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5425B1 - 로터리 조인트 - Google Patents

로터리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425B1
KR100535425B1 KR10-2003-7010148A KR20037010148A KR100535425B1 KR 100535425 B1 KR100535425 B1 KR 100535425B1 KR 20037010148 A KR20037010148 A KR 20037010148A KR 100535425 B1 KR100535425 B1 KR 100535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s
fixed
rotating
electrode
electric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0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1412A (ko
Inventor
츠츠미미키오
모모다히토시
Original Assignee
비엘 오토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엘 오토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비엘 오토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1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4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64Devices for uninterrupted current collection
    • H01R39/643Devices for uninterrupted current collection through ball or roller b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7/00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25Means for supplying energy to the end effector
    • B25J19/0029Means for supplying energy to the end effector arranged within the different robot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25Means for supplying energy to the end effector
    • B25J19/0029Means for supplying energy to the end effector arranged within the different robot elements
    • B25J19/0041Means for supplying energy to the end effector arranged within the different robot elements having rotary conn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08Slip-rings
    • H01R39/12Slip-rings using bearing or shaft surface as contact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고정체(1) 및 회전체(6) 사이에서 복수 개의 다른 전기신호를 주고받는 전기신호 슬립 링(31)을 구비하는 로터리 조인트(A)에 대하여, 그 전기신호 슬립 링(31)으로 전기신호를 안정되게 전달되도록 할 목적으로, 고정체(1)의 축심과 동심형으로 또 축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6 매의 링 플레이트형의 고정측 전극(36a 내지 36f) 중, 축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전극 쌍(36b 내지 36e) 사이에 고정측 절연 시트(37a, 37b)를 통해 적층 배치시켜 고정측 전극 적층체(38a, 38b)를 형성하는 한편, 회전체(6)의 축심과 동심형으로 또 축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6 매의 링 플레이트형의 회전측 전극(40a 내지 40f) 중, 축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전극 쌍(40a 내지 40f) 사이에 회전측 절연 시트(41a 내지 41c)를 통해 적층 배치시켜 회전측 전극 적층체(42a 내지 42c)를 형성하고, 이들 고정측 및 회전측 전극 적층체(38a, 38b, 42a 내지 42c)를, 축방향 단부의 고정측 전극(36a, 36f) 사이에 축방향으로 교대로 나열 배치시켜, 이 단부의 고정측 전극(36a, 36f)과 이에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회전측 전극 적층체(42a, 42c)의 전극과의 사이, 및 축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고정측 및 회전측 전극 적층체의 양 전극 사이에 전동에 의해 양 전극 사이에서 전기신호를 주고받는 복수 개의 구체(44)를 배설한다.

Description

로터리 조인트{ROTARY JOINT}
본 발명은 로봇의 팔 선단부 등에 설치되는 로터리 조인트에 관한 것이며, 특히 고정체와 회전체 사이에서 전기신호를 안정되게 주고받기(授受) 위한 대책에 관한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로터리 조인트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로봇의 팔 선단부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체와, 로봇의 손 쪽에 설치 고정되어 고정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지지된 회전체를 구비하며, 이들 고정체 및 회전체 사이에서 공기, 냉각수, 용접용 가스 등의 유체나, 동력용, 신호용 등의 전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여, 손 쪽이 고정 쪽에 대하여 회전해도 항상 유체나 전기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를 주고받기 위해, 복수 종류의 유체통로를 고정체 및 회전체의 미끄럼 접촉면 사이에 나열 배치된 스위블 조인트(swivel joint)가 사용되며, 동력전기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고정체 또는 회전체의 한쪽에 설치된 집전(集電) 링과, 다른 쪽에 설치되어 상기 집전 링에 미끄럼 접촉하여 전기를 공급하는 슬라이딩 접점으로 구성되는 슬립 링(slip ring)이 사용된다.
또한, 전기신호를 고정체 및 회전체 사이에서 주고받기 위해 전기신호 슬립 링이 알려져 있다. 이 전기신호 슬립 링의 일례로서, 종래,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평 10-223346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 쪽에 설치된 링 플레이트형 고정측 전극과, 회전체 쪽에 설치된 링 플레이트형 회전측 전극과, 이들 양 전극 사이에 배설된 전동체(轉動體)를 구비하며, 회전체의 고정체에 대한 상대회전으로써 양 전극 상에서 전동체를 전동시켜 양 전극 사이에 전기신호를 주고받도록 한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제안된 발명에서는, 복수 개의 다른 전기신호를 고정체 및 회전체 사이에서 주고받기 위해 고정측 및 회전측 전극을 각각 복수 나열 배치한 경우, 전극에서 미끄럼 마찰이 발생하여 고정체 및 회전체 사이에서 전기신호를 안정되게 전달하기가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극 사이에서 전동체를 전동시켜 전기신호를 전달하므로, 전동체의 미끄럼 발생이 어려워지기는 했지만, 그 전동에 의한 마모가루의 발생은 피할 수 없으며, 장기간의 사용경과에 의해 이 마모가루가 도통면에 퇴적됐을 때, 역시 전기신호의 안정된 전달이 어려워진다.
더욱이, 이와 같은 전동체의 전동에 의한 전기신호의 안정된 전달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동체의 접촉저항을 가급적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여러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상기 로터리 조인트에 있어서 전기신호 슬립 링의 구조를 개량하는 것으로, 그 고정체 및 회전체 사이에서 복수 개의 다른 전기신호를 주고받는 경우라도, 그 전기신호를 안정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로터리 조인트의 단면도.
도 2는 전기신호 슬립 링의 한쪽 측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전기신호 슬립 링의 다른 쪽 측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전기신호 슬립 링을 그 일부를 파단시켜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5는 고정체 보스부의 물 통로 및 에어 블로우 통로의 구성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
도 6은 고정측 전극 적층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회전측 전극 적층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전기신호 슬립 링의 하우징 축심이 위치 어긋남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전기신호 슬립 링의 내부로 공기를 보냈을 때의 공기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전기신호 슬립 링의 내부로 공기를 보냈을 때의 공기흐름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로터리 조인트의 상면도.
도 12는 로터리 조인트의 정면도.
도 13은 로터리 조인트의 저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체와, 이 고정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지지된 회전체와, 이들 고정체 및 회전체 사이에서 복수 개의 다른 전기신호를 주고받는 전기신호 슬립 링을 구비하는 로터리 조인트로서, 이 전기신호 슬립 링은, 고정체의 축심과 동심형으로 또 축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복수 매의 링 플레이트형의 고정측 전극과, 회전체의 축심과 동심형으로 또 축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복수 매의 링 플레이트형의 회전측 전극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 매의 고정측 전극 중 축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고정측 전극을, 양 전극 사이에 링 형상의 고정측 절연층을 통해 적층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고정측 전극 적층체와, 상기 복수 매의 회전측 전극 중 축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회전측 전극을, 양 전극 사이에 링 형상의 회전측 절연층을 통해 적층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회전측 전극 적층체를 형성한다. 또, 상기 고정측 및 회전측 전극 적층체를, 전기신호 슬립 링의 축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단부 전극 사이에 축방향으로 교대로 나열 배치시키고, 상기 단부 전극과, 이 단부 전극에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전극 적층체의 전극과의 사이, 및 축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전극 적층체의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양 전극 사이에, 회전체의 고정체에 대한 상대회전에 의해 양 전극 상을 전동시켜 양 전극 사이에서 전기신호를 주고받는 복수 개의 전동체를 배설한다.
이 구성으로써, 복수 매의 고정측 전극 중 한 쌍과 고정측 절연층에 의해 고정측 전극 적층체가 형성되고, 또 복수 매의 회전측 전극 중 한 쌍과 회전측 절연층에 의해 회전측 전극 적층체가 형성되며, 이들 전극 적층체가 전기신호 슬립 링의 축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단부 전극 사이에 교대로 배치되고, 단부 전극 각각과 전극 적층체의 전극 사이, 및 축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전극 적층체의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양 전극 사이에 복수 개의 전동체가 배치되므로, 고정체 및 회전체 사이에서 복수 개의 다른 전기신호를 주고받는 구조이면서, 고정측 전극과 이에 신호를 주고받는 회전측 전극 사이에 전동체가 개재되고, 양 전극은 복수 개의 전동체를 전동시키면서 상대 이동하게 되어, 전극의 미끄럼을 가급적 억제하므로, 고정측 전극과 회전측 전극 사이의 전기신호의 주고받음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단부 전극의 적어도 한쪽을 다른 쪽 단부 전극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고정측 전극과 회전측 전극 사이의 미끄럼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여 양 전극 사이의 전기신호의 주고받음을 더 한층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고정체와, 이 고정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연결된 회전체와, 이들 고정체 및 회전체 사이에서 전기신호를 주고받는 전기신호 슬립 링을 구비하는 로터리 조인트로서, 한 쪽 단부가 고정체로 개구되는 한편, 다른 쪽 단부가 회전체로 개구되며, 중간부가 상기 전기신호 슬립링에 연통되는 에어 블로우 통로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체 및 회전체를 상대회전 시키면서, 상기 에어 블로우 통로에 대하여, 고정체 쪽 또는 회전체 쪽의 한쪽 에어 블로우 구멍으로 불어넣은 공기가 다른 쪽 에어 블로우 구멍으로부터 배출되는 에어 블로우와, 상기 다른 쪽 에어 블로우 구멍으로 불어넣은 공기가 상기 한쪽 에어 블로우 구멍으로부터 배출되는 에어 블로우가 교대로 행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명의 구성의 로터리 조인트에 있어서, 한쪽 단부가 고정체로 개구되는 한편, 다른 쪽 단부가 회전체로 개구되며, 중간부가 전기신호 슬립 링에 연통되는 에어 블로우 통로를 구성해도 된다.
이들 구성에 의하면, 전기신호 슬립 링에 전극 등의 마모에 의한 마모가루가 발생했더라도, 에어 블로우(air blow) 통로에 대하여 그 양단부의 양쪽으로부터 교대로 에어 블로우를 행함으로써, 그 공기흐름에 의해 마모가루를 공기와 함께 다른 쪽 단부로 분출시킬 수 있어, 마모가루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전극 사이 전기신호를 장기간에 걸쳐 안정되게 전달시킬 수 있다.
상기 에어 블로우 통로는, 전기신호 슬립 링에 접속하는 전선을 삽입하기 위한 전선 삽입통과 구멍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기존의 전선 삽입통과 구멍을 이용하여 전기신호 슬립 링으로 공기를 보낼 수 있어,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구성의 로터리 조인트에 있어서, 전기신호 슬립 링은, 고정체 또는 회전체의 한쪽에 구성된 외측 하우징과, 고정체 또는 회전체의 다른 쪽에 구성되고, 상기 외측 하우징 내에 고리 형상 공간을 형성하여 대략 동심형으로 배치된 내측 하우징을 구비하며, 이들 양 하우징 사이의 고리 형상 공간에 고정측 및 회전측 전극이 수용되는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측 및 회전측 전극의 한쪽을 외측 하우징 내주 면에, 내주 가장자리부와 내측 하우징 외주면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끼워맞춤 지지하는 한편, 고정측 및 회전측 전극의 다른 쪽을 내측 하우징 외주 면에, 외주 가장자리부와 외측 하우징 내주면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끼워맞춤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고정체와 회전체 사이의 축심, 즉 전기신호 슬립 링의 외측 및 내측 하우징 사이의 축심이 어긋나더라도, 그 외측 하우징의 내주면에 끼워맞춤 지지된 전극의 내주 가장자리부와 내측 하우징 외주면 사이의 간극, 또는 내측 하우징의 외주면에 끼워맞춤 지지된 전극의 외주 가장자리부와 외측 하우징 내주면 사이의 간극이 각각 없어지게 되어, 복수 개의 전동체가 전극 사이에서 안정되게 전동된다.
이로써, 고정체 및 회전체 사이의 축 어긋남이 있더라도 고정측 및 회전측 전극 사이에서 전기신호의 전달을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측 및 회전측 전극에 있어서 전동체의 궤도면을 평면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복수 개의 전동체가 전극 사이에서 더욱 안정되게 전동하게 되어, 고정체 및 회전체 사이의 축 어긋남이 있더라도 전기신호의 전달을 보다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전기신호 슬립 링의 전동체 및 전극은, 그 각 표면이 도금처리되는 것으로 한다. 이로써, 전동체 및 전극 사이의 접촉저항을 안정시켜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상의 형태를 실시예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로터리 조인트(A)를 나타내며, 이 로터리 조인트(A)는 스폿 용접(spot welding)을 실시하는 도면 외의 용접 로봇의 팔 선단부에 장착되는 것이다.
로터리 조인트(A)는, 용접 로봇의 팔 쪽에 설치되는 대략 원통형의 고정체(1)와, 용접 건 쪽(손 쪽)에 장착되는 대략 원통형의 회전체(6)를 구비하며, 이 회전체(6)는 고정체(1)에 360°이상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지지된다.
도 1에 확대시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체(1)는 상단(도 1에서 상단)에 외향 플랜지(2)가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의 보스부(3)와, 이 보스부(3)에 그 외주를 둘러싸도록 동심형으로 배치되어 일체적으로 고정되며, 아래쪽으로 개방된 유저(有底) 원통형의 커버부(4)를 구비한다.
한편, 회전체(6)는 상기 고정체(1)의 보스부(3) 내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춤된 원통형 축부(7)와, 이 축부(7) 상단에 그 개구를 막도록 일체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회전체(6)의 외향 플랜지(2) 위쪽에 위치하는 상측 플랜지(8)와, 축부(7)의 하단부 외주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며, 회전체(6)의 보스부(3) 하단을 넘어 커버부(4)의 하단 개구를 막도록 반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하측 플랜지(9)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1)의 보스부(3)와 회전체(6)의 축부(7) 사이에는, 고정체(1) 및 회전체(6) 사이에서 유체로서의 물 및 공기를 주고받기 위한 스위블 조인트(11)가 장착된다. 또한, 고정체(1)의 보스부(3) 및 커버부(4)와, 회전체(6)의 하측 플랜지(9)로 둘러싸이는 원통형 공간에는, 고정체(1)로부터 회전체(6)로 용접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슬립 링(21)과, 이 전력 슬립 링(21)의 안쪽에 위치하고 고정체(1) 및 회전체(6) 사이에서 복수 개(도시 예에서는 6 종류)의 다른 전기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전기신호 슬립 링(31)이 동심형으로 장착된다.
상기 스위블 조인트(11)는 2 개의 물 통로(12, 13) 및 1 개의 에어 블로우 통로(14)를 가지며, 이들 3 개의 통로(12 내지 14)는 모두 같은 구조이다. 즉, 도 5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체(1)의 보스부(3) 내주면에는 3 개의 고리 형상홈(15, 15, ...)이 상하방향(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 보스부(3)의 벽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3 개의 종공(縱孔)(16, 16, ...)(일부만 도시함)이 원주방향으로 서로 근접하여 관통 형성되며, 이 각 종공(16)의 하단은 각각 대응하는 상기 각 고리 형상홈(15)의 홈 저면에 개구되는 한편, 상단은 외향 플랜지(2)의 외주면에 개구된다.
이에 반해, 회전체(6)의 축부(7) 벽 내부에는 원주방향으로 3 등분한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3 개의 종공(17, 17, ...)(일부만 도시함)이 관통 형성되며, 이 각 종공(17)의 상단은, 축부(7)의 외주면에 각각 상기 고정체(1) 보스부(3)의 대응하는 각 고리 형상홈(15) 내로 연통되도록 개구되는 한편, 각 종공(17)의 하단은 하측 플랜지(9) 아래쪽의 축부(7) 외주면에 개구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고정체(1)의 보스부(3) 내주면에 형성된 3 개의 고리 형상홈(15, 15, ...) 중 위쪽 2 개의 고리 형상홈(15, 15)을 포함하는 통로가 물 통로(12, 13)로, 또 아래쪽의 1 개의 고리 형상홈(15)을 포함하는 통로가 에어 블로우 통로(14)로 각각 구성되며, 이들 물 통로(12, 13) 및 에어 블로우 통로(14)에 의해, 고정체(1) 및 회전체(6) 사이에서 양자가 회전상태라도 물 및 공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 고정체(1)의 보스부(3) 내주 면에는 3 개의 고리 형상홈(15, 15, ...)의 상하방향(축방향) 양쪽에 4 개의 시일 홈(18, 18, ...)이 형성되며, 이 각 시일 홈(18)에는 고무제의 시일 링(seal ring)(19)이 그 내주 면을 회전체(6)의 축부(7) 외주면에 미끄럼 접촉시켜 시일하도록 끼워넣기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체(1)의 보스부(3)에서 각 종공(16)의 각 고리 형상홈(15)의 홈 저면으로의 개구부는, 보스부 직경방향의 반대쪽 외주면으로부터 그 벽부를 관통시켜 천공가공 함으로써 형성되며, 이 벽부의 관통부는 가공후에 플러그(20)에 의해 기밀상태로 폐쇄된다.
상기 전력 슬립 링(21)은, 고정체(1)의 보스부(3) 및 커버부(4)와 회전체(6)의 하측 플랜지(9) 사이의 원통형 공간에 동심형으로 배치된 3 개의 집전 링(22, 22, ...)을 구비하며, 이들 집전 링(22, 22, ...)은 절연 링(23, 23, ...)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적층된다. 각 집전 링(22)에는 다른 집전 링(22)을, 이와 전기절연된 상태로 관통하는 집전 볼트(24)의 선단부(상단부)가 나사 결합되며, 이 각 집전볼트(24)는 회전체(6)의 하측 플랜지(9)를 절연상태로 관통하고, 그 하단의 머리부(24a)는 하측 플랜지(9) 아래쪽으로 돌출되며, 이 머리부(24a)에는 용접 건(도시 생략)으로 도통하는 전력케이블(25)의 단부가 접속된다.
한편, 상기 고정체(1) 커버부(4)의 측벽에는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서로 근접한 위치에 3 개의 슬라이딩 접점(26, 26, ...)이 절연상태로 관통하면서 커버(26a)로 덮인 상태로 부착 고정되며, 각 슬라이딩 접점(26)의 안쪽 단부는 각각 대응하는 상기 각 집전 링(22)의 외주면에 소정의 압력으로 미끄럼 접촉 가능하게 밀리고, 이 각 슬라이딩 접점(26)과 집전 링(22)의 미끄럼 접촉에 의해, 고정체(1) 및 회전체(6) 사이에서 양자가 회전상태라도 대전류의 용접전력을 공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기신호 슬립 링(31)은, 고정체(1)의 보스부(3) 외주에 외부 끼워맞춤되어 설치된 원통형의 내측 하우징(32)과, 이 내측 하우징(32)의 둘레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리 형상 공간(34)을 형성하고 동심형으로 외부 끼워맞춤되어 설치된 원통형의 외측 하우징(33)을 구비하며, 이들 양 하우징(32, 33)은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내측 하우징(32) 외주면의 상하단부에는 외부를 향한 플랜지부(32a, 32b)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양 플랜지부(32a, 32b)와, 내측 하우징(32) 외주면의 상하중간부와, 외측 하우징(33)으로 둘러싸여 원통형의 고리 형상 공간(34)이 구획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외 하우징(32, 33) 사이의 고리 형상 공간(34)에 링 플레이트형의 6 매의 고정측 전극(36a 내지 36f) 및 회전측 전극(40a 내지 40f)이 수용된다. 이들 각 전극(36a 내지 36f, 40a 내지 40f)은 예를 들어 인청동으로 이루어지며, 그 표면은 예를 들어 은 등으로 도금처리된다. 이 도금처리에서 이용되는 도금재료는, 전극(36a 내지 36f, 40a 내지 40f) 자체의 방청효과를 가진 양호한 전도재료가 바람직하다. 또, 이 도금층의 두께는 얇은 것이 좋으며, 5㎛ 이하라면 도금층이 쉽게 박리되지 않아 바람직하다. 또한, 각 전극(36a 내지 36f, 40a 내지 40f)의 상하면,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구체(44)가 전동하는 궤도면은 평면이다.
도 2 및 도 3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6 매의 고정측 전극(36a 내지 36f)은, 고정체(1)의 축심과 동심형으로 또 축방향인 상하방향으로 나열 배치되는 한편, 6 매의 회전측 전극(40a 내지 40f)도, 회전체(6)의 축심과 동심형으로 또 축방향인 상하방향으로 나열 배치된다.
상기 6 매의 고정측 전극(36a 내지 36f) 중 상하 단부(축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전극(36a, 36f)은 단부 전극이 되며, 이 단부 전극으로서의 고정측 전극(36a, 36b)을 제외한 4 매의 고정측 전극(36b 내지 36e)에 대해서는 도 6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한 쌍의 고정측 전극(36b, 36c 및 36d, 36e)이, 이 양 전극 쌍(36b, 36c 및 36d, 36e) 사이에 링 형상의 고정측 절연 시트(37a, 37b)를 통해 적층 배치되며, 이들 양 전극 쌍(36b, 36c 및 36d, 36e)과 고정측 절연 시트(37a, 37b)로 2 개의 고정측 전극 적층체(38a, 38b)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6 매의 회전측 전극(40a 내지 40f)에 있어서는, 도 7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한 쌍의 회전측 전극(40a, 40b와 40c, 40d, 및40e, 40f)이, 이들 양 전극 쌍(40a, 40b와 40c, 40d, 및 40e, 40f) 사이에 링 형상의 회전측 절연 시트(41a 내지 41c)를 통해 적층 배치되며, 이들 양 전극 쌍(40a, 40b와 40c, 40d, 및 40e, 40f)과 회전측 절연 시트(41a 내지 41c)로 3 개의 회전측 전극 적층체(42a 내지 42c)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2 개의 고정측 전극 적층체(38a, 38b) 및 3 개의 회전측 전극 적층체(42a 내지 42c)는, 전기신호 슬립 링(31)의 축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한 쌍의 단부 전극인 고정측 전극(36a, 36f) 사이에, 축방향인 상하방향으로 교대로 나열 배치된다.
또, 상기 단부 전극인 고정측 전극(36a, 36f)과, 이 단부의 고정측 전극(36a, 36f)에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회전측 전극 적층체(42a, 42c)의 회전측 전극(40a, 40f)과의 사이, 그리고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고정측 전극 적층체(38a, 38b) 및 회전측 전극 적층체(42a 내지 42c)에 있어서 그 대향하는 고정측 전극(36b 내지 36e) 및 회전측 전극(40b 내지 40c)과의 사이에, 각각 회전체(6)의 고정체(1)에 대한 상대회전에 의해 양 전극(36a 내지 36f, 40a 내지 40f) 위를 전동시켜 양 전극(36a 내지 36f, 40a 내지 40f) 사이에서 전기신호를 주고받는 전동체로서의 강철 볼로 된 구체(44)가 배설된다. 이 구체(44)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36a 내지 36f, 40a 내지 40f)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설되며, 이들 복수 개의 구체(44, 44, ...) 각각은 양 전극(36a 내지 36f, 40a 내지 40f) 사이에 위치하는 링 플레이트형 리테이너(retainer)(45)의 유지공(45a)에 기워넣기되어 유지된다. 이 각 구체(44)는, 예를 들어 탄소강을 담금질(quenching)처리한 강철 볼로 이루어지며, 그 표면은 은 등으로 도금처리된다. 이 구체(44)의 도금처리에 사용되는 도금재료는, 전극(36a 내지 36f, 40a 내지 40f) 자체의 방청효과를 가진 양호한 전도재료가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하우징(32)에 있어서 하측 플랜지부(32b)의 상면에는 고리 형상의 스프링 홈(47)이 형성되며, 이 스프링 홈(47)에는 하측의 단부 전극인 고정측 전극(36f)을 상측의 단부 전극인 고정측 전극(36a)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수단으로서의 스프링(48)이 수용된다. 하측의 단부 전극인 고정측 전극(36f)과 스프링(48) 사이에는 링 플레이트형의 절연체(49)가 개재되며, 스프링(48)은 절연체(49)를 통해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또, 내측 하우징(32)에 있어서 상측의 플랜지부(32a)의 외주면에는 고리 형상의 패킹 홈(50)이 형성되며, 이 패킹 홈(50)에는 립부(51a)를 갖는 단면이 대략 V자 형상인 고무제 등의 패킹(51)이 그 립부(51a)에서 외측 하우징(33)의 상면을 가압한 상태로 수용되며, 이 패킹(51)으로 양 하우징(32, 33)의 상단부 사이의 간극을 시일한다.
또한, 상기 고정체(1) 쪽의 내측 하우징(32)에는 그 상면에 개구되는 사각형상의 유저공(有底孔)(53)이 형성된다. 또, 고정체(1)의 커버부(4) 외주면에는 나사구멍(54)을 갖는 커넥터 장착부(55)가 일체적으로 장착되며, 그 나사구멍(54)에 고정측 커넥터(56)가 나사결합으로 장착 고정된다. 상기 커넥터 장착부(55)의 나사구멍(54)은, 커버부(4)에 형성된 관통 구멍(57)을 통해 상기 내측 하우징(32)의 유저공(53) 내로 연통된다. 그리고, 도 6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고정측 전극(36a 내지 36f)의 내주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내측 하우징(32)의 유저공(53) 내에 위치하는 접속단자(36g)가 돌출 형성되며, 이 접속단자(36g)에는 고정측 전선(58)의 한쪽 단부가 접속 고정된다. 이들 6 개의 고정측 전선(58, 58, ...)은, 유저공(53), 커버부(4)의 관통 구멍(57) 및 커넥터 장착부(55)의 나사구멍(54)의 각 내부를 통해 연장되며, 각각의 다른쪽 단부는 상기 고정측 커넥터(56)에 접속된다.
한편, 회전체(6) 쪽의 외측 하우징(33) 외주 면에는 그 일부분을 부분적으로 하면으로부터 사각형상으로 제거한 노치부(63)가 형성된다. 또, 회전체(6)의 하측 플랜지(9) 외주면에는 나사구멍(64)을 갖는 커넥터 장착부(65)가 일체적으로 장착되고, 그 나사구멍(64)에는 회전측 커넥터(66)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장착 고정되며, 나사구멍(64)은 하측 플랜지(9)에 형성한 관통 구멍(67)을 통해 상기 외측 하우징(33)의 노치부(63) 내로 연통된다. 그리고, 도 7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회전측 전극(40a 내지 40f)의 외주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외측 하우징(33)의 노치부(63) 내에 위치하는 접속단자(40g)가 돌출 형성되며, 이 접속단자(40g)에는 회전측 전선(68)의 한쪽 단부가 접속 고정된다. 이들 6 개의 회전측 전선(68, 68, ...)은, 노치부(63), 하측 플랜지(9)의 관통 구멍(67) 및 커넥터 장착부(65)의 나사구멍(64)을 통과하여 연장되며, 각각의 다른 쪽 단부는 상기 회전측 커넥터(66)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측 전극(36a 내지 36f)과 이에 대향하는 회전측 전극(40a 내지 40f)을 구체(44)를 통해 도통시킴으로써,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체(1) 및 회전체(6) 사이에서 양자가 회전상태여도 6 종류의 전기신호를 주고받도록 되어 있다.
(표 1)
신호 고정체측(내측 하우징) 구체 회전체측(외측 하우징)
1 고정측 전극(36a)
44
회전측 전극(40a)
회전측 절연 시트(41a)
2 회전측 전극(40b)
44
고정측 전극(36b)
고정측 절연 시트(37a)
3 고정측 전극(36c)
44
회전측 전극(40c)
회전측 절연 시트(41b)
4 회전측 전극(40d)
44
고정측 전극(36d)
고정측 절연 시트(37b)
5 고정측 전극(36e)
44
회전측 전극(40e)
회전측 절연 시트(41c)
6 회전측 전극(40f)
44
고정측 전극(36f)
또한, 도 2,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각 고정측 전극(36a 내지 36f)의 외주 가장자리부는 원형상이 되는 한편, 내주 가장자리부에는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둔 위치에 복수 개(도시예에서는 5 개)의 접촉부(36h, 36h, ...)가 돌출 형성되며, 이 고정측 전극(36a 내지 36f)은 내측 하우징(32) 외주면에 접촉부(36h, 36h, ...)를 접촉시켜 위치결정된 상태로 끼워맞춤 지지되어, 이 고정측 전극(36a 내지 36f)의 외주 가장자리부와 외측 하우징(33) 내주면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형성한다.
한편, 도 2, 도 3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회전측 전극(40a 내지 40f)의 내주 가장자리부는 원형상이 되는 한편, 외주 가장자리부에는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둔 위치에 복수 개(도시예에서는 5 개)의 접촉부(40h, 40h, ...)가 돌출 형성되며, 이 회전측 전극(40a 내지 40f)은 외측 하우징(33) 내주면에 접촉부(40h, 40h, ...)를 접촉시켜 위치결정된 상태로 끼워맞춤 지지되어, 이 회전측 전극(40a 내지 40f)의 내주 가장자리부와 내측 하우징(32) 외주면 사이에 소정 간극을 형성한다.
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체(1)의 외향 플랜지(2) 외주면에 장착된 커넥터 장착부(55)의 측면에는, 그 내부의 나사구멍(54)에 연통되는 에어 블로우 구멍(59)이, 또한 회전체(6)의 하측 플랜지(9) 외주면에 장착된 커넥터 장착부(65)의 측면에는, 그 내부의 나사구명(64)에 연통되는 에어 블로우 구멍(69)이 각각 개구되며, 이 고정체(1) 쪽의 커넥터 장착부(55) 측면의 에어 블로우 구멍(59), 그 내부의 나사구멍(54), 커버부(4)의 관통 구멍(57), 전기신호 슬립 링(31)에서의 내측 하우징(32)의 유저공(53), 외측 하우징(33)의 노치부(63), 회전체(6)에서의 하측 플랜지(9)의 관통 구멍(67), 커넥터 장착부(65)의 나사구멍(64) 및 그 측면의 에어 블로우 구멍(69)에 의해, 한쪽 단부가 고정체(1)의 커넥터 장착부(55) 측면의 에어 블로우 구멍(59)에서 개구되는 한편, 다른 쪽 단부가 회전체(6)의 커넥터 장착부(65) 측면의 에어 블로우 구멍(69)에서 개구되는 에어 블로우 통로(61)가 형성되며, 이 에어 블로우 통로(61)의 중간부는 전기신호 슬립 링(31) 내의 고정측 전극(36a 내지 36f) 및 회전측 전극(40a 내지 40f)으로 연통된다. 이로써, 에어 블로우 통로(61)는, 상기 전기신호 슬립 링(31)과 접속하는 전선(58, 68)을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전선 삽입통과 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체(1) 및 회전체(6)를 상대회전 시키면서, 고정체(1) 쪽 커넥터 장착부(55) 측면의 에어 블로우 구멍(59)으로 압축공기를 불어넣었을 때에는, 그 공기를 전기신호 슬립 링(31)의 내측 하우징(32)의 유저공(53)으로 공급하고 그 유저공(53)으로부터 원주방향 양쪽으로 분류(分流)시켜, 그 분류된 2 개의 공기흐름을 외측 하우징(33)의 노치부(63)에서 하나로 집합시킨 후에 회전체(6)의 커넥터 장착부(65) 측면의 에어 블로우 구멍(69)으로부터 분출시키는 한편, 반대로 이 회전체(6)의 커넥터 장착부(65) 측면의 에어 블로우 구멍(69)으로 압축공기를 불어넣었을 때에는, 그 공기를 상기와는 반대 흐름으로 에어 블로우 통로(61)로 보내고 고정체(1) 쪽 커넥터 장착부(55) 측면의 에어 블로우 구멍(59)으로부터 분출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용접 건이 워크를 용접하는 용접 로봇의 작동 시에 고정체(1)에 대하여 회전체(6)가 회전할 때, 스위블 조인트(11)의 고정체(1) 및 회전체(6) 사이에서 2 개의 물 통로(12, 13) 및 에어 블로우 통로(14)에 의해 물 및 공기를 주고받게 된다. 또 전력 슬립 링(21)의 고정체(1) 쪽의 슬라이딩 접점(26, 26, ...)과 회전체(6) 쪽 집전 링(22, 22, ...)이 각각 미끄럼 접촉하여 대전류의 용접전력이 고정체(1) 쪽으로부터 회전체(6) 쪽으로 공급된다.
또, 전기신호 슬립 링(31)에 의해 고정체(1) 및 회전체(6) 사이에서 6 종류의 전기신호를 주고받게 된다. 이 때, 전기신호 슬립 링(31)의 6 매의 고정측 전극(36a 내지 36f) 중 단부 전극을 제외한 4 매의 고정측 전극(36b 내지 36e)의 한 쌍과 고정측 절연 시트(37a, 37b)에 의해 2 개의 고정측 전극 적층체(38a, 38b)가 형성되며, 또한 6 매의 회전측 전극(40a 내지 40f) 중 한 쌍과 회전측 절연 시트(41a 내지 41c)에 의해 3 개의 회전측 전극 적층체(42a 내지 42c)가 각각 형성되고, 이들 전극 적층체(38a, 38b, 42a 내지 42c)가 단부 전극인 고정측 전극(36a, 36f) 사이에 교대로 배치되며, 이 단부 전극인 고정측 전극(36a, 36f)의 각각과 회전측 전극 적층체(38a, 38b)의 회전측 전극(40a, 40f)과의 사이, 및 축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고정측 및 회전측 전극 적층체(38a, 38b, 42a 내지 42c)의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양 전극(36b 내지 36e, 40b 내지 40e) 사이에 복수 개의 구체(44, 44, ...)가 배치되므로, 고정측 전극(36a 내지 36f)과 신호를 주고받는 회전측 전극(40a 내지 40f) 사이에 구체(44, 44, ...)가 개재되고, 양 전극(36a 내지 36f, 40a 내지 40f)은 구체(44, 44, ...)를 전동시키면서 상대 이동하게 되어, 고정체(1) 및 회전체(6) 사이에서 6 종류의 다른 전기신호를 주고받는 구조이면서, 전극의 미끄럼을 가급적 억제하여, 고정측 전극(36a 내지 36f)과 회전측 전극(40a 내지 40f) 사이의 전기신호의 주고받음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하측의 단부 전극인 고정측 전극(36f)을 스프링(48)에 의해 상측의 단부 전극인 고정측 전극(36a)을 향해 가압하고, 단부 전극(고정측 전극(36a, 36f)) 사이에서 고정측 전극(36b 내지 36e) 및 회전측 전극(40a 내지 40f)을 구체(44, 44, ...)에 밀어붙이도록 압력을 가하므로, 고정측 전극(36a 내지 36f)과 회전측 전극(40a 내지 40f) 사이의 미끄럼을 더욱 확실하게 억제하여 양 전극(36a 내지 36f, 40a 내지 40f) 사이의 전기신호의 주고받음을 더 한층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구체(44) 및 전극(36a 내지 36f, 40a 내지 40f)의 표면이 모두 은 등으로 도금처리되므로, 구체(44) 및 전극(36a 내지 36f, 40a 내지 40f) 사이의 접촉저항을 안정되게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고정측 전극(36a 내지 36f)은 내측 하우징(32) 외주면에 내주 가장자리부의 접촉부(36h, 36h, ...)를 내측 하우징(32) 외주면에 접촉시켜 위치결정된 상태로 끼워맞춤 지지되고, 이 고정측 전극(36a 내지 36f)의 외주 가장자리부와 외측 하우징(33) 내주면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는 한편, 회전측 전극(40a 내지 40f)은 외측 하우징(33) 내주면에 외주 가장자리부의 접촉부(40h, 40h, ...)를 외측 하우징(33) 내주면에 접촉시켜 위치결정된 상태로 끼워맞춤 지지되고, 이 회전측 전극(40a 내지 40f)의 내주 가장자리부와 내측 하우징(32) 외주면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므로, 회전체(6)의 회전 중에,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신호 슬립 링(31)의 외측 하우징(33)과 내측 하우징(32) 사이의 축심이 일치한 상태가 아니라면, 예를 들어 도 8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체(6) 쪽의 외측 하우징(33)의 축심이 고정체(1) 쪽의 내측 하우징(32)의 축심에 대하여 한 방향(도면에서 왼쪽방향)으로 어긋나더라도, 상기 외측 하우징(33) 내주면에 끼워맞춤 지지된 회전측 전극(40a 내지 40f)의 내주 가장자리부가 내측 하우징(32) 외주면에 접촉하여 양자 사이의 간극이 없어지거나, 혹은 반대로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하우징(33)의 축심이 내측 하우징(32)의 축심에 대하여 다른 방향(도면에서 오른쪽방향)으로 어긋나더라도, 내측 하우징(32) 외주면에 끼워맞춤 지지된 고정측 전극(36a 내지 36f)의 외주 가장자리부가 외측 하우징(32) 내주면에 접촉하여 양자 사이의 간극이 없어지게 될 뿐이다. 이로써, 고정체(1) 및 회전체(6) 사이의 축 어긋남이 있더라도, 각 구체(44)를 전극(36a 내지 36f, 40a 내지 40f) 사이에서 안정되게 전동시켜 전기신호의 전달을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전극(36a 내지 36f, 40a 내지 40f)에서의 구체(44)의 궤도면이 평면이므로, 이들 복수 개의 구체(44, 44, ...)가 전극(36a 내지 36f, 40a 내지 40f) 사이에서 더욱 안정되게 전동되며, 고정체(1) 및 회전체(6) 사이의 축 어긋남이 있더라도 전기신호의 전달을 보다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체(1) 쪽의 커넥터 장착부(55) 측면의 에어 블로우 구멍(59), 그 내부의 나사구멍(54), 커버부(4)의 관통 구멍(57), 전기신호 슬립 링(31)에서 내측 하우징(32)의 유저공(53), 외측 하우징(33)의 노치부(63), 회전체(6)에서의 하측 플랜지(9)의 관통 구멍(67), 커넥터 장착부(65)의 나사구멍(64) 및 그 측면의 에어 블로우 구멍(69)에 의해 에어 블로우 통로(61)가 형성되므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체(1) 및 회전체(6)를 상대회전 시키면서(바람직하게는 2 회전 이상), 예를 들어 고정체(1) 쪽 커넥터 장착부(55) 측면의 에어 블로우 구멍(59)에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그 공기를 전기신호 슬립 링(31)의 내측 하우징(32)의 유저공(53)으로 공급하고, 그 유저공(53)으로부터 원주방향 양쪽으로 분류시켜, 그 양 공기흐름을 외측 하우징(33)의 노치부(63)에서 집합시킨 후에 회전체(6)의 커넥터 장착부(65) 측면의 에어 블로우 구멍(69)으로부터 분출시키고, 이어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고정체(1) 및 회전체(6)를 상대회전 시키면서, 반대로 회전체(6)의 커넥터 장착부(65) 측면의 에어 블로우 구멍(69)으로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그 공기를 상기와 반대 흐름으로 에어 블로우 통로(61)로 보내고, 고정체(1) 쪽의 커넥터 장착부(55) 측면의 에어 블로우 구멍(59)으로부터 분출시키는 작업(반대 순서라도 됨)을 정기적으로 행함으로써, 전기신호 슬립 링(31)에 전극(36a 내지 36f, 40a 내지 40f) 등의 마모에 의한 마모가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에어 블로우 통로(61)를 흐르는 공기흐름에 의해 마모가루를 공기와 함께 하우징(32, 33(로터리 조인트(A))) 밖으로 분출시킬 수 있어, 마모가루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전극(36a 내지 36f, 40a 내지 40f) 사이의 전기신호를 장기간에 걸쳐 안정되게 전달시킬 수가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에어 블로우 통로(61)는, 전기신호 슬립 링(31)에 접속하는 전선(58, 68)을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전선 삽입통과 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기존의 전선 삽입통과 구멍을 이용하여 전기신호 슬립 링(31)으로 공기를 보낼 수 있어,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에어 블로우 통로(61)는 전선 삽입통과 구멍을 사용하지 않고 별도로 새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와 같이 전선 삽입통과 구멍을 겸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고정체 및 회전체 사이에서 복수 개의 다른 전기신호를 주고받는 전기신호 슬립 링을 구비하는 로터리 조인트에 있어서, 고정체 쪽에, 축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링 플레이트형 고정측 전극 사이에 링 형상의 고정측 절연층을 개재시켜 고정측 전극 적층체를 형성하는 한편, 회전체 쪽에, 링 플레이트형 회전측의 전극 중 축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링 플레이트형의 회전측 전극 사이에 링 형상의 회전측 절연층을 개재시켜 회전측 전극 적층체를 형성하며, 고정측 및 회전측 전극 적층체를, 전기신호 슬립 링의 축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단부 전극 사이에 축방향으로 교대로 나열 배치하고,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전극 사이에 복수 개의 전동체를 배설하여 양 전극 사이에서 전기신호를 주고받게 하므로, 양 전극 사이에서의 전동체의 전동에 의해 전극의 미끄럼을 가급적 억제하여, 고정측 전극과 회전측 전극 사이의 전기신호의 주고받음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으며, 로터리 조인트의 신뢰성 향상을 촉진할 수 있는 점에서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이 높다.

Claims (10)

  1. 고정체와, 이 고정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지지된 회전체와, 상기 고정체 및 회전체 사이에서 복수 개의 다른 전기신호를 주고받는 전기신호 슬립 링을 구비하는 로터리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전기신호 슬립 링은, 고정체의 축심과 동심형으로 또 축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복수 매의 링 플레이트형의 고정측 전극과, 회전체의 축심과 동심형으로 또 축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복수 매의 링 플레이트형의 회전측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 매의 고정측 전극 중 축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고정측 전극을, 이 양 전극 사이에 링 형상의 고정측 절연층을 통해 적층 배치시켜 이루어지는 고정측 전극 적층체와,
    상기 복수 매의 회전측 전극 중 축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회전측 전극을, 이 두 전극 사이에 링 형상의 회전측 절연층을 통해 적층 배치시켜 이루어지는 회전측 전극 적층체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측 및 회전측 전극 적층체는, 전기신호 슬립 링의 축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단부 전극 사이에 축방향으로 교대로 나열 배치되고,
    상기 단부 전극과 이 단부 전극에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전극 적층체의 전극과의 사이, 및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전극 적층체의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양 전극 사이에, 회전체의 고정체에 대한 상대회전에 의해 양 전극 위를 전동하여 양 전극 사이에서 전기신호를 주고받는 복수 개의 전동체가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단부 전극의 적어도 한쪽을 다른 쪽의 단부 전극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조인트.
  3. 고정체와, 이 고정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연결된 회전체와,
    상기 고정체 및 회전체 사이에서 전기신호를 주고받는 전기신호 슬립 링을 구비하는 로터리 조인트에 있어서,
    한 쪽 단부가 고정체의 공기구멍에서 개구되는 한편, 다른 쪽 단부가 회전체의 에어 블로우 구멍에서 개구되며, 중간부가 상기 전기신호 슬립 링으로 연통되는 에어 블로우 통로를 구성하며,
    상기 고정체 및 회전체를 상대회전 시키면서, 상기 에어 블로우 통로에 대하여, 고정체 쪽 또는 회전체 쪽의 한 쪽 에어 블로우 구멍으로 불어넣은 공기가 다른 쪽 에어 블로우 구멍으로부터 배출되는 에어 블로우와, 상기 다른 쪽 에어 블로우 구멍으로 불어넣은 공기가 상기 한 쪽 에어 블로우 구멍으로부터 배출되는 에어 블로우가 교대로 행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조인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한쪽 단부가 고정체로 개구되는 한편, 다른 쪽 단부가 회전체로 개구되며, 중간부가 상기 전기신호 슬립 링으로 연통되는 에어 블로우 통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조인트.
  5. 제3항에 있어서,
    에어 블로우 통로는, 전기신호 슬립 링에 접속하는 전선을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전선 삽입통과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조인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기신호 슬립 링은, 고정체 또는 회전체의 한쪽에 구성된 외측 하우징과, 고정체 또는 회전체의 다른 쪽에 구성되고, 상기 외측 하우징 내에 고리 형상 공간을 형성하여 대략 동심형으로 배치된 내측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양 하우징 사이의 고리 형상 공간에 고정측 및 회전측 전극이 수용되고,
    상기 고정측 및 회전측 전극의 한쪽이 외측 하우징 내주 면에, 내주 가장자리부와 내측 하우징 외주면 사이에 소정 간극을 형성한 상태로 끼워맞춤 지지되는 한편,
    상기 고정측 및 회전측 전극의 다른 쪽이 내측 하우징 외주 면에, 외주 가장자리부와 외측 하우징 내주면 사이에 소정 간극을 형성한 상태로 끼워맞춤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조인트.
  7. 제6항에 있어서,
    고정측 및 회전측 전극에 있어서 전동체의 궤도면이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조인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동체 및 전극의 각 표면이 도금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조인트.
  9. 고정체와, 이 고정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연결된 회전체와, 상기 고정체 및 회전체 사이에서 전기신호를 주고받는 전기신호 슬립링 을 구비하는 로터리 조인트에 있어서,
    한 쪽 단부가 고정체로 개구되는 한편, 다른 쪽 단부가 회전체로 개구되며, 중간부가 상기 전기신호 슬립 링으로 연통되는 에어 블로우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에어 블로우 통로는, 전기신호 슬립 링에 접속하는 전선을 삽입통과 시키기 위한 전선 삽입통과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조인트.
  10. 제4항에 있어서,
    에어 블로우 통로는, 전기신호 슬립 링에 접속하는 전선을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전선 삽입통과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조인트.
KR10-2003-7010148A 2001-01-31 2002-01-29 로터리 조인트 KR1005354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23629 2001-01-31
JP2001023629A JP3607928B2 (ja) 2001-01-31 2001-01-31 ロータリジョイント
PCT/JP2002/000673 WO2002060654A1 (fr) 2001-01-31 2002-01-29 Articulation simp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412A KR20030081412A (ko) 2003-10-17
KR100535425B1 true KR100535425B1 (ko) 2005-12-08

Family

ID=1888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0148A KR100535425B1 (ko) 2001-01-31 2002-01-29 로터리 조인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49847B2 (ko)
EP (1) EP1358973A4 (ko)
JP (1) JP3607928B2 (ko)
KR (1) KR100535425B1 (ko)
WO (1) WO20020606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54880A1 (de) * 2003-11-21 2005-06-30 Sks Welding Systems Gmbh Schweißbrennervorrichtung zum Anschluß an einen Schweißroboter
KR100748438B1 (ko) 2006-02-22 2007-08-10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 로봇 관절 내부 방사능 오염 방지용 겹막
US7559767B2 (en) * 2007-05-15 2009-07-14 Moog Inc. High-frequency drum-style slip-ring modules
NO327277B1 (no) * 2007-10-30 2009-06-02 Chapdrive As Vindturbin med hydraulisk svivel
US20110187224A1 (en) * 2010-02-03 2011-08-04 Matrix Motor, Llc Durable and Wearless Rotating Conductor Assembly Based on an Internal Magnetic Field for Transmitting Voltage and Current
DE202012100384U1 (de) * 2012-02-06 2013-05-10 Kuka Systems Gmbh Kupplungseinrichtung
CN102593684B (zh) * 2012-03-08 2014-03-26 林龙海 一种球刷式电滑环
EP2915224B1 (en) * 2012-11-01 2024-03-13 Smiths Interconnect Americas, Inc. Rotary electrical interconnect device
KR101285280B1 (ko) 2013-02-18 2013-07-15 권성미 커넥터가 연결된 전선 꼬임 방지용 로테이터 베어링
US20140360134A1 (en) * 2013-06-11 2014-12-11 Cryovac, Inc. Ferris-Wheel Type Vacuum Packaging System And Method
DE102013216449A1 (de) * 2013-08-20 2015-02-26 Kuka Roboter Gmbh Industrieroboter mit wenigstens einem Antrieb
WO2015187107A1 (en) * 2014-06-05 2015-12-10 Eae Elektri̇k Asansör Endüstri̇si̇ İnşaat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Rotary connection mechanism carrying cable in the wind turbines
US9343862B2 (en) * 2014-06-12 2016-05-17 Kamatics Corporation Electrically conductive bearing system and method
DE102014225627B4 (de) * 2014-12-11 2024-05-29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Simulator
CN111370958B (zh) * 2020-03-11 2021-04-02 北京理工大学 一种柔性滚动体轴向面接触滑环
CN111313199B (zh) * 2020-03-11 2021-08-24 北京理工大学 一种柔性滚动体径向面接触滑环
CN111162422B (zh) * 2020-03-11 2020-12-11 北京理工大学 一种柔性接触电极轴向面接触滑环
CN115663551B (zh) * 2022-09-07 2023-11-14 中国科学院电工研究所 一种大电流平板式旋转传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31864C (de) * 1933-07-03 1936-06-27 Hjalmar Asklund Drehbares Verbindungsstueck zur Verhinderung des Verdrillens elektrischer Leitungen
GB998444A (en) * 1963-05-23 1965-07-14 Ultra Prazisions Werk G M B H Improvements in electrical couplings
SE7905678L (sv) * 1979-06-28 1980-12-29 Esab Ab Stromoverforingsdon
US4294500A (en) * 1979-08-30 1981-10-13 Wilson Jack A Rotary electrical junction assembly
DE3210334A1 (de) * 1982-03-20 1983-09-29 Schleifring und Apparatebau GmbH, 8080 Fürstenfeldbruck Vorrichtung zur uebertragung elektrischer stroeme zwischen gegeneinander verdrehbaren teilen
JPH05138580A (ja) 1991-11-15 1993-06-01 Fanuc Ltd 機械的回転部に用いる給電・配管装置
JPH05266957A (ja) * 1992-03-16 1993-10-15 Hitachi Medical Corp スリップリング用ブラシの自動清掃機能を持つctス キャナ
US5575664A (en) * 1995-05-30 1996-11-19 Hughes Aircraft Company Ball contact rotary connector
JP3416413B2 (ja) * 1996-08-19 2003-06-1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H1094221A (ja) 1996-09-17 1998-04-10 Toshiba Corp 回転電機の集電装置
JPH10223346A (ja) * 1997-01-31 1998-08-21 Soruton:Kk 回転電気コネクタ
JPH11329653A (ja) * 1998-05-18 1999-11-30 Star Micronics Co Ltd スリップリングとその製造方法
JP2000084886A (ja) * 1998-09-10 2000-03-28 Toa Seisakusho:Kk マニピュレータ用ロータリージョイント
JP3769134B2 (ja) 1998-11-24 2006-04-19 ビー・エル・オートテック株式会社 電気接続構造
JP3098223B2 (ja) * 1998-11-27 2000-10-16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交流発電機
US6252320B1 (en) * 1999-05-24 2001-06-26 Unit Parts Company Alternat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58973A1 (en) 2003-11-05
US20040067662A1 (en) 2004-04-08
US6949847B2 (en) 2005-09-27
JP2002224987A (ja) 2002-08-13
KR20030081412A (ko) 2003-10-17
JP3607928B2 (ja) 2005-01-05
EP1358973A4 (en) 2006-05-31
WO2002060654A1 (fr) 200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5425B1 (ko) 로터리 조인트
KR100534678B1 (ko) 로터리 조인트
JP2002224987A5 (ko)
US5575664A (en) Ball contact rotary connector
WO1998005104A1 (en) Brushless slip ring using rolling elements as electrical conductors
JP5105838B2 (ja) 給電装置
JP2020177914A (ja) 導電スリップリング
CN112054360B (zh) 一种超薄大电流旋转传输装置及其安装方法
CN110323648B (zh) 一种滚动式集电环装置
CN113422271B (zh) 一种用立体电路设计的滑环芯轴及其制造方法
JP3554738B2 (ja) ロータリジョイント
JP3858026B2 (ja) ロータリジョイント
CN110429441B (zh) 一种滚动式汇流环
CN212934862U (zh) 塔式液体导电环
JPH10223346A (ja) 回転電気コネクタ
JP2004195650A (ja) ロータリジョイント
CN212162294U (zh) 导电滑环
CN217903649U (zh) 一种高寿命滑环装置
KR20220053134A (ko) 베어링을 이용하여 전도성 접촉을 실현하는 회전 주축
JP2004167682A (ja) ロータリジョイント
CN116581615A (zh) 一种碳刷滚子汇流环
CN219393974U (zh) 一种滚珠接触式导电滑环
CN112928568B (zh) 一种旋转导电装置
CN215070793U (zh) 一种多类型组合式可更换环道信号滑环
WO2022165936A1 (zh) 一种旋转导向钻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