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3246B1 - 포토 다이오드가 구비된 차량용 공조제어 조작 스위치 - Google Patents

포토 다이오드가 구비된 차량용 공조제어 조작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3246B1
KR100543246B1 KR1020030039733A KR20030039733A KR100543246B1 KR 100543246 B1 KR100543246 B1 KR 100543246B1 KR 1020030039733 A KR1020030039733 A KR 1020030039733A KR 20030039733 A KR20030039733 A KR 20030039733A KR 100543246 B1 KR100543246 B1 KR 100543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witch
target
emitting unit
rece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9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10415A (ko
Inventor
이명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9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3246B1/ko
Publication of KR20040110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2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 fixed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4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 B26D1/1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with vertical cutting member
    • B26D1/15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with vertical cutting member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제어 조작 스위치에 있어서, 전원을 인가 받아 빛을 발생시키는 LED와 상기 LED로부터의 빛을 집속시키거나 또는 발산시켜 타겟으로 보내는 렌즈로 구성이 되는 발광부(301)와, 발광부와 수광부사이에 설치되고 스위치 노브와 일체로 구성이 되며 상기 스위치 노브의 회전에 의하여 동일하게 회전이 되면서 상기 렌즈로부터의 빛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슬롯이 포함된 타겟과, 상기 타겟의 슬롯을 통과한 빛을 받아 이에 상응하는 출력신호를 발생시켜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수광부(305)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으며, 상기 구성에 의하여 종래의 인코더 스위치보다 상대적으로 가격을 저렴하게 하고, 디자인에 관계없이 스위치내부에 별도의 스위치를 내장하기 용이하도록 하여 디자인 용이도를 높이며, 비접촉식 스위치방식에 의함으로써 기존 방식의 스위치 접촉면 마모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스위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 차량용 공조제어, 스위치

Description

포토 다이오드가 구비된 차량용 공조제어 조작 스위치{Automotive air conditioner control switch with photo diode}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제어 조작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제어 조작 스위치의 내부 및 외관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 다이오드가 구비된 차량용 공조제어 조작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 다이오드가 구비된 차량용 공조제어 조작 스위치의 작동상태에 따른 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인코더 스위치 102 : 컨트롤러
201 : 차량용 공조제어 조작 스위치 내부
202 : 차량용 공조제어 조작 스위치 외부
301 : 발광부 302 : LED
303 : 렌즈(lens) 304 : 타겟(target)
305 : 수광부
본 발명은 포토 다이오드가 구비된 차량용 공조제어 조작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실내를 쾌적하게 하기 위한 공조기의 작동 및 토출방향 등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조작 스위치를 광소자에 의한 비접촉식으로 구성함으로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포토 다이오드가 구비된 차량용 공조제어 조작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여러 가지 기후나 주행조건에서도 탑승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주고, 용이한 시계확보를 위한 윈드쉴드 글래스 면상의 결로 및 서리 등을 제거하여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가 설치되고 있다. 공기조화기는 차 실내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거나 내부공기를 순환시켜 차 실내의 공기를 청정상태로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동절기에는 차 실내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난방 시스템을 작동시키고, 하절기에는 차 실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방 시스템을 작동시켜 항상 차량 실내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위와 같이 차량용 공기조화기에는 차 실내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차량용 공조제어 조작 스위치가 장착되며, 상기 조작 스위치를 회전시킴에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제어되어 윈드쉴드 글래스의 면상으로 토출되도록 하여 결로 및 서리를 제거하도록 하거나 운전자의 발쪽이나 위쪽 또는 윈드쉴드 글래스 및 운전자 발쪽 등 다양한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차량 실내 환경을 유지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제어 조작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코더 스위치(encoder switch)(101)가 온(on)이 되면 풀업저항에 인가된 전원에 의하여 컨트롤러(102)에는 로(low)상태의 신호가 입력이 되고 인코더 스위치(101)가 오프(off)가 되면 풀업저항에 인가된 전원에 의하여 컨트롤러(102)에는 하이(high)상태의 신호가 입력이 되어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감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인코더 스위치와 같은 회전식 스위치의 경우 스위치자체를 이용하여 입력회로를 구성함으로써, 스위치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고, 디자인에 따라서 스위치내부에 별도의 접촉식 스위치를 내장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위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아크등으로 인하여 접촉면의 카본이 마모되고 절연피막이 형성되어 전기전도성이 떨어지는 등의 내구성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인코더 스위치와 같은 회전식 스위치를 비접촉식 스위치방식에 의하도록 하여, 종래의 인코더 스위치보다 상대적으로 가격을 저렴하게 하고, 디자인에 관계없이 스위치내부에 별도의 스위치를 내장하기 용이하도록 하여 디자인 용이도를 높이며, 비접촉식 스위치방식에 의함으로써 기존 방식의 스위치 접촉면 마모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스위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자 함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제어 조작 스위치에 있어서, 전원을 인가 받아 빛을 발생시키는 LED와 상기 LED로부터의 빛을 집속시키거나 또는 발산시켜 타겟으로 보내는 렌즈로 구성이 되는 발광부(301)와, 발광부와 수광부사이에 설치되고 스위치 노브와 일체로 구성이 되며 상기 스위치 노브의 회전에 의하여 동일하게 회전이 되면서 상기 렌즈로부터의 빛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슬롯이 포함된 타겟과, 상기 타겟의 슬롯을 통과한 빛을 받아 이에 상응하는 출력신호를 발생시켜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수광부(3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광부는 타겟을 통과한 빛을 받을 경우 하이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로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수광부는 타겟의 슬롯을 통과한 두 종류의 빛을 받고, 상기 두 종류의 빛의 위치 및 위상차이에 의하여 위상이 다른 두 개의 출력전압을 발생시키며 이에 의하여 차량용 공조제어 조작 스위 치의 모드를 판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제어 조작 스위치의 내부 및 외관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 다이오드가 구비된 차량용 공조제어 조작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발광부(301)는 차량의 전원을 인가 받아 빛을 발생시키는 LED(302)와 상기 LED로부터의 빛을 집속시키거나 발산시켜 타겟(304)으로 구성이 되며,
상기 타겟은 발광부와 수광부사이에 설치되고 스위치 노브와 일체로 구성이 되며 상기 스위치 노브의 회전에 의하여 동일하게 회전이 되도록 구성이 된다. 또한 상기 슬롯(slot)은 타겟내에 형성이 되어 상기 렌즈로부터의 빛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수광부(305)는 타겟의 회전에 의하여 통과된 빛을 받아 출력신호를 발생시켜 차량용 공조제어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수광부는 타겟을 통과한 빛을 받을 경우 하이레벨(high level)의 출력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반대로 로레벨(low level)의 출력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타겟의 회전방향을 판단하기 위하여 타겟으로부터 두 종류의 빛을 받고 상기 두 종류 빛의 위상차이에 의하여 위상이 다른 출력전압을 발생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 다이오드가 구비된 차량용 공조제어 조작 스위치의 작동상태에 따른 파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타겟의 회전방향을 판단하기 위하여 수광부는 타겟으로부터 위상이 다른 두 종류의 빛을 받고 이에 상응하여 위상이 다른 출력전압을 발생시켜 컨트롤러에 전송한다.
수광부로부터 두 종류의 출력전압을 입력받은 컨트롤러는 상기 출력전압을 발생시키는 LED의 위치와 두 종류의 위상차이를 연산하여 차량용 공조제어 조작 스위치의 모드(mode)와 회전방향을 판단하고 이에 상응하는 제어를 실행시켜 최적의 차량 실내 환경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인코더 스위치와 같은 회전식 스위치를 비접촉식 스위치방식에 의하도록 하여, 종래의 인코더 스위치보다 상대적으로 가격을 저렴하게 하고, 디자인에 관계없이 스위치내부에 별도의 스위치를 내장하기 용이하도록 하여 디자인 용이도를 높이며, 비접촉식 스위치방식에 의함으로써 기존 방식의 스위치 접촉면 마모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스위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발광부, 수광부, 타겟 및 컨트롤러로 구성이 되는 비접촉식 차량용 공조제어 조작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전원을 인가 받아 빛을 발생시키는 LED와 상기 LED로부터의 빛을 집속시키거나 또는 발산시켜 타겟으로 보내는 렌즈로 구성이 되고,
    상기 수광부는 발광부로부터 타겟을 통과한 빛을 받을 경우 하이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로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두 종류의 빛의 위치 및 위상차이에 의하여 위상이 다른 두 개의 출력전압을 발생시켜 컨트롤러에 송신하며,
    상기 타겟은 발광부와 수광부사이에 스위치 노브와 일체로 구성이 되며 상기 스위치 노브의 회전에 의하여 동일하게 회전이 되면서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빛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슬롯이 포함되어 구성이 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수광부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차량용 공조제어 조작 스위치의 모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다이오드(LED)가 구비된 차량용 공조제어 조작 스위치.
  2. 삭제
  3. 삭제
KR1020030039733A 2003-06-19 2003-06-19 포토 다이오드가 구비된 차량용 공조제어 조작 스위치 KR100543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733A KR100543246B1 (ko) 2003-06-19 2003-06-19 포토 다이오드가 구비된 차량용 공조제어 조작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733A KR100543246B1 (ko) 2003-06-19 2003-06-19 포토 다이오드가 구비된 차량용 공조제어 조작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415A KR20040110415A (ko) 2004-12-31
KR100543246B1 true KR100543246B1 (ko) 2006-01-20

Family

ID=3738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733A KR100543246B1 (ko) 2003-06-19 2003-06-19 포토 다이오드가 구비된 차량용 공조제어 조작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32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974B1 (ko) * 2006-08-30 2007-10-10 씨멘스브이디오한라 주식회사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의 로터리 노브 구동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415A (ko) 200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04717A (zh) 车辆用照明开关以及车辆用照明系统
JP4661847B2 (ja) 車両用ライト制御装置
KR100543246B1 (ko) 포토 다이오드가 구비된 차량용 공조제어 조작 스위치
ES2302305T3 (es) Sistema de iluminacion y/o de señalizacion para vehiculo con mando de accionador perfeccionado.
KR100435680B1 (ko) 데이 타임 런닝 라이트 제어장치
CN107298048B (zh) 汽车照明系统
KR200449535Y1 (ko) 차량의 엘이디 턴 시그널램프용 부하 매칭 장치
KR101000183B1 (ko) 주간 헤드 램프 점등 제어 장치
WO2004060716A1 (en) Autolights system for vehicle
JP2006321428A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KR0139429Y1 (ko) 조도적응식 차량의 미등/전조등 제어회로
KR200152854Y1 (ko) 아웃사이드 미러의 열선 제어장치
US6462479B1 (en) Vehicle headlamp system
KR100203489B1 (ko) 자동차의 계기판조명등과 후미등 점등 장치
KR200291421Y1 (ko) 자동차의 전조등 전환장치
KR0141045B1 (ko) 자동차의 시트 온도제어장치
KR200224277Y1 (ko) 헤드램프자동온/오프장치
KR100187098B1 (ko) 자동차 앞유리창의 자동 서리제거 시스템
KR101461896B1 (ko) 헤드램프 제어장치
US8251558B1 (en) Headlamp system and kit providing on-road and off-road illumination
JP2023061113A (ja) 配光制御装置
KR0126090Y1 (ko) 자동차의 조도순응식 등화회로
KR19980054694U (ko) 차량의 실내등제어회로
CN112672921A (zh) 用于安装在车辆中或车辆上的可设置单元
JP2004291819A (ja) 車両用灯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