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938B1 - 도장액수용용기 - Google Patents

도장액수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938B1
KR100540938B1 KR1019980009232A KR19980009232A KR100540938B1 KR 100540938 B1 KR100540938 B1 KR 100540938B1 KR 1019980009232 A KR1019980009232 A KR 1019980009232A KR 19980009232 A KR19980009232 A KR 19980009232A KR 100540938 B1 KR100540938 B1 KR 100540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ating liquid
container body
circumferential wall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9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0415A (ko
Inventor
다카시 이모토
유키 후쿠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윌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97001829U external-priority patent/JP3044800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7010060U external-priority patent/JP3048835U/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윌슨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윌슨
Publication of KR19980080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9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4Means for mixing or for promoting flow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Abstract

용제 불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도장액의 수용 용기에 있어서, 이 용기를 흔드는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용기내 저부에 침강한 안료 등의 용제 불용성 성분을 용제 중에 분산시켜 균일한 현탁액으로 만들 수 있으며, 아울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도장액 수용 용기를 제공한다.
용제 불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도장액 수용 용기로서, 용기 본체가 둘레벽부와 저부로 이루어지고, 용기 본체 내부에는 구형의 교반자를 수납시킨 도장액 수용 용기에 있어서, 둘레벽부의 내면에서 저부의 내면에 걸쳐 상기 구형의 교반자가 한 점에서 접하여 구름이동하는 곡면부를 형성하고, 저부의 외면에는 적어도 도장액 수용 용기가 혼자 설 수 있는 평면부를 형성한다.

Description

도장액 수용 용기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도장면에 생긴 흠집을 보수하기 위한 보수액이나, 오기 등의 위에 바른 문자 등을 덧쓸 때에, 이 오기 부분을 수정하기 위한 수정액 등과 같은 도장액을 수용하는, 예를 들면 에어로솔(aerosol) 용기, 브러시 부착 용기, 카트리지 용기 등의 도장액 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도장액 수용 용기로서는, 예를 들면 용기 본체 상부에 분사 노즐을 가지며, 아울러 용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분사 노즐로부터 도장액을 분사시키는 분사 수단을 갖는 소위 에어로솔 용기나, 캡에 브러시가 부착되어 있는 브러시 부착된 용기 등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도장액 수용 용기에 수용되는 도장액은, 그것이 예를 들어 자동차 등의 도장면에 생긴 흠집이나 도장의 벗겨짐 등을 보수하기 위한 보수액이거나, 혹은 오기 등을 했을 때 그 위에 바른 문자 등을 덧쓰기 위한 수정액인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 이들 도장액은 통상 비교적 휘발성이 풍부한 용제 중에, 이 용제에는 불용성인 유기 또는 무기의 용제 불용성 성분 예를 들면 안료 등을 현탁시킨 비교적 점조(粘稠)한 현탁액이며, 장시간 방치하면 이 안료 등의 용제 불용성 성분이 분리되어 침강하기 때문에 사용할 때마다 전체를 잘 흔들어 균일한 현탁액으로 만든 후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도장액을 수용하는 도장액 수용 용기에는, 사용시 도장액의 교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용기 본체 내부에 구형 교반자를 수납해 두고, 흔들었을 때 이 교반자에 의해 도장액이 효율적으로 교반되어 균일한 현탁액이 되도록 고안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도장액 수용 용기는, 통상 그 본체 저부의 내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든지, 또는 예를 들어 에어로솔 용기 등의 경우에는, 그 저부가 용기 본체의 내부측으로 돌출하는 단면 오목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설령 용기 본체 내부에 교반자를 수납시켜 두더라도, 흔들어서 도장액을 교반할 때 이 교반자가 용기 본체 저부의 내면, 특히 둘레벽부의 내면과 저부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모퉁이부에 침강된 용제 불용성 성분과 접촉하지 않아, 비교적 장시간 흔들더라도 용이하게는 균일한 현탁액으로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도장액 수용 용기가 통상 불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용기 내부를 투시할 수 없기 때문에, 도장액이 완전히 균일한 현탁액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고, 불충분한 혼합 상태인 도장액을 그대로 사용하여 도포의 얼룩이나 도장면의 색이 고르지 못함을 야기하는 일도 자주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는 특히 자동차 등의 도장면의 흠집을 보수하기 위한 도장면의 보수액, 특히 금속성 도장액이라 불리는 비중이 높은 알루미나나 금속 등의 안료가 함유되어 있는 보수액을 수용하는 도장액 수용 용기에 있어 현저하게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자동차 등의 도장면의 흠집을 보수하기 위한 보수액이나, 오기 등의 경우에 오기 부분을 수정하기 위한 수정액 등과 같이, 안료 등의 용제 불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현탁액으로 이루어지는 도장액을 수용하는 도장액 수용 용기에 있어서, 그 용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도장액을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균일한 현탁액으로 만들 수 있고, 아울러 그 용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해 열심히 검토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제 불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도장액의 수용 용기에 있어서, 그 용기를 흔드는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용기내 저부에 침강한 안료 등의 용제 불용성 성분을 용제 중에 분산시켜 균일한 현탁액으로 만들 수 있으며, 아울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도장액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은 용제 불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도장액의 수용 용기로서, 용기 본체가 둘레벽부와 저부로 이루어지고, 용기 본체 내부에는 구형의 교반자를 수납시킨 도장액 수용 용기에 있어서, 둘레벽부의 내면에서 저부의 내면에 걸쳐 상기 구형의 교반자가 한 점에서 접하여 구름이동하는 곡면부를 형성하고, 저부의 외면에는 적어도 도장액 수용 용기가 혼자 설 수 있는 평면부를 형성하는 도장액 수용 용기이다.
한편, 용기 본체 저부의 내면, 특히 둘레벽부의 내면과 저부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모퉁이부를 완전히 매끈한 곡면으로 제조하는 것은 곤란한 경우도 있다. 에어로솔 용기 등의 용기 본체의 저부 주변의 형상은 예를 들면 원반 형상의 금속 재료를 소정의 곡률을 갖는 금형에 의해 압출하여 성형하는 압출 가공법에 따라 제조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도 11은 압출 가공법에 따른 용기 본체의 저부 주변의 성형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1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은 금형을 사용하여 저부 주변을 형성할 수 있다면, 둘레벽부의 내면과 저부의 내면을 모두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고, 교반자가 그 곡면에 구석구석까지 접촉하기 때문에 용기내의 용제 및 용제 불용성 성분이 균일한 현탁액이 되므로 바람직하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와 같은 금형으로 압출 가공을 행하면, 특히 도 11의 A에서 B(A′에서 B′)에 걸쳐 금속 재료의 치우침, 몸체 두께의 고르지 못함, 퍼짐 얼룩, 깨짐 등이 생기고, 안정되게 성형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제 불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도장액의 수용 용기로서, 용기 본체가 둘레벽부와 저부로 이루어지고, 용기 본체의 내부에는 구형의 교반자를 수납시킨 도장액 수용 용기에 있어서, 둘레벽부의 내면에서 저부의 내면에 걸쳐 곡면부가 형성되어 있고, 둘레벽부의 내면과 곡면에 각각 교반자가 접하여 그들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을 두 접점 및 교반자의 중심점을 포함하는 면에 의해 절단하는 단면의 면적이 0.3㎟이하이며, 저부의 외면에는 적어도 도장액 수용 용기가 혼자 설 수 있는 평면부를 형성하는 도장액 수용 용기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도장액 수용 용기라면, 교반자는 상기 곡면과 실질적으로 한 점에서 접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기 본체는, 용기 본체 내부에는 구형의 교반자를 수납시킨 도장액 수용 용기에 있어서, 둘레벽부의 내면에서 저부의 내면에 걸쳐 상기 구형의 교반자가 한 점 또는 실질적으로 한 점에서 접하여 구름이동하는 곡면부를 형성하는 것이라면 바람직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용기 본체 내부에 수용된 도장액의 현탁 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투시창을 용기 본체의 적어도 저부에 형성하는 것이다. 또 교반의 용기 본체의 저부의 내면을 외측으로 돌출하는 단면 볼록면 형상 또는 거의 반구형으로 형성한다면, 구형 교반자와 안료 등이 똑같이 용기 본체 저부의 내면의 가장 깊은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 침전된 안료 등의 용제 불용성 성분을 용제 중에 분산시키기 쉬워서 더욱 바람직하다. 또, 저부의 외면에는 적어도 도장액 수용 용기가 혼자 설 수 있는 평면부를 형성하는 것인데, 이는 그 용기의 제조시 등에 세워둘 필요가 있기 때문이고, 그 면적은 제조시 등에 요구되는 안정도나 그 용기의 형상 등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용기 본체를 형성하기 위한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 용기 본체의 저부의 내면과 둘레벽부의 내면이 접합하는 부분에 있어서 곡면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스틸,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내압 유리 혹은 합성 수지가 바람직하며, 더욱이 이 용기 본체의 저부를 투명한 투시창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투명한 내압 유리 또는 합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 수납하는 교반자는 사용시 도장액 수용 용기를 흔들었을 때에, 이 교반자가 용기 본체의 내면, 특히 안료 등이 침전 퇴적하기 쉬운 용기 본체 저부의 내면이나, 저부의 내면에서 둘레벽부의 내면에 걸쳐 형성되는 곡면부를 따라 원활히 그리고 구석구석까지 구름이동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교반자가 저부 내면을 따라 구름이동함으로써 이 저부 내면에 침강하여 퇴적한 도장액의 안료 등의 용제 불용성 성분을 교반하여 효율적으로 용제 내에 분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교반자가 용기 본체의 내면을 따라 원활히 그리고 구석구석까지 구름이동하기 위해서는 둘레벽부의 내면에서 저부의 내면에 걸쳐 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형의 교반자가 이 곡면부와 한 점에서 접하여 구름이동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용기 본체 저부의 내면, 용기 본체의 둘레벽부의 내면 및 저부와 둘레벽부가 접합하는 곡면부의 각 면의 최소 곡률 반경이 용기 본체 내부에 수용하는 구형 교반자의 반경보다도 큰 것이다. 이 조건을 만족시키면, 예를 들면 용기 본체의 둘레벽부의 형상이 원통형이 아니라 일부에 쥐기 쉽도록 하기 위한 요철부를 형성하더라도, 용기 본체의 내부를 구형의 교반자가 한 점에서 접하여, 원활히 그리고 구석구석까지 구름이동할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안료 등을 교반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와 같은 곡면부를 갖는 용기 본체를 제조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교반자에 의한 현탁성과 용기 본체의 제조 용이성을 양립시킬 수 있는 조건으로서, 둘레벽부의 내면과 곡면부가 각각 교반자와 접하고, 결국 교반자는 둘레벽부의 내면과 곡면부와의 경계를 사이에 두고 두 점에서 접하여 그들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을 두 접점 및 교반자의 중심점을 포함하는 면에 의해 절단하는 단면의 면적이 0.3㎟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이하인 것을 제안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조건을 만족하면, 용기 본체 저부의 내면, 용기 본체의 둘레벽부의 내면 및 저부와 둘레벽부가 접합하는 곡면부의 각 면의 최소 곡률 반경이 용기 본체 내부에 수용하는 구형 교반자의 반경보다도 작은 것이라도, 예를 들어 용기 본체의 둘레벽부의 형상이 원통형이 아니라 일부에 쥐기 쉽도록 하기 위한 요철부를 형성하더라도, 용기 본체의 내부를 구형의 교반자가 실질적으로 한 점에서 접하여, 원활히 그리고 구석구석까지 구름이동할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안료 등을 교반할 수 있다.
이 교반자에 대해서는 상기의 조건을 만족하면, 그 크기나 용기 본체 내부에 수납시키는 개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이 용기 본체 내에 수납되는 도장액의 점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면 된다. 또 구형의 교반자는 약간의 타원형으로 변형해 있어도 되고, 또 표면에 약간의 요철이 존재하여도 된다. 용기를 흔들었을 때에 구형의 교반자가 용기 본체의 저부 내면을 따라 구름이동하고, 이에 의해 용기 본체의 저부에 퇴적한 도장액 중의 용제 불용 성분을 효율적으로 교반할 수 있다. 또, 이 교반자의 재질에 대해서도 예를 들면 강제이어도 되고, 또 유리제라도 된다.
본 발명의 도장액 수용 용기는, 그것이 용제 불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도장액을 수용하는 것이라면 그 용도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은 없지만, 본 발명의 작용 효과가 현저히 발휘된다는 관점에서, 첫 번째로는 용기 본체 상부에 분사 노즐을 가짐과 아울러 용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분사 노즐로부터 도장액을 분사시키는 분사 수단을 가지며, 또한 상기 분사 노즐을 보호하는 보호 캡을 구비한 에어로솔 용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도장액 수용 용기는, 두 번째로는 용기 본체 상부에 밀폐용 캡을 갖고, 예를 들면, 자동차 등의 도장면에 생긴 마모나 긁힌 자국 등의 흠집을 보수하기 위한 보수액을 수용하며, 필요에 따라 도장면 보수구(補修具)에 이 보수액을 보충하거나, 혹은 오기 등의 위에 바른 문자 등을 덧 쓸 때 사용하는 수정액을 수용하며, 필요에 따라 오기 수정구(修正具)에 이 수정액을 보충하기 위한 카트리지 용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도장액 수용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실시예 1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 관한 자동차용 보수액이 수용되는 에어로솔 용기로 이루어지는 도장액 수용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도장액 수용 용기는 전체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고, 용기 본체(1)는 둘레벽부(1c)와 저부(1a)로 이루어지며, 둘레벽부(1c)의 내면에서 저부(1a)의 내면에 걸쳐 곡면부(1b)를 형성하고 있다. 또 저부(1a)의 외면은 평면부(1d)로 되어 있다. 이 도장액 수용 용기는, 용기 본체(1) 내부에 수납된 강구(鋼球)로 이루어진 1개의 교반자(2)와, 이 용기 본체(1)의 상부에 부착된 분사 노즐(3)과, 용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분사 노즐(3)로부터 보수액을 분사시키는 분사 수단(4)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분사 노즐(3)을 보호하는 보호 캡(5)을 구비하고 있다. 또 용기 본체(1)의 저부(1a)에는 이 용기 본체(1)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유지하면서 이 용기 본체(1)의 저부(1a)를 보호하는 합성 수지제의 저부 커버(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어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관한 도장액 수납 용기의 저부 주변을 확대한 도면이다. 둘레벽부(1c)의 내면에서 저부(1a)의 내면에 걸쳐 곡면부(1b)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 곡면부(1b)의 곡률 반경은 일정하다. 또 이 곡률 반경(10b)이 용기 본체 저부(1a)의 내면, 용기 본체 둘레벽부(1c)의 내면, 곡면부(1b)의 각 면의 최소 곡률 반경(R)이 된다. 여기서 구형 교반자(2)의 반경(20)을 반경(r)으로 한다면, r<R의 관계에 있다. 예를 들면 최소 곡률 반경이 6.5㎜이고, 구형 교반자(2)의 반경이 5.75㎜이라면 이 조건을 만족시킨다.
본 실시예 1의 도장액 수용 용기에 따르면, 용기 본체(1) 내부에 수용된 자동차용 보수액이 예를 들면 금속성 차량용 보수액으로서, 조용히 방치해 두면 바로 침강하는 알루미나 등과 같은 무기 안료로 이루어지는 용제 불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라도, 사용할 때에 용기를 흔들면 용기 본체(1) 내부에 수납된 구형 교반자(2)가 용기 본체(1)의 저부(1a)의 내면을 따라 구름이동하고, 이에 따라 이 저부(1a)에 침강한 보수액의 알루미나 등의 용제 불용성 성분은 잘 교반되어 용제 중에 분산하며, 용이하게 균일한 현탁액이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도장액 수납 용기의 저부 주변의 형상은, 도2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3a나 도 3b와 같이 저부(1a) 외면에 형성되는 평면부(1d)를 도 2에 나타낸 것에 비교하여 작게 형성하여도 된다. 단, 도장액 수납 용기는 제조시나 판매시 등에 세워 둘 필요가 있기 때문에, 평면부(1d)는 그에 만족하는 면적을 갖는 것이다. 또 도 3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곡면부(1b)의 곡률 반경이 둘레벽부(1c)에서 저부(1a)에 걸쳐 서서히 커지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최소 곡률 반경(R)은 도 3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둘레벽부(1c)측 곡면부의 시점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이 된다. 한편, 도 3b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이 곡면부(1b)의 곡률 반경이 둘레벽부(1c)에서 저부(1a)에 걸쳐 서서히 작아지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최소 곡률 반경(R)은 도 3b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저부(1a)측 곡면부의 시점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이 된다.
또한 도 4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저부(1a) 내면을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단면 볼록 곡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도 4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곡면부(1b)의 곡률 반경이 둘레벽부(1c)에서 저부(1a)에 걸쳐 서서히 커지는 것이므로, 이 경우 최소 곡률 반경(R; 10b)은 도 4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둘레벽부(1c)측 곡면부의 시점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이 된다. 또 도 4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저부(1a)의 내면을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거의 반구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곡면부(1b)의 곡률 반경은 일정하고, 이것이 최소 곡률 반경(R; 10b)이 된다. 이들과 같이 저부(1a)의 내면을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단면 볼록 곡면 형상이나 거의 반구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조용히 방치한 상태에서는 구형의 교반자와 침전된 안료 등이 똑같이 저부(1a) 내면의 가장 깊은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용기를 흔드는 간단한 조작으로 한층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용기내 저부에 침강한 안료 등의 용제 불용성 성분을 용제중에 분산시켜 균일한 현탁액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이들 도 3a, 도 3b, 도 4a 및 도 4b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용기 본체 저부(1a)의 내면, 용기 본체 둘레벽부(1c)의 내면 및 저부(1a)에서 둘레벽부(c)에 걸쳐서 형성되는 곡면부(1b)의 각 면 중의 최소 곡률 반경(R; 10b)이 용기 본체 내부에 수용하는 구형 교반자의 반경(r; 20)보다도 크기 때문에, 용기 본체 내부에 수납하는 구형 교반자(2)는, 사용시 도장액 수용 용기를 흔들었을 때, 이 교반자(2)가 용기 본체(1)의 내면, 특히 안료 등이 침전 퇴적하기 쉬운 용기 본체의 저부(1a)의 내면이나, 저부의 내면에서 둘레벽부의 내면에 걸쳐 형성되는 곡면부(1b)를 따라 원활히 그리고 구석구석까지 구름이동하여, 이 저부 내면에 침강하여 퇴적한 도장액의 안료 등 용제 불용성 성분을 교반하여 효율적으로 용제 내에 분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실시예 2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에 관한 자동차용 보수액이 수용되는 에어로솔 용기로 이루어지는 도장액 수용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도장액 수용 용기는 전체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고, 용기 본체(1)는 둘레벽부(1c)와 저부(1a)로 이루어지고, 둘레벽부(1c)의 내면에서 저부(1a)의 내면에 걸쳐 곡면부(1b)를 형성하고 있다. 또 저부(1a)의 외면은 평면부(1d)로 되어 있다. 이 도장액 수용 용기는, 용기 본체(1) 내부에 수납된 강구로 이루어지는 1개의 교반자(2)와, 이 용기 본체(1)의 상부에 부착된 분사 노즐(3)과, 용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분사 노즐(3)로부터 보수액을 분사시키는 분사 수단(4)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분사 노즐(3)을 보호하는 보호 캡(5)을 구비하고 있다.
도 6a는 본 실시예에 관한 도장액 수용 용기의 저부(1a) 주변을 나타낸 도면이다. 둘레벽부(1c)의 내면에서 저부(1a)의 내면에 걸쳐 곡면부(1b)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 곡면부(1b)의 곡률 반경(R)은, 도 6a의 A에서 B에 걸쳐 16㎜, 30㎜, 11㎜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둘레벽부(1c)의 내면과 곡면부(1b)의 경계인 A점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R)은 매우 작은 값이다. 한편 구형 교반자의 반경(r)은 6.75㎜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도장액 수용 용기의 용기 본체(1) 내면과 교반자(2)는 A점 근방 이외의 부분에서는 한 점에서 접하고, 점 A 근방의 부분에서는 두 점에서 접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용기 본체(1)가 갖는 곡률 반경(R)과 구형 교반자의 반경(r)이, A점의 근방에서는 R<r이고, A점의 근방 이외에서는 R>r인 관계에 있다.
도 6b는, 본 실시예에 관한 도장액 수용 용기의 곡면부(1b)와 교반자(2)의 두 접점 및 구형 교반자(2)의 중심점을 포함하는 면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구형 교반자(2)와 용기 본체(1)의 내면 및 곡면부(1b)는 각각 점(P1), 점(P2)에 있어서 접해 있고, 점(P1)과 점(P2)의 두 접선은 30°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실제로는 점 A에서 접점(P2)에 걸쳐 곡면부(1b)의 단면이 되기 위한 곡선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지만, 이것을 직선이라고 생각하여, 직선(AP1), 직선(AP2), 호(P1P2)로 둘러싸이는 면적(S), 즉 둘레벽부(1c)의 내면과 곡면부(1b)가 각각 구형 교반자(2)와 접하여 그들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그 공간을 두 접점(P1, P2), 구형 교반자(2)의 중심점(O)을 포함하는 면에 의해 절단하는 단면의 면적(S)을 근사 계산한다. 점(P1, P2)에 있어서 각각의 접선이 이루는 각은 30°이고, 구형 교반자의 반경(r)이 6.75㎜이므로, 면적(S)은 약 0.28㎟로 계산된다.
본 실시예 1의 도장액 수용 용기에 따르면, 용기 본체(1) 내부에 수용된 자동차용 보수액이 예를 들면 금속성 차량용 보수액으로서, 조용히 방치해 두면 바로 침강하는 알루미나 등과 같은 무기 안료로 이루어지는 용제 불용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라도, 사용할 때에 용기를 흔들면, 용기 본체(1) 내부에 수납된 구형의 교반자(2)가 용기 본체(1)의 저부(1a)의 내면을 따라 구름이동하고, 이에 따라 이 저부(1a)에 침강한 보수액의 알루미나 등의 용제 불용성 성분은 잘 교반되어 용제 중에 분산되어 용이하게 균일한 현탁액이 된다. 또 도 6a의 점 A 근방에 있어서는 구형 교반자(2)가 접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지만, 상기 조건을 만족하면 즉, 둘레벽부(1c)의 내면과 곡면부(1b)가 각각 구형 교반자(2)와 접하여 이들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을 2개의 접점(P1 및 P2), 구형 교반자(2)의 중심점(O)을 포함하는 면에 의해 절단하는 단면의 면적(S)이 0.3㎟이하라면, 구형 교반자(2)에 의한 현탁 효과는 충분히 발휘되고 실용상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용기 본체(1)를 제조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고, 그 제조 비용의 삭감에도 이바지한다.
또한 이와 같은 용기 본체(1)는 종래의 것과 마찬가지로 압출 가공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즉, 도 7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원반 형상의 금속 재료를 소정의 곡률을 갖는 금형에 의해 압출하여 성형하는 압출 가공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 금형의 곡면 형상 A에서 B까지의 부분을 비교적 작게 함으로써 용기 본체(1) 곡면부(1b)의 매끄러움과 제조의 용이함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도장액 수용 용기의 저부 주변의 형상은 도 6에서 개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6a의 B에서 A에 이르기까지 곡률을 일정하게 구성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 B에서 A에 이르기까지 곡률을 서서히 크게 하는 것, 서서히 작게 하는 것이어도 좋다.
게다가 그 제조가 가능하다면, 실시예 1에서 나타낸 도 4a나 도 4b의 형상으로 저부 내면을 형성하는 것이어도 되고, 이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져온다. 또 용기 본체(1)의 저부(1a) 외측의 형상은 도 4a,도 4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각형이어도 된다.
또한 이들 도 4a, 도 4b의 어떠한 경우에도 용기 본체(1) 저부(1a)의 내면, 용기 본체(1)의 둘레벽부(1c)의 내면 및 저부(1a)에서 둘레벽부(1c)에 걸쳐 형성되는 곡면부(1b)의 A, A′부분을 제외한 각 면 중의 최소 곡률 반경(R)이 용기 본체 내부에 수용하는 구형 교반자(2)의 반경(r)보다도 크기 때문에, 용기 본체 내부에 수납하는 구형 교반자(2)는, 사용시 도장액 수용 용기를 흔들었을 때에, 이 교반자(2)가 용기 본체(1)의 내면, 특히 안료 등이 침전되어 퇴적되기 쉬운 용기 본체의 저부(1a)의 내면이나 저부의 내면에서 둘레벽부의 내면에 걸쳐 형성되는 곡면부(1b)를 따라 원활히 그리고 구석구석까지 구름이동하고, 이 저부 내면에 침강하여 퇴적된 도장액의 안료 등의 용제 불용성 성분을 교반하여 효율적으로 용제 내에 분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 점 A, A′ 근방에 있어서는 구형 교반자(2)는 두 점에서 내면에 접하지만, 상기 조건을 만족하면 충분히 현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아울러 용기 본체(1)의 제조도 용이해진다.
실시예 3
도 8에는 상기 실시예 1이나 실시예 2와 같이 자동차용 보수액이 수용되는 에어로솔 용기에 관한 것으로, 그 주요부가 개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 3의 도장액 수용 용기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 1, 2의 경우와는 달리, 용기 본체(1)가 불투명한 합성수지로 성형된 둘레벽부(1c)와, 투명한 합성수지로 성형된 저부(1a)로 이루어지고, 저부(1a)가 투명한 투시창(7)으로서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 용기 본체(1)내에는, 비교적 큰 강구로 이루어지는 1개의 교반자(2a)와 비교적 작은 강구로 이루어지는 2개의 교반자(2b)가 수납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도, 어떠한 구형 교반자의 반경(r)도 용기 본체 저부(1a)의 내면, 용기 본체 둘레벽부(1c)의 내면 및 저부에서 둘레벽부에 걸쳐 형성되는 곡면부(1b) {또는 곡면부(1b)의 A, A′부분을 제외한 곡면}의 각 면의 최소 곡률 반경보다도 작은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 3의 도장액 수용 용기에 따르면, 용기 본체(1)를 수직으로 하여 보관하고 있는 경우, 이 용기 본체(1)내 보수액 중의 용제 불용 성분은 저부(1a)가 형성하는 투시창(7) 내면에 침강하여 퇴적하게 되고, 또 이 용기를 흔들어 용기 본체(1) 내부의 보수액을 흔들었을 때에는, 저부(1a)가 투시창(7)으로 되어 있어서, 이 용기 본체(1) 내부에 있는 보수액의 현탁 상태를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1) 내부의 보수액이 확실히 균일한 현탁액이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면서 보수액, 즉 용기를 흔들 수가 있다.
실시예 4
도 9에는 자동차용 보수액을 세분하여 판매하기 위한 카트리지 용기로 이루어지는 도장액 수용 용기가 개시되어 있고, 투명한 내압 유리제 용기 본체(1)의 저부(1a)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거의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이 용기 본체(1)를 밀폐하기 위한 캡(8)이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 4의 도장액 수용 용기에는, 그 용기 본체(1) 내부에 2개의 강구로 이루어지는 교반자(2)가 수납되어 있고, 사용시 이 용기를 흔들었을 때에, 이들 교반자(2)가 거의 반구형으로 돌출한 저부(1a) 내면을 따라 구름이동하여, 이 저부(1a)의 내면에 퇴적된 보수액 중의 용제 불용성 성분을 용제 중에 분산시킨다.
본 실시예 4의 도장액 수용 용기내에 수납된 보수액은, 사용할 때에 별도로 준비된 브러시 등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도장면의 흠집 위에 도포되거나 혹은 자동차용 도장면 보수구의 도장액 수용부 내에 충전하여 사용된다.
실시예 5
도 10에는 자동차용 보수액이 수용된 브러시 부착 용기로 이루어지는 도장액 수용 용기가 개시되어 있고, 실시예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투명한 내압 유리제 용기 본체(1)의 저부(1a)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거의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이 용기 본체(1)를 밀폐하는 캡(8)이 장착되어 있고, 또 이 캡(8)에는 사용시 이용하는 브러시(9)가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 5의 도장액 수용 용기에는 그 용기 본체(1) 내부에 한 개의 유리 구슬로 이루어지는 교반자(2)가 수납되어 있고, 사용시 이 용기를 흔들었을 때에, 이 교반자(2)가 거의 반구형으로 돌출한 저부(1a) 내면을 따라 구름이동하며, 이 저부(1a) 내면에 퇴적된 보수액 중의 용제 불용성 성분을 용제 중에 분산시킨다.
본 발명의 도장액 수용 용기에 따르면, 확실한 현탁성과 제조의 용이성을 양립할 수 있는 조건을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를 흔드는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본 용기내 저부에 침강한 안료 등의 용제 불용성 성분을 용제 중에 분산시켜 균일한 현탁액으로 만들 수 있으며, 아울러 그 도장액 수용 용기의 제조도 용이하고 제조 비용의 저감에도 이바지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 관한 에어로솔 용기로 이루어지는 도장액 수용 용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설명도,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실시예 1의 변형된 예를 나타낸 것,
도 4는 실시예 1(실시예 2)의 변형된 예를 나타낸 것,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에 관한 에어로솔 용기로 이루어지는 도장액 수용 용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설명도,
도 6은 도 5의 부분 확대도,
도 7은 실시예 2에 관한 에어로솔 용기의 제조 과정의 일부를 나타낸 것,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에 관한 에어로솔 용기로 이루어지는 도장액 수용 용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에 관한 카트리지 용기로 이루어지는 도장액 수용 용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관한 브러시 부착 용기로 이루어지는 도장액 수용 용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설명도,
도 11은 압출 가공에 따른 에어로솔 용기의 제조 과정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용기 본체 1a; 저부
1b; 곡면부 1c; 둘레벽부
1d; 평면부 2, 2a, 2b; 구형 교반자
3; 분사 노즐 4; 분사 수단
5; 보호 캡 7; 투시창
8; 캡 9; 브러시

Claims (10)

  1. 용제 불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도장액의 수용 용기로서, 용기 본체가 둘레벽부와 저부로 이루어지고, 용기 본체의 내부에는 구형의 교반자를 수납시킨 도장액 수용 용기에 있어서,
    둘레벽부의 내면에서 저부의 내면에 걸쳐 상기 구형의 교반자가 한 점에서 접하여 구름이동하는 곡면부를 형성하고,
    저부의 외면에는 적어도 도장액 수용 용기가 혼자 설 수 있는 평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액 수용 용기.
  2. 용제 불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도장액의 수용 용기로서, 용기 본체가 둘레벽부와 저부로 이루어지고, 용기 본체의 내부에는 구형의 교반자를 수납시킨 도장액 수용 용기에 있어서,
    둘레벽부의 내면에서 저부의 내면에 걸쳐 곡면부가 형성되어 있고,
    둘레벽부의 내면과 곡면에 각각 교반자가 접하여 그들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을 두 접점 및 교반자의 중심점을 포함하는 면에 의해 절단하는 단면의 면적이 0.3㎟이하이고,
    저부의 외면에는 적어도 도장액 수용 용기가 혼자 설 수 있는 평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액 수용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의 면적이 0.1㎟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액 수용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 본체를 압출 가공에 의해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액 수용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 본체의 저부 내면이 외측으로 향해 돌출하는 단면 볼록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액 수용 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 본체의 저부 내면이 외측으로 향해 돌출하는 거의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액 수용 용기.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 용기가, 용기 본체 상부에 장착된 분사 노즐과, 용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분사 노즐로부터 도장액을 분사시키는 분사 수단과, 상기 분사 노즐을 보호하는 보호 캡을 갖는 에어로솔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액 수용 용기.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 용기가, 용기 본체 상부에 밀폐용 캡을 갖는 카트리지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액 수용 용기.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 본체가, 스틸,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내압 유리 혹은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액 수용 용기.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 본체의 적어도 저부가 투명한 내압 유리 또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이 저부가 용기 본체 내부의 도장액을 투시하는 투시창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액 수용 용기.
KR1019980009232A 1997-03-18 1998-03-18 도장액수용용기 KR1005409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0060 1997-01-01
JP1997001829U JP3044800U (ja) 1997-03-18 1997-03-18 塗液収容容器
JP9-1829 1997-03-18
JP1997010060U JP3048835U (ja) 1997-11-13 1997-11-13 塗液収容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415A KR19980080415A (ko) 1998-11-25
KR100540938B1 true KR100540938B1 (ko) 2007-05-17

Family

ID=2633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9232A KR100540938B1 (ko) 1997-03-18 1998-03-18 도장액수용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40938B1 (ko)
CN (1) CN1089708C (ko)
TW (1) TW46556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94728A (zh) * 2016-10-13 2017-03-15 无锡市金武助剂厂有限公司 一种防沉淀的水性覆膜胶瓶
CN106474995B (zh) * 2016-10-25 2019-09-06 迈克医疗电子有限公司 吸排液式混匀液体的方法
CN112407365B (zh) * 2020-11-26 2022-06-03 长春理工大学 一种西林瓶内壁镀药膜流水线
CN114574093A (zh) * 2022-03-29 2022-06-03 苏州信思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水性漆的加工工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5099A (en) * 1981-06-11 1983-11-15 Grow Group, Inc. Apparatus for maintaining free movement of a mixing object in a pressurized container
US5154320A (en) * 1985-12-23 1992-10-13 Tri-Point Medical L.P. Aerosol spra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93591A (zh) 1998-09-23
CN1089708C (zh) 2002-08-28
TW465561U (en) 2001-11-21
KR19980080415A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0623A (en) Stirring member for liquid suspensions in sealed spray containers
US4225064A (en) Painter&#39;s accessory
US7988897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ynthetic resin hollow body
EP2046569B1 (en) Synthetic resin hollow body
KR100540938B1 (ko) 도장액수용용기
US10752538B1 (en) Three-dimensional printing on glass containers
CN1913939A (zh) 有对齐槽口的非对称喷涂喷嘴
US2997403A (en) Reflex reflective coating composition
JP3048835U (ja) 塗液収容容器
JP3052182U (ja) 塗液収容容器
JP3039583U (ja) 塗液収容容器
JP3044800U (ja) 塗液収容容器
RU2729687C2 (ru) Способ маскирования детали, на которую должно быть нанесено термически напыляемое покрытие
CN218705266U (zh) 美缝剂包装瓶
CN204672472U (zh) 用于喷枪的压力杯、适配器和喷枪
NZ204292A (en) Container closure-gasket formed in situ in blank
JP3057824U (ja) 車両塗装面用補修液容器
JP3056960U (ja) 車両塗装面の補修液キット
KR100240809B1 (ko) 자동차외부흠집의 부분도장방법
JP3009921U (ja) 車両用洗浄液噴射装置
JP2003175779A (ja) ウエザーストリップ
JP2000234699A (ja) ガスボンベ
KR101972989B1 (ko)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고분자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8056358A (ja) 金属製ボトル缶
US6702144B1 (en) Can apr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