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334B1 -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334B1
KR910005334B1 KR1019880017357A KR880017357A KR910005334B1 KR 910005334 B1 KR910005334 B1 KR 910005334B1 KR 1019880017357 A KR1019880017357 A KR 1019880017357A KR 880017357 A KR880017357 A KR 880017357A KR 910005334 B1 KR910005334 B1 KR 910005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subscriber
control unit
exchange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7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226A (ko
Inventor
김영부
이윤주
이종현
이미혜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880017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334B1/ko
Publication of KR900011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 시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 시험장치와 주변의 개략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TECU를 나타낸 상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입자/교환기 인터페이스부 20 : 시험장치
21 : TECU 22 : TEMU
23 : TECA 24 : TBDA
25 : TICA 26 : 인 워드 테스트 릴레이
27 : 아웃 워드 테스트 릴레이 30 : 타임 스위치 유니트
40 : ASMP 50 : 운용자 스테이션
24a, 25a : 병렬 인터페이스부 6b : 릴레이 메트릭스
25b : 입출력 선택 릴레이반 25c : 타임 스위치 회로
본 발명은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입자 선로, 가입자 단말기, 가입자 회로 및 아날로그 중계선 회로에 대한 시험기능을 갖는 가입자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장으로 인하여 가입자가 전화 (또는 교환 시스템을 통하는 모든 통신 수단) 서어비스를 받지 못하는 경우 대부분은 가입자 단말기 자체 고장이라든가 선로 고장, 가입자 회로의 고장 등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이 때문에 교환 시스템은 고장 신고 즉시 이러한 고장 상태를 시험할 수 있어야 하며, 더욱이 가입자 선로나 가입자 회로에 대하여는 가입자로부터 고장신고가 들어오기 전에 주기적인 시험을 수행하여 피측정 가입자의 상태를 운용자에게 알려 주어야 하며 아울러 고장난 선로에 대해서는 수리 요원이 고장난 선로를 쉽게 찾아 효과적으로 선로를 수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기계식 교환 시스템이나 반전자식 교환 시스템 혹은 일부 전자식 교환 시스템에서는 상기와 같은 시험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가입자 회로 및 아날로그 트렁크 시험을 제외한 모든 시험을 교환기와 별도의 장치인 시험대를 설치하여 시험하여 왔다. 그러나 시험대를 이용한 시험 방법으로는 호스트(host)에 수용된 가입자에 대하여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으나 호스트에 멀리 떨어져 무인 운용되는 원격 시스템에 수용된 가입자의 유지보수를 수행하기에는 너무나 비효율적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정확하고 간편하게 가입자 선로, 가입자 단말기, 가입자 회로 및 아날로그 중계선 회로에 대한 고장여부를 검지하고 피측정자가 실제로 통중인가를 확인하는 감청기능을 가지며, 수리 요원이 쉽게 심선을 찾을 수 있도록 테스트론을 송출할 수 있는 시험장치를 구비하여 무인 운용되는 원격 시스템에 수용된 가입자에 대한 유지보수 서비스도 동등하게 제공할 수 있는 교환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 시험장치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교환 시스템은 가입자/교환기 인터페이스부(10), 시험장치 제어유니트(이하 TECU라함)(21)와 측정장치(이하 TEMU라함)(22)로 구성되는 시험장치(20), 타임 스위치 유니트(30), TECU(21)의 상위 프로세서인 유지보수 프로세서(이하 ASMP라 함)(40), 운용자 스테이숀(50)을 구비하고 있다. 가입자 교환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가입자/교환기 인터페이스부(10)는 상기 시험장치(20)로 가입자 선로측의 테스트 버스(A)와 가입자 회로측의 테스트 버스(B)를 집선하여 제공한다.
상기 시험장치(20)에서 TECU(21)는 피측정 가입자 위치 정보와 명령어를 분석하고, 분석된 피측정 가입자 위치 정보와 명령어에 따라, 상기 가입자/교환기 인터페이스부(10)로부터 집선된 테스터 버스(A)(B)중에서 해당 피측정 가입자 선로를 선택하고, 시험 경로를 제공한 후 상기 TEMU(22)로 측정명령을 송축하며, TEMU(22)로부터의 측정결과를 입력하여 고장 유무를 판정하고, 그 결과와 결과치를 상기 ASMP(40)로 송출한다. 실측정 장치인 TEMU(22)는 상기 TECU(21)로부터 제어 명령을 받아 TEMU(22)가 형성하는 시험 경로를 통해 입력하거나 송출한 신호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상기 TECU(21)로 송출하는데, 크게 주시험 모듈(이하 MTMU라 한다)(22-a)와 보조 시험 모듈(이하 ATMU라 한다)(22-b)로 구성한다. MTMU(22-a)는 선로의 교류전압, 직류전압, 저항, 정전용량을 측정하고, ATMU(22-b) 다이얼톤(Dial Tone)과 링백톤(Ring Back Tone) 검출기능, 다이러펄스(Dial Pulse)와 듀얼톤 다중 주파수(Dual Tone Multi-Freguency), 전송손실측정, 전화기 시험(다이얼 퍼스 방식과 듀얼톤 다중 주파수 방식 모두 가능), 테스트톤 송출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ASMP(40)는 상기 운용자 스테이션(50)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TECU(21)로 피측정 가입자 명령어를 전달하고, TECU(21)에서 판정한 고장판정과 결과치를 입력하여 운용자 스테이션(50)으로 전달하는 운용자와 시험장치간의 인터페이스 기능과 필요로 하는 모든 시험 환경을 조성하여 주는 역학을 수행한다.
상기 타임 스위치 유니트(이하 TSU라함)(30)는 시험장치(20)가 수행하는 통화기능이나 가입자 회로의 전송손실 측정을 위한 루프백(loop Back)과 아울러 상기 가입자/교환기 인터페이스부(10), 상기 TECU(21) 및 타 교환 시스템으로 PCM 서브하이웨이(Sub High Way)를 제공하여 준다. 제2도는 상기 TECU(21)의 세부블럭도로서 TECU(21)는 크게 시험장치 제어보드(이하 TECA라 한다)(23), 시험버스 분배보드(이하 TBDA라 한다)(24) 및 시험 인터페이스 제어보드(이하 TICA라 한다)(25)의 세수분으로 구성되는데 TECA(23)는 단일칩 마이크로 컴퓨터를 내장한 PBA로서 운용자 스테이션(50)으로부터 고장유무 판단을 위한 시험요구 신호를 입력받아 명령을 출력하는 상위 프로세서 ASMP(40)로부터 TD-버스(Telephony Device-Bus)를 통하여 받은 피측정 가입자 위치 정보와 명령어를 분석하고 그에 필요한 시험환경을 조성하도록 TBDA(24), TICA(25)를 병렬 인터페이스 포트(Parallel inter face port)를 통하여 제어한다. 또한 ASMP(40)로부터 받은 명령에 따라 실측정 장비인 TEMU(22)로 RS-232C 직렬 인터페이스 포트(Serial inter face port)를 통하여 측정명령을 송출하며, TEMU(22)로부터 그에 해당하는 측정결과치를 입력받아 측정결과치를 근거로 고장 유무를 판정하고 그 결과와 결과치를 ASMP(40)로 송출한다. TBDA(24)는 가입자/교환기 인터페이스부(10)로부터 집선된 가입자 선로측 테스트 버스(A)와 가입자 회로측 테스트 버스(B)중에서 TECA(23)로부터 받은 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피측정 가입자 선로를 선택하여 TICA(25)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TBDA(24)는 크게 TECA(23)와 인터페이스를 위한 병렬 인터페이스부(24a) DHR 16X4릴레이 메트릭스(24b)로 구성되며 교환기에 수용되는 총가입자 수에 따라 확장이 가능하다. TICA(25)는 상기 타임 스위치 유니트(30)에 접속되어 상기 타임 스위치 유니트(30)로부터의 PCM(펄스 부호 변조)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거나 실측정 장비인 TEMU(22)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PCM 데이터로 송신하는 역할을 하며, 피측정 가입자와의 통화기능, 감청기능 및 단말기 시험 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TICA(25)는 크게 TECA(23)와 인터페이스를 위한 병렬 인터페이스부(25a)와 시험 경로 구성을 위한 릴레이 메트릭스(24b), 입출력 선택 릴레이반(25b)과 상기 타임 스위치 유니트(30)로부터 2.048MHz의 클럭과 8KHz 프레임 동기 신호를 입력하며, PCM 데이터 수신경로(Dx,Dr)을 제공 받는 가입자 회로(2/4 변환회로)(25c)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TBDA(24)에 의해 선택된 테스트 버스와 실제 측정을 담당하는 TEMU(22)의 사이에 위치하여 입력된 명령어에 따라 시험 경로를 구성한다. 즉, 인 워드 테스트(in-ward test), 아웃 워드 테스트(out-ward test), 셀프 테스트(self-test)등 테스트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 시험장치는 선로시험의 경우, 가입자 회로 내의 아웃 워드 테스트 릴레이(out-ward test relay)(27)를 거쳐, 상기 TICA(23)로부터 받은 위치 정보를 근거로 해당 피측정 가입자 선로를 상기 TECA(25)로 연결시켜주며, 상기 TICA(25)는 최종적으로 선로의 팁(TIP), (RING)단자를 측정 장비인 MTMU(22a)로 접속시킨다. 가입자 회로 내의 시험 역시 가입자 회로 내에 있는 인-워드 테스트 릴레이(in-ward test relay)(26)를 거쳐 집선된 테스트 버스를 통하여 TBDA(24)와 TICA(25)로 접속되고 최종적으로 ATMU(22b)로 연결된다. 전송손실 측정을 위한 시험 경로의 경우, 상기 ATMU(22b)의 송출단자로 테스트톤을 송출하면 TICA(25) 내에서 테스트톤을 PCM 데이터로 변환하여 서브 하이 웨이 (sub high way)를 통하여 타임 스위치 유니트(30)에 전달된다. 이때 타임 스위치 유니트(30)는 PCM 데이터를 피측정 가입자 회로로 룩백(look back)시켜주며, 피측정 가입자 회로에서는 테스트톤을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상기 ATMU(22b)로부터 송출된 테스트톤을 다시 피측정 가입자 회로의 인 워드 테스트 릴레이(26)를 거쳐 상기 ATMU(22)의 수신단자로 들어오게 되어 전송손실을 측정하게 된다. 호스트(Host)에 수용된 피측정 가입자가 실재 통화중인가를 확인하기 위한 감청 경로의 경우, 통화중인 가입자가 중단되지 않도록 TICA(25)를 동작시키고 피측정 가입자의 아웃 워드 테스트 릴레이(27)를 구동시켜 피측정 선로를 TICA(25)까지 접속시킨다. 이때 TICA(25) 내에 있는 통화 회로를 통하여 운용자 스페이션(50)으로 피측정 가입자와의 통화 경로를 제공하여 준다.
원격 시스템에 수용된 가입자에 대한 감청기능을 수행하기위한 감청 경로의 경우, 원격 시스템은 호스트와 상당히 먼 거리에 떨어져 있기 때문에 호스트에서와 같이 직접 피측정 가입자와 통화 경로를 형성시켜 줄 수 없다. 따라서 TICA(25)로 연결된 2선식 피측정 선로를 PCM 4선으로 변환시켜 타임 스위치 유니트(20)를 거쳐 원거리에 있는 호스트의 타임 스위치 유니트(30)까지 접속시킨다. 이때 호스트의 TICA(25)의 통화 회로에 의해서 4선의 PCM 경로를 2선식 통화 경로로 변화시켜 이를 운용자에게 제공한다. 호스트에 수용된 피측정 가입자와의 통화 경로와 전화기 시험 경로의 경우, 전화기 시험을 수행하기 위하여는 반드시 피측정 가입자와 통화가 필요하며 그에 따라 피측정 가입자 선로를 통하여 운용자에게 피측정 가입자와 통화할 수 있는 통화 경로를 제공해 준다.
원격 시스템에 수용된 가입자에 대한 통화 기능과 전화기 시험 경로의 경우, 운용자와 멀리 떨어져 있는 원격 시스템에 수용된 피측정 가입자와 통화를 하기 위하여는 상기 ATMU(22)로 연결된 피측정 선로를 PCM 4선으로 변환시켜 상기 타임 스위치 유니트(30)를 거쳐 호스트에 있는 TICA(25)까지 접속시키고 TICA(25)의 통화 회로를 통하여 운용자 스테이션(50)으로 피측정 가입자와 통화를 할 수 있는 2선식 통화 경로를 제공해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교환기 시스템에서는 교환기 내부에 시험장치를 구비하여 호스트나 원격 시스템에 수용된 가입자에 관계없이 동일한 시험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보다 완전하고 간편하게 다이알 펄스 방식의 전화기와 듀얼 톤 다중 주파수 방식의 전화기를 시험할 수 있으며 가입자 선로에 대하여 교류전압, 직류전압, 저항, 정전용량 등을 측정하며 측정한 결과값을 근거로 고장판정을 내리며 가입자회로에 대해서는 루프 전류측정, 다이얼톤검출, 다이얼톤 차단검출, 랭백톤검출, 링검출, 링트립(Ring Trip)기능시험, 극성반전시험, 전송손실측정 등과 같은 시험을 할 수 있고, 아날로그 트렁크 회로에서와 OGT(out-going-trunk)에서 상기 기능 수행이 가능하며, 현장에 나가 있는 전공이 쉽게 심선을 찾을 수 있도록 테스트톤을 송출하며, 따라서 교환기 시스템과 전화 회로망의 유지보수 기능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커다란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가입자와 교환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시험장치로 가입자 선로측의 테스터 버스와 가입자 회로측의 테스트 버스를 집선하여 입력 하는 가입자/교환기 인터페이스부(10)와, 상기 가입자/교환기 인터페이스부(10)에 연결되어 피측정 가입자 위치 정보와 명령어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측정 결과치를 판정하며 분석된 피측정 가입자 위치정보와 명령에 따라 상기 가입자/교환기 인터페이스부(10)로부터 집선된 테스트버스 중에서 해당 피측정 가입자 선로를 선택하여 시험 경로를 제공하는 시험장치 제어 유니트(21), 상기 시험장치 제어 유니트(21)와 상기 가입자/교환기 인터페이스부(10)에 연결되어 통화기능이나 가입자 회로의 전송손실을 측정하기 위한 루프백(loop back)과 상기 시험장치 제어 유니트(21) 및 타 교환 시스템으로 PCM 서브하이웨이를 제공하는 타임 스위치 유니트(30), 상기 시험장치 제어 유니트(21)에 연결되어 상기 시험장치 제어 유니트(21)로부터 제어명령을 받아 상기 시험장치 제어 유니트(21)가 제공한 시험 경로를 통해 입력하거나 송출한 신호를 검출, 송출하여 그 결과를 상기 시험장치 제어 유니트(21)로 송출하는 측정장치(22), 상기 시험장치 제어 유니트(21)에 연결되어 상기 시험장치 제어 유니트(21)로 피측정 가입자 정보와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시험장치 제어 유니트(21)에서 판정하는 고장유무 신호를 입력하여 필요에 따라 송출하는 유지보수 프로세서(40), 상기 유지보수 프로세서(40)에서 연결되어 운용자의요구를 상기 시험장치 제어 유니트(21)로 전송하고 상기 시험장치 제어 유니트(21)에서 판정한 고장 유무 신호를 입력하여 운용자에게 표시하는 운용자 스테이션(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제어 장치 유니트(21)가 단일칩 마이크로 컴퓨터를 내장하여 상기 유지보수 프로세서(40)로부터 입력한 피측정 가입자 위치정보와 명령어를 분석하고 그에 필요한 시험환경을 조성하도록 제어명령과 측정 명령을 송출하며 측정장치(22)로부터 해당 측정 결과를 입력하여 그 측정 결과를 근거로 고장유무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를 유지보수 프로세서(40)로 송출하는 시험장치 제어보드(23), 상기 시험장치 제어보드(23)에 연결되어 가입자/교환기 인터페이스부(10)로부터 집선된 가입자 선로측 테스트 버스와 가입자 회로측 테스트 버스 중에서 상기 시험장치 제어보드(23)로부터 위치 정보를 입력하여 해당피측정 가입자 선로를 선택하는 시험버스 분배보드(24), 상기 시험장치 제어보드(23)와 시험 버스 분배보드(24)에 연결되어 타임 스위치 유니트(30)로부터의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거나 측정장치(22)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PCM으로 송신하여 피측정 가입자와의 통화 기능 감청 기능 및 상기 시험 버스 분배보드(24)에서 선택한 단말기 시험 경로를 제공하는 시험 인터페이스 제어보드(2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시스템의 가입자 시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버스 분배보드(24)가 상기 시험장치 제어보드(23)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병렬 인터페이스부(24a)와 다수개의 행과 열을 갖는 릴레이 메트릭스(26b)로 구성되고, 교환기에 수용되는 총가입자의 수에 따라 확장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 시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인터페이스 제어보드(25)가 상기 시험장치 제어보드(23)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병렬 인터페이스부(25a), 상기 병렬 인터페이스부(25a)에 연결되고 상기 시험버스 분배보드(24)에 의해 선택된 테스트 버스와 측정을 행하는 측정장치(22)와의 사이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명령어에 따라 시험경로를 구성하는 입출력 선택 릴레이반(25b)과, 상기 입출력 선택 릴레이반(25b)에 연결되어 타임 수위치 유니트(30)로부터 클럭과 프레임 동기 신호를 입력하며 PCM 데이터 경로를 제공받는 가입자 회로(25c)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 시험장치.
KR1019880017357A 1988-12-23 1988-12-23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 시험장치 KR910005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7357A KR910005334B1 (ko) 1988-12-23 1988-12-23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7357A KR910005334B1 (ko) 1988-12-23 1988-12-23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226A KR900011226A (ko) 1990-07-11
KR910005334B1 true KR910005334B1 (ko) 1991-07-25

Family

ID=19280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7357A KR910005334B1 (ko) 1988-12-23 1988-12-23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3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5640A (ko) * 1998-12-30 2000-07-25 김영환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 정합 장치 및 그 점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226A (ko) 1990-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5197A (en) Method and apparatus as for testing a telephone line interface card
US5073919A (en) Automatically testing telephone lines
CA1313717C (en) D channel monitor
US6163595A (en) Way finding with an interactive faceplate
JP3672397B2 (ja) 移動体通信端末とドッキング可能なガス検知装置
US4910760A (en) Network verification evaluation testing system
US5596623A (en) Testing and complaint accepting communication unit
KR910005334B1 (ko)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 시험장치
KR101499863B1 (ko) 집중형 배선반의 통신선 체크 시스템
US47291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ervising the accessing and testing of communication systems
KR920002955B1 (ko) 애널로그 가입자 설비 시험 방법
KR920000080B1 (ko) 다기능 포터블 선로 시험기
CN108810288A (zh) 一种变电站电话系统的自动监测系统及监测方法
KR970002777B1 (ko)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 시험 장치
KR100315643B1 (ko) 아날로그회선의가입자선로및가입자회로시험장치
KR100270677B1 (ko) 아나로그 가입자 테스트 모듈을 이용한 교환기의 가입자 시험장치
KR910005333B1 (ko) 가입자 시험장치의 제어회로
KR970011437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중계선 시험 정합장치
RU6486U1 (ru)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контроля состояний абонентских телефонных линий
KR960001089B1 (ko) 시스템 상태 감지 및 시험장치
KR910005332B1 (ko) 종합 원격정보 서비스 시스템
KR0143046B1 (ko) 교환기에서의 톤 송수신카드 시뮬레이션 방법
KR20000004579A (ko) 사설교환기에서 아날로그 인터페이스 정상 동작 여부 확인 방법
KR100308924B1 (ko) 복합 가입자 선로 시험대
SU1584118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телефонной стан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7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