타내기 위하여 설치되고, 유도로의 윤곽을 계속해서 확인할 수 있도록 주로 유도로 외측에 설치되는 등화이다. 유도로 조명은 유도로등, 유도로중심선등, 정지선등, 유도안내등, 유도로교차등, 활주로경계등을 포함한다.
또한, 지시 및 신호조명은 항공기가 비행중이거나 이동지역상에 있는 조종사에게 활주로 지역의 바람방향과 착륙방향 및 비상시 수동으로 어떤 목표지점을 알려주는 등화이다. 지시 및 신호조명은 풍향등, 지향신호등, 착륙방향지시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위치 조명은 항행하는 비행장의 위치 등을 알려주는 등화로서, 비행장등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어 유닛(200)은 용도별로 각각의 일정구역에 설치된 LED 광원(100)에 연결되도록 분산 배치되어 항공기의 이동경로 등의 정보에 따라 해당 LED 광원(100)의 순차적 점멸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 유닛(200)은 활주로에 항공기가 진입하면 상술한 신호 발생부(210)에서 발생된 점멸 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부(230)를 제어하여 활주로에 설치된 LED 광원(100)의 그룹을 순차적으로 점멸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200)은 지상이동안내관제시스템(A-SMGCS, Advanced Surface Movement Guidance and Control System)(40)과 시각주기유도시스템(VDGS, Visual Docking Guidance System)(50)과 함께 연결되어 운영될 수 있다. 여기서, 지상이동안내관제시스템(40)은 항공기가 이착륙시 활주로에서 유도로를 거쳐 최종적으로 할당된 주기장까지 지상 감시 레이더와 첨단센서, 등화시스템 등을 통해 다른 항공기나 지상 차량들과 충돌을 방지하고 자동으로 이동경로를 유도하는 시스템이다.
그리고, 시각주기유도시스템(50)은 카메라와 3차원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을 이용해 모든 항공기 종류를 프로그램된 패턴과 비교, 주기장으로 접근하는 항공기를 100미터 전방에서부터 인지해 주기장의 정지위치까지 정확히 유도하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이, 지상이동안내관제시스템(40), 시각주기유도시스템(50) 및 관제탑의 등화 제어반(미도시) 등을 통해 항공기 감지 정보, 항공기의 방향 정보, 정지점 정보 등이 일정구역에 위치한 제어 유닛(200)으로 제공되면, 제어 유닛(200)은 이에 따라 LED 광원(100)의 점멸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모듈화된 제어 유닛(200)을 비행장의 복수 개의 일정구역에 설치된 LED 광원(100) 그룹마다 분산 배치하고, 등화 제어반 또는 각각의 관제시스템(40, 50) 등과 연결하여 LED 광원(100)의 점멸을 자동 제어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유지 보수 및 순차적 항공등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LED 광원(100)에 전원 및 점멸 신호를 공급하는 수단을 모듈화시켜 제어 유닛(200)에 포함시킴으로써, 낙뢰 위험 및 복잡한 회로 구성으로 인한 장애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차적 항공등화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순차적 항공등화 점멸을 위한 명령을 수신한다(S601). 즉, 제어 유닛(200)은 항공기 감지 정보, 항공기의 방향정보, 정지점에 대한 정보 등을 등화 제어반, 각각의 관제시스템(40, 5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하거나 자체 감지 센서 및 레이더에 의해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유닛(200)은 비행장의 일정구역에 설치된 LED 광원(100)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으로, 수신한 명령에 따라 디지털 방식의 공용 주파수 동기신호를 기초로 순차적으로 점멸 신호를 발생시킨다(S611). 즉, 제어 유닛(200)은 항공기 감지 정보, 항공기의 방향정보, 정지점에 대한 정보 등을 수신하면, 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해 신호 발생부(210)를 동작시켜 디지털 방식의 공용 주파수 동기신호를 기초로 순차적으로 점멸 신호를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발생된 점멸 신호에 따라 LED 광원(10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순차적으로 LED 광원(100)의 점멸을 제어한다(S621). 즉, 제어 유닛(200)은 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해 전원 공급부(230)를 동작시켜 LED 광원(10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200)은 광도 조절부(240)를 통해 해당 LED 광원(100)의 광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각 단계(S601~S621)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기 바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LED 광원
200: 제어 유닛
205: 정보 제공부
210: 신호 발생부
220: 제어부
230: 전원 공급부
240: 광도 조절부
250: 점등 상태 감시부
260: 통신부

Claims (14)

  1. 활주로를 통해 이착륙하고자 하는 항공기를 위한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광을 출력하는 광원 및
    순차적으로 상기 광원을 점멸시키는 점멸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점멸 신호를 기초로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여 상기 광원의 점멸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항공기의 감지 정보, 현재 위치 및 이동 경로가 포함된 상기 항공기의 방향정보, 상기 항공기의 정지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항공기의 정보의 수신 및 외부 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하고,
    수신된 상기 항공기의 정보 또는 상기 외부 장치와의 통신에 따라 디지털 방식의 공용 주파수 동기신호와 내부 타이머(timer)를 동기시켜 상기 점멸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의 점등 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점등 상태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달하도록 모듈화되고,
    모듈화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광원과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인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점멸 신호를 0.5초마다 1회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점멸 신호를 통해 상기 광원의 순차적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인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광원의 광도를 조절하는 광도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도 조절부는
    1단계 내지 3단계 범위 내에서 상기 광원의 광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
  7.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주파수 동기신호는 60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
  8. 활주로를 통해 이착륙하고자 하는 항공기를 위한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유닛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의 감지 정보, 현재 위치 및 이동 경로가 포함된 상기 항공기의 방향정보, 상기 항공기의 정지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항공기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정보 제공부 또는 상기 통신부의 명령에 따라 디지털 방식의 공용 주파수 동기신호와 내부 타이머(timer)를 동기시켜 순차적으로 광원을 점멸시키는 점멸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상기 점멸 신호를 통해 상기 광원의 순차적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광원의 점등 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점등 상태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달하는 점등 상태 감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과는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인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유닛.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광도를 조절하는 광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광도 조절부는
    1단계 내지 3단계 범위 내에서 상기 광원의 광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유닛.
  11. 제 8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주파수 동기신호는 60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유닛.
  12. 활주로를 통해 이착륙하고자 하는 항공기를 위한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비행장의 복수 개의 일정구역에 용도에 따라 그룹 단위로 설치된 광원 및
    상기 일정구역마다 배치되어 상기 그룹 단위로 묶인 광원의 점멸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항공기의 감지 정보, 현재 위치 및 이동 경로가 포함된 상기 항공기의 방향정보, 상기 항공기의 정지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항공기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정보 제공부 또는 상기 통신부의 명령에 따라 디지털 방식의 공용 주파수 동기신호와 내부 타이머(timer)를 동기시켜 상기 점멸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상기 점멸 신호를 기초로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광원의 점등 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점등 상태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달하는 점등 상태 감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광원과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인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주파수 동기신호는 60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
KR1020100117378A 2010-11-24 2010-11-24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 및 제어 유닛 KR101302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378A KR101302521B1 (ko) 2010-11-24 2010-11-24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 및 제어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378A KR101302521B1 (ko) 2010-11-24 2010-11-24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 및 제어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922A KR20120055922A (ko) 2012-06-01
KR101302521B1 true KR101302521B1 (ko) 2013-09-02

Family

ID=46608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378A KR101302521B1 (ko) 2010-11-24 2010-11-24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 및 제어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5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046A (ko) * 2016-11-28 2018-06-07 한국공항공사 항공 장애등 제어 장치 및 항공 장애등 제어 방법
US10086953B1 (en) 2017-03-20 2018-10-0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ircraft beacon light synchronization
KR102091051B1 (ko) 2019-11-19 2020-03-19 유양산전 주식회사 공항 비행장용 섬광등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006B1 (ko) * 2013-09-06 2015-03-11 한국공항공사 항공등화를 관리하기 위한 휴대용 항공등화 관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8558A (en) * 1968-07-22 1970-01-06 United Aircraft Corp Sequence flashing airport lighting system
US20030160707A1 (en) * 1988-10-07 2003-08-28 Safegate International Ab Supervision and control of airport lighting and ground movements
KR20100025207A (ko) * 2008-08-27 2010-03-09 웰컨트롤 (주) 원격제어 가로등 시스템용 무선디밍 절전 가로등기구
KR20100080675A (ko) * 2009-01-02 2010-07-12 유양산전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램프를 이용한 항공 등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8558A (en) * 1968-07-22 1970-01-06 United Aircraft Corp Sequence flashing airport lighting system
US20030160707A1 (en) * 1988-10-07 2003-08-28 Safegate International Ab Supervision and control of airport lighting and ground movements
KR20100025207A (ko) * 2008-08-27 2010-03-09 웰컨트롤 (주) 원격제어 가로등 시스템용 무선디밍 절전 가로등기구
KR20100080675A (ko) * 2009-01-02 2010-07-12 유양산전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램프를 이용한 항공 등화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046A (ko) * 2016-11-28 2018-06-07 한국공항공사 항공 장애등 제어 장치 및 항공 장애등 제어 방법
KR101965036B1 (ko) * 2016-11-28 2019-04-03 한국공항공사 항공 장애등 제어 장치 및 항공 장애등 제어 방법
US10086953B1 (en) 2017-03-20 2018-10-0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ircraft beacon light synchronization
KR102091051B1 (ko) 2019-11-19 2020-03-19 유양산전 주식회사 공항 비행장용 섬광등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922A (ko) 201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27852B2 (ja) 空港フィールドの照明設備
CN107031856B (zh) 自主操作飞行器照明系统的方法和自主式外部飞行器灯
CN206470957U (zh) 跑道安全告警系统
KR101302521B1 (ko) 순차적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 및 제어 유닛
CN111989724A (zh) 用于监控道路、基础设施和交通的状况的装置
CN111445727A (zh) 监测机场跑道侵入的系统及方法
CN105938661A (zh) 增强型飞行器自动制动系统、相关程序产品以及相关过程
EP3812284B1 (en) Combination of an aircraft navigation light and a supplemental exterior aircraft light and method of operating an exterior aircraft light
CN210247120U (zh) 一种基于无线物联网通信的助航灯光监控系统
US650984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portable landing zone
CN105578675B (zh) 互联网机场助航灯光显示及控制系统
CN208544437U (zh) 一种新型机场进近灯光导向系统
CS154192A3 (en) Signal shield on landing runways and taxiways of airports
KR20150127972A (ko) 항공 등화 제어 시스템
KR101119887B1 (ko) 지능형 항공등화 제어시스템
RU192143U1 (ru) Автономное светосиг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ветовой маркировки аэродромных объектов
CN108124368A (zh) 一种航空障碍灯系统
Basharudin et al. Smart airfield lighting system (SALS) based on ARM7 for airport ground lighting
KR100546083B1 (ko) 항공등화시설 원격제어시스템
CN113129613A (zh) 一种机场地勤服务车辆通行控制系统及其方法
CN113129615A (zh) 一种基于飞机定位的地勤服务车辆通行控制系统及方法
EP0469094B2 (en) An aircraft parking and information system
JP3946963B2 (ja) 飛行場灯火監視制御装置
CN212785967U (zh) 防止跑道侵入的禁止进入排灯控制系统
CN115564147B (zh) 机坪管理方法、系统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