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419B1 - 주파수 확산된 클록을 기준으로 동작하여, 입력 화상신호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주파수 확산된 클록을 기준으로 동작하여, 입력 화상신호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419B1
KR100545419B1 KR1020020068683A KR20020068683A KR100545419B1 KR 100545419 B1 KR100545419 B1 KR 100545419B1 KR 1020020068683 A KR1020020068683 A KR 1020020068683A KR 20020068683 A KR20020068683 A KR 20020068683A KR 100545419 B1 KR100545419 B1 KR 100545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frequency
image signal
system clock
synchroniz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8482A (ko
Inventor
다케우치게사토시
이리에미치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8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GPHYSICS
    • G12INSTRUMENT DETAILS
    • G12BCONSTRUCTIONAL DETAILS OF INSTRUMENTS, OR COMPARABLE DETAILS OF OTHE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2B17/00Screening
    • G12B17/02Screening from electric or magnetic fields, e.g. radio wav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8Timing circuits for raster scan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6Handl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 [EMI], covering emitted as well as received electromagnetic radi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09G5/008Clock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시스템 클록 생성부는, 발진 주파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주파수 확산된 주파수 확산 클록을 시스템 클록으로서 출력한다. 동기 신호 측정부는, 시스템 클록 에 따라서 생성되는 측정용 클록을 기준으로, 입력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 기간 및 동기 신호 주기를 적어도 포함하는 동기 신호 특성값을 측정한다. 화상 신호 해석부는, 측정된 동기 신호 특성값이, 소정의 범위외일 때에는, 입력 화상 신호의 사양은 변화하고 있고, 소정의 범위내일 때에는, 입력 화상 신호의 사양은 변화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하고, 또한 판정 결과에 따라서, 측정된 동기 신호 특성값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신호를 해석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안정하게 입력 화상 신호의 사양을 해석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파수 확산된 클록을 기준으로 동작하여, 입력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IMAGE PROCESSING APPARATUS WORKING IN RESPONSE TO FREQUENCY DIFFUSED CLOCK AS REFERENCE TO PROCESS INPUT IMAGE SIGNALS}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1 실시예로서의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 신호 판정 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2 실시예로서의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 신호 판정 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3 실시예로서의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 신호 판정 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7은 클록의 주파수 스펙트럼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상 표시 장치 100 : 화상 처리부
200 : 화상 표시부 110 : 싱크 선택기
120 : 비디오 디코더 130 : AD 컨버터
140 : 샘플 클록 발생기 150 : H/V 동기 신호 측정 회로
160 : 측정용 클록 발생기 170 : 비디오 프로세서
180 : 시스템 클록 발생기 190 : 표시계 클록 발생기
본 발명은 주파수 확산된 클록을 기준으로 동작하여, 입력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화상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입력 화상 신호의 사양을 해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 기기가 발생하는 노이즈는, 다른 전자 기기에 바람직하지 못한 장해(EMI : Electromagnetic Interference)를 가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전자 기기가 발생하는 노이즈(이하, 「EMI 노이즈」라고 부른다.)에는, 각종 규제가 마련되어 있다.
전자 기기를 개발하여 제조하는 제조 메이커는, 통상, 제조하는 전자 기기가 EMI 노이즈의 규제를 만족하도록, 전자 기기가 발생하는 EMI 노이즈의 저감을 도모 하고 있다.
여기서,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전자 회로는, 통상, 1 또는 복수의 클록을 기준으로 동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7는, 클록의 주파수 스펙트럼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록의 주파수 스펙트럼은, 통상, 클록의 발진 주파수(기본파 : f1)와 그 조파(調波)에 상당하는 각 주파수(f2, f3...)에서 진폭의 피크를 갖는다. 이 때문에, 전자 기기에서 발생하는 EMI 노이즈의 주파수 스펙트럼도, 통상, 클록의 발진 주파수(fl)와 그 조파에 상당하는 각 주파수(f2, f3...)에서 진폭의 피크를 갖는다. EMI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클록의 기본파와 그 조파의 각 주파수에서 발생하는 진폭의 피크를 저감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 한 방법으로서, 클록의 발진 주파수를 변화시킴으로써, 도 7에 파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파수 스펙트럼을 확산시켜, 클록의 기본파(f1)와 그 조파의 주파수(f2, f3...)에서 발생하는 주파수 스펙트럼의 진폭의 피크를 저감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클록의 발진 주파수를 변화시켜, 주파수 스펙트럼을 확산시키는 것을, 「주파수 확산」이라고 부른다. 또한, 클록의 발진 주파수의 변화량을「확산량」이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확산량이 클수록, EMI 노이즈를 보다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화상 표시 장치도, 동작의 기준으로 되는 클록에 동기하여 각종 처리가 실행되는 전자 기기이기 때문에, EMI 노이즈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주파수 확산에 의한 EMI 노이즈의 저감을 도모하는 경우, 이하에 나타내는 문제가 발생한다.
화상 신호의 사양에는,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의 종류(컴퓨터, DVD 플레이어, 비디오 레코더 등)나 화상 신호의 표시 화상의 해상도 등의 각종 조건에 의해서, 많은 종류가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 화상 신호중에는, 화상 신호의 사양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각종 사양의 화상 신호에 대하여, 각각, 화상 표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입력되는 화상 신호를 해석하여, 그 해석한 화상 신호의 사양에 따라서, 입력되는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화상 신호의 해석은, 통상, 입력되는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 특성값으로서, 동기 신호 주기 및 동기 신호 기간이나, 동기 신호의 극성 등을 구하여, 그 구한 동기 신호 특성값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의 사양을, 미리 준비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구함으로써 행해진다. 동기 신호 주기 및 동기 신호 기간은, 예컨대, 측정용 클록으로 이들 기간을 카운트함으로써 측정된다. 측정용 클록은, 통상,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동작의 기준으로 되는 시스템 클록에 근거하여 생성된다.
여기서,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EMI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해서, 동작의 기준으로 되는 시스템 클록을 주파수 확산시킨다고 하면, 시스템 클록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측정용 클록도 주파수 확산되는 것으로 된다. 측정용 클록이 주파수 확산되면, 발진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서, 측정되는 동기 신호 특성값이 변화되는 경우가 있고, 실제 화상 신호의 사양이 변화하지 않고 있는 경우이더라도, 화상 신호의 사양이 변화하고 있다고 해석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 에,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주파수 확산에 의한 EMI 노이즈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 상기 문제는, 화상 표시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동작의 기준으로 되는 클록에 따라서 동작하고, 각종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공통의 문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주파수 확산된 클록을 기준으로 동작하여, 입력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안정하게 입력 화상 신호의 사양을 해석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화상 처리 장치는, 주파수 확산된 클록을 기준으로 동작하여, 입력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동작의 기준으로 되는 시스템 클록을 출력하는 시스템 클록 생성부와,
상기 시스템 클록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측정용 클록을 기준으로, 상기 입력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 기간 및 동기 신호 주기를 적어도 포함하는 동기 신호 특성값을 측정하는 동기 신호 측정부와,
측정된 상기 동기 신호 특성값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 화상 신호를 해석하는 화상 신호 해석부를 구비하되,
상기 시스템 클록 생성부는, 발진 주파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주파수 확산된 주파수 확산 클록을 상기 시스템 클록으로서 출력하며,
상기 화상 신호 해석부는, 측정된 상기 동기 신호 특성값이, 소정의 범위 외일 때에는, 상기 입력 화상 신호의 사양은 변화하고 있고, 상기 소정의 범위내일 때에는, 상기 입력 화상 신호의 사양은 변화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하고, 또한 판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입력 화상 신호를 해석하는 것을 특징한다.
여기서, 「주파수 확산」이란, 클록의 발진 주파수를 변화시켜, 주파수 스펙트럼을 확산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상기 제 1 화상 처리 장치에서는, 시스템 클록이 주파수 확산되는 것에 의해, 시스템 클록을 기준으로 생성되는 측정용 클록의 주파수가 변화하여도, 측정된 동기 신호 특성값이, 소정의 범위외일 때에는, 상기 입력 화상 신호의 사양은 변화하고 있고, 상기 소정의 범위내일 때에는, 상기 입력 화상 신호의 사양은 변화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된다. 이것에 의해, 측정용 클록의 주파수가 변화함으로써 발생하는 동기 신호 특성값의 변화량을 고려하여, 입력 화상 신호의 사양이 변화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입력 화상 신호의 사양을 해석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클록 생성부는, 상기 동기 신호 측정부가 상기 동기 신호 특성값을 측정하는 측정 기간에 있어서, 제 1 확산량으로 주파수 확산된 제 1 주파수 확산 클록을 상기 시스템 클록으로서 출력하고, 상기 측정 기간을 제외한 기간에 있어서, 제 2 확산량으로 주파수 확산된 제 2 주파수 확산 클록을 상기 시스템 클록으로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확산량은 상기 제 2 확산량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확산량」이란, 주파수 확산에 의해 변화되는 클록의 발진 주파수의 변화량을 의미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동기 신호 특성값을 측정하는 측정 기간과, 측정 기간을 제외한 기간에서, 측정용 클록의 주파수의 변화량을 바꿀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측정 기간을 제외한 기간에 있어서 적절한 EMI 노이즈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측정 기간에 있어서 입력 화상 신호의 해석을 보다 정밀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시스템 클록 생성부는,
상기 제 1 주파수 확산 클록을 생성하는 제 1 주파수 확산 클록 생성부와, 상기 제 2 주파수 확산 클록을 생성하는 제 2 주파수 확산 클록 생성부와, 생성된 상기 제 1 주파수 확산 클록과 제 2 주파수 확산 클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는, 상기 시스템 클록 생성부는, 상기 제 1 확산량과 상기 제 2 확산량이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고, 선택된 확산량에 대응하는 주파수 확산 클록을 생성하는 주파수 확산 클록 생성부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어느 쪽의 시스템 클록 생성부에 있어서도, 측정 기간에 있어서, 제 1 주파수 확산 클록을 출력하고, 상기 측정 기간을 제외한 기간에 있어서, 제 2 주파수 확산 클록을 출력할 수 있다.
제 2 화상 처리 장치는, 주파수 확산된 클록을 기준으로 동작하여, 입력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동작의 기준으로 되는 시스템 클록을 출력하는 시스템 클록 생성부와,
상기 시스템 클록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측정용 클록을 기준으로, 상기 입력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 기간 및 동기 신호 주기를 적어도 포함하는 동기 신호 특성값을 측정하는 동기 신호 측정부와,
측정된 상기 동기 신호 특성값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 화상 신호를 해석하는 화상 신호 해석부를 구비하되,
상기 시스템 클록 생성부는, 상기 동기 신호 측정부가 상기 동기 신호 특성값을 측정하는 측정 기간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단일한 발진 주파수를 갖는 단일 주파수 클록을 상기 시스템 클록으로서 출력하고, 상기 측정 기간을 제외한 기간에 있어서, 발진 주파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주파수 확산된 주파수 확산 클록을 상기 시스템 클록으로서 출력하며,
상기 화상 신호 해석부는, 측정된 상기 동기 신호 특성값이, 소정의 범위외일 때에는, 상기 입력 화상 신호의 사양은 변화하고 있고, 상기 소정의 범위내일 때에는, 상기 입력 화상 신호의 사양은 변화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하고, 또한,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화상 신호를 해석하는 것을 특징한다.
제 2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도, 제 1 화상 처리 장치와 마찬가지로, 안정적으로 입력 화상 신호의 사양을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 2 화상 처리 장치에서 는, 측정 기간에 있어서, 측정용 클록이 실질적으로 단일한 주파수를 갖는 단일 주파수 클록에 근거하여 생성되기 때문에, 제 1 화상 처리 장치보다도 보다 정밀하게 안정적으로 입력 화상 신호를 해석할 수 있다.
또, 상기 시스템 클록 생성부는,
상기 단일 주파수 클록을 생성하는 단일 주파수 클록 생성부와, 상기 주파수 확산 클록을 생성하는 주파수 확산 클록 생성부와, 생성된 상기 단일 주파수 클록과 상기 주파수 확산 클록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선택부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는, 상기 시스템 클록 생성부는, 주파수 확산을 하는지 여부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단일 주파수 클록과 상기 주파수 확산 클록 중 어느 한 쪽을 생성하는 주파수 확산 클록 생성부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어느 쪽의 상기 시스템 클록 생성부에 있어서도, 측정 기간에 있어서 단일 주파수 클록을 출력하고, 상기 측정 기간을 제외한 기간에 있어서 주파수 확산 클록을 출력할 수 있다.
A. 제 1 실시예
A1.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1 실시예로서의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 화상 표시 장치(10)는,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로서의 화상 처리부(100)와, 화상 표시부(200)로 구성되어 있다. 화상 처리부(100)는, 싱크 분리기(sink separator)(110)와, 비디오 디코더(120)와, AD 컨버터(130)와, 샘플 클록 발생기(140)와, H/V 동기 신호 측정 회로(150)와, 측정용 클록 발생기(160)와, 비디오 프로세서(170)와, 시스템 클록 발생기(180)와, 표시계 클록 발생기(190)를 구비하고 있다.
시스템 클록 발생기(180)는, 화상 처리부(100) 및 화상 표시부(200)의 동작의 기준으로 되는 시스템 클록(SYSCK)을 생성한다. 시스템 클록 발생기(180)로서는, 시스템 클록(SYSCK)의 발진 주파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주파수 스펙트럼이 확산된 클록(이하, 「주파수 확산 클록」이라고도 부른다)을 출력하는 장치가 이용된다. 이러한 주파수 확산 클록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ICS사 제품의 클록 발생기 MK1705 나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 9-98152 호에 개시된 클록 발생기 등이 이용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클록 발생기 MK1705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표시계 클록 발생기(190)는, 화상 표시부(200)에 공급되는 신호의 동작의 기준으로 되는 표시계 클록(DSCK)을 시스템 클록(SYSCK)에 근거하여 생성한다. 표시계 클록 발생기(190)로서는, PLL을 이용한 신시사이저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 표시계 클록(DSCK)은, 반드시 시스템 클록(SYSCK)에 근거하여 생성될 필요는 없고, 시스템 클록(SYSCK)과 완전히 독립적으로 생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시스템 클록(SYSCK) 및 표시계 클록(DSCK)은, 비디오 프로세서(170)에 공급되어, 각종 클록으로 가공되어, 대응하는 각종 처리의 타이밍 신호로서 이용된다.
비디오 프로세서(170)는, 처리 제어부(172) 및 신호 처리부(174)를 갖고 있 다. 신호 처리부(174)는, 후술하는 AD 컨버터(130)나 비디오 디코더(120)로부터 공급된 디지털 화상 신호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를,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 메모리에 기록, 또는 이 프레임 메모리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그리고, 이 기록과 판독의 처리 과정에서, 각종 화상 처리를 실행한다. 또, 프레임 메모리로의 기록은, 시스템 클록(SYSCK)에 근거하여 실행되며, 프레임 메모리로부터의 판독은, 표시계 클록(DSCK)에 근거하여 실행된다.
처리 제어부(172)는, 도시하지 않은 CPU나 RAM, ROM 등의 메모리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이며, CPU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화상 처리부(100) 및 화상 표시부(20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처리 제어부(172)는, 입력되는 화상 신호를 해석하는 화상 신호 해석부(172a)로서 기능한다. 화상 신호 해석부(172a)는, H/V 동기 신호 측정 회로(150)로부터 공급되는 동기 신호 특성값에 따라서, 입력되는 화상 신호를 해석한다.
H/V 동기 신호 측정 회로(15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디오 프로세서(170)로부터 공급되는 동기 신호 특성값의 측정 명령에 따라서, 동기 신호특성값으로서, 예컨대, 수직 동기 신호(VD)의 동기 신호 기간(Tvw) 및 동기 신호 주기(Tvc)와, 수평 동기 신호(HD)의 동기 신호 기간(Thw) 및 동기 신호 주기(Thc)를, 측정용 클록 발생기(160)로부터 공급되는 측정용 클록(MCK)에 근거하여 측정한다. 또한, 수직 동기 신호(VD) 및 수평 동기 신호(HD)의 극성을 판정한다. 이러한 H/V 동기 신호 측정 회로(150)는, 일반적인 카운터 회로나, 극성 판정 회로에 의해 구성 가능하다,
또, 이하에서는, 수직 동기 신호(VD)의 동기 신호 기간(Tvw)과 수평 동기 신호(HD)의 동기 신호 기간(Thw)을, 단순히 동기 신호 기간(Tw)으로 하고, 수직 동기 신호(VD)의 동기 신호 주기(Tvc)와 수평 동기 신호(HD)의 동기 신호 주기(Thc)를, 단순히 동기 신호 주기(Tc)로 하는 일도 있다.
측정용 클록 발생기(160)는, 비디오 프로세서(170)로부터 공급되는 클록에 근거하여 측정용 클록(MCK)을 생성한다. 비디오 프로세서로부터 공급되는 클록은, 시스템 클록(SYSCK)을 가공하여 생성되는 클록이며, 시스템 클록(SYSCK)과 마찬가지로 주파수 확산되어 있다.
측정된 동기 신호 특성값은, 비디오 프로세서(170)에 공급되어 화상 신호 해석부(172a)에 의한 화상 신호의 해석에 이용된다. 해석된 화상 신호의 사양에 근거하여, 처리 제어부(172)에 의해서, 신호 처리부(174)나, 샘플 클록 발생기(140) 등의 각종 동작이 제어된다.
또, 화상 신호의 해석에 대해서는, 다시 후술한다.
퍼스널 컴퓨터나 DVD 플레이어 등의 화상 공급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화상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입력 단자를 거쳐서 싱크 분리기(110)에 입력된다. 싱크 분리기(110)는, 아날로그 화상 신호가 동기 신호와 컬러 화상을 나타내는 신호(이하,「색화상 신호」라고도 부른다.)가 중첩되어 있는 신호인 경우에, 아날로그 화상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분리한다. 동기 신호가 색화상 신호에 중첩되어 있는 신호에서는, 텔레비젼 신호와 같이 휘도 신호와 색차 신호와 동기 신호가 중첩된 합성 신호나, 컬러 화상을 나타내는 R(적색), G(녹색), B(청색)의 3개의 색신 호(이하, 3개의 색신호를 통합하여 「RGB 신호」라고도 부른다.) 중, G 신호에 동기신호가 중첩되어 있는 싱크·온·그린 신호 등이 있다.
아날로그 화상 신호가, 동기 신호와 RGB 신호가 분리되어 있는 합성 신호인 경우에는, 싱크 분리기(110)는 불필요하다.
분리된 동기 신호는, H/V 동기 신호 측정 회로(150)에 공급된다. 또한, 수평 동기 신호(HD)는, 샘플 클록 발생기(140)에도 공급된다.
또, 화상 처리부(100)는, 도시하지 않은 선택 회로를 구비하여, 복수의 입력 단자를 거쳐서 입력되는 복수의 아날로그 화상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날로그 화상 신호는, 싱크 분리기(110)를 거쳐서 AD 컨버터(130)에 공급된다. AD 컨버터(130)는, 샘플 클록 발생기(140)로부터 공급되는 샘플 클록(SMPCK)에 근거하여,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 화상 신호로 변환한다.
샘플 클록 발생기(140)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수평 동기 신호(HD)에 근거하여,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양자화하기 위해서 적절한 샘플 클록(SMPCK)을 생성한다. 샘플 클록 발생기(140)로서는, PLL을 이용한 신시사이저에 의해 구성된다. 샘플 클록(SMPCK)의 주파수는, 비디오 프로세서(170)로부터 공급되는 설정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비디오 프로세서(170)로부터 공급되는 설정 데이터는, 화상 신호 해석부(172a)에 의해서 해석된 화상 신호의 사양에 따라서 결정된다.
AD 컨버터(130)에서 변환된 디지털 화상 신호는, 비디오 프로세서(170)에 공 급된다.
도시하지 않은 입력 단자를 거쳐서 입력되는 디지털 화상 신호는, 비디오 디코더(120)에 입력된다. 비디오 디코더(120)는, 입력된 디지털 화상 신호를, 비디오 프로세서(170)에 공급가능한 디지털 화상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비디오 디코더(120)는, 동기 신호를 H/V 동기 신호 측정 회로(150)에 공급한다. 변환된 디지털 화상 신호는, 비디오 프로세서(170)에 공급된다.
비디오 프로세서(170)에 공급된 디지털 화상 신호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174)에서 각종 처리가 실행되어, 화상 표시부(200)에 공급된다.
화상 표시부(200)는, 공급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화상 표시부(200)는, 예컨대, 액정 패널과, 비디오 프로세서(170)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에 따라 액정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로 구성된다. 또한, 화상 표시부(200)는, 액정 패널로 형성된 화상을 투사하기 위한 광학계를 마련하여, 투사 표시 장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화상 표시부(20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CRT 등의 각종 표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A2. 화상 신호의 해석
화상 신호의 사양은, 대응하는 동기 신호의 동기 신호 주기(Tc)나 동기 신호 기간(Tw), 동기 신호의 극성 등의 사양의 조합으로 일의적(一義的)으로 결정된다. 그래서, 화상 신호 해석부(172a)는, H/V 동기 신호 측정 회로(150)로 하여금, 동기 신호 주기(Tc) 및 동기 신호 기간(Tw)이나 동기 신호의 극성 등의 동기 신호 특성값을 측정하게 한다. 그리고, 측정된 동기 신호 특성값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의 사양을, 미리 준비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구함으로써 결정한다.
동기 신호 주기(Tc) 및 동기 신호 기간(Tw)은, H/V 동기 신호 측정 회로(150)가, 기지(旣知)의 주기(Tmck)를 갖는 측정용 클록(MCK)의, 이들의 기간 동안에 발생하는 클록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아래의 식에 따라서 구할 수 있다. 단, 동기 신호 주기(Tc)에서의 카운트 수를 m(m은 1이상의 정수), 동기 신호 기간(Tw)에 있어서의 카운트수를 n(n은 1이상의 정수)으로 한다.
Figure 112002036741894-pat00001
여기서, 측정용 클록(MCK)은, 상술한 바와 같이 주파수 확산되어 있기 때문에, 그 주기(Tmck)는, 주파수 확산에 의한 발진 주파수의 변화량(확산량)에 따라 변화된다. 이 때문에, 측정된 동기 신호 주기(Tc) 및 동기 신호 기간(Tw)도 변화하게 된다. 또, 이 확산량은, 통상, 기준으로 되는 발진 주파수에 대한 변화량 ± Tp%로 표시된다.
동기 신호 주기(Tc) 및 동기 신호 기간(Tw)이 변화되면, 종래의 화상 신호 해석에 있어서는, 화상 신호의 사양을 오해석(誤解析)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신호의 해석 과정에서,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상 신호 판정 루틴을 실행함으로써, 화상 신호의 사양의 오해석을 방지하고 있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 신호 판정 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 트이다. 도 2는, 수평 동기 신호에 의한 화상 신호 판정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화상 신호 판정 루틴이 실행되면, 우선, 단계 S110에 있어서, 판정의 기준으로서, 전번의 화상 신호 판정 루틴의 실행시에 측정되어 기준 동기 신호 기간(Thwo) 및 기준 동기 신호 주기(Thco)로서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메모리로부터 판독된다. 그리고, 단계 S120에 있어서, 동기 신호 기간(Thw) 및 동기 신호 주기(Thc)의 허용 조건이, 아래의 식에 근거하여 산출된다.
Figure 112002036741894-pat00002
단, TwH는 수평 동기 신호 기간(Thw)의 허용 최대 조건을 나타내고, TcH는 수평 동기 신호 기간(Thc)의 허용 최대 조건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허용 최대 조건은, 주파수 확산에 의해서 발생하는 발진 주파수의 변화의 최대값에 있어서의 각각의 최대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TwL는 수평 동기 신호 기간(Thw)의 허용 최소 조건을 나타내고, TcL은 수평 동기 신호 주기(Thc)의 허용 최소 조건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허용 최소 조건은, 주파수 확산에 의해서 발생하는 발진 주파수의 변화의 최소값에 있어서의 각각의 최소값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단계 S13O에서, 수평 동기 신호 기간(Thw) 및 수평 동기 신호 주기(Thc)의 측정이 실행된다. 이 측정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우선, H/V 동기 신호 측정 회로(150)에 의해서, 수평 동기 신호 주기(Thc)에 대응하는 카운트수(m)와 수평 동기 신호 기간(Thw)에 대응하는 카운트수(n)가 측정된다. 그 리고, 측정된 카운트수(m, n)에 근거하여 상기 (1a) 및 (lb) 식에 의해 수평 동기 신호 주기(Thc) 및 수평 동기 신호 기간(Thw)이 산출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수평 동기 신호 주기(Thc) 및 수평 동기 신호 기간(Thw)이 측정된다. 또, 수평 동기 신호 주기(Thc) 및 수평 동기 신호 기간(Thw)의 산출은, 화상 신호 해석부(172a)에 의해서 행해지도록 하여도 좋다.
단계 S140에서는, 측정된 수평 동기 신호 기간(Thw)이 허용 최소 조건(TwL)보다도 크고, 허용 최대 조건(TwH)보다도 작은 허용 범위내의 값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측정된 수평 동기 신호 기간(Thw)이 허용 범위외인 경우에는, 단계 S160에 있어서「화상 신호 변화 있음」이라고 판정된다.
측정된 수평 동기 신호 기간(Thw)이 허용 범위내인 경우에는, 단계 S150의 처리가 행해진다.
단계 S150에서는, 측정된 수평 동기 신호 주기(Thc)가 허용 최소 조건(TcL)보다도 크고, 허용 최대 조건(TcH)보다도 작은 범위, 즉, 허용 범위내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측정된 수평 동기 신호 주기(Thc)가 허용 범위외인 경우에는, 단계 S160에 있어서「화상 신호 변화 있음」이라고 판정된다.
측정된 수평 동기 신호 주기(Thc)가 허용 범위내인 경우에는, 단계 S170에 있어서「화상 신호 변화 없음」이라고 판정된다. 또, 「화상 신호 변화 없음」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다음 번의 화상 신호 판정 루틴 실행시의 기준 동기 신호 기간(Thwo) 및 기준 동기 신호 주기(Thco)로서, 이번에 측정된 수평 동기 신호 기간(Thw) 및 수평 동기 신호 주기(Thc)를 이용하지 않고서 전번의 값이 유지된다. 또, 다음 번의 화상 신호 판정 루틴 실행시의 기준 동기 신호 기간(Thwo) 및 기준 동기 신호 주기(Thco)로서, 이번에 측정된 수평 동기 신호 기간(Thw) 및 수평 동기 신호 주기(Thc)가 이용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의 화상 신호 판정 루틴에 있어서, 「화상 신호 변화 있음」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그 변화된 수평 동기 신호의 특성값에 근거하여, 화상 신호의 해석이 행해진다. 「화상 신호 변화 없음」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그대로의 화상 신호의 사양이 유지된다.
또, 도 2에 나타낸 화상 신호 판정 루틴은, 수평 동기 신호에 의한 화상 신호 판정 루틴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수직 동기 신호에 의한 화상 신호 판정도 행해진다. 단, 수직 동기 신호에 의한 화상 신호 판정은, 상기 수평 동기 신호에 의한 화상 신호 판정 루틴의 각 단계에 있어서의 수평 동기 신호에 대응하는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수직 동기 신호에 대응시켜 실행함으로써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 표시 장치(10)에 있어서는, 화상 신호를 해석하는 경우에, 주파수 확산된 시스템 클록의 발진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서, 측정된 동기 신호 특성값에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측정된 동기 신호 특성값의 변화에 근거하여 발생하는 화상 신호의 사양의 오해석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주파수 확산된 클록(주파수 확산 클록)을 시스템 클록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에서 발생하는 EMI 노이즈의 저감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시스템 클록을 주파수 확산하는 경우의 확산량을 크게 할수록, EMI 노이즈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확산량을 크게 할수록, 화상 신호의 해석시에 있어서, 측정된 동기 신호의 변화를 허용하는 범위가 넓게 되기 때문에, 「화상 신호 변화 없음」이라고 판정하는 범위가 넓어져서, 화상 신호의 해석 정밀도가 나빠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시스템 클록의 주파수 확산을 위한 확산량은, EMI 노이즈의 저감량과 화상 신호의 해석 정밀도와의 타협점을 구하는 것에 의해 설정된다.
B. 제 2 실시예
B1.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2 실시예로서의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 화상 표시 장치(20)는, 제 1 실시예의 화상 표시 장치(10)에 있어서의 시스템 클록 발생기(180)를 시스템 클록 발생기(180A)로 치환한 점을 제외하고 완전히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시스템 클록 발생기(180A)로 치환한 것에 의해 설명을 필요로 하는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시스템 클록 발생기(180A)는, 확산량이 비교적 작은 제 1 주파수 확산 신시사이저(182)와, 확산량이 비교적 큰 제 2 주파수 확산 신시사이저(184)와, 이들 2 개의 신시사이저로부터 출력되는 2종류의 클록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선택기(186)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주파수 확산 신시사이저(182) 및 제 2 주파수 확산 신시사이저(184)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스템 클록 발생기(180)와 마찬 가지로 확산 주파수 클록을 출력하는 각종 클록 발생기가 이용 가능하다. 단, 제 1 주파수 확산 신시사이저(182)는, 제 2 주파수 확산 신시사이저(184)에 비해 확산량 ±Tp%의 값이 작게 되어 있다. 예컨대, 클록 발생기(MK1705)에서는, 2개의 선택 입력(S1, S0)에 따라서, 확산량이 ±0.5%, ±1%, ±1.25%의 3종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제 1 주파수 확산 신시사이저(182)로서, 확산량을 ±0.5%로 설정한 MK1705를 이용하고, 제 2 주파수 확산 신시사이저(184)로서, 확산량을 ±1%로 설정한 클록 발생기(MK17O5)를 이용할 수 있다.
시스템 클록 발생기(180A)에서는, 선택기(186)에 의해, 통상의 동작시에 있어서는, 제 2 주파수 확산 신시사이저(184)가 선택되고, 화상 신호의 해석시에 있어서는, 제 1 주파수 확산 신시사이저(182)가 선택된다. 또, 선택기(186)에는, 제 1 주파수 확산 신시사이저(182)와 제 2 주파수 확산 신시사이저(184)의 전환시에 있어서, 시스템 클록(SYSCK)으로서 출력되는 클록에 새그(sag) 등의 노이즈가 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반적인 회로가 마련되어 있다.
B2. 화상 신호의 해석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 신호의 해석은, 아래와 같이 실행된다. 도 4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 신호 판정 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제 2 실시예의 화상 신호 판정 루틴에서는, 도 2의 화상 신호 판정 루틴에 있어서의 단계 S120와 단계 S130 사이에 단계 S125가 추가되고, 단계 S130와 단계 S140 사이에 단계 S135가 추가되어 있다. 또한, 단계 S120에 있어서 허용 조건의 산출에 이용되는 주파수 확산의 확산량 ±Tp%로서는, 제 1 주파수 확산 신시사이저(182)의 확산량이 이용된다.
단계 S125에서는, 단계 S130에 있어서의 수평 동기 신호 기간(Thw) 및 수평 동기 신호 주기(Thc)의 측정전에, 시스템 클록 발생기(180A)로서 제 1 주파수 확산 신시사이저(182)가 선택된다. 이 때, 화상 표시 장치(20)에 있어서의 각종 처리는, 제 2 주파수 확산 신시사이저(184)에 비해 작은 확산량으로 확산된, 발진주파수의 변화의 범위가 좁은 시스템 클록(SYSCK)을, 기준으로 실행된다.
그리고, 단계 S130에서는, 제 1 주파수 확산 신시사이저(182)로부터 출력되는 시스템 클록(SYSCK)에 근거하여 생성된 측정용 클록(MCK)을 이용하여, 수평 동기 신호 기간(Thw) 및 수평 동기 신호 주기(Thc)의 측정이 실행된다.
단계 S130에 있어서의 측정후, 단계 S135에서는, 시스템 클록 발생기(180A)로서 제 2 주파수 확산 신시사이저(184)가 선택된다. 이 때, 화상 표시 장치(20)의 각종 처리는, 제 1 주파수 확산 신시사이저(182)에 비해 큰 확산량으로 확산된, 주파수의 변화의 범위가 넓은 시스템 클록(SYSCK)을, 기준으로 실행된다.
그리고, 단계 S140 내지 단계 S170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 신호의 판정이 실행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 표시 장치(20)에 있어서도, 화상 신호를 해석하는 경우에, 주파수 확산된 시스템 클록(SYSCK)의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서, 측정된 동기 신호 특성값에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측정된 동기 신호 특성값의 변화에 근거하여 발생하는 화상 신호의 사양의 오해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주파수 확산된 클록(주파수 확산 클록)을 시스템 클록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발생하는 EMI 노이즈의 저감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EMI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클록(SYSCK)의 확산량이 크고, 발진 주파수의 변화가 큰 쪽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화상 신호의 해석을 보다 정밀도하게 실행하기 위해서는, 확산량이 작은 쪽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확산량이 O%로 발진 주파수가 실질적으로 단일한 주파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EMI 노이즈의 저감과 화상 신호의 해석 정밀도와의 타협점으로부터, 시스템 클록(SYSCK)을 주파수 확산하기 위한 확산량이 결정된다. 이 때문에, EMI 노이즈에 대하여 소망되는 저감량에 따라서, 시스템 클록(SYSCK)을 주파수 확산하기 위한 확산량을 결정할 수가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신호의 해석시와 통상의 동작시에서, 시스템 클록(SYSCK)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통상의 동작시에 있어서의 시스템 클록(SYSCK)의 확산량을, EMI 노이즈에 대하여 소망되는 저감량에 따라 설정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화상 신호의 해석시에는, 통상의 동작시에 비해 작은 확산량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EMI 노이즈를 저감하면서, 비교적 정밀하게 화상 신호의 해석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화상 신호의 해석시에 있어서의 시스템 클록(SYSCK)의 확산량은, 통상의 동작시에 비해 작게 된다. 이 때문에, 화상 신호의 해석시에 있어서의 EMI 노이즈는, 통상의 동작시에 있어서의 EMI 노이즈에 비해 커지는 것이 예상된다. 그러나, 화상 신호의 해석시에 있어서의 시스템 클록(SYSCK)도 주파수 확산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EMI 노이즈가 저감되고 있다. 또한, 화상 신호의 해석에 필요한 시간은, 상당히 짧기 때문에, 실제 EMI 노이즈의 측정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상으로부터, 화상 신호의 해석시에 있어서, 통상의 동작시에 비해 시스템 클록(SYSCK)의 확산량이 작게 되더라도, 거의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스템 클록 발생기(180A)는, 시스템 클록(SYSCK)으로서, 제 1 주파수 확산 신시사이저(182)의 출력과 제 2 주파수 확산 신시사이저(184)의 출력을 선택기(186)에 의해 선택하고, 확산량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주파수 확산 클록 중 어느 한쪽을 출력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출력되는 클록의 확산량을, 통상의 동작시와 화상 신호의 해석시에 전환 가능하게 하는 신시사이저를 이용함으로써 마찬가지의 시스템 클록 발생기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클록 발생기(MK1705)는,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선택 입력(S1, S0)에 따라서, 확산량을 선택 가능하기 때문에, 통상의 동작시와 화상 신호의 해석시에 선택 입력(S1, S0)에 부여하는 데이터를 변화시킴으로써, 확 산량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주파수 확산 클록을 전환하여 시스템 클록(SYSCK)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C. 제 3 실시예
C1.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
도 5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3 실시예로서의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 화상 표시 장치(30)는, 제 2 실시예의 화상 표시 장치(20)에 있어서의 시스템 클록 발생기(180A)를 시스템 클록 발생기(180B)로 치환한 점을 제외하고 완전히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시스템 클록 발생기(180B)로 치환한 것에 의해 설명을 필요로 하는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시스템 클록 발생기(180B)는, 시스템 클록 발생기(180A)의 제 1 주파수 확산 신시사이저(182)를 단일 주파수 신시사이저(182b)로 한 점이 다르다.
단일 주파수 신시사이저(182b)는, 주파수 확산된 클록과는 달리, 실질적으로 단일한 발진 주파수를 갖는 클록을 출력하는 클록 발생기이다. 단일 주파수 신시사이저(182b)로서는, PLL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시사이저나 수정 발진기 등의 각종 클록 발생기를 이용할 수 있다.
시스템 클록 발생기(180B)에서는, 통상의 동작시에 있어서는, 주파수 확산 신시사이저(184)가 선택되고, 화상 신호의 해석시에 있어서는, 단일 주파수 신시사이저(182b)가 선택된다.
C2. 화상 신호의 해석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 신호의 해석은, 아래와 같이 실행된다. 도 6는,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 신호 판정 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제 3 실시예의 화상 신호 판정 루틴은, 도 4의 화상 신호 판정 루틴에 있어서의 단계 S120와 단계 S125와 단계 S135가, 단계 S120a와 단계 S125a와 단계 S135a로 치환되어 있다.
화상 신호의 해석시에 있어서의 시스템 클록(SYSCK)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일 주파수 신시사이저(182b)로부터의 출력이 선택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같이, 확산량 ±Tp%에 따라서 발생하는 동기 신호의 변화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래서, 단계 S120a에서는, 동기 신호 기간(Thw) 및 동기 신호 주기(Thc)의 허용 조건이, 아래의 식에 근거하여 산출된다.
Figure 112002036741894-pat00003
단계 S125a에서는, 단계 S130에 있어서의 수평 동기 신호 기간(Thw) 및 수평 동기 신호 주기(Thc)의 측정전에, 시스템 클록 발생기(180B)로서 단일 주파수 신시사이저(182b)가 선택된다. 이 때, 화상 표시 장치(30)에 있어서의 각종 처리는, 실질적으로 단일한 발진 주파수를 갖는 시스템 클록(SYSCK)을 기준으로 실행된다.
그리고, 단계 S130에서는, 단일 주파수 신시사이저(182b)로부터 출력되는 시스템 클록(SYSCK)에 기초하여 생성된 측정용 클록(MCK)을 이용하여, 수평 동기 신 호 기간(Thw) 및 수평 동기 신호 주기(Thc)의 측정이 실행된다.
단계 S130에 있어서의 측정후, 단계 S135a에서는, 시스템 클록 발생기(180B)로서 주파수 확산 신시사이저(184)가 선택된다. 이 때, 화상 표시 장치(30)의 각종 처리는, 주파수 확산된 시스템 클록(SYSCK)을 기준으로 동작한다.
그리고, 단계 S140 내지 단계 S170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 신호의 판정이 실행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 표시 장치(30)에 있어서는, 동작의 기준으로 되는 시스템 클록을, 화상 신호의 해석시에는, 실질적으로 단일한 발진 주파수를 갖는 클록(단일 주파수 클록)으로 하고, 통상의 동작시에는, 주파수 확산된 클록(주파수 확산 클록)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화상 신호의 해석시에 있어서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또한 통상의 동작시에 있어서의 EMI 노이즈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통상의 동작시에 있어서의 시스템 클록의 확산량을, EMI 노이즈에 대하여 소망되는 저감량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신호의 해석시에는, 시스템 클록의 발진 주파수를 실질적으로 단일한 주파수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실시예에 비해 보다 정밀도하게 화상 신호의 해석을 할 수 있다. 단, 화상 신호의 해석시의 시스템 클록은 실질적으로 단일한 발진 주파수로 되기 때문에, 이 경우에 있어서의 EMI 노이즈는 커진다. 그러나, 화상 신호의 해석에 필요한 시간은 매우 짧기 때문에, 실제의 EMI 노이즈의 측정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아, 문제로 되지 않는다. 또, 화상 신호의 해석시에 있어서의 EMI 노이즈도 문제로 되는 경우에는, 제 2 실시예 쪽이 제 3 실시예에 비해 유리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스템 클록 발생기(180B)는, 시스템 클록(SYSCK)으로서, 단일 주파수 신시사이저(182b)의 출력과 주파수 확산 신시사이저(184)의 출력을 선택기(186)에 의해 선택하여, 두 종류의 서로 다른 클록 중 어느 한쪽을 출력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출력되는 클록을 주파수 확산하는지 여부가 전환 가능한 신시사이저를 이용함으로써 마찬 가지의 시스템 클록 발생기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그와 같은 신시사이저에서는, 인에이블 입력(LEE)에 따라 주파수 확산의 온/오프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통상의 동작시와 화상 신호의 해석시에 인에이블 입력(LEE)에 부여하는 데이터를 변화시킴으로써, 단일 주파수 클록과 주파수 확산 클록을 전환하여 시스템 클록(SYSCK)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양태에 있어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8)

  1. 주파수 확산된 클록을 기준으로 동작하여, 입력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동작의 기준으로 되는 시스템 클록을 출력하는 시스템 클록 생성부와,
    상기 시스템 클록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측정용 클록을 기준으로, 상기 입력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 기간 및 동기 신호 주기를 적어도 포함하는 동기 신호 특성값을 측정하는 동기 신호 측정부와,
    측정된 상기 동기 신호 특성값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화상 신호를 해석하는 화상 신호 해석부를 구비하되,
    상기 시스템 클록 생성부는, 발진 주파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주파수 확산된 주파수 확산 클록을 상기 시스템 클록으로서 출력하고,
    상기 화상 신호 해석부는, 측정된 상기 동기 신호 특성값이, 소정의 범위외일 때에는, 상기 입력 화상 신호의 사양은 변화하고 있고, 상기 소정의 범위내일 때에는, 상기 입력 화상 신호의 사양은 변화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하고, 또한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화상 신호를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클록 생성부는, 상기 동기 신호 측정부가 상기 동기 신호 특성 값을 측정하는 측정 기간에 있어서, 제 1 확산량으로 주파수 확산된 제 1 주파수 확산 클록을 상기 시스템 클록으로서 출력하고, 상기 측정 기간을 제외한 기간에 있어서, 제 2 확산량으로 주파수 확산된 제 2 주파수 확산 클록을 상기 시스템 클록으로서 출력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확산량은, 상기 제 2 확산량보다도 작은 화상 처리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클록 생성부는,
    상기 제 1 주파수 확산 클록을 생성하는 제 1 주파수 확산 클록 생성부와, 상기 제 2 주파수 확산 클록을 생성하는 제 2 주파수 확산 클록 생성부와, 생성된 상기 제 1 주파수 확산 클록과 제 2 주파수 확산 클록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선택부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클록 생성부는, 상기 제 1 확산량과 상기 제 2 확산량이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고, 선택된 확산량에 대응하는 주파수 확산 클록을 생성하는 주파수 확산 클록 생성부를 구비한 화상 처리 장치.
  6. 주파수 확산된 클록을 기준으로 동작하여, 입력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동작의 기준으로 되는 시스템 클록을 출력하는 시스템 클록 생성부와,
    상기 시스템 클록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측정용 클록을 기준으로, 상기 입력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 기간 및 동기 신호 주기를 적어도 포함하는 동기 신호 특성값을 측정하는 동기 신호 측정부와,
    측정된 상기 동기 신호 특성값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화상 신호를 해석하는 화상 신호 해석부를 구비하되,
    상기 시스템 클록 생성부는, 상기 동기 신호 측정부가 상기 동기 신호 특성값을 측정하는 측정 기간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단일한 발진 주파수를 갖는 단일 주파수 클록을 상기 시스템 클록으로서 출력하고, 상기 측정 기간을 제외한 기간에 있어서, 발진 주파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주파수 확산된 주파수 확산 클록을 상기 시스템 클록으로서 출력하고,
    상기 화상 신호 해석부는, 측정된 상기 동기 신호 특성값이, 소정의 범위외일 때에는, 상기 입력 화상 신호의 사양은 변화하고 있고, 상기 소정의 범위내일 때에는, 상기 입력 화상 신호의 사양은 변화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하고, 또한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화상 신호를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클록 생성부는,
    상기 단일 주파수 클록을 생성하는 단일 주파수 클록 생성부와, 상기 주파수 확산 클록을 생성하는 주파수 확산 클록 생성부와, 생성된 상기 단일 주파수 클록과 상기 주파수 확산 클록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선택부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클록 생성부는, 주파수 확산을 하는지 여부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단일 주파수 클록과 상기 주파수 확산 클록 중 어느 한쪽을 생성하는 주파수 확산 클록 생성부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
KR1020020068683A 2001-11-08 2002-11-07 주파수 확산된 클록을 기준으로 동작하여, 입력 화상신호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 KR100545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43529 2001-11-08
JP2001343529A JP3591503B2 (ja) 2001-11-08 2001-11-08 周波数拡散されたクロックを基準に動作し、入力画像信号を処理する画像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482A KR20030038482A (ko) 2003-05-16
KR100545419B1 true KR100545419B1 (ko) 2006-01-24

Family

ID=19157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683A KR100545419B1 (ko) 2001-11-08 2002-11-07 주파수 확산된 클록을 기준으로 동작하여, 입력 화상신호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58771B2 (ko)
EP (1) EP1311131B1 (ko)
JP (1) JP3591503B2 (ko)
KR (1) KR100545419B1 (ko)
CN (1) CN1418009A (ko)
DE (1) DE60230478D1 (ko)
TW (1) TWI2235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3556A (ja) * 2002-06-18 2004-01-22 Seiko Epson Corp 電子機器
US7701512B1 (en) * 2003-05-20 2010-04-20 Pixel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horizontal and vertical sync pulse detection and processing
US7486743B2 (en) * 2003-12-29 2009-02-03 Intel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frequency domain response in RF modulator
JP2007151099A (ja) 2005-10-28 2007-06-14 Seiko Epson Corp 無線通信装置
US20100074515A1 (en) * 2008-02-05 2010-03-25 Kla-Tencor Corporation Defect Detection and Response
US7709794B2 (en) * 2008-02-05 2010-05-04 Kla-Tencor Corporation Defect detection using time delay lock-in thermography (LIT) and dark field LIT
JP2009300728A (ja) * 2008-06-13 2009-12-24 Panasonic Corp 画像表示装置
EP2214396A1 (de) * 2009-01-28 2010-08-04 Bas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lichtungszeitkorrektur
JP5100783B2 (ja) * 2010-04-27 2012-12-19 シャープ株式会社 受信機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480100B2 (ja) 2013-11-28 2019-03-06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半導体装置、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信号処理方法
JP6836722B2 (ja) * 2017-12-25 2021-03-0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04833A2 (en) * 1994-09-30 1996-04-03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radiated by flat panel display systems
US6046735A (en) * 1996-08-21 2000-04-04 Neomagic Corp. EMI reduction for a flat-panel display controller using horizontal-line-based spread spectrum
JP2000125149A (ja) * 1998-10-16 2000-04-28 Olympus Optical Co Ltd 映像機器
EP1139324A2 (en) * 2000-03-31 2001-10-04 Fujitsu Limited Display apparatus with reduced noise emission and driving method for the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321A (ja) 1984-05-30 1986-02-03 テクトロニツクス・インコ−ポレイテツド デジタル機器の放射低減装置
US5142247A (en) * 1991-08-06 1992-08-25 Compaq Computer Corporation Multiple frequency phase-locked loop clock generator with stable transitions between frequencies
US5631920A (en) 1993-11-29 1997-05-20 Lexmark International, Inc. Spread spectrum clock generator
JP3320576B2 (ja) * 1994-12-22 2002-09-03 株式会社東芝 発振回路
US6097440A (en) * 1995-11-17 2000-08-01 Sony Corporation Synchronous processing device
US6020939A (en) 1996-01-19 2000-02-01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radiated by cathode ray tube displays
US6014063A (en) * 1997-08-27 2000-01-11 Quiet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radiated electromagnetic emissions from harmonic frequencies for electronic equipment
US6107851A (en) * 1998-05-18 2000-08-22 Power Integrations, Inc. Offline converter with integrated softstart and frequency jitter
US6249876B1 (en) * 1998-11-16 2001-06-19 Power Integrations, Inc. Frequency jittering control for varying the switching frequency of a power supply
US6292507B1 (en) * 1999-09-01 2001-09-18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a spread spectrum clock generator
US6665019B1 (en) * 2000-07-28 2003-12-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spread spectrum clocking of digital video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04833A2 (en) * 1994-09-30 1996-04-03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radiated by flat panel display systems
US6046735A (en) * 1996-08-21 2000-04-04 Neomagic Corp. EMI reduction for a flat-panel display controller using horizontal-line-based spread spectrum
JP2000125149A (ja) * 1998-10-16 2000-04-28 Olympus Optical Co Ltd 映像機器
EP1139324A2 (en) * 2000-03-31 2001-10-04 Fujitsu Limited Display apparatus with reduced noise emission and driving method for the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11131A2 (en) 2003-05-14
DE60230478D1 (de) 2009-02-05
EP1311131A3 (en) 2003-08-27
JP2003150143A (ja) 2003-05-23
EP1311131B1 (en) 2008-12-24
JP3591503B2 (ja) 2004-11-24
US20030108246A1 (en) 2003-06-12
US6958771B2 (en) 2005-10-25
TWI223558B (en) 2004-11-01
CN1418009A (zh) 2003-05-14
KR20030038482A (ko) 200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5419B1 (ko) 주파수 확산된 클록을 기준으로 동작하여, 입력 화상신호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
CN101097708B (zh) 图像显示设备以及调整时钟相位的方法
EP1117088A1 (en) Image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and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JPH1026953A (ja) ドットクロック再生装置
CN101315740A (zh) 模式侦测电路与方法
JPH1041812A (ja) Pll回路
KR100442002B1 (ko) 화상표시장치
US200600452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jitter of signals
US6538648B1 (en) Display device
US8013877B2 (en) Method and device of rapidly generating a gray-level versus brightness curve of a display
KR20020028867A (ko) 평면 스크린용 위상을 보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1376531A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reduc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noise
US7250981B2 (en) Video signal processor and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which interpolate a video signal using an interpolation factor based on phase information of a selected clock
JP4787470B2 (ja) 画像表示装置の動作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5538397A (ja) スクリーン上への画像表示において干渉パターンを低減するための制御ユニットおよび方法
CN110782856B (zh) 具有双面板的显示装置的调整方法
JP3409844B2 (ja) クロック位相自動調整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00004450A (ko) 디지탈 회로를 이용한 수평동기신호 발생장치 및 방법
JP2005140770A (ja) 半導体試験回路
US5854798A (en) Multirate generator and multirate generating method
JPH1091132A (ja) 画像表示装置
JP2002540475A (ja) 平面スクリーンの位相調整用の方法及び装置
US20030222669A1 (en) Method and system of evaluating pll built-in circuit
JPH10312182A (ja) 画像表示装置の映像信号判別回路
JPH0830221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