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2117B1 - 화상형성장치의 원고급지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원고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117B1
KR100532117B1 KR10-2004-0004980A KR20040004980A KR100532117B1 KR 100532117 B1 KR100532117 B1 KR 100532117B1 KR 20040004980 A KR20040004980 A KR 20040004980A KR 100532117 B1 KR100532117 B1 KR 100532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ocument
adf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7361A (ko
Inventor
김수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4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117B1/ko
Publication of KR20050077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1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2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for trans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84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on moving support, e.g. pivoting, for bringing the roller or like rotary separator into contact with the p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원고급지장치는, 포개져 있는 원고를 낱장씩 화상형성장치의 내부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를 향해 비스듬히 기울어진 원고적재가이드;
상기 원고적재가이드의 하측 말단에 연이어 위치하며, 상기 원고의 이송 방향에 순행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ADF(Auto Document Feeding) 롤러; 및,
상기 ADF 롤러의 상측 외주면에 접하여 원고를 상기 ADF 롤러를 향해 가압하며, 상기 원고의 이송 방향에 역행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역행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원고급지장치{Apparatus for feeding documents in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개져 적재된 원고를 낱장씩 화상형성장치의 내부로 이송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의 원고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캐너나 팩시밀리와 같은 원고 스캔 기능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는 원고의 스캔을 위해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내부로 원고를 낱장씩 이송하는 소위 'ADF(Auto Document Feeding)' 기능을 구비하는 원고급지장치가 마련되며, 도 1에는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원고급지장치의 일 예에 대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원고급지장치는 원고(D)를 포개어 적재하는 원고적재가이드(2)와, 상기 원고적재가이드(2)의 하단에 연이어 마련된 ADF 롤러(3)와, 상기 ADF 롤러(3)의 상측 외주면을 가압하는 러버패드(4)를 구비한다. 원고(D)가 원고적재가이드(2)를 따라 내려와 ADF 롤러(3)와 러버패드(4) 사이로 진입하여 상기 원고적재가이드(2)의 측단부에 위치하는 원고감지센서(미도시)를 치면, 상기 ADF 롤러(3)가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장 아래에 적재된 원고(D)를 마찰에 의해 끌고가 원고가이드(5) 쪽으로 이송한다. 그리고, 상기 원고(D)는 계속 진행하여 CIS(Contact Image Sensor, 6)와 화이트롤러(7) 사이로 진입하여 화상이 독취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원고급지장치는 포개진 원고(D)들의 말단이 ADF 롤러(3)에 닿도록 깊숙히 밀어넣지 않으면, 상기 원고(D)들이 원고감지센서를 쳐서 ADF 롤러(3)는 작동하지만 원고(D)를 끌고들어가지 못하여 공회전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ADF 롤러(3)가 상기 러버패드(4)와의 마찰 때문에 회전하지 못하여 모터가 꺼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온 저습한 지역 환경에서는 정전기가 많이 발생하여 포개진 원고(D)들이 분리되지 못하는 소위 '중송'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으며, 러버패드(4)와 ADF 롤러(3) 사이에서 가압되는 원고(D)들이 분리되면서, 위 아래에 있는 원고(D)들이 서로 비벼져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와 달리 러버패드를 사용하지 않는 개선된 구조를 가진 화상형성장치의 원고급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원고급지장치는, 포개져 있는 원고를 낱장씩 화상형성장치의 내부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를 향해 비스듬히 기울어진 원고적재가이드;
상기 원고적재가이드의 하측 말단에 연이어 위치하며, 상기 원고의 이송 방향에 순행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ADF(Auto Document Feeding) 롤러; 및,
상기 ADF 롤러의 상측 외주면에 접하여 원고를 상기 ADF 롤러를 향해 가압하며, 상기 원고의 이송 방향에 역행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역행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행롤러는, 그 외주면의 마찰계수가 상기 ADF 롤러 외주면의 마찰계수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행롤러에 접하여 회전함에 의해 상기 역행롤러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역행구동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역행구동롤러와 ADF 롤러는 기어 체결되어 맞물려 회전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DF 롤러의 상측 외주면에 접하여 원고를 상기 ADF 롤러를 향해 가압하는 아이들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래를 향해 비스듬히 기울어지게 연장되며, 그 하측 말단부가 상기 ADF 롤러의 상측 외주면에 접하여 원고를 상기 ADF 롤러를 향해 가압하는 텐션시트(tension sheet)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원고급지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원고급지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원고급지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고급지장치(100)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10)는 예컨데, 스캐너 또는 팩시밀리로서의 기능이 구비된 스캔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 수행을 위한 숫자 버튼 등 각종 지시입력버튼(미도시)이 마련된 제1 하우징(11)과, 서로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된 제2 및 제3 하우징(12, 13)을 구비한다. 상기 제2 및 제3 하우징(12, 13)은 상기 제1 하우징(11)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하우징(12)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제2 및 제3 하우징(12, 13)이 결합되어 형성된 내부공간에는 기록지(P)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니트(20)와, 상기 인쇄유니트(20)로 기록지(P)를 공급하는 기록지 공급유니트(25)가 구비된다. 상기 기록지(P)는 상기 기록지 공급유니트(25)에 의해 도 2의 화살표로 나타낸 경로를 따라 이송되며, 인쇄유니트(20)에 의해 화상이 인쇄되어 기록지 스택커(14)에 쌓이게 된다. 다만, 상기 인쇄유니트(20) 및 기록지 공급유니트(25)의 동작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그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화상형성장치(10)는 원고(D)의 이미지를 스캔(scan)하기 위한 독취유니트와, 상기 독취유니트에 원고(D)를 이송하기 위한 원고급지장치와, 이미지 스캔된 원고(D)를 화상형성장치(10) 외부로 배지하기 위한 원고배지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독취유니트는 원고(D)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이는 CIS(Contact Image Sensor, 30)와, 상기 CIS(30)에 압접되어 회전되면서 원고(D)를 이송시키는 화이트롤러(3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CIS(30)는 원고(D)에 광을 조사하여 그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검출함으로써 원고(D)에 기록된 정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당업자에게 공지된 것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원고배지장치는 상기 제1 하우징(11)에 마련된 소정의 지지구조에 의해 지지되는 원고배지롤러(40)와, 상기 제2 하우징(12)에 마련된 원고배지아이들롤러(45), 및 상기 원고배지롤러(40)와 원고배지아이들롤러(45) 사이를 통과한 원고(D)가 적재되는 원고 스택커(55)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화상형성장치(10)에는 ADF 롤러(110)와 CIS(30) 사이, 및 상기 CIS(30)와 원고배지아이들롤러(45) 사이에 원고(D)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들(51, 52)이 마련된다.
상기 원고급지장치(100)는, 이미지 스캔이 예정된 다수장의 원고(D)들이 포개져 적재되는 원고적재가이드(101)와, 상기 원고적재가이드(101)에 포개져 적재된 다수장의 원고(D)들을 낱장씩 분리하여 상기 CIS(30)로 이송하기 위한 ADF(Auto Documnet Feeding) 롤러(110)와, 상기 ADF 롤러(110)의 상측 외주면에 접하는 역행롤러(120)와, 상기 역행롤러(120)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역행구동롤러(130)와, 상기 역행롤러(120)와 동축 연결된 한 쌍의 아이들롤러(125)와, 하측 말단부가 상기 ADF 롤러(110)의 상측 외주면에 접하는 텐션시트(140)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이 가운데 상기 역행롤러(120), 아이들롤러(125), 역행구동롤러(130) 및, 텐션시트(140)는 상기 제1 하우징(11)에 지지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원고적재가이드(101)는 아래를 향해 비스듬히 기울어지게 마련되고, ADF 롤러(110)는 상기 원고적재가이드(101)의 하측 말단에 연이어 위치한다. 상기 ADF 롤러(110)는 그 회전축(113)이 상기 화상형성장치(10)의 내부에 마련된 구동모터(미도시)에 연결되어 화살표(A2)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축(113)에는 ADF 롤러기어(115)가 마련되어 상기 ADF 롤러(110)와 동일하게 화살표(A2)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ADF 롤러기어(115)는 상기 역행구동롤러(130)의 회전축(133)에 마련된 역행구동롤러기어(135)와 체결되므로, 상기 역행구동롤러(130) 및 역행구동롤러기어(135)는 화살표(A5)로 나타낸 바와 같이 ADF 롤러(110) 및 ADF 롤러기어(115)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역행구동롤러(130)와 ADF 롤러(110) 사이에 마련된 역행롤러(120)는, 상기 역행구동롤러(130)와 접하여 역행구동롤러(130)에 의해 회동력을 제공받아 화살표(A3)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역행구동롤러(130)의 외주면은 러버(rubber) 재질로 되어 있어, 마찰에 의해 접하여 있는 역행롤러(120)의 회전을 견인하므로, 상기 역행롤러(120)의 회전방향은 화살표(A3)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역행구동롤러(130)의 회전방향(A5)과 반대이고, ADF 롤러(110)의 회전방향(A2)과 같다. 다만, 양자(110, 120)의 회전방향이 동일하다고 하여도, ADF 롤러(110)는 양자(110, 120) 사이를 통과하는 원고(D)의 아래에 위치하므로, 그 회전방향은 도 2의 화살표(A1)로 나타난 용지의 이송방향에 대해 순행하는 방향이 된다. 이와 반대로, 역행롤러(120)는 상기 원고(D)의 위에 위치하므로, 그 회전방향은 상기 용지의 이송방향(A1)에 대해 역행하는 방향이 된다. 한편, 상기 ADF 롤러(110)의 외주면도 러버재질로 되어 있으나, 상기 ADF 롤러(110)와 역행롤러(120)의 사이에는 원고(D)가 개재되는 것이 예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역행롤러(120)는 역행구동롤러(130)에 의해서만 회동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아이들롤러(125)는 상기 역행롤러(120)의 양 측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며, 상기 역행롤러(120)와 동일 축(123)에 연결된다. 상기 아이들롤러(125)는 ADF 롤러(110)의 외주면에 접하고, 상기 ADF 롤러(110)와 역행롤러(120) 사이에는 원고(D)가 개재되는 것이 예정되어 있으므로, 화살표(A4)로 나타난 바와 같이 ADF 롤러(110)의 회전방향(A2)에 반대이며, 상기 용지의 이송 방향(A1)에 순행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텐션시트(140)는 상기 제1 하우징(11)에 지지되는 플레이트부(141)와, 상기 플레이트(plate)부(141)에서 분기되어 비스듬히 아래로 연장되어 그 말단이 ADF 롤러(110)의 상측 외주면에 접하는 한 쌍의 브랜치(branch)부(143)를 일체로 형성한 몰딩부재이다. 상기 한 쌍의 브랜치부(143)는 역행롤러(120)와 한 쌍의 아이들롤러(125) 사이에 위치하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역행롤러(120), 및 텐션시트(140)는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과 같은 고분자수지를 몰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메틸렌은 상기 ADF 롤러(110)의 외주면이나 역행구동롤러(130)의 외주면 재질인 러버(rubber)에 비해 마찰계수가 작다. 따라서, 역행롤러(120)는, 상기 역행롤러(120)와 ADF 롤러(110) 사이에 개재되는 원고(D)에 대해 미끄러져 상기 원고(D)의 이송 방향(A1)에 역행하는 방향(A3)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원고급지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이미지 스캐닝의 대상이 되는 다수 장의 원고(D)를 원고적재가이드(101)에 포개어 적재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원고(D)는 하향 경사진 상기 텐션시트(140)의 브랜치부(143)에 막혀 그 아래에 있는 원고(D)보다 조금씩 뒤로 후퇴된 상태로 위치한다. 이때, 상기 포개진 원고(D)들 중 가장 아래에 있는 원고의 말단이 원고감지센서(미도시)를 치고, ADF 롤러(110)의 외주면에 접하게 된다. 그리하면, 상기 ADF 롤러(110)가 화살표(A2) 방향으로 회전하여 마찰에 의해 상기 가장 아래에 있는 원고를 픽업(pick-up)하여 가이드(51) 쪽으로 이송한다. 이때, 한 쌍의 아이들롤러(125)와 역행롤러(120)는 상기 이송되는 원고를 상기 ADF 롤러(110)에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원고와 ADF 롤러(110)와의 마찰에 의한 이송의 신뢰성을 높여준다. 한편, 상기 역행롤러(120)는 상기 이송되는 원고에 대해 미끄러지며 그 이송방향(A1)에 역행하는 방향(A3)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이송되는 원고의 위에 포개진 원고(D)들은 상기 역행롤러(120)에 막혀 가이드(51) 쪽으로 이송될 수 없으며, 가장 아래에 있는 원고가 ADF 롤러(110)를 지난 후에야 그 위에 포개져 있던 원고가 다시 가장 아래에 위치하게 되어 가이드(51) 쪽으로 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아이들롤러와 역행롤러는 동축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화상형성장치는 스캐너나 팩시밀리의 기능만을 가진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화상형성장치의 원고급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종래의 경우와 같은 러버패드가 없으므로, 다수 장의 원고를 포개어 원고적재가이드 내부로 깊숙히 밀어넣지 않아도 원고가 중력에 의해 미끄러져 ADF 롤러에 접하게 되므로, ADF 롤러의 공회전이나, 모터의 꺼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둘째, 역행롤러가 원고의 이송방향에 역행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장 아래에 위치한 원고와 그 위에 포개진 원고를 분리하므로, 정전기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서도 신뢰성있는 원고의 분리가 가능하다.
셋째, 종래와 같이 러버패드가 포개진 다수 장의 원고들을 ADF 롤러 쪽으로 가압하지 않으므로, 원고의 분리 이송시에 원고들이 서로 비벼져 발생하는 소음의 염려가 없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원고급지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원고급지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원고급지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화상형성장치의 원고급지장치 101 ...원고적재가이드
110 ...ADF 롤러 115 ...ADF 롤러기어
120 ...역행롤러 125 ...아이들롤러
130 ...역행구동롤러 135 ...역행구동롤러기어
140 ...텐션시트(tension sheet) D ...원고

Claims (5)

  1. 포개져 있는 원고를 낱장씩 화상형성장치의 내부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를 향해 비스듬히 기울어진 원고적재가이드;
    상기 원고적재가이드의 하측 말단에 연이어 위치하며, 상기 원고의 이송 방향에 순행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ADF(Auto Document Feeding) 롤러; 및,
    상기 ADF 롤러의 상측 외주면에 접하여 원고를 상기 ADF 롤러를 향해 가압하며, 상기 원고의 이송 방향에 역행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역행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원고급지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역행롤러는, 그 외주면의 마찰계수가 상기 ADF 롤러 외주면의 마찰계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원고급지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역행롤러에 접하여 회전함에 의해 상기 역행롤러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역행구동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역행구동롤러와 ADF 롤러는 기어 체결되어 맞물려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원고급지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DF 롤러의 상측 외주면에 접하여 원고를 상기 ADF 롤러를 향해 가압하는 아이들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원고급지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아래를 향해 비스듬히 기울어지게 연장되며, 그 하측 말단부가 상기 ADF 롤러의 상측 외주면에 접하여 원고를 상기 ADF 롤러를 향해 가압하는 텐션시트(tension sheet)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원고급지장치.
KR10-2004-0004980A 2004-01-27 2004-01-27 화상형성장치의 원고급지장치 KR100532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980A KR100532117B1 (ko) 2004-01-27 2004-01-27 화상형성장치의 원고급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980A KR100532117B1 (ko) 2004-01-27 2004-01-27 화상형성장치의 원고급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361A KR20050077361A (ko) 2005-08-02
KR100532117B1 true KR100532117B1 (ko) 2005-11-29

Family

ID=3726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980A KR100532117B1 (ko) 2004-01-27 2004-01-27 화상형성장치의 원고급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21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361A (ko) 2005-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3782B2 (ja) 画像処理装置
JP3004626B2 (ja) 自動給紙装置
JP3004615B2 (ja) 用紙供給装置
US20060202405A1 (en) Sheet separating device for an image input/output apparatus
US7661675B2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JP4883122B2 (ja) 画像処理装置
KR100532117B1 (ko) 화상형성장치의 원고급지장치
JP2006340369A (ja) スキャナー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780998B2 (ja) 給紙装置
WO2023139729A1 (ja) 媒体搬送装置
US20050041987A1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KR20050108174A (ko) 원고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2008024398A (ja) 給紙装置の用紙繰込機構
JP2022161608A (ja) 読取装置
US20080291511A1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for use with office document
JP4446171B2 (ja) 画像読取装置
JP2022086541A (ja) 媒体搬送装置
JP3771066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
JP2008048327A (ja) 画像読取装置
JP4202213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
JP2022161610A (ja) 読取装置
KR200258634Y1 (ko) 복합기의 급지 장치
JP2022161609A (ja) 搬送装置
JP2003051916A (ja) 原稿給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2002293465A (ja) 原稿移動型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