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2699B1 - 기기용음향장치 - Google Patents

기기용음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699B1
KR100532699B1 KR1019980008036A KR19980008036A KR100532699B1 KR 100532699 B1 KR100532699 B1 KR 100532699B1 KR 1019980008036 A KR1019980008036 A KR 1019980008036A KR 19980008036 A KR19980008036 A KR 19980008036A KR 100532699 B1 KR100532699 B1 KR 100532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peaker
pair
panel portion
speak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0112A (ko
Inventor
이사오 구니모또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80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6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기기의 음향장치에서 음질의 개선에 관한 음향장치가 제공된다. 저역용 스피커(4)와 고역용 스피커(5)를 구비한 기기용 음향장치(10)에서 기기의 음향장치(10)는 기기의 케이스(2)의 일부를 형성하고 다수의 홀(H)을 갖는 패널부(3)와, 저역용 스피커(4)와 패널부(3)의 사이에 배치되는 음도체(8)와, 음도체(8)와 패널부(3) 사이에 위치하여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부재(9)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기기용 음향장치
근래 텔레비젼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와 같은 영상기기에서 표시면적은 확대하는 반면 기기본체의 크기는 가능한 한 작게 하기 위해 또는 디자인 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음극선관(CRT)의 주변부의 폭은 작게 하고 영상기기의 캐비넷과 CRT와의 공간은 좁게 하고 있다. 따라서 스피커는 CRT 주변을 형성하는 캐비넷의 패널부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CRT와 영상기기의 케이스인 캐비넷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음향장치에 있어서, 스피커는 작은 크기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스피커의 소형화는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압을 전반적으로 낮게 하고, 패널부의 협소화는 영상기기의 음질저하의 원인이 된다. 더욱이, CRT 부근에 스피커를 배치하는 것은 스피커의 진동이나 음파로 인해 CRT의 영상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음향장치의 패널부(PA)가 청중위치(P)에 대해 외측을 향하기 때문에,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중방향(R)과 음파의 진행방향(S)의 불일치는 청중위치(P)에서 음질의 저하를 초래한다.
최근, 텔레비젼수상기 등의 음향장치에 대해 음질을 개선시키기 위해 다양한 고안이 만들어졌다.
예를 들면, 스피커의 혼부(horn portion)의 일부는 CRT의 외측면과 텔레비젼수상기의 캐비넷의 측벽에 의해 형성된다. 음질보정용 흡음부재는 스피커유닛의 혼부와 CRT의 외벽에 구비된다.
영상기기의 스피커시스템의 음질개선을 위한 종래의 기술에서, 종래의 영상기기용 스피커시스템은 고음용 스피커와 저음용 스피커로 구성되고, 저음용 스피커는 덕트와 관을 갖는 캐비넷에 고정된다. 상기 방식에서는, 저음용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질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의 텔레비젼수상기는 스피커의 덕트형 음도(sound passage)를 형성하는 스피커고정부재가 영상기기의 캐비넷에 맞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좁은 공간에 대형 스피커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텔레비젼수상기의 음향장치에서는 스피커에서 나온 음이 CRT와 간섭할 염려가 있으며, 따라서 영상이 방해될 수 있다. 또한, 스피커의 음에 의한 영상기기의 캐비넷의 약한 진동을 막기 어렵다.
텔레비젼수상기의 음향장치에서, 스피커에서 나온 음은 CRT로 전해지고, 따라서 CRT의 영상을 혼란시킨다. 스피커의 진동 및 음파에 의한 CRT와 텔레비젼수상기의 캐비넷의 진동을 막는 것은 어렵다. 그러므로 화질의 저하와 약한 진동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또한 고역음의 음질개선이 불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저역에서 스피커의 진동으로 인한 음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기기용 음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목적은 고역용 스피커와 저역용 스피커를 구비한 기기의 음향장치에 있어서, 기기의 음향장치는 기기의 케이스의 일부를 형성하고 복수의 홀을 갖는 패널부와, 저역용 스피커와 패널부 사이에 위치하는 음도체(sound conductor)와, 음도체와 패널부 사이에 위치하는 진동흡수용 완충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도체는 완충부재를 통해 영상기기의 케이스의 일부를 형성하고 복수의 홀을 갖는 패널부에 고정된다. 저역 스피커에서 출력된 음은 음도체를 통과하여 패널부로부터 청중 측으로 출력된다. 이 때에 저역 스피커에 의해 발생된 진동은 완충부재에 의해 흡수되어 패널부에서의 약한 진동을 방지한다.
또한, 완충부재로 인해 음도체에서 음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역용 스피커의 축방향을 바람직하게는 패널부의 홀의 형성방향과 일치하거나 또는 평행하도록 설치함으로써 고역음의 음질저하 없이 청중 측으로 음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이기 때문에, 적절하고 다양한 기술적 제한이 부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설명에서 특히 본 발명을 한정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기의 음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기기의 음향장치(10)가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기기가 텔레비젼수상기(영상기기)인 경우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위쪽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B선의 단면도이다.
도 1의 영상기기(1)는 캐비넷(2)과, CRT(7)를 갖는 표시부(6)와, 기기의 음향장치(10, 10) 등으로 구성된다.
영상기기(1)는 예를 들면 텔레비젼수상기나 컴퓨터의 디스플레이이며 캐비넷(2)을 포함한다. 도 1의 캐비넷(2)은 그 내부에 CRT(7)와, 기기의 음향장치(10, 10)등을 포함한다. 도 1의 캐비넷(2)은 좌우측 패널부(3, 3)를 포함하며, 패널부(3, 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표시부(6)의 표면에 대하여 (θ)의 각도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캐비넷(2)의 중앙부에는 기기(1)의 표시부(6)가 구비되어 있다. 표시부(6)의 CRT(7)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기기의 음향장치(10, 10)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기기의 음향장치(10, 10)는 각기 패널부(3), 저역용 스피커(4), 고역용 스피커(5) 등을 포함한다.
패널부(3)는 영상기기(1)의 케이스인 캐비넷(2)의 일부이다. 도 1의 저역용 스피커(4)는 음도체(8)를 통하여 영상기기(1)의 캐비넷(2)의 하부에 위치한다.도 1의 고역용 스피커(5)는 영상기기(1)의 캐비넷(2)에서 상부에 고정된다.
도 3을 참조하여 패널부(3)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저역용 스피커(4, 4)의 배치예를 확대하여 나타낸다. 좌우측 패널부(3, 3)는 예를 들면 미세공 가공된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으로 만들어지며, 다수의 홀(H)을 포함한다. 패널부(3)의 홀(H)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 성형이나 펀칭메탈 등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패널부(3)는 직물부재를 이용하여 당기는 방식으로 캐비넷(2)에 부착될 수 있다.
패널부(3, 3)는 저역용 스피커(4)와 고역용 스피커(5)에서 출력된 음을 분산시킴으로써 지향성을 감소시키고, 청중 위치의 변화에 의해 음압차를 감소시키도록 배치된다.
도 2와 도3을 참조하여, 저역용 스피커(4)와 그 주변부가 설명될 것이다.
저역용 스피커(4)는 주파수 대역이 약 100Hz(Hertz)에서 4000Hz(Hertz)인 저음을 발생하는 중간 및 저음역 스피커이다. 저역용 스피커(4)는 예를 들면, 직접방사형 스피커이고, 음도체(8)에 고정된다.
도 2의 음도체(8)(또한 덕트라고도 한다)는 예를 들면, 상자형태이고, 패널부(3)와 저역용 스피커(4) 사이에 위치한다. 저역용 스피커(4)는 도 3에서 음도체(8)의 후단개구부(8a)에 고정되고 전단개구부(8b)는 완충부재(9)를 통해 패널부(3)에 연결되거나 고정된다.
음도체(8)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저역용 스피커(4)는 저역용 스피커(4)의 앞과 뒤로 음파를 낸다. 앞쪽과 뒤쪽의 음파는 위상에서 서로 반대이기 때문에 상호 간섭하는 경우에는 음질이 저하된다. 상기 앞쪽과 뒤쪽의 음파가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음도체(8)가 구비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도체(8)는 저역용 스피커(4)로부터 패널부(3)로 음파(LS)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저역용 스피커(4)의 진동이 도 2의 CRT(7)로 전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음도체(8)를 사용함으로써 공간적 여유가 있는 CRT(7)의 뒤쪽에 대형 지름의 저역용 스피커(7)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완충부재(9)가 설명된다.
완충부재(9)는 음도체의 전단개구부(8b)에 배치된다. 패널부(3)와 음도체(8)는 완충부재(9)를 통하여 간격없이 연결될 수 있다. 완충부재(9)는 고무, 스펀지, 연성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만들어진다. 완충부재(9)가 설치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완충부재(9)는 음도체(8)로 전해지는 저역용 스피커(4)의 진동이 패널부(3)와 CRT(7)로 전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배치된다. 즉, 완충부재(9)는 저역용 스피커(4)에서 전해진 음도체(8)의 진동이 패널부(3)로 전해지지 않도록 하고 미미한 진동을 방지하며, 또한 저역용 스피커(4)에 의해 발생된 음이 음도체(8)에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한다.
더욱이, 완충부재(9)는 패널부(3)와 음도체(8)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패널부(3)와 음도체(8)가 조립될 때 발생되는 간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저역용 스피커(4)에서 나온 음이 새어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완충부재(9)는 저역용 스피커(4)의 음질저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고역용 스피커(5)와 그 주변부가 상술될 것이다.
도 5는 도 1의 C-D선의 단면도이고, 도 6은 고역용 스피커(5)와 패널부(3)의 확대도이다.
고역용 스피커(5)는 주파수 대역이 약 4000Hz(Hertz)에서 20000Hz(Hertz)인 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이다. 고역용 스피커(5)는 영상기기(1)의 캐비넷(2)의 패널부(3)와 함께 설치된다. 고역용 스피커(5)의 축(중심선, CL)이 패널부(3)의 홀(H)의 형성방향(HL)과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고주파수의 음은 음압은 낮고, 지향성은 높은 특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고주파수음은 패널부(3)와 고역용 스피커(5)의 사이의 공간이 큰 경우에는 낮은 음압으로 인하여 듣기 어렵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패널부(3)의 홀(H)을 형성하는 방향(HL)과 고역용 스피커(5)의 중심선(축, CL)이 서로 평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높은 지향성으로 인하여 음이 청중에게 전달되지 않는다는 또 다른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패널부(3)의 홀(H) 형성방향(HL)은 고역용 스피커(5)의 중심선(CL)과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고역용 스피커(5)는 패널부(3)와 고역용 스피커(5) 사이에 간격을 두지 않도록 배치된다.
다음에는, 저역용 스피커(4)의 음파(LS)와 고역용 스피커(5)의 음파(HS)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저역용 스피커(4)에서 출력된 음파(LS)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4에서 저역용 스피커(4)에서 출력된 음파(LS)는 음도체(8)를 통과하여, 패널부(3)에 도달한다. 이 때에, 음도체(8) 내에서 패널부(3)에 도달하는 음파(LS)는 패널부(3)에 의해 굴절되고, 홀(H)을 통과하여 음이 청중에게 들릴 수 있도록 한다.
패널부(3), 음도체(8), 완충부재(9)와 함께 저역용 스피커(4)의 전면에 폐쇄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저역용 스피커(4)의 후면에 위치한 스피커 박스를 설치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저음재생이 가능하고, 또한 저역용 스피커(4)의 진동판의 진폭을 열린 공간이 사용되는 경우보다 작게 할 수 있어 CRT에 대한 진동의 전달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패널부(3), 음도체(8), 완충부재(9)에 의해 폐쇄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스피커 유닛의 불필요한 진동을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진동자체가 감소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7을 참조하여, 고역용 스피커(5)에서 출력된 음파(HS)가 설명된다.
도 7에서 고역용 스피커(5)에서 출력된 음파(HS)는 패널부(3)의 홀(H)을 통과하고, 청중방향(K)으로 이동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기기는 예를 들면, 텔레비젼수상기이다. 상기 기기(101)의 음향장치(100)는 도 1 및 도 2의 기기의 음향장치(10)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그러므로 도 8의 실시예에 의한 기기(101)의 음향장치(100)의 구성요소에 대해 도 1의 실시예에 의한 기기(1)의 음향장치(10)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8에서 도 1과 도 2의 실시예와 상기 실시예의 차이는 음도체(8)가 CRT(7)의 외주면을 따라 구부러져 있다는 것이다. 상기 방식에서는, 비교적 여유공간이 있는 CRT(7)의 뒤쪽에 저역용 스피커(4)를 배치함으로써 기기(101)의 음향장치(100)에 대해 큰 직경의 저역용 스피커(4)의 사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고음질의 음을 만드는 기기의 음향장치의 제공이 가능하다. 영상기기의 경우, 패널부의 진동이 방지되기 때문에 CRT의 영상스크린은 진동하지 않으며, 따라서 영상기기의 화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스피커에서 나오는 음파를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다. 이는 예상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음향장치(10)가 영상기기의 캐비넷(2)의 한 쪽과 다른 한쪽에 위치하지만, 어느 한쪽에만 위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음향장치(10)는 캐비넷(2)의 하부와 상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기기의 음향장치(10)가 하나의 저역용 스피커(4)와 하나의 고역용 스피커(5)로 구성되었으나, 기기의 음향장치는 예를 들면 하나의 저역용 스피커(4)와 두 개의 고역용 스피커(5)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저역용 스피커(4)와 고역용 스피커(5)가 사용되었으나, 저역용 스피커(4)는 저역용 스피커와 중역용 스피커로 나누어져 3-웨이 방식을 구성할 수도 있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한 청구항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면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과 변화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위쪽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B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저역용 스피커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저역용 스피커에서 출력된 음파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도 1의 C-D선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고역용 스피커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고역용 스피커에서 출력된 음파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9a, b는 종래의 영상기기의 음향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영상기기 2. 캐비넷
3. 패널부 4. 저역용 스피커
5. 고역용 스피커 6. 표시부
7. CRT 8. 음도체
9. 완충부재 10. 음향장치
100. 음향장치 101. 기기

Claims (5)

  1. 한 쌍의 저역용 스피커와 한 쌍의 고역용 스피커를 갖는 기기용 음향장치는,
    상기 기기의 케이스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일부에 형성된 다수의 홀을 각각 갖는 좌측 및 우측 하부 패널부와,
    상기 각 한 쌍의 저역용 스피커와 상기 각 하부의 패널부 사이에 배치되는 음도체와, 상기 한 쌍의 저역용 스피커의 전면부는 표시부의 전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저역용 스피커로부터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각 음도체와 상기 각 하부의 패널부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와,
    상기 기기의 케이스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일부에 각각의 다수의 홀을 각각 갖는 좌측 및 우측 상부 패널부와,
    상기 상부 패널부에 형성된 각 복수 홀의 축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각 한 쌍의 고역용 스피커의 축과,
    상기 하부의 패널부에 형성된 각 복수의 홀의 축의 방향과 비스듬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된 각 한 쌍의 저역용 스피커의 축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 하부의 패널부와 상기 좌측 상부의 패널부가 상기 우측 하부 패널부와 상기 우측 상부 패널부에 대해서 상기 표시부의 전면에 대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용 음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영상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용 음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기기는 CR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용 음향장치.
  4. 한 쌍의 저역용 스피커, 한 쌍의 고역용 스피커와 표시부를 갖는 영상장치는,
    상기 각 한 쌍의 저역용 스피커와 상기 각 하부의 패널부 사이에 배치되는 음도체와, 상기 한 쌍의 저역용 스피커의 전면부는 표시부의 전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저역용 스피커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각 음도체와 상기 각 하부의 패널부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와,
    상기 장치의 케이스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일부에 각각의 다수의 홀을 각각 갖는 좌측 및 우측 상부 패널부와,
    상기 상부 패널부의 각 복수의 홀의 축의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각 한 쌍의 고역용 스피커의 축과,
    상기 하부의 패널부에 형성된 각 복수 홀의 축 방향과 비스듬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된 각 한 쌍의 저역용 스피커의 축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 하부의 패널부와 상기 좌측 상부의 패널부가 상기 우측 하부 패널부와 상기 우측 상부 패널부에 대해서 상기 표시부의 전면에 대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CR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
KR1019980008036A 1997-03-19 1998-03-11 기기용음향장치 KR1005326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066830 1997-03-19
JP9066830A JPH10262293A (ja) 1997-03-19 1997-03-19 機器の音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112A KR19980080112A (ko) 1998-11-25
KR100532699B1 true KR100532699B1 (ko) 2006-02-20

Family

ID=13327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036A KR100532699B1 (ko) 1997-03-19 1998-03-11 기기용음향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35974B1 (ko)
JP (1) JPH10262293A (ko)
KR (1) KR100532699B1 (ko)
CN (1) CN1138445C (ko)
ID (1) ID20086A (ko)
MY (1) MY120029A (ko)
SG (1) SG602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302B1 (ko) 2006-08-08 2008-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터용 스피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48758A1 (en) * 2000-04-18 2001-10-24 THOMSON multimedia S.A. Cabinet for audio devices
US6415036B1 (en) * 2000-08-24 2002-07-02 Thomson Licensing, S.A. Apparatus for reducing vibrations generated by a loudspeaker in a television cabinet
DE60335079D1 (de) * 2003-04-22 2011-01-05 Thomson Licensing Elektronisches Gerät mit Lautsprecher
US20050105748A1 (en) * 2003-11-14 2005-05-19 Motorola, Inc. Integrated flexible display and speaker apparatus and method
US20060126885A1 (en) * 2004-12-15 2006-06-15 Christopher Combest Sound transducer for solid surfaces
US7386137B2 (en) * 2004-12-15 2008-06-10 Multi Service Corporation Sound transducer for solid surfaces
JP5010810B2 (ja) * 2005-05-13 2012-08-29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
JP4528672B2 (ja) * 2005-06-09 2010-08-18 株式会社東芝 映像表示装置
CN100499971C (zh) * 2005-11-04 2009-06-10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平面显示器
JP2008072239A (ja) * 2006-09-12 2008-03-27 Sony Corp 携帯電子機器
US8002078B2 (en) * 2009-02-19 2011-08-23 Bose Corporation Acoustic waveguide vibration damping
JP2011077637A (ja) * 2009-09-29 2011-04-14 Sanyo Electric Co Ltd 画像表示装置
TWI433548B (zh) * 2011-12-16 2014-04-01 Wistron Corp 喇叭裝置及具有喇叭裝置之電子裝置
RU2635819C2 (ru) * 2012-06-29 2017-11-16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Аудиовизу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10382067A (zh) 2016-03-08 2019-10-25 切尔游戏私人有限公司 包括多个游戏的游戏方法、系统和机器
WO2018191770A1 (en) * 2017-04-19 2018-10-25 Chill Gaming Pty Ltd "audio system"
JPWO2021111569A1 (ko) * 2019-12-04 2021-06-10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05128A1 (de) * 1984-02-14 1985-08-22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r stereophonen tonwiedergabe in einem fernsehempfangsgeraet
US5166802A (en) * 1987-11-25 1992-11-24 Electronic-Werke Deutschland Gmbh Television receiver with loudspeaker enclosure
FR2631195B1 (fr) * 1988-05-06 1990-07-27 Loire Electronique Installation sonore, en particulier stereophonique pour televiseurs a haut-parleur integre de frequences basses de grandes dimensions
US5181247A (en) * 1990-07-23 1993-01-19 Bose Corporation Sound image enhancing
JP3104073B2 (ja) * 1990-12-22 2000-10-30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スピーカ装置
JPH0575955A (ja) * 1991-09-10 1993-03-26 Sony Corp テレビセツト
EP0598391B1 (en) * 1992-11-18 2001-02-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elevision receiver
JPH0759184A (ja) * 1993-03-05 1995-03-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筐体と音響・映像機器とその製造方法
US5400408A (en) * 1993-06-23 1995-03-21 Apple Computer, Inc. High performance stereo sound enclosure for computer visual display monitor and method for construction
JPH0767060A (ja) 1993-08-30 1995-03-10 Hitachi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7222273A (ja) 1994-01-27 1995-08-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126087A (ja) 1994-10-20 1996-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ホーンスピーカー保持装置
KR100195535B1 (ko) * 1995-11-06 1999-06-15 구자홍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떨림 방지 장치
US5822443A (en) * 1996-04-22 1998-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eaker system for a television
JPH10313495A (ja) * 1997-05-12 1998-11-24 Sony Corp 音響装置
KR100250369B1 (ko) * 1997-09-26 2000-04-01 전주범 텔레비젼용 우퍼의 진동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302B1 (ko) 2006-08-08 2008-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터용 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D20086A (id) 1998-09-24
KR19980080112A (ko) 1998-11-25
SG60214A1 (en) 1999-02-22
JPH10262293A (ja) 1998-09-29
US6335974B1 (en) 2002-01-01
CN1198649A (zh) 1998-11-11
CN1138445C (zh) 2004-02-11
MY120029A (en) 2005-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2699B1 (ko) 기기용음향장치
JP3853319B2 (ja) 映像表示装置
JP3323176B2 (ja) 映像表示機器用のスピーカーシステムの多重のダンピング装置
US6035051A (en) Sound apparatus
US5825900A (en) Loudspeaker housing for video display appliance
EP0659030B1 (en) Speaker system for television sets
JPH0879659A (ja) テレビジョンセットのスピーカシステム
EP0598391A2 (en) Speaker apparatus and television receiver using the same
US5956412A (en) Loudspeaker case structure for video display appliances
WO2003079719A1 (en) Bass reflex type speaker device, mount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for speaker device
MXPA96003107A (en) Structure of altoparlate box for vi display appliances
JP2883972B2 (ja) 映像表示機器のスピーカー出力による画面振え防止装置
JPH11122560A (ja) スピーカー振動防止装置を有するテレビ
JP2001025080A (ja) 映像機器用音響レンズ付きスピーカ装置
CN112788492B (zh) 显示装置及扬声器组件
KR100732167B1 (ko) 스피커 어셈블리 및 영상기기
KR100239121B1 (ko) 영상표시기기의 돔스피커 시스템구조
JP2018129685A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18129686A (ja) ウーハーボックス、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6857271B1 (ja) スピーカ装置及び表示装置
JPH06217387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用スピーカ
JP2006325242A (ja) 映像表示装置
JP3816016B2 (ja) バスレフ型スピーカー装置
JPH04186240A (ja) スクリーン
JP2018082502A (ja) スピーカボックスおよびテレビ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