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707B1 - 비상전화 시스템에서 비상전화기의 핸드셑 상태 검사방식 - Google Patents

비상전화 시스템에서 비상전화기의 핸드셑 상태 검사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707B1
KR900007707B1 KR1019870011185A KR870011185A KR900007707B1 KR 900007707 B1 KR900007707 B1 KR 900007707B1 KR 1019870011185 A KR1019870011185 A KR 1019870011185A KR 870011185 A KR870011185 A KR 870011185A KR 900007707 B1 KR900007707 B1 KR 900007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emergency telephone
emergency
handse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1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539A (ko
Inventor
신금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70011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707B1/ko
Publication of KR890007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6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means for applying test signals or for measuring
    • H04M3/28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 H04M3/30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for subscriber's lines, for the local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상전화 시스템에서 비상전화기의 핸드상태 검사방식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전화 시스템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도의 구성 부분중 제어장치.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전화기의 구성회로도.
제4도는 제2도 및 제3도 등화회로도.
제5도는 선로에 따른 주파수 감쇄 특성도.
제6도는 제어장치의 비상전화기간의 통신을 위한 프레임 구성도
제7도(a)-(g)도는 각 구성 부분간의 메시지 테이블도.
제8도(a)(b)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
Figure kpo00003
검사 흐름도.
본 발명은 비상전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공급 라인이 배설되지 않은 장거리 통신로에 병렬로 접속된 비상전화기의 핸드
Figure kpo00004
검사방식에 관한 것이다.
고속도로 또는 특정 지역에서는 통신로에 비상전화기를 설치하여 비상사태 또는 그밖의 긴급 통화를 요구하는 것과 같은 특정 사태가 발생할 경우, 장거리 떨어져 있는 관리사무소와 같은 중앙관제소와 신속한 통신을 하므로써 사태의 처리 또는 회복을 신속히 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와같은 중앙관제소와 비상전화기간의 통신로는 비상전화기를 직렬 접속하는 방식보다는 하나의 통신로에 다수개의 비상전화기를 병렬로 접속하는 방식이 통신로의 설치나 비용면에서 유리하게 된다.
또한 중앙관제소에는 사설교환기가 설치되어 있고 이 사설교환기와 접속된 통신로에는 소정의 거리마다 비상전화기가 접속이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병렬 접속 방식의 비상전화 시스템에 있어서는 비상전화기가 설치되는 위치가 사설교환기로부터 장거리로 소정 거리마다 이격하여 있는 관계로 해서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비상전화기를 사용하기 위한 상황은 매우 긴박한 상황이므로 비상전화기들의 비상제어 시스템과 원격 이격되어 있어 해당 비상전화기의 핸드
Figure kpo00005
상태를 수동으로 검사하기에는 큰 어려움이 및 시간상의 낭비가 초래되며, 또한 핸드
Figure kpo00006
의 이상상태 발생시 이를 인지하지 못하면 비상전화기로서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기적으로 음향 검사신호를 송출하여 비상전화기의 핸드
Figure kpo00007
에 이상상태 발생시 자동으로 이를 인지할 수 있는 방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향 검사신호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는 음향 결합 방식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전화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상전화 시스템의 구성을 살펴보면 시스템 전체를 운영하는 핵심부이며, 전 가입자 상태관장, 통화로망(105)의 제어, 중계대(106)의 제어, 상황판(107)의 제어, 표시장치(CRT)(108)의 제어등을 하는 주제어부(Main CPU)(100)와, 가입자의 제어, 통화로의 접속 및 단락, 가입자의 상태 체크 및 메모리부(101)의 소정 데이터를 주제어부(100)으로 전송하는 부제어부(sub CPU)(102)와, 상기 주제어부(100)가 부제어부(102), 상황판(107), 표시장치(108)와 직렬로 데이타를 송수신(Serial Input Output 방식)하기 위한 메인시리얼 인터페이스(103)와, 상기 부제어부(102)가 주제어부(100)와 직렬로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서브시리얼 인터페이스(104)와, 상기 주제어부(100) 및 통화로망(105)과 접속되고 착신 및 발신 신호를 중계하는 기능 및 데이터 변경 기능등을 갖는 다수의 키이를 갖는 중계대(106)와, 상기 메인 시리얼 인터페이스(103)과 접속되고 각종 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상황판(107)과, 상기 메인 시리얼 인터페이스(103)와 접속되고 각종 호 및 정보를 보관할 수 있으며 단말기로부터의 호출 및 에러 정보를 자동으로 나타낼 수 있는 표시장치(108)와, 상기 표시장치(108)의 각종 정보를 인쇄해 내기 위한 프린터(109)와, PCM교환기의 교환 부분으로써 상기 주제어부(100)의 제어명령에 따라 음성 정보 및 데이터 교환기능을 가지는 통화로망(Switching Network)(105)와, 상기 부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시스템에 필요한 발신음, 호출음, 화중음등 필요한 각송 톤을 발생하여 통화로망(105)을 통해 서어비스를 요하는 요소에 공급하기 위한 디지탈 톤 발생기(113)와, 상기 부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통화로망(105)과 접속되며 다수의 국선과 인터페이스를 하기 위한 국선회로(114)와, 타 사설교환기와 접속을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사용되며 상기 부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통화로망(105)과 접속된 전용선회로(115)와, 상기 부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내선가입자와 접속하기 위해 통화로망(105)과 인터페이스로 사용되는 가입자회로(116)와, 상기 부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국선이 복합주파수를 사용하는 방식일 경우 사용되는 복합주파수(이하 DTMF 라 칭함) 송신회로(111) 및 DTMF 수신회로(112)와, 통신로(90)에 다수개가 병렬로 접속된 비상전화기(80)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비상전화기(80)의 신호 송 수신 및 통화를 위한 인터페이스로 사용되는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110)로 구성된다.
제1도중 비상전화기(80)와 통신로(90)로 구성된 단말부(20)를 제외한 부분은 사설교환기부(10)로 하나의 장치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관리소에 위치된다.
여기서 유의할 것은 사설교환기(10)중 제어장치(110)을 제외한 부분은 통상의 PCM 사설교환기와 동일한 구성을 갖으며 공지의 사실임을 이해하야여 할 것이다. 또한 상기 통신로(90)는 한쌍의 송신로와 한쌍의 수신로를 통해 비상전화기(80)와 접속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사설교환기부(10)의 제어장치(110)의 구성 블럭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비상전화기(80)와의 음성 및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부분이다.
제2도의 제어장치(110)의 구성은, 제어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는 롬과 데이터를 리드 또는 라이트할 수있는 램을 내장하며 시스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20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비상전화기(80)로 복합주파수의 아나로그 신호로된 명령신호를 송신하는 DTMF 송신회로(210)와, 후술하는 비상전화기(80)로부터 송출되는 복합주파수의 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복합주파수에 대응하는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중앙처리장치(200)로 비상전화기(80)의 명령을 전달하는 DTMF 수신회로(202)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0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비상전화기(80)가 설치된 거리 및 음성 대역주파수에 따른 전송손실을 보상하여 주는 송신등화회로(203) 및 수신등화회로(204)와, 상기 송신라인(215)과 송신등화회로(203)사이에 접속되며 비상전화기(80)와 인터페이스를 위한 송신라인 인더페이스(205)와, 수신라인(216)과 수신등화회로(204) 사이에 접속되며 비상전화기(80)와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신라인 인터페이스(206)과, 상기 수신라인(216)과 송신라인(216)에 직류전압(120볼트)을 공급하기 위한 상기 통화로측 트랜스의 소정 탭에 접속된 전원회로(207)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00)의 명령에 따라 비상전화기의 고장 유무를 진단하기 위한 테스트 톤 신호를 발생하는 테스트론 발생회로(208)와, 상기 비상전화기(80)로 송출된 테스트론 신호를 수신라인(216)으로 입력하여 수신된 상기 테스트 톤을 평균 절대값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절대값 회로(209)와, 상기 테스트 톤이 직류로 변환된 직류전압을 입력하여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는 아나로그 디지탈(이하 A/D라 칭함)변환기(210)와,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그리고 디지탈 신호를 아나로그 신호로 바꾸어 주는 PCM 집적회로로써 비상전화기로부터의 음성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바꾸어 제l도의 라인(120)을 통해 통화로망(105)으로 연결시켜 주며 통화로망으로부터의 디지탈 신호를 아나로그 신호로 바꾸어 비상전화기로 송출하기 위한 코덱(211)과, 상기 비상전화기(80)의 지정된 타임슬롯을 할당하기 위해 코덱과 접속되는 타임슬롯 할당회로(212)와, 제1도의 라인(121)을 통해 부제어부(102)의 제어신호를 디코오딩하여 상기 타임슬롯 할당회로(212)을 선택할 것인가 피포(First In First Out)(213)를 선택할 것인가를 지정하여 주는 디코오더(214)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00)와 제1도의 부제어부(102)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부제어부(102)와 데이터 버스(122)를 통해 접속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200)과 데이터 버스(217)를 통해 접속되는 피포(21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타임슬롯 할당회로(212)는 통상 TSAC(Time Slot Assignment Circuit)으로써 집적화된 원칙이며, 코덱(211)과 함께 PCM 사설교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공지의 구성 부분임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테스트 톤 발생회로(208)는 중앙처리장치(200)에서 라인(218)을 통해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인에블되어 소정 주파수의 정현파를 라인(219)를 통해 출력하는 회로로써, 연산증폭기를 사용한 1KHz의 정현파를 발생하는 발진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라인(218)상의 신호에 의해 상기 항상 발진하는 테스트 톤 발생회로(21)의 출력이 라인(219)로 출력하도록 트라이스테이트 스위치를 출력단에 접속할 수도 있음을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DTMF 송신회로(201)와 DTMF 수신회로(202)는 각각 통상의 DTMF 전화기에 사용되는 상용 집적회로, 예컨데 5088과 8870등의 집적회로가 사용될 수 있다. 즉, DTMF 송신회로(201)과 DTMF 수신회로(202)는 중앙처리장치(200)에서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고 라인(220)상의 4비트의 디지탈 데이터를 입력하여 하나의 소정의 복합주파수의 신호로 변환한 후 라인(222)상으로 출력하여 송출하고, 수신시에는 라인(223)상의 비상전화기(80)로부터 송출된 복합주파수를 입력하여 이에 대응하는 4비트의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한 후 라인(221)상에 출력하여 중앙처리장치(200)가 읽어들이게 된다.
또한 절대값회로(209)는 후술하는 진단기능 수행시 테스트 톤 발생회로(208)에서 송출되는 테스트 톤이 비상전화기(80)를 통해 라인(224)로 되돌아올시 상기 테스트 톤을 평균 절대값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통상의 연산증폭기를 사용한 회로가 될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단말장치로 사용되는 비상전화기의 블럭도로서, 도면중 수신측의 라인(250)은 제2도의 송신라인(215)와 접속이 되며, 송신측의 라인(25l)은 제2도의 수신라인(216)과 각각 접속이 된다.
송신측의 라인(250)은 트랜스로된 수신라인 인터페이스(324)와 접속이 되며, 수신측의 라인(251)은 트랜스로된 송신라인 인터페이스(325)와 접속이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수신측과 송신측 트랜스의 소정 탭에는 제2도의 전원회로(207)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입력하여 비상전화기의 각 소자의 동작에 필요한 직류전압을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는 스위칭 레귤레이터(321)가 접속된다.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321)는 사설교환기와 장거리 떨어진 지점에 설치되는 비상전화기(80)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고 장거리 통화로에 의한 전압강하에 대해서도 안정된 직류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회로가 사용되며, 본원 출원인이 실용신안등록출원한 출원번호 제87-16472호에 개시된 회로가 사용될 수 있다.
수신라인 인더페이스(324)의 출력라인(252)은 장거리 통신에 의한 음성주파수 및 신호레벨을 보상하며 마이콤(301)에서 라인(253)을 통해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통화감도를 적절히 유지하는 수신부 등화회로(302)와 접속이 된다.
수신부 등화회로(302)의 출력라인(254)는 수신시 라인(255)를 통해 마이콤(301)에서 출력하는 신호에 의해 온 동작을 하는 Rx스위치(307)와 접속이 되며, 상기 RX 스위치(307)의 출력라인(256)은 증폭기(311) 및 라인(257)을 통해 핸드
Figure kpo00008
(323)의 수화기(326)에 접속이 된다. 한편 핸드
Figure kpo00009
(323)의 송화기(327)는 라인(258)을 통해 증폭기(312)와 접속되며, 상기 증폭기(312)의 출력라인(259)은 마이콤(301)에서 출력하는 주파수 및 거리에 따라 이득 제어신호를 라인(253)으로 입력하여 상기 라인(259)의 음성신호를 소정레벨의 음성신호로 증폭 및 주파수 보상을 하여 출력하는 송신부 등화회로(303)가 접속되며, 송신부 등화희로(303)의 출력라인(260)은 송신시 마이콤(30l)에서 라인(261)을 통해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온동작을 하는 TX스위치(310)이 접속되며, 상기 TX스위치(310)의 출력단은 송신라인 인터페이스(325)와 접속이 된다.
상기 TX스위치(310) 및 RX스위치(307)을 설치한 것은 각각 송신 및 수신시에만 온시킴으로써, 통신로(90)상에 다수의 비상전화기가 병렬로 접속됨으로 인한 송신 또는 수신측에서본 임피더스의 저하를 방지하며 전력소모를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핸드
Figure kpo00010
(323)을 비상전화기에 올려놓아 훅크 온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핸드
Figure kpo00011
(323)의 수화기(326) 및 송화기(327)가 각각 제2송화기(315) 및 제2수화기(3l6)과 서로 대향하여 음향 결합이 되게 연결하며, 상기 제2소화기(315)와 제2수화기(316)은 마이콤(301)에서 라인(261)상을 통해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온 오프 동작을 하는 제2진단스위치(309) 및 증폭기(313)를 통해 접속이 된다.
한편 라인(257)과 (258)사이에는 마이콤(301)에서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라인(262)으로 입력하여 온오프동작을 하는 제1진단스위치(308)이 접속되고, 라인(256)과 (259) 사이에는 라인(263)상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동작을 하는 사이드 톤스위치(322)가 접속이 된다. 전술한 스위치(307)(308)(309)(322)들은 트라이스테이트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톤신호 발생회로(306)은 마이콤(301)로부터 출력하는 디지탈 데이터 및 인에이블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발신음, 호출음, 화중음 및 보류음(hold tone)을 발생하는 회로로써, 그 출력은 라인(256)과 접속이 된다. DTMF 수신회로(304)는 라인(254)와 접속이 되며 사설교환기의 제어장치(110)의 DTMF 송신회로(201)에서 송출된 복합주파수의 명령신호를 받아 디지탈 데이터로 코오드화하여 마이콤(301)으로 라인(264)를 통해 전달한다.
또한 DTMF 송신회로(305)는 마이콤(301)로부터의 디지탈 명령신호(16진수로 0-9 A-F중 어느하나의 신호)를 라인(265)로 입력하는 입력 디지탈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합주파수로 변환하여 증폭기(314)를 통해라인(259)로 출력한다. 전술한 DTMF 수신회로(304) 및 DTMF 송신회로(305)는 제어장치(110)의 DTMF 수신회로(202) 및 DTMF 송신회로(201)와 동일한 회로로 사용된다.
한편 마이콤(301)의 포오트 P1-P4에는 각각 훅크스위치(317), 콜스위치(318), 비상전화기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어드레스 지정스위치(319) 및 후술하는 초기상태의 송신부 등화회로(303) 및 수신부 등화회로(302)의 이득의 설정을 마이콤(301)에게 알려주는 루프스위치(320)이 접속된다.
또한 Vcc는 5볼트의 직류공급전압이며, R1-R11은 저항을 나타내며 상기 콜스위치(318)는 비상전화기 사용자가 비상호출을 할 경우 사용하는 버튼식 스위치이며, 어드레스 지정스위치(319)는 병렬 접속된 비상전화기가 6대라 가정하여 구분할 수 있게 지정하는 스위치로서 루프스위치(320)과 함께 디프(Dip)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제4도는 제2도 및 제3도에서 사용하는 수신부 등화회로 및 송신부 등화회로 구체회로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제5도는 선로의 3주파수에 따른 특성곡선으로써 실선은 통화로의 길이 I에 대해 X만큼 증가할 경우의 주파수에 따른 이득 감쇄곡선을 보상하기 위한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사설교환기의 중계대에 있는 교환원과 비상전화기의 사용자가 통화를 할 경우 비상전화기의 위치가 사설교환기와 장거리 이격하여 있게 된다. 따라서 음성대역의 신호는 통신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주파수에 따른 이득 감쇄는 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주파수에 따른 이득감쇄를 보상하기 위해서는 점선과 같은 특성을 갖는 회로의 설계가 필요하게 된다.
제4도를 참조하면 입력단자(61)는 저항 RA를 통해 연산증폭기(63)의 반전단자(64)와 접속되며, 비반전단자(65)는 접지되어 있고, 저항 Rf가 상기 단자(64)와 상기 연산증폭기(63)의 출력단자(62)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항 RA에는 캐패시터 Cn과 스위치 Sn이 직렬접속(여기서 n은 1,2,3…의 정수)되어 상기 저항 RA와 병렬접속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 Sn에는 상기 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제어신호 입력라인(60)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지금 스위치 Sn이 온 되었을 시의 합성 용량을 Cs라 하면 저항 RA와의 합성 임피던스 절대값 Zi는 하기식과 같이 쓸수 있다.
Figure kpo00012
여기서 주파수를 f라하면 W=2
Figure kpo00013
f이므로, 제4도의 등화회로의 이득 G0는 하기 식과 같이 쓸수 있게 된다.
Figure kpo00014
그러므로 제(2)식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스위치 S1-Sn을 순차로 온시키면 Cs값이 커지기 때문에 이득을 증가시킬 수 있고, 오프시켜 나가면 이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4도의 제어신호 입력라인(60)은 제3도의 라인(253) 및 제2도의 라인(225)에 대응시켜 접속하면 되고, 등화제어동작은 마이콤(301)및 중앙처리장치(200)에서 출력하는 제어신호로 수행하면 된다.
지금 전용선의 통신로(90)에서 6대의 비상전화기(80)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제어장치(110)과 비상전화기(80) 사이의 통신방식의 구성도를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6도(a)(b)를 참조하면, 타임슬롯 TS1-TS10은 각각 100mSec의 시간간격을 갖는 시간구분으로서 반복된다. 따라서 타임슬롯 TS1-TS6에는 각각 다른 복합주파의 아나로그 신호가 비상전화기 교류신호로 지정되어 실리게된다. 이때 제어장치의 송신시(제6도(a))의 경우 각 타임슬롯의 초기 60mSec만 상기 복합주파수가 실리게 되며, 나머지 40mSec은 시스템의 소자들의 동작 타이밍을 고려하여 이유를 남겨놓는다. 비상전화기(80)의 송신시(제6도(b))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타임슬롯 TS7-TS10은 본시스템이 진단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타임슬롯으로써, 종 400mSec중 초기 360mSec만이 진단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합주파수가 실리는 기간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타임슬롯중 TS10은 프레임 동기신호가 실릴수도 있는 타임슬롯으로써, 프레임 동기신호가 실리는 경우는 이 프레임 동기신호가 실리는 TS7-TS10의 타임슬롯에서 진단기능은 휴지상태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제어장치(100)의 송신시, 예를들어 1번 비상전화기를 지정하는 타임슬롯을 TS1이라 가정할 경우 1번 비상전화기가 제6도(a)의 프레임 구성도를 수신하여 송신할 경우에는 제6도(b)에 도시한 바와같이 4번째의 타임슬롯에서 자기의 신호를 실어 제어장치(110) 측으로 송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제6도에 도시한 화살표와 같이 제어장치의 송신에 대해 각각의 송신은 대응관계를 갖게된다. 따라서 PCM의 종래의 교환기에서의 프레임 구성에 따른 응답은 항상 1프레임 늦게 이루어짐에 비해 신속하게 시간을 절약하여 상호 교신을 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또한 사설교환기에는 제2도의 제어장치(110)의 카아드가 다수 접속되어 장거리를 소정거리마다 분할하여 통신을 할 수도 있도록 실시된다. 또한 제어장치(110)에는 통신로(90)가 2개 병렬로 접속되어 총 12대의 비상전화기가 6대씩 병렬로 접속된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전화 시스템의 메세지 테이블 구성도로서, 제7(a)도는 제1도의 주제어부(100)에서 부제어부(102)로 전송되는 메시지 테이블이며, 제7(b)도는 제1도의 부제어부(102)에서 주제어부(100)로 전송되는 메시지 테이블이고, 제7(c)도는 부제어부(102)에서 제어장치(110)로 전송되는 메시지 테이블이며, 제7(d)도는 제어장치(110)에서 부제어부(102)로 전송되는 메세지 테이블이고, 제7(e)도는 주제어부(100)에서 상황판(107)으로 전송되는 메세지 테이블이며, 제7(f)도는 제어장치(110)에서 비상전화기(80)로 전송되는 메세지 테이블이고, 제7(g)도는 비상전화기(80)에서 제어장치(110)로 전송되는 메세지 테이블이다. 여기서 데이터는 16진수로 나타낸 것임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7(f)도와 제7(g)의 데이터는 DTMF 송신회로 및 DTMF 수신회로에서 사용되는 16진수의 데이터들임을 유의해야 한다.
상기 제7(a)-(g)의 테이블에 나타난 각 메세지들에 있어서, Gain up은 이득상향 메세지, Gain down은 이득하향 메세지, Busy는 화중음 메세지, Hold는 보류음 메세지, Line on은 가입자를 통화상태로 하기 위한 메세지, Cut는 가입자의 통화를 절단하기 위한 메세지, Call ack는 소정의 콜요청에 대응하여 링백톤을 요구하는 메세지, Gain set는 제어장치의 이득조정 메세지, Cu restart는 제어장치 재시동 메세지, Codec on은 코덱 온을 위한 메세지, Codec off는 코덱 오프를 위한 메세지, Call Request는 콜요청음 메세지, Hook off는 전화기의 훅오프상태 메세지, Hook on은 전화기의 훅온상태 메세지, Cu start는 제어장치 시동 메세지, Gain end는 이득조정 종료상태 메세지, Call response는 콜상태 응답 메세지, Voicegain은 비상전화기의 핸드
Figure kpo00015
의 상태검사 메세지, Electronic gain은 자동이득조정 메세지, Error는 비상전화기의 에러상태 메세지, Voice gain test는 비상전화기의 핸드
Figure kpo00016
의 상태검사 메세지, Electronic gain test는 자동이득조정 메세지, Sync는 프레임 동기신호 메세지이다.
제8도(a)는 제어장치(110)의 핸드
Figure kpo00017
검사 흐름도이며, 제8도(b)는 비상전화기(80)의 핸드
Figure kpo00018
검사 흐름도로서, 제어장치(110)에서 일정 주기로 보이는 게인 테스트 메세지를 출력하면 비상전화기(80)에서 상기메세지에 의해 보이는 테스트 루프를 형성하며, 이후 제어장치(110)에서 테스트톤 신호를 출력하고 비상전화기(80)에서 형성된 테스트 루프를 통해 제어장치(110)에 이를 재수신하여 핸드
Figure kpo00019
의 상태를 검사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제1도-제8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사설교환기(10)의 내부에는 제2도의 제어장치(1l0)가 다수개 접속되어 있으며 장거리를 소정거리 단위로 분할하여 통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10)에는 통신로(90)가 연결되어 병렬 접속된 비상전화기(8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비상전화기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은 본원 출원인에 의해 동일자로 특허 출원된 출원번호 제87-11292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비상전화 시스템에서 비상전화기(80)의 핸드
Figure kpo00020
(323)의 상태를 원격지에서 검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상전화기(80)의 사용 용도는 긴급한 상황 발생시 비상 통화를 수행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는데, 비상전화기(80)의 핸드
Figure kpo00021
(323)이 고장 상태이면 긴급 통화를 수행할 수 없다. 그러나 비상전화기(80)가 원거리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헨드
Figure kpo00022
(323)의 상태를 수동으로 검사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원격지의 비상전화기(80)의 핸드
Figure kpo00023
(323)을 중앙제어부에서 일정 주기로 자동 검사하여 핸드
Figure kpo00024
(323)의 상태를 분석하게 된다.
먼저 제어장치(110)의 중앙처리장치(200)는 비상전화기(80)가 훅크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정 주기로 비상전화기(80)의 핸드
Figure kpo00025
(323)을 검사하기 위한 진단메세지를 발생한다. 즉 제8도(a)의 (31)단계에서 핸드
Figure kpo00026
(323)의 검사 시간이 되었음을 인지하면, 중앙처리장치(200)는 (32)단계에서 라인(220)으로 제7도(f)의 보이스 게인 테스트 메세지(904)를 출력한다.
그러면 DTMF 송신회로(201)는 상기 보이스 게인 테스트 메세지(904)를 DTMF 신호로 변환하며 라인(222)을 통해 송신등화회로(203)로 인가한다. 그러면 제4도와 같은 구성의 송신등화회로(203)는 라인(225)을 통한 중앙처리장치(200)의 이득 제어신호에 의해 송신레벨을 조정하며 송신라인 인터페이스(250)를 통해 송신라인(215)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DTMF 신호는 비상전화기(80)의 수신라인(250) 및 수신라인 인터페이스(324)를 통해 수신부 등화회로(302)로 인가되며, 제4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수신부 등화회로(302)는 라인(253)을 통한 마이콤(301)의 이득 제어신호에 의해 수신 레벨을 조정한 후 DTMF 수신회로(304)로 인가한다.
이때 상기 DTMF 수신회로(304)는 상기 수신부 등화회로(302)를 출력하는 DTMF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탈 신호 형태의 보이스 게인 테스트 메세지(904)를 복원한 후 마이콤(301)으로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마이콤(301)은 제8도(b)의 (41)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42)단계에서 마이콤(30l)은 라인(255)을 통해 Rx스위치(307)를 "온"시키고, 라인(266)을 통해 Tx스위치(310)를 온시키며, 라인(261)을 통해 제2진단스위치(309)를 "온"시킨다. 또한 라인(263)을 통해 사이드 톤 스위치(322)를 "오프"시키고, 라인(262)을 통해 제1진단스위치(308)를 오프시킨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307,309,310)가 "온" 상태가 되므로 핸드
Figure kpo00027
(323)의 수화기(326)의 송화기(327)와 제2송화기(315) 및 제2수화기(316)를 통한 음향 결합통로가 형성되어 핸드
Figure kpo00028
(323)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테스트 루프가 형성된다.
이후 상기 마이콤(301)은 (43)단계에서 라인(265)을 통해 제7도(g)의 테스트 액크널리지 메세지(1006)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테스트 액크널리지 메세지(1006)을 입력하는 DTMF 송신회로(305)는 이를 DTMF 신호로 변환하며, 송신부 등화회로(303)는 상기 DTMF 신호를 수신하여 라인(253)을 통해 마이콤(301)의 이득 제어신호에 의해 송신 레벨을 조정한 후 송신라인 인터페이스(325)를 통해 송신라인(251)으로 전송한다. 이후 제어장치(110)의 수신라인(216)을 통해 수신되는 DTMF 신호는 상기 중앙처리장치(200)의 제어하에 수신등화회로(204)에서 수득 이득이 조정된 후 DTMF 수신회로(202)로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DTMF 수신회로(202)의 출력인 테스트 액크널리지 메세지(1006)는 중앙처리장치(200)의 출력인 테스트 액크널리지 메세지(1006)는 중앙처리장치(200)로 인가되며, 중앙처리장치(200)는 제 8도(a)의 (32)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34)단계에서 테스트톤 발생회로(208)를 제어하여 1000HZ의 테스트톤 신호를 출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테스트톤 신호는 송신등화회로(203) 및 송신라인 인터페이스(250)를 통해 비상전화기(80)측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테스트톤 신호는 이미 형성되어 있는 음향 결합 테스트 루프에 의해 수신라인 인터페이스(324)→수신부 등화회로(302)→Rx스위치(307)→수신증폭기(311)를 거쳐 핸드
Figure kpo00029
(323)의 수화기(326)로 공급되며, 상기 수화기(326)에서 발생되는 음향 신호는 대향되어 연결된 제2송화기(315)에서 다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송화기(315)의 출력은 제2진단스위치(309)→증폭기(313)를 통해 제2수화기(316)로 공급되며, 제2수화기(316)에서 발생되는 음향 신호는 대향되어 연결된 핸드
Figure kpo00030
(323)의 송화기(327)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다. 따라서 핸드
Figure kpo00031
(323)의 수화기(326)는 제2송화기(315)와 대향되어 음향 결합되고, 핸드
Figure kpo00032
(323)의 송화기(327)는 제2수화기(316)와 대향되어 음향 결합되므로서, 핸드
Figure kpo00033
(323)이 정상적인 상태일시에는 수화기(326)→제1송화기(315)→제2수화기(3l6)→송화기(327)로 이루어지는 음향 결합 통로를 통해 테스트톤 신호가 전달된다.
상기 핸드
Figure kpo00034
(323)의 송화기(327) 출력은 송신증폭기(312)→송신부 등화회로(303)→Tx스위치(310)→송신라인 인터페이스(325)를 통해 제어장치(110)로 전송된다.
이후 제어장치(110)는 수신라인 인터페이스(206) 및 수신등화회로(204)를 통해 상기 비상전화기(80)에서 되돌아오는 테스트톤 신호를 수신하며, 절대값회로(209)에서 이를 직류전압으로 변환한 후, A/D변환기(210)에서 상기 직류 레벨의 전압을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러면 중앙처리장치(200)는 제8도(a)의 (35)단계에서 상기 A/D변환기(210)의 출력을 리드하며, (36)단계에서 상기 A/D변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7도(d)의 보이스 게인 메세지(707)를 발생한 후 피포(213)에 라이트시킨다.
그러면 부제어부(102)는 상기 보이스 게인 메세지(707)를 수신한 후 주제어부(100)에 처리할 수 있도록 제7도(b)의 보이스 게인 메세지(507)를 발생하여 서브 시리얼 인터페이스(104)를 통해 메인 시리얼 인터페이스(103)로 출력한다. 이때 주제어부(100)는 메인 시리얼 인터페이스(103)를 통해 상기 보이스 게인 메세지(507)를 수신하여 보이스 게인 값을 메모리부(101)에 저장한다. 이후 주제어부(100)는 상기 보이스 게인 값을 분석하여 보이스 게인이 현저하게 작은 경우에는 해당 비상전화기(80)의 핸드
Figure kpo00035
(323) 검사결과를 에러 상태로 표시한다.
따라서 상기 비상전화기(80)의 핸드
Figure kpo00036
(323) 검사시, 음향 결합 루프인 핸드
Figure kpo00037
수화기(326)→제2송화기(315)→제2수화기(316)→핸드
Figure kpo00038
송화기(327)의 통로를 형성하게 되는데, 핸드
Figure kpo00039
(323)에 이상상태가 발생되면 상기 음향 결합 루프를 형성하지 못하므로 핸드
Figure kpo00040
(323)의 통화 불능 상태를 인지할 수 있으며, 또한 테스트 신호 감시시에도 기준 레벨 이하의 신호일시에는 주제어부(100)에서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비상전화기의 핸드
Figure kpo00041
상태를 일정 주기마다 점검하여 고장 유무를 원격 이격된 위치에서 자동 진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비상 전화 시스템의 비상통화 기능을 향상 가능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시스템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사설교환기(10)의 내부에 수용되어 통화 라인과 교환 제어부간에 데이타 통신을 수행하는 동시에 통화라인과 교환 스위치 회로간에 음성신호를 제어하는 제어장치(110)와, 핸드
    Figure kpo00042
    의 수화기(326) 및 송화기(327)에 각각 대향되어 제2송화기(315) 및 제2수화기(316)가 연결되며, 상기 제2송화기(315)와 제2수화기(316) 사이에 진단스위치(309)를 연결하여 음향 결합 루프를 형성하는 비상전화기(80)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장치(110)에서 원격 이격되어 통화 라인에 다수개의 비상전화기(80)가 병렬 접속되는 비상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10)에서 일정 주기로 보이스 게인 테스트 메세지를 비상전화기(80)로 송출하며, 상기 메세지를 수신하여 비상전화기(80)에서 상기 진단스위치(309)를 "온"시켜 음향 결합 테스트 루프를 형성하는 제1스텝(31,32,41,42)과, 상기 음향 결합 테스트 루프 형성후 비상전화기(80)에서 테스트 액크널리지 메세지를 제어장치로 출력하며, 상기 메세지에 의해 제어장치(110)에서 테스트톤 신호를 발생하여 비상전화기(80)의 음향 결합 테스트 루프를 통한 테스트톤 신호를 재수신하는 제2스텝(33,34,35,43,44)과, 상기 테스트톤 신호를 재수신한 제어장치(110)에서 보이는 게인 메세지를 발생하여 교환 제어부로 전송하며 교환제어부에서 보이스 게인값의 레벨을 분석하여 비상전화기(80)의 핸드
    Figure kpo00043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제3스텝(36,45)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전화 시스템 비상전화기 핸드
    Figure kpo00044
    상태 검사 방식.
KR1019870011185A 1987-10-05 1987-10-05 비상전화 시스템에서 비상전화기의 핸드셑 상태 검사방식 KR900007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1185A KR900007707B1 (ko) 1987-10-05 1987-10-05 비상전화 시스템에서 비상전화기의 핸드셑 상태 검사방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1185A KR900007707B1 (ko) 1987-10-05 1987-10-05 비상전화 시스템에서 비상전화기의 핸드셑 상태 검사방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539A KR890007539A (ko) 1989-06-20
KR900007707B1 true KR900007707B1 (ko) 1990-10-18

Family

ID=19265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1185A KR900007707B1 (ko) 1987-10-05 1987-10-05 비상전화 시스템에서 비상전화기의 핸드셑 상태 검사방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7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6948B1 (ko) * 1999-07-24 2002-03-13 다우전자통신 주식회사 비상 전화의 상태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539A (ko) 198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6244A (en) Frequency multiplexed telephone system
US558159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an ID number by sound in a cordless telephone
KR900007707B1 (ko) 비상전화 시스템에서 비상전화기의 핸드셑 상태 검사방식
US4445007A (en) Remote testing of subscriber line interface circuits
US4567332A (en) Four-wire telephone system with self-test means
KR910000355B1 (ko) 비상전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KR900007711B1 (ko) 비상 전화 시스템
KR910000352B1 (ko) 비상전화 시스템의 자동이득 조정방법
JP3721707B2 (ja) テレビドアホンシステム
KR900007710B1 (ko) 비상 전화 시스템의 자동등화회로
KR960013955B1 (ko) 공동 주택용 통신망의 설비 및 그 제어 방법
KR20070062694A (ko) 회선 점검 장치와 그 회선 점검 방법
RU2010433C1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радиотелефонной связи
KR100765322B1 (ko) 가변 정합이 가능한 아날로그 트렁크 정합장치 및 그제어방법
JP2810726B2 (ja) 電話システム
KR940008116B1 (ko) 장치 상호간 통화를 위한 오더와이어(order wire)회로
JP4965944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RU1774516C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 и контрол передачи команд по телефонным лини м
JPS6160054A (ja) 打合せ電話方式
GB2204761A (en) Telephone system and terminal
JP2000049973A (ja) 無線固定加入者装置及びその保守モード設定方法
JPH04241562A (ja) 帯域内シグナリング伝送装置
JPH01311661A (ja) 加入者回線試験器
JPH0113679B2 (ko)
JPH01233870A (ja) 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0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