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5483B1 - 엔진오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오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483B1
KR100535483B1 KR10-1999-0001353A KR19990001353A KR100535483B1 KR 100535483 B1 KR100535483 B1 KR 100535483B1 KR 19990001353 A KR19990001353 A KR 19990001353A KR 100535483 B1 KR100535483 B1 KR 100535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oil
input
relay switch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1098A (ko
Inventor
김영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01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483B1/ko
Publication of KR20000051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1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2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2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 F01M2001/0207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ump
    • F01M2001/0238Rotary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59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specially adapted to the type of the starter motor or integrated into 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7Details of the switching means in starting circuits, e.g. relays or electronic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오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오일펌프는 엔진이 동작함과 동시에 엔진으로 오일을 공급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차량을 3∼4일 정도 방치 한 후 엔진을 구동시키게 되면 엔진의 각 마찰부품에 공급되어 있던 오일이 흘러내려 유막이 파괴된 상태에서 엔진이 구동하게 되므로 엔진의 마찰부품이 쉽게 마모되고, 이러한 이유로 엔진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타트 모터의 회전축 끝단에 오일펌프를 결합하고, 초기 시동시 엔진이 점화되기 전에 상기 오일펌프 만이 동작하여 엔진의 각 부품에 오일이 충분히 공급되도록 한 후 엔진이 점화되도록 하므로서, 엔진을 일정기간 동안 구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엔진으로 구동시키더라도 엔진의 마찰부품이 마모되지 않도록 하여 엔진의 수명연장 및 엔진의 성능에 대한 신뢰도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엔진오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엔진오일 공급장치{Engine oil supplier}
본 발명은 엔진오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타트 모터의 회전축 끝단에 오일펌프를 결합하고, 초기 시동시 엔진이 점화되기 전에 상기 오일펌프 만이 동작하여 엔진의 각 부품에 오일이 충분히 공급되도록 한 후 엔진이 점화되도록 하므로서, 엔진을 일정기간 동안 구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엔진으로 구동시키더라도 엔진의 마찰부품이 마모되지 않도록 하여 엔진의 수명연장 및 엔진의 성능에 대한 신뢰도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엔진오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은 고속으로 구동하게 되므로 엔진의 각 마찰부품의 마모방지 및 과열방지를 위해 엔진오일이 공급되고 있다.
엔진오일의 공급은 엔진상에 설치되는 오일펌프에 의해 구현되는데, 종래의 오일펌프는 엔진이 동작함과 동시에 연동되어 엔진의 각부로 오일을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오일펌프는 엔진이 동작함과 동시에 엔진으로 오일을 공급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차량을 3∼4일 정도 방치 한 후 엔진을 구동시키게 되면 엔진의 각 마찰부품에 공급되어 있던 오일이 흘러내려 유막이 파괴된 상태에서 엔진이 구동하게 되므로 엔진의 마찰부품이 쉽게 마모되고, 이러한 이유로 엔진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차량을 약 3∼4일 또는 그 이상의 기간 동안 사용하지 않게 되면, 엔진을 구성하는 마찰부품에 공급되어 있던 오일들이 흘러버려 마찰부품 간에는 유막이 파괴된 상태가 되고, 이와같은 상태에서 엔진을 구동시키게 되면, 엔진이 구동됨과 동시에 오일펌프가 동작하여 엔진의 각 부품으로 오일을 공급한다고는 하나 오일펌프가 동작하여 오일이 공급되는 시점까지는 마찰부품에 오일유막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로 구동하게 되므로 마찰부품이 쉽게 마모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타트 모터의 회전축 끝단에 오일펌프를 결합하고, 초기 시동시 엔진이 점화되기 전에 상기 오일펌프 만이 동작하여 엔진의 각 부품에 오일이 충분히 공급되도록 한 후 엔진이 점화되도록 하므로서, 엔진을 일정기간 동안 구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엔진으로 구동시키더라도 엔진의 마찰부품이 마모되지 않도록 하여 엔진의 수명연장 및 엔진의 성능에 대한 신뢰도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엔진오일 공급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회전자(4)와 감속기(3)로 구성된 스타트모터(2)와, 2개의 입력단자(M)(ST)로 전원이 입력될때 스타트모터(2)를 구동시키는 마그네틱스위치(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초기 시동시 감속기의 피니언기어가 엔진의 링기어에 물리면서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된 차량에 있어서,
서로 맞물려 회전하여 오일을 펌핑하는 내측로터(12)와 외측로터(13)가 일측에는 유입구(14)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배출구(15)가 형성된 케이스(11)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내측로터(12)의 중심부로는 스타트모터(2) 회전자(4)의 회전축(5)이 결합되는 오일펌프(10)와;
스타트단자(ST)와 점화단자(IG)를 갖는 키이박스(7)와;
상기 키이박스(7)의 점화단자(IG)로 부터 입력되는 전원이 코일(L1)로 입력될때 온동작하여 밧데리 전압을 도통시키는 제 1 릴레이스위치(RL1)와;
오일 파이프 내의 오일압에 따라 점등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RL1)를 단속하는 오일램프(8);
상기 키이박스(7)의 스타트단자(ST)로 부터 입력되는 전원이 코일(L2)로 입력될때 온동작하여 제 1 릴레이 스위치(RL1)의 출력전원을 마그네트 스위치(1)의 입력단자(M)로 공급하여 회전자(4)가 회전하도록 하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L2)와;
상시 온상태로 존재하여 키이박스의 스타트단자(ST)로 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마그네트스위치(1)의 입력단자(ST)로 공급하며, 제 1 릴레이 스위치(RL1)의출력전압이 코일(L3)로 입력될때 오프 동작하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L3);로 구성하여,
초기 시동시, 엔진이 점화되기 전에 오일펌프가 동작하여 엔진의 각 부품으로 엔진오일이 충분히 공급되도록 한 후 점화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초기 시동시 엔진의 크랭크축을 인위적으로 구동시켜주는 스타트모터(2)에 오일펌프(10)를 결합하고, 엔진이 점화되기 전에 상기 오일펌프(10)가 먼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스위칭수단을 구성한 것이다.
상기 스타트모터(2)는 통상적으로 감속기(3)와 회전자(4)로 구성되는데, 상기 감속기(3)의 피니언기어는 엔진 구동시 엔진의 링기어와 연결되어 엔진의 크랭크축을 인위적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스타트모터(2)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마그네트 스위치(1)는 2개의 입력단자(M)(ST)와 항시 밧데리(6)와 연결된 상태로 존재하는 전원단자(B)로 구성되어 입력단자(M)로 전원이 입력되면 스타트모터(2)의 회전자(4)가 회전하고, 입력단자(ST)로 전원이 입력되면 감속기(3)의 피니언기어가 전진하여 엔진의 링기어에 맞물리면서 회전자(4)의 회전력이 엔진으로 전달되어 크랭크축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단자(ST)에 전원이 입력되면, 마그네트스위치(1)의 내부에 설치된 플런저가 동작하여 입력단자(M)와 전원단자(B)가 연결되도록 하므로서, 이후부터는 회전자(4)가 전원단자(B)로 입력되는 밧데리(6) 전압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상기 설명과 같이 구성되는 스타트모터(2)의 끝단에는 오일을 펌핑시키기 위한 오일펌프(10)가 결합되는데, 상기 오일펌프(10)는 도 1 과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측에는 오일탱크와 연통된 유입구(14)가 형성되고 타측은 엔진과 연통된 배출구(15)가 형성된 케이스(11)의 내부에 서로 맞물려 회전하여 오일을 펌핑하는 내측로터(12)와 외측로터(13)로 구성하되, 상기 내측로터(12)의 중앙에 회전자(4)의 회전축(5)이 결합되도록 하여 구성한다.
즉, 회전자(4)가 회전하면 이 회전자(4)의 회전축(5)과 연결되어 있는 내측로터(12)가 회전하므로 오일탱크의 오일이 펌핑되어 엔진으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스위칭수단은 도 4 와 같이 구성되는데,
스타트단자(ST)와 점화단자(IG)를 갖는 키이박스(7)와, 상기 키이박스(7)의 점화단자(IG)로 부터 입력되는 전원이 코일(L1)로 입력될때 온동작하여 밧데리(6) 전압을 도통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L1)와, 오일 파이프 내의 오일압에 따라 점등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RL1)를 단속하는 오일램프(8)와, 상기 키이박스(7)의 스타트단자(ST)로 부터 입력되는 전원이 코일(L2)로 입력될때 온동작하여 제 1 릴레이 스위치(RL1)의 출력전원을 마그네트 스위치(1)의 입력단자(M)로 공급하여 회전자(4)가 회전하도록 하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L2)와, 상시 온상태로 존재하여 키이박스의 스타트단자(ST)로 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마그네트스위치(1)의 입력단자(ST)로 공급하며, 제 1 릴레이 스위치(RL1)의출력전압이 코일(L3)로 입력될때 오프 동작하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L3)로 구성된다.
그리고, 미설명된 도면부호 D1은 제 2 릴레이 스위치(RL2)의 후단에 접속되어 마그네트스위치(1)로 부터의 전압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키이박스(7)에 키이를 꽂고 스타트위치로 회전시키면 키이박스(7)의 스타트단자(ST)와 점화단자(IG)가 도통되어 각 단자(ST)(IG)를 통해 전압이 출력되며, 시동초기 오일파이프 내의 오일압력이 기준치 보다 낮은 상태이므로 오일램프(8)는 점등된 상태가 된다.
상기 키이박스(7)의 점화단자(IG)로 출력된 전압에 의해 제 1 릴레이 스위치(RL1)가 온동작하여 밧데리(6) 전압을 도통시키며, 상기 스타트단자(ST)에서 출력된 전압에 의해 제 2 릴레이 스위치(RL2)는 온동작하여 제 1 릴레이 스위치(RL1)에서 출력된 전압을 다이오드(D1)를 통해 마그네트 스위치(1)의 입력단자(M)로 공급하고, 제 3 릴레이 스위치(RL3)는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RL2)에서 출력된 전압에 의해 오프 동작하여 마그네트 스위치(1)의 입력단자(ST)로 공급되는 밧데리(6) 전압을 차단한다.
이에따라, 스타트모터(2)의 회전자(4)는 마그네트스위치(M)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에 의해 회전하여 그 회전축(5)과 연결되어 있는 오일펌프(10)의 내측로터(12)를 구동시키므로서 오일탱크 내의 오일이 펌핑되어 엔진의 각 마찰부품으로 공급되는 것이며, 이때, 감속기(3)의 피니언기어는 마그네트 스위치(1)의 입력단자(ST)로 전압이 입력되지 않음에 따라 엔진의 링기어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므로 엔진의 크랭크축은 회전하지 않게되는 것이다.
즉, 엔진이 점화되기 전에 오일펌프(10)가 동작하여 엔진의 각 마찰부품으로 오일이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설명과 같이 오일펌프(10)의 펌핑동작에 의해 엔진의 각 마찰부품으로 오일이 공급되면 오일파이프 내의 오일압력이 일정값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므로 오일램프(8)는 자동으로 오프된다.
상기 오일램프(8)가 오프되면, 제 1 릴레이 스위치(RL1)의 코일(L1)이 단락되므로 제 1 릴레이 스위치(RL1)가 오프되어 더이상 전압을 출력하지 않게 되고, 제 1 릴레이 스위치(RL1)에서 더이상 전압이 출력되지 않게 됨에 따라 제 2 릴레이 스위치(RL2)가 오프되고, 제 3 릴레이 스위치(RL3)는 코일(L3)로 전압이 입력되지 않으므로서 온동작하여 키이박스(7)의 스타트단자(ST)로 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마그네트스위치(1)의 입력단자(ST)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1)의 입력단자(ST)로 입력되는 전압에 의해 감속기(3)의 피니언기어가 전진하여 엔진의 링기어와 맞물리게 되므로 회전자(4)의 회전력이 피니언기어를 통해 엔진으로 공급되므로서 엔진의 크랭크축이 일정속도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때를 갖이하여 점화장치가 동작하여 엔진의 점화플러그가 동작하므로서 엔진이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1)의 입력단자(ST)로 전압이 입력되면 마그네트 스위치(1)의 내부에 구성된 플런저가 동작하여 입력단자(M)와 전원단자(B)가 접속되므로 회전자(4)는 계속해서 회전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스타트 모터의 회전축 끝단에 오일펌프를 결합하고, 초기 시동시 엔진이 점화되기 전에 상기 오일펌프 만이 동작하여 엔진의 각 부품에 오일이 충분히 공급되도록 한 후 엔진이 점화되도록 하므로서, 엔진을 일정기간 동안 구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엔진으로 구동시키더라도 엔진의 마찰부품이 마모되지 않도록 하여 엔진의 수명연장 및 엔진의 성능에 대한 신뢰도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엔진오일 공급장치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오일펌프를 보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오일펌프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적용예를 보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오일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회로를 보인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그네트 스위치,2 : 스타트모터,
3 : 감속기,4 : 회전자,
5 : 회전축,6 : 밧데리,
7 : 키이박스,RL1∼RL3 : 릴레이 스위치,
8 : 오일램프,10 : 오일펌프,
11 : 케이스,12 : 내측로터,
13 : 외측로터,14 : 유입구,
15 : 배출구,

Claims (3)

  1. 회전자(4)와 감속기(3)로 구성된 스타트모터(2)와, 2개의 입력단자(M)(ST)로 전원이 입력될때 스타트모터(2)를 구동시키는 마그네틱스위치(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초기 시동시 감속기의 피니언기어가 엔진의 링기어에 물리면서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된 차량에 있어서,
    서로 맞물려 회전하여 오일을 펌핑하는 내측로터(12)와 외측로터(13)가 일측에는 유입구(14)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배출구(15)가 형성된 케이스(11)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내측로터(12)의 중심부로는 스타트모터(2) 회전자(4)의 회전축(5)이 결합되는 오일펌프(10)와;
    스타트단자(ST)와 점화단자(IG)를 갖는 키이박스(7)와;
    상기 키이박스(7)의 점화단자(IG)로 부터 입력되는 전원이 코일(L1)로 입력될때 온동작하여 밧데리 전압을 도통시키는 제 1 릴레이스위치(RL1)와;
    상기 키이박스(7)의 스타트단자(ST)로 부터 입력되는 전원이 코일(L2)로 입력될때 온동작하여 제 1 릴레이 스위치(RL1)의 출력전원을 마그네트 스위치(1)의 입력단자(M)로 공급하여 회전자(4)가 회전하도록 하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L2)와;
    상시 온상태로 존재하여 키이박스의 스타트단자(ST)로 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마그네트스위치(1)의 입력단자(ST)로 공급하며, 제 1 릴레이 스위치(RL1)의출력전압이 코일(L3)로 입력될때 오프 동작하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L3);로 구성하여,
    초기 시동시, 엔진이 점화되기 전에 오일펌프가 동작하여 엔진의 각 부품으로 엔진오일이 충분히 공급되도록 한 후 점화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RL1)의 후단에 오일 파이프 내의 오일압에 따라 온/오프 점등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RL1)를 단속하는 오일램프(8)를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릴레이 스위치(RL2)의 후단에는 마그네트 스위치(1)로부터의 전압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1)를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공급장치.
KR10-1999-0001353A 1999-01-19 1999-01-19 엔진오일 공급장치 KR100535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353A KR100535483B1 (ko) 1999-01-19 1999-01-19 엔진오일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353A KR100535483B1 (ko) 1999-01-19 1999-01-19 엔진오일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098A KR20000051098A (ko) 2000-08-16
KR100535483B1 true KR100535483B1 (ko) 2005-12-07

Family

ID=19571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353A KR100535483B1 (ko) 1999-01-19 1999-01-19 엔진오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4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727A (ko) * 2000-12-04 2002-06-12 이계안 오일펌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8424A (ja) * 1981-12-30 1983-07-14 Isuzu Motors Ltd 車載用油圧源の駆動装置
US5195476A (en) * 1991-07-30 1993-03-23 Schwarz Irving L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wear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40007933Y1 (ko) * 1992-08-20 1994-11-10 이익현 쇠톱틀의 톱날고정 장치
KR20000004063U (ko) * 1998-07-31 2000-02-25 홍종만 자동차 엔진의 윤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8424A (ja) * 1981-12-30 1983-07-14 Isuzu Motors Ltd 車載用油圧源の駆動装置
US5195476A (en) * 1991-07-30 1993-03-23 Schwarz Irving L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wear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40007933Y1 (ko) * 1992-08-20 1994-11-10 이익현 쇠톱틀의 톱날고정 장치
KR20000004063U (ko) * 1998-07-31 2000-02-25 홍종만 자동차 엔진의 윤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098A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4074A (ko) 자동차 변속기의 오일 펌프용 구동 장치
KR100535483B1 (ko) 엔진오일 공급장치
JP2002310272A (ja) 車両の自動変速機における油圧供給装置
KR200162085Y1 (ko) 자동차 엔진 시동장치용 기동모터의 자동전원 차단장치
JP2650426B2 (ja) スタータの制御装置
JPH0828487A (ja) 水中ポンプ
KR0148541B1 (ko) 자동차의 시동제한장치
KR100217246B1 (ko) 차량용 진공펌프
JPS6123656Y2 (ko)
JPH0828488A (ja) 水中ポンプ
KR200144383Y1 (ko) 엔진 시동후 스타팅 모터 기동방지 장치
KR100264169B1 (ko) 시동시 연료 펌프의 작동압 형성장치
KR20050007046A (ko) 자동차용 시동모터의 오버런 방지 시스템
KR970004458Y1 (ko) 자동차의 스타팅 모타 보호장치
KR19980021831U (ko) 자동차 시동장치어셈블리
KR910004811Y1 (ko) 차량용 기동모우터의 오동작 방지장치
KR20010002312U (ko) 이그니션 키 어셈블리의 재시동 방지 장치
KR20000055822A (ko) 스타터의 보호회로
KR19990001735A (ko) 차량의 재시동 방지회로
KR19990012039A (ko) 자동차의 시동 제한장치
KR20050038457A (ko) 차량용 시동장치
KR19990043217A (ko) 스타트 모터 기어 마모 방지회로
KR19990027233A (ko) 차량주행중 시동 정지시 자동시동 온 회로
KR20010103850A (ko)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
KR20020044006A (ko) 주행중 재시동 조작에 의한 시동기의 피니온 기어 파손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