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428B1 - 자동 접속번호 송출전화기에서 병렬 접속된 전화기에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 제공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접속번호 송출전화기에서 병렬 접속된 전화기에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 제공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428B1
KR100194428B1 KR1019960032639A KR19960032639A KR100194428B1 KR 100194428 B1 KR100194428 B1 KR 100194428B1 KR 1019960032639 A KR1019960032639 A KR 1019960032639A KR 19960032639 A KR19960032639 A KR 19960032639A KR 100194428 B1 KR100194428 B1 KR 100194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switch
number transmission
automatic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2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3919A (ko
Inventor
조원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32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4428B1/ko
Publication of KR19980013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3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428B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 자동 접속번호 송출전화기에서 접속된 전화기에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 제공장치 및 방법.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 종래의 전화기는 LCR기능이 없는 것이 대부분이며, LCR기능을 가지는 전화기를 구비하더라도 병렬 접속된 전화기는 다이얼링시 직접 라인으로 DTMF신호를 송출함으로 LCR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 전화라인을 접속된 전화기로 연결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전화기로부터 다이얼링된 신호를 전송하는 제2스위치와, 상기 전화기의 다이얼링시 라인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전달부와, 상기 전화기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사용상태감지부를 구비한 LCR 전화기에서 접속된 전화기에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 LCR 전화기

Description

자동 접속번호 송출전화기에서 병렬 접속된 전화기에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 제공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이 구현된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이 구현되지 않은 병렬 접속된 전화기에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Least Cost Routing 이하 LCR 라 함)이라 함은 시외전화 또는 국제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다수인 경우 전화를 걸때 별도의 접속번호를 누르지 않더라도 사전에 설정된 시외전화 및 국제전화 서비스 사업자의 접속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하는 기능을 말한다. 예컨대, 상기 접속번호는 시외전화인 경우 한국통신은 접속번호를 사용하고 있지 않으며, 데이콤은 82를 사용한다. 또한, 국제전화인 경우 한국통신은 1, 데이콤은 2와 같은 별도의 접속번호를 통신 사업자가 지정하여 사용한다. 한편, 서로 다른 접속번호를 사용하는 사업자마다 요금을 별도로 징수하므로 사용료의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기 LCR기능이 구현된 전화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서비스 사업자중 가장 싼 회선을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의 접속번호를 미리 등록하여 사용하면, 상기 시외전화 또는 국제전화 서비스를 저렴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었다.
상기 LCR기능을 가지는 전화기의 동작을 보면,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면 차례로 입력된 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가 LCR이 필요한 전화번호인 가를 판단한다. LCR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사전에 가입된 접속번호를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의 송출에 앞서 송출하여 서비스 사업자의 교환기 또는 제어장치에 자동 접속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교환기 또는 제어장치는 자신의 회선망 또는 타사의 회선망을 경유하여 가장 싼 가격으로 서비스 받을 수 있는 회선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LCR기능을 이용한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전화기는 서비스 사업자 교환기 또는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통화시간, 요금 등에 관한 정보인 LCR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하지만, 상기 다이얼링되어 저장된 전화번호가 LCR기능이 필요치 않는 전화번호라 판단되면 상기 전화기는 별도의 접속번호를 송출하지 않으므로 기존의 기간회선(예; 한국의 한국통신, 일본의 NTT 등)을 사용하였다.
종래의 전화기는 LCR기능이 없는 것이 대부분이며, LCR기능을 가지는 전화기를 구비하더라도 병렬 접속된 전화기는 다이얼링 시 DTMF신호를 라인으로 직접 송출함으로 LCR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이 구현되지 않은 병렬 접속된 전화기를 다이얼링 시 직렬 접속하여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LCR)을 사용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이 구현되지 않은 병렬 접속전화기의 다이얼링 시 직렬 접속하여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LCR)을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화기의 블록 구성도.
도 2a,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0)는 메모리(36)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LCR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1모듈라잭(12)은 인입되는 전화회선을 상기 LCR 전화기에 접속한다. 제2모듈라잭(14)은 LCR이 구현되지 않은 전화기로부터 인입되는 회선을 상기 LCR 전화기에 직렬 접속한다. 제1스위치(16) 및 제2스위치(18)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스위칭 동작한다. 초기상태 및 상기 LCR 전화기가 훅크-오프되면 상기 제1스위치(16)는 온, 제2스위치(18)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하지만, 상기 직렬 접속된 전화기의 훅크-오프가 감지되면 상기 LCR 전화기를 통해 다이얼링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스위치(16)는 오프, 제2스위치(18)는 온 된다. 상기 다이얼링이 완료되어 상대측과 통화상태이면 상기 제1스위치(16)는 온, 제2스위치(18)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통화의 종료가 감지되면 상기 LCR 전화기가 안정적으로 LCR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스위치(16)와 제2스위치(18)를 모두 오프 한다. 사용상태감지부(20)는 상기 LCR이 구현되지 않은 전화기의 훅크-온 또는 오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에 감지신호(D.S)를 제공한다. 브릿지회로부(22,26)는 입력신호의 반전 여부에 관계없이 정상 동작이 가능하게 한다. 전원전달부(24)는 상기 브릿지회로부(22)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중 교류(AC)에 해당하는 신호는 차단하고, 직류(DC)에 해당하는 라인 전원을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직렬 접속된 전화기로 공급한다. 통상적으로 전화기는 교환기로부터 라인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다이얼링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라인 전원을 공급하는 것은 상기 직렬 접속된 전화기를 이용한 다이얼링시 상기 제1스위치(16)가 오프되어 전화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라인 전원이 차단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1스위치(16)가 온 되면 라인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전원전달부(24)는 상기 제1스위치(16)에 대치하여 동작한다. 통화회로부(28)는 상기 LCR 전화기에서 송출되는 음성 등의 각종 신호를 전화라인측으로 송신하며, 상기 전화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각종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송수화부(30)는 수신되는 전기적 음성신호를 가청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수화기와, 송신할 가청 음성신호를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송화기로 구성된다. DTMF송신부(32)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DTMF신호를 발생한다. DTMF수신부(34)는 전화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원격제어신호인 DTMF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직렬 접속된 전화기로부터 DTMF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0)에 제공한다. 메모리(36)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 프로그램과 상기 LCR 전화기의 동작에 따른 데이타를 저장한다. 키입력부(38)는 다수의 숫자 키를 포함하는 키 메트릭스 구조를 가지며, 키입력에 따른 키데이타를 상기 제어부(10)에 제공한다. 표시부(40)는 상기 LCR 전화기의 동작 상태를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의 처리과정을 도 2a,2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대측 호출을 위한 직렬 접속된 전화기의 훅크-오프가 감지되면 다이얼링 수행에 따른 DTMF신호 송출을 위한 루프를 형성하고 라인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직렬 접속된 전화기로부터 DTMF신호를 수신하여 LCR에 의한 접속번호의 송출이 필요한 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접속번호의 송출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설정된 접속번호를 송출한 후 상시 수신된 DTMF신호를 송출하는 과정과, 접속번호의 송출이 필요 없다고 판단되면 상시 수신된 DTMF신호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DTMF신호의 송출이 완료되면 상기 직렬 접속된 전화기로 통화루프를 형성하여 통화모드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직렬 접속된 전화기를 차단하고 LCR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LCR 정보의 수신이 완료되면 초기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0)는 210단계에서 직렬 접속된 전화기의 사용중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은 사용상태감지부(20)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D.S)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사용상태감지부(20)에 의해 직렬 접속된 전화기의 훅크-오프가 감지되면 212단계로 진행하여 LCR 전화기가 훅크-오프되는 가를 판단한다. 상기 212단계에서 훅크-오프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는 214단계로 진행하여 LCR 전화기에 따른 통화 서비스를 수행한다. 상기 통화 서비스는 통상적으로 LCR 전화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214단계에서 상기 LCR 전화기가 훅크-온 상태가 감지되면 216단계로 진행하여 전화라인을 통해 착신된 링이 있는 가를 판단한다. 상기 214단계에서 감지된 훅크-오프가 착신 링에 응답한 것이라면 LCR 기능과는 무관함으로 상기 제어부(10)는 21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직렬 접속된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를 수행한다. 상기 통화시 상기 제어부(10)는 제1스위치(16)가 온, 제2스위치(18)가 오프된 초기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한편, 전화라인으로부터 착신된 링신호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직렬 접속된 전화기가 훅크-오프되었다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직렬 접속된 전화기가 전화를 걸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스위치(16)와 제2스위치(18)를 제어하여 다이얼링을 위한 루프를 형성한다. 상기 루프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10)는 제1스위치(16)를 오프 시키는 제어신호(C.S2)를 송출하고, 상기 제2스위치(18)를 온 시키는 제어신호(C.S3)를 송출한다. 상기 220단계에서 상기 제1스위치(16)가 오프됨으로 인해 상기 전화라인으로부터 상기 직렬 접속된 전화기로 공급되던 DC 48V의 라인 전원이 차단되어 다이얼링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는 222단계에서 전원전달부(24)를 제어하여 브릿지회로부(22)를 통해 제공되는 라인 전원을 상기 직렬 접속된 전화기로 공급한다. 상기 제어부(10)는 224단계에서 상기 직렬 접속된 전화기의 다이얼링에 의해 입력되는 DTMF신호를 DTMF수신부(34)를 통해 수신하여 임시로 저장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0)는 226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DTMF신호를 분석하여 LCR 기능에 따른 접속번호의 송출이 필요한 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수신된 DTMF신호가 LCR 기능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228단계로 진행하여 DTMF송신부(32)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접속번호를 송출한 후 상기 수신된 DTMF신호에 따른 DTMF신호를 송출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수신된 DTMF신호가 LCR 기능이 필요 없다고 판단되면 23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DTMF송신부(32)를 제어하여 상기 수신된 DTMF신호만을 송출한다. 상기 228단계 또는 230단계를 통해 전화번호 다이얼링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0)는 23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1스위치(16)를 온 시키며, 상기 제2스위치(18)는 오프 시킨다. 상기 232단계에 의해 제1모듈라잭(12)과 제2모듈라잭(14)이 병렬 연결상태가 되게하여 상기 LCR 전화기를 거치지 않고 상기 직렬 접속된 전화기를 통해 직접 통화할 수 있도록 통화루프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LCR 전화기는 상기 232단계에 의해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직렬 접속된 전화기는 상기 형성된 통화루프를 통해 234단계에서 음성통화를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0)는 236단계에서 상기 직렬 접속된 전화기의 통화가 종료되는 가를 판단한다. 상기 236단계에서 통화 종료의 검출은 상기 사용상태감지부(20)로부터 상기 직렬 접속된 전화기의 훅크-온의 감지에 의해 검출된다. 상기 통화 종료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는 23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1스위치(16) 및 제2스위치(18)를 모두 오프 시키기 위한 제어신호(C.S2,C.S3)를 송출한다. 상기 제어신호(C.S2,C.S3)에 의해 상기 제1모듈라잭(12)과 제2모듈라잭(14)은 차단되며, 상기 제1모듈라잭(12)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 및 정보는 상기 LCR 전화기에 제공되도록 루프를 형성한다. 상기 제어부(10)는 240단계에서 상기 형성된 루프를 통해 전화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LCR 정보인 통화시간, 요금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LCR 정보를 수신하는 동안 상기 제어부(10)는 242단계에서 상기 LCR 정보의 수신이 완료되었는 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0)는 LCR 정보 수신 완료 후 244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LCR 정보를 표시부(40)에 표시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0)는 LCR 정보 수신 완료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치(16)를 온, 제2스위치(18)를 오프 시키기 위한 제어신호(C.S2,C.S3)를 송출한다. 상기 제어신호(C.S2,C.S3)에 의해 루프는 초기상태와 동일한 상태를 유지한 후 기능을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LCR 전화기에 접속된 LCR 기능이 없는 전화기에서도 LCR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전화요금의 절약을 도모할 수 있으며, LCD등의 표시장치를 가지는 LCR 전화기의 경우는 회선에 대한 구체적인 전화의 송수신 상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다수의 전화기가 병렬 접속된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을 가지는 전화기에 있어서,
    전화라인과 상기 병렬 접속된 전화기를 스위칭 연결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병렬 접속된 전화기에서 다이얼링된 전화번호를 연결하는 제2스위치와,
    상기 병렬 접속된 전화기가 다이얼링시 필요한 라인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전달부와,
    상기 병렬 접속된 전화기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사용상태감지부와,
    상기 제1스위치, 제2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와 상기 전원전달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제2스위치를 통해 수신되는 전화번호에 따라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접속번호 송출전화기에서 접속된 전화기에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 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상태감지부에 의해 상기 병렬 접속된 전화기의 훅크-오프가 감지되면 상기 제1스위치를 차단하고 상기 제2스위치를 연결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접속번호 송출전화기에서 접속된 전화기에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 제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이 완료되면 상기 제1스위치를 연결하고 상기 제2스위치를 차단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병렬 접속된 전화기를 전화라인으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접속번호 송출전화기에서 접속된 전화기에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 제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상태감지부에 의해 상기 병렬 접속된 전화기의 훅크-온이 감지되면 상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를 모두 차단하여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자동 접속번호 송출정보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접속번호 송출전화기에서 접속된 전화기에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 제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전화라인을 접속하는 제1모듈라잭과, 상기 전화기를 상기 LCR 전화기에 접속하는 모듈라잭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접속번호 송출전화기에서 접속된 전화기에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 제공장치.
  6. 전화라인을 접속된 전화기로 연결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전화기로부터 다이얼링된 신호를 전송하는 제2스위치와, 상기 병렬 접속된 전화기의 다이얼링시 라인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전달부와, 상기 병렬 접속된 전화기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사용상태감지부를 구비한 자동 접속번호 송출 전화기에서 병렬 접속된 전화기에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병렬 접속된 전화기가 다이얼링을 위해 훅크-오프되면 라인 전원을 공급하는 라인 전원공급과정과,
    상기 제1스위치를 차단하고 상기 제2스위치를 연결하여 상기 다이얼링된 신호를 수신하는 루프를 형성하는 신호수신과정과,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자동 접수번호 송출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수행과정과,
    상기 자동 접수번호 송출기능이 완료되면 상기 제1스위치를 연결하고 상기 제2스위치를 차단하여 상기 병렬 접속된 전화기를 전화라인으로 연결하는 통화루프 형성과정과,
    상기 병렬 접속된 전화기의 통화 종료가 감지되면 상기 제1스위치를 연결하고 상기 제2스위치를 차단하여 초기상태를 유지하는 초기상태 전환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접속번호 송출전화기에서 접속된 전화기에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 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종료가 감지되면 상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를 차단하여 전화라인을 통해 자동 접수번호 송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접속번호 송출전화기에서 접속된 전화기에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 제공방법.
KR1019960032639A 1996-08-05 1996-08-05 자동 접속번호 송출전화기에서 병렬 접속된 전화기에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 제공장치 및 방법 KR100194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639A KR100194428B1 (ko) 1996-08-05 1996-08-05 자동 접속번호 송출전화기에서 병렬 접속된 전화기에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 제공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639A KR100194428B1 (ko) 1996-08-05 1996-08-05 자동 접속번호 송출전화기에서 병렬 접속된 전화기에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 제공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919A KR19980013919A (ko) 1998-05-15
KR100194428B1 true KR100194428B1 (ko) 1999-06-15

Family

ID=66250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2639A KR100194428B1 (ko) 1996-08-05 1996-08-05 자동 접속번호 송출전화기에서 병렬 접속된 전화기에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 제공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44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913B1 (ko) * 1998-06-22 2004-09-18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핸드 터미널과 컴퓨터를 중계하는 중계기의 인식 번호 자동부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919A (ko) 199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5633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a gateway between a wired telephone and a wireless telephone network
US5563938A (en) Subscriber telephone diverter switch
AU621752B2 (en) Cellular telephone with standard telephone set
KR100194428B1 (ko) 자동 접속번호 송출전화기에서 병렬 접속된 전화기에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 제공장치 및 방법
KR100222781B1 (ko) 발신자번호를 이용한 착신호 검색 통화방법
JPH08228384A (ja) 電話装置
KR100312183B1 (ko) Isdn단말기의재다이얼링방법
KR100428481B1 (ko) 액정표시장치가 장착된 자동 접속 다이얼 전화기의 선로설정 방법
KR19990069674A (ko) 간이교환 시스템에서의 선택 수신 방법
KR100602627B1 (ko) 사설 교환기에서 내선 전환방법
KR20000037006A (ko) 발신자 정보 표시 및 사업자 번호 자동 다이얼링장치와 그방법
KR100228313B1 (ko) 교환시스템에서 공중전화 가입자에 대한 선택적극성반전신호 제공방법
KR910010005B1 (ko) 익스터널 콜 포워딩 방법
KR200212105Y1 (ko) 발신자 정보표시 기능이 내장된 자동 접속 다이얼 장치
KR960009920B1 (ko) 디지탈 키폰의 긴급메시지 표시 방법
KR960015873B1 (ko) 전화응답 소형교환기
CN101170598B (zh) 共用电话线设备的来电区分方法和装置
JP3047601B2 (ja) 無線端末制御装置
JP3092332B2 (ja) 無線端末制御装置
KR20010026170A (ko) 사설교환기에서 상대방 정보 표시방법
KR200166420Y1 (ko) 긴급 전화기용 통신 시스템
KR100303623B1 (ko) 긴급 전화기용 통신 시스템
JPH0691568B2 (ja) 自動ダイヤル装置
KR960012903A (ko) 국제통신 콜링(calling)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19706A (ko) 병렬 접속된 다른 전화기의 송출 전화번호 및 통화시간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