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4498B1 - 압연롤의 인너링 교체장치 - Google Patents

압연롤의 인너링 교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4498B1
KR100544498B1 KR1020010073447A KR20010073447A KR100544498B1 KR 100544498 B1 KR100544498 B1 KR 100544498B1 KR 1020010073447 A KR1020010073447 A KR 1020010073447A KR 20010073447 A KR20010073447 A KR 20010073447A KR 100544498 B1 KR100544498 B1 KR 100544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ring
roll
rotating
rotary
rolling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2702A (ko
Inventor
최상용
한상빈
선창수
성태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73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4498B1/ko
Publication of KR20030042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4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4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7Adaptation of roll neck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롤의 인너링에 균일하게 열을 가열하고, 가열 작업중에 인너링의 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가열히터의 내측에 밀림 방지용 가이드롤을 설치하며, 이 모든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롤넥크부와 인너링의 취외작업과 장착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정비부하를 감소시켜 설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도록 된 압연롤의 인너링 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연롤을 워크 및 드라이브 사이드로 돌려 줄때 크레인을 사용 하지 않고, 회전부에 의해서 회전시키므로 안전성 확보로 능률향상을 이룰 수 있고, 가열히터 내부에서 인너링이 회전함으로 인너링 전면에 열이 골고루 전달되어 인너링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가열된 인너링이 작업자에게 노출되지 않아 작업자의 화상 위험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인너링이 회전되어도 밀림 방지용 가이드롤들을 설치함으로서 인너링이 일정하지 않거나 규격이 다를 경우에도 관계없이 작업이 가능하고, 압연롤의 인너링 교체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작업 안전도의 향상과 작업능률의 향상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압연롤, 가열히터, 인너링, 분해 조립, 인너링 교체장치

Description

압연롤의 인너링 교체장치{AN APPARATUS FOR CHANGING INNER RING OF WORKING ROLL}
제 1도의 a),b)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인너링 교체작업 상황도;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의 인너링 교체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종합 설치 측면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의 인너링 교체장치에 갖춰진 회전부의 분해사시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의 인너링 교체장치에 갖춰진 가열부의 분해사시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의 인너링 교체장치의 가열부에 갖춰진 회전롤의 구조도로서,
a)도는 분해 사시도, b)도는 작동 상태도, c)도는 A-A단면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의 인너링 교체장치에 갖춰진 롤 회전부의 분해사시도;
제 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의 인너링 교체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롤 회전부 30..... 대차
40..... 인너링 가열부 51..... 가열 히터
55..... 회전롤 78..... 가이드롤
80..... 인너링 장착부 85..... 링 장착대
92..... 회동모터 120.... 링 안착대
300.... 압연롤 310.... 인너링(Inner Ring)
본 발명은 압연롤의 넥크부에 조립되는 인너링(Inner Ring) 의 분해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압연롤의 인너링에 균일하게 열을 가열하고, 가열 작업중에 인너링의 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가열히터의 내측에 밀림 방지용 가이드롤을 설치하며, 이 모든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롤넥크부와 인너링의 취외작업과 장착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정비부하를 감소시켜 설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도록 된 압연롤의 인너링 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 작업에서 롤넥크부에 이물혼입 및 오일 미스트등이 누적되면, 압연롤의 성능 저하와 오일의 이물 혼입등에 의해 롤넥크부의 인너링(Inner Ring) 전면에 피로층이 쌓여 베어링이 인너링과의 원할히 회전이 이루어 지지 않아 베어링이 파손되고, 그에 따라서 압연작업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문제점 있다.
이를 방지 하기위해서는 적기에 피로층이 쌓인 인너링을 교체를 해주어야 하는데 제 1도에 도시된 종래의 압연롤의 인너링 교체작업 상황도를 통하여 종래의 작업 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종래의 인너링(300) 교체 방법은 교체 대상의 압연롤(310)에서 작업자가 가열 토치(312)를 이용해서 인위적으로 인너링(300) 전면에 열를 가열하여 인너링(300)의 내경을 확장시킨 다음, 크레인 로프(315)로 줄걸이하여 취외하고, 신품 인너링(300)를 현장 바닦에서 가열 토치(312)로 가열한 다음, 로프(315)로 줄걸이하여 작업자의 인력으로 롤넥크(310a)에 인너링(300)을 삽입한다.
이때, 인너링(300)의 전체면에 균일하게 열을 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압연롤(310)과의 분해 조립시에 작업의 난해함이 발생되고, 가열된 인너링(300)이 노출되어 있어 분해 조립시, 작업자는 화상의 위험 및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기도 한다.
또한, 압연롤(310)의 양측에 장착된 인너링(300)을 교체 작업하고자 하는 경우, 즉 압연롤(310)의 양측에서 연속적인 작업이 이루어 질 때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로프(103)로 줄걸이 하여 좌우로 회전시켜 작업함으로써, 작업의 연속성이 없어 작업능률저하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또한, 인너링(300) 교체작업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작업기피 현상이 일어나서 적기에 인너링(300)를 교체하지 못하게 되고, 그에 따라서 베어링 사고가 빈번하여 설비 가동을 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압연롤의 인너링에 균일하게 열을 가열하고, 가열 작업중에 인너링의 밀림 현상을 방지하며, 롤넥크부와 인너링의 취외작업및 장착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하여 작업자의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정비부하를 감소시켜 설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도록 개선된 압연롤의 인너링 교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연롤의 넥크부에 조립되는 인너링(Inner Ring) 의 분해 조립장치에 있어서, 압연롤이 상부측에 장착되어 수평방향으로 18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원판과 회전모터들을 구비하고, 압연롤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를 구비한 롤 회전부; 상기 롤 회전부의 일측에서 이동가능한 대차상에 장착되고, 인너링을 내측에 위치시켜 가열하는 가열 히터를 내장한 인너링 가열부;및 상기 인너링 가열부에 대하여 진퇴가능한 링 장착대와 이를 전,후이동시키는 모터를 갖추고, 상기 링 장착대를 경사회동시키는 모터등을 구비하여 링 장착대에 끼워진 인너링을 가열 히터내에 장입하거나 취외하고 교환하도록 된 인너링 장착부;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롤의 인너링 교체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의 인너링 교체장치(1)는, 상부에 장착된 압연롤(310)의 양측, 즉 워크 사이드와 드라이브 사이드를 제자리에서 회전 시켜주는 롤 회전부(10)를 갖추고 , 상기 롤 회전부(10)의 일측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한 대차(30)상에 장 착된 인너링 가열부(40)를 구비하며, 인너링(300)의 취외작업을 처리를 하는 인너링 장착부(80)등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의 인너링 교체장치(1)에 갖춰진 롤 회전부(10)는 도 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링 교체 대상 압연롤(310)을 상부에 안착하는 두개의 롤러(12)를 받침판(14)의 블록베러링(16)에 의해서 회전가능하도록 안착하고, 일측의 롤러(12)의 회전축에는 모터(18)를 연결하여 상기 롤러(12)들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14)의 하부면에는 그 중앙에 래크기어(20)가 하향 연장되고, 그 사방으로는 가이드 봉(22)들이 하향 연장되며, 상기 래크기어(20)와 가이드 봉(22)들은 상기 받침판(14)의 하부측에 형성된 지지판(25)의 구멍(25a)들에 각각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25)은 〕형의 단면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그 양측 하단부는 회전원판(27)의 상부에 볼트(27a)등으로 장착되고, 일측으로는 상기 래크기어(20)에 치차 결합하는 피니언기어(29)를 회전시키기 위한 승하강 모터(32)를 장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승하강 모터(32)의 작동은 피니언기어(29)를 통하여 래크 기어(20)를 승하강시킴으로써 지지판(25)에 대하여 받침판(14)을 승하강 시킨다.
또한, 상기 지지판(25)이 장착되는 회전원판(27)은 바닥(35)의 오목부(35a)에 고정 장착되는 원형 밑판(37)과 상기 밑판(37)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밑판(37)에 끼워진 회전원판(27)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회전 모터(39)를 갖는바, 상기 회전원판(27)은 그 하부로 연장된 슬리브부(27c)의 내부면이 상기 원형 밑판(37)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롤러(37a)들에 접촉되어 밑판(37)에 대해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그 중앙에는 원호형 내접기어(27b)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 모터(39)의 피니언 기어(39a)에 치차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모터(39)의 정,역회전은 그 피니언 기어(39a)가 회전원판(27)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그 회전 원판(27)의 상부에 고정된 지지판(25)과 받침판(14)을 회전시키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상기 받침판(14)의 롤러(12)상에 장착된 압연롤(310)을 회전시키게 되어 압연롤(310)의 워크 사이드와 드라이브 사이드를 이후에 설명되는 가열부(40)측으로 향하도록 180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링 가열부(40)를 구비하는 바, 이는 상기 롤 회전부(10)의 일측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한 대차(30)상에 장착되며, 이는 원통형의 전기식 가열히터(51)가 내장된 사각 프레임(53)을 갖추고, 상기 프레임(53)의 양측으로는 인너링(300)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53a)가 형성되며, 상기 출입구(53a)로는 인너링(300)을 그 사이에 장착할 수 있는 4개의 회전롤(55)들을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장착한다.
먼저, 상기 사각 프레임(53)은 그 양측 면에 수직가이드 축(53b)들이 형성되어 상기 대차(30)로 부터 상부측으로 연장하는 지지대(31)의 가이드 홈(31a)에 끼워 결합됨으로서 대차(30)와의 결합을 이루고, 그 내측 공간에 장착된 원통형의 가열 히터(51)들에는 외부로 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전기적인 발열을 이루며, 상기 가열 히터(51)의 내측으로 4개의 회전롤(55)들이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한편, 상기 사각 프레임(53)의 양 출입구 측으로는 상기 회전롤(55)들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강기구(60)를 장착하고 있다.
상기 승강기구(60)는 사각 프레임(53)의 양측 상하모서리에서 돌출된 플랜지(54)들에 회전가능하도록 각각 끼워진 스크류 축(62)과 가이드봉(64)을 구비하며, 이들 스크류 축(62)과 가이드 봉(64)들은 사각 프레임(53)의 양측에 각각 짝을 이루어 플랜지(54)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상부측 플랜지(54)에서 스크류축(62)상에는 회전 모터(66)들이 장착되어 스크류축(62)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스크류축(62)과 가이드 봉(22)에는 각각 승강 블럭(68)들이 1조를 이루어 각각 장착된다.
이러한 승강 블럭(68)에는 상기 회전롤(55)의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 블럭(68)과 스크류축(62)및 가이드 봉(64)과 회전 모터(66)들을 통하여 상기 회전롤(55)은 사각 프레임(53)내에서 상,하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크류 축(62)에는 상,하부에 각각 서로 다른 나선이 형성됨으로써, 즉, 오른 나사와 왼나사가 동일하게 대칭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회전모터(66)가 스크류 축(62)을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류 축(62)에 나사결합되는 상,하부의 승강 블럭(68)들은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멀어지도록 상하이동되고, 그에 따라서, 상기 승강 블럭(68)에 각각 복수개 장착된 회전롤(55)들이 그 상하 사이 간격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롤(55)들은 일측의 승강 블럭(68)에 장착된 회전 모터(70)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되며, 그 상하 사이 간격이 상기와 같이 조절되어 그 내측에 인너링(300)을 장착하는 경우, 그 인너링(300)을 압연롤(310)의 넥크부(310a)에 장착 하는 과정에서 횡방향으로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즉, 각각의 회전롤(55)들은 2분할이 가능한 중공 원통형의 몸체(72)구조를 갖추고, 상기 몸체(72)의 양측으로 플랜지(74)들과 볼트(74a)들에 의해서 결합되며, 상기 몸체(72)에는 스프링(76)에 의해서 상기 몸체(72)의 방사방향으로 탄력지지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롤(78)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가이드롤(78)들은 그 선단에 베어링 롤러(78a)들을 구비한다. 즉, 상기 가이드롤(78)의 하단에는 나사부(79a)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72)의 내부면에서 너트(79b)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롤(78)이 삽입되는 몸체(72)의 요홈(72a)에는 각각 스프링(76)이 내장되어 상기 가이드롤(78)들이 항상 상기 몸체(72)의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롤(78)들은 만일 외측에서 하중이 가해지면, 스프링(76)을 가압하여 몸체(72)의 내부로 삽입가능한 것이며, 하중이 가해지지 않은 부분은 그대로 몸체(72)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가이드롤(78)들은 상기 회전롤(55)의 몸체(72)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며, 동시에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줄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회전롤(55)상에 인너링(300)이 안착되면, 인너링(300)의 하중은 가이드롤(78)들을 눌러서 몸체(72)로 들어가게 하고, 누르지 않은 부분은 그대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인너링(300)이 회전롤(55)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대차(30)상에는 상기 인너링 가열부(40)에 근접하여 상기 인너링 가 열부(40)에 인너링(300)을 장착하거나 취외시키기 위한 인너링 장착부(80)를 갖는다.
상기 인너링 장착부(8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부(40)의 일측에서 대차(30)상을 이동하는 링 장착대(85)를 구비하는 바, 상기 링 장착대(85)는 대차(30)의 중앙에 긴 가이드 홈(87)을 따라서 형성된 스크류 축(89)에 그 하단이 나사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스크류 축(89)의 일측 단에 마련된 전,후진 모터(92)에 의해서 동작된다. 즉, 상기 전,후진 모터(92)가 정,역회전작동하게 되면, 이는 스크류 축(89)을 정,역회전시켜서 이에 나사결합된 링 장착대(85)가 가열부(40)측으로 근접하도록 된 것이며, 상기 링 장착대(85)는 ㄱ형의 높이 조절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며, 그 선단에는 인너링(300)의 내측으로 삽입가능한 회전슬리브(95)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슬리브(95)가 상하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링 장착대(85)의 수직부분은 절첩식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승하강 실린더(97)가 마련되어 상기 장착대(85)의 상부부재(99a)를 하부부재(99b)에 대하여 승하강 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승하강 실린더(97)의 동작으로 상부부재(99a)는 하부부재(99b)에 대하여 승하강되어 그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링 장착대(85)는 대차(30)의 양측으로 경사회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바, 이는 상기 링 장착대(85)의 하단에 치차부(102)를 형성하고, 상기 치차부(102)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105)를 대차(30)의 하부측에 장착하며, 상기 피니언 기어(105)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모터(107)를 대차(30)의 일측에 장착하는 것이 다.
따라서, 상기 링 장착대(85)는 가열부(40)측으로 전진하여서 근접하게 되면, 상기 치차부(102)와 피니언 기어(105)는 서로 분리되지만, 링 장착대(85)가 가열부(40)로 부터 멀어지게 되면, 상기 치차부(102)에 피니언 기어(105)가 맞물림으로써 상기 회동모터(107)의 작동으로 링 장착대(85)와 이에 결합된 스크류 축(89)은 회동되어 대차(30)의 양측방에 마련된 링 안착대(110)측으로 경사회동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대차(30)의 하부면에는 각각 휠(112)이 장착되고, 상기 대차(30)를 롤 회전부(10)측으로 근접시키기 위한 전,후진 실린더(115)가 갖춰져 있다.
미설명 부호 (120)는 링 안착대(110)가 설치된 레일이고,(122)는 링 안착대(110) 이동 실린더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의 인너링 교체장치(1)는 제 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링(300)을 교체할 압연롤(310)을 인너링(300) 교체용 회전부(10)의 롤러(12)상에 안착시킨다.
이와 같이 안착된 압연롤(310)은 회전 모터(18)에 의해서 롤러(12)가 회전됨으로서 서서히 회전하고, 승하강 모터(32)에 의해서 압연롤(310)의 높이가 조절되어 인너링 가열부(40)의 가열 히터(51)의 중앙에 맞춰지며, 인너링 가열부(40)의 회전롤(55)들은 그 상하 사이 간격이 넓게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대차 이동용 전,후진 실린더(115)가 동작하게 되면, 대차(30)가 전진하여 압연롤(310)의 인너링(300)이 가열 히터(51)내측의 회전롤(55)들 사이에 위치되고, 이와 같이 위치되면, 상기 회전롤(55)들을 승하강 시키는 모터(66)들의 작동으로 상기 회전롤(55)의 사이에 인너링(300)이 위치하도록 회전롤(55)들은 그 사이가 좁혀지며, 상기 회전롤(55)들 사이에서 인너링(300)이 잡혀지면, 가열 히터(51)을 통하여 인너링(300)의 가열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인너링(300)은 압연롤(310)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회전롤(55)내에서 회전되는 바, 이는 상기 회전롤(55)에 갖춰진 가이드롤(78)들은 그 선단에 베어링 롤러(78a)들을 구비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회전롤(55)의 원활한 회전작동을 보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인너링(300)의 고른 가열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상기 인너링(300)의 내경이 확장되어 압연롤(310)의 네크부로부터 쉽게 인출되는 상태이므로, 상기 대차 전,후진 실린더(115)가 후진하면, 상기 회전롤(55) 사이에서 회전하던 인너링(300)은 회전롤(55)의 가이드롤(78)들에 잡혀서 상기 압연롤(310)의 네크부로 부터 빠지고, 압연롤(310)로 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링 장착대(85)가 전진하여 인너링(300)의 내측으로 회전 슬리브(95)를 삽입하고, 상기 회전롤(55)의 사이가 벌어지도록 승하강 모터(66)들을 동작시키면, 링 장착대(85)의 회전 슬리브(95)상에 인너링(300)이 끼워지고, 상기 링 장착대(85)를 후진시키면, 도 7의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링(300)이 가열 히터(51)로 부터 인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회동모터(92)를 작동시켜 상기 인너링(300)을 대차(30)의 측방에 위치된 안착대(110)상에 올려 놓고, 상기 링 장착대(85)는 반대측으로 회동되어 새로운 인너링(300)을 상기 회전 슬리브(95)상에 끼운 다음, 상기와는 반대의 순서로 링 장착대(85)를 세워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히터(51)의 내측 으로 집어 넣고, 회전롤(55)로서 고정한 다음, 가열 시켜서 압연롤(310)의 네크부로 삽입하게 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서, 압연롤(310)의 일측 네크부로 부터 인너링(300)을 교체할 수 있고, 그 반대측 네크부의 인너링(300)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롤 회전부(10)의 회전모터(39)가 작동하여 회전원판(27)을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압연롤(310)의 양측, 즉 워크 사이드와 드라이브 사이드는 180도 방향이 전환되어 가열 히터(51)측을 향하게 되고, 이와 같이 회전시켜서 인너링(300)을 차례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압연롤(310)을 워크 및 드라이브 사이드로 돌려 줄때 크레인을 사용 하지 않고, 회전부(10)에 의해서 회전시키므로 안전성 확보로 능률향상을 이룰 수 있고, 가열히터(51) 내부에서 인너링(300)이 회전함으로 인너링(300) 전면에 열이 골고루 전달되어 인너링(300)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가열된 인너링(300)이 작업자에게 노출되지 않아 작업자의 화상 위험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인너링(300)이 회전되어도 밀림 방지용 가이드롤(78)들을 설치함으로서 인너링(300)이 일정하지 않거나 규격이 다를 경우에도 관계없이 작업이 가능하고, 압연롤(310)의 인너링(300) 교체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작업 안전도의 향상과 작업능률의 향상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5)

  1. 압연롤(310)의 롤 넥크에 장착되는 인너링(Inner Ring) 의 분해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연롤(310)이 상부측에 장착되어 수평방향으로 18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원판(27)과 회전모터(39)들을 구비하고, 압연롤(310)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18)를 구비한 롤 회전부(10); 상기 롤 회전부(10)의 일측에서 이동가능한 대차(30)상에 장착되고, 인너링(300)을 내측에 위치시켜 가열하는 가열 히터(51)를 내장한 인너링 가열부(40);및 상기 인너링 가열부(40)에 대하여 진퇴가능한 링 장착대(85)와 이를 전,후이동시키는 모터(92)를 갖추고, 상기 링 장착대(85)를 경사회동시키는 모터(107)등을 구비하여 링 장착대(85)에 끼워진 인너링(300)을 가열 히터(51)내에 장입하거나 취외하고, 교환하도록 된 인너링 장착부(80);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롤의 인너링 교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 회전부(10)는 받침판(14)의 하부면 중앙에 래크기어(20)가 하향 연장되고, 그 사방으로는 가이드 봉(22)들이 하향 연장되며, 상기 래크기어(20)와 가이드 봉(22)들은 상기 받침판(14)의 하부측에 형성된 지지판(25)의 구멍(25a)들에 각각 끼워지고, 상기 지지판(25)은 그 양측 하단부가 회전원판(27)의 상부에 볼트(27a)등으로 장착되며, 일측으로는 상기 래크기어(20)에 치차 결합하는 피니언기어(29)를 회전시키기 위한 승하강 모터(32)를 장착하고;
    상기 지지판(25)이 장착되는 회전원판(27)은 바닥(35)의 오목부(35a)에 고정 장착되는 원형 밑판(37)과 상기 밑판(37)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밑판(37)에 끼워진 회전원판(27)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회전 모터(39)를 갖추고, 상기 회전원판(27)은 그 하부로 연장된 슬리브부(27c)의 내부면이 상기 원형 밑판(37)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롤러(37a)들에 접촉되어 밑판(37)에 대해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그 중앙에는 원호형 내접기어(27b)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 모터(39)의 피니언 기어(39a)에 치차 결합됨으로서 상기 회전 모터(39)의 정,역회전은 압연롤(310)의 단부가 가열부(40)측으로 향하도록 180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롤의 인너링 교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링 가열부(40)는 상기 롤 회전부(10)의 일측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한 대차(30)상에 장착되며, 이는 원통형의 전기식 가열히터(51)가 내장된 사각 프레임(53)을 갖추고, 그 내부에는 4개의 회전롤(55)들을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장착하고, 상기 회전롤(55)들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강기구(60)를 장착하는 한편;
    상기 승강기구(60)는 사각 프레임(53)의 양측 상하모서리에서 돌출된 플랜지(54)들에 회전가능하도록 각각 끼워진 스크류 축(62)과 가이드봉(64)을 구비하며, 이들 스크류 축(62)과 가이드 봉(64)들은 사각 프레임(53)의 양측에 각각 짝을 이루어 플랜지(54)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상부측 플랜지(54)에서 스크류축(62)상에는 회전 모터(66)들이 장착되어 스크류축(62)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스크류축(62)과 가이드 봉(22)에는 각각 승강 블럭(68)들이 1조를 이루어 각각 장착되어 상기 회전 모터(66)들을 통하여 상기 회전롤(55)은 사각 프레임(53)내에서 상,하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롤의 인너링 교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55)들은 2분할이 가능한 중공 원통형의 몸체(72)구조를 갖추고, 상기 몸체(72)의 양측으로 플랜지(74)들과 볼트(74a)들에 의해서 결합되며, 상기 몸체(72)에는 스프링(76)에 의해서 상기 몸체(72)의 방사방향으로 탄력지지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롤(78)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가이드롤(78)들은 그 선단에 베어링 롤러(78a)들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롤(78)들은 상기 회전롤(55)의 몸체(72)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며, 동시에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줄을 이루어 형성되어 상기 회전롤(55)상에 인너링(300)이 안착되면, 인너링(300)의 하중은 가이드롤(78)들을 눌러서 몸체(72)로 들어가게 하고, 누르지 않은 부분은 그대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인너링(300)이 회전롤(55)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고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롤의 인너링 교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링 장착부(80)는 링 장착대(85)가 대차(30)의 중앙에 긴 가이드 홈(87)을 따라서 형성된 스크류 축(89)에 그 하단이 나사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스크류 축(89)의 일측 단에 마련된 전,후진 모터(92)에 의해서 동작되며, 상기 링 장착대(85)의 수직부분은 절첩식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승하강 실린더(97)가 마련되어 상기 장착대(85)의 상부부재(99a)를 하부부재(99b)에 대하여 승하강 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링 장착대(85)는 그 하단에 치차부(102)를 형성하고, 상기 치차부(102)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105)를 대차(30)의 하부측에 장착하며, 상기 피니언 기어(105)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모터(107)를 대차(30)의 일측에 장착하여 링 안착대(110)측으로 경사회동 가능한 것이며;
    상기 대차(30)의 하부면에는 각각 휠(112)이 장착되고, 상기 대차(30)를 롤 회전부(10)측으로 근접시키기 위한 전,후진 실린더(115)가 갖춰짐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롤의 인너링 교체장치.
KR1020010073447A 2001-11-23 2001-11-23 압연롤의 인너링 교체장치 KR100544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447A KR100544498B1 (ko) 2001-11-23 2001-11-23 압연롤의 인너링 교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447A KR100544498B1 (ko) 2001-11-23 2001-11-23 압연롤의 인너링 교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702A KR20030042702A (ko) 2003-06-02
KR100544498B1 true KR100544498B1 (ko) 2006-01-24

Family

ID=29571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447A KR100544498B1 (ko) 2001-11-23 2001-11-23 압연롤의 인너링 교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44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494B1 (ko) * 2002-08-30 2009-02-16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스탠드의 소경롤 교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274B1 (ko) * 2014-12-24 2016-11-07 주식회사 포스코 커플링 분해 장치
KR101736695B1 (ko) * 2016-11-03 2017-05-16 장준영 베어링 조립분해장치
KR102315437B1 (ko) 2020-03-16 2021-10-21 주식회사 포스코 베어링용 줄걸이 장치
KR102329510B1 (ko) * 2020-06-23 2021-11-19 주식회사 포스코 롤의 링 교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1914A (en) * 1979-12-27 1981-07-25 Kobe Steel Ltd Replacing apparatus for roll chock of rolling mill
KR920019296U (ko) * 1991-04-04 1992-11-16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냉연소둔 전기세척 탱크의 롤 교환용 대차장치
JPH09267109A (ja) * 1996-03-29 1997-10-14 Nippon Steel Corp ロール及びチョック組替設備
JPH1094816A (ja) * 1996-09-25 1998-04-14 Kawasaki Heavy Ind Ltd ミルロール用ウェブガイド組替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1914A (en) * 1979-12-27 1981-07-25 Kobe Steel Ltd Replacing apparatus for roll chock of rolling mill
KR920019296U (ko) * 1991-04-04 1992-11-16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냉연소둔 전기세척 탱크의 롤 교환용 대차장치
JPH09267109A (ja) * 1996-03-29 1997-10-14 Nippon Steel Corp ロール及びチョック組替設備
JPH1094816A (ja) * 1996-09-25 1998-04-14 Kawasaki Heavy Ind Ltd ミルロール用ウェブガイド組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494B1 (ko) * 2002-08-30 2009-02-16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스탠드의 소경롤 교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702A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474640B (zh) 一种用于管道内壁检测清洁的装置及管道清洁方法
KR100544498B1 (ko) 압연롤의 인너링 교체장치
KR102329510B1 (ko) 롤의 링 교체장치
CN109115981B (zh) 一种钢管自动探伤装置的工作方法
KR101254124B1 (ko)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상부프레임 반전장치
CN202716126U (zh) 用于轧辊磨床的砂轮翻转装置
CN111390714A (zh) 一种经轴清理装置
KR19990000196U (ko) 압연롤 교체를 위한 롤센터조정 및 표면검사장치
CN113829290B (zh) 一种扇形块解体工装及其解体检查方法
KR100883494B1 (ko) 압연스탠드의 소경롤 교환장치
CN210763426U (zh) 一种便捷上卷的带钢放卷装置
KR100919012B1 (ko) 대형직류전동기의 회전자와 메탈베어링 조립장치
CN218747571U (zh) 一种刀套更换辅助装置
CN111715699A (zh) 一种轧机主传动轴的拆装装置及工艺
KR100787588B1 (ko) 지지롤과 쵸크의 회전이 가능한 익스트랙터
KR100530052B1 (ko) 조정너트와 링 캐리어의 분해조립장치
CN218231298U (zh) 一种球化线的收卷装置
CN212470932U (zh) 经轴清理装置
CN217453830U (zh) 一种开卷机和卷取机用卷筒扇形板拆装装置
KR100515602B1 (ko) 스트립 절단용 환도 장착장치
KR100916042B1 (ko) 연삭기 숫돌의 플랜지 교환장치
KR101424874B1 (ko) 장입기중기
CN210586384U (zh) 一种支撑辊轴承座拆装机
KR102241431B1 (ko) 베어링이 융착된 백업롤로부터 쵸크를 분리하기 위한 쵸크 가공장치
KR200186050Y1 (ko) 대형 쵸크 및 베어링 정비를 위한 회전 및 전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