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2610B1 -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및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및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610B1
KR100532610B1 KR10-2004-0026131A KR20040026131A KR100532610B1 KR 100532610 B1 KR100532610 B1 KR 100532610B1 KR 20040026131 A KR20040026131 A KR 20040026131A KR 100532610 B1 KR100532610 B1 KR 100532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developer
tube member
tub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0911A (ko
Inventor
정유흥
곽진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6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610B1/ko
Priority to US10/998,981 priority patent/US7174118B2/en
Publication of KR20050100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0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6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4Preparing, mixing, transporting or dispensing develo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및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 저장쳄버내의 액체 현상제를 배출 및/또는 유입하는 튜브부재에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어 튜브부재 내에 침전되는 현상제 슬러지를 교반하는 슬러지 교반부재, 및 슬러지 교반부재에 대응하게 현상제 저장쳄버에 설치되어 현상제 슬러지를 교반하도록 슬러지 교반부재를 작동하는 작동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및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시 현상제 저장쳄버내의 액체 현상제를 배출 및/또는 유입하는 튜브부재에 현상제 슬러지가 침전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튜브부재가 막힘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제 공급불량과 그에 따른 인쇄불량 및/또는 현상제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및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Sludge preventing apparatus of tube memb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체 현상제를 사용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상시 액체 현상제를 배출 및/또는 유입하는 잉크 카트리지 및/또는 현상기의 튜브부재내에 현상제 슬러지가 침전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및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은 현상제 카트리지가 현상기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과, 현상제 카트리지가 현상기와 분리되어 연결 튜브를 통해 연결된 분리형으로 구분된다.
분리형 현상제 공급 시스템은 통상, 현상시 현상제 공급펌프를 사용하여 휘발성분의 액상 캐리어에 분말상태의 토너가 섞여있는 액체 현상제를 현상제 카트리지에서 현상기로 공급하고 현상제 회수 펌프를 사용하여 현상기에서 현상제 카트리지로 회수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분리형 현상제 공급 시스템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는 화상 형성 유니트(11)와 현상제 공급 유니트(21)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 유니트(11)는 OPC 드럼(Organic Photoconductive Drum)과 같은 감광체(1),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33), 대전부(6), 제전부(7), 현상기(26), 및 크리닝 블레이드(8)를 구비하며, 이러한 구성부분들은 상호 작용하여 대전, 제전, 노광, 현상 등과 같은 화상형성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감광체(1)에 원하는 화상을 형성한다.
현상기(26)는 액체 현상제(48)를 저류하는 현상 쳄버(27), 감광체(1) 하부에 위치한 현상 롤러(2), 액체 현상제(48)에 전기력을 부가하여 현상롤러(2)에 대전 현상제층을 형성하는 디포지트(Deposit) 롤러(5), 디포지트 롤러(5)에 의해 현상롤러(2)에 형성된 대전 현상제층을 일정한 토너량 또는 농도(% Solid)를 갖는 현상제층으로 규제하여 현상롤러(2)와 감광체(1) 사이의 닙(Nip)으로 공급하는 메터링(Metering) 롤러(3), 현상롤러(2)를 크리닝하는 크리닝 롤러(4), 및 현상 쳄버(27)에서 오버플로우된 액체 현상제(48)를 회수하는 회수쳄버(28)를 구비한다.
현상 쳄버(27)에 액체 현상제(48)를 공급하기 위하여, 현상기(26)의 상부에는 현상제 공급 유니트(21)가 배치되어 있다.
현상제 공급 유니트(21)는 제 1 현상제 유입부(16)와 제 1 현상제 배출부(17)를 갖는 현상제 저장 쳄버를 구성하는 현상제 카트리지(15), 제 1 및 제 2 연결 튜브(22, 23)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및 제 2 연결 튜브(22, 23)를 통해 현상제 카트리지(15)의 제 1 현상제 배출부(17)와 현상 쳄버(27)의 제 2 현상제 유입부(13)에 연결된 현상제 공급 펌프(18), 및 제 3 및 제 4 연결 튜브(24, 20) 사이에 배치되고 제 3 및 제 4 연결 튜브(24, 20)를 통해 현상제 카트리지(15)의 제 1 현상제 유입부(16)와 회수 쳄버(28)의 제 2 현상제 배출부(14)에 연결된 현상제 회수 펌프(19)로 구성된다
현상제 공급 펌프(18)와 현상제 회수 펌프(19)는 각각, 콘트롤러(29)에서 발생된 제 1 및 제 2 제어신호(PWM1, PWM2)에 의해 미리 정해진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되는 DC모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프린터(10)는 휘발성분의 액상 캐리어에 분말상태의 토너가 섞여있는 액체 현상제(48)를 사용하므로, 장시간 방치하여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액체 현상제(48)내의 토너가 현상제 카트리지(15), 현상 쳄버(27) 및 회수 쳄버(28)에 슬러지 형태로 침전된다.
이러한 슬러지를 풀어주기 위하여, 종래의 프린터(10)는 현상제 카트리지(15), 현상 쳄버(27) 및 회수 쳄버(28)에 토너의 슬러지를 교반하는 교반기(35)(도 2에 현상제 카트리지(15)의 교반기만 도시함)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반기(35)는 현상제 카트리지(15), 현상 쳄버(27) 및 회수 쳄버(28)의 바닥에 쌓인 슬러지는 쉽게 교반하여 풀어줄 수 있지만, 좁은 틈새, 예를들면 현상제 카트리지(15)의 제 1 현상제 배출부(17)의 현상제 흡입 튜브(40), 현상 쳄버(27)의 제 2 현상제 유입부(13)의 현상제 배출구 또는 튜브(13'), 및 회수 쳄버(28)의 제 2 현상제 배출부(14)의 현상제 흡입구 또는 튜브(14') 내에 쌓인 슬러지는 풀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토너의 슬러지가 풀어지지않고 제 1 현상제 배출부(17)의 현상제 흡입 튜브(40), 제 2 현상제 유입부(13)의 현상제 배출구(13'), 및 제 2 현상제 배출부(14)의 현상제 흡입구(14')에 쌓일 경우, 현상제 흡입 튜브(40), 현상제 배출구(13'), 및 현상제 흡입구(14')는 막혀질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현상 동작을 위해 현상제 공급 펌프(18)와 현상제 회수 펌프(19)가 작동하면, 현상제 카트리지(15)내의 액체 현상제(48)가 현상 쳄버(27)로 잘 공급되지 않거나, 회수 쳄버(28)내의 액체 현상제(48)가 현상제 카트리지(15)로 잘 회수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만일, 현상제 카트리지(15)내의 액체 현상제(48)가 현상 쳄버(27)로 공급되지 않으면, 현상기(26)에서 현상제 부족으로 화상 자체가 형성되지 않게 되며, 회수 쳄버(27)내의 액체 현상제(48)가 현상제 카트리지(15)로 회수되지 않으면, 액체 현상제(48)가 회수 쳄버(28)에서 오버 플로우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치명적인 문제를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현상시 액체 현상제를 배출 및/또는 유입하는 잉크 카트리지, 현상기의 현상쳄버 및/또는 회수쳄버의 튜브부재 내에 현상제 슬러지가 침전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튜브부재가 막힘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제 공급불량과 그에 따른 인쇄불량 및/또는 현상제 오염을 방지하는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및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현상제 저장쳄버내의 액체 현상제를 배출하거나 유입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튜브부재, 튜브부재에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어 튜브부재 내에 침전되는 현상제 슬러지를 교반하는 슬러지 교반부재, 및 슬러지 교반부재에 대응하게 현상제 저장쳄버에 설치되어 슬러지 교반부재가 현상제 슬러지를 교반하도록 슬러지 교반부재를 작동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슬러지 교반부재는 튜브부재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몸체, 및 튜브부재내에 배치되도록 몸체에 고정되고 현상제 슬러지를 교반하는 슬러지 교반부로 구성된다.
몸체는 튜브부재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튜브부재내의 공간을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구비한 심부를 구비하는 원통으로 구성되고, 슬러지 교반부는 원통의 심부에 고정되고 튜브부재내에 뻗어있는 나선형 코일로 구성된다. 나선형 코일은 원통의 심부에 가까울수록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부재는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샤프트, 및 샤프트에서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슬러지 교반부재의 몸체를 회전하도록 동작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작동 돌출부로 구성된다.
샤프트는 현상제 저장쳄버내의 액체 현상제를 교반하는 교반기의 샤프트이고, 작동 돌출부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봉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때, 슬러지 교반부재의 몸체는 작동 돌출부와 맞물려 작동 돌출부에 의해 동작될 수 있도록 몸체 주위에 형성된 대응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대응 돌출부는 몸체가 작동 돌출부에 의해 동작할 때 난류를 형성하도록 날개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슬러지 방지장치는 슬러지 교반부재를 튜브부재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지지부재는 튜브부재와 슬러지 교반부재 중의 하나에 형성된 원형 돌출부, 및 원형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튜브부재와 슬러지 교반부재 중의 다른 하나에 원형 돌출부에 대응하게 형성된 원형 수용홈으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지지부재는 슬러지 교반부재를 튜브부재에 관하여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도록 슬러지 교반부재에 형성되어 현상제 저장쳄버의 바닥까지 연장된 지지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현상제 저장쳄버내의 액체 현상제를 배출하거나 유입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튜브부재, 튜브부재에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어 튜브부재 내에 침전되는 현상제 슬러지를 교반 하는 슬러지 교반부재, 슬러지 교반부재에 대응하게 현상제 저장쳄버에 설치되어 슬러지 교반부재가 현상제 슬러지를 교반하도록 슬러지 교반부재를 작동하는 작동부재, 및 슬러지 교반부재가 작동부재에 의해 작동된 후 원 위치로 복귀히도록 슬러지 교반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슬러지 교반부재는 튜브부재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몸체, 및 튜브부재내에 배치되도록 몸체에 고정되고 현상제 슬러지를 교반하는 슬러지 교반부로 구성된다.
몸체는 튜브부재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고 튜브부재내의 공간을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갖는 심부를 구비하는 원통으로 구성되고, 슬러지 교반부는 원통의 심부에 고정되고 튜브부재내에 뻗어있는 나선형 코일로 구성된다.
작동부재는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샤프트, 및 샤프트에서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슬러지 교반부재의 몸체를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동작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작동 돌출부로 구성된다.
샤프트는 현상제 저장쳄버내의 액체 현상제를 교반하는 교반기의 샤프트이고, 작동 돌출부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곡선형 돌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는 작동 돌출부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몸체의 둘레에 형성된 원형 테두리부를 더 구비한다.
탄성지지부재는 저장쳄버의 바닥에 형성된 스프링 시트에 배치되어 슬러지 교반부재의 원통을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액체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현상제 카트리지와 연결되고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된 액체 현상제를 저류하는 현상쳄버, 및 현상제 카트리지와 연결되어 현상쳄버에서 오버플로우된 액체 현상제를 현상제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회수쳄버를 구비하는 현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현상쳄버, 및 회수쳄버 중 최소한 한 곳에 배치되어 액체 현상제를 배출하거나 유입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튜브부재; 및 튜브부재내에 현상제 슬러지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러지 방지장치를 포함하며; 슬러지 방지장치는 튜브부재에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어 튜브부재내에 침전되는 현상제 슬러지를 교반하는 슬러지 교반부재, 및 슬러지 교반부재에 대응하게 설치되어 현상제 슬러지를 교반하도록 슬러지 교반부재를 작동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슬러지 교반부재가 작동부재에 의해 작동된 후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슬러지 교반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튜브부재의 슬러지방지 장치 및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를 첨부도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세한 설명에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여 설명하였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100)가 적용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상장치의 현상제 카트리지(200)를 도시한다. 현상제 카트리지(200)가 적용되는 화상형상장치는 현상제 카트리지(200)를 제외하고는 도 1에 관하여 설명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와 동일하다.
현상제 카트리지(200)는 액제 현상제(48)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공간을 구성하는 하우징(101), 하우징(101)내의 액체 현상제(48)를 교반하는 교반기(35), 및 제 1 및 제 2 연결튜브(22, 23)를 통해 현상기(26)의 현상쳄버(27)의 제 2 현상제 유입부(13)와 연결되어 하우징(101) 내의 액체 현상제(48)를 현상쳄버(27)로 배출하는 제 1 현상제 배출부(17'), 제 3 및 제 4 연결튜브(24, 20)를 통해 현상기(26)의 회수쳄버(28)의 제 2 현상제 배출부(14)와 연결되어 회수쳄버(28)로부터 액체 현상제(48)를 회수하는 제 1 현상제 유입부(16'), 및 제 1 현상제 배출부(17')에 배치되고 제 1 현상제 배출부(17')의 현상제 흡입구를 구성하는 현상제 흡입 튜브(40)에 현상제 슬러지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튜브부재의 슬러지방지 장치(1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1)은 장방형 형태의 함체로 구성된다.
교반기(35)는 하우징(101)의 지지 브라켓(139, 140)에 양단부가 지지되고 일단부에서 기어 트레인(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현상기(26)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구동기어(138)를 구비하는 샤프트(136), 및 샤프트(136)에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원반형 교반 날개(137)를 구비한다.
제 1 현상제 배출부(17')는 하우징(101)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 1 연결튜브(22)와 연결된 피팅(170)(Fitting), 및 현상제 흡입구를 구성하도록 피팅(170) 하부에서 하우징(101)의 바닥까지 연장된 현상제 흡입 튜브(40)를 구비한다.
피팅(170)은 상부에서 하우징(101)에 고정되고 하부에서 현상제 흡입 튜브(40)와 연결된 암 피팅 튜브(181)을 구비하는 암부분(180), 및 상부에서 제 1 연결튜브(22)와 연결되고 하부에서 암부분(180)의 암 피팅 튜브(181)와 나사연결된 수 피팅 튜브(172)를 구비하는 숫부분(171)으로 구성된다.
암부분(180)의 암 피팅 튜브(181)내에는 숫부분(171)이 암부분(180)으로부터 분리되어 후술하는 숫부분(171)의 내부 연통튜브(175)가 암 피팅 튜브(181)의 상부개구(182)에서 제거될 때 액체 현상제(48)가 하우징(101) 내의 현상제 흡입 튜브(40)에서부터 암 피팅 튜브(181)의 상부개구(182)를 통해 누출되지 않도록 상부개구(182)에 배치된 제 1 패킹부재(186)와 협력하여 상부개구(182)를 밀폐하도록 제 1 탄성 스프링(184)에 의해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T자형 밸프판(183)이 배치되어 있다.
숫부분(171)의 암 피팅 튜브(172)내에는 상부에서 제 1 연결튜브(22)와 연결되고 하부에서 암 피팅튜브(180)의 하부개구(185)를 통해 유입되는 액체 현상제(48)를 흡입하는 액체 현상제 흡입구(176)를 형성한 내부 연통튜브(175), 및 숫부분(171)이 암부분(180)으로부터 분리될 때 액체 현상제(48)가 제 1 연결튜브(22)에서부터 내부 연통튜브(175)의 액체 현상제 흡입구(176)를 통해 누출되지 않도록 내부 연통튜브(175) 둘레에서 액체 현상제 흡입구(176)를 밀폐하도록 제 2 탄성스프링(174)에 의해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제 2 패킹 부재(173)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피팅(170)의 암부분(180)과 숫부분(171)이 서로 결합될 때, 액체 현상제(48)는 하우징(101) 내의 현상제 흡입 튜브(40)에서부터 암 피팅 튜브(181)의 하부개구(185) 및 내부 연통튜브(175)의 액체 현상제 흡입구(176)를 통해 제 1 연결튜브(22)로 공급될 수 있다.
제 1 현상제 유입부(16')는 암부분(180')의 암 피팅 튜브(181')에 액체 현상제 배출구(187)가 더 형성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 1 현상제 배출부(17')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튜브부재의 슬러지방지 장치(100)는 제 1 현상제 배출부(17')의 현상제 흡입 튜브(40)의 단부(40a)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현상제 흡입 튜브내(40)에 침전되는 현상제 슬러지를 교반하는 슬러지 교반부재(110), 및 슬러지 교반부재(110)에 대응하게 설치되어 슬러지 교반부재(110)가 현상제 슬러지를 교반하도록 슬러지 교반부재(110)를 작동하는 작동부재(150)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러지 교반부재(110)는 현상제 흡입 튜브(40)의 단부(40a)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 몸체(111), 및 몸체(111)에 고정되어 현상제 흡입 튜브(40)내의 공간에 중심을 따라 배치되고 현상제 슬러지를 교반하는 슬러지 교반부(121)를 구비한다.
몸체(111)는 현상제 흡입 튜브(40)의 단부(40a)의 외부표면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링형 원통(112)으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형 원통(112)은 하부에서, 현상제 흡입 튜브(40)내의 공간을 연통하는 4 개의 개구(115)를 갖는 십자형 심부(114), 및 후술하는 작동부재(150)의 작동 돌출부(152)와 맞물려 작동 돌출부(152)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원통(112)의 둘레에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형성된 4 개의 대응 돌출부(113)를 구비한다.
대응 돌출부(113)의 각각은 원통(112)이 작동 돌출부(152)에 의해 회전할 때 난류를 형성하도록 날개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러지 교반부(121)는 원통(112)의 심부(114)의 상면 중앙에 고정되어 현상제 흡입 튜브(40)내의 공간의 중심을 따라 뻗어있는 나선형 코일(123)로 구성된다.
나선형 코일(123)은 회전시 현상제 흡입 튜브(40)내의 현상제 슬러지를 드릴링 및 교반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나선형 코일(123)은 원통(112)의 심부(114)에 가까울수록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3을 참조하면, 작동부재(150)는 기어 트레인을 통해 현상기(26)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연결된 교반기(35)의 샤프트(136), 및 교반기(35)의 샤프트(136)에서 슬러지 교반부재(110)의 원통(112)의 대응 돌출부(113) 쪽으로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샤프트(136)의 회전에 따라 원통(112)의 대응 돌출부(113)를 회전하도록 동작하는 작동 돌출부(152)로 구성된다.
작동 돌출부(152)는 하나의 봉으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작동 돌출부(152)는 하나의 봉으로 구성되는 대신, 복수 개의 봉 또는 돌기로도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슬러지 방지장치(100)는 슬러지 교반부재(110)의 원통(112)의 대응 돌출부(113)가 작동부재(150)의 작동 돌출부(152)에 의해 회전할 때 원통(112)을 현상제 흡입 튜브(40)의 단부(40a)의 외부표면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부재(160)를 더 포함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160)는 현상제 흡입 튜브(40)의 단부(40a)의 외부표면에 형성된 원형 돌출부(161), 및 슬러지 교반부재(110)의 원통(112)의 내부 표면에 원형 돌출부(161)를 수용할 수 있게 형성된 원형 수용홈(162)으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변형예의 슬러지 교반부재(110a)를 예시하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160')는 원형 돌출부(161)와 원형 수용홈(162)으로 구성되는 대신, 슬러지 교반부재(110a)의 몸체(111a)의 원통(112a)을 현상제 흡입 튜브(40)의 단부(40a)에 관하여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도록 원통(112a)의 심부(114a)의 하면 중앙에 형성되어 하우징(101)의 바닥까지 연장된 지지축(17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튜브부재의 슬러지방지 장치(100)는 현상제 카트리지(200)의 제 1 현상제 배출부(17')의 현상제 흡입튜브(40)에 관하여만 설치된 것으로만 예시 및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한 구성과 원리로 다른 튜브부재, 예를들면, 현상기(26)의 현상쳄버(27)의 제 2 현상제 유입부(13)의 현상제 배출구(13'), 및/또는 회수쳄버(28)의 제 2 현상제 배출부(14)의 제 2 현상제 흡입구(14')에도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튜브부재의 슬러지방지 장치(100)가 적용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제 카트리지(200)의 동작을 도 3 내지 도 6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반기(35)가 현상기(26)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될 때, 교반기(35)의 샤프트(136)는 교반 날개(137)를 통해 액체 현상제(48)를 교반하도록 기어 트레인을 통해 구동모터와 연결된 구동기어(138)에 의해 회전한다.
샤프트(136)의 회전에 따라, 샤프트(136)에 형성된 작동 돌출부(152)는 원통(112)의 대응 돌출부(113)와 맞물려 회전하며, 그 결과 원통(112)은 현상제 흡입 튜브(40)의 단부(40a)에 관해 회전된다.
이 때, 날개 형태로 형성된 원통(112)의 대응 돌출부(113)는 회전하면서 주위의 액체 현상제(48)를 교반하며, 원통(112)의 심부(114)의 상면 중앙에 고정된 슬러지 교반부(121)의 나선형 코일(123)은 회전하여 현상제 흡입 튜브(40)내의 현상제 슬러지를 드릴링함과 동시에 교반한다.
따라서, 현상제 카트리지(200)가 장시간 사용하지 않고 방치될 때 현상제 흡입 튜브(40) 내에 침전되는 현상제 슬러지는 교반기(35)의 동작시 드릴링 및 교반되어 제거되며, 이에 따라 현상시 현상제 흡입 튜브(40)가 막힘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제 공급불량 및 그에 따른 인쇄불량이 방지된다.
(실시예 2)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튜브부재의 슬러지방지 장치(100')가 적용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상장치의 현상제 카트리지(200')를 도시한다.
현상제 카트리지(200')가 적용되는 화상형상장치는 현상제 카트리지(200')를 제외하고는 도 1에 관하여 설명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와 동일하고, 현상제 카트리지(200')는 제 2 실시예의 튜브부재의 슬러지방지 장치(100')를 제외하고는 도 3 내지 도 7에 관하여 설명한 현상제 카트리지(200)와 동일하다.
제 2 실시예의 튜브부재의 슬러지방지 장치(100')는 제 1 현상제 배출부(17')의 현상제 흡입 튜브(40)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현상제 흡입 튜브(40)내에 침전되는 현상제 슬러지를 교반하는 슬러지 교반부재(110'), 슬러지 교반부재(110')에 대응하게 설치되어 드릴링부재(110')가 현상제 슬러지를 교반하도록 슬러지 교반부재(110')를 작동하는 작동부재(150'), 및 슬러지 교반부재(110')가 작동부재(150')에 의해 작동된 후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슬러지 교반부재(11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131)를 포함한다.
도 9,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러지 교반부재(110')는 현상제 흡입 튜브(40)의 단부(40a)의 외부표면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된 링형 원통(112')으로 구성된 몸체(111'), 및 원통(112')의 심부(114)의 상면 중앙에 고정되고 현상제 흡입 튜브(40)내의 공간의 중심을 따라 뻗어있는 나선형 코일(123)로 구성된 슬러지 교반부(121)를 포함한다.
몸체(111')의 원통(112')은 하부에서, 현상제 흡입 튜브(40)내의 공간을 연통하는 4 개의 개구(115)를 구비한 십자형 심부(114), 및 후술하는 작동부재(150')의 작동 돌출부(152')가 회전할 때, 작동 돌출부(152')의 곡선형 돌기(156)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원통(112') 둘레에 형성된 원형 테두리부(113')를 구비한다.
작동부재(150')는 기어 트레인을 통해 현상기(26)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연결된 교반기(35)의 샤프트(136), 및 샤프트(136)의 회전에 따라 원통(112')의 원형 테두리부(113')를 아래로 눌러 원통(112')을 상하로 이동하도록 동작하는 작동 돌출부(152')로 구성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 돌출부(152')는 교반기(35)의 샤프트(136)에서 몸체(111')의 원통(112')의 원형 테두리부(113')쪽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4 개의 곡선형 돌기(156)를 구비한 십자형 부재(153)로 형성된다.
여기서, 작동 돌출부(152')는 4 개의 곡선형 돌기(156)를 구비한 십자형 부재(153)로 형성된 것으로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다른 형태, 예를들면 4 개 이상 또는 이하의 곡선형 돌기(156)를 구비한 별 형태의 부재 또는 삼각형 형태의 부재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작동 돌출부(152')는 원통(112')의 원형 테두리부(113')의 일측 가장자리에 대향하게 샤프트(136)에 형성된 하나의 십자형 부재(153)로 구성되는 것으로만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원통(112')이 상하로 원할하게 이동하도록 원통(112')의 원형 테두리부(113')의 양측 가장자리에 대향하게 샤프트(136)에 형성된 두 개의 십자형 부재(도시하지 않음)로도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탄성지지부재(131)는 하우징(101)의 바닥에 형성된 스프링 시트(134)에 배치되고 슬러지 교반부재(110')의 몸체(111')를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압축 스프링(133)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100')가 적용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제 카트리지(200')의 동작을 도 8 내지 도 12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반기(35)의 샤프트(136)가 교반 날개(137)를 통해 액체 현상제(48)를 교반하도록 기어 트레인을 통해 구동모터와 연결된 구동기어(138)에 의해 회전할 때, 샤프트(136)에 형성된 작동 돌출부(152') 역시 회전한다.
작동 돌출부(152')의 회전에 따라, 곡선형 돌기(156)는 원통(112')의 원형 테두리부(113')를 압축 스프링(134)에 대항하여 아래로 누르는 동작을 반복하며, 이에 따라 원통(112')은 곡선형 돌기(156)에 의해 아래로 이동하였다가 압축 스프링(134)에 의해 위로 복귀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그 결과, 원통(112')의 원형 테두리부(113')는 상하로 이동하면서 주위의 액체 현상제(48)를 교반하며, 원통(112')의 심부(114)의 상면 중앙에 고정된 슬러지 교반부(121)의 나선형 코일(123)은 상하로 이동하여 현상제 흡입 튜브(40)내의 현상제 슬러지를 드릴링함과 동시에 교반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및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시 현상제 카트리지, 현상기의 현상쳄버 및/또는 회수쳄버 내의 액체 현상제를 배출하고 유입하는 현상제 배출부 및/또는 현상제 유입부를 형성하는 현상제 흡입 튜브와 같은 튜브부재내에 현상제 슬러지가 침전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튜브부재가 막힘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제 공급불량 및 그에 따른 인쇄불량 및/또는 현상제 오염을 방지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제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가 적용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제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슬러지 방지장치의 슬러지 교반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슬러지 방지장치의 슬러지 교반부재의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슬러지 방지장치의 슬러지 교반부재의 평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의 슬러지 교반부재의 변형예의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가 적용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제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슬러지 방지장치의 슬러지 교반부재의 사시도.
도 10는 도 9에 도시한 슬러지 방지장치의 슬러지 교반부재의 단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슬러지 방지장치의 슬러지 교반부재의 평면도.
도 12는 도 8에 도시한 슬러지 방지장치의 작동부재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린터 11: 화상 형성 유니트
13, 16: 현상제 유입부 14, 17: 현상제 배출부
15, 200, 200': 현상제 카트리지 20, 22, 23, 24: 연결튜브
21: 현상제 공급 유니트 26: 현상기
27: 현상쳄버 28: 회수쳄버
35: 교반기 40: 현상제 흡입 튜브
100, 100': 슬러지 방지장치 101: 하우징
110, 110': 슬러지 교반부재 111, 111': 몸체
112, 112': 원통 113: 대응돌출부
113': 원형 테두리부 121: 슬러지 교반부
123: 나선형 코일 131: 탄성지지부재
133: 압축 스프링 136: 샤프트
150, 150': 작동부재 152, 152': 작동 돌출부
156: 곡선형 돌기

Claims (20)

  1. 현상제 저장쳄버내의 액체 현상제를 배출하거나 유입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튜브부재;
    상기 튜브부재에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어 상기 튜브부재내에 침전되는 현상제 슬러지를 교반하는 슬러지 교반부재; 및
    상기 슬러지 교반부재에 대응하게 상기 현상제 저장쳄버에 설치되어 현상제 슬러지를 교반하도록 상기 슬러지 교반부재를 작동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교반부재는,
    상기 튜브부재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몸체; 및
    상기 튜브부재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몸체에 고정되고 현상제 슬러지를 교반하는 슬러지 교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튜브부재에 회전할수 있게 지지되고 상기 튜브부재내의 공간을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갖는 심부를 구비하는 원통을 포함하며;
    상기 슬러지 교반부는 상기 원통의 상기 심부에 고정되고 상기 튜브부재내에 뻗어있는 나선형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코일은 상기 원통의 상기 심부에 가까울수록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서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러지 교반부재의 상기 몸체를 회전하도록 동작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작동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현상제 저장쳄버내의 액체 현상제를 교반하는 교반기의 샤프트이며;
    상기 작동 돌출부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교반부재의 상기 몸체는 상기 작동 돌출부와 맞물려 상기 작동 돌출부에 의해 동작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주위에 형성된 대응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돌출부는 상기 몸체가 상기 작동 돌출부에 의해 동작할 때 난류를 형성하도록 날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교반부재를 상기 튜브부재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튜브부재와 상기 슬러지 교반부재 중의 하나에 형성된 원형 돌출부; 및
    상기 원형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튜브부재와 상기 슬러지 교반부재 중의 다른 하나에 상기 원형 돌출부와 대응하게 형성된 원형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슬러지 교반부재를 상기 튜브부재에 관하여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도록 상기 슬러지 교반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현상제 저장쳄버의 바닥까지 연장된 지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교반부재가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작동된 후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슬러지 교반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교반부재는,
    상기 튜브부재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몸체; 및
    상기 튜브부재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몸체에 고정되고 슬러지를 교반하는 슬러지 교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튜브부재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고 상기 튜브부재내의 공간을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갖는 심부를 구비하는 원통을 포함하며;
    상기 슬러지 교반부는 상기 원통의 상기 심부에 고정되고 상기 튜브부재내에 뻗어있는 나선형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서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러지 교반부재의 상기 몸체를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동작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작동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현상제 저장쳄버 내의 액체 현상제를 교반하는 교반기의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돌출부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곡선형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작동 돌출부의 상기 곡선형 돌기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상기 몸체의 둘레에 형성된 원형 테두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현상제 저장쳄버의 바닥에 형성된 스프링 시트에 배치되어 상기 슬러지 교반부재를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19. 액체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와 연결되고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된 액체 현상제를 저류하는 현상쳄버, 및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와 연결되어 상기 현상쳄버에서 오버플로우된 액체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회수쳄버를 구비하는 현상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상기 현상쳄버, 및 상기 회수쳄버 중 최소한 한 곳에 배치되어 액체 현상제를 배출하거나 유입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튜브부재; 및
    상기 튜브부재내에 현상제 슬러지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러지 방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슬러지 방지장치는 상기 튜브부재에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어 상기 튜브부재 내에 침전되는 현상제 슬러지를 교반하는 슬러지 교반부재, 및 상기 슬러지 교반부재에 대응하게 설치되어 현상제 슬러지를 교반하도록 상기 슬러지 교반부재를 작동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교반부재가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작동된 후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슬러지 교반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26131A 2004-04-16 2004-04-16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및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KR100532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131A KR100532610B1 (ko) 2004-04-16 2004-04-16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및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US10/998,981 US7174118B2 (en) 2004-04-16 2004-11-30 Sludge prevention apparatus of tube memb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131A KR100532610B1 (ko) 2004-04-16 2004-04-16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및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911A KR20050100911A (ko) 2005-10-20
KR100532610B1 true KR100532610B1 (ko) 2005-12-01

Family

ID=35096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131A KR100532610B1 (ko) 2004-04-16 2004-04-16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및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174118B2 (ko)
KR (1) KR100532610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9398A (en) * 1989-11-09 1994-10-25 Ricoh Company, Ltd. Electrophotographic copier with a developing device using a liquid developer
US5200094A (en) * 1991-12-20 1993-04-06 Lawrence Paper Company Method of recovery of printing ink wastes using elevated temperature, pressure and shear
US5442427A (en) * 1993-10-04 1995-08-15 Phoenix Precision Graphics, Inc. Concentrate stirring for continuous printing
US5526101A (en) 1995-03-16 1996-06-11 International Communications Materials, Inc. Toner dispensing cartridge having a nonrotatable toner cup and a rotatable sleeve-cap
JPH10247009A (ja) 1997-03-04 1998-09-14 Fuji Xerox Co Ltd 現像剤供給装置
JP2001183865A (ja) 1999-12-24 2001-07-06 Fuji Xerox Co Ltd トナー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並びにこれを用いた現像装置
JP3451239B2 (ja) 2000-05-26 2003-09-29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74118B2 (en) 2007-02-06
US20050232660A1 (en) 2005-10-20
KR20050100911A (ko) 200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3044C2 (ru) Контейнер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система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и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JPH07225515A (ja) 現像装置
JP2017215415A (ja) 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80008654A (ko) 토너교반필름, 토너교반부재 및 이를 구비한 토너공급장치
KR100503808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기의 현상장치
KR20080111704A (ko)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532610B1 (ko)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및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JP2017072717A (ja)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434353B1 (en) Ink feeding valve of a wet type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3935129B2 (ja) 画像形成装置
JPH09171293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に対する現像剤の再充填方法
KR100561455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트레이의 잉크누설 방지시스템
CN1141625C (zh) 程序盒及图像形成装置
US20240176288A1 (en) Developer replenish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385047B1 (ko) 레이저 프린터의 토너 카트리지 및 폐토너 회수시스템
JP3409776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158758Y1 (ko) 습식 현상기 유니트의 토너 침전 방지장치
JP701547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KR100547144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기의 현상장치
JPH09171341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着脱可能な画像形成装置
JPH0486688A (ja) 湿式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現像液処理装置ユニット
JP2001282080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384578A (ja) 濃縮現像液供給装置
JPH0558192B2 (ko)
KR20040018866A (ko) 현상제 저장 카트리지의 교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