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5820B1 - 한쌍의 힌지 버튼이 서로 결합된 스위치 버튼 - Google Patents

한쌍의 힌지 버튼이 서로 결합된 스위치 버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820B1
KR100535820B1 KR10-2003-0081589A KR20030081589A KR100535820B1 KR 100535820 B1 KR100535820 B1 KR 100535820B1 KR 20030081589 A KR20030081589 A KR 20030081589A KR 100535820 B1 KR100535820 B1 KR 100535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witch
hinge
bridge portio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7794A (ko
Inventor
임형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1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820B1/ko
Publication of KR20050047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8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Landscapes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차량용 오디오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온, 오프시키는 스위치 버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각 버튼형태인 상, 하부 바디와; 상기 상, 하부 바디의 상하 양측 끝부분에 형성된 누름편과; 상기 상, 하부 바디의 사이를 연결하는 브리지부를; 포함하여, 힌지 버튼과 같은 감성 품질이 유지되면서 시소 버튼과 같은 대조적 기능(function)용 스위치 버튼으로 사용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한쌍의 힌지 버튼이 서로 결합된 스위치 버튼{Switch button in which a pair of hinge type buttons are combined}
본 발명은 비디오, TV 및 오디오(audio) 등, 특히 차량용 오디오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온, 오프시키는 스위치 버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한 쌍의 힌지 버튼이 서로 결합된 스위치 버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튼 스위치는 비디오, TV 및 오디오 등 전자기기에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패널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버튼이 작동되고, 상기 버튼에 의해 내부 설치된 택트스위치 등이 작동되고, 상기 택트스위치에 의하여 내부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회로가 온, 오프되어, 소정의 작동을 시키는 전자부품이다.
상기 버튼 스위치에는 상하로 작동되는 통상적인 버튼 스위치 이외에 힌지 버튼 스위치와 시소 버튼 스위치가 있다.
도1a 내지 도1c에 도시되듯이, 힌지 버튼 스위치용 버튼(11)은 한쪽 끝부분에 설치된 힌지부(13)를 통해 패널(50)에 장착되고, 상기 버튼(11)은 상기 힌지부(13)를 중심으로 선회되며 다른쪽 끝부분에 설치된 누름편(30)에 의하여 택트 스위치(도시 안됨)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힌지 버튼 스위치용 버튼(11)은 일반적으로 스위치 조작의 감성품질이 뛰어나지만, 대조적 기능(function)에 사용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힌지 버튼이 2개로 사용된다고 하더라도 힌지가 2곳에 형성되어야 하여, 설계, 제작시 공간적 제약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1d 및 도1e에 도시되듯이, 시소 버튼 스위치용 버튼(12)은 중간 부분에 설치된 힌지부(13)를 통해 패널(50)에 장착되고, 상기 버튼(11)은 상기 힌지부(13)를 중심으로 선회되며 양쪽 끝부분에 설치된 누름편(30)에 의하여 택트 스위치(도시 안됨)을 작동시켜, "SEEK UP/DOWN" 또는 "TUNE UP/DOWN"이라는 대조적 기능에 사용하기 적합하였다. 그러나, 버튼이 조작시 유동 및 소음이 발생되기 쉬운 구조이며 복원력이 미흡하며, 스위치 조작 감성품질이 힌지 버튼에 비하여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감성품질이 향상하기 위해 시소 버튼 스위치용 버튼(12)의 구조를 변경하면 구조가 복잡하고 불량률이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힌지 버튼과 같은 감성 품질이 유지되면서 시소 버튼과 같은 대조적 기능(function)용 스위치 버튼으로 사용되는 스위치 버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며 조립이 용이하며 설치 공간이 적게 소요되는 스위치 버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도록, 본 발명은 각각 버튼형태인 상, 하부 바디와; 상기 상, 하부 바디의 상하 양측 끝부분에 형성된 누름편과; 상기 상, 하부 바디의 사이를 연결하는 브리지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리지부는 'U'자 형태로 상기 바디의 좌우측에 설치되며, 상기 브리지부가 결합홈으로 사용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 및 도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한쌍의 힌지 버튼이 서로 결합된 스위치 버튼(1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버튼(10)은 크게 한 쌍의 바디(20), 누름편(30) 및 브리지부(40)로 이루어져, 힌지 버튼과 같은 감성 품질이 유지되면서 시소 버튼과 같은 대조적 기능(function)용 스위치 버튼으로 사용되는데 적합하다.
상기 바디(20)는 버튼 형태로 형성되며, 상 하로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누름편(30)은 상하 바디(20)의 양쪽 끝부분에 형성되며 내부로 길게 형성되어, 택트스위치 등(도시안됨)을 작동시킨다.
상기 브리지부(40)는 상하 바디(20) 사이를 서로 연결시키며, 후술하는 패널(50)에 장착, 고정되며 힌지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브리지부(40)는 상기 패널(50)과 버튼 하우징(도시 안됨)에 협착되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하 바디(20)중 어느 하나의 바디(20)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상기 바디(20)는 브리지부(40)의 변형을 통해 선회되며, 조작된 후에 상기 브리지부(40)는 캔틸레버식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리지부(40)는 바디(20)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며 도2에 도시되듯이 'U'자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홈(41, 도3)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41)에 의하여 후술하는 패널의 결합편(51)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힌지는 한 곳에 형성되며 스위치 버튼(10)을 견고히 고정하여 유동을 방지한다.
도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 버튼(10)이 조립되는 패널(50)의 일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패널(50)은 비디오, TV 및 오디오(AUDIO) 등, 특히 차량용 오디오의 프런트 패널과 같은 케이스이다. 상기 패널(50)에는 결합편(51)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의 결합홈(41)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편(51)은 바 형태의 패널(50) 일부분에 홈이 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41)은 상기 결합편(51)의 홈에 끼워져, 상기 겹합편(51)에 결합되어, 상기 스위치 버튼(10)의 유동을 방지한다.
도5 및 도6에 도시되듯이, 상기 스위치 버튼(10)은 패널(50)에 끼워져 조립된다. 구체적으로 도5에 도시되듯이 상기 버튼의 결합홈(41)이 패널(50) 내부 쪽에서 패널의 결합편(51)에 끼워지고, 상기 브리지부(40)가 눌러져 견고히 고정되어, 버튼(10)의 유동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튼의 브리지부(40)는 또다시 내부 버튼 하우징(도시 안됨)에 눌러지고, 결국 상기 버튼의 브리지부(40)는 외부 패널(50)과 내부 버튼 하우징 사이에 협착되어 더욱 견고히 고정된다. 도6에는 패널(50)에 조립된 스위치 버튼(10)의 외부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버튼(10)의 상하 바디(20) 각각은 대조적 기능에 할당될 수 있으며, 공간적으로 컴팩트한 구성이 된다.
미설명된 도면 부호 21은 테두리이며, 상기 버튼(10)이 복원시 상기 패널(5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일종의 스톱퍼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일반 힌지 버튼과 대등한 감성 품질이 유지되면서 시소 버튼의 시각적 및 동작적 장점인 대조적 기능에 사용되는데 적합한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굳이 대조적 기능에 사용되지 않더라도 공간적 제약이 있는 모델 설계에 적합하며 구조가 단순하며 조립이 용이하며 설치 공간이 적게 소요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1a는 종래 힌지 버튼의 사시도이다.
도1b는 도1a의 힌지 버튼을 다른 각도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c는 종래 힌지 버튼이 장착된 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d는 종래 시소(seesaw) 버튼의 사시도이다.
도1e는 도1d의 시소 버튼을 다른 각도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하여 한쌍의 힌지 버튼이 서로 결합된 스위치 버튼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 버튼를 다른 각도에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 버튼이 조립되는 패널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 버튼과 패널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 버튼과 패널의 조립상태 일부분을 다른 각도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략한 설명*
10...버튼, 11...힌지 버튼, 12...시소 버튼, 13...힌지부,
20...바디, 21...테두리,
30...누름편,
40...브리지부, 41...결합홈,
50...패널, 51...결합편, 52...사각홀.

Claims (2)

  1. 각각 버튼형태인 상, 하부 바디와;
    상기 상, 하부 바디의 상하 양측 끝부분에 형성된 누름편과;
    상기 상, 하부 바디의 사이를 연결하며, 패널에 장착되는 브리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버튼 조작시 상기 바디가 선회되면서 상기 브리지부는 변형되며, 버튼 조작 후에 상기 브리지부는 캔틸레버식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힌지 버튼이 서로 결합된 스위치 버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부는 'U'자 형태로 상기 바디의 좌우측에 설치되며, 상기 브리지부가 결합홈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힌지 버튼이 서로 결합된 스위치 버튼.
KR10-2003-0081589A 2003-11-18 2003-11-18 한쌍의 힌지 버튼이 서로 결합된 스위치 버튼 KR100535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589A KR100535820B1 (ko) 2003-11-18 2003-11-18 한쌍의 힌지 버튼이 서로 결합된 스위치 버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589A KR100535820B1 (ko) 2003-11-18 2003-11-18 한쌍의 힌지 버튼이 서로 결합된 스위치 버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794A KR20050047794A (ko) 2005-05-23
KR100535820B1 true KR100535820B1 (ko) 2005-12-09

Family

ID=37246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589A KR100535820B1 (ko) 2003-11-18 2003-11-18 한쌍의 힌지 버튼이 서로 결합된 스위치 버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8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794A (ko) 2005-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5212B2 (ja) 携帯電話機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21070B1 (ko) 푸시 버튼 스위치
US7109428B2 (en) Rocking operation type electric component
JP4318354B2 (ja) レバースイッチ
KR100535820B1 (ko) 한쌍의 힌지 버튼이 서로 결합된 스위치 버튼
JP3439163B2 (ja) 携帯型電子機器
KR101582738B1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JPH1153972A (ja) 電子機器の操作キー支持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9146670A (ja) 携帯機
KR100535821B1 (ko) 토션바를 가지는 시소형 스위치 버튼
CN217386947U (zh) 一种三节跷跷板形式仪表结构
CN220526784U (zh) 一种按键面板机构
JP2583292Y2 (ja) スイッチ
JP3817310B2 (ja) ハンズフリーボタン装置
KR100535822B1 (ko) 테이퍼진 결합편을 가지는 스위치 버튼 조립 구조
JPH05304554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のスイッチ装置
KR200286253Y1 (ko) 자동차용 오디오 스위치
JPH0659762A (ja) 操作装置
JPS61173428A (ja) スイツチ装置
JP2569154Y2 (ja) ラバースイッチ
KR100549927B1 (ko) 개방형 키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5235602A (ja) 防災機器
KR200255261Y1 (ko)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
JPH11283142A (ja) 防災監視制御盤
JP2007073263A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