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8924B1 - 복합 가입자 선로 시험대 - Google Patents

복합 가입자 선로 시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8924B1
KR100308924B1 KR1019990062173A KR19990062173A KR100308924B1 KR 100308924 B1 KR100308924 B1 KR 100308924B1 KR 1019990062173 A KR1019990062173 A KR 1019990062173A KR 19990062173 A KR19990062173 A KR 19990062173A KR 100308924 B1 KR100308924 B1 KR 100308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line
unit
digital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2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4055A (ko
Inventor
강석환
이종완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62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8924B1/ko
Publication of KR20010064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9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6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means for applying test signals or for measuring
    • H04M3/28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 H04M3/30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for subscriber's lines, for the local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4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 H04M3/244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for multiplex systems
    • H04M3/245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for multiplex systems for ISD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0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OAM&P
    • H04M2203/05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OAM&P loopback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1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the purpose or context of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1033Remote administration, e.g. of web ser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교환기의 운용 및 유지 보수를 위하여, 가입자 선로의 특성을 시험하는 시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날로그 및 디지털 가입자 선로 그리고, 해당되는 전화기 또는 단말기의 특성을 모두 시험할 수 있는 가입자 선로 시험대에 관한 것이며, 교환기로부터 인출되는 다수의 시험선과 연결되어 하나의 시험선을 선택 접속하고 릴레이 매트릭스부를 통하여 접속된 가입자 선로와 임피던스 정합 및 반향 제거를 하는 디지털 가입자 정합부와, 상기 디지털 가입자 정합부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중에서 제어채널의 신호를 추출 및 처리함과 동시에 시험 패턴의 데이터를 상기 제어채널에 인가하는 에치디엘시부와, 상기 디지털 가입자 정합부의 상태를 감시 및 제어하며 루프백 기능을 수행하는 타임 스위치와, 가입자 선로에 인가할 시험 패턴을 생성하여 상기 타임 스위치에 인가함과 동시에 루프백 되어 돌아온 시험 패턴을 수신하는 시험 패턴 발생부와, 상기 디지털 가입자 정합부를 통하여 장애 발생한 가입자 선로와 접속 및 통화하도록 하는 모드 변환부로 구성되는 복합 가입자 선로 시험대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 가입자 선로 시험대{A DEVICE OF TESTING COMPLEX SUBSCRIBER LINE}
본 발명은 전자 교환기의 운용 및 유지 보수를 위하여, 가입자 선로(Line)의 특성을 시험하는 시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날로그 및 디지털 가입자 선로 그리고, 해당되는 전화기 또는 단말기의 특성을 모두 시험할 수 있는 가입자 선로 시험대에 관한 것이다.
교환기의 가입자별 통신 선로 및 해당 전화기의 고장 발생 상태를 원격으로 확인 할 수 있는 시험대가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하는 것을 가입자 선로 시험대라 하고, 교환기에 가입되는 전화기 또는 단말기와 통신 선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날로그 및 고속의 디지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용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교환국사에 운용자 들이 시험하는 시험대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의 특성 차이에 의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가입자 선로 시험대로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의 단말기와 통신 선로 특성을 모두 시험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가입자 선로 시험대를 설명한다.
도1 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입자 선로 시험대의 연결 구성 및 기능 블록도 이다.
상기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입자 선로 시험대는,일반 가입자용 아날로그(Analog) 전화기 또는 단말기(10)와,
상기 단말기(10)와 연결되어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선로(20)와,
상기 통신 선로(20)를 통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10)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가입자 통신 선로와의 접속을 선택 제어하는 제1 릴레이 매트릭스(Relay Matrix)(32); 상기 제1 매트릭스(32)를 통하여 가입자 단말기(10)와 접속되고,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가입자 회로(34); 상기 제1 매트릭스(32)와 연결되어 상기 통신 선로(20)의 상태를 시험 및 제어하는 선로시험 제어부(36); 각 기능부를 제어 및 관리하여 운용하는 유지보수 제어부(OMP: Operation & Maintenance Processor)(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교환기(30)와,
상기 유지보수 제어부(OMP)(38)에 연결되어 상기 교환기(30)의 각 기능부를 감시하고 제어하며 원활한 운용 및 유지 보수에 필요한 정보를 입출력하는 운용자 터미널(40)과,
상기 교환기(30)를 통하여 상기 가입자 통신 선로(20)의 고장을 접수하는 고장 접수부(50)와,
상기 선로 시험 제어부(36)와 접속되는 다수의 경로를 선택 제어하는 제2 릴레이 매트릭스(62); 상기 제2 매트릭스(62)와 연결되어 해당되는 장애 발생 선로(20)의 전기적인 아날로그 특성을 시험하는 시험부(64)로 이루어지는 선로 시험대(60)와,
상기 아날로그 시험부(64)에 연결되어 시험 통화 및 운용 요원의 업무용 통신 전화기로 사용되는 시험용 단말기(15)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가입자 선로 시험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고장 접수부(50)를 통하여 다수의 가입자 선로(20) 중에서 어느 특정한 가입자 선로(20)에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접수되면, 시스템 운용자는 상기 운용자 터미널(40)을 통하여 현황 파악을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하므로써, 상기 제1 릴레이 매트릭스(Relay Matrix)(32)를 제어하여, 상기 장애가 발생한 가입자 선로(20)와 가입자 회로(34)와의 접속을 해제하고, 상기 가입자 선로(20)와 선로 시험 제어부(36)가 접속 및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선로 시험 제어부(36)는 상기 제1 매트릭스(32)를 통하여 접속된 가입자 선로(20)의 저항(Resistance), 캐패시턴스(Capacitance) 성분 및 선로의 개방(Open) 또는 쇼트(Short) 등과 같은 전기적 특성 시험을 한 후, 해당 데이터 신호를 상기 선로 시험대(60)의 제2 릴레이 매트릭스(Relay Matrix)(62)를 통하여 상기 시험부(64)에 인가된다.
상기 시험부(64)는 상기 선로 시험 제어부(36)로부터 인가 받은 데이터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가입자 선로(20)의 상태가 개방(Open) 또는 쇼트(Short) 또는 다른 선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었는지 등을 판단한 후, 상기 판단된 결과를 상기 제2 매트릭스(62) 및 선로 시험 제어부(36)에 다시 인가하여, 상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선로를 경유하므로써, 상기 유지보수 제어부(OMP)(38)에 통보 되도록 한다.
상기 교환기(30)와 고장접수부(50)를 연결하는 선로를 일 실시예로서 48 회선이 연결되어 신속한 고장 접수를 가능하게 하고, 상기 선로 시험 제어부(36)와 제2 매트릭스(62) 사이에는, 일 실시예로서 4회선이 연결되어 있어, 상기 고장 접수된 가입자 선로(20)를 선택하면서 시험할 수 있다.
상기 시험용 전화기(15)는 선로 시험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거나 또는 운용자 사이에 유지보수 및 업무용으로 사용되는 통신 단말기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작용을 다시 요약하여 설명하면, 선로(20) 등에 장애가 발생하고 어떠한 장애인지를 확인할 수 없는 가입자에 의한 고장 신고를 상기 고장 접수부(50)에서 운용요원이 접수하고, 상기 접수를 받은 운용자는 상기 운용자 터미널(40)을 이용하여 필요한 제어 명령을 입력하므로써, 상기 제1 매트릭스(32)를 제어하고, 상기 장애 발생한 특정 가입자 통신 선로(20)가 교환기(30)의 가입자 회로(34) 보드와 연결됨을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선로 시험 제어부(36)와 접속되어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선로 시험 제어부(36)는 상기 제1 매트릭스(32)를 통하여 접속되고, 장애 발생 신고된 가입자 선로(20)의 전기적인 특성, 즉, 선로의 저항성분, 캐패시턴스 성분 및 개방과 쇼트의 여부 등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운용요원이 상기 장애가 발생한 가입자 선로(20)의 상태를 시험통신을 통하여 확인하고자하는 경우, 상기 시험용 전화기(15)를 이용하여, 시험부(64), 제2 매트릭스(62), 선로 시험 제어부(36) 및 제1 매트릭스(32)를 통하여 상기 해당 선로(20)와 연결되므로써 시험통화를 할 수 있고, 상기 선로(20)를 통하여 통신되는 신호의 품질을 확인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제1 매트릭스(32)를 제어하여장애발생 가입자 선로(20)와 상기 가입자 회로(34)를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가입자 선로(20)의 가로채기를 통하여 감청 또는 도청 하므로써, 상기 장애발생 가입자 선로를 통하여 통신되는 신호의 품질을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측정되고 판단된 장애 발생 선로(20)의 데이터 신호를 상기 선로 시험대(60)의 제2 매트릭스(62)를 통하여 상기 시험부(64)에 인가하고, 상기 시험부(64)는 상기 인가 받은 데이터 신호를 분석 및 처리하여, 구체적인 장애 증상을 판단하고, 선로에 이상이 없는 경우는 가입자 단말기(10)의 저항성분 등을 확인하여 단말기(10)의 이상 여부까지 확인할 수 있다.
운용자 터미널(40)은 교환기 시스템의 유지보수 상태를 확인 및 상기 유지보수 제어부(OMP)(38)를 통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본 시험대에서 가입자의 선로 상태를 시험하기 위하여 내부시험 경로를 만들어 주기 위해 운용자가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운용자는 상기의 가입자 선로 시험대(60)의 시험부(64)에 표시된 상기의 표시 상황을 확인한 후, 유지보수 요원을 통하여 필요한 보수 조치를 하도록 하고, 해당 장애를 신고한 가입자에게는 상황을 설명하여 신뢰도를 제고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가입자 선로 시험대는 저항 및 캐패시턴스 등과 같은 전기적 특성만을 측정하여 분석하므로써, 가입자 선로의 개방 또는 쇼트, 단말기의 고장 등과 같은 것만을 측정할 수 있고, 세부적인 장애 내역의 판단은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ISDN 전화기 또는 컴퓨터와 같은 ISDN 단말기를 사용하는 가입자용 ISDN 선로의 특성 측정이 불가능하며, ISDN 단말기의 이상 유무 및 특성 측정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선로 시험대에 ISDN 가입자 정합부, HDLC부, 타임 스위치부, 시험패턴 발생부, 비교판정부, 모드 변환부, CPU 및 메모리로 이루어진 ISDN 시험부를 부가하여, 루프가 형성된 선로에 디지털 시험 패턴을 인가하고 되돌아오는 상태를 비교 판정하므로써, 선로의 품질에 나쁜 영향을 주는 데이터 전송 오류, 지터 등을 측정하여 디지털 통신구간에서의 서비스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장애 발생 선로를 확인할 수 있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가입자 선로 시험대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교환기로부터 인출되는 다수의 시험선과 접속되어 하나의 시험선을 선택하는 제2 및 제4 매트릭스 릴레이와, 상기 제2 매트릭스 릴레이와 접속되어 가입자 선로의 전기적 특성을 시험하는 아날로그 시험부와, 상기 제4 매트릭스 릴레이와 접속되어 디지털 가입자 선로 및 단말기의 품질 특성을 시험하는 디지털 시험부로 구성되고, 상기 디지털 시험부는, 교환기로부터 인출되는 다수의 시험선과 연결되어 하나의 시험선을 선택 접속하고 릴레이 매트릭스부를 통하여 접속된 가입자 선로와 임피던스 정합 및 반향 제거를 하는 디지털 가입자 정합부와, 상기 디지털 가입자 정합부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중에서 제어채널의 신호를 추출 및 처리함과 동시에 시험 패턴의 데이터를 상기 제어채널에 인가하는 에치디엘시부와, 상기 디지털 가입자 정합부의 상태를 감시 및 제어하며 루프백 기능을 수행하는 타임 스위치와, 가입자 선로에 인가할 시험 패턴을 생성하여 상기 타임 스위치에 인가함과 동시에 루프백 되어 돌아온 시험 패턴을 수신하는 시험 패턴 발생부와, 상기 디지털 가입자 정합부를 통하여 장애 발생한 가입자 선로와 접속 및 통화하도록 하는 모드 변환부로 구성되는 디지털 가입자 선로 시험대를 특징으로 한다.
도1 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입자 선로 시험대의 연결 구성 및 기능 블록도 이고,
도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가입자 선로 시험대 연결 구성 및 기능 블록도 이고,
도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가입자 시험부의 상세 기능 블록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15,17 : 단말기 20,25 : 가입자 선로
30,70 : 교환기 32,62,72,82 : 릴레이 매트릭스
34,74 : 가입자 회로 36,76 : 선로 제어부
38 : 유지보수 제어부 40,86 : 운용자 터미널
50 : 고장 접수부 60,80 : 선로 시험대
64,84 : 시험부 200 : 디지털 가입자 정합부
210 : HDLC부 220 : 메모리부
230 : 제어부 235 : CPU
240 : 타임스위치 250 : 시험 패턴 발생부
260 : 비교판정부 270 : 모드 변환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가입자 선로 시험대를 설명한다.
도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가입자 선로 시험대 연결 구성 및 기능 블록도 이고, 도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가입자 시험부의 상세 기능 블록도 이다.
상기의 첨부된 도면에서 종래의 기술 설명에서 참조된 기능블록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기능블록은 동일한 부재 번호를 사용하였다.
상기의 도2를 참조하면, 디지털 가입자 선로 시험대의 연결 상태는, 일반 아날로그 제1 가입자 전화기 또는 단말기(10)와,
상기 일반 전화기 또는 단말기(10)와 연결되는 제1 선로(20)와,
상기 제1 선로(20)와 접속되고 인가 받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경로를 선택하는 제1 매트릭스(32)와,
상기 제1 매트릭스(32)에 의하여 상기 제1 선로(20)와 경로가 연결되고, 아날로그(Analog)로 신호를 처리하는 아날로그 가입자 회로(34)와,
일반 가입자가 사용하는 제2 아날로그 가입자 단말기(17)와,
디지털 전송 선로를 통하여 인가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음성통신 및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신호를 추출하는 제1 엔티(NT: Network Termination)(92)와,
상기 제1 엔티(NT)(92)에 접속되는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컴퓨터(PC) 또는 ISDN 전화기(Phone)로 이루어지는 제1 ISDN 단말기(94)와,
상기 제1 엔티(NT)(92)와 접속되어 디지털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선로(25)와,
상기 제2 선로와 접속하고,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경로(Path)를 변경 선택하는 제3 매트릭스(72)와,
상기 제3 매트릭스(72)와 접속되고 인가되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가입자 회로(74)와,
상기 제1 매트릭스(32)의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매트릭스(32)에 의하여 상기 제1 선로(20)와 경로(Path)가 연결되는 아날로그 선로 시험 제어부인 제1 선로 제어부(36)와,
상기 제3 매트릭스(72)의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제3 매트릭스(72)에 의하여 상기 제2 선로(25)와 경로(Path)가 연결되는 디지털 선로 시험 제어부인 제2 선로 제어부(76)와,
상기 각 기능부를 감시하고 제어하며 운용 및 유지보수 기능을 하는 유지보수 제어부(OMP: Operational & Maintenance Processor)(38)와,
상기 유지보수 제어부(38)와 접속되며 운용자와 시스템 사이에 의사 전달하는 MMI(Man Machine Interface) 기능의 제1 운용자 터미널(40)과,
상기 제1 선로 제어부(36) 및 제2 선로 제어부(76)에 병렬로 연결되고 일 실시예로서, 4회선 용량의 시험선(27)과,
상기 시험선(27)에 접속되고 상기 4회선의 시험선 중에서 하나의 회선과 접속하는 제2 매트릭스(62)와,
상기 제2 매트릭스(62)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선로의 전기적 특성, 일 실시예로서, 직류 전압, 교류 전압, 루프 선로 저항, 캐패시턴스, 선로의 개방 및 단선 등의 특성을 시험하는 아날로그 시험부(64)와,
상기 아날로그 시험부(64)에 접속되어 운용자의 시험 통화용으로 사용되는 시험용 단말기(15)와,
상기 4회선의 시험선(27)에 병렬 연결되며, 하나의 회선을 선택 및 연결하는 제4 매트릭스(82)와,
상기 제4 매트릭스(82)에 접속되며, 상기 제2 선로(25) 및 제1 ISDN 단말기(94)의 품질 특성을 디지털 신호로 시험하는 디지털 시험부(84)와,
상기 디지털 시험부(84)에 접속되어 상기 제1 ISDN 단말기(94)와 시험통화를 할 수 있는 제2 ISDN 단말기(96)와,
상기 디지털 시험부(84)와 RS-232C 선로를 통하여 접속되어 디지털 가입자의 시험을 위한 제어 명령의 입력 및 결과를 확인하는 제2 운용자 터미널(86)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 중에서, 제1 매트릭스(32), 아날로그 가입자 회로(34), 제3 매트릭스(72), 디지털 가입자 회로(74), 제1 및 제2 선로 제어부(36,76), 유지보수 제어부(38)가 포함되어 교환기(70)를 구성하고,
제2 매트릭스(62), 제4 매트릭스(82), 아날로그 시험부(64), 디지털 시험부(84)는 선로 시험대(80)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가입자 선로 시험대의 아날로그 부분은 종래 기술의 설명에서 설명되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필요한 부분만 설명하며, 디지털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ISDN 단말기(94) 또는 제2 단말기(17)와 통신을 할 수 없다는 장애 발생 또는 고장 신고가 상기 고장 접수부(50)를 통하여 접수되면, 운용자는 상기 제1 운용자 터미널(40)에 유지 보수용 제어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의 제어 신호를 인가 받은 유지보수 제어부(38)는 상기 제2 선로 제어부(76)에 관련되는 제어 신호를 인가하게 되며, 상기 제2 선로 제어부(76)는 상기 제3 매트릭스(72)를 제어하므로써, 상기 제3 매트릭스(72)는, 상기 제2 선로(25)가 디지털 가입자 회로(74)와 접속되어 있는 경로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제2 선로 제어부(76)와 경로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제2 선로 제어부(76)는 상기 시험선(27)을 상기 제1 선로 제어부(36)와 병렬 연결하여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제1 선로(20)는 현재 장애 발생이 없는 상태이므로, 상기 제1 선로 제어부(36)는 동작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상기 시험선(27)에는 상기 선로 시험대(80)의 제2 매트릭스(62)와 제4 매트릭스(82)가 병렬 연결되어 있으며, 가입자의 시험경로는 상기 유지보수제어부(OMP)(38)로부터 운용자가 입력하고, 상기 제2 선로 제어부(76)를 통하여 인가되는 해당 제어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4 매트릭스(82)가 동작하여 상기 디지털 시험부(84)와 경로를 형성한다.
즉, 상기 제2 선로(25)와 상기 디지털 시험부(84)는 제3 매트릭스(72), 제2 선로 제어부(76), 시험선(27) 및 제4 매트릭스(82)를 경유하여 경로(Path)가 형성된다.
이때, 운용자가 상기 제2 운용자 터미널(86)을 이용하여, 필요한 시험항복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디지털 시험부(84)는 다양한 디지털 신호로 이루어지는 시험용 디지털 패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와 같이 형성된 루프 경로를 통하여 상기 제2 선로(25)에 디지털 패턴 신호가 인가된 후, 루프 백(Loop Back)에 의하여 반사되는 신호를 상기 디지털 시험부(84)가 수신하여, 상기 제2 선로의 신호 전송 특성, 장애 발생 채널 또는 장애 구간, 상기 제2 단말기(17) 또는 제1 ISDN 단말기(94) 그리고 제1 엔티(NT)(92)의 이상 유무를 확인 및 시험할 수 있고, 그 결과는 상기 제2 운용자 터미널(86)에 표시되어 운용자가 확인 및 필요한 수리 조치를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 구간 및 선로의 장애가 복구된 제2 선로(25)의 최종확인은, 운용자가 시험대의 상기 제2 ISDN 단말기(96)를 이용하여 고장 접수된 가입자와 통화를 하여 확인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디지털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2 선로(25) 및 제1 엔티(NT)(92) 또는 단말기의 장애를 정확하게 시험할 수 있는 디지털 패턴 신호를발생하고 수신하는 디지털 시험부(84)를 첨부된 도3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의 첨부된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시험부(84)는, 교환기(70)로부터 인출되는 다수의 시험선(27)과 연결되어 하나의 시험선로(27)를 선택 접속하는 릴레이 매트릭스부(82)를 통하여 접속되고, 장애가 발생한 제2 가입자 선로(25)와 임피던스(Impedance) 정합(Matching) 및 반향(Echo) 제거(Cancelling) 기능을 하고 디지털 신호 전용의 엘티(LT: Line Termination) 모드(Mode)로 작용하는 ISDN 디지털 가입자 정합부(200)와,
상기 디지털 가입자 정합부(200)로부터 IOM-2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인가되는 2B+D 채널의 데이터 중에서, D 채널 또는 제어채널의 시그널링(Signaling)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인 제어 신호를 추출 및 처리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시험 패턴 발생부(250)로부터 발생하고 역시 후술하는 타임 스위치(240)를 통하여 인가되는, 디지털 시험 패턴(Test Pattern)의 데이터(Data)를 상기 제어채널에 인가하여 상기 디지털 가입자 정합부(200)에 출력되도록 하는 에치디엘시부(HDLC: High Level Data Link Control)(210)와,
상기 디지털 가입자 정합부(200)의 상태를 IOM-2 버스를 통하여 감시 및 제어하며 각 통신 채널이 루프백(Loop Back)을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타임 스위치(Time Switch)(240)와,
상기 장애가 발생하여 시험할 제2 가입자 선로(25)에 인가할 시험 패턴(Test Pattern)을 생성하고, 상기 타임스위치(240)에 인가함과 동시에 루프백(Loop Back) 되어 돌아온 시험 패턴(Test Pattern)을 수신하는 시험 패턴 발생부(250)와,
상기 시험패턴부(250)로부터 인가 받은 것으로, 처음 발생(Generation) 시킨 시험 패턴(Test Pattern)과 상기 장애가 발생한 제2 선로(25)에 인가되고 루프백(Loop Back) 된 경로(Path)를 통하여 되돌아온 시험 패턴(Test Pattern)을 비교하므로서, 상기 두 신호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장애가 발생하였음을 판정하고, 해당 장애 발생 상태를 확인하여 중앙처리부(235)에 통보하는 비교판정부(260)와,
디지털 시험부(84)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Program), 일 실시예로서, 각종 기능부의 초기화 프로그램, LAPD(Link Access Procedure on D-Ch),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등이 저장되어 있는 롬(ROM)(222) 및 각종 운용 파라메터가 저장되어 있는 램(RAM)(224)으로 이루어지는 메모리부(220)로부터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인가 받아 동작하는 중앙처리부(235)와,
상기 중앙처리부(235)의 제어에 의하여 각 기능부가 필요로 하는 통신 신호를 생성하여 공급하는 제어부(230)와,
상기 디지털 가입자 정합부(200)와 IOM-2 버스로 연결되고, 상기 디지털 가입자 정합부(200)를 통하여 장애 발생한 제2 가입자 선로(25)와 접속된 제2 단말기(17) 또는 제1 ISDN 단말기(94)와 통화하도록 하는 모드 변환부(27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드 변환부(270)는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는 LT(Line Termination)와 통신신호를 추출하는 NT(Network Termination) 사이에 신호를 변환하는 NT/LT 변환부(272)와; 상기 NT/LT 변환부의 작용에 의하여 변환된 신호의 동기를 위하여, 모드변환에 따른 새로운 타이밍 및 타임슬롯 재할당을 제공하는 채널 스위치부(274)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가입자 선로 시험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2 가입자 선로(25)에 장애가 발생하고, 장애 신고가 상기 고장 접수부(50)에 접수되어 경로(Path)가 연결되는 상세한 과정을 상기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고,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시험부(84)의 작용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4 매트릭스(82)를 통하여 장애가 발생한 제2 선로(25)와 연결된 디지털 시험부(84)는 엘티(LT) 모드의 디지털 가입자 정합부(200)를 통하여 임피던스 정합(Impedance Matching), 반향 제거(Echo Cancelling), 2개의 통신 채널과 하나의 데이터 채널인 2B+D의 채널 정합 기능을 하고, IOM-2 버스를 이용하여 각 기능부와 접속된다.
상기 HDLC부(210)는 디지털 가입자 정합부(200)로부터 출력되는 2B+D 채널 중에서 D 채널의 데이터만 추출하여 처리하고, 동시에 상기 D 채널에 장애 선로의 진단에 필요한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또는 제어 신호를 해당되는 각 기능부에 전송하는 것으로써, 상기 타임 스위치부(240)에서 2B+D, D, B1 또는 B2 채널을 순서적으로 선택하여 루프백(Loop Back) 되도록 하고, 각 순서마다 상기 시험 패턴 발생부(250)로부터 발생되는 다수의 패턴, 일 실시예로서, 55 패턴, AA 패턴, 랜덤 패턴, PRBS 패턴 또는 CRC-16 패턴 등 중에서 하나의 패턴을 상기 타임스위치부(240)를 통하여 인가 받게 된다.
상기 타임 스위치부(240)를 통하여 인가 받은 시험 패턴 및 선택된 채널의 루프백 신호를 상기 D 채널 또는 B 채널에 삽입하여 상기 디지털 가입자 정합부(200)에 인가하면, 제4 매트릭스(82) 및 시험선(27), 제2 선로 제어부(76), 제3 매트릭스를 통하여 제2 선로(25)에 인가되고, 제1 NT(92)에서 제어된 채널의 루프백을 형성한 후, 시험 패턴을 루프백 되어 다시 상기 디지털 시험부(84)로 인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루프백 되어 돌아온 시험 패턴의 신호를 상기 디지털 가입자 정합부(200)를 통하여 수신하고, HDLC부(210)에서 추출한 후, 타임 스위치부(240)를 통하여 상기 시험 패턴 발생부(250)에 인가된다.
상기와 같이 루프백 되어 되돌아온 시험패턴 신호를 인가 받은 상기 시험 패턴 발생부(250)는 송신하였던 시험 패턴과 수신된 시험 패턴을 상기 비교판정부(260)에 인가하면, 상기 비교판정부(250)에서는 발생된 패턴과 수신된 패턴의 차이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지 판단하고 차이의 발생 정도에 의하여 상기 제2 선로(25) 또는 해당 채널에 연결된 단말기의 장애 정도를 판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CPU(235)는 상기 타임 스위치(240)를 제어하여, 상기 D 채널에 상기 제1 ISDN 단말기(94)를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응답 신호를 확인하므로써, 상기 제1 ISDN 단말기(94)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제1 NT(92)에 최대 8개 까지의 하부주소(Sub Address)에 의한 고유 번호로 연결되는 상기 제1 ISDN 단말기(94)를 상기 HDLC부(210)의RR(Receive Ready) 프레임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판정된 장애를 상기 중앙처리부(235)에 통보하면, 상기 중앙처리부(235)에서는 상세하게 분석 처리하여 운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RS-232C 선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운용자 터미널(86)에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타임스위치부(240)에서 2B+D 채널, D 채널, B1 채널 또는 B2 채널을 순서적으로 선택하여 루프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시험 패턴부에서 발생되는 패턴을 루프백 되도록 하므로써, 송신 패턴과 수신 패턴의 차이를 상기 비교판정부(260)에서 비교판단 및 판정하고, 상기 CPU(235)에 의하여 상기 제2 운용자 터미널(86)에 표시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작용을 전체적으로 다시 설명하면, 고장접수부(50)로 고장 신고가 접수되고, 운용자에 의하여 해당 가입자 선로의 시험 경로를 상기 OMP(38)의 제어에 의하여 연결한다. 즉, 상기 제3 매트릭스(72)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선로 제어부(76)와 연결되도록 아우트 시험(Out Test) 경로(Path)를 만들어, 상기 시험선(27)과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장애가 발생한 상기 제2 선로(25)는 아날로그 시험부(64) 및 디지털 시험부(84)에 병렬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디지털 시험부(84)의 제4 매트릭스(82)를 상기 시험선(27)과 오프 라인(Off Line) 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아날로그 시험부(64)에 의하여, 상기 제2 선로(25)의 AC, DC 전압, 루프 선로 저항, 캐패시턴스 및 개방 과 쇼트 등과 같은 각종 전기적 특성을 시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선로의 이상여부 시험이 완료되었으면, 상기 제2 매트릭스(62)를 제어하여 상기 시험선(27)과 오프라인(Off Line) 되도록 하고, 상기 제4 매트릭스(82)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디지털 시험부(84)가 연결되고, 상기 디지털 시험부(84)의 제어는 RS-232 선로를 통하여 연결되는 상기 제2 운용자 터미널(86)에 의하여 제어된다.
상기의 디지털 시험부(84)는 상기에서 이미 설명한바와 같이, 2B+D 채널, D 채널, B1 채널 및 B2 채널을 통하여 채널 또는 구간별로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입자 단말기(17,94)의 정상 동작을 확인하고, 선로(25) 및 단말기(17,94)의 상태가 정상이라고 판단되면, 장애 구간을 확인하기 위하여 루프 백(Loop Back) 시험을 한다.
상기의 다수의 채널 중에서, D 채널을 먼저 루프백 시험하기 위하여, CPU(235)는 시험 패턴 발생부(250)로부터 발생하는 다양한 시험용 비트 패턴, 일 실시예로서, CRC-16, PRBS(Pseudo Random Bit Sequence), 55, AA 등과 같은 고정 비트 패턴(Bit Pattern)이 생성되고, 선택된 비트 패턴은 HDLC부(210)에 의하여 D 채널 또는 B 채널에 게재되고, 상기 디지털 가입자 정합부(200)에 인가되므로써, 선택된 단말기(17, 94)를 루프(Loop) 한 후, 역 순서를 통하여 상기 시험 패턴 발생부(250)의 수신부에 입력된다.
상기 시험 패턴 발생부(250)에 의한 송신 비트와 수신 비트의 신호는 비교판정부(260)에 의하여 송신한 기준치와 수신한 결과 값을 비교 판정한 후, CPU(235)에 보고하고, CPU(235)에서 처리하여 제2 운용자 터미널(86)에 표시한다.
다음의 B 채널 루프백 시험은 상기 제2 운용자 터미널(86)에 의하여 B 채널 루프백 모드로 설정되고, 상기 타임 스위치(240)에 의하여 B1 채널 또는 B2 채널의 해당되는 내부 타임 슬롯(Time Slot)이 할당되고, CPU(235)에 의하여 선택된 시험 비트 패턴은 상기 IOM-2(ISDN Oriented Module-2) 버스를 통하여 디지털 가입자 정합부(200)에 인가되고, 선택된 가입자 단말기(17,94)에서 루프백되어 반대 경로를 통하여 상기 비교판정부(260)에 인가됨으로써, 송신된 기준치 비트 패턴과 수신된 결과치 비트 패턴이 비교되고 판정된 후, 상기 CPU(235)에 인가되어 처리되고, 상기 제2 운용자 터미널에 표시된다.
또한, 2B+D의 루프백 시험도 상기 B 채널과 D 채널의 루프백 시험을 조합하여 수행된다.
상기와 같이 선로 및 단말기의 시험이 완료되고 보수작업이 완료되면, 디지털 가입자 정합부(200)와 IOM-2 버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모드 변환부(270)와, U(User Interface) 선로 및 제2 NT(280) 그리고 S(Subscriber Interface) 선로를 통하여 연결되는 제2 ISDN 단말기(96)를 이용하여 상기 2B+D 채널 중에서 B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ISDN 단말기(94)와 시험 통화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디지털 시험부(84)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아날로그 시험부(64)와 병렬 연결되어 전기적인 시험은 아날로그 시험부(64)를 통하여 수행하고, 데이터 전송을 위한 디지털 구간에서는 디지털 시험부를 사용하므로써, 전송되는 데이터의 허용오차(Tolerance)를 최소로 하므로써, 교환기 시스템의 신뢰도를 향상 시킨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기존의 아날로그 선로를 시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디지털 선로 및 채널의 신호 전달 특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디지털 단말기인 ISDN 단말기의 고장 상태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전송되는 데이터의 허용오차를 최소로 하기 위하여 구간 별로 선로 시험을 할 수 있는 공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Claims (2)

  1. 교환기로부터 인출되는 다수의 시험선과 접속되어 하나의 시험선을 선택하는 제2 및 제4 매트릭스 릴레이와,
    상기 제2 매트릭스 릴레이와 접속되어 가입자 선로의 전기적 특성을 시험하는 아날로그 시험부와,
    상기 제4 매트릭스 릴레이와 접속되어 디지털 가입자 선로 및 단말기의 품질 특성을 시험하는 디지털 시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가입자 선로 시험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시험부는, 교환기로부터 인가되는 다수의 시험선과 연결되어 하나의 시험선을 선택 접속하고 릴레이 매트릭스부를 통하여 접속된 가입자 선로와 임피던스 정합 및 반향 제거를 하는 디지털 가입자 정합부와,
    상기 디지털 가입자 정합부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중에서 제어채널의 신호를 추출 및 처리함과 동시에 시험 패턴의 데이터를 상기 제어채널에 인가하는 에치디엘시부와,
    상기 디지털 가입자 정합부의 상태를 감시 및 제어하며 루프백 기능을 수행하는 타임 스위치와,
    가입자 선로에 인가할 시험 패턴을 생성하여 상기 타임 스위치에 인가함과동시에 루프백 되어 돌아온 시험 패턴을 수신하는 시험 패턴 발생부와,
    상기 시험패턴부로부터 인가 받은 발생 패턴과 루프백 된 패턴을 비교하고 판정하여 장애 발생 상태를 확인하여 중앙처리부에 통보하는 비교판정부와,
    상기 디지털 가입자 정합부를 통하여 장애 발생한 가입자 선로와 접속 및 통화하도록 하는 모드 변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가입자 선로 시험대.
KR1019990062173A 1999-12-24 1999-12-24 복합 가입자 선로 시험대 KR100308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173A KR100308924B1 (ko) 1999-12-24 1999-12-24 복합 가입자 선로 시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173A KR100308924B1 (ko) 1999-12-24 1999-12-24 복합 가입자 선로 시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055A KR20010064055A (ko) 2001-07-09
KR100308924B1 true KR100308924B1 (ko) 2001-10-17

Family

ID=1962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2173A KR100308924B1 (ko) 1999-12-24 1999-12-24 복합 가입자 선로 시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892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055A (ko) 200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5197A (en) Method and apparatus as for testing a telephone line interface card
US5559854A (en) Subscriber's line testing apparatus
KR100308924B1 (ko) 복합 가입자 선로 시험대
US5274692A (en) Method for testing the line connection before switching from a telephone switching center to be placed out of service to a new digital telephone switching center to be placed into service
US63738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CAMA interface in PCX system
KR920002955B1 (ko) 애널로그 가입자 설비 시험 방법
EP0661859A2 (en) Testing of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KR0148889B1 (ko) 키폰 시스템의 국선, 내선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KR0135501B1 (ko) 전전자교환기의 통화로계 경로시험 분석 시스템
KR100277476B1 (ko) 사설 교환기의 국선 보드 자기 진단장치 및 방법
KR20010092807A (ko) 교환기간 중계선 시험장치 및 그 방법
KR920004151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애널로그 가입자 정합 회로 시험 방법
KR970002777B1 (ko)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 시험 장치
KR19980051679A (ko) 전전자 교환기의 공간분할 스위치 경로 시험 장치
KR910005334B1 (ko)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 시험장치
KR0139725B1 (ko) 아이에스디엔 가입자 회로에 대한 자동시험 방법
KR0121500Y1 (ko)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쉘프별 회선시험장치
KR960011134B1 (ko) 종합정보통신망(isdn) 교환 시스템에서 가입자 선로 시험방법
KR100600948B1 (ko) 아날로그 가입자 시험 장치와 교환기 자원을 이용한디지털 가입자 시험 구현 방법
KR100478833B1 (ko) 교환기의 데이터 전송경로 시험 장치 및 방법
JPH10107871A (ja) Dチャネル共有通信装置試験器および試験方法
KR20000014995A (ko) 교환시스템의 통화로 진단방법
JPH08317058A (ja) 電子交換機情報伝送路自己診断機能
JPS62210768A (ja) 開局試験システム
JPH0435146A (ja) ターミナルアダプタ装置の障害部分選出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