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693B1 - 광학렌즈 보호막 형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학렌즈 보호막 형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693B1
KR100540693B1 KR1020050032602A KR20050032602A KR100540693B1 KR 100540693 B1 KR100540693 B1 KR 100540693B1 KR 1020050032602 A KR1020050032602 A KR 1020050032602A KR 20050032602 A KR20050032602 A KR 20050032602A KR 100540693 B1 KR100540693 B1 KR 100540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composition
forming
lens
optical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윤현
Original Assignee
부림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림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림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2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6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08Cellulose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08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16Esters of inorganic acids
    • C09D101/18Cellulose ni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08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26Cellulose ethers
    • C09D101/28Alkyl ethers
    • C09D101/284Alkyl ethers with hydroxylated hydrocarbon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08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26Cellulose ethers
    • C09D101/28Alkyl ethers
    • C09D101/286Alkyl ethers substituted with acid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렌즈 보호막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
셀룰로오스 유도체 25~30중량%
디옥틸프탈레이트 0.5~5중량%
에틸아세테이트 35~50중량%
메틸에틸케톤 25~35중량%
를 혼합하여서 구성되는 광학렌즈 보호막 형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광학렌즈표면에 도포, 건조하여 광학렌즈 보호막을 형성시켜주는데 있어서 보호막의 형성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쉽게 박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광학렌즈, 보호막, 셀룰로오스 유도체, 점도, 접착력

Description

광학렌즈 보호막 형성용 조성물{Composition for forming the lens protect film}
본 발명은 광학렌즈의 가공이나 운송, 보관시 렌즈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기 위하여 형성시켜주는 광학렌즈 보호막 형성용 피막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학렌즈는 전후 양면이 곡면이거나 적어도 일면은 곡면이고 그 재질은 주로 유리나 경질의 합성수지로 되어 있다.
중심부의 두께가 테두리보다 두꺼운 것을 볼록렌즈라하고 그 반대인 것을 오목렌즈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렌즈는 제조업체에서 일정한 직경을 갖는 원판형태로 제조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며 사용자는 그 용도에 맞게 형태를 가공하여 사용하게 된다.
안경의 경우 안경테에 맞도록 가공할 때 옥습기라고 불리우는 렌즈가공기를 사용한다. 옥습기는 가공할 안경렌즈를 고정시키고 연마절삭기를 사용하여 안경렌즈를 특정형태로 절삭·가공하여 주는 기계인데 안경의 표면이 유리와 같이 경질인 경우 안경렌즈가 가공기의 물림쇠(chuck)에 밀착되어 고정되지 않으면 렌즈의 변형 이 일어나거나 원하는 형태로 가공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렌즈 제조엡체에서는 운반·보관시 사용전까지 렌즈의 표면을 보호하고 가공시 가공기의 물림쇠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렌즈표면에 보호막을 형성시켜 주고 있다.
광학렌즈는 표면이 청결하게 유지되고 특히 표면평활도를 정밀하게 유지시켜주어야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가공 후 사용시는 이 보호막을 제거한 후 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광학렌즈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시켜 주는 방법으로 광학렌즈 표면에 고무 라텍스를 도포 건조시켜 형성되는 고무피막을 보호막으로 이용하거나 합성수지류를 유기용제에 용해시킨 합성수지 용액을 렌즈표면에 도포 후 건조시켜 렌즈표면에 합성수지의 피막을 형성시켜 보호막으로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라텍스 고무로 형성된 고무피막은 인열강도와 인장강도가 낮은 것이어서 피막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어 최근에는 합성수지류를 유기용제에 용해 시켜서 된 합성수지 용액을 렌즈표면에 도포, 건조시켜서 형성되는 합성수지 피막을 렌즈 보호막으로 이용하고 있다.
합성수지류를 유기용제에 용해시켜 렌즈의 보호막으로 이용하는 방법 중 대표적인 것으로 염소화 폴리프로필렌수지를 유기용제에 용해시킨 용액을 렌즈표면에 도포하여 렌즈의 보호막을 형성시켜주는 방법이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2005-0017748호)
그러나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유기용제에 용해시킨 용액은 점도가 낮 고 건조속도가 느리다.
상기 분자량 20,000~200,000인 염소화 폴리프로필렌을 방향족 유기용제에 용해시킨 합성수지용액으로 렌즈의 보호막을 형성시키는 방법에서 염소화프로필렌용액은 점도가 낮아 도막의 두께를 조절하여 주는 것이 매우 어렵고 특히 도막의 두께를 두껍게하여 줄 수 없을 뿐만아니라 건조속도가 매우 낮다.
렌즈보호막은 건조 후 두께가 적어도 5㎛이상은 유지되어야 하는데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수지용액은 렌즈표면에 도포시킬 때 점도가 낮아 쉽게 흘러내리게 되므로 곡면으로된 렌즈표면에 균일하게 도포시켜 주기가 어렵고 건조 후 보호막의 두께를 5㎛로 유지시켜 주기가 어렵다.
보호막의 두께가 얇게되면 보호막으로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합성수지와 유지와의 접착력이 매우 강하며 사용시 경질의 합성수지나 유리재질의 렌즈로 부터 보호막의 박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보호막을 형성시켜주는 공정이 장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낮으며 보호막의 박리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 분야에서는 도막의 형성과 박리가 용이하면서 도막형성 시간이 짧아 생산성을 높여줄 수 있는 보호막 형성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렌즈의 보호막을 형성시켜 주는데 있어서, 보호막으로 서의 기능을 충분히 유지하면서 보호막의 형성과 박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광학렌즈 보호막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보호막 형성재로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이용하므로서 막형성 능력이 우수하면서 보호막의 두께조절도 용이하고 건조속도가 빠르며 렌즈를 사용시 쉽게 박리할 수 있는 광학렌즈 보호막 형성용 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광학렌즈 보호막 형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두께조절이 용이하고, 막형성능력이 우수하면서, 건조속도가 빠르고 보호막형성 후 박리시켜주고자 할 때 용이하게 박리시켜줄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메틸셀룰로오스 300㎏ (30wt%)
디옥틸프탈레이트 50㎏ (5wt%)
에틸아세테이트 400㎏ (40wt%)
메틸에틸케톤 250㎏ (25wt%)
상기 성분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40℃에서 30분간 교반시켜 균일한 조성물을 얻었다. 여기서 얻어진 조성물을 분사방법(spray coating)으로 렌즈표면에 도포 후 건조 두께가 5㎛ 되도록 도포하였다. 이 조성물의 점도, 건조시간, 건조온도 및 교반시간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냈다. 디옥틸프탈레이트는 합성수지용 가소제(plasticizer)의 일종으로 점도 조절제로서 기능을 갖는다.
상기 실시예에서 각조성 성분을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하여 중량%로 표시하면 메틸셀룰로오스 30wt%, 디옥틸프탈레이트 5wt%, 에틸아세테이트 40wt%, 메틸에틸케톤 25wt%가 된다.
실시예 2
에틸셀룰로오스 300㎏ (30wt%)
디옥틸프탈레이트 50㎏ (5wt%)
에틸아세테이트 400㎏ (40wt%)
메틸에틸케톤 250㎏ (25wt%)
에틸셀룰로오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 실험하고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3
니트로셀룰로오스 300㎏ (30wt%)
(질소함량 12%)
디옥틸프탈레이트 5㎏ (5wt%)
에틸아세테이트 400㎏ (40wt%)
메틸에틸케톤 250㎏ (25wt%)
니트로셀룰로오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조성 물을 제조, 실험하고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냈다.
비교예 1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150㎏ (15wt%)
(분자량 100,000)
메틸에틸케톤 550㎏ (55wt%)
톨루엔 300㎏ (30wt%)
상기 성분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50℃에서 5시간 교반시켜 균일한 조성물을 얻었다. 조성성분이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시험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축회전이동 척자국 점도(CPS) 건조시간 건조온도(℃) 이동없음 남지않음 189 15분 60 이동없음 남지않음 180 12 60 이동없음 남지않음 180 16 60 이동있음 남지않음 15 40분 100
교반시간 30분 30분 30분 5시간
셀룰로오스 유도체들은 염소화 올레핀수지에 비하여 분자량이 작아 용제에 대한 용해성이 좋으며 점도는 높다. 따라서 도막의 두께조절이 용이하며 막형성 능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일정한 두께로도 막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퍼짐성이 좋으므로 곡면으로 된 렌즈표면에 균일하게 도포시켜줄 수 있어 작업성도 좋게 된다. 분자량도 낮아 유기용제에 쉽게 용해되며 건조시간도 빠르다.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 및 건조시간이 빠르므로 높은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막형성능력이 우수하면서 유리나 합성수지와의 접착력이 낮아 렌즈를 사용시 보호막을 쉽게 박리해줄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로서는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부틸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카르복실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 또는 하이드록시 메틸셀룰로오스 등이 있다.
용제로서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나 상용성을 갖는 것은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다.
다만 점도조절을 위해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 등의 유기용제에 디옥틸프탈레이트를 혼합 사용하는 혼합용제가 적당하다. 디옥틸프탈레이트는 에틸아세테이트나 메틸아세테이트와 상용성이 좋으면서 점도가 높아 점도조절제로서 유용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유도체 용제와의 구성비율은 셀룰로오스 유도체 25~30중량%와 디옥틸프탈레이트 0.5~5중량%, 에틸아세테이트 35~50중량% 및 메틸에틸케톤 25~35중량%로 조성된 혼합용제로 구성시켜주는 것이 적당하다.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25중량% 이하로 사용하면 충분한 두께의 도막 형성이 어려워지며 3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건조속도가 느려지게 되는 문제가 따른다. 디옥틸프탈레이트는 도막의 가소성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0.5~5.0중량% 정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상용성이 좋은 혼합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광학렌즈표면에 도포, 건조하여 광학렌즈 보호막을 형성 시켜주는데 있어서 보호막의 형성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쉽게 박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광학렌즈 보호막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부틸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카르복실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메틸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되는”셀룰로오스 유도체 25~30중량% 와 디옥틸프탈레이트 0.5~5중량%, 에틸아세테이트 35~50중량% 및 메틸에틸케톤 25~35중량% 를 혼합하여서 구성되는 광학렌즈 보호막 형성용 조성물.
  2. 삭제
KR1020050032602A 2005-04-20 2005-04-20 광학렌즈 보호막 형성용 조성물 KR100540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602A KR100540693B1 (ko) 2005-04-20 2005-04-20 광학렌즈 보호막 형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602A KR100540693B1 (ko) 2005-04-20 2005-04-20 광학렌즈 보호막 형성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0693B1 true KR100540693B1 (ko) 2006-01-11

Family

ID=37177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602A KR100540693B1 (ko) 2005-04-20 2005-04-20 광학렌즈 보호막 형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6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539B1 (ko) 2006-05-12 2008-01-03 대명광학 주식회사 안경 렌즈 및 안경 렌즈 보호막 조성물
CN104497661A (zh) * 2014-12-23 2015-04-08 刘骏 一种环保涂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539B1 (ko) 2006-05-12 2008-01-03 대명광학 주식회사 안경 렌즈 및 안경 렌즈 보호막 조성물
CN104497661A (zh) * 2014-12-23 2015-04-08 刘骏 一种环保涂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39389B (zh) 塑料基材用涂料组合物、由其形成的涂膜、以及成形体
US4332861A (en) Plastic surface treatment
JP6576166B2 (ja) インキ及び積層体
KR100540693B1 (ko) 광학렌즈 보호막 형성용 조성물
JP3503830B2 (ja) 偏光板
KR20160117435A (ko) 글리옥살 접착 시스템을 포함하는 편광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 렌즈
KR100969953B1 (ko) 접착력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22507764A (ja) 基材をコーティングするための自己離型性インモールドコーティング(imc)
EP3539760B1 (en) Primer for tac film and laminate
KR100947628B1 (ko) 접착력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4665529B2 (ja) 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72688B1 (ko)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US20050072335A1 (en) Primer composition for bonding polymer composites with urethane adhesives and sealants
KR20060114162A (ko) 고경도 하드코팅 광학필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광학필터
KR20140079986A (ko) 내스크레치성 투명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막의 복원방법
CN105936786A (zh) 速干油漆
KR100663075B1 (ko) 플라스틱렌즈의 황변현상 및 들뜬현상 방지용 보호막코팅방법
JPS62213879A (ja) 改良された部分塗装方法
JP3133042B2 (ja) ポリウレタンラッカー、ポリウレタンラッカー用のスプレー希釈剤およびポリスチレン含有基体にラッカーをスプレーする方法
KR20200006856A (ko) 사출 금형의 코팅층용 도료 및 사출 금형의 코팅층의 제조 방법
JP2019072981A (ja) 熱転写シート、熱転写シートの製造方法、転写方法、被転写構造体、被転写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被覆シート
JP6667212B2 (ja) 粘着テープ基材用フィルム
KR102648290B1 (ko) 이형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조방법
KR102301755B1 (ko) 목재 가공용 레진 조성물
JP7462629B2 (ja) 基材をコーティングするための自己離型性顔料着色インモールドコーティング(im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