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495B1 - 통신 선로 시험기 - Google Patents

통신 선로 시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495B1
KR930004495B1 KR1019900013753A KR900013753A KR930004495B1 KR 930004495 B1 KR930004495 B1 KR 930004495B1 KR 1019900013753 A KR1019900013753 A KR 1019900013753A KR 900013753 A KR900013753 A KR 900013753A KR 930004495 B1 KR930004495 B1 KR 930004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communication line
switch
line
buz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3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7377A (ko
Inventor
최동남
Original Assignee
최동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남 filed Critical 최동남
Priority to KR1019900013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495B1/ko
Publication of KR920007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통신 선로 시험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선로 시험기를 도시한 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통신 선로 시험기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통신 선로 시험기의 저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통신 선로 시험기의 좌측면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한 통신 선로 시험기의 우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선로 시험기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피뢰탄기반 짹 2 : 보안기 양부 발광다이오드
3 : 통신선로 시험메타 4 : 공중전화 과금펄스감지 발광다이오드
5 : 응답용 발광다이오드 6 : 송화용 마이크
7 : 다이알 키 패드 8 : L1 및 L2 양선시험 스위치
9 : 용량시험 스위치 10 : 타혼 및 절연시험 스위치
11 : 선로시험 스위치 12 : 부저시험 스위치
13 : 전자식 및 기계식 절환 스위치
14 : 전화기신호 절환 스위치 15 : 수화짹
16 : 신호 및 통화전원 공급단자
17 : 코드 클립 18 : 손잡이끈
19 : 휴대걸이끈 20 : 리시이버 보관집
21 : 전지 22 : 부저
23 : 제너다이오드 25,26 : 앤드게이트
27 : 인버터 30 : 콘덴서
31 : 제너다이오드 R1-R10 : 저항
VR1,VR2 : 반고정저항
본 발명은 통신 선로의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통신 선로를 여러가지 형태로 시험할 수 있는 휴대용 통신 선로 시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선로는 전화국의 교환기에 가입자들의 전화기들을 접속시키기 위하여 상기 교환기와 상기 전화기사이에 설치되어 가입자들에게 음성 및 정보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 선로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란 및 노화에 의해 음성 및 정보서비스의 품질을 저하시키거나 잦은 고장을 일으킨다. 또한, 상기 통신 선로의 음성 및 정보 서비스의 품질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통신 선로의 운용자는 상기 통신 선로를 수시로 시험하여 상기 통신 선로의 서비스품질이 저하되었거나 상기 통신 선로에 고장이 발생되었을 경우에 그 통신 선로를 보수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통신 선로를 다목적으로 시험하기 위하여, 상기 선로의 운용자는 시험목적이 다른 크고 무거운 시험장비들을 이용하거나 두명이 한조가 되어 상기 통신 선로를 시험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을 감수하여야 하겠다.
실제로, 상기 통신선로의 양부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하여 선로의 점검자는 선로의 끝부분이나 중간지점에서 교환대의 교환원과 직접 통화하여 상기 통신선로의 서비스품질을 측정, 판단했었다. 그리고 상기 선로의 점검자는 상기 통신선로의 부저대조, 공중전화의 과금펄스 감지 및 피뢰탄기반 등의 시험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부피가 크고 무거우며 휴대가 곤란한 공중전화 과금펄스 감지시험기, 근거리 통신선로 부저대조 시험기 및 피뢰탄기반 시험기들을 운반하여야 했었다.
위와 같이, 종래의 통신선로 시험장비들은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있고 큰 부피 및 무게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통신선로를 다목적으로 시험할 수 없었고 휴대 및 이동이 곤란한 등 많은 불편함을 선로의 운용자에게 부담시켰다. 그리고 통신선로의 양부상태의 시험은 점검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결정됨으로 인하여 정확하게 시행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통신선로의 시험, 피뢰탄기반 보안기시험, 공중전화 과금펄스의 감지시험 및 근거리 통신선로 부저대조시험기들을 수행할 수 있고 휴대가 용이하도록 소형화 및 경량화한 통신선로 시험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통신선로 시험기는 피뢰탄기반 보안기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5 접속구(P1-P5)를 구비한 피뢰탄기반 짹(1)과, 상기 피뢰탄기반 짹(1)의 상기 제1 및 제2접속구(P1,P2)에 시험용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피뢰탄기반 짹(1)의 상기 제3-5접속구(P3-P5)에 각각 접속되어 시험할 피뢰탄기반 보안기의 내부회로 상태의 양부를 가시적으로 지시하는 제1표시수단과, 상기 피뢰탄기반 짹(1)의 상기 제3-5접속구(P3-P5)에서 발생되는 신호들의 논리 상태에 의해 시험할 피뢰탄기반 보안기의 양부를 검출하기 위한 논리연산수단과, 상기 논리연산수단의 출력단자 및 시험할 통신선로에 접속되어 상기 논리연산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시험할 피뢰탄기반 보안기의 양부상태를 청각적으로 시험자에게 통보하고 상기 시험할 통신선로의 루프 형성 상태를 시험자에게 청각적으로 통보하는 부저(22)와, 상기 시험할 통신선로에 접속되어 전화국으로부터 과금펄스가 정상적으로 전송되는가의 여부를 가시적으로 지시하기 위한 제2표시수단과, 상기 시험할 통신선로에 접속되어 상기 통신선로에 전송되는 전압값을 검출하여 시험자에게 지시하기 위한 시험메타(3)와, 상기 부저(22), 제2표시수단 및 상기 시험메타(3)들과 상기 시험할 통신선로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과금펄스의 전송상태, 상기 루프형성상태 및 상기 써비스 품질의 시험모드에 따라 상기 시험할 통신선로를 상기 부저(22), 제2표시수단 및 상기 시험메타(3)에 선택적으로 절환하기 위한 절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이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제5도를 참조하면, 윗면 상단의 우측에 설치된 피뢰탄기반 짹(1)과 상기 피뢰탄기반 짹(1)의 좌측에 보안기의 양부를 표시하는 보안기 양부 표시기(2)를 구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선로 시험기가 설명되어 있다. 상기 보안기 양부 표시기(2)는 보안기가 양호한 상태에 있음을 지시하는 제1발광다이오드(2-1)와 보안기에 이상이 있음을 지시하는 두개의 발광다이오드(2-2,2-3)들을 구비한다. 상기 보안기 양부표시기(2) 및 상기 피뢰탄기반 짹(1)의 아래쪽의 중앙부에는 통신선로에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값을 지시하는 통신선로 시험메타(3)가 설치되고, 상기 시험메타(3)의 아래쪽의 우측 및 좌측에는 전화국으로부터의 공중전화용 과금펄스가 수신됨을 지시하는 공중전화 과금펄스감지 발광다이오드(4) 및 전화국의 교환기로부터의 호출신호(즉, 링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응답용 발광다이오드(5)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응답용 발광다이오드(5)의 좌측에는 송화용 마이크(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중전화 과금펄스감지 발광다이오드(4) 및 상기 응답용 발광다이오드(5)의 아래쪽에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다이얼 키 패드(Dial key pad : 7)가 설치된다.
상기 통신선로 시험기는 전면에 설치된 코드 클립(17), 저면에 설치된 손잡이끈(18) 및 통화전원 공급단자(16)를 구비한다. 상기 코드 클립(17)은 상기 통신선로 시험기를 상기 통신 선로에 접속되고, 상기 통화전원 공급단자(16)는 상기 통신선로 시험기에서 사용될 동작용 전압을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선로 시험기의 우측면에는 L1 및 L2의 양선시험스위치(8), 용량시험스위치(11), 타혼 밍 절연시험스위치(10), 선로시험스위치(11) 및 부저시험스위치(12)가 설치되고, 상기 통신선로 시험기의 좌측면에는 전자식 및 기계식 절환 스위치(13), 전화기신호 절환스위치(14) 및 수화용 리시이버를 수납하기 위한 수화짹(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신선로 시험기는 좌,우측의 상단모서리부분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휴대걸이끈(19) 및 상기 휴대걸이끈(19)에 부착된 리시이버보관집(20)을 구비한다.
제6도를 참조하면, 제2전위단자를 접지전위(GND)에 접속한 전지(21)와 상기 전지(21)의 제1전위단자(Vcc)에 저속된 제1,2접속구(P1,P2)를 갖는 피뢰탄기반 짹(1)을 구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선로시험기가 설명되어 있다. 상기 피뢰탄기반 짹(1)은 발광다이오드(2-2) 및 저항(R1)을 통해 상기 접지전위(GND)에 접속된 제3접속구(P3), 발광다이오드(2-1) 및 저항(R2)을 거쳐 상기 접지전위(GND)에 접속된 제4접속구(P4)와 발광다이오드(2-3) 및 저항(R3)을 통해 상기 접지전위(GND)에 접속된 제5접속구(P5)를 구비한다. 상기 피뢰탄기반 짹(1)의 제1-5접속구들(P1-P5)은 도시하지 않은 피뢰탄기반의 5개의 접속핀을 각각 수납한다. 상기 피뢰탄기반 짹(1)의 상기 제1접속구(P1) 및 상기 제2접속구(P2)는 상기 피뢰탄기반의 인덕턴스 성분소자(Lc1 또는 Lc2)를 통해 상기 제3접속구(P3) 및 제5접속구(P5)에 각각 접속되고 그리고 상기 제4접속구(P4)는 상기 피뢰탄기반의 저항성분소자(Rc)을 통해 접지전위(GND)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피뢰탄기반 짹(1)의 제3,5접속구(P3,P5)는 상기 피뢰탄기반이 양호한 상태를 유지한 경우에 상기 제4접속구(P4)와 오픈된 상태를 갖고, 반대로 상기 피뢰탄기반이 양호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 경우에는 상기 제4접속구(P4)와 도통된 상태를 갖는다.
상기 피뢰탄기반의 상기 인덕턴스 성분소자들(Lc1,Lc2) 및 상기 저항 성분소자(Rc)들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상기 피뢰탄기반의 내부 임피던스성분을 등가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발광다이오드(2-2)는 상기 전지(21)의 제1전위단자(Vcc)로터 상기 피뢰탄기반 짹(1)의 제1접속구(P1), 상기 피뢰탄기반의 인덕턴스성분소자(Lc1) 및 상기 피뢰탄기반짹(1)의 제3접속구(P3)을 거쳐 애노오드쪽으로 공급되는 양전위전압에 의해 점등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발광다이오드(2-3)도 상기 전지(21)의 제1전위단자로부터 상기 피뢰탄기반 짹(1)의 상기 제2접속구(P2), 상기 피뢰탄기반의 상기 인덕턴스성분소자(Lc2) 및 상기 피뢰탄기반 짹(1)의 상기 제5접속구(P5)를 통해 애노오드쪽으로 공급되는 양전위전압에 의해 되어 상기 피뢰탄기반이 양호한 상태를 갖고 있음을 지시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다이오드(2-2)는 상기 피뢰탄기반의 인덕턴스성분소자(Lc1)이 개방된 경우에 소등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발광다이오드(2-3)는 상기 피뢰탄기반의 인덕턴스성분소자(Lc2)가 개방된 경우에 소등되어 피뢰탄기반의 이상상태에 있음을 지시한다.
한편, 상기 발광다이오드(2-1)는 상기 피뢰탄기반의 이상상태로 인하여 상기 피뢰탄기반 짹(1)의 상기 제3접속구(P3) 및 상기 제4접속구(P4)가 도통되거나 상기 제4접속구(P4) 및 상기 제5접속구(P5)가 도통된 경우 상기 전지(21)의 제1전위단자(Vcc)로부터 상기 피뢰탄기반 짹(1)의 제1접속구(P1), 상기 피뢰탄기반의 인덕턴스성분소자(Lc1), 상기 피뢰탄기반짹(1)의 제3 및 제4접속구(P3,P4)나 또는 상기 피뢰탄기반 짹(1)의 상기 제2접속구(P2), 상기 피뢰탄기반의 인덕턴스성분소자(Lc2) 및 상기 제5 및 제4접속구(P5,P4)를 통해 애노오드로 공급되는 양전위전압에 의해 점등되어 상기 피뢰기반에 이상이 있음을 지시하고, 반대로 상기 피뢰탄기반이 양호한 상태를 갖고 있는 경우에도 소등된다. 또한, 상기 발광다이오드들(2-1∼2-3)의 캐소오드와 상기 접지전위(GND)사이에 각각 접속된 세개의 저항(R1-R3)은 상기 발광다이오드들(2-1∼2-3)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한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들(2-1∼2-3)을 보호한다.
상기 통신선로 시험기는 상기 피뢰탄기반 짹(1)의 제3접속구(P3)에 저항(R4)을 통해 제1입력단자가 접속된 제1앤드게이트(25) 및 상기 피뢰탄기반 짹(1)의 제4접속구(P4)에 입력단자가 접속된 인버터(27)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제1앤드게이트(25)는 상기 제1입력단자에 공급되는 상기 피뢰탄기반짹(1)의 제3접속구(P3)로부터의 논리신호와 상기 피뢰탄기반짹(1)의 제5접속구(P5)로부터 저항(R6)을 통해 제2입력단자쪽으로 공급되는 논리신호를 논리곱연산하여 논리곱연산된 논리신호를 저항(R8)을 통해 제2앤드게이트(26)의 제1입력단자에 공급한다. 상기 제1앤드게이트(25)의 출력논리신호는 상기 피뢰탄기반 짹(1)의 제3,5접속구(P3,P5)로부터의 논리신호들이 모두 하이논리상태(즉, 양전위전압)을 갖을때, 즉 상기 피뢰탄기반이 양호한 상태를 갖을 경우에 하이 논리상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피뢰탄기반 짹(1)의 상기 제3접속구(P3) 및 상기 접지전위(GND) 사이에 접속된 제너다이오드(23) 및 저항(R4)의 직렬회로는 상기 제1앤드게이트(25)의 제1입력단자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2-2)에 과도한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직렬회로는 상기 발광다이오드(2-1)의 애오노드, 상기 제1앤드게이트(25)의 제2입력단자, 상기 발광다이오드(2-3)의 애노오드 및 상기 인버터(27)의 입력단자에 과도한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피뢰탄기반 짹(1)의 제4접속구(P4) 및 상기 접지전위(GND)사이와 상기 피뢰탄기반 짹(1)의 제5접속구(P5) 및 상기 접지전위(GND) 사이에 각각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27) 및 상기 피뢰탄기반 짹(1)의 제4접속구(P4)로부터의 논리신호를 반전시켜 반전된 논리신호를 저항(R7)을 거쳐 상기 제2앤드게이트(26)의 제2입력단자에 공급한다. 상기 제2앤드게이트(26)는 상기 인버터(27)로부터의 반전된 논리신호와 상기 제1앤드게이트(25)로부터의 논리곱연산된 논리신호를 논리곱연산하여 산출된 논리신호를 부저(22)에 공급한다. 상기 제2앤드게이트(26)에서 산출된 논리신호는 상기 피뢰탄기반 짹(1)의 제3,5접속구(P3,P5)에서 발생되는 논리신호가 모두 하이논리상태를 갖고 상기 피뢰탄기반 짹(1)의 제4접속구(P4)에서 발생되는 논리신호가 로우논리상태를 갖을 때, 즉 상기 피뢰탄기반이 양호한 상태에 있을 경우에 하이논리상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부저(22)는 상기 제2앤드게이트(26)로부터 하이논리상태의 논리신호가 공급될때 부저음을 발생하여 상기 피뢰탄기반이 양호한 상태에 있음을 점검자 또는 시험자에게 통보한다.
상기 통신선로 시험기는 각각 두개의 가동접점(a1,a2) 및 두쌍의 선택접점(b1,b2,c1,c2)을 갖는 용량시험 스위치(9), 타혼 및 절연시험 스위치(10), 선로시험 스위치(11), 부저시험 스위치(12) 및 전화기신호 절환 스위치(14)와 하나의 가동접점(a1) 및 한쌍의 선택접점(b1,c1)을 갖는 L1 및 L2 양선시험 스위치(8)를 구비한다.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11)의 제1가동접점(a1)은 제1클립(27-1)에 접속되어 상기 통신선로의 상태를 시험할 경우 한쪽 전송선로(L1)를 통신선로 시험메타(3) 또는 브리지다이오드(29)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선택접점(c1)에 접속되고,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11)의 제2가동접점(a2)은 제2클립(27-2)에 접속되어 상기 통신선로의 상태를 시험할 경우 타측의 전송선로(L2)를 상기 통신선로시험메타(3) 또는 상기 브리지다이오드(29)에 접속시키기 위하여 상기 선택접점(c2)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11)의 제1,2가동접점(a1,a2)은 부저시험, 공중전화 과금펄스감지시험 및 전화 통화를 할 경우에 각각의 선택접점(b1,b2)에 각각 접촉된다.
상기 용량시험 스위치(9)의 제1가동접점(a1)은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11)의 상기 선택접점(c1)에 접속되어 있으며 통신선로 시험시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ℓ1)의 선택접점(c1) 및 제1가동접점(a1)을 통해 접속되는 일측의 통신선로(11)를 반고정저항(VR1)을 통해 상기 브리지다이오드(31)의 제1입력단자에 접속시키기 위하여 선택접점(b1)에 접촉되거나 또는 상기 통신선로(L)을 상기 브리지다이오드(31)의 제2입력단자에 접속시키기 위하여 선택접점(c1)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용량시험 스위치(9)의 제2가동접점(a1)은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11)의 선택접점(c2)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11)의 선택접점(c2) 및 제2가동접점(a2)을 거쳐 접속되는 상기 타측 통신선로(L2)를 상기 반고정저항(VR1)을 통해 상기 브리지다이오드(31)의 제1입력단자에 접속시키기 위하여 선택접점(c2)에 접촉되거나 또는 상기 타측 통신선로(L2)를 상기 브리지다이오드(31)의 제2입력단자에 접속시키기 위하여 선택접점(b2)에 접촉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용량시험 스위치(9)는 통신선로 시험시 시험자의 선택에 의해 절환되어 상기 양통신선로(L1,L2)를 상기 브리지다이오드(31)의 제1 및 제2입력단자에 접속시키거나 또는 상기 브리지다이오드(31)의 제2 및 제1입력단자에 접속시킨다. 또한, 상기 L1 및 L2 양선시험 스위치(8)의 가동단자(a1)는 통신선로 시험시 시험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11)의 선택접점(c2), 제2가동접점(a2) 및 상기 제2클립(27-2)을 통해 상기 타측 통신선로(L2)에 접속된 선택접점(b1)에 접촉되어 상기 타측 통신선로(L2)를 접지전위(GND)에 접속시키거나 또는,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11)의 선택접점(c1), 제1가동접점(c1) 및 제1클립(27-1)을 통해 상기 일측 통신선로(L1)에 접속된 선택접점(c1)에 접속되어 상기 일측 통신선로(L1)를 상기 접지전위(GND)에 접속시킨다. 따라서, 상기 L1 및 L2 양선시험 스위치(8)는 시험자가 상기 일측 통신선로(L1)의 전압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 상기 타측 통신선로(L2)를 접지전위(GND)에 접속시키기고, 반대로 상기 타측 통신선로(L2)의 전압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일측 통신선로(L1)를 상기 접지전위(GND)에 접속시킨다.
한편, 상기 타혼 및 절연시험 스위치(10)는 통신선로 시험시 시험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브리지다이오드(31)의 제1 및 제2출력단자나 또는 상기 양통신선로(L1,L2)를 상기 통신선로 시험메타(3)에 선택적으로 접속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통신선로 시험메타(3)의 제1입력단자에 접속된 상기 타혼 및 절연시험 스위치(10)의 제1가동단자(a1)는 상기 양통신선로(L1,L2)에 신호성분(즉, 교류전압)이 전송될 때의 상기 양통신선로(L1,L2)상의 전압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 상기 통신선로 시험메타(3)의 제1입력단자를 선택단자(b1)를 통해 상기 브리지다이오드(31)의 제1입력단자에 접속시키고, 그리고 상기 신호성분이 전송되지 않을 때의 상기 양통신선로(L1,L2)상의 직류전압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통신선로 시험메타(3)의 제1입력단자를 선택단자(c1)를 통해 상기 접지전위(GND)에 접속시킨다.
그리고 상기 통신선로 시험메타(3)의 제2입력단자에 접속된 상기 타혼 및 절연시험 스위치(10)의 제2가동단자(a2)는 상기 양통신선로(L1,L2)에 신호성분이 전송될 때의 상기 양통신선로(L1,L2)상의 교류전압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 상기 통신선로 시험메타(3)의 제2입력단자를 선택단자(b2)을 통해 상기 브리지다이오드(31)의 제2출력단자에 접속시키고, 상기 신호성분이 전송되지 않을 때의 상기 타측통신선로(L2)상의 직류전압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 상기 통신선로 시험메타(3)의 제2입력단자를 상기 타혼 및 절연시험 스위치(10)의 선택단자(C2), 상기 용량시험 스위치(9)의 선택단자(B2) 및 제2가동단자(A2),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11)의 선택접점(C2) 및 제2가동단자(A2)와 제2클립(27-2)을 거쳐 상기 타측 통신선로(L2)에 접속시키며, 또한 상기 신호성분이 전송되지 않을 때의 상기 일측통신선로(L1)상의 직류전압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 상기 통신선로 시험메타(3)의 제2입력단자를 상기 타혼절연시험 스위치(10)의 선택단자(c2), 상기 용량시험 스위치(9)의 선택단자(c1) 및 제1가동단자(a1),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11)의 선택접점(c1) 및 제1가동단자(a1)와 제1클립(27-1)을 거쳐 상기 일측 통신선로(L1)에 접속시킨다. 상기 반고정저항(VR1)은 상기 브리지다이오드(31)의 제1입력단자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한하고, 상기 전지(21)의 제1전위단자(Vcc)와 상기 용량시험 스위치(9)의 선택단자들(b1,c2) 및 상기 반고정저항(VR1)이 공통접속된 접속점(A) 사이에 접속된 반고정저항(VR2)은 상기 브리지다이오드(31)와 상기 양통신선로(L1,L2)간의 임피던스를 정합한다. 그리고 상기 브리지다이오드(31)는 상기 양통신선로(L1,L2)쪽으로 부터의 고류전압을 정류하여 상기 통신선로 시험메타(3)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통신신로 시험메타(3)는 상기 브리지다이오드(31)로부터의 상기 정류된 전압의 값이나 상기 양통신선로(L1,L2)로부터의 직류전압의 값을 시험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지시한다.
그리고 상기 부저시험 스위치(12)는 부저신호의 수신여부를 시험할 경우 상기 양통신선로(L1,L2)를 상기 부저(22) 및 상기 접지전위(GND)에 각각 접속시키고, 그 이외의 공중전화 과금펄스간지 시험 및 음성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양통신선로(L1,L2)를 상기 전화기신호 절환 스위치(14)에 접속시킨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11)의 선택접점(b2)에 접속된 상기 부저시험 스위치(12)이 제1가동접점(a1)은 부저신호의 수신여부를 시험할 경우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11)의 선택접점(b2) 및 제2가동접점(a2)와 상기 제2클립(27-2)을 거쳐 접속되는 상기 타측 통신선로(L2)를 상기 부저시험 스위치(12)의 선택접점(c1)를 거쳐 상기 접지전위(GND)에 접속시키고, 반면에 공중전화 과금펄스감지 시험 및 음성통화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타측통화선로(L2)를 상기 부저시험 스위치(12)의 선택접점(b1)을 경유하여 상기 전호기신호 절환 스위치(14)의 제2가동접점(a2)에 접속시킨다. 상기 부저시험 스위치(12)의 제2가동접점(a2)은 부저신호의 수신여부를 시험할 경우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11)의 선택접점(b1) 및 제1가동접점(a1)와 상기 제1클립(27-1)을 거쳐 접속되는 상기 일측 통신선로(L1)를 상기 부저시험 스위치(12)와 선택접점(c2)를 거쳐 상기 부저(22)에 접속시키고, 반면에 공중전화 과금펄스감지 시험 음성통화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일측통화선로(L1)를 상기 부저시험 스위치(12)의 선택접점(b2)을 경유하여 상기 전화기신호 절환 스위치(14)의 제1가동접점(a1)에 접속시킨다.
또한, 상기 전화기신호 절환 스위치(14)의 제1가동접점(a1)은 공중전화 과금펄스감지 시험을 할 경우 상기 부저시험 스위치(12)의 선택접점(b2) 및 제2가동접점(a2),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11)의 선택접점(b1) 및 제1가동접점(a1)과 상기 제1클립(27-1)을 거쳐 접속되는 상기 일측 통신선로(L1)를 상기 전화기신호 절환 스위치(14)의 선택접점(14)의 선택접점(b1), 저항(R10) 및 콘덴서(30)을 경유하여 발광다이오드(4)에 애노오드에 접속시키고, 이와는 달리 음성 통화를 할 경우에는 상기 일측 통신선로(L1)를 상기 전화기신호 절환 스위치(14)의 선택접점(c1) 및 출력라인(34)을 통해 전화기회로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시킨다.
그리고 상기 상기 전화기신호 절환스위치(14)의 제2가동접점(a2)은 공중전화 과금펄스감지 시험을 할 경우 상기 부저시험 스위치(12)의 선택접점(b1) 및 제1가동접점(a1),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11)의 선택접점(b2) 및 제2가동접점(a2)과 상기 제2클립(27-2)을 거쳐 접속되는 상기 타측 통신선로(L2)를 상기 전화기신호 절환 스위치(14)의 선택접점(b2)을 경유하여 발광다이오드(4)의 캐소오드에 접속시키고, 이와는 달리 음성 통화를 할 경우에는 상기 타측 통신선로(L2)를 상기 전호기신호 절환 스위치(14)의 선택접점(c2) 및 출력라인(35)을 통해 상기 전화기회로부에 접속시킨다. 상기 저항(R10)은 상기 콘덴서(30)을 경유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4)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제한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콘덴서(30)는 상기 발광다이오드(4)에 교류신호전압만이 공급되도록 상기 저항(R10)을 경유하여 유입되는 상기 일측 통신선로(L1)로부터의 신호전압을 필터링한다. 그리고 상기 전화기회로부는, 제1도,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펄스형태의 다이알신호와 DTMF(Dual Tone Multi-Frequency)형태의 다이알신호의 발생을 선택하기 위한 전자식 및 기계식 절환 스위치(13), 리시이버를 수납하기 위한 수화짹(15),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6),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다이알 키패드(7) 및 통화선로(L1,L2)을 통해 전화국으로부터 송출된 호출신호(즉, 링신호)가 수신되는가를 지시하는 응답용 발광다이오드(5)와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통화회로등을 구비한다.
참고로, 상기 각 시험모드별 스위치들의 절환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음성통화에 의해 상기 통신선로를 시험하고자 할 경우, 시험자는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11) 및 상기 부저시험 스위치(12)의 가동접점들(a1,a2)을 선택접점들(b1,b2)쪽으로 절환시키고 상기 전화기신호 절환 스위치(14)의 가동접점들(a1,a2)을 선택접점들(c1,c2)쪽을 절환시킨다. 그리고 시험자는 리시이버를 상기 수화짹(15)에 삽입하고 전자식 및 기계식 절환 스위치(13)을 적절하게 선택한 후 상기 코드클립(17)을 상기 통화선로에 연결하면 상기 송화용 마이크(6) 및 리시이버를 이용하여 원하는 가입자 또는 전화국의 교환원과 직접 통화를 할 수 있고, 상기 응답용 발광다이오드(5)를 통해 전화국에서 가입자를 호출할 때 호출신호가 수신되는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음성통화시 송화 및 수화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송화용 마이크(6)는 고감도 콘덴서 마이크를 사용하고 상기 수화짹(15)에 삽입되는 상기 리시이버는 다이나믹 코일 리시이버(Dynamic Coil Recever)를 사용하여 2K의 저항값을 갖는 통신선로에서도 좋은 통화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필요시 상기 다이알 키 패드(7)에 있는 아스트리크기(*)을 선택하면 재 다이알링이 되도록 되고 샤프 키(#)를 선택하면 송화음을 차단하여 미세한 잡음시험까지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두번째로, 통신선로 시험메타(3)를 이용하여 통신선로를 시험할 경우, 시험자는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11)의 제1,2가동접점(a1,a2)을 선택접점(c1,c2)쪽으로 절환시키고 상기 코드클립(17)을 상기 통화선로(L1,L2)에 접속시킨 후, 상기 타혼 및 절연시험 스위치(10), L1 및 L2양선 시험 스위치(8) 및 용량시험 스위치(9)을 적절하게 절환시키면서 상기 통신선로시험메타(3)의 지침값으로 상기 통화선로(L1,L2)의 양부를 판별한다.
세번째로는 공중전화 과금펄스감지 시험을 할 경우로서, 이 경우에 시험자는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11) 및 상기 부저시험 스위치(12)의 가동접점들(a1,a2)을 선택접점들(b1,b2)쪽으로 절환시키고 상기 전화기신호 절환 스위치(14)의 가동접점들(a1,a2)을 선택접점들(b1,b2)쪽으로 절환시킨다. 그리고 시험자는 상기 코드클립(17)을 상기 통화선로에 연결하면, 공중전화 과금펄스가 인가될 때 점등되는 상기 공중전화 과금펄스감지용 발광다이오드(4)의 점등여부에 의해 가시적으로 공중전화 과금펄스의 수신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네번째로 피뢰탄기반 보안기를 시험할 경우, 시험자는 피뢰탄기반 보안기 휴즈(도시하지 않음; TDP-2,3)를 본 발명의 통신선로 시험기의 윗면 상단에 위치한 피뢰탄기반 짹(1)에 삽입하면, 상기 보안기 양부 발광다이오드(2-1-2-3) 및 부저(22)에 의해 상기 피뢰탄기반 보안기의 양부를 가시적으로 청각적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피뢰탄기반 보안기가 정상일 경우, 상기 좌우의 양쪽에 위치한 보안기 양부 발광다이오드(2-2,2-3)가 점등도고 부저(22)가 부저음을 발생한다. 반대로, 상기 피뢰탄기반 보안기 휴즈가 불량한 상태이면, 중앙에 위치한 보안기 양부 발광다이오드(2-1)나 또는 상기 좌우의 보안기 양부 발광다이오드들(2-2,2-3)중 하나만 점등되고 상기 부저(22)는 부저음을 발생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근거리 통신선로의 부저를 대조하는 시험을 할 경우에 시험자는 상기 코드 클립(17)을 상기 통신선로(L1,L2)에 접속하고 상기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11)의 가동접점들(a1,a2)을 선택접점들(b1,b2)쪽으로 절환시킨다. 그리고 시험자는 상기 부저시험 스위치(12)의 가동접점들(a1,a2)을 선택접점들(c1,c2)쪽으로 절환시키면, 시험하고자 하는 상기 통신선로(L1,L2)가 루프가 형성될 때 상기 부저(22)에서 울리는 부저음에 의해 부저를 대조 시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회로가 단단하고 소형화 및 경량화되어 휴대가 용이한 이점이 있으며, 또한 음성 통화에 의하거나 시험메타에 의한 통신선로의 시험, 피뢰탄기반 보안기의 시험, 공중전화 과금펄스의 감지시험 및 근거리 부저의 대조 시험들을 혼자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통신선로의 운요아로 하여금 통신선로의 유지 및 보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등 여러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3)

  1. 피뢰탄기반 보안기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5 접속구(P1-P5)를 구비한 피뢰탄기반 짹(1)과, 상기 피뢰탄기반 짹(1)의 상기 제1 및 제2접속구(P1,P2)에 시험용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피뢰탄기반 짹(1)의 상기 제3-5접속구(P3-P5)에 각각 접속되어 시험할 피뢰탄기반 보안기의 내부회로 상태의 양부를 가시적으로 지시하는 제1표시수단과; 상기 피뢰탄기반 짹(1)의 상기 제3-5접속구(P3-P5)에서 발생되는 신호들의 논리 상태에 의해 시험할 피뢰탄기반 보안기의 양부를 검출하기 위한 논리연산수단과; 상기 논리연산수단의 출력단자 및 시험할 통신선로에 접속되어 상기 논리연산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시험할 피뢰탄기반 보안기의 양부 상태를 청각적으로 시험자에게 통보하고 상기 시험할 통신선로의 루프 형성 상태를 시험자에게 청각적으로 통보하는 부저(22)와; 상기 시험할 통신선로에 접속되어 전화국으로부터 과금펄스가 정상적으로 전송되는가의 여부를 가시적으로 지시하기 위한 제2표시수단과; 상기 시험할 통신선로에 접속되어 상기 통신선로에 전송되는 전압값을 검출하여 시험자에게 지시하기 위한 시험메타(3)와, 상기 부저(22), 제2표시수단 및 상기 시험메타(3)들과 상기 시험할 통신선로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과금펄스의 전송상태, 상기 루프형성상태 및 상기 써비스 품질의 시험모드에 따라 상기 시험할 통신선로를 상기 부저(22), 제2표시수단 및 상기 시험메타(3)에 선택적으로 절환하기 위한 절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선로 시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할 통신선로가 제1 및 제2전송라인(L1,L2)를 구비하고;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11)에 접속되어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11)에 접속되는 상기 제1 및 제2전송라인(L1,L2)상의 신호전압을 정류하고 상기 정류된 신호전압을 상기 시험메타(3)에 공급하기 위한 정류수단과; 상기 전화기신호 절환 스위치(14) 및 상기 제2표시수단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표시수단에 교류신호성분만 공급되도록 상기 전화기신호 절환 스위치(14)를 통해 상기 통신선로로 부터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수단과; 상기 절환수단이 상기 시험메타(3)와 상기 제1 및 제2전송라인(L1,L2)를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제1 및 제2전송라인(L1,L2)를 상기 시험메타(3)에 접속 및 분리하기 위한 선로시험 스위치(11)와, 상기 제1 및 제2전송라인(L1,L2)와 상기 제2표시수단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제1 및 제2전송라인(L1,L2)을 상기 제2표시수단에 접속 및 분리하기 위한 전화기신호 절환스위치(14)와, 상기 제1 및 제2전송라인(L1,L2)과 상기 부저(22)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제1 및 제2전송라인(L1,L2)을 상기 부저(22)에 접속 및 분리하기 위한 부저 시험 스위치(12)와,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11) 및 접지전위(GND)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11)를 경유하여 상기 시험메타(3)에 접속될 상기 제1 및 제2전송라인(L1,L2)을 선택적으로 상기 접지전위(GND)에 접속시키기 위한 L1 및 L2 양선시험 스위치(8)와, 상기 제1, 제2전송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직류신호 전압 및 교류신호전압을 측정하도록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11), 상기 정류수단 및 상기 시험메타(3)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11)를 거쳐 접속되는 상기 제1 및 제2전송라인(L1,L2) 및 상기 정류수단의 출력을 상기 시험메타(3)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타혼 및 절연스위치(10)와, 상기 정류수단, 상기 타혼 및 절연 스위치(10)와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11)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11)를 통해 접속되는 상기 제1 및 제2전송선로(L1,L2)를 극성이 반전되도록 상기 정류수단 및 상기 타혼 절연 스위치(10)에 접속하는 용량시험 스위치(9)와, 상기 용량시험 스위치(9) 및 상기 정류수단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용량시험 스위치(9) 및 상기 선로시험 스위치(11)를 거쳐 접속되는 상기 제1 및 제2전송선로(L1,L2)와 상기 정류수단의 임피던스를 정합하기 위한 정합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선로 시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수단에 접속되어 시험자에게 음성통화를 제공하기 위한 전화기 회로부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선로 시험기.
KR1019900013753A 1990-09-01 1990-09-01 통신 선로 시험기 KR930004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3753A KR930004495B1 (ko) 1990-09-01 1990-09-01 통신 선로 시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3753A KR930004495B1 (ko) 1990-09-01 1990-09-01 통신 선로 시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377A KR920007377A (ko) 1992-04-28
KR930004495B1 true KR930004495B1 (ko) 1993-05-27

Family

ID=19303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3753A KR930004495B1 (ko) 1990-09-01 1990-09-01 통신 선로 시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4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993Y1 (ko) * 2008-07-11 2011-06-10 주식회사 대성정보통신기술 휴대용 선로 시험기
CN117538673B (zh) * 2024-01-09 2024-03-15 山东掌电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力用多功能避雷器试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377A (ko) 199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9285B2 (en) Dynamic, automated double-ended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nd qualifying metallic telecommunication loops
US3739107A (en) On premise telephone loop tester
US4912755A (en) Line current test device
US4415779A (en)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testing telephone subscriber loop to locate a fault relative to a reference point
US4796290A (en) Ground start circuit
US3870836A (en) Portable tester for telephone subscriber lines
KR930004495B1 (ko) 통신 선로 시험기
US5115462A (en) Remotely controlled apparatus for conditioning telephone line exclusive of metallic DC bypass pair
EP0055977B1 (en) Portable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attenuation of a subscriber's telephone line
US5778050A (en) Portable line test telephone
US4582965A (en) Coin trunk test set
JPS6251018B2 (ko)
KR200177430Y1 (ko) 포켓형 선로 시험기
US6744853B1 (en) Testing of telephone lines
US4191859A (en) Loop, dial pulse and ring trip detection circuit with capacitive shunt network
KR920000080B1 (ko) 다기능 포터블 선로 시험기
KR200342788Y1 (ko) 휴대용 선로시험 전화기
KR101248773B1 (ko) 휴대용 광/통신 선로 시험기
KR20040088607A (ko) 원격제어 회선시험기 및 그를 이용한 회선 시험방법
US4166928A (en) Loop, dial pulse and ring trip detection circuit
KR100208257B1 (ko) 전전자 교환기의 다이얼 톤 및 전송 손실 시험 장치
KR910001700Y1 (ko) 전화선 절연 테스트기를 겸한 검침자용 송수화기
JPS581864B2 (ja) 専用回線出合試験装置
KR960011832B1 (ko)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를 공중 전화 교환망에 접속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 및 그를 포함한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와 그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를 구비한 워크스테이션
KR19990037919A (ko) 전용회선선로시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IN ENTIRETY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5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