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840B1 - 원격제어 회선시험기 및 그를 이용한 회선 시험방법 - Google Patents

원격제어 회선시험기 및 그를 이용한 회선 시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840B1
KR100533840B1 KR10-2003-0022511A KR20030022511A KR100533840B1 KR 100533840 B1 KR100533840 B1 KR 100533840B1 KR 20030022511 A KR20030022511 A KR 20030022511A KR 100533840 B1 KR100533840 B1 KR 100533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test
tester
remote control
fa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8607A (ko
Inventor
박희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코스이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코스이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코스이앤아이
Priority to KR10-2003-0022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840B1/ko
Publication of KR20040088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8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50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시 근무자가 없이 운용되는 무인전화국사에 통신회선의 각종시험을 전화국사내의 근무자 도움없이 원격지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시험결과를 음성으로 시험자에게 통보하도록 하여 회선의 불량여부를 판단하고, 불량발생된 회선을 양호한 회선으로 절체할 수 있도록 한 원격제어 회선시험기 및 그를 이용한 회선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원격제어 회선시험기는, 교환기(또는 L/C)와 시내케이블 사이의 배선반에서 국선측 고장회선(주회선) 1회선과 제어회선 1회선 및, 가입자 선로측의 고장선로(주선로) 1회선 및 예비선로 5회선을 각각 접속한 후 각 회선에 대하여 각종 시험을 원격에서 시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교환기와 가입자 선로 사이에 제공되는 주배선반의 국선측 고장회선(주회선)과 제어회선 및, 가입자 선로측의 고장선로(주선로) 및 소정 회선을 가지는 예비선로를 원격제어 회선시험기의 연결단자와 각각 접속하는 과정, 상기 회선 접속 후 고장회선의 이상유무를 확인하여 고장회선측과 고장선로측의 불량여부에 대해 교환기측과 예비선로를 시험하고, 상기 예비선로에 톤신호 송출하는 과정, 상기 톤신호가 수신되는 예비선로를 가입자단자함에 검색한 후, 제어회선에 대해 선로시험전화기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로 다이얼링을 하고, 아이디 입력하는 과정, 상기 아이디 입력 후 상기 원격제어 회선시험기가 대기상태인 경우 측정 대상회선과 시험항목을 순차적으로 선택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원격제어 회선시험기가 절체중 또는 톤·링 신호를 송출하고 있는 경우 대응되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시험항목을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 입력된 측정 대상회선과 시험항목에 대해 시험을 진행하고 시험결과 메시지를 스피커 및 LCD/LED부를 통해 출력하고 시험자에게도 동시에 음성통보하는 과정, 상기 시험 결과 불량인 선로가 있는 경우 상기 예비선로중 양호한 회선으로 원격 절체작업을 실시하고 가입자 호출시험 후 절체된 예비선로로 회선을 재구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무인전화국사에 회선시험을 위하여 최소 2명 1개조의 인원과 시험기가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의 원격제어 회선시험기로만으로 회선의 불량여부에 대한 원격지 시험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종 시험 장비 구매에 따른 경비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선로 고장수리를 작업자 1인이 언제라도 능동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 인력을 절감할 수 있고, 선로 고장시 예비회선으로부터 원격 절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고장선로의 이장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대 고객서비스의 질적향상과 업무 능률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제어 회선시험기 및 그를 이용한 회선 시험방법{Remote Control Circuit Testing Apparatus and Circuit Testing Method}
본 발명은 원격제어 회선시험기 및 그를 이용한 회선 시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화회선의 각종 시험을 별도의 측정기 없이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원격지에서 원격으로 시험기를 제어하여 회선의 불량여부를 판단하고 불량 발생된 회선을 양호한 회선으로 절체할 수 있도록 한 원격제어 회선시험기 및 그를 이용한 회선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전화기 상호의 통신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전화교환기가 설치되는 전화국은 근무자가 상시 근무하고 있는 시내 일반전화국과 평소에는 근무자가 없이 운용되는 농어촌 지역의 무인전화국사가 있으며, 특히 상기 무인전화국사에 수용되어 있는 가입자 전화선로에서 고장이 발생했을 때 이를 시험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2명 1개조로서 1명은 무인전화국사에 대기하고 다른 1명은 가입자측 현장으로 출동하여 회선시험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회선시험 과정은 우선 전화국 고장접수대로부터 고장내역을 받으면 1차로 고장수리요원이 무인전화국사로 출동하여 교환기측과 선로를 분리하여 주배선반(MDF)에서 자체 시험을 실시한다.
상기 자체 시험에 따라 선로측에서 고장이 예측될 경우 가입자댁으로 출동하여 통화 시험을 실시하며, 이때 고장일 경우 당해 통신전주의 단자함(아파트일 경우 MDF, IDF 등)에서 절분시험을 실시하거나, 전화국측에서 고장일 경우에는 일단 예비회선으로 절체 시행한다.
상기 전화국측의 고장으로 인해 예비회선으로 절체한 경우, 무인전화국사로 이동하여 상기 절체한 선번으로 점퍼선을 절체하여 가입자 호출시험을 실시하게 되나, 그 가입자 호출시험에서 가입자가 무응답인 경우 해당 선로도 불량회선으로 간주하여 다른 선로, 즉 공심선으로 절체한 후 다시 가입자 단말기측으로 출동하여 전술한바와 같은 단자함 절분시험과 절체시험 등을 고장수리가 완료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시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회선시험방법은 통상 고장수리요원의 근무형태가 1명이 개별적으로 작업에 임하고 있기 때문에 1명을 협조 받기가 사실상 어려운 실정이며, 이에 따라 1명이 고장회선 시험 및 수리를 위해 가입자 댁내와 무인전화국사를 고장수리가 완료될 때까지 여러번 왕래하여 막연하게 예비선로로 절체 작업과 전화국사의 MDF와 가입자 단말간의 심선대조 등을 수행하여 고장회선을 복구하기 때문에, 인력낭비가 많을뿐 아니라 고장 수리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 고객의 불편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회선시험을 하기 위해서는 시험 항목마다 시험기가 별도로 필요하였고, 각 시험기마다 그 사용방법이 상이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관리 또한 번거로운 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시험기 중에는 운반이 어렵고 휴대가 불편한 시험기들이 있어 시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없는 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측정 대상마다 각각 제공되는 측정기 없이 전화회선의 각종 시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무인전화국사의 MDF에 설치하여 원격지에서 혼자서도 원격제어로 회선의 시험결과를 음성으로 청취하도록 하여 회선의 양부판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원격제어 회선 시험기 및 그를 이용한 회선 시험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격제어 회선시험기는, 교환기(또는 L/C)와 시내케이블 사이의 배선반에서 국선측 고장회선(주회선)과 제어회선 및, 가입자 선로측의 고장선로(주선로) 및 예비선로를 각각 접속한 후 전화회선의 각종 시험을 할 수 있도록 원격제어 회선시험기가 제공되며; 상기 원격제어 회선시험기는, 측정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LCD부; 회선의 잡음 등을 모니터할 때 사용되는 내장 스피커의 음량조절을 위한 볼륨 스위치; 제어회선과 고장회선(주회선)의 고장수리시 가입자전화기와의 통신을 위하여 공급되는 통화용 전지; 상기 원격제어 회선 시험기의 대기상태를 표시하는 'IDLE', 회선이 통화중임을 나타내는 'BUSY', 회선의 Ringing 신호 검출 상태를 나타내는 'RING', 회선시험을 하기 위한 'TEST' 용 LED가 각각 그 제어회선과 고장회선(주회선) 측에 제공되는 상태표시LED부; 시험기의 입력전원 연결상태를 표시하는 전원LED, 회선의 선로측 시험중 상태를 표시하는 시험중LED, 고장회선(주회선)과 예비회선이 시험기에 접속됨을 나타내는 회선의 선로측 선택표시 LED로 구비되는 키이패드 LED부; 각종 시험항목 선택 및 측정대상 회선선택을 위한 키이가 구비된 키이패드; 상기 고장회선(주회선), 가입자 선로측의 고장선로(주선로), 제어에 사용되는 제어회선, 예비선로를 각각 연결하기 위한 회선 연결단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격제어 회선시험기를 이용한 회선 시험방법은, 교환기와 가입자 상호간의 전화선로에 대한 각종 시험을 수행하는 한편 시험 결과 고장난 회선선로를 복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와 가입자 선로 사이에 제공되는 주배선반의 국선측 고장회선(주회선)과 제어회선 및, 가입자 선로측의 고장선로(주선로) 및 소정 회선을 가지는 예비선로를 원격제어 회선시험기의 연결단자와 각각 접속하는 과정, 상기 회선 접속 후 고장회선의 이상유무를 확인하여 고장회선측과 고장선로측의 불량여부에 대해 교환기측과 예비선로를 시험하고, 상기 예비선로에 톤신호 송출하는 과정, 상기 톤신호가 수신되는 예비선로를 가입자단자함에 검색한 후, 제어회선에 대해 선로시험전화기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로 다이얼링을 하고, 아이디 입력하는 과정, 상기 아이디 입력 후 상기 원격제어 회선시험기가 대기상태인 경우 측정 대상회선과 시험항목을 순차적으로 선택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원격제어 회선시험기가 절체중 또는 톤·링 신호를 송출하고 있는 경우 대응되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시험항목을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 입력된 측정 대상회선과 시험항목에 대해 시험을 진행하고 시험결과 메시지를 스피커 및 LCD/LED부를 통해 출력하고 시험자에게도 동시에 음성통보하는 과정, 상기 시험 결과 불량인 선로가 있는 경우 상기 예비선로중 양호한 회선으로 원격 절체작업을 실시하고 가입자 호출시험 후 절체된 예비선로로 회선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시험기만으로 전화회선에 대한 각종 시험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선로 시험용 송수화기만을 가지고도 원격지에 시험기를 원격조작하여 회선의 양부판단을 할 수 있게 되며 고장회선을 예비선로로 절체가 가능하여 즉시 응급복구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회선시험기를 나타내고 있는 전면도 및 후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원격제어 회선시험기를 이용하여 회선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접속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회선시험기가 MDF에 직접 연결되어 회선 시험을 수행하도록 제공되는 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패널부상에 측정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LCD부(102); 회선의 잡음 등을 모니터할 때 사용되는 내장 스피커의 음량조절을 위한 볼륨 스위치(104); 제어회선(122)과 고장회선(주회선)(120)의 상태표시를 위해 통화전지가 정상 공급되며 비 사용중임을 표시하는 'IDLE', 회선이 통화중임을 나타내는 'BUSY', 회선의 Ringing 신호 검출 상태를 나타내는 'RING', 회선시험을 하기 위한 'TEST' 용 LED가 각각 그 제어회선과 고장회선(주회선) 측에 제공되는 상태표시LED부(106); 원격제어 회선시험기(100)의 입력전원 연결상태를 표시하는 전원LED, 회선의 선로측 시험중 상태를 표시하는 시험중LED, 회선의 선로측 선택표시 LED로 구비되는 키이패드 LED부(108); 각종 시험항목 선택 및 측정대상 회선선택을 위한 키이가 구비된 키이패드(110)로 구성된다.
상기 키이패드 LED부(108)의 선택표시 LED는 고장회선(주회선)과 예비회선(1번~5번)이 시험기에 접속됨을 나타내는 LED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키이패드(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0~9'키이, *키이, #키이 및 선택키이로 구성되며, 상기 키이 기능에 대해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 1]
여기서, 상기 절연저항측정, 정전용량측정, AC 전압측정, DC 전압측정은 Tip~Ring 간, Tip~Ground 간, Ring~Ground 간을 측정한다.
또한, 상기 키이 '7'은 C-Message 필터 및 3Khz Flat 필터 선택후 측정하며, 키이 '8'의 톤 송출 버튼은 톤 주파수 선택시에 404, 810, 1004, 2804 Hz, 톤 레벨선택시에는 0,-10,-13, -16 dBm이 송출된다.
또한, 상기 키이 '0'은 DTMF 송출과 측정을 할 수 있는바, 송출시에는 키이패드의 디지트를 DTMF 신호로 송출하며, 측정시에는 전화기측에서 인가되는 DTMF신호를 분석하고 측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측정대상 회선선택 버튼을 위한 선택키이(◀▶)는 조작시에 제어회선교환기측, 고장회선(주회선) 교환기측, 고장선로(주선로)측, 예비회선의 1번 선로부터 5번 선로 지정 및 패스워드변경이 순차적으로 선택되게 된다.
그리고, 후면부에는 상기 고장회선(주회선), 가입자 선로측의 고장선로(주선로), 제어에 사용되는 제어회선, 예비선로를 각각 연결하기 위한 회선 연결단자로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예비선로는 최대 5회선까지 접속할 수 있다.
그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원격제어 회선시험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원격제어 회선시험기(100)에 대해 자체적인 시험방법을 통해 전화회선의 정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바 이를 설명하기로 한다.
첫 번째로, 원격제어 회선시험기(100)의 원격접속 패스워드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선택버튼 조작에 따라 표시된 패스워드 변경을 선택하고, 패스워드를 입력하는데 이때 패스워드를 잘못 입력시 재입력 요구가 발생된다.
두 번째로, 원격접속시에 사용되는 국선인 제어회선(122)의 정상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선택버튼 후 상태표시LED부(106)의 제어회선을 시험하기 위한 LED가 점등되면, 시험 실행을 위해 '#' 버튼을 눌러 시험 실시를 개시한다.
상기 과정에 따라 제어회선(122)이 정상인 경우 LCD부(102)에 ①. 다이얼 톤: OK, 다이얼 톤 디스커넥션(Tone Disconnection) : OK, ②LOOP 전류 : 20.0 mA, ③통화배터리 : -48.7V를 각각 표시하는 내용이 표시된다.
세 번째로, 고장회선(주회선)(120)을 시험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어회선(122) 시험과 마찬가지로 ①. 다이얼 톤: OK, 다이얼 톤 디스커넥션 : OK, ②LOOP 전류 : 20.0mA, ③통화배터리 : -48.7V를 각각 표시하는 내용이 표시된다.
네 번째로, 선로측 고장회선(주선로)(124) 또는 예비선로(126)를 시험하기 위해서는 선택버튼 조작에 따라 고장선로 또는 예비선로를 선택하고 측정하고자 하는 항목에 대응되는 번호를 선택 입력하여 LCD부(102)에 표시되는 내용에 따라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절연저항, 정전용량, AC전압, DC전압 측정에 해당되는 키이 '1','3', '4', '5'를 눌렀을 때는 선택사항이 없기 때문에 측정되지 않게 되며, 키이 '2'를 조작 했을때는 'Tip Ring 값을 쇼트(Short)하세요'라는 메시지 출력에 따라 해당 선로의 Tip-Ring 간을 쇼트(Short)시키게 되면 '쇼트(Short)되었습니다'라는 비트음이 출력되고, LCD부(102)에 측정값이 출력된다.
계속해서, 키이 '6'을 눌렀을 때 상대측에서 톤 송출시에 수신레벨이 '00dBm'으로 표시되며, 키이 '7'을 눌렀을 때는 'C-Message'와 '3K Flat 필터'를 선택하여 조작할 수 있으며 'C-Message' 조작시에 00dBm(dBmP)의 결과값이 출력되고 '3K Flat 필터' 조작시에는 00dBm의 결과값이 출력된다.
키이 '8'을 누르게 되면 주파수와 레벨을 선택할 수 있고, 키이 '9'를 누르게 되면 Ring신호 또는 수화기 방치경고음(Howler)을 선택/중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키이 '0'을 조작하면 실행버튼(#) 조작에 따라 DTMF측정, 송출레벨 설정을 선택할 수 있게 되고, 상기 DTMF측정 선택시 'Low-Tone 레벨:-4.2dBm', High-Tone 레벨:-6.7dBm'가 표시되며, 송출레벨 설정 선택시에는 [1]-4dBm, [2]-10dBm, [3]-15dBm 중 해당번호를 선택할 수 있으며 임의의 번호 선택후 실행버튼을 누르고 송출하고자 하는 다이얼 디지트 번호키를 누르면 변경된 레벨로 송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원격제어 회선시험기(100)의 자체 검사에 따라 정상/비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며, 그 원격제어 회선시험기(100)를 이용하여 전화회선에 대한 각종 시험을 실시할 수 있는 바, 이를 원격제어 회선시험기(100)가 구비되어 구성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제어 회선시험기(100)는 PSTN교환망과 가입자단자함(140) 사이의 시험실 또는 RSS국내에 장착되며, 국선측에 고장회선(주회선)(120)과 제어회선(122)이 연결되며 선로측에는 고장선로(주선로)(124)와 1~5번의 예비선로(126)가 연결된 상태에서 필요시 자체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지에서 시험을 할 수 있도록 바텐스키(선로시험전화기)(130) 또는 이동통신망을 매개로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132)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접속 구성도에서의 원격시험 및 제어방법을 도 1a 내지 도 2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텐스키(130) 또는 이동통신단말기(132)를 이용하여 전화를 하여 제어회선(122)과 접속한 후 다이얼버튼을 이용하여 ID를 입력한다(단계 200 내지 단계 204). 물론, 상기 입력된 ID가 잘못 입력된 경우에는 재입력 메시지 출력과 함께 수회 이상 ID입력이 비정상이면 접속이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회선(122)과 접속이 이루어지면 현재 원격제어 회선시험기(100) 상태가 절체된 경우인지, 톤신호 및 링신호가 송출되었는지를 파악한다(단계 208). 상기 원격제어 회선시험기(100) 상태가 절체되었거나 톤/링신호가 송출되고 있으면 현재 시험기 상태에 대한 메시지를 출력하게 되며, 회선 선택 입력후에는 이후 설명되는 원하는 시험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단계 212 내지 단계216).
여기서, 상기 현재 원격제어 회선시험기(100)의 상태 메시지는 예컨대, 고장회선 선로(또는 예비회선 1~5번)에서 톤/링 신호가 송출중인 경우, '고장회선 선로(또는 예비회선 1~5번)로 톤/링 신호가 송출중입니다'와 '시험하고자 하는 해당 회선 선택은 #을 입력하세요'와 같은 메시지가 송출되거나, 고장회선 선로로 절체된 경우 '고장회선 선로로 절체중이며 해당 회선 선택은 #을 입력하세요', 예비회선 1~5번 선로로 절체된 경우 '예비 선로 1~5번 선로로 절체중이며 해당 회선 선택은 #을 입력하세요'와 같은 메시지가 송출된다.
그러나, 상기 원격제어 회선시험기(100)가 대기상태(Idle)중인 경우에는(단계 210에서 예), 측정대상 회선을 선택하라는 메시지가 제공되고 사용자가 다이얼 버튼으로 회선(즉, 0#:고장선로, 1#~5#:예비선로) 선택을 입력하게 되면 그 선택에 대한 메시지가 출력된다(단계 218내지 단계 222).
상기 회선 선택 후, 시험 항목 입력메시지가 제공되면, 상기 [표 1]에 기재된 시험항목을 수행하기 위해 다이얼버튼에 제공된 버튼을 이용하여 시험항목을 선택하도록 한다(단계 224). 즉, 다이얼버튼의 디지트 1번부터 0번까지, 그리고 특수문자 입력키이중 어느 하나의 디지트를 입력하여 절연저항, 루프저항, 정전용량, AC전압, DC전압, 레벨측정, 노이즈측정, 톤 송출, Ring/Howler송출, DTMF 송출/측정 등과 같은 항목을 선택하며, 이때 시험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 메시지가 출력된다(단계 226, 단계 228).
그러면, 상기 선택된 시험항목에 따라 각각의 시험항목에 대한 측정결과가 LCD부(102) 및 내장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바(단계 230), 몇 개의 디지트 입력에 대해서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시험항목 선택시 '2#(또는 22)'을 입력하였다면 시험진행 후 시험결과 메시지를 송출하는데, 이는 "절연저항 시험결과는, Tip~Ring 간은 3.12㏁, Tip~Ground간은 10㏁ 이상, Ring~Ground 간은 9.56㏁입니다." 와 같이 메시지가 제공되며, 또한, 시험항목 선택시 '4#(또는 44)'를 입력하였다면 시험진행 후 시험결과 메시지를 송출하는데, 이는 'Tip Ring 값을 쇼트(Short)하세요'라는 메시지 출력에 따라 해당 선로의 Tip-Ring 간을 쇼트(Short)시키게 되면 '쇼트(Short)되었습니다'와 함께 '루프저항 시험결과는 230Ω입니다.'라는 비트음이 출력된다.
또한, 키이 '6#(또는 66)'을 다이얼버튼으로 선택하면, "노이즈 측정결과는 -52.98dBm입니다." 와 같이 각각의 시험항목이 선택되면 그 결과를 알려주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시험 항목은 매 항목마다 각각 개별적으로 시험할 수 있으며, 상기 시험항목 중 선로시험의 필수항목으로 지정된 절연저항과 정전용량 그리고 루프저항에 대한 순차적인 시험은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그 결과가 음성으로 송출된다. 예컨대, 소정 자동 시험을 위한 키이(1#이나 11)가 입력되면 "'자동시험입니다', '절연저항 시험결과는 …', '노이즈시험결과는…', '팁링간을 루프하세요', '루프저항 시험결과는…'"와 같이 메시지 출력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시험항목 선택을 위해 원격제어 회선시험기(100) 및 바텐스키(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키이조작이나 다이얼버튼 입력 번호는 동일하게 구성되거나 상이하게 구성되는 바, 예컨대 원격제어 회선시험기(100)의 키이 '1#'은 절연저항을 측정하고 있지만, 바텐스키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1#(또는 11)'은 자동시험을 선택하는 버튼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시험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번호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선택된 항목에 따라 고장회선(주회선)(120)이나 고장선로(주선로)(124)가 불량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선로 절체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선로 절체 작업이 선택되면(단계 232에서 예), 절체 여부에 대한 메시지가 송출되며 절체 작업이 완료되면 그 결과 메시지가 송출되는데, 고장회선(주선로)(124) 선로로 절체한 경우 '고장회선 선로로 절체중'이라는 결과 메시지가 송출되며, 예비선로(126)로 절체한 경우 '예비선로 몇 번 선로로 절체중'이라는 결과메시지가 송출된다(단계 234 내지 단계 238).
전술한 바와 같이, 원격지에 전화회선의 각종 시험을 실시하고 그 양부 판단을 할 수 있다(단계 240).
물론, 상기 시험실시중에 취소버튼(*, 9) 등이 입력되면 진행중인 바로 종료되게 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회선시험기가 MDF에 직접 연결되어 고장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구성된 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도 3에 따르면 교환기(또는 L/C)(150)와 시내케이블 사이에 구비된 MDF(160)에 회선을 접속하는 바, 원격제어 회선시험기(100)의 후면부에 제공된 회선 연결단자를 이용하여 쉽게 연결할 수 있다(단계 300).
상기 원격제어 회선시험기(100)가 MDF(160)에 연결된 상태에서, 각각 교환기측의 고장회선(주회선)(120)과 가입자 선로측의 고장선로(주선로)(124)에 대해 이상유무를 확인한다(단계 302).
그에 따른 고장회선(주회선)(120)과 고장선로(주선로)(124)가 불량일 경우 각각 교환기(150)측과 예비선로(126)를 상대로 시험하고, 1번 예비선로에 톤 신호를 송출한다(단계 304, 단계 306).
상기 송출되는 톤 신호에 따라 가입자 단자함(140)에서 그 톤 신호가 수신되는 1번 예비선로를 확인하고(단계 308), 바텐스키(130; 도 2) 또는 이동통신단말기(132; 도 2)를 이용하여 제어회선(122)으로 다이얼링을 수행한다(단계 310).
이후, 상기 1번 예비선로에 대한 원격시험을 실시하게 되며(단계 312), 이때 상기 1번 예비선로가 불량일 경우에는 다음 예비선로에 대한 시험을 순차적으로 실시한다.
그와 같은 원격 시험에 따라 양호한 예비선로를 확보하게 되면 원격절체 작업을 행하고(단계 314), 그 예비선로를 통해 가입자댁내 인입선을 절체된 예비선로로 단자함에서 재구성하며 가입자 호출시험을 실시한다.
상기 가입자 호출시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MDF(160)에서 상기 절체 표시된 예비선로로 회선을 재구성하여, 통화선로 보수를 마무리한다(단계 316).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격제어 회선시험기 및 그를 이용한 회선 시험방법에 따르면, 종래 전화회선의 각종 시험을 수행할 때 각각 구비되어야 하는 측정기 없이 다양한 시험(예컨대, 절연저항, 루프저항, 정전용량, AC전압, DC전압, 레벨측정, 노이즈측정, 톤 송출, Ring/Howler송출레벨 등)을 단지 바텐스키(선로시험용 송수화기)만을 가지고도 수행할 수 있고, 그 시험결과를 바텐스키를 통하여 음성으로 청취하며 원격지에서 원격 제어시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선로 고장수리를 작업자 1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보수 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선로 고장시 예비회선으로부터 원격 절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선로 보수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업무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회선시험기를 나타내고 있는 전면도 및 후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원격제어 회선시험기를 이용하여 회선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접속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회선시험기가 MDF에 직접 연결되어 회선 시험을 수행하도록 제공되는 실시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회선시험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회선 시험방법을 나타내고 있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원격제어 회선시험기를 이용하여 예비회선으로의 원격 절체작업에 따라 선로 보수방법을 보인 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원격제어 회선시험기, 102 : LCD부,
104 : 볼륨스위치(Monitor), 106 : 상태표시LED부,
108 : 키이패드LED부, 110 : 키이패드,
120 : 고장회선(주회선), 122 : 제어회선,
124 : 고장선로(주선로), 126 : 예비선로,
130 : 바텐스키(선로시험전화기), 132 : 이동통신단말기,
140 : 가입자단자함, 150 : 교환기,
160 : 주배선반(MDF).

Claims (9)

  1. 교환기(또는 L/C)와 시내케이블 사이의 배선반에서 국선측 고장회선(주회선)과 제어회선 및, 가입자 선로측의 고장선로(주선로) 및 예비선로를 각각 접속한 후 전화회선의 각종 시험을 할 수 있도록 원격제어 회선시험기가 제공되며;
    상기 원격제어 회선시험기는, 측정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LCD부; 회선의 잡음 등을 모니터할 때 사용되는 내장 스피커의 음량조절을 위한 볼륨 스위치; 제어회선과 고장회선(주회선)의 고장수리시 가입자전화기와의 통신을 위하여 공급되는 통화용 전지; 상기 원격제어 회선시험기의 대기상태를 표시하는 'IDLE', 회선이 통화중임을 나타내는 'BUSY', 회선의 Ringing 신호 검출 상태를 나타내는 'RING', 회선시험을 하기 위한 'TEST' 용 LED가 각각 그 제어회선과 고장회선(주회선) 측에 제공되는 상태표시LED부; 시험기의 입력전원 연결상태를 표시하는 전원LED, 회선의 선로측 시험중 상태를 표시하는 시험중LED, 고장회선(주회선)과 예비회선이 시험기에 접속됨을 나타내는 회선의 선로측 선택표시 LED로 구비되는 키이패드 LED부; 각종 시험항목 선택 및 측정대상 회선선택을 위한 키이가 구비된 키이패드; 상기 고장회선(주회선), 가입자 선로측의 고장선로(주선로), 제어에 사용되는 제어회선, 예비선로를 각각 연결하기 위한 회선 연결단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회선시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패드는 DTMF 송출/측정, 절연저항, 루프저항, 정전용량, AC전압, DC전압, 레벨측정, 노이즈측정(평가잡음), 톤 송출, Ring/Howler송출 등과 같은 항목을 선택하는 0 ~ 9번 디지트 입력버튼과, 시험 취소버튼인 *(ESC) 디지트 입력버튼과, 실행버튼인 #(ENTER) 디지트 입력버튼과, 제어회선 교환기측-고장회선 교환기측-고장회선 선로측-예비선호(1번부터 5번)-패스워드 변경을 위한 측정대상 회선선택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회선시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선로는 최대 5회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회선시험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회선시험기를 원격 조작하여 시험을 할 수 있도록 바텐스키(선로시험전화기) 또는 이동통신망을 매개로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가 더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회선시험기.
  5. 교환기와 가입자 상호간의 전화선로에 대한 각종 시험을 수행하는 한편 시험 결과 고장난 회선선로를 복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와 가입자 선로 사이에 제공되는 주배선반의 국선측 고장회선(주회선)과 제어회선 및, 가입자 선로측의 고장선로(주선로) 및 소정 회선을 가지는 예비선로를 원격제어 회선시험기의 연결단자와 각각 접속하는 과정,
    상기 회선 접속 후 고장회선의 이상유무를 확인하여 고장회선측과 고장선로측의 불량여부에 대해 교환기측과 예비선로를 시험하고, 상기 예비선로에 톤신호 송출하는 과정,
    상기 톤신호가 수신되는 예비선로를 가입자단자함에 검색한 후, 제어회선에 대해 선로시험전화기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로 다이얼링을 하고, 아이디 입력하는 과정,
    상기 아이디 입력 후 상기 원격제어 회선시험기가 대기상태인 경우 측정 대상회선과 시험항목을 순차적으로 선택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원격제어 회선시험기가 절체중 또는 톤·링 신호를 송출하고 있는 경우 대응되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시험항목을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 입력된 측정 대상회선과 시험항목에 대해 시험을 진행하고 시험결과 메시지를 스피커 및 LCD/LED부를 통해 출력하고 시험자에게도 동시에 음성통보하는 과정,
    상기 시험 결과 불량인 선로가 있는 경우 상기 예비선로중 양호한 회선으로 원격 절체작업을 실시하고 가입자 호출시험 후 절체된 예비선로로 회선을 재구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회선시험기를 이용한 회선 시험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회선과 시험항목에 대한 버튼 입력이 이루어지면 대응되는 메시지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회선시험기를 이용한 회선 시험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항목은 원격제어 회선시험기에 구비된 키이패드의 디지트 1번부터 0번까지 각각 대응되는 절연저항, 루프저항, 정전용량, AC전압, DC전압, 레벨측정, 노이즈측정, 톤 송출, Ring/Howler송출레벨, DTMF 송출/측정을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회선시험기를 이용한 회선 시험방법.
  8. 제 5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회선시험기는 고장회선, 제어회선, 고장선로, 최대 5회선인 예비선로를 주배선반에 연결한 후 상기 시험과정에 의해 전화회선의 불량여부를 자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거나, 또는 바텐스키(선로시험전화기) 및 이동통신망을 매개로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해 제어회선으로의 다이얼링에 따라 원격지에서 원격 조작되어 전화회선의 불량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회선시험기를 이용한 회선 시험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항목은 매 항목마다 각각 개별적으로 시험할 수 있으며, 상기 시험 항목중 절연저항, 정전용량, 루프저항에 대한 순차적인 시험은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그 결과가 음성으로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회선시험기를 이용한 회선 시험방법.
KR10-2003-0022511A 2003-04-10 2003-04-10 원격제어 회선시험기 및 그를 이용한 회선 시험방법 KR100533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511A KR100533840B1 (ko) 2003-04-10 2003-04-10 원격제어 회선시험기 및 그를 이용한 회선 시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511A KR100533840B1 (ko) 2003-04-10 2003-04-10 원격제어 회선시험기 및 그를 이용한 회선 시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607A KR20040088607A (ko) 2004-10-20
KR100533840B1 true KR100533840B1 (ko) 2005-12-07

Family

ID=37370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511A KR100533840B1 (ko) 2003-04-10 2003-04-10 원격제어 회선시험기 및 그를 이용한 회선 시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38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855B1 (ko) 2006-12-26 2009-03-05 한국전력거래소 링신호 발생회선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957B1 (ko) * 2004-05-28 2007-10-24 (주)코아글로벌아이티 선로고장 시험 및 복구방법
KR100771225B1 (ko) * 2005-06-10 2007-10-29 정관식 피에스티엔 망에서의 서비스 상태 테스트 시스템
KR100752350B1 (ko) * 2006-04-21 2007-08-27 (주)서일엔지니어링 Scada 시스템의 연동시험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를구비한 터미널 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855B1 (ko) 2006-12-26 2009-03-05 한국전력거래소 링신호 발생회선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607A (ko) 200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48393A1 (en) Cellular communications test system
US7149285B2 (en) Dynamic, automated double-ended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nd qualifying metallic telecommunication loops
JPH0583377A (ja) 加入者回線試験方式
JPH0795288A (ja) 加入者回線試験装置
WO2009000120A1 (fr) Fonction de test de porteuse de carte d'abonné à bande étroite et procédé de test automatique de ligne d'abonné
PL195939B1 (pl) Sposób i urządzenie do raportowania informacji o stanie ze stałego terminala bezprzewodowego oraz urządzenie stałego terminala bezprzewodowego
KR100533840B1 (ko) 원격제어 회선시험기 및 그를 이용한 회선 시험방법
CN101287038B (zh) 一种能够检测用户电路反极的装置和方法
US4567332A (en) Four-wire telephone system with self-test means
KR100610843B1 (ko) 교환기간 중계선 시험장치 및 그 방법
KR101061877B1 (ko) 무인국사용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EP0691058B1 (en) Self-diagnostic system for cellular-transceiver systems
KR920002955B1 (ko) 애널로그 가입자 설비 시험 방법
JP3369787B2 (ja) 非常電話機システム
US78640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cordless handset is at a base unit
KR100649862B1 (ko) 통신장비 이상경보 전달 시스템
KR930004495B1 (ko) 통신 선로 시험기
KR20070062694A (ko) 회선 점검 장치와 그 회선 점검 방법
KR910005334B1 (ko)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 시험장치
KR100194428B1 (ko) 자동 접속번호 송출전화기에서 병렬 접속된 전화기에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 제공장치 및 방법
KR200191244Y1 (ko) 통합 시험대
JP3458047B2 (ja) 回線試験装置
JPS6318855A (ja) 通信用端末装置の遠隔保守・運用方式
CN101170598B (zh) 共用电话线设备的来电区分方法和装置
KR20070067908A (ko) 선로 시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