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8313B1 - 교환시스템에서 공중전화 가입자에 대한 선택적극성반전신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교환시스템에서 공중전화 가입자에 대한 선택적극성반전신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313B1
KR100228313B1 KR1019970043771A KR19970043771A KR100228313B1 KR 100228313 B1 KR100228313 B1 KR 100228313B1 KR 1019970043771 A KR1019970043771 A KR 1019970043771A KR 19970043771 A KR19970043771 A KR 19970043771A KR 100228313 B1 KR100228313 B1 KR 100228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larity inversion
providing
polarity
invers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3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0311A (ko
Inventor
박세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3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8313B1/ko
Publication of KR19990020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34Charging, billing or metering arrangements for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7/0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 H04M17/3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using a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7/0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 H04M2017/25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using a code

Abstract

교환시스템에서 과금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국가별이나 공중전화별 사양에 따라 극성반전신호를 제공하는 극성반전신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 국가별로 극성반전신호를 제공하는 방법이 서로 다르게 되어 있어 한 국가의 사양으로 다른 국가들의 다양한 요구 사양을 수용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지보수단말기를 이용하여 운용자가 극성반전신호에 대한 사양을 선택적으로 해당 데이터베이스를 간단히 변경하여 각 국가별 사양에 맞는 극성반전신호를 발신가입자의 전화단말장치로 제공한다.

Description

교환시스템에서 공중전화 가입자에 대한 선택적 극성반전신호 제공방법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서 극성반전신호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교환시스템에서 과금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국가별이나 공중전화별 사양에 따라 극성반전신호를 제공하는 극성반전신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교환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극성반전신호는 전화단말기에서 자체과금기능을 가지는 특수가입자 예를들어 공중전화나 사설교환기(PABX)측에 과금의 시작과 종료를 전기적으로 통지하기 위한 수단이며, 이를 위해 대부분의 국설교환시스템은 이러한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삼성전자 주식회사에서 제조판매하는 SDX-RB교환기에 접속되는 가입자를 위한 극선반전 신호제공방법은 한 국가, 예를들어 중국향의 CDE(CUSTOMER DEVELOPMENT ENGINEERING)의 사양에 맞게 개발되어 다른 국가(러시아, 시리아, 인도, 에콰도르등)로 수출을 하고 있다. 그런데 각 국가별로 극성반전신호를 제공하는 방법이 서로 다르게 되어 있어 한 국가의 사양으로 다른 국가들의 다양한 요구 사양을 수용할 수 없었다. 즉, 각 국가별로 다양한 사양은 예를들어 극성반전신호의 제공시점, 신호유형(PERMANENT/WINK), WINK시 제공기간등에 대한 운용자 레벨의 데이터 베이스제어가 고려되지 않아 국가별 소프트웨어 버전이 다르게 제작되어 버전관리가 어렵고, 향후 국가별 신호처리 사양의 일부 변경시 그 때마다 소프트웨어 변경 및 재적용이 불가피하게 되므로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시스템에서 각 국가별 사양에 맞는 극성반전신호를 전화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극성반전신호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지보수단말기를 이용하여 운용자가 극성반전신호에 대한 사양을 선택적으로 해당 데이터베이스를 간단히 변경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극성반전신호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교환시스템의 블럭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극성반전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극성반전신호의 선택적 부여를 위한 데이터 베이스 포맷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PM에서 LPM으로 전송되는 극성반전신호 메시지 포맷 구성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교환시스템의 블럭구성도이다.
MPM(MAIN Processing Module) 10은 중앙처리모듈로 교환소프트웨어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각 하드웨어 주변 디바이스 전용제어부와 접속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제어부의 주요기능은 호처리, 시스템 구성진단, 통계, 감시, 신호처리등이다. 신호처리는 SPM 16에 있는 링크를 통해 각 가입자부의 가입자선 감시 및 신호처리를 하는 LPM 18과 메시지를 주고받아 듀얼포트 메모리를 통해 그 메시지를 처리한다. MAP(Maintenance & Administration PC 14는 IPM 12에서 제공되는 입출력 포트에 사용 IBM PC/AT 호환기종을 접속시켜 시스템의 진단 및 관리기능을 하며, 극성반전신호의 사양을 선택변경한다. IPM 12는 콘트롤 쎌프(Control shelf)에 실장되며 8개의 입출력 포트를 제어하는 I/O콘트롤러와 시스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보관하는 백업 메모리인 하드디스크를 접속시키기 위한 콘트롤러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MPM 10과 병렬데이타 전송을 하고, 상기 MAP 14와 시리얼 통신을 수행한다. SPM(Signal Processing Module) 16은 전용신호 처리부로 512Kbps 링크를 통해 각 가입자부의 가입자선 감시 및 신호 처리를 하는 LPM 18과 메시지를 주고받아 MPM 10과 공통메모리인 듀얼포트 메모리를 통해 그 메시지를 처리한다. LPM(Line Processing Module) 18은 각 가입자 쎌프(Shelf)에 위치하여 각 가입자보드에서 어떠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를 조사하고, 정보를 시그널링 링크를 통해 SPM 16에 알리고, SPM 16으로부터 받은 메시지를 처리한다. 중계선 정합회로 22는 상기 MPM 10의 제어를 받아 해당 국선포트를 연결하여 국선을 연결하도록 한다. SLC(Subscriber Line Card) 20은 아날로그 가입자를 접속시키는 기능을 하며 보드당 16가입자를 수용한다. OPLC 24는 다수의 공중전화 가입자를 접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극성반전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극성반전신호의 선택적 부여를 위한 데이터 베이스 포맷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PM에서 LPM으로 전송되는 극성반전신호 메시지 포맷 구성도이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 교환시스템과 공중전화 가입자가 접속될 경우 공중전화가 구비한 자체과금기능의 정확한 수행을 위하여 교환시스템으로부터 극성반전신호(PRS)를 받는다. 국가별 또는 공중전화별 기능사양에 따른 극성반전신호 제공방법은 발신자가 훅크오프시 즉시 극성반전신호를 제공하는 INIPRS형과, 극성반전신호를 제공하지 않는 NONPRS형과, 다이얼 종료즉시 극성반전신호를 제공하는 VRFPRS형과, 상대방 가입자의 응답이 있을시 통화형성되는 시점에서 극성반전신호를 제공하는 ANPRS형등이 있다.
그리고 도 3은 국가별 또는 공중전화기별로 다룰수 있는 모든 경우의 극성반전신호 요구시점 및 유형에대한 분석을 토대로 각 경우에 대한 운용자 데이터베이스화를 구현한 상세내용으로 기존의 교환시스템에 존재하는 전화번호 베이스의 TEL_INFO_DB에 4바이트의 PRS제어관련 파일을 추가한 것이다. 또한 도 1에서 모든 운용자는 MAP 14를 이용하여 극성반전신호 제공에 대한 사양을 선택 변경할 수 있는데, 메뉴드라이븐(Menu Driven) 방식을 이용하여 변경가능하다.
이와같이 극성반전신호 제공에 따른 사양을 선택하여 놓은후 발신측 공중전화가입자가 전화기를 사용할 때 극성반전신호를 제공하는 동작을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공중전화기 가입자가 전화사용을 위해 송수화기를 들게 되면 OPLC 24를 통해 LPM 18을 접속하여 LPM 18에서 훅크오프상태를 인식한다. 그런후 LPM 18은 SPM 16을 통해 발신호 타스크의 MPM 10으로 훅크오프되었음을 통보한다. 이때 MPM 10에서는 INIPRS가 세팅되어 있는가 검사하여 INIPRS가 세팅되어 있으면 발신측 LPM 18로 INIPRS를 보낸다. 그리고 MPM 10에서는 LPM 18로 다이얼톤을 공급하게 되며, LPM 18에서는 공중전화가입자에게 이 다이얼톤을 전송하여 공중전화가입자가 듣도록 한다. 이때 공중전화 가입자는 원하는 전화번호에 대한 다이얼키를 누르게되며, 발시측 LPM 18에서는 다이얼키가 입력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다. 그러나 INIPRS가 세팅되어 있지 않으면 발신호 타스크인 MPM 10에서는 발신측 LPM 18로 다이얼톤을 공급한다. 다이얼링이 종료되면 발신타스크의 MPM 10에서는 VRFPRS가 세팅되어 있는가 검사하여 VRFPRS가 세팅되어 있으면 발신측 LPM 18로 VRFPRS를 보낸다. 그런후 발신호 타스크의 MPM 10에서는 착신호 타스크의 MPM 10으로 착신 요구신호(REQ SEZURE STN)를 보내며, 이때 착신호 타스크의 MPM 10으로부터 착신요구 응답신호를 받게된다. 그러나 VRFPRS가 세팅되어 있지 않으면 착신다이얼링을 한 후 착신요구신호(REQ SEZURE STN)를 착신호 타스크의 MPM 10으로 보낸다. 그리고 착신호 타스크의 MPM 10에서는 착신측 LPM 18로 링신호를 공급한다. 그러면 착신측 LPM 18에서는 착신가입자에게 링신호를 공급하며, 이때 착신가입자는 링신호음을 들은후 송수화기를 들어 훅크오프시키게된다. 그러면 착신측 LPM 18에서는 착신응답신호를 착신호 타스크의 MPM 10으로 전송하며, 이때 착신호 타스크의 MPM 10은 착신응답신호(REQ OPP-HOF)를 발신호 타스크의 MPM 10으로 전송한다. 발신호 타스크의 MPM 10에서는 도 3의 상대응답시 제공하기 위한 극성반전신호(ANSPRS)가 세팅되어 있는가 검사하여 극성반전신호(ANSPRS)가 세팅되어 있으면 12/16KHz의 과금을 위한 극성반전신호(BILPRS)를 발신측 LPM 18로 제공한다. 그런후 발신측 LPM 10과 착신측 LPM 10간에 통화상태가 이루어져 공중전화가입자와 착신측 가입자간에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통화상태가 지속되면 발신호 타스크의 MPM은 통화시간당 제공하여 과금을 위한 극성반전신호(BILPRS)가 세팅되어 있는가 검사하여 과금을 위한 극성반전신호(BILPRS)가 세팅되어 있으면 발신호 타스크의 MPM 10은 설정된 시간 주기로 과금을 위한 극성반전신호(BILPRS)를 발신측 LPM 18로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과금을 위한 극성반전신호(BILPRS)가 세팅되어 있지 않으면 과금을 위한 극성반전신호(BILPRS)를 제공하지 않고 바로 발신측 LPM 10과 착신측 LPM 10간에 통화상태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통화상태가 이루어진후 공중전화 가입자가 통화를 끝내고 송수화기를 내려놓아 훅크온시키면 발신측 LPM 18에서는 발신호 타스크의 MPM 10으로 가입자 훅크온신호(STN HOOK ON)를 발신호 타스크의 MPM 1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발신호 타스크의 MPM 10은 착신호 타스크 MPM 10으로 가입자 훅크온 요구신호(REQ STN HOOK ON)를 보내며, 이때 착신호 타스크의 MPM 10은 착신측 LPM 18로 가입자 릴리즈신호(RELEASE STN)를 보내 착신측 전화라인을 릴리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 접속되는 다양한 종료의 공중전화기나 사설교환기의 가입자에 대하여 별도의 소프트웨어 변경없이 원하는 사양에 따른 극성반전신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교환시스템에서 공중전화 가입자에 대한 선택적 극성반전신호 제공방법에 있어서,
    국가별이나 공중전화별 사양에 따라 극성반전신호를 세팅하여 놓은후 가입자로부터 발신이 있을시 상기 세팅한 극성반전신호를 발신가입자에게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극성반전신호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국가별이나 공중전화별 사양에 따라 극성반전신호는,
    발신자가 훅크오프시 즉시 극성반전신호를 제공하는 INIPRS형과, 극성반전신호를 제공하지 않는 NONPRS형과, 다이얼 종료즉시 극성반전신호를 제공하는 VRFPRS형과, 상대방 가입자의 응답이 있을시 통화형성되는 시점에서 극성반전신호를 제공하는 ANPRS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극성반전신호 제공방법.
  3. 교환시스템에서 공중전화 가입자에 대한 선택적 극성반전신호 제공방법에 있어서,
    국가별이나 공중전화별 사양에 따라 원하는 극성반전신호를 세팅하는 과정과,
    상기 극성반전신호를 세팅한 후 발신가입자가 훅크오프될 시 INIPRS를 제공하기 위한 극성반전신호가 세팅되어 있는지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극성반전신호가 세팅되어 있을시 훅크오프시 즉시 제공하는 INIPRS를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INIPRS를 제공한 후 다이얼링이 완료될 시 VRFPRS가 세팅되어있는지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VRFPRS가 세팅되어 있을시 다이얼 종료 시 VRFPRS신호를 제공하는 과정과,
    착신측으로부터 착신응답신호가 제공하기 위한 극성반전신호(ANSPRS)가 세팅되어 있는지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응답신호가 있을시 ANSPRS신호를 제공하는 과정과,
    통화상태에서 과금을 위한 극성반전신호(BILPRS)가 세팅되어 있는지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과금을 위한 극성반전신호(BILPRS)가 세팅되어 있을시 통화중에 일정간격으로 과금을 위한 극성반전신호(BILPRS)를 발신가입자 전화기로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극성반전신호 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으로부터 착신응답신호가 있은후 상기 ANSPRS가 세팅되어 있지 않으면 통화상태로 연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극성반전신호 제공방법.
KR1019970043771A 1997-08-30 1997-08-30 교환시스템에서 공중전화 가입자에 대한 선택적극성반전신호 제공방법 KR100228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771A KR100228313B1 (ko) 1997-08-30 1997-08-30 교환시스템에서 공중전화 가입자에 대한 선택적극성반전신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771A KR100228313B1 (ko) 1997-08-30 1997-08-30 교환시스템에서 공중전화 가입자에 대한 선택적극성반전신호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311A KR19990020311A (ko) 1999-03-25
KR100228313B1 true KR100228313B1 (ko) 1999-11-01

Family

ID=19519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3771A KR100228313B1 (ko) 1997-08-30 1997-08-30 교환시스템에서 공중전화 가입자에 대한 선택적극성반전신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83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885B1 (ko) * 1998-07-10 2006-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복합 신호 감지회로 및 그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311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84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 a customer a promotional message between ringing signals or after a call waiting tone
US5619561A (en) Call-waiting and caller identification with three-way conversations arrangements
CA2177759C (en) Transmission of a data message during silent intervals of ringing for selection of terminal equipment
AU6516594A (en) Telemetry arrangement
KR100228313B1 (ko) 교환시스템에서 공중전화 가입자에 대한 선택적극성반전신호 제공방법
JP3097114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制御方式ならびに電話機および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267849B1 (ko) 알투신호를적용한자동전용네트워크다이얼링방법
KR100324735B1 (ko) 키폰의 구내 페이징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CN1171434C (zh) 智能网业务电话终端
JPS6031349A (ja) キ−番号照合接続方式
KR100194428B1 (ko) 자동 접속번호 송출전화기에서 병렬 접속된 전화기에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 제공장치 및 방법
JP2922350B2 (ja) 電話装置およびその接続制御方法
US7215749B1 (en) Time, date and originating number display provided to calling party
KR960015873B1 (ko) 전화응답 소형교환기
JPS61140265A (ja) 交換装置
KR0138180B1 (ko) 부재중 안내서비스방법
JP3458676B2 (ja) ボタン電話装置
KR100238815B1 (ko) 사설교환기의 아이들 오프훅 처리방법
KR100266791B1 (ko) 사설교환기에서통화로복구방법
KR100250668B1 (ko) 안내대를 이용한 스피드콜 서비스 방법
CN101170598B (zh) 共用电话线设备的来电区分方法和装置
KR960012903A (ko) 국제통신 콜링(calling)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437243A (ja) 構内交換機における同報通話制御方式
JPH0445650A (ja) 料金着払い通話方式
JPH02278953A (ja) 自動キャンプオン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