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834B1 - 샌드블라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샌드블라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834B1
KR100938834B1 KR1020080029662A KR20080029662A KR100938834B1 KR 100938834 B1 KR100938834 B1 KR 100938834B1 KR 1020080029662 A KR1020080029662 A KR 1020080029662A KR 20080029662 A KR20080029662 A KR 20080029662A KR 100938834 B1 KR100938834 B1 KR 100938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rasive
case body
separation
impurities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4303A (ko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김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수 filed Critical 김종수
Priority to KR1020080029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834B1/ko
Publication of KR20090104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B24C3/06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movable; portable
    • B24C3/065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movable; portable with suction means for the abrasive and the was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7/00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샌드블라스트 장치는 연마재 및 압축 공기의 혼합물을 고압 분사하는 분사 노즐과, 고압의 공기를 발생하는 공기 압축기와, 상기 공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압의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엑츄레이터 밸브체와, 상기 엑츄레이터 밸브체와 연결되어 상기 분사노즐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연마재가 분사되도록 하는 공기분사관과,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연마재가 분사되도록 연마재 공급호퍼와 연결되는 연마재 분사관과, 상기 분사노즐과 연결되어 분사된 연마재를 회수하는 회수관과, 상기 회수관과 연결되는 연마재 선별분리회수장치와, 상기 연마재 선별분리회수장치와 연결된 집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마재 선별분리회수장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케이스 본체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회수관으로부터 연마재와 불순물이 유입되는 유입통로와, 상기 케이스 본체를 구성하는 좌우측 벽체로부터 내측으로 하방으로 경사를 갖고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마재 낙하판들로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상기 좌우측 벽체로부터 순차적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중첩되어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마재 낙하판들과, 상기 연마재 낙하판들이 연장되는 벽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에 유입된 불순물이 배출되는 불순물 흡입부와, 상기 불순물 흡입부와 연통되어 상기 불순물 흡입부로부터 배출되는 불순물을 포집하여 상기 집진기로 배출하는 포집부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단에 형성되어 불순물이 분리된 연마재가 상기 연마재 공급호퍼로 배출되는 배출통로를 포함한다.
샌드블라스트, 연마재 선별분리회수장치, 금강사, 선별 분리, 낙하판, 경사, 중첩

Description

샌드블라스트 장치{Sand bla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샌드블라스트 장치 및 이를 위해 제공되는 연마재 선별분리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칭작업을 위해 분사되는 연마재를 회수함에 있어서 연마재와 먼지를 분리 선별하여 먼지는 집진기에 의해 분리되고 연마재는 재사용하도록 한 샌드블라스트 장치 및 이를 위해 제공되는 연마재 선별분리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샌드블라스트 장치는 에칭 작업에 있어서 석재나 유리면 등에 금강사와 같은 연마재를 분사하여 원하는 형태의 조각을 하는데 사용되거나, 벽면이나 바닥면 등에 금강사와 같은 연마재를 분사하여 소정의 형상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또한, 샌드블라스트 장치는 반도체 공정 및 LCD 제조공정에서 반도체 기판 및/또는 유리기판 등에 소정의 구멍이나 형상을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샌드블라스트 장치는 직압식과 음압식이 있는 바, 직압식은 금강사 분사관에 압력을 직접 가하여 분사하는 방식이고, 음압식은 금강사 분사관 외에 콤 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압축공기관에 강한 압력으로 유입되면 음압이 발생되어 금강사가 분사관으로부터 딸려 나가면서 분사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분사되는 금강사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태의 조각이나 형상을 형성할 경우 분사된 금강사는 그대로 바닥에 버려지게 된다. 금강사와 같은 연마재는 그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이를 회수하여 재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바닥에 떨어져 있는 금강사를 수작업으로 회수하여 바닥의 먼지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은 번거롭고 이와 같이 수거된 금강사를 사용할 경우 연마작업시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분사되어 사용된 금강사와 같은 연마재를 바로 회수하고 먼지와 같은 불순물로부터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재사용하는 장치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샌드블라스트 장치는 금강사가 분사되는 말단인 브러쉬를 바닥면에 갖다 대고 금강사를 분사하면 작업 대상에 금강사가 부딪히면서 에칭작업이나 조각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분사되는 금강사를 모아 주는 회수관이 추가로 설치된 형태이다.
따라서, 금강사와 같은 연마재의 회수 및 재사용을 위해 개량된 종래의 샌드블라스트 장치는 직압식의 경우에는 브러쉬에서 2개의 관이 분지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음압식의 경우에는 브러쉬에서 3개의 관이 분지된 형태로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회수관을 통해 회수되는 금강사에는 먼지 등과 같은 여러 불순물이 섞여서 회수되기 때문에 회수되는 금강사를 바로 금강사가 보관되는 호퍼에 재공급 하여 사용하기에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샌드블라스트 장치에 있어서는 사용된 금강사를 회수할 때 불순물을 선별분리하여 불순물은 집진기에 의해 포집하고, 금강사만이 금강사를 공급하는 호퍼로 유입되도록 하는 장치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금강사의 선별분리장치는 회전모터에 의한 회전원심력을 이용한 싸이클론 장치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바, 이러한 싸이클론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회전모터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샌드블라스트 장치에 제공되는 금강사 선별분리장치는 샌드블라스트 장치에 대한 공간활용성이 떨어지고 생산단가가 증대될 뿐만 아니라 전력소모의 증대는 물론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금강사를 선별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248350호인 진공샌드블라스팅 장치가 안출된 바 있다. 이는 그 공고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의해 알 수 있듯이, 금강사 및 압축 공기량을 조절하는 엑츄레이터 밸브와, 금강사 및 압축 공기의 혼합물을 고압 분사하는 분사 노즐과, 고압 공기를 발생하는 공기 압축기와, 공기 필터 및 상기 공기 압축기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 탱크로 구성되는 건물 내외벽의 오염 물질 제거를 위한 진공 샌드 블라스팅 장치에 있어서, 금강사를 공급하는 금강사 공급 호퍼/댐퍼와 공급되는 금강사를 축적하는 서지 호퍼와 상기 노즐을 통해 벽면에 분사된 공기 및 금강사와 함께 튕겨 지는 먼지, 오염 물질, 석분을 진공 상태로 흡입하도록 노즐에 일체로 형성된 흡입 호스와 상기 흡입 호스를 통해 오염 물질, 금강사, 석분의 혼합물을 장치 내부로 흡입하여 장치내의 스크린으로 통과시키면서 일차로 가장 무거운 금강사를 분리하고, 다음에 장치내의 상기 스크린을 통해 먼지, 오염물질, 석분을 진공 흡입시키면서 8-10개의 필터에서 여과함에 의해 포집하는 먼지 포집부와 상기 필터의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필터에 포집된 먼지 및 오염 물질 등을 털어내도록 필터를 진동 타이머에 의해 10초-60초 마다 자동적으로 진동시키는 공기 헤더와 털어내진 먼지 및 오염 물질을 저장하여 상기 장치를 100-200시간 작동시킨 후 배출하도록 상기 필터 하부에 설치된 먼지 수집통 및 먼지, 오염 물질이 상기 필터를 통해 제거된 맑은 공기만을 진공 흡입하여 배출하는 터보 팬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 등록특허 제10-0522367호인 연마재의 재사용이 증가된 샌드블라스트 장치가 안출된 바 있다. 이는 그 등록공고의 청구범위에 의해 알 수 있듯이, 연삭 대상물이 도포된 기판이 놓여져 상기 연삭 대상물에 대한 연삭 공정이 실시되는 연삭조와, 상기 연삭조 내에 구비되어 상기 연삭 대상물에 연마재를 분사시키는 분사 노즐과, 상기 연삭 공정에서 사용된 연마재가 상기 기판의 표면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삭조의 외측에 부착되는 한 쌍의 제1 전자석과, 상기 연삭 공정에서 사용된 연마재와 상기 연삭공정에서 연삭된 연삭물을 분리시키는 싸이클론과, 상기 싸이클론에서 분리된 연마재가 1차 집진되는 제1 회수조와, 상기 제1 회수조에서 미집진된 연마재와 상기 연삭물을 분리시키는 제2 전자석과, 상기 제2 전자석에 의해 분리된 미집진된 연마재가 2차 집진되는 제2 회수조 및 상 기 제2 전자석에 의해 분리된 상기 연삭물이 집진되는 폐수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자석은 상기 제2 회수조의 하측부에 부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분사된 금강석을 회수하여 재사용하고자 하고 있으나, 등록실용신안 제20-248350호는 금강사의 회수방식이 스크린과 공기의 와류 및 팬을 이용하고 있어 그 구성이 복잡하고 회수장치자체가 샌드블라스트 장치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522367호는 싸이클론을 통해 회수되지 않은 연마재를 전자석을 이용하여 회수율을 높이는 방식이지만, 기본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싸이클론을 이용한 분리선별방식이어서 싸이클론 방식의 문제점을 그대로 안고 있을 뿐만아니라 전자석 회수를 위한 별도의 장치와 공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샌드블라스트 장치에 제공되는 금강사 선별회수장치들은 금강사에 함유되어 같이 회수되는 불순물의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거나, 또한 많은 구성요소들이 추가적으로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생산단가의 증대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샌드블라스트 장치에 있어서 분사되는 연마재를 회수함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내부에 다단으로 구성된 연마재 낙하판이 구비되고, 일측에 불순물이 흡입되도록 하는 불순물 흡입부가 형성된 연마재 선별분리회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공간활용성을 높이면서도 전력소모 및 소음을 감소시키고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는 샌드블라스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결국, 본 발명은 회수되는 금강사에 포함되는 불순물은 불순물 흡입부에 의해 집진기측으로 흡입되어 제거되고 순수한 금강사만이 다시 금강사를 공급하는 금강사 호퍼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금강사와 불순물과의 선별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금강사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생산단가의 증대를 방지하며 샌드블라스트 장치의 공간활용성을 높이는 선별분리회수장치가 구비된 샌드블라스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연마재 선별분리회수장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케이스 본체 내부와 연통되고 연마재와 불순물이 유입되는 유입통로와, 상기 케이스 본체를 구성하는 좌우측 벽체로부터 내측으로 하방으로 경사를 갖고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마재 낙하판들로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상기 좌우측 벽체로부터 순차적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중첩되어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마재 낙하판들과, 상기 연마재 낙하판들이 연장되는 벽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에 유입된 불순물이 배출되는 불순물 흡입부와, 상기 불순물 흡입부와 연통되어 상기 불순물 흡입부로부터 배출되는 불순물을 포집하는 포집부와, 상기 케이 스 본체의 하단에 형성되어 불순물이 분리된 연마재가 배출되는 배출통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연마재 선별분리회수장치에는 상기 포집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집진수단이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집진수단은 진공흡입력을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연마재 선별분리회수장치는 상기 배출통로에 연마재가 통과되는 크기의 메쉬로 형성된 망체가 제공되어 연마재 보다 큰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샌드블라스트 장치는 연마재 및 압축 공기의 혼합물을 고압 분사하는 분사 노즐과, 고압의 공기를 발생하는 공기 압축기와, 상기 공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압의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엑츄레이터 밸브체와, 상기 엑츄레이터 밸브체와 연결되어 상기 분사노즐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연마재가 분사되도록 하는 공기분사관과,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연마재가 분사되도록 연마재 공급호퍼와 연결되는 연마재 분사관과, 상기 분사노즐과 연결되어 분사된 연마재를 회수하는 회수관과, 상기 회수관과 연결되는 연마재 선별분리회수장치와, 상기 연마재 선별분리회수장치와 연결된 집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마재 선별분리회수장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케이스 본체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회수관으로부터 연마재와 불순물이 유입되는 유입통로와, 상기 케이스 본체를 구성하는 좌우측 벽체로부터 내측으로 하방으로 경사를 갖고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마재 낙하판들로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상기 좌우측 벽체로부터 순차적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중첩되어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마재 낙하판들과, 상기 연마재 낙하판들이 연장되는 벽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에 유입된 불순물이 배출되는 불순물 흡입부와, 상기 불순물 흡입부와 연통되어 상기 불순물 흡입부로부터 배출되는 불순물을 포집하여 상기 집진기로 배출하는 포집부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단에 형성되어 불순물이 분리된 연마재가 상기 연마재 공급호퍼로 배출되는 배출통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샌드블라스트 장치는 상기 연마재 분사관, 상기 공기분사관 및 상기 회수관이 연결되는 분사노즐이 내부에 장입되어 수납되고, 하부에는 고무재질의 밀착부재가 구성되며 상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수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샌드블라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마재 선별분리회수장치는 샌드블라스트 장치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장형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샌드블라스트 장치의 집진기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상단에 구성되고 하단에는 내부에 금강사만이 통과되는 메쉬로 형성된 망체가 내삽된 서랍식 연마재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샌드블라스트 장치에서 사용되는 연마재로는 금강사가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에칭작업에 사용될 수 있는 금속 파티클과 같은 연마재를 포함하는 것임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연마재 선별분리회수장치가 구비된 샌드블라스트 장치는 분사된 연마재를 회수함에 있어서, 회수되는 연마재와 함께 회수되는 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집진기에 의해 포집되되, 연마재는 연마재 공급호퍼의 내부로 재투입되고 먼지만이 깨끗하게 선별되어 포집됨에 따라 연마재의 재사용이 가능하고, 연마재의 낙하방식에 의해 낙하되는 연마재에 포함되는 불순물이 쉽게 집진기측으로 포집될 수 있어 불순물의 포집에 따른 효율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샌드블라스트 장치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연마재 선별분리회수장치의 제공으로 샌드블라스트 장치에 대한 공간활용이 탁월하며, 전력소모 및 소음을 줄일 수 있고 생산단가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샌드블라스트 장치(10)에 있어서 금강사 선별분리회수장치(2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 알려진 것들로서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금강사 선별분리회수장치(20)가 구비된 샌드블라스트 장치(10)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금강사 선별분리회수장치(20)가 구비된 샌드블라스트 장치(10)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금강사 선별분리회수장치(20)가 구비된 샌드블라스트 장치(10)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샌드블라스트 장치(10)의 구성요부인 금강사 선별분리회수장치(20)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샌드블라스트 장치(10)는 금강사 및 압축 공기의 혼합물을 고압 분사하는 분사 노즐(12)과, 고압의 공기를 발생하는 공기 압축기(13)와, 상기 공기 압축기(13)에서 압축된 고압의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엑츄레이터 밸브체(11)와, 상기 엑츄레이터 밸브체(11)와 연결되어 상기 분사노즐(12)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금강사가 분사되도록 하는 공기분사관(16)과, 상기 분사노즐(12)을 통해 금강사가 분사되도록 금강사 공급호퍼(14)와 연결되는 금강사 분사관(15)과, 상기 분사노즐(12)과 연결되어 분사된 금강사를 회수하는 금강사 회수관(17)과, 상기 금강사 회수관(17)과 연결되는 금강사 선별분리회수장치(20)와, 상기 금강사 선별분리회수장치(20)와 연결된 집진기(18)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강사 선별분리회수장치(20)는 케이스 본체(200)와, 상기 케이스 본체(200)의 상단에 형성되어 케이스 본체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금강사 회수관(17)으로부터 금강사(30)와 불순물(31)이 유입되는 유입통로(201)와, 상기 케이스 본체(200)를 구성하는 좌우측 벽체(202, 203)로부터 내측으로 하방으로 경사를 갖고 연장되는 복수개의 금강사 낙하판들(21)로서 상기 케이 스 본체(20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상기 좌우측 벽체(202, 203)로부터 순차적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중첩되어 연장되는 복수개의 금강사 낙하판들(21)과, 상기 금강사 낙하판들(21)이 연장되는 벽체(202)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200)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200)에 유입된 불순물(31)이 배출되는 불순물 흡입부(22)와, 상기 불순물 흡입부(22)와 연통되어 상기 불순물 흡입부(22)로부터 배출되는 불순물(31)을 포집하여 상기 집진기(18)로 배출하는 포집부(23)와, 상기 케이스 본체(200)의 하단에 형성되어 불순물(31)이 분리된 금강사(30)가 상기 금강사 공급호퍼(14)로 배출되는 배출통로(204)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샌드블라스트 본체(10)의 하부에는 바퀴와 같은 구름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몸체의 이동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금강사 선별분리회수장치(20)가 구비된 샌드블라스트 장치(10)는 상기 금강사분사노즐(12)을 에칭이나 조각을 형성하기 위한 석재나 유리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샌드블라스트 장치(10)의 외부 측에 형성된 액츄레이터 밸브체(11)를 조절하여 공기압축기(13)를 통해 압축된 공기를 공기분사관(16)에 의해 금강사분사노즐(12)측으로 분사하면, 이 압축공기의 분사에 의해 발생되는 음압에 의해 상기 금강사공급호퍼(14)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금강사(30)가 상기 금강사공급관(15)을 통해 공급되어 상기 금강사 분사노즐(12)을 통해 분사되면서 석재나 유리면에 원하는 형상의 조각이나 무늬가 형성된다.
또한, 분사된 금강사(30)는 상기 분사노즐(12)과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금강사 선별분리회수장치(20)와 연결된 금강사 회수관(17)을 통해 금강사 선별 분리회수장치(20)의 내측으로 회수된다. 이와 같이 회수되는 금강사는 상기 금강사공급호퍼(14)측으로 재투입되는 과정에서 불순물(31)이 확실하게 제거될 수 있어 금강사(30)의 재사용이 가능해진다.
즉, 상기 금강사 선별분리회수장치(20)의 상단으로 회수되어 투입되는 금강사(30)와 불순물(31)들은 상기 금강사 선별분리회수장치(20)의 내측으로 하방으로 경사를 갖고 연장되는 복수개의 금강사 낙하판(21)에 순차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낙하되어 금강사 낙하판(21)의 윗면을 타고 아래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 때 금강사(30) 보다 하중이 가벼운 불순물(31)은 금강사 낙하판(21)에 금강사(30)가 낙하되는 과정에서 상기 불순물 흡입부(22)를 통해 상기 포집부(23)와 연결된 집진기(18)의 집진력에 의해 상기 포집부(23)측으로 포집되어 집진기(18)에 의해 제거된다. 또한, 하중이 무거운 금강사(30)는 경사진 낙하판(21)을 차례로 타고 내려오면서 하단의 배출통로(204)를 통해 금강사 공급호퍼(14)로 재공급된다.
특히, 복수개의 금강사 낙하판(21)은 좌우측 벽체(202, 203)로부터 순차적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중첩되어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낙하되는 거리가 충분히 확보된다. 따라서, 낙하되는 불순물(31)은 불순물 흡입부(22)로의 흡입될 거리와 시간이 충분히 확보되면서 금강사(30)는 앞선 낙하판(21)과 간격을 두고 일부 중첩되는 다음의 낙하판(21)으로 확실하게 떨어지면서 경사진 금강사 낙하판(21)의 상면을 타고 아래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결국 이러한 과정을 복수개의 금강사 낙하판(21)을 사이에 두고 반복하면서 불순물(31)과 금강사(30)는 효율적으로 분리되는 것이다.
따라서, 금강사 선별분리회수장치(20)의 하단의 배출통로(204)에 연결되는 금강사 공급호퍼(14)의 내부에는 불순물(31)이 제거된 순수한 금강사(30)만이 회수되어 재투입되기 때문에, 금강사(30)의 재사용에 있어서 전혀 문제점이 없을 뿐만 아니라, 금강사를 이용한 조각형성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더욱이, 금강사 선별분리회수장치(20)에 의한 금강사 낙하방식에 의해 금강사와 불순물이 선별되기 때문에, 종래 싸이클론장치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지 않아도 되고 회전모터와 같은 구성요소들이 장착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샌드블라스트 장치를 제작함에 있어서의 공간활용성이 향상되고,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으며 소음을 줄이고 전력소모와 같은 불필요한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샌드블라스트 장치(10)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는 금강사 분사관(15), 공기분사관(16) 및 금강사회수관(17)이 연결되는 분사노즐(12)이 내부에 장입되어 수납되는 수납체(40)를 더 구성하되, 상기 수납체(40)의 하부에는 고무재질의 밀착부재(41)를 구성하고 상단에는 손잡이(42)를 형성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납체(40)를 더 포함할 경우, 상기 수납체(40)의 하부에 구성된 고무재질의 밀착부재(41)에 의해 상기 분사노즐(12)에 의해 분사되는 금강사에 의해 조각되는 작업부위에 대하여 수납체(40)를 밀착시킬 수 있음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됨은 물론 분사되는 금강사의 회수력이 향상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샌드블라스트 장치(10)의 구성요부인 금강사 선별분리회수 장치(20)가 샌드블라스트 장치(10)의 외부에 장착된 외장형의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형 샌드블라스트 장치(10)의 경우에는 금강사 선별분리회수장치(20)를 외장형으로 구성하되, 집진기(18)와 연결되는 연결부(24)가 상단에 구성되고 하단에는 내부에 금강사만이 통과되는 메쉬로 형성된 망체(25)가 내삽된 서랍식 금강사 수용부(26)가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샌드블라스트 장치(10)의 구성요부인 금강사 선별분리회수장치(20)를 장치(10)의 내부가 아닌 장치(10)의 외부에 연결하는 외장형으로 구성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 때 선별되는 금강사는 상기 금강사 수용부(26)의 내부 측에 모아짐으로써 계속적인 금강사의 재활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금강사 선별분리회수장치가 구비된 샌드블라스트 장치는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금강사 선별분리회수장치가 구비된 샌드블라스트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금강사 선별분리회수장치가 구비된 샌드블라스트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금강사 선별분리회수장치가 구비된 샌드블라스트 장치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샌드블라스트 장치의 구성요부인 금강사 선별분리회수장치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금강사 선별분리회수장치가 구비된 샌드블라스트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샌드블라스트 장치의 외부에 장착되는 외장형 금강사 선별분리회수장치의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샌드블라스트 본체 11 : 엑츄레이터 밸브체
12 : 분사노즐 13 : 공기 압축기
14 : 금강사공급호퍼 15 : 금강사분사관
16 : 공기분사관 17 : 금강사회수관
18 : 집진기 20 : 금강사 선별분리회수장치
21 : 금강사 낙하판 22 : 불순물 흡입부
23 : 포집부 30 : 금강사
31 : 불순물
200: 케이스 본체 201: 유입통로
202, 203: 좌우측 벽체 204: 배출통로

Claims (5)

  1. 삭제
  2. 연마재 및 압축 공기의 혼합물을 고압 분사하는 분사 노즐과,
    고압의 공기를 발생하는 공기 압축기와,
    상기 공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압의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엑츄레이터 밸브체와,
    상기 엑츄레이터 밸브체와 연결되어 상기 분사노즐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연마재가 분사되도록 하는 공기분사관과,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연마재가 분사되도록 연마재 공급호퍼와 연결되는 연마재 분사관과,
    상기 분사노즐과 연결되어 분사된 연마재를 회수하는 회수관과,
    상기 회수관과 연결되는 연마재 선별분리회수장치와,
    상기 연마재 선별분리회수장치와 연결된 집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마재 선별분리회수장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케이스 본체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회수관으로부터 연마재와 불순물이 유입되는 유입통로와,
    상기 케이스 본체를 구성하는 좌우측 벽체로부터 내측으로 하방으로 경사를 갖고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마재 낙하판들로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상기 좌우측 벽체로부터 순차적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중첩되어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마재 낙하판들과,
    상기 연마재 낙하판들이 연장되는 벽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에 유입된 불순물이 배출되는 불순물 흡입부와,
    상기 불순물 흡입부와 연통되어 상기 불순물 흡입부로부터 배출되는 불순물을 포집하여 상기 집진기로 배출하는 포집부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단에 형성되어 불순물이 분리된 연마재가 상기 연마재 공급호퍼로 배출되는 배출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연마재 분사관, 상기 공기분사관 및 상기 회수관이 연결되는 분사노즐이 내부에 장입되어 수납되고, 하부에는 고무재질의 밀착부재가 구성되며 상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수납체를 더 포함하는 샌드블라스트 장치.
  3. 연마재 및 압축 공기의 혼합물을 고압 분사하는 분사 노즐과,
    고압의 공기를 발생하는 공기 압축기와,
    상기 공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압의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엑츄레이터 밸브체와,
    상기 엑츄레이터 밸브체와 연결되어 상기 분사노즐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연마재가 분사되도록 하는 공기분사관과,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연마재가 분사되도록 연마재 공급호퍼와 연결되는 연마재 분사관과,
    상기 분사노즐과 연결되어 분사된 연마재를 회수하는 회수관과,
    상기 회수관과 연결되는 연마재 선별분리회수장치와,
    상기 연마재 선별분리회수장치와 연결된 집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마재 선별분리회수장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케이스 본체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회수관으로부터 연마재와 불순물이 유입되는 유입통로와,
    상기 케이스 본체를 구성하는 좌우측 벽체로부터 내측으로 하방으로 경사를 갖고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마재 낙하판들로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상기 좌우측 벽체로부터 순차적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중첩되어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마재 낙하판들과,
    상기 연마재 낙하판들이 연장되는 벽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에 유입된 불순물이 배출되는 불순물 흡입부와,
    상기 불순물 흡입부와 연통되어 상기 불순물 흡입부로부터 배출되는 불순물을 포집하여 상기 집진기로 배출하는 포집부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단에 형성되어 불순물이 분리된 연마재가 상기 연마재 공급호퍼로 배출되는 배출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연마재 선별분리회수장치가 샌드블라스트 장치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마재 선별분리회수장치는 상기 집진기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상단에 구성되고 하단에는 내부에 연마재 만이 통과되는 메쉬로 형성된 망체가 내삽된 서랍식 연마재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블라스트 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080029662A 2008-03-31 2008-03-31 샌드블라스트 장치 KR100938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662A KR100938834B1 (ko) 2008-03-31 2008-03-31 샌드블라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662A KR100938834B1 (ko) 2008-03-31 2008-03-31 샌드블라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303A KR20090104303A (ko) 2009-10-06
KR100938834B1 true KR100938834B1 (ko) 2010-01-26

Family

ID=4153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662A KR100938834B1 (ko) 2008-03-31 2008-03-31 샌드블라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8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775B1 (ko) * 2013-02-15 2014-10-3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연마시스템
CN112171521A (zh) * 2020-09-23 2021-01-05 冯金喜 喷砂循环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517U (ko) * 1999-04-14 2000-11-15 백선희 진공 샌드 블라스팅 장치
KR200311691Y1 (ko) * 2003-01-27 2003-04-26 권주봉 쇼트 블라스터
KR200408781Y1 (ko) * 2005-12-02 2006-02-16 청송기계주식회사 숏트볼의 분진분리장치
JP2007245309A (ja) 2006-03-17 2007-09-27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ブラスト媒体の回収装置及びその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517U (ko) * 1999-04-14 2000-11-15 백선희 진공 샌드 블라스팅 장치
KR200311691Y1 (ko) * 2003-01-27 2003-04-26 권주봉 쇼트 블라스터
KR200408781Y1 (ko) * 2005-12-02 2006-02-16 청송기계주식회사 숏트볼의 분진분리장치
JP2007245309A (ja) 2006-03-17 2007-09-27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ブラスト媒体の回収装置及びそ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303A (ko) 2009-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2060B1 (ko) 샌드 블라스터 시스템
CN101439498B (zh) 喷砂机
KR100789054B1 (ko) 친환경 블라스트 장치
JP2011136277A (ja) 湿式集塵機
KR100938834B1 (ko) 샌드블라스트 장치
CN103464274B (zh) 矿石筛选系统及工艺
CN204913644U (zh) 抛丸机用湿式除尘器
CN208526160U (zh) 一种高效除尘装置
CN204565927U (zh) 一种喷砂机的除尘装置
CN211676947U (zh) 一种生产预拌混凝土的除尘装置
KR101344133B1 (ko) 탄산칼슘 자동공급장치
EP2990160A1 (en) Blast treatment device and blast treatment method
CN104674587A (zh) 一种喷砂机用除尘系统
KR101052954B1 (ko) 페인트 조각 수집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45295A (ko) 하강 플로우 타입 여과 집진기
CN206867915U (zh) 环保型除尘设备及陶瓷生产系统
CN207736133U (zh) 一种抛丸机的丸料分离系统及抛丸机
KR101367470B1 (ko) 집진기용 분진 탈리장치
KR100425746B1 (ko) 워터젯에 사용된 연마재의 회수와 재생하는 시스템
KR200408781Y1 (ko) 숏트볼의 분진분리장치
JP2011156512A (ja) 濾材の洗浄システム及び濾材の洗浄方法
CN201506951U (zh) 牵引式公路抛丸机的除尘器
CN219253287U (zh) 振动过滤装置
CN108068019A (zh) 一种抛丸机的丸料分离系统及抛丸机
JP4775536B2 (ja) ブラスト加工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