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8652B1 - 항암효과가 있는 쌀 코팅용 생약 추출물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로 코팅된 기능성 쌀 - Google Patents

항암효과가 있는 쌀 코팅용 생약 추출물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로 코팅된 기능성 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8652B1
KR100538652B1 KR10-2003-0052321A KR20030052321A KR100538652B1 KR 100538652 B1 KR100538652 B1 KR 100538652B1 KR 20030052321 A KR20030052321 A KR 20030052321A KR 100538652 B1 KR100538652 B1 KR 100538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extract
weight
coating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2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3766A (ko
Inventor
정영철
강신권
전성식
강창석
이성출
한구석
이남배
Original Assignee
합천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천군 filed Critical 합천군
Priority to KR10-2003-0052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8652B1/ko
Publication of KR20050013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3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6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암 효과가 있는 쌀 코팅용 생약 추출물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로 코팅된 기능성 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며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쌀 코팅용 조성물, 이러한 조성물을 쌀에 코팅함으로써 기능성 물질이 쌀에 부착되어 맛, 영양 및 기능성이 보다 향상된 기능성 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암효과가 있는 쌀 코팅용 생약 추출물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로 코팅된 기능성 쌀{ANTICANCER RICE COATING AGENT COMPOSITION AND COATED R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항암 효과가 있는 쌀 코팅용 생약 추출물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로 코팅된 기능성 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황버섯추출물을 포함한 각종 생약 추출물로 항암 효과를 나타내도록 한 쌀 코팅제 조성물, 이러한 조성물을 쌀에 코팅함으로써 기능성 물질이 쌀에 부착되어 맛, 영양 및 기능성이 보다 향상된 기능성 쌀에 관한 것이다.
쌀은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식량자원으로 특히 동양권 대부분의 나라가 쌀을 주식으로 하고 있다. 한국의 식생활에서도 쌀이 차지하는 비중은 거의 절대적이다. 최근에는 쌀에 대한 소비자 기호가 다양해지고 식생활이 고급화되면서, 건강식품이 첨가되고 취반을 간편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능성 쌀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WTO 출범과 쌀의 과잉생산으로 인한 쌀의 소비 촉진과 더불어 고부가가치 쌀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쌀의 품질향상과 기능성 부여에 의한 기능성 코팅 쌀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편, 암을 비롯한 각종 성인병은 영양 불균형과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만성 퇴행성 질환의 증가로 발병률이 점진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경향이고, 일단 발병되면 완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의료비의 과다소요(한국 연간 20조원 상회, 국민 GDP의 4%)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각종 암을 무독성이면서 활성이 높은 식품소재를 활용하여 치료보다는 예방 차원에서 관리하는 것이 국민의 보건 증진과 더불어 국민의료 비용 절감에 효과적인 대처 방안인 것으로 판명되고 있어 성인병 예방용 기능성 식품의 개발은 세계적인 연구 추세이다.
최근 쌀에 다양한 재료를 코팅한 기능성 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연구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0-035460호에는 찹쌀가루가 입혀져 밥을 지었을 때 밥맛이 증진되도록 한 쌀이 개시된 바 있고, 제2002-26714호에는 우골즙으로 코팅된 쌀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영양 강화에 관한 기능성에 치우쳐 있으며, 항암효과를 갖는 코팅제와 이러한 코팅제로 코팅된 기능성 쌀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쌀 코팅용 생약 추출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암 효과를 갖는 쌀 코팅용 생약 추출물 조성물로 쌀을 코팅함으로써 쌀에 기능성 물질을 부착하여 맛, 영양 및 기능성이 강화된 기능성 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자들은 항암효과를 가지는 천연물질 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쌀 코팅제 조성물과 기능성 쌀에 대해 연구하던 중, 소재를 선별하여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들을 실험실적 조건에서 항암활성을 측정하여 항암 효과를 나타냄을 탐색하여, 이러한 코팅제로 코팅된 쌀이 맛, 영양 및 기능이 향상됨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항암 효과가 있는 쌀 코팅제 조성물은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약 추출물을 포함한다.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 또는 유기용매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90 내지 100℃에서 4 내지 8 시간 동안 2회 연속 열수 추출하고 농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생약 추출물은 표고버섯(Lentinus edodes) 추출물, 운지버섯(Coriolus versicolor) 추출물, 느타리버섯(Pleurotus astreatus) 추출물, 겨우살이(Viscum album) 추출물, 삼백초(Saururus chenensis) 추출물, 백화사설초(Oldenlandia diffusa) 추출물, 구기자(Lycium chinense) 추출물, 금은화(Lonicera japonica) 추출물, 지치(Lithospermum erythrohizon) 추출물, 황정(Polygomatum sibiricum)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 또는 유기용매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90 내지 100℃에서 4 내지 8시간 동안 2회 연속 열수 추출하고 농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원료로 사용되는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은 소나무비늘버섯과(Hymenochaetaceae) 진흙버섯속(Phellinus)에 속하는 백색부후균으로서, 진흙버섯(Phellinus)에 속하는 버섯으로서는 목질진흙버섯(Phellinus linteus), 말똥진흙버섯(P. igniarius), 마른진흙버섯(P. gilvus) 등의 다수가 존재하고 있으며; 표고버섯(Lentinus edodes)은 일본 및 중국을 대표하는 식용버섯으로 죽은 참나무, 밤나무, 떡갈나무, 오리나무 등에 많이 돋은 버섯으로 비타민, 미네랄, 식물섬유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운지버섯(Coriolus versicolor)은 산골 오지 큰 그루터기 나무에서도 쉽게 볼 수 있고 성분 중에서 PSK라는 성분은 정상세포에 대한 독성이 거의 없고 면역체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은 일반적으로 봄부터 가을에 걸쳐서 활엽수의 그루터기나 나무줄기에 발생하는 버섯이며; 겨우살이(Viscum album)는 나무 줄기 위에 사는 착생식물로 참나무, 팽나무 등의 여러 나무 줄기에 뿌리를 박아 물을 흡수하며 살아가고 엽록소를 갖고 있어 자체에서 탄소동화작용을 하여 영양분을 만들 수 있으며 항암작용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삼백초(Saururus chinesis)는 한방에서는 식물체 전체를 말려 몸이 붓고 소변이 잘 안 나올 때 쓰고, 각기·황달·간염 등에도 사용하고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백화사설초(Oldenlandia diffusa)는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염증을 삭이고 오줌을 잘 나오게 하는 작용이 있으며; 구기자(Lycium chinense)는 한방에서는 가을에 열매와 뿌리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쓰는데, 열매를 말린 것을 구기자라 하고 뿌리껍질을 말린 것을 지골피(地骨皮)라 하며; 금은화(Lonicera japonica)는 밀원식물이며 한방에서는 잎과 줄기를 인동, 꽃봉오리를 금은화라고 하여 종기·매독·임질·치질 등에 사용하며; 지치는 노랑색과 빨간색 물감을 얻는 홍화, 파란색 물감을 얻는 쪽과 함께 우리 선조들이 염료작물로 즐겨 가꾸어 왔고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염증을 없애고 새살을 돋아나게 하는 작용이 뛰어나며; 황정(Polygomatum sibiricum)은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번갈·당뇨병·심장쇠약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상기 생약 추출물의 함량은 상황버섯 추출물 6 내지 9 중량%, 운지버섯 추출물 6 내지 9 중량%, 표고버섯 추출물 6 내지 9 중량%, 느타리버섯 추출물 6 내지 9 중량%, 황정 추출물 30 내지 35 중량%, 백화사설초 추출물 2 내지 5 중량%, 겨우살이 추출물 2 내지 4 중량%, 삼백초 추출물 2 내지 5 중량%, 금은화 추출물 2 내지 5 중량%, 구기자 추출물 2 내지 5 중량%, 지치 추출물 2 내지 5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생약 추출물의 조성비율은 항암활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것이며, 그 하한치 비율보다 낮은 경우 그 성분의 약리효과가 급속히 감소하고 쌀에 코팅 시 기능성 물질이 잘 부착되지 아니하였으며 그 상한 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다른 성분의 약효가 감소되어 상승작용 및 조성물의 협동작용이 현저히 떨어지고 쌀 표면에 코팅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른 쌀 코팅제 조성물은 이러한 생약 추출물, 코팅 부형재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코팅부형재로 가용성 전분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항암활성을 갖는 생약 추출물을 이용하여 쌀 코팅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쌀에 코팅하여 기능성 물질을 쌀에 코팅하면 쌀과 함께 기능성 물질을 섭취할 수 있게 되어 암 예방 등의 건강 증진을 위한 기능성 쌀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생약 추출물의 제조)
1. 열수추출물의 제조
상황버섯, 운지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황정, 백화사설초, 삼백초, 구기자, 겨우살이, 금은화, 지치 각각 96g을 2ℓ물에 넣고 환류냉각하에서 90-100℃, 4-8시간동안 2회 연속 추출한 후 농축하여 20 -26brix로 하였다.
2. 생약 추출물의 제조
상황버섯추출물 100g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열수 추출물을 하기와 같은 조성으로 실시예 2를 실시하였다.
상황버섯 추출물 8g
표고버섯 추출물 8g
운지버섯 추출물 8g
느타리버섯 추출물 8g
겨우살이 추출물 5g
삼백초 추출물 5g
백화사설초 추출물 5g
구기자 추출물 5g
금은화 추출물 5g
지치 추출물 5g
황정 추출물 34g
상기의 조성물의 함량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실시예 2의 조성 외에도 매우 다양한 조합의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3 내지 7)
(기능성 쌀 제조)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의 생약 추출물을 가지고 표 1의 배합비에 따라 코팅액을 제조하고 쌀을 코팅하여 기능성 쌀을 제조하였다. 도 1은 기능성 쌀의 제조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1. 쌀의 전처리
착색립, 복백립, 쇄미, 절미 등을 제거하여 완전미를 선별하고, 피코팅제인 백미원료의 표면을 청결처리하였다.
2. 원료탱크 이송
표면 청결처리된 완전미를 원료탱크로 이송하였다.
3. 정량공급
아래 표 1의 배합비에 따라 코팅액의 농도에 따른 쌀을 자동적으로 정량공급하였다.
4. 코팅액의 제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생약 추출물에 코팅부형재를 혼합한 후 여과하였다.
5. 코팅
코팅액 저장탱크내 침전 방지용 교반장치 및 농도조절 등이 가능한 설비에서 코팅액을 골고루 농도별로 분사하여 쌀 표면에 코팅하였다.
6. 건조
코팅쌀을 즉시 분상립, 절립, 피해립,동활이 최소화 되도록 열풍건조하였다.
7. 냉각
코팅쌀 표면의 상품성 향상과 완제품의 유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냉각시켰다.
8. 포장
소단위로 진공포장하여 제품화하였다.
실시예 1의 생약 추출물(20.1 brix) 실시예 2의 생약 추출물(26.5 brix) 물 및 가용성 전분(㎖) 쌀(완전미, g)
5 중량% 10 중량% 15 중량% 10 중량% 15 중량%
실시예 3 7.5㎖ - - - - 7.5 300
실시에 4 - 15 - - - 7.5 300
실시예 5 - - 22.5 - - 7.5 300
실시예 6 - - - 15 - 7.5 300
실시예 7 - - - - 30 7.5 300
이하,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의 항암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예 1)
(복수암에 대한 항암효과 시험)
1. 종양세포의 배양시험
복수형 sarcoma-180 종양세포를 무균적으로 채취하여 4℃ Hank's balanced salt solution(HBSS)으로 세척한 후 1×106cell/㎖의 농도로 ICR 생쥐 복강에 계대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계대 배양된 sarcoma-180을 pasteur pipets으로 복강내에서 채취하여 50㎖ conical tube에 넣은 후 12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고 HBSS 완충용액으로 3회 세척한 다음 본 발명의 실험예에 사용하였다.
2. 시험방법
평균무게 25.1 ±0.2g의 3~4주령된 ICR 생쥐 10마리를 24 ±2℃의 배양실에서 1주일 동안 안정화시키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생약 추출물을 생리식염수에 녹여 1일 200㎎/㎏은 경구로 1주일 동안 전투여 한 뒤 3 ×105 cell/㎖의 sarcoma-180을 복강내에 이식하였다. 이식 후에는 1일 150~200㎎/㎏의 시료를 같은 방법으로 투여하며 대조군과 비교하여 평균 생존일수(MST)와 생존일수연장율(ILS)을 아래식을 이용하여 종양 이식 30일 후 판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생존일수연장율(ILS%)=(피검체투여군의 평균생존일수/비투여군의 평균생존일수) ×100
3. 시험결과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생약 추출물을 일주일간 전투여한 후 3 ×105cell/㎖의 sarcoma-180 종양세포를 ICR 생쥐에 이식하고 계속 시료를 투여한 복수암 실험결과는 아래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대조군의 평균생존일수(MST)가 19.5일이며 실시예 1 및 실시예 2 투여군은 각각 29.3일과 26.3일로, 평균생존일수(MST)가 9.8일과 6.8일 정도 연장되어 생존일수연장율이 150 %와 135 %로 나타났다. 그리고 30일 까지 생존한 생쥐도 실시예 1에서 5마리나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생약 추출물을 처리한 흰쥐에서 비교적 양호한 항암 활성을 보여줌을 알 수 있었다.
dose(mg/kg) 투여경로 MST(평균생존일수, day) ILS(%, 생존일수연장율) 30 days survivors(30일간 생존수)
대조군 saline p.o(경구) 19.5 - 0/10
실시예 1 150 p.o(경구) 29.3 150 이상 5/10
실시예 2 200 p.o(경구) 26.3 135 이상 3/10
(실험예 2)
(고형암에 대한 항암효과 시험)
1. 실험방법
평균무게 24.8 ±0.2g의 3~4주령된 수컷 ICR 생쥐 10마리를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처리 한 후 고형암 유발을 위하여 2.5 ×106cell/㎖의 sarcoma-180을 ICR 생쥐의 오른쪽 서혜부에 피하 이식하였다. 이식 후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생약 추출물을 투여하고 30일 경과 후 발생된 고형암을 적출하여 중량을 측정하고 아래식에 의하여 종양증식억제율을 구하여 이를 항암효과의 지표로 하였다.
종양증식억제율(IR,%)=(1-피검체투여군의 평균종양중량/비투여군의 평균종양중량) ×100
2. 시험결과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2.5 ×106cells/㎖의 sarcoma-180 종양세포를 이식한 후 실시한 고형암 실험에서는 아래 표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대조군의 평균종양의 무게가 1.70±0.25g이며 실시예 1 투여군은 0.50±0.25g으로서 종양저지율이 70.4%로 매우 높았고, 실시예 2 처리군에서도 종양저지율이 54.8%로 높게 나타났다.
dose(mg/kg) 투여경로 Tumor weight(종양무게, g) Inhibition(저해율, %)
대조군 saline p.o(경구) 1.70±0.25 -
실시예 1 150 p.o(경구) 0.50±0.25 70.4
실시예 2 200 p.o(경구) 0.77±0.21 54.8
(실험예 3)
(세포독성 시험)
1. 시험방법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사람의 다양한 암 세포주인 A549(사람폐암유래세포주), SKOV-3(사람난소암유래세포주), SKMEL-2(사람색소세포암유래세포주), HCT 15(사람결장암유래세포주), XF 498(사람중추신경계암유래세포주) 등에 대한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이들 세포주들을 실험에 사용하기 위하여 trypsin-EDTA용액으로 부착면으로 부터 분리시키고, 96- well flat-bottom microplate(Falcon)에 well 당 세포수가 4~5 ×104cells/㎖가 되도록 분주하였다. 분주된 세포들을 CO2 배양기 내에서 24시간 배양하여 바닥면에 부착시킨 후 aspirator로 배지(RPMI 배지)를 제거하고, 배지에 시료를 6가지 농도(6.25, 12.5, 25, 50, 100 및 200㎍/㎖)의 log-dose로 희석된 시료 용액들을 암세포가 들어 있는 well에 각각 100㎕씩 3배수로 넣어주고 46시간 동안 더 배양한 후 sulforhodamine-B(SRB) assy법에 따라 약물을 가할때의 세포수(Tz)와 약물이 들어 있지 않은 배지를 가하여 48시간을 배양했을 때의 세포수(C) 및 각 농도의 약물과 함께 48시간 배양했을 때의 세포수(T) 등을 측정하였다. 세포증식율은 아래식에 의하여 산출하였다.
세포증식율(%)=[(T-Tz)/(C-Tz)]×100
2. 시험결과
실시예 1 및 실시예 2 생약 추출물에 대한 SRB assay에서 6.25㎍/㎖로부터 200㎍/㎖까지의 농도로 A549, SKOV-3, SKMEL-w, HCT 15, XF 498 등 5종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아래 표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은 모든 암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농도(㎍/㎖) 시료 cell
A549(폐암세포주) SK-OV-3(난암세포주) SK-MEL-2(색소세포암) XF498(중추신경세포암) HTC15(결장세포)
6.25 실시예 1 101.2 104.2 106.7 105.2 104.5
실시예 2 100.4 101.5 105.2 103.4 102.9
12.5 실시예 1 100.5 103.8 105.8 105.9 105.2
실시예 2 101.2 100.5 104.1 104.2 101.7
25.0 실시예 1 101.7 93.77 104.2 104.2 106.7
실시예 2 100.5 91.44 99.7 102.1 101.8
50.0 실시예 1 102.3 101.4 101.6 100.5 103.2
실시예 2 99.8 98.4 100.2 100.7 101.2
100.0 실시예 1 100.7 99.7 99.4 99.8 100.6
실시예 2 99.2 97.5 99.6 99.2 100.6
200.0 실시예 1 99.8 98.2 98.5 99.1 100.2
실시예 2 95.5 95.4 97.7 98.3 99.8
(실험예 5)
(암세포접착저해활성 시험)
1. 실험방법
실시예 2의 생약 추출물이 B16-F1 생쥐 melanoma 세포주의 세포외 기질의 일종인 laminin에 접착을 저해하는지의 여부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이들 세포는 Feral calf serum(FCS, 10%)를 함유한 Minimum essential medium (MEM, Hnak's salt 함유)에서 유지시켰다.
Laminin-coated plate는 laminin 1㎎을 PBS(phosphate buffer slaine) 2㎖에 용해하여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필요시에 laminin의 농도(20㎍/㎖)를 결정하여 PBS 용액으로 희석하고 이 용액을 96-well microplate의 well에 50㎕씩 분주하여 하룻밤동안 건조시켜 사용하였다.
세포 헌탁액의 제조는 T-25 culture falsk에 80% confluence를 성장한 B16-F1 세포를 3㎖의 2mM EDTA용액으로 떼어낸 다음 serum-free MEM 5㎖를 가하여 800rpm에서 5분 동안 원심 분리시켜 얻은 세포를 1% BSA를 함유한 serum-free MEM의 적당한 양에 현탁하여 세포수가 2 ×106cell/㎖되게 조절하였으며, 실험에서는 이 현탁액 50㎕를 사용하였다.
활성의 측정은 laminin-coated well을 100㎕의 PBS로 3회 세척한 후 다시 1% BSA용액(PBS에 용해) 100㎕를 첨가하였고, BSA를 aspirator로 제거하였다. 이 판에 0.1% BSA를 함유한 serum-free MEM 50㎕, 시료 및 세포를 첨가하여 5% 탄산가스 존재 하에서 37℃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PBS(37℃)로 두 번 세척한 후 0.5% BSA (PBS에 용해) 100㎕로 각각 세척한 다음 부착되어 있는 세포를 2.5% glutaraldehyde 40㎕로 실온에서 30분 동안 고정화 시켰다.
2. 시험결과
도 2는 실시예 2 생약 추출물을 2.0, 1.0, 0.5, 0.25, 0.125㎎/㎖의 농도로 한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시 암세포의 laminin에의 결합형태 및 세포형태를 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여 사진촬영 한 것이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조구의 경우에는 암세포가 laminin에 부착되어 있었고 2.00㎎/㎖의 농도에서는 20~30%의 세포가 세포막 손상을 받았으나 나머지 70~80%의 세포는 laminin에 부착하지 못하고 구형의 세포형태를 유지하였다.
아래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0㎎/㎖과 0.5㎎/㎖의 처리구에서는 100%의 세포가 laminin에 부착하지 못하고 구형의 세포형태를 유지하였다. 0.25㎎/㎖의 농도에서는 70% 정도의 세포가 부착하지 못하였고 0.125㎎/㎖의 농도에서는 30% 정도의 세포가 부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도(㎎/㎖) 상대흡광도(570nm)
대조구 1.00
0.125 0.74
0.250 0.25
0.500 0.03
1.000 0.00
2.000 0.0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쌀 코팅제 조성물은 복수암에 대한 항암효과를 나타내고 고형암에 대한 종양저지 효과를 갖으며 암세포 접착 저해 활성을 갖는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여 항암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되며, 이러한 코팅제 조성물로 쌀을 코팅하여 이러한 기능성 물질을 쌀에 부착할 경우 암의 예방 등의 건강증진을 기대할 수 있다.
(실험예 6)
(기능성 쌀의 품위분석 시험)
1. 상기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7의 기능성 쌀을 코팅 전후 500개씩 선별하여 3개 구간으로 미립판별기(RN-500, Kett)로 품위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낸 결과는 아래 표 6과와 같다.
정상립 분상립 절립 피해립 동활
코팅전(일반쌀) 186 11 114 64 125
실시예 3 244 2 56 70 128
실시예 4 171 3 50 175 101
실시예 5 105 3 62 267 63
실시예 6 139 4 74 175 108
실시예 7 77 5 46 336 36
생약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정상립과 피해립은 증가한 반면 분상립, 절립, 동활의 비율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2. 완전미 중에서 크기가 거의 균일한 쌀알 10개를 선발하여 길이, 폭, 두께를 caliper로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하였고, 무게는 쌀 10g을 측량하여 쌀알 수를 계산하여 1개당 무게를 산출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비코팅쌀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팅제 조성물로 코팅한 쌀이 길이, 폭, 두께, 1개당 무게 등이 약간 씩 증가하였고 농도가 높을수록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길이(mm) 폭(mm) 두께(mm) 1개당 무게(g) 10g 당 쌀알수
일반쌀 4.875 2.738 1.931 0.0194 515
실시예 3 5.003 2.818 2.019 0.0196 510
실시예 4 5.081 2.880 2.073 0.0198 505
실시예 6 5.006 2.800 1.994 0.0195 513
실시예 7 5.015 2.893 2.001 0.0196 510
(실험예 7)
(기능성 쌀의 일반분석 시험)
일반쌀과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쌀의 일반성분과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쌀의 항암면역물질인 단백다당체 함량은 다음 표 8과 같다. 일반쌀과 기능성 쌀의 수분, 조지방, 조단백질, 조회분, 탄수화물의 함량은 거의 비슷하였고, 코팅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적으로 약간씩 감소하였다. 항암면역물질인 단백다당체는 실시예 3, 실시예 4에서 각각 385mg%, 764mg%가 함유되어 있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어, 기능성 물질이 쌀에 코팅되어 항암면역활성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수분 조지방 조단백질 조회분 탄수화물 단백다당체 (mg%)
일반쌀 12.5 0.40 7.92 0.63 78.55 -
실시예 3 12.9 0.39 7.81 0.62 78.28 385
실시예 4 13.1 0.37 7.65 0.61 78.27 764
실시예 6 12.8 0.39 7.84 0.62 78.35 35
실시예 7 12.9 0.38 7.73 0.61 78.38 43
(실험예 8)
상기 실시예 3 내지 7의 기능성 쌀, 일반쌀(비교예 1)을 이용하여 밥을 제조한 후, 관능 평가 요원을 대상으로 관능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9에 나타내었다.
관능적 특성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 1
++ +++ ++ +++ +++ +
외관 ++ ++ ++ ++ +++ +
조직감 ++ ++ +++ ++ ++ +
+++ +++ ++ +++ ++ +
종합적 기호도 +++ +++ +++ +++ +++ +
(상기 표 9에서 +++: 매우 좋음, ++: 좋음, +: 보통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제 조성물로 코팅된 기능성 쌀(실시예 3 내지 7)을 10명의 관능 검사 요원을 대상으로 관능 검사한 결과, 표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쌀은 외관, 조직감, 맛, 등의 종합적 기호도면에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생약 추출물로 쌀 코팅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쌀에 코팅하여 기능성 물질을 쌀에 부착시켜 기능성 쌀을 제조하면 맛, 영양소 및 기능성을 항상시켜 건강 증진을 위한 기능성 쌀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기능성 쌀의 제조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생약 추출물을 2.0, 1.0, 0.5, 0.25, 0.125㎎/㎖의 농도로 한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때 암세포의 laminin에의 결합형태 및 세포형태를 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여 사진촬영 한 것이다.

Claims (4)

  1. 상황버섯 추출물 6 내지 9 중량%;, 운지버섯 추출물 6 내지 9 중량%;, 표고버섯 추출물 6 내지 9 중량%, 느타리버섯 추출물 6 내지 9 중량%, 황정 추출물 30 내지 35 중량%, 백화사설초 추출물 2 내지 5 중량%, 겨우살이 추출물 2 내지 4 중량%, 삼백초 추출물 2 내지 5 중량%, 금은화 추출물 2 내지 5 중량%, 구기자 추출물 2 내지 5 중량%, 지치 추출물 2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효과가 있는 쌀 코팅용 생약 추출물 조성물.
  2. 제1항의 쌀 코팅용 생약 추출물 조성물로 코팅된 기능성 쌀.
  3. 삭제
  4. 삭제
KR10-2003-0052321A 2003-07-29 2003-07-29 항암효과가 있는 쌀 코팅용 생약 추출물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로 코팅된 기능성 쌀 KR100538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321A KR100538652B1 (ko) 2003-07-29 2003-07-29 항암효과가 있는 쌀 코팅용 생약 추출물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로 코팅된 기능성 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321A KR100538652B1 (ko) 2003-07-29 2003-07-29 항암효과가 있는 쌀 코팅용 생약 추출물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로 코팅된 기능성 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766A KR20050013766A (ko) 2005-02-05
KR100538652B1 true KR100538652B1 (ko) 2005-12-26

Family

ID=37225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2321A KR100538652B1 (ko) 2003-07-29 2003-07-29 항암효과가 있는 쌀 코팅용 생약 추출물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로 코팅된 기능성 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86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843B1 (ko) * 2006-07-28 2008-03-06 정광호 기능성 곡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97029B1 (ko) * 2016-03-03 2018-10-18 이부활 영양강화 쌀눈식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766A (ko) 200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slam et al. Bio-active compounds of bitter melon genotypes (Momordica charantia L.) in relation to their physiological functions
CN101023802A (zh) 全营养绿色保健粉(丝、条)和方便(速食)粉(丝、条)系列产品及其制作方法
KR101062172B1 (ko) 버섯 발효인삼 분말을 함유하는 항암용 건강식품
KR20150085566A (ko) 항고혈압 저염 간장의 제조방법
Jones Maitake: a potent medicinal food
KR100538652B1 (ko) 항암효과가 있는 쌀 코팅용 생약 추출물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로 코팅된 기능성 쌀
KR102254420B1 (ko) 약용 및 식용 천연물 복합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0699782B1 (ko) 댕댕이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회복용 식품 조성물
KR102115622B1 (ko) 약용 및 식용 천연물 복합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Negi et al. Evaluation of antihypertensive effect of fruit beverage of Crataegus crenulata Roxb.: a wild shrub of Himalayan hills
JPH1175793A (ja) 飲料用ホウトウクウ組成物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KR101162581B1 (ko) 기능성 곶감 및 그 제조방법
Meuninck Basic illustrated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s
KR20140041187A (ko) 얼레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Du Toit Antioxidant content and potential of fresh and processed cladodes and fruit from different coloured cactus pear (Opuntia ficus-indica and Opuntia robusta) cultivars
KR20080087558A (ko) 가래떡 및 그 제조방법
KR101817053B1 (ko)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비만 또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Prinsloo et al. Marula [Sclerocarya birrea (A. Rich) Hochst]: A review of traditional uses,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KR101789246B1 (ko) 쌀보리 신품종 '한백(익산117호)'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JP4269547B2 (ja) 血糖降下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85458B1 (ko) 항암작용을 하는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CN108378191A (zh) 驼奶枸杞酥糖
Oyeyemi et al. Assessment of the nutritional potentials of Theobroma cacao L. and Coffee liberica W. Bull
KR100492941B1 (ko) 생약재와 닭고기를 이용한 편의 당뇨식이용 밥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