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7751B1 - 팬브라스터 - Google Patents

팬브라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7751B1
KR100537751B1 KR1020030097020A KR20030097020A KR100537751B1 KR 100537751 B1 KR100537751 B1 KR 100537751B1 KR 1020030097020 A KR1020030097020 A KR 1020030097020A KR 20030097020 A KR20030097020 A KR 20030097020A KR 100537751 B1 KR100537751 B1 KR 100537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strainer
particle
processed
prosthe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7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0477A (ko
Inventor
김현동
Original Assignee
김현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동 filed Critical 김현동
Priority to KR1020030097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7751B1/ko
Publication of KR20040010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07Production methods using sand bla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28Instruments or appliances for wax-shaping or wax-remov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치나 치아가 외상에 의하여 손상되었을 때 손상치를 회복하기 위하여 주조방식으로 제조되는 치아용 보철물에 있어 탈형 후 보철물의 표면에 부착되는 제반 산화물과 매몰재를 제거하거나 표면의 다듬질 효과와 광택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팬브라스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고압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다양한 매쉬의 가공입자물을 스틱형 노즐을 통해 보철물에 분사시키도록 하는 공지의 팬브라스터에 있어 작업실의 하방으로 다단계의 걸름망을 구성시켜 한번 사용한 가공 입자물을 입자의 크기별로 선별되도록 한 상태에서 다시 입자물 순환시켜 연속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도에 맞게 입자의 크기를 선택하여 바로 바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새로운 가공입자물의 재충입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의 향상과 시간절감이 이루어지며, 서로 다른 크기의 입자물을 함께 사용하여도 혼화에 의하여 사용이 가능하여 가공 입자물의 효율적인 사용으로 인한 가공비용의 절감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보철물, 가공입자물, 노즐, 걸름망, 회수통공, 걸름망 확인창

Description

팬브라스터{panblas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보이는 요부 절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걸름망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 : 입자물 공급통
3 : 밀폐판 4 : 작업실
5 : 노즐 6 : 손 유입구
7 : 작업용 장갑 10 : 입자물 수거용 통공
20 : 상부 걸름망 30 : 상부 회수통공
40 : 하부 걸름망 50 : 하부 회수통공
60 : 하부 걸름망 확인창 70 : 입자 저장부
71 : 착탈용 도어 72 : 배출구
73 : 회수관 75 : 필터
76 : 팬 80 : 저장부확인창
본 발명은 충치나 치아가 외상에 의하여 손상되었을 때 손상치를 회복하기 위하여 주조방식으로 제조되는 굴곡이 많은 치아용 보철물에 있어 탈형 후 보철물의 표면에 부착되는 제반 산화물과 매몰재를 제거하거나 표면의 다듬질 효과와 광택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보철물 후가공 장치인 팬브라스터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고압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다양한 매쉬의 가공 입자물을 스틱형 노즐을 통해 보철물에 분사시켜 산화물과 매몰재를 제거하고 표면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사용하는 공지의 보철물 후가공 장치에 있어,
작업실의 하방으로 다단계의 걸름망을 구성시켜 여러종류의 입자물중 사용한 가공 입자물을 입자의 크기별로 선별 되도록 한 상태에서 다시 노즐을 통하여 연속공급시켜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입자물을 작업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입자물의 새로운 선택 사용시 입자물의 교환이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의 전환에 따라 가공입자물의 재충입을 최소화할 수 있어 가공입자물의 낭비를 억제로 인한 가공비용과 작업 전환시 입자물의 교환에 따른 시간의 절감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는 충치나 치아가 외상에 의하여 손상되었을 때 손상치를 회복하기 위하여 치아왁스패턴을 제작하고 이를 석고 등의 소재로 된 금형의 내부에 매몰시킨 상태에서 열을 가하여 치아왁스패턴을 녹여 제거시킴으로써 그 자리에 치아왁스패턴과 동일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이에 용융금속을 주입하고 냉각시켜 보철물을 제조하게 되는 것이나,
상기 금형에서 탈형된 보철물의 표면에는 금형 내에 주입된 용융금속이 공기와 접촉하고 냉각되면서 발생되는 산화피막이 형성됨과 더불어 녹여 제거된 치아왁스패턴물의 잔재가 보철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막 탈형된 보철물의 표면은 이물질이 부착되고 표면이 거칠어 후가공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었으며 표면은 불규칙한 곡면과 홈 등에 의하여 표면가공에 일반적인 공구로 의 가공은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보철물의 후가공 장치로 금강사나 산호사와 같이 연마가 잘 이루어지는 입자물을 분사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본체의 상부에 입자의 크기가 다른 가공입자물이 수용되는 다수의 입자물 공급통이 설치되고 밀폐가 가능하도록 한 작업실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입자물 공급통의 가공입자물을 보철물에 분사시키기 위한 스틱형 노즐을 구비하는 구조가 알려지고 있다.
종래에는 작업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된 입자물을 별도로 선별하는 구조가 없어 하나의 장소에 하나의 크기에 사용된 입자물의 크기가 다른 입자물이 혼화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하고 재사용을 위해서는 수거된 입자물을 별도로 선별하는 공정을 거쳐야 함으로써 현실적으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써 자원의 낭비가 초래되고 이로 인해 가공비용의 상승이 초래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종류 크기의 입자물을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사용한 가공 입자물을 입자의 크기별로 선별되도록 한 상태에서 다시 입자물을 노즐을 통하여 연속 공급시켜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가공입자물의 재충입을 최소화할 수 있어 가공입자물의 낭비를 억제로 인한 가공비용의 절감을 추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압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다양한 매쉬의 가공입자물을 스틱형 노즐을 통해 보철물에 분사시키도록 하는 공지의 보철물 후가공 장치에 있어서, 작업실의 하방으로 다단계의 걸름망을 구성시켜 사용한 가공 입자물을 입자의 크기별로 선별되도록 한 상태에서 다시 흡입력을 통해 노즐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한 가공입자물을 연속적으로 재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이는 요부 절개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본 발명의 장치는 본체(1)의 상부에 각기 입자의 크기가 다른 가공입자물(S)이 수용되는 다수의 입자물 공급통(2)이 설치되고 내부의 관찰이 가능하도록 투명의 밀폐판(3)을 통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작업실(4)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입자물 공급통(2)내의 각 가공입자물을 보철물(T) 에 분사시키기 위한 다수의 스틱형 노즐(5)을 구비하며, 분사된 공기는 필터(8)로 걸러져 배풍용 팬(9)에 의하여 외기로 배출되도록하고, 작업실(4)의 양 측벽에 구성된 손 유입구(6)에 일체로 연결된 작업용 장갑(7)을 구비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작업실(4)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일정 크기의 입자물이 순환 공급되는 수거용 통공(10)과;
상기 입자물 수거용 통공(10)을 커버하도록 작업실(4)의 바닥에 설치되며 사용된 가공입자물(S)중 일정 크기 이상의 입자를 걸러내기 위한 소정 매쉬의 다공판으로 구성되는 평판상의 상부 걸름망(20)과;
상기 상부 걸름망(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입자물 공급용 노즐(5)중 하나와 연결 설치되며 상부 걸름망(20)에 걸러진 가공 입자물(S)을 해당 입자물 공급용 노즐(5)로 흡입시켜 순환 공급시키기 위한 상부 회수통공(30)과;
상기 상부 걸름망(20)과의 사이에 일정한 이격 공간을 두고 설치되며 상부 걸름망(20)의 구멍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메쉬로 구성되며 상부 걸름망(20)을 통과한 입자 중 일정 크기 이상의 입자를 걸러내기 위한 하부 걸름망(40)과;
상기 하부 걸름망(4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입자물 공급용 노즐(5)중 하나와 연결 설치되며 하부 걸름망(40)에 걸러진 가공 입자물(S)을 해당 입자물 공급용 노즐(5)중 하나로 흡입시켜 순환 공급시키기 위한 하부 회수통공(50)과;
상기 본체(1)의 전면에 설치되며 하부 걸름망(40)의 필터링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하부 걸름망 확인창(60)과;
상기 하부 걸름망(40)을 통과한 입자가 모일 수 있도록 상기 하부 걸름망(40)의 하방에 형성된 배출구(72)에 착탈용 도어(71)를 구비하는 입자 회수부(70)와;
상기 입자물 공급용 노즐(5)중 하나와 연결 설치되며 입자 회수부(70)에 쌓인 가공 입자물(S)을 해당 입자물 공급용 노즐(5)로 흡입시켜 순환 공급시키기 위한 하부 회수관(73)과;
상기 하부 걸름망 확인창(60)의 직 하방에 위치되며 입자 회수부(70)내의 입자의 잔량과 공급상태를 가시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투명의 저장부확인창(80)을 각각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 도면중 미설명 부호 ※
(90)은 노즐 공기압 조절기이며
(100)은 공기 공급용 호스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장치에는 다수의 입자물 공급통(2)이 설치되고 각 입자물 공급통(2)에는 입자의 크기가 서로 다른 입자가 수용되고 각 입자물 공급통(2)은 연결관을 통해 작업실(4)의 내부에 비치되는 스틱형 노즐(5)에 연결된다.
상기 입자물은 주로 연마용으로 제조되는 강도가 강한 광석입자나 금강석의 입자, 산호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작업의 성질에 따라 입자물의 크기와 재질을 선택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입자물 중 가장 미세한 것은 광택용으로 사용하게 되며, 중간의 것은 산화피막의 제거용이며, 가장 굵은 것은 매몰제 제거용으로 사 용된다.
한편 보철물에 상기한 후처리 공정을 부여하기 위해서 작동 스위치를 "온"시키면 공기압축기(미도시 함)가 작동되어 외부의 공기가 공기압 공급호스(100)를 통해 각 스틱형 노즐(5)에 개별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노즐공기압 조절기(90)를 통해 스틱형 노즐(5)에 공기압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노즐공기압 조절기(90)에 입자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상. 하부 회수통공(30)(50)과 회수관(73)에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진공압이 걸리도록 하여 내부에 수용된 입자물이 빨려나와 공기와 함께 스틱형 노즐(5)을 통해 분사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작동설명은 이미 공지임을 알려둔다.
상기 보철물(T)에 후처리 공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철물(T)을 작업실(4)의 내부에 투입시키고 밀폐판(3)을 덮어 작업실(4)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킨 다음 본체(1)의 양 측벽에 구성된 손 유입구(6)로 손을 집어넣어 손에 작업용 장갑(7)을 착용한 상태에서 한 손으로 보철물(T)을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는 원하는 스틱형 노즐(5)을 잡고서 공기압을 작동매체로 하여 임의 메쉬의 가공용 입자물(S)을 보철물(T)에 분사시켜 표면의 매몰제를 비롯한 산화피막 등 이물질 제거 또는 광택효과를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보철물(T)의 후처리에 사용된 일정 메쉬의 가공입자물(S)은 밀폐판(3)에 의해 외부로 비산 유출되지 못하고 바닥으로 낙하되며 가장 굵은 입자의 경우는 상부 걸름망(20)에 걸려지게 되고 중간 굵기의 입자를 갖는 가공입자물은 상부 걸름망(20)을 통과하여 하부 걸름망(40)에 걸러지게 되며 가장 입자가 고운 가공입자 물은 상기 두 걸름망(20)(40)을 모두 통과하여 입자저장부(70)에 수용된다.
한편 상부 걸름망(20)과 하부 걸름망(40) 그리고 입자 회수부(70)에 걸러지고 모아지는 가공입자물은 선택된 스틱형 노즐(5)의 스위치에 의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외부로 부터 고압의 공기가 공급되면서 진공압이 걸려 상. 하부 회수통공(30)(50)과 회수관(73)을 통해 노즐(5)로 재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중 사용되는 각 입자물이 부족할 경우 각 입자물 공급통(2)의 내부를 진공화시켜 보충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입자저장부(70)내의 입자물을 저장부 확인창(80)을 통해 확인하고, 순환되는 입자물의 적정량이 모자라면 상부에 설치된 입자물 공급통(2)으로 부터 보충 공급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하부 거름망확인창(60)과 저장부 확인창(80)은 입자물의 순환 공급상태를 확인하게 되며 정비를 비롯한 내부의 관리 시에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노즐(5)에서 입자물과 함께 분출되는 공기는 입자저장부(70)와 연통설치되는 필터(8)와 배풍용 팬(9)을 통해 제반 가공 이물질이 청결하게 여과되는 상태에서 실내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한번 사용한 가공 입자물을 입자의 크기별로 선별되도록 한 상태에서 순환 공급시켜 연속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가공입자물의 재충입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입자물을 교환하지 않고 필요한 입자물을 수시로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게 하므로 작업 능률의 향상과 시간절감이 이루어지며, 서로 다른 크기의 입자물을 함께 사용하여도 혼화에 의하여 사용이 가능하여 가공입자물의 효율적인 사용으로 인한 가공비용의 절감을 추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

  1. 본체(1)의 상부에 각기 입자의 크기가 다른 가공입자물(S)이 수용되는 다수의 입자물 공급통(2)이 설치되고 내부의 관찰이 가능하도록 투명의 밀폐판(3)을 통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작업실(4)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입자물 공급통(2)내의 각 가공입자물을 보철물(T)에 분사시키기 위한 다수의 스틱형 노즐(5)을 구비하며, 분사된 공기는 필터(8)로 걸러져 배풍용 팬(9)에 의하여 외기로 배출되도록 하고, 작업실(4)의 양 측벽에 구성된 손 유입구(6)에 일체로 연결된 작업용 장갑(7)을 구비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작업실(4)의 바닥면에 일정 크기의 입자물이 순환 공급되도록 수거용 통공(10)을 커버하도록 작업실(4)의 바닥에 설치되며 사용된 가공입자물(S)중 일정 크기 이상의 입자를 걸러내기 위한 소정 매쉬의 다공판으로 구성되는 평판상의 상부 걸름망(20)과;
    상기 상부 걸름망(20)의 일측에 입자물 공급용 노즐(5)중 하나와 연결 설치되며 상부 걸름망(20)에 걸러진 가공 입자물(S)을 해당 입자물 공급용 노즐(5)로 흡입하여 순환 공급시키기 위한 상부 회수통공(30)과;
    상기 상부 걸름망(20)과의 사이에 일정한 이격 공간을 두고 설치되며 상부 걸름망(20)의 구멍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메쉬로 구성되며 상부 걸름망(20)을 통과한 입자 중 일정 크기 이상의 입자를 걸러내기 위한 하부 걸름망(40)과;
    상기 하부 걸름망(4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입자물 공급용 노즐(5)중 하 나와 연결 설치되며 하부 걸름망(40)에 걸러진 가공 입자물(S)을 해당 입자물 공급용 노즐(5)중 하나와 연결 설치되어 흡입하여 순환 공급시키기 위한 하부 회수통공(50)과;
    상기 본체(1)의 전면에 설치되며 하부 걸름망(40)의 필터링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하부 걸름망 확인창(60)과;
    상기 하부 걸름망(40)을 통과한 입자가 모일 수 있도록 상기 하부 걸름망(40)의 하방에 형성되며 배출구(72)에 착탈용 도어(71)를 구비하는 입자 회수부(70)와;
    상기 입자물 공급용 노즐(5)중 하나와 연결 설치되며 입자 회수부(70)에 적층된 가공 입자물(S)을 해당 입자물 공급용 노즐(5)로 흡입시켜 순환 공급시키기 위한 하부 회수관(73)과;
    상기 하부 걸름망 확인창(60)의 직 하방에 위치되며 입자 회수부(70)내의 입자의 잔량과 공급상태를 가시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투명의 저장부확인창(80)을 각각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브라스터.
KR1020030097020A 2003-12-22 2003-12-22 팬브라스터 KR100537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020A KR100537751B1 (ko) 2003-12-22 2003-12-22 팬브라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020A KR100537751B1 (ko) 2003-12-22 2003-12-22 팬브라스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269U Division KR200333525Y1 (ko) 2003-08-30 2003-08-30 팬브라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477A KR20040010477A (ko) 2004-01-31
KR100537751B1 true KR100537751B1 (ko) 2006-01-10

Family

ID=37318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020A KR100537751B1 (ko) 2003-12-22 2003-12-22 팬브라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77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450B1 (ko) * 2004-08-10 2006-05-26 김현동 보철물 후가공용 팬 블라스터
CN101015068B (zh) * 2004-09-09 2011-03-30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净化单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477A (ko) 200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956B1 (ko) 칩 컨베이어에 부속되는 칩/절삭유 여과장치
KR100941942B1 (ko) 집진 테이블
KR101102060B1 (ko) 샌드 블라스터 시스템
CN105818001A (zh) 一体式打磨抛光除尘器
JP6605207B2 (ja) 不活性ガス循環式ブラスト装置
CN109202630A (zh) 带有湿式除尘系统的砂带磨
KR100537751B1 (ko) 팬브라스터
KR102304128B1 (ko) 나노입자급 미세먼지의 제거가 가능한 집중탈진 여과집진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집진방법
KR200333525Y1 (ko) 팬브라스터
CN110370643A (zh) 一种用于3dp法三维打印坯去粉的设备与工艺
KR100582450B1 (ko) 보철물 후가공용 팬 블라스터
JP3031304U (ja) サンドブラスト用の砂塵飛散防止装置
CN211681639U (zh) 一种新型喷砂房
KR200377951Y1 (ko) 보철물 후가공용 팬 블라스터
CN209093898U (zh) 一种新型环保脉冲除尘滚振高效除杂机
KR100537753B1 (ko) 치아 보철물 후가공 장치의 가공 입자물 분사량 조절구조
CN207824703U (zh) 一种迷宫式抛丸清理机
CN112316585A (zh) 一种刮板打磨除尘设备
KR100938834B1 (ko) 샌드블라스트 장치
KR200353684Y1 (ko) 치아 보철물 후가공 장치의 가공 입자물 분사량 조절구조
JPH0520850U (ja) 非磁性体用バケツトコンベア式セパレータ
KR100396454B1 (ko) 주물, 주강공장 후처리 공정에서의 건식 분진처리 시스템
CN220740745U (zh) 一种带有分级滤砂网的喷砂机
CN219490586U (zh) 一种道路施工石块破碎设备
JP2005046671A (ja) 集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