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2694A - 회선 점검 장치와 그 회선 점검 방법 - Google Patents

회선 점검 장치와 그 회선 점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2694A
KR20070062694A KR1020050122380A KR20050122380A KR20070062694A KR 20070062694 A KR20070062694 A KR 20070062694A KR 1020050122380 A KR1020050122380 A KR 1020050122380A KR 20050122380 A KR20050122380 A KR 20050122380A KR 20070062694 A KR20070062694 A KR 20070062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entral exchange
check
toll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2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운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50122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2694A/ko
Publication of KR20070062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26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6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means for applying test signals or for measuring
    • H04M3/28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선 점검 장치와 그 회선 점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선 점검 장치는 중앙 교환기와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 사이의 회선에 연결되어 상기 회선 상태를 점검한다. 회선 점검 장치는 감시부, 발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감시부는 상기 중앙 교환기와 상기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 사이에 통화로 연결 상태를 감시한다. 발신부는 시험용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 교환기와 통화로를 연결하여, 점검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는 임의의 시간 간격으로 상기 감시부로부터 상기 통화로 연결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통화로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발신부로 상기 중앙 교환기와 통화로를 연결하여 상기 점검 신호를 전송 명령을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선의 이상 여부를 항상 점검 할 수 있고, 인원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회선 점검 장치 및 회선 점검 방법을 제공한다.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 hook-off

Description

회선 점검 장치와 그 회선 점검 방법{THE DEVICE AND THE METHOD OF CHECKING LINE }
도 1은 본 발명을 이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선 점검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선 점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회선 점검 장치 및 회선 점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와 중앙 교환기 사이의 회선을 점검하기 위한 회선 점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와 중앙 교환기 사이의 회선에 이상을 감지하기 위해서 점검 인원을 두어 정기적으로 회선 점검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정기적으로 회선 점검을 실시하더라도, 그 기간이 길어 그 사이에 발생하는 회선 이상에 따른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였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인원 및 비용이 소요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추가적인 인원 및 비용 없이 중앙 교환기와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 사이의 회선을 점검하는 회선 점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중앙 교환기와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 사이의 회선에 연결되어 상기 회선 상태를 점검하는 회선 점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앙 교환기와 상기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 사이에 통화로 연결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부, 시험용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 교환기와 통화로를 연결하여, 점검 신호를 전송하는 발신부, 그리고 임의의 시간 간격으로 상기 감시부로부터 상기 통화로 연결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통화로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발신부로 상기 중앙 교환기와 통화로를 연결하여 상기 점검 신호를 전송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중앙 교환기와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 사이에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회선을 점검하는 회선 점검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중앙 교환기와 상기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 사이의 통화로가 연결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중앙 교환기와 상기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 사이의 통화로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중앙 교환기와 통화로를 연결하여 점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그리고 c) 상기 중앙 교환기가 상기 점검 신호 수신 결과에 따라 회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 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선 점검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선 점검 장치를 이용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선 점검 장치(100),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200) 및 중앙 교환기(300)가 연결되어 있다.
회선 점검 장치(100)는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200)가 중앙 교환기(300)와 통화연결 상태(hook-off)가 아닌 경우, 중앙 교환기(300)로 전화를 걸어 회선을 점검할 수 있다. 'hook-off'란 쌍방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들어서 회선을 점유한 상태를 말한다. 회선 점검 장치(100)는 중앙 교환기(300)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전화를 걸어 통화로를 연결한 후, 점검 신호를 송신한다.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200)는 수신자가 통화료를 부담하는 전화만을 걸 수 있는 전화기를 말한다.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200) 이외에 일반 공중 전화도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경우 본 발명을 이용하여 회선 점검을 실시할 수 있다.
중앙 교환기(300)는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200)와 전화 회선을 통해 연결 되어 사용자가 희망하는 수신자에게 전화를 걸어 사용자와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200)사이의 통화선로를 연결해주고 수신자가 희망하는 경우 사용자와 수신자간의 통화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중앙 교환기(300)는 회선 점검 장치(100)로부터 회선 점검을 위한 점검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회선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중앙 교환기(300)는 회선 점검 장치(100)로부터 점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결과에 따라 회선 상태를 판단하는 회선 상태 판단부(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200)와 중앙 교환기(300)사이의 회선 점검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선 점검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정한 시간 간격을 갖고 회선 점검을 실시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지만, 임의의 시간 간격을 갖고 회선 점검을 실시할 수 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선 점검 장치(100)는 먼저 회선 점검을 실시할 시간인지 체크하고(S100), 회선 점검 시간에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200)가 현재 통화로 연결 상태(hook-off)인지 판단한다(S200). 상기 단계 S200에서의 판단 결과, 현재 통화로 연결 상태(hook-off)인 경우 회선 점검 장치(100)는 일정한 시간 간격을 갖고 지속적으로 연결 상태를 판단한다(S210).
상기 단계 S200에서의 판단 결과, 현재 통화로 연결 상태가 아닌 경우(hook-on)(S220), 회선 점검 장치(100)는 중앙 교환기(300)와 전화를 걸어 통화로를 연결(hook-off)하고(S300), 점검 신호를 송신한다(S400). 이때, 회선 점검 장치(100)는 중앙 교환기(300)에 설정된 회선 시험용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전화를 걸 수 있다. 중앙 교환기(300)는 복수의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200)와의 회선 점검을 위해 복수의 회선 시험용 전화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각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200)마다 복수의 회선 시험용 전화번호 중 특정 전화 번호를 사용하도록 미리 설정하여 회선 점검 장치(100)에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중앙 교환기(300)는 회선 점검 장치(100)로부터 점검 신호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S500). 상기 단계 S500에서의 판단 결과 점검 신호가 수신되면, 회선 상태를 정상으로 판단하고, 점검 신호를 감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회선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S520). 중앙 교환기(300)에 설정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기 위해 회선 점검 장치(100)는 DTMF 방식을 사용하여 전화번호 선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방식은 저주파군과 고주파군의 복수의 주파수에서 1개씩 동시에 2개 주파수로서 하나의 선택 신호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매일 반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선 점검 방법은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매일 회선을 점검하여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와 중앙 교환기 사이의 회선에 이상이 발생하면, 이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와 중앙 교환기 사이의 회선 점검을 위한 추가적인 장비, 인원 및 시간이 필요없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선 점검 장치(100)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선 점검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선 점검 장치는 감시부(110), 발신부(120), 저장부(130), 제어부(140) 및 타이머(150)를 포함한다.
타이머(150)는 회선 점검을 실시하기 위해서 일정한 시간 간격 또는 임의의 시간 간격을 체크하기 위해 사용된다.
감시부(110)는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200)가 중앙 교환기(300)와 통화로 연결 상태인지 판단한다. 감시부(110)는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200)와 중앙 교환기(300)가 현재 통화로 연결 상태인지 판단할 결과를 제어부(140)로 알린다.
발신부(120)는 제어부(140)의 발신 명령에 따라 중앙 교환기(300)로 전화를 걸고, 중앙 교환기(300)와의 통화선로를 연결(hook-off)한다. 통화선로가 연결되면, 점검 신호를 중앙 교환기(300)로 송신한다.
저장부(130)는 중앙 교환기(300)에서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200)에 설정된 시험용 전화번호를 저장한다. 또한, 점검 신호를 송신한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200)와 중앙 교환기(300) 사이의 선로 및 전용 전화기 상태 판단을 위한 프로세서를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타이머(150)의 시간을 인식하여 점검 시간이 되었는지 판단한다. 제어부(140)는 타이머(150)를 이용하여 회선을 점검한 시간을 체크 할 수 있다. 일정한 시간 간격을 정하여 회선 점검을 실시하거나, 임의적으로 타이머(150)를 이용하여 시간 간격을 생성하여, 이를 이용한 회선 점검을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에 저장된 회선 점검 시간으로부터 일정한 시간 간격 또는 임의로 정한 시간 간격이 경과 되었는지 판단하고, 결과에 따라 회선 점검을 실시할 지 결정한다.
제어부(140)는 감시부(110)로부터 수신한 정보가 현재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200)와 중앙 교환기(300) 사이에 통화로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발신부(110)로 회선 점검을 위해 전화를 걸어 통화로를 연결하라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통화로가 연결되면 점검 신호를 송신하라고 전송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전화 번호를 발신부(120)에 함께 전송한다. 제어부(140)는 회선을 점검한 시간을 인식하고, 저장부(130)로 회선 점검 시간을 전송하여 이를 저장케 할 수 있다. 반면에, 현재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200)와 중앙 교환기(300) 사이에 통화로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통화중인 경우에는 감시부(110)에 소정의 시간 뒤에 다시 통화로를 체크하라는 명령을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선 점검 장치는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매일 회선을 점검하여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와 중앙 교환기(300) 사이의 회선에 이상이 발생하면, 중앙 교환기(300)가 이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와 중앙 교환기 사이의 회선 점검을 위한 추가적인 장비, 인원 및 시간이 필요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회선의 이상 여부를 항상 점검 할 수 있고, 인원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회선 점검 장치 및 회선 점검 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5)

  1. 중앙 교환기와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 사이의 회선에 연결되어 상기 회선 상태를 점검하는 회선 점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앙 교환기와 상기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 사이에 통화로 연결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부,
    시험용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 교환기와 통화로를 연결하여, 점검 신호를 전송하는 발신부, 그리고
    임의의 시간 간격으로 상기 감시부로부터 상기 통화로 연결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통화로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발신부로 상기 중앙 교환기와 통화로를 연결하여 상기 점검 신호를 전송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회선 점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신호 전송 시간 및 상기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에 대응하는 상기 시험용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회선 점검 장치.
  3. 중앙 교환기와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 사이에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회선을 점검하는 회선 점검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중앙 교환기와 상기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 사이의 통화로가 연결 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중앙 교환기와 상기 수신자 부담 전용 전화기 사이의 통화로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중앙 교환기와 통화로를 연결하여 점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그리고
    c) 상기 중앙 교환기가 상기 점검 신호 수신 결과에 따라 회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회선 점검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중앙 교환기에 저장된 시험용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통화로를 연결하고, 점검 신호를 송신하는 회선 점검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통화로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a)단계를 반복하는 회선 점검 방법.
KR1020050122380A 2005-12-13 2005-12-13 회선 점검 장치와 그 회선 점검 방법 KR200700626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380A KR20070062694A (ko) 2005-12-13 2005-12-13 회선 점검 장치와 그 회선 점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380A KR20070062694A (ko) 2005-12-13 2005-12-13 회선 점검 장치와 그 회선 점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694A true KR20070062694A (ko) 2007-06-18

Family

ID=38362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2380A KR20070062694A (ko) 2005-12-13 2005-12-13 회선 점검 장치와 그 회선 점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26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4898A (ko) * 2009-09-03 2011-03-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신망 성능 검증 시스템 및 통신망 성능 검증 방법
KR102171848B1 (ko) * 2020-01-22 2020-10-30 대한민국 음력전화기 회로 검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4898A (ko) * 2009-09-03 2011-03-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신망 성능 검증 시스템 및 통신망 성능 검증 방법
KR102171848B1 (ko) * 2020-01-22 2020-10-30 대한민국 음력전화기 회로 검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0488B1 (en) Communications unit,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multiple access to a wireless transceiver
US7149285B2 (en) Dynamic, automated double-ended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nd qualifying metallic telecommunication loops
KR20070062694A (ko) 회선 점검 장치와 그 회선 점검 방법
JPH0537464A (ja) マルチアクセス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2966750B2 (ja) 電話装置
CN101867662B (zh) 用户通话的高阻监听装置和方法
JP5559226B2 (ja) 電話機、電話機の制御方法及び電話機試験システム
JP3333882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側通信機器および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相手通信機器
KR100329459B1 (ko) 사설교환기에서 상대방 정보 표시방법
CN1126394C (zh) 处理呼入的主叫用户识别消息的多线路电话系统和方法
JPH11127102A (ja) 移動機制御装置
JP3661088B2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JP3243815B2 (ja) 電話交換機
KR900007707B1 (ko) 비상전화 시스템에서 비상전화기의 핸드셑 상태 검사방식
JPH04243372A (ja) 画像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960004723B1 (ko) 무선전화기의 통화예약 방법
EP0881855A2 (en) ISDN callback device for testing telephone line.
JP3554694B2 (ja) 端末網制御装置
JPH0715536A (ja) 自動通報装置
JPS6313532A (ja) 無線ネツトワ−ク制御方式
JP2000049973A (ja) 無線固定加入者装置及びその保守モード設定方法
JPH09200847A (ja) 無線交換システム
JPS63129799A (ja) 非常電話機の発呼位置個別識別方式
JPH0327659A (ja) 公衆電話網による複数非電話系端末の通信方式
JPS62193348A (ja) 電話回線発着信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