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5609B1 - 레이아웃 향상을 위한 차량용 구동벨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레이아웃 향상을 위한 차량용 구동벨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609B1
KR100535609B1 KR10-2003-0063067A KR20030063067A KR100535609B1 KR 100535609 B1 KR100535609 B1 KR 100535609B1 KR 20030063067 A KR20030063067 A KR 20030063067A KR 100535609 B1 KR100535609 B1 KR 100535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drive belt
alternator
engine
wate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6114A (ko
Inventor
안덕병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3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609B1/ko
Publication of KR20050026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6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0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1236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fluid and restriction type, e.g. dashp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76Control or adjustment of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아웃 향상을 위한 차량용 구동벨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알터네이터 풀리를 흡기매니폴드에 근접하게 엔진의 전면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워터펌프 풀리를 라디에이터에 근접하도록 엔진의 전방측에 설치하며, 오토텐셔너를 구동벨트의 이완측에 형성하고, 파워스티어링 오일펌프 풀리와 알터네이터 풀리의 사이에 1개의 아이들러 풀리를 형성하므로서, 워터펌프가 라디에이터에 근접함에 따라 워터펌프의 입출력 파이프의 구조가 단순화되고, 연결길이가 단축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알터네이터가 흡기매니폴드에 근접함에 따라 알터네이터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오토텐셔너의 수명을 연장하고, 보기류의 위치 최적화를 통해 아이들러 풀리의 갯수를 최소화하면서 구동벨트의 전체적인 길이 감축 및 SPAN을 최적화하여 구동벨트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보기류 장착을 위해 별도의 브라켓을 이용하지 않고 엔진블럭에 직접 장착하게 되므로 구동벨트의 장착력 향상을 통해 NVH를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 레이아웃 향상을 위한 차량용 구동벨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레이아웃 향상을 위한 차량용 구동벨트 시스템{Drive belt system}
본 발명은 레이아웃 향상을 위한 차량용 구동벨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워터펌프가 라디에이터에 근접함에 따라 워터펌프의 입출력 파이프의 구조가 단순화되고, 연결길이가 단축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알터네이터가 흡기매니폴드에 근접함에 따라 알터네이터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오토텐셔너의 수명을 연장하고, 보기류의 위치 최적화를 통해 아이들러 풀리의 갯수를 최소화하면서 구동벨트의 전체적인 길이 감축 및 SPAN을 최적화하여 구동벨트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보기류 장착을 위해 별도의 브라켓을 이용하지 않고 엔진블럭에 직접 장착하게되므로 구동벨트의 장착력 향상을 통해 NVH를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 레이아웃 향상을 위한 차량용 구동벨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엔진의 작동시 회전하는 크랭크샤프트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차량의 운행에 필요한 각종 보기류장치를 가동시키는 구동벨트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데, 근래에는 구동벨트의 사용안정성 향상 및 정비효율의 향상을 위해 1개의 구동벨트로서 각종 보기류를 연결하는 구동벨트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다.
도 2 는 종래의 구동벨트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서,
크랭크사프트 풀리(C)와 에어컴프레셔 풀리(A), 파워스티어링 오일펌프 풀리(P), 워터펌프 풀리(W), 발전기 풀리(G) 및 슈퍼차져 풀리(S)가 하나의 구동벨트(30)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벨트(3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슈퍼차져를 작동시키는 슈퍼차져 풀리(S) 또한 상기 구동벨트(30)에 함께 연결된다.
또한, 상기 구동벨트(30)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장력조절수단이 구동벨트(30)에 연결되는데, 이 장력조절수단은 슈퍼차져 풀리(S)와 파워스티어링 오일펌프 풀리(P) 사이에 설치된 1차 아이들 풀리(40), 발전기 풀리(G)와 워터펌프 풀리(W) 사이에 설치된 2차 아이들 풀리(42), 상기 워터펌프 풀리(W)와 크랭크샤프트 풀리(C) 사이에 설치된 3차 아이들 풀리(44), 그리고 상기 구동벨트(30)의 장력변화에 따라 상기 각 아이들 풀리(40)(42)(44)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위치보정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차량용 구동벨트 시스템에 의하면 각 풀리에 연결되는 구동벨트(30)가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그 길이가 늘어나는 등 장력에 변화가 생길 경우에도 상기 장력조절수단의 작용으로 구동벨트(30)의 수명이 연장되고, 하나의 구동벨트(30) 만이 사용됨으로써 엔진에서 구동벨트(30)를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엔진 전체의 구조가 간결해진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구동벨트 시스템은 워터펌프 풀리가 라디에이터와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는 엔진의 중앙부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워터펌프의 입출력 파이프의 배치가 복잡하고, 그 형성길이가 길어져 엔진룸 레이아웃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고, 알터네이터가 엔진의 배기매니폴드에 근접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매니폴드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에 의해 알터네이터가 열화될 뿐만 아니라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알터네이터에 별도의 커버를 씌워야만 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해지고 차량의 중량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3개의 아이들러 풀리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인 가격이 상승하게 되고, 별도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각종 보기류를 결합하는 것이기 때문에 브라켓 공차에 의해 벨트의 연결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구동중 소음이 발생함은 물론 구동벨트의 수명을 단축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알터네이터 풀리를 흡기매니폴드에 근접하게 엔진의 전면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워터펌프 풀리를 라디에이터에 근접하도록 엔진의 전방측에 설치하며, 오토텐셔너를 구동벨트의 이완측에 형성하고, 파워스티어링 오일펌프 풀리와 알터네이터 풀리의 사이에 1개의 아이들러 풀리를 형성하므로서, 워터펌프가 라디에이터에 근접함에 따라 워터펌프의 입출력 파이프의 구조가 단순화되고, 연결길이가 단축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알터네이터가 흡기매니폴드에 근접함에 따라 알터네이터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오토텐셔너의 수명을 연장하고, 보기류의 위치 최적화를 통해 아이들러 풀리의 갯수를 최소화하면서 구동벨트의 전체적인 길이 감축 및 SPAN을 최적화하여 구동벨트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보기류 장착을 위해 별도의 브라켓을 이용하지 않고 엔진블럭에 직접 장착하게 되므로 구동벨트의 장착력 향상을 통해 NVH를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 레이아웃 향상을 위한 차량용 구동벨트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크랭크샤프트 풀리, 에어컨 콤프레서 풀리, 워터펌프 풀리, 알터네이터 풀리 및 파워스티어링 오일펌프 풀리가 엔진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각 풀리를 구동벨트로 연결하는 차량용 구동벨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알터네이터 풀리를 엔진의 전면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흡기매니폴드에 근접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알터네이터 풀리와 에어컨 콤프레서 풀리의 사이에 차량 전방측의 라디에이터에 근접하도록 워터펌프 풀리를 형성하며, 상기 파워스티어링 오일펌프 풀리와 알터네이터 풀리의 사이에 1개의 아이들러 풀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벨트의 이완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파워스티어링 오일펌프 풀리와 크랭크샤프트 풀리의 사이에 오토 텐셔너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 은 엔진을 나타내며, 이 엔진(1)의 일측(차량 전면방향) 상단에 흡기매니폴드(2)가 형성되고 타측(차량 후면방향)에 배기매니폴드(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엔진(1)의 중앙 하단에 미도시한 크랭크샤프트에 의해 회전하는 크랭크샤프트 풀리(4)가 형성되고, 상기 엔진(1)의 전면 하단에는 에어컨 콤프레서 풀리(5)가 형성되며, 엔진의 후면 상단에는 파워스티어링 오일펌프 풀리(9)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엔진(1)의 전면 상단에 알터네이터 풀리(7)를 형성하는데, 이와같이 알터네이터 풀리(7)를 엔진(1)의 전면 상단에 설치하면 알터네이터가 흡기매니폴드(2)에 근접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배기매니폴드에서 발생되는 고온에 의해 알터네이터가 열화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 알터네이터 풀리(7)와 에어컨 콤프레서 풀리(5)의 사이에 워터펌프 풀리(6)를 형성하는데, 이 워터펌프 풀리(6)를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엔진(1)의 전방측에 설치하여 워터펌프 풀리(6)가 라디에이터에 근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워터펌프 풀리(6)가 라디에이터에 근접하게되면, 워터펌프의 입출력 파이프의 전체적인 길이를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입출력 파이프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게 되어 냉각수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파워 스티어링 오일펌프 풀리(9)와 알터네이터풀리(7)의 사이에 1개의 아이들러 풀리(8)만을 설치하므로서, 전체적인 아이들러 풀리의 사용갯수를 감소시켜 전체적인 중량 감소 및 비용저감의 부가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동벨트(11)의 이완측, 즉, 파워 스티어링 오일펌프 풀리(9)와 크랭크샤프트 풀리(4)의 사이에 오토텐셔너(10)를 설치하므로서, 오토텐셔너(10)의 수명을 현저히 연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엔진(1)에 배치된 각종 풀리와 오토텐셔너(10)를 구동벨트(11)로서 상호 연결하므로서, 전체적인 구동벨트(11)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브라켓을 이용하지 않고 상기 보기류들을 엔진(1) 블럭에 직접 결합하므로서, 구동벨트(11)의 미스 얼라인먼트(Misalignment)를 감소시켜 엔진의 소음, 진동성(NVH)이 개선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알터네이터 풀리를 흡기매니폴드에 근접하게 엔진의 전면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워터펌프 풀리를 라디에이터에 근접하도록 엔진의 전방측에 설치하며, 오토텐셔너를 구동벨트의 이완측에 형성하고, 파워스티어링 오일펌프 풀리와 알터네이터 풀리의 사이에 1개의 아이들러 풀리를 형성하므로서, 워터펌프가 라디에이터에 근접함에 따라 워터펌프의 입출력 파이프의 구조가 단순화되고, 연결길이가 단축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알터네이터가 흡기매니폴드에 근접함에 따라 알터네이터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오토텐셔너의 수명을 연장하고, 보기류의 위치 최적화를 통해 아이들러 풀리의 갯수를 최소화하면서 구동벨트의 전체적인 길이 감축 및 SPAN을 최적화하여 구동벨트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보기류 장착을 위해 별도의 브라켓을 이용하지 않고 엔진블럭에 직접 장착하게 되므로 구동벨트의 장착력 향상을 통해 NVH를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 레이아웃 향상을 위한 차량용 구동벨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레이아웃 향상을 위한 차량용 구동벨트 시스템을 보인 도면.
도 2 는 종래의 차량용 구동벨트 시스템을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2 : 흡기매니폴드
3 : 배기매니폴드 4 : 크랭크샤프트 풀리
5 : 에어컨 콤프레셔 풀리 6 : 워터펌프 풀리
7 : 알터네이터 풀리 8 : 아이들러 풀리
9 : 파워 스티어링 오일펌프 풀리 10 : 오토텐셔너
11 : 구동벨트

Claims (2)

  1. 크랭크샤프트 풀리(4), 에어컨 콤프레서 풀리(5), 워터펌프 풀리(6), 알터네이터 풀리(7) 및 파워스티어링 오일펌프 풀리(9)가 엔진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각 풀리를 구동벨트(11)로 연결하는 차량용 구동벨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알터네이터 풀리(7)를 엔진(1)의 전면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흡기매니폴드(2)에 근접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알터네이터 풀리(7)와 에어컨 콤프레서 풀리(5)의 사이에 차량 전방측의 라디에이터에 근접하도록 워터펌프 풀리(6)를 형성하며, 상기 파워스티어링 오일펌프 풀리(9)와 알터네이터 풀리(7)의 사이에 1개의 아이들러 풀리(8)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아웃 향상을 위한 차량용 구동벨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벨트(11)의 이완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파워스티어링 오일펌프 풀리(9)와 크랭크샤프트 풀리(4)의 사이에 오토 텐셔너(1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아웃 향상을 위한 차량용 구동벨트 시스템.
KR10-2003-0063067A 2003-09-09 2003-09-09 레이아웃 향상을 위한 차량용 구동벨트 시스템 KR100535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067A KR100535609B1 (ko) 2003-09-09 2003-09-09 레이아웃 향상을 위한 차량용 구동벨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067A KR100535609B1 (ko) 2003-09-09 2003-09-09 레이아웃 향상을 위한 차량용 구동벨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114A KR20050026114A (ko) 2005-03-15
KR100535609B1 true KR100535609B1 (ko) 2005-12-08

Family

ID=37384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067A KR100535609B1 (ko) 2003-09-09 2003-09-09 레이아웃 향상을 위한 차량용 구동벨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6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289B1 (ko) 2016-07-26 2017-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토텐셔너 및 오토텐셔너 일체형 엔진 보기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114A (ko) 2005-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4239B1 (en) Integrated front end accessory drive system
US9850990B2 (en) Belt tension adjusting device for engine
US7124733B2 (en) Mounting structure of motor genera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90045467A (ko) 트리플 풀리 벨트 오토 텐셔너 및 이를 적용한 엔진
US5392751A (en) V-type engine with supercharger mounting
KR102383227B1 (ko) 차량용 벨트 연결 구조
KR100535609B1 (ko) 레이아웃 향상을 위한 차량용 구동벨트 시스템
JP3856070B2 (ja) 内燃機関のオイル通路構造
JP2005282695A (ja) 無段変速機の取付構造
US20060288969A1 (en) Engine accessory drive using the outside of a two-sided belt to operate a shrouded cooling fan
KR20190027595A (ko)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
JP3287961B2 (ja) エンジンの冷却構造
JP2001193473A (ja) エンジンの補機取付構造
US6179582B1 (en) Oil pump attachment structure for engine
KR20040024186A (ko) 엔진의 피동계
JP4239755B2 (ja) モータジェネレータの取り付け構造
JP2001199248A (ja) エンジンのマウント取付構造
KR100788915B1 (ko) 슈퍼차저의 동력전달 설치구조
JP3092409B2 (ja) 補機駆動装置
JP3896601B2 (ja) エンジンの補機配置構造
KR100312549B1 (ko) 에어컨컴프레서구동구조
JP2002332866A (ja) 補機の取付け構造
JPH0736095Y2 (ja) エンジンのスーパーチャージャー
SU1321863A1 (ru) Привод вентил тора системы охлаждени двигател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KR20210119167A (ko) 엔진의 브래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