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481B1 - 적층시트의수납체및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적층시트의수납체및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481B1
KR100530481B1 KR1019980004288A KR19980004288A KR100530481B1 KR 100530481 B1 KR100530481 B1 KR 100530481B1 KR 1019980004288 A KR1019980004288 A KR 1019980004288A KR 19980004288 A KR19980004288 A KR 19980004288A KR 100530481 B1 KR100530481 B1 KR 100530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laminated sheet
package
laminated
packag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4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1326A (ko
Inventor
다케시 반도
히로키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71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4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9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e articles being positioned relative to one another or to the container in a special way, e.g. for facilitating dispensing, without additional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 B65D75/5838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combined with separate fixed tearing means, e.g. t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물 티슈 등과 같이 1매씩 자유로이 취출할 수 있는 적층 시트 수납체는 평면 형상이 장방형이며, 이것을 수납하는 용기 또는 포장체의 평면 형상이 커져서, 전체적으로 대형으로 되어 있었다.
1매씩 자유로이 취출할 수 있게 적층된 적층 시트(S)는 세로 방향의 양단부 (ⅲ)가 서로 접근하고 오목부(SB)가 형성되도록 변형되고, 상기 양단부(ⅲ)는 Z 방향으로 동일면이 되도록 정렬되어 있다. 따라서, 평면 형상을 거의 정방형으로 할 수 있고, 높이 치수도 작게 할 수 있어서, 전체적으로 콤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다. 인출되는 시트는 오목부(SB)의 양측에 끼워진 채로 들어 올려지고, 오목부(SB)의 양측이 포장체의 취출구측의 면과 평행하므로, 인출되는 시트의 다음 시트가 상기 오목부(SB)의 양측에서 포장체의 취출구측 면과 부딪치기 때문에, 시트가 한꺼번에 인출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적층 시트의 수납체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경질 용기, 또는 필름이나 시트 등의 포장재로 형성된 포장체 내에 티슈 페이퍼 또는 물 티슈 등의 시트가 복수매 중첩되어 수납된 적층 시트 수납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체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고, 1매씩 확실히 취출할 수 있는 적층 시트의 수납체, 및 이 수납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6(a)에는 티슈 페이퍼나 물 티슈 등의 시트를 순차적으로 취출할 수 있게 적층시킨 종래의 적층 시트(S)가 도시되어 있다.
각 시트는 2겹으로 절첩(折疊)되고, 2겹으로 절첩된 시트(S1)의 골측의 면에 동일하게 2겹으로 절첩된 다른 시트(S2)의 골측의 면이 합쳐지며, 시트(S1)와 시트(S2)의 단부끼리가 번갈아서 중첩되어 있다. 시트(S2)와 그 밑에 중첩된 시트(S3)의 단부도 마찬가지로 번갈아서 중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시트가 중첩된 적층 시트(S)는 종이나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상자형의 용기나, 수지 필름 등의 포장재로 형성된 포장체 내에 수납된다.
용기나 포장체에는 취출구가 형성되어 있어, 이 취출구로부터 시트(S1)를 인출하면, 시트(S1)에 이끌려 시트(S2)의 단부가 취출구로부터 인출된다. 다음에, 시트(S2)를 취출할 때에는, 이 취출구로부터 인출된 시트(S2)의 단부를 집어서 외측을 향하여 잡아 당긴다. 이때에도, 그 다음 시트(S3)의 단부가 취출구로부터 돌출된다. 그에 따라, 취출구로부터 시트를 1매씩 순차적으로 취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박스 티슈 등에서는, 각 시트(S1, S2, …)가 중첩된 적층 시트(S)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 상태로 용기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의 평면 면적이 커지며, 이에 따라 용기가 전체적으로 커지게 되어, 운반이나 취급이 불편하다.
또한, 예컨대 일본국 특허 공개 평6-45381호 공보에는 티슈 페이퍼 등의 시트를 순차적으로 취출 가능하게 한 적층 시트(S)를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결 모양으로 변형시킨 상태로 용기에 수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은 도 6(a)에 도시한 적층 시트(S)를 Fa, Fa의 방향으로 가압하여 변형시킨 것이다. 또한, 물결 모양으로 변형된 오목부(SA)는 용기의 취출구측을 향하게 되어, α 방향으로부터 시트(S1, S2, S3, …)를 순차적으로 취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도 6(b)에 도시된 적층 시트(S)를 용기에 수납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 시트(S)가 변형되지 않은 평면 형상일 때, 통상적으로는, 각 시트의 절곡선(Se)이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세로 방향의 치수(W1)가 크고, 이것과 직교하는 가로 방향의 치수(W2)가 작게 되어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6(b)에서는, 짧은 변측인 상기 가로 방향의 치수(W2)가 보다 더 작아지도록 적층 시트(S)가 수축되어 있기 때문에, 도 6(a)의 상태와 비교해서 평면 형상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직사각형의 긴 변측인 세로 방향의 치수(W1)가 줄어드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외관상 그다지 소형화된 것 같이 느낄 수는 없다. 오히려 평면 형상이 세로 방향의 치수(W1)에 대하여 가로 방향의 치수가 극단적으로 짧은 직사각형으로 되고, 높이 방향의 치수도 길어지기 때문에, 거치식(据置式) 용기에 수납되었을 때 불안정하다.
(2)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된 적층 시트(S)에서는, 오목부(SA)의 골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각 시트의 취출측의 가장자리부(Sf) 및 절곡선(Se)이 연장되는 방향이 평행하고, 또한 통상적으로는, 용기에 형성되는 취출구도 상기 각 방향과 평행하다. 따라서, 시트(S)를 α 방향으로 취출하였을 때에 이것에 이어지는 시트가 오목부(SA) 내에서 α 방향으로 미끄러져 나오기 쉽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용기 내에 남아 있는 시트의 매수가 적고, 시트를 1매만 취출하려고 할 때에는, 남아 있는 여러 장이 한꺼번에 α 방향으로 미끄러져 나와, 그대로 취출구 밖으로 돌출하기 쉽다.
또한,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소63-28680호 공보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U 자형으로 변형된 상태로 용기(10) 내에 수납된 적층 시트(S)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한 것에는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
(1) 적층 시트(S)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Sg)가 정렬된 채로 용기(10)의 취출면(10a)에 대면하는 형상이다. 따라서 용기(10)의 높이 치수가 대단히 커진다.
(2) 적층 시트(S)는 전체가 U 자형으로 구부러져, 전술한 바와 같이 높이 치수가 커지기 때문에, 오목부(SH)가 대단히 깊고, 취출구(10b)와 오목부(SH)의 저부와의 거리가 길게 되어 있다. 따라서, 취출구(10b)로부터 시트를 1매씩 취출할 때에, 다음 시트가 깊은 오목부(SH) 내에서 상승하지 않으면 안 되고, 그 때문에 다음 시트가 취출구(10b)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 또는 포장체에 수납된 상태에서, 그 평면 형상을 예컨대 정방형 또는 이것에 가까운 형상으로 할 수 있고, 높이 치수도 작게 할 수 있어 전체를 소형으로 할 수 있는 적층 시트 수납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를 취출할 때에, 다음 시트의 선단부가 취출구로부터 1매씩 돌출되기 쉽고, 나머지의 시트가 취출구로부터 외부로 취출되는 일이 없는 적층 시트 수납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취출구가 형성된 용기 또는 포장체의 내부에 복수 매의 시트가 적층되어 수납되고, 적층되어 있는 각 시트 사이에서는, 한쪽 시트의 가장자리부가 이것에 적층되는 다른 쪽 시트의 절첩(折疊) 부분 사이에 끼워지도록 조합되어, 시트가 상기 취출구로부터 순차적으로 취출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적층 시트 수납체에 있어서, 상기 각 시트의 상기 접힌 부분의 절곡선이 연장되는 방향을 세로 방향으로 하고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을 가로 방향으로 하였을 때에, 오목하게 변형된 오목부가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시트의 세로 방향의 양단부가 서로 접근하도록 변형되고, 상기 오목부의 개구(開口)는 상기 취출구를 향하게 되며, 상기 취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용기 또는 포장체의 취출면으로 하였을 때에, 상기 오목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시트면이 상기 취출면과 대면하고, 적층 시트의 최상부의 시트 가장자리부가 취출구로부터 취출 가능한 위치에 드러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적층 시트 수납체에 있어서, 오목하게 변형되기 전 상태의 적층 시트의 평면 형상은 상기 세로 방향의 치수가 가로 방향의 치수보다도 긴 직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시트의 변형 후의 형상으로서는 도 3(b)에 도시하는 역 Ω 형상, 또는 도 5에 도시하는 W형상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역 Ω형상에 있어서는, 상기 오목부가 적층 시트의 중앙에 한 줄 형성되어 있고, 각 적층 시트의 상기 세로 방향의 양단부가 상기 취출면과 직교하는 용기 또는 포장체의 세로 방향 양단부 측면을 따라 정렬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취출구는 각 시트의 절첩 부분의 절곡선과 직교하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게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지 취출구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변형된 적층 시트가 시트형의 포장재로 형성된 포장체 내에 포위되어 있고, 이 포장체에는 포장재의 양 가장자리부끼리 접합된 제1 밀봉부가 적층 시트의 상기 오목부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1 밀봉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양단부에서 포장재끼리 접합되어 상기 제l 밀봉부와 직교하는 제2 밀봉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시트 수납체의 제조 방법은, 한쪽 시트 가장자리부를 이것에 적층되는 다른 쪽 시트의 접첩 부분 사이에 끼워지도록 조합시키고 복수 매의 시트를 중첩시켜 적층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적층 시트의 절첩 부분의 절곡선이 연장되는 방향을 세로 방향으로 하고, 이 세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가로 방향으로 하였을 때에, 띠형 포장재의 공급 방향에 상기 적층 시트의 가로 방향을 일치시켜 적층 시트와 포장재를 합치는 단계와, 적층 시트와 포장재를 합치기 전 또는 합친 후에, 적층 시트의 중앙부에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각 시트의 세로 방향의 양단부를 띠형 포장재의 공급면과 거의 직교하는 면을 따라 정렬한 채로 이 양단부를 세로 방향으로 접근시키도록, 상기 적층 시트를 변형시키는 단계와, 변형 후의 적층 시트의 세로 방향의 양단부를 포장재로 포위하고, 포장재의 짧은 폭 방향의 양 가장자리부를 접합하여 제1 밀봉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적층 시트의 가로 방향의 단부에서 포장재를 접합하여 상기 제l 밀봉부와 직교하는 제2 밀봉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2 밀봉부에서 각 적층 시트 단위로 포장재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시트는 물 티슈, 마른 티슈 페이퍼, 그 밖의 시트이고, 비교적 얇은 시트의 경우에 적합하다.
용기의 재료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이고, 포장체는 필름이나 시트 등의 포장재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적층 시트를 세로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압축한 상태로 용기 또는 포장체에 수납함으로써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용기나 포장체의 평면 형상을 정방형 또는 이것에 가까운 형상으로 할 수 있어서, 평면 형상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시트면이 용기 또는 포장체의 취출면과 평행하기 때문에 높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용기 또는 포장체의 체적을 종래 기술의 것과 비교해서 작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각 시트의 절첩 부분의 절곡선 방향인 세로 방향의 양단부가 접근하는 상태에서 오목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오목부의 개구는 상기 취출구를 향하고, 시트를 취출할 때에 다음 시트가 오목한 부분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게 되지만, 도 7에 도시하는 U 자형에 비해서 오목부가 얕기 때문에, 시트는 1매씩 확실히 들어 올려지고, 다음 시트의 선단부가 취출구로부터 확실히 돌출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 내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시트면이 용기 또는 포장체의 취출면과 평행하게 대면하기 때문에, 취출구로부터 인출되는 시트의 다음 시트가 상기 취출면에 의해 구속되어, 다음 시트 전체가 선행하는 시트에 이끌려서 취출구로부터 전부 취출되는 일은 없다.
또한, 도 3(b) 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층 시트의 상면에 시트면이 드러나고, 이 시트면이 용기 또는 포장체의 취출면에 접근하여 대향하기 때문에, 예컨대 1매의 시트가 취출되었을 때에 다음 시트의 선단이 취출구로부터 돌출되지 않은 경우에도, 취출구에 다음 시트면이 접근하여 드러나기 때문에, 다음 시트를 취출하기 쉬워진다.
특히, 도 1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시트의 세로 방향의 양단부를 용기 또는 포장체의 측면을 따라 정렬된 역 Ω형상으로 변형시키면, 적층 시트 전체의 높이 치수가 낮아져, 거치식 용기 또는 포장체를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의 깊이도 얕게 할 수 있어 시트를 차례로 취출하기 쉬워진다. 또한, 오목부 양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시트면이 오목부의 개구단에서 서로 접한 상태로 용기 또는 포장체의 취출면과 대면하기 때문에, 용기 또는 포장체의 취출면에 대향하는 시트면의 면적이 넓어져 시트의 단부를 취출구에서 잡기 쉽게 되고, 적층 시트의 상기 시트면이 취출면에 의해 적절히 구속되기 때문에, 남아 있는 매수가 적을 때에도, 다량의 시트가 취출구로부터 동시에 취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시트가 수납된 포장체를 제조할 때에, 띠형 포장재의 공급 방향을 적층 시트의 가로 방향과 일치시키고, 적층체를 변형시켜 그 변형의 수축 방향인 세로 방향의 양단을 포위하도록 하여 제1 밀봉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도 3(b)에 도시하는 형상으로 변형시킨 상태를 유지한 채 포장재로 포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층 시트 수납체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며, 도 2는 시트의 적층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적층 시트의 변형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예에서는, 적층 시트(S)가 포장체(1) 내에 수납되어 있다. 포장체(1)는 수지로 된 단층 필름이나, 알루미늄박과 수지 필름으로 된 적층 필름 등의 포장재(F)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포장재(F)의 내층은 열 밀봉 용착 가능한 가열 밀봉층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층 시트(S)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료의 용기에 수납되어 있어도 좋다.
도 1에 도시하는 포장체(1)는 적층 시트(S)를 포위한 상태에서 포장재(F)가 제1 밀봉부(1c)에 의해 용착 밀봉되어 통 형상으로 성형되고, 또한 포장체(1)의 가로 방향(Y 방향) 전후에 위치하는 제2 밀봉부(1b)에서 용착 밀봉된 것이다. 상기 용착 밀봉은 가열 밀봉이나, 초음파 또는 고주파 밀봉이다. 제1 밀봉부(1c) 및 제2 밀봉부(1b, 1b)에서 포장재가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더라도 좋다.
도 1에서는 X 방향이 세로 방향, Y 방향이 가로 방향이다. 포장체(1)의 상면은 취출면으로 되어 있고, 이 취출면의 거의 중앙에 타원형의 취출구(1a)가 가로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개방되어 있다. 적층 시트(S)는 취출 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시트(S1, S2, …)가 접혀 중첩된 것으로, 시트(S1, S2, …)는 상기 취출구(1a)로부터 1매씩 취출된다. 이 시트(S1, S2, …)가 물 티슈 등의 약액이 함침된 것인 경우, 이 취출구(1a)는 수지 필름으로 형성된 뚜껑으로 덮여져 시트(S1, S2)의 건조를 방지한다.
도 2는 적층 시트(S)에 있어서 개개의 시트의 중첩 상태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시트는 예컨대, 건조한 티슈 페이퍼나 물 티슈 등의 펄프 섬유로 형성된 얇고 편평한 시트이다. 통상의 물 티슈를 예로 들면, 1매의 시트를 펼쳤을 때의 짧은 변(i)의 치수(W1)가 예컨대 150 mm이고, 긴 변(ⅱ)의 길이(L)가 예컨대 200 mm 정도인 직사각형이다.
각 시트(S1, S2, S3, …)는 그 긴 변(ⅱ)의 거의 중앙에서 짧은 변(i)과 평행한 절곡선(Sa)에서 2겹으로 절첩되고, 더욱이 상기 절곡선(Sa)에 의해 나누어진 한쪽의 절반면이 긴 변 방향의 거의 중앙에서 상기 절곡선(Sa)과 역방향으로 절곡선(Sb)에서 2겹으로 절첩되어 있다.
상하로 중첩되어 있는 시트 사이에는, 하측 시트의 절첩되지 않는 측의 절반면의 가장자리부(Sd)가 절곡선(Sa)에서의 절첩된 부분 내에 끼워진 상태로 번갈아 중첩되어 있다. 그리고, 포장체나 용기에 수납되었을 때에 가장 위에 위치하는 시트(S1)는 절곡선(Sa)으로 구분된 절반면이 절곡선(Sc)에 의해 한 번 더 절첩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절곡선(Sc)이 상기 취출구(1a)에 드러나 있고, 상기 절곡선(Sc)이 취출구(1a)로부터 취출 가능한 가장자리부로 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시트의 절곡선(Sa)이 연장되는 방향은 세로 방향(X 방향)이다. 각 시트가 중첩된 적층 시트(S)가 변형되기 전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적층 시트(S)의 세로 방향(X 방향)의 치수(W1)는 예컨대 150 mm이고, 가로 방향(Y 방향)의 치수(W2)는 예컨대 100 mm이며, 적층 시트(S)의 평면 형상은 세로 방향(X 방향)이 긴 변 방향이 되는 직사각형이다.
도 3(a)는 각 시트가 적층된 적층 시트(S)가 변형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도 3(b)가 변형 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3(b)에서는 세로 방향(X 방향)으로 각 시트(S1, S2, S3, …)의 양단부(ⅲ ⅲ)가 Z 방향(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동일면이 되도록 정렬된 상태인 채로, 상기 양단부(ⅲ, ⅲ)가 세로 방향(X 방향)으로 접근하도록 압박되어 적층 시트(S)가 변형되고, 그 결과 중앙부에 오목부(SB)가 형성되는데, 상기 오목부의 개구는 상기 취출구를 향하게 된다. 오목부(SB)가 연장되는 방향은 가로 방향(Y 방향)이고, 각 시트의 절곡선(Sa, Sb)이 연장되는 세로 방향(X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이 변형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층 시트(S)의 세로 방향(X 방향)의 거의 중앙이 위로부터 블레이드(B)에 의해 압박되고, 세로 방향의 양단부(ⅲ, ⅲ)가 정렬된 상태에서 압박판(G, G)에 의해 세로 방향(X 방향)의 중앙을 향하여 압박된다. 이 방법에 의해,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도 3(b)에서는 취출측(취출구에 면하는 쪽)에 있어서, 오목부(SB) 양측의 시트면(SE, SE)이 X 방향을 따라서 거의 평면으로 되고, 오목부(SB)와 반대측인 저면부(SD)도 거의 평면으로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변형된 적층 시트(S)가 도 1에 도시하는 포장체(1) 또는 용기 내에 수납되면, 상향으로 대략 평면인 시트면(SE, SE)이 포장체(1) 또는 용기의 상면(취출면)과 거의 평행한 상태로 수납되고, 최상부의 시트(S1)의 절곡선(취출을 위한 가장자리부)(Sc)이 취출구(1a)로부터 취출 가능한 위치에 드러난다. 또한, 각 시트의 세로 방향(X 방향)의 양단부(ⅲ, ⅲ)는 거의 동일면에 정렬되고, 포장체(1)의 양측면과 거의 평행하게 된다. 또한, 적층 시트(S)의 저면부(SD)는 포장체(1)의 저면과 평행하다.
상기 적층 시트(S)에서는 절곡선(Sa)을 따른 세로 방향의 치수(W1)가 단축되어 치수(W3)로 되지만, 변형 전에는 치수(W1)가 치수(W2)보다도 크기 때문에, 수축 후의 세로 방향의 치수(W3)는 가로 방향(Y 방향)의 치수(W2)에 가까워지거나, 거의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수축 변형되어 포장체(1)에 수납된 적층 시트의 평면 형상은 거의 정방형이거나 정방형에 가깝게 된다. 따라서 포장체(1)에 수납된 상태에서, 포장체(1)의 평면 형상의 면적이 작아진다.
또한, 각 시트의 세로 방향의 양단부(ⅲ, ⅲ)가 측면을 따라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도 7에 도시한 U 자형으로 변형시킨 것에 비해서 Z 방향의 높이 치수도 작아진다. 즉, 도 3(b)에서의 변형 상태일 때의 높이 치수는 적층 시트(S)가 중첩된 부피에 상당하는 높이 치수(H0)에 저부측으로의 변형에 의한 돌출 치수(H1)가 더해진 것이지만, 상기 치수(H1)는 그다지 크지 않기 때문에, 전체적인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더욱이 각 시트의 세로 방향의 양단부(ⅲ, ⅲ)가 Z 방향으로 거의 평면인 채로 X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이기 때문에, X 방향의 양측단이 Z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 형상이고, 상하 양면이 함께 평면형으로 되어,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의 형상이 거의 직사각형이다. 따라서, U 자형으로 굽혔을 때와 같은 곡면부가 형성되지 않아, 포장체(1) 또는 용기 내에 수납하였을 때에, 시트와 포장체 또는 용기의 내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콤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적층 시트(S)의 수납체는, 평면 형상이 거의 정방형이고, 높이 치수도 그다지 크지 않아 콤팩트하며, 소형이고 배치할 때에 안정감이 있는 알맞은 크기로 된다.
적층 시트를 취출할 때, 우선 최상부 시트(S1)의 절곡선(Sc) 부분을 취출구(1a)로부터 집어서 인출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상부 시트(S1)의 시트면(SE, SE)이 오목부(SB)를 사이에 두고 서로 근접하고, 오목부(SB)의 개구단에서 양측의 시트면(SE, SE)이 거의 접하여 상면 전체가 거의 동일면으로 되기 때문에, 시트면(SE, SE)에 드러나 있는 절곡선(Sc)을 취출구(1a) 부분에서 쉽게 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출구가 타원형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취출구(1a)에서 드러나는 절곡선(Sc)의 부분이 많아 손으로 쥐기 쉽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시트는 절곡선(Sa)에서 절첩 부분에 다른 시트의 가장자리부(Sd)가 번갈아 끼워져 있기 때문에, 시트(S1)가 취출된 후에, 다음 시트(S2)의 가장자리부(Sd)가 시트(S1)에 이끌려서 취출구(1a)로부터 일부 돌출된다. 이것을 반복함으로써, 취출구(1a)로부터 1매씩 시트를 취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트를 취출구(1a)로부터 인출할 때에, 뒤에 이어지는 시트의 가장자리부(Sd)가 선행하는 시트의 절첩 부분에 끼워진 상태로 끌어 올려지지만, 이 때, 후속 시트는 오목부(SB)의 내부에서 X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어진 채 들어 올려지게 된다. 도 3(b)에 도시하는 형상에서는, 오목부(SB)가 얕아서, 시트가 취출구(1a)로부터 인출할 때까지의 거리가 그다지 길지 않아 저항이 작기 때문에, 취출이 용이하고, 1매의 시트를 취출구(1a)로부터 취출한 후에, 다음 시트의 선단부가 취출구로부터 확실히 돌출되게 된다.
또한, 다음 시트가 선행 시트에 의해 취출구(1a)로 끌려 갈 때에, 시트면(SE, SE)이 포장체(1)의 취출면 내측에 부딪치고, 이 취출면에 의해 시트가 압박 된다. 따라서, 다음 시트 및 다른 시트가 복수매 한꺼번에 취출구(1a)로부터 함께 취출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1매씩 확실히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하의 시트를 서로 얽히게 하는 절곡선(Sa)이 연장되는 방향이 X 방향이고, 오목부(SB)의 골부가 연장되는 방향이 상기 절곡선의 방향과 직교하는 Y 방향이기 때문에, 오목부(SB) 내에서 시트의 가장자리부(Sd)가 선행 시트에 의해 들어 올려질 때에, 시트 전체가 오목부(SB)의 곡면을 따라 미끄러져 나오는 현상이 생기기 어렵다. 이 때문에도, 시트를 1매씩 확실히 취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시트(S1, S2, …)는 번갈아 중첩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S1)는 화살표 ⓛ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인출되고, 시트(S2)는 시트(S1)와는 반대 측인 화살표 ②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인출된다. 도 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취출구(1a)가 시트의 절곡선(Sc)과 직교하는 가로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어 개방되어 있고, 취출구(1a)의 개구 길이 방향과, 상기 ① 방향 및 ② 방향이 같은 방향이다. 따라서, ① 방향 및 ② 방향을 따라 인출되는 시트가 취출구(1a)의 가장자리부에서 받는 미끄럼 저항이 작아져, 시트를 1매씩 취출하기 쉽다.
단지, 도 1에 도시한 것과 역으로, 취출구(1a)의 개구 길이 방향을 세로 방향(X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최상부 시트(S1)의 취출 가장자리부로 되는 절곡선(Sc)의 많은 부분이 취출구(1a)에 드러나기 때문에, 취출구(1a)에서 절곡선(Sc)을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취출구(1a)의 형상은 타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슬릿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라도 좋다.
도 4(a), 도 4(b), 도 4(c)는 상기 포장체(1)의 제조 공정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형의 포장재(F)는 가로 방향(Y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공급된다. 포장재(F)에는 미리 가로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원형의 절취선(P)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취선(P)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취출구(1a)로 된다.
적층 시트(S)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리 적층 시트(S)에 블레이드(B)와 압박판(G, G)을 맞닿게 하여, 도 4(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층 시트(S)의 중앙부를 상방으로부터 힘(FB)으로 압박하고, 양단부(ⅲ, ⅲ)에 세로 방향으로 힘(FA, FA)을 가하여, 적층 시트(S)를 도 3(b)에 도시하는 역 Ω형상으로 변형시킨다. 다른 가이드 기구를 이용하여 역 Ω형상으로 변형시킬 수도 있다. 이 변형이 완료한 직후에, 적층 시트(S)의 최상부 시트(S1)의 중앙이 포장재(F)의 절취선(P) 부분에 위치하도록, 포장재(F)를 적층 시트(S) 위에 공급하여 적층 시트(S)와 포장재(F)의 위치를 맞추지만, 이 때, 적층 시트(S)의 절곡선(Sa, Sb, Sc)이 연장되는 세로 방향(X 방향)과 직교하는 가로 방향(Y 방향)을 포장재(F)의 공급 방향과 일치시킨다.
선택적으로, 평탄한 상태의 적층 시트(S)에 포장재(F)를 합친 상태에서 포장재(F)로 포장하기 전에, 적층 시트(S)의 중앙부를 상방으로부터 힘(FB)으로 압박하고, 양단부에 세로 방향으로 힘(FA, FA)을 가하여 적층 시트(S)를 역 Ω형상으로 변형시켜도 좋다.
적층 시트(S)와 포장재(F)를 합친 뒤에, 상기 포장재(F)의 짧은 폭 방향의 양 가장자리부가 접합되도록 하여 포장재(F)로 적층 시트(S)를 포위한 다음, 포장재(F)의 상기 양 가장자리부를 합장(合掌) 상태로 맞추어 열 용착이나, 초음파 용착 등으로 용착하여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밀봉부(1c)를 형성한다. 이 때, 적층 시트(S)는 적층 시트(S)의 수축 방향인 세로 방향(X 방향)측으로부터 포장재(F)에 의해 포위되기 때문에, 포장 단계에서, 적층 시트(S)의 역 Ω형상을 유지한 채로 포장재(F)로 포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적층 시트(S)의 가로 방향(Y 방향)의 양단부에서 포장재(F)를 압착하고, 열 용착 또는 초음파 용착에 의해 용착하여 도 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밀봉부(1b)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2 밀봉부(1b)가 절단선(C-C)에서 분리되어, 적층 시트의 단일 수납체를 형성한다.
도 4(a), 도 4(b), 도 4(c)에서는 포장재(F)를 적층 시트(S) 위에 공급하여, 적층 시트의 하측에서 그 짧은 폭 방향의 양단부를 합쳐서 세로로 밀봉하였지만, 적층 시트의 상하를 역으로 하여 시트(S1)가 하측으로 향하도록 하고, 하측에서 힘(FB)을 가하여 Ω형상으로 변형시키는 경우에는, 포장재(F)를 적층 시트(S)의 하측으로 공급하여, 적층 시트(S)의 상측에 제1 밀봉부(1c)를 형성한다. 또한, 도 4(a), 도 4(b), 도 4(c)에서는 적층 시트를 수지 필름 등의 포장재(F)로 형성된 포장체에 수납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예컨대 종이나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용기 속에 수납하는 경우에는, 적층 시트를 변형시킨 후에 적층 시트의 양단부(ⅲ, ⅲ)를 용기의 측벽으로 둘러싸도록 하여, 가로 방향으로 상기 용기를 밀봉하는 등의 단계를 거침으로써, 변형된 적층 시트의 변형 상태를 유지한 채로 용기 내에 수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적층 시트의 변형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 적층 시트(S)는 변형 전에는 도 2 및 도 3(a)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도 5에서는 각 시트(S)의 세로 방향(X 방향)의 양단부(ⅲ,ⅲ)가 정렬되어 포장체(1)의 취출구측을 향하고 있다. 그리고, 오목부(SF, SF)는 2곳에 형성되어 있고, 그 중간에는 취출구측으로 돌출하는 산부가 형성되어 전체가 W형상으로 되어 있다. 오목부(SF)와 오목부(SF) 사이의 상기 산부의 정상면은 X 방향으로 평탄한 시트면(SG)이 되고, 이 시트면(SG)이 용기 또는 포장체의 취출면에 대면하고, 또한 시트면(SG)이 취출구에 드러난다.
이 적층 시트의 변형 상태에서도, 변형 전에 긴변측이던 X 방향의 치수를 W4와 같이 작게 할 수 있어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SF)를 2곳에 형성함으로써, 전체를 낮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시트면(SG)과, 적층 시트의 양단부(ⅲ)가 대략 동일면이고, 시트면(SG)과 반대측 면도 거의 평면으로 할 수 있어서, 도 5에 도시하는 단면 형상을 직사각형으로 할 수 있으므로, 용기나 포장체에 콤팩트하게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트(S1, S2, …)가 취출될 때, 후속하는 시트의 가장자리부(Sd)가 오목부와 직교한 채로, 오목부 내에 끼워진 채 들어 올려지기 때문에, 복수 매가 한꺼번에 취출되지 않고, 1매씩 확실히 취출될 수 있다. 또한, 산부(SG)의 표면이 취출구측 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취출구(1a)에서 시트를 쥐기 쉬워 시트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시트를 인출할 때에, 다음 시트의 산부(SG)가 취출구측 면에 닿기 때문에, 다음 시트가 한꺼번에 취출되지 않는다.
또한, 적층 시트의 변형 형상은 이상에서 설명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블레이드(B)가 닿는 위치를 바꾸거나, 압박판(G)에 의한 압박 방법을 바꿈으로써 다른 형상으로 쉽게 변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시트의 절곡선이 연장되는 세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오목부가 형성되고, 세로 방향의 양단부가 접근하도록 변형되어 있기 때문에, 변형 후의 평면 형상을 정방형 또는 이것에 가까운 형상으로 할 수 있어, 전체를 소형으로 하여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시트를 취출할 때에, 다음 시트가 상기 오목부 내에서 오목부의 양측에 끼워진 채 들어 올려지고, 오목부의 양측 시트면이 취출구가 형성된 면과 평행하기 때문에, 상기 다음 시트가 용기 또는 포장체의 취출구측의 면에 부딪쳐 취출구와 역 방향으로 압박되므로, 최상부의 시트를 취출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복수 매의 시트가 한꺼번에 들어 올려지지 않아, 1매씩 확실히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세로 방향의 양단부가 용기 또는 포장체의 측면을 따라 정렬되어 있으면,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높이 치수가 작고, 측면 형상도 직사각형에 가깝게 되어, 전체를 콤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변형 시트를 수납하는 수납체를 제조하는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적층 시트의 양단부가 접근하도록 가압하여 변형시킨 후에, 이 양단부측을 포장체 또는 용기로 포장하여 밀봉하면, 적층 시트의 변형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수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층 시트 수납체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각 시트의 적층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a)는 적층 시트 수납체의 변형 전의 측면도이며, 도 3(b)는 변형 후의 측면도.
도 4(a), 도 4(b), 도 4(c)는 도 1에 도시한 적층 시트 수납체의 제조 단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적층 시트 수납체의 측면도.
도 6(a)는 종래 기술의 적층 시트의 사시도이며, 도 6(b)는 종래 기술의 적층 시트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다른 종래예의 적층 시트의 변형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장체
1a : 취출구
1b : 제2 밀봉부
1c : 제l 밀봉부
F : 포장재
S : 적층 시트
S1, S2, S3 : 시트
Sa, Sb : 절곡선
Sc : 최상부 시트의 절곡선
Sd : 절첩(折疊) 부분 사이에 끼워지는 가장자리부
SB, SF : 오목부
SE, SG : 시트면
(iii) : 시트의 세로 방향 양단부

Claims (6)

  1. 취출구가 형성된 용기 또는 포장체의 내부에 복수 매의 시트가 적층되어 수납되고, 적층되어 있는 상기 각 시트 사이에서는, 한쪽 시트의 가장자리부가 이것에 적층되는 다른 쪽 시트의 절첩(折疊) 부분 사이에 끼워지도록 조합되어, 시트가 상기 취출구로부터 순차적으로 취출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적층 시트 수납체에 있어서,
    각 시트의 상기 절첩 부분의 절곡선(Sa)이 연장되는 방향을 세로 방향(X 방향)으로 하고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을 가로 방향(Y 방향)으로 하였을 때에,
    오목하게 변형된 오목부(SB 또는 SF)가 상기 가로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고, 시트의 세로 방향(X 방향)의 양단부(ⅲ)가 서로 접근하도록 상기 적층 시트는 변형되고, 상기 오목부의 개구(開口)는 상기 취출구를 향하게 되며,
    상기 취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용기 또는 포장체의 취출면으로 하였을 때에, 상기 오목부(SB 또는 SF)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시트면(SE 또는 SG)이 상기 취출면과 대면하고, 적층 시트의 최상부의 시트 가장자리부가 취출구로부터 취출 가능한 위치에 드러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트의 수납체.
  2. 제1항에 있어서, 오목하게 변형되기 전 상태의 상기 적층 시트의 평면 형상은 상기 세로 방향(X 방향)의 치수가 가로 방향(Y 방향)의 치수보다 긴 장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트 수납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가 상기 적층 시트의 중앙에 한 줄 형성되어 있고, 각 적층 시트의 상기 세로 방향(X 방향)의 양단부(iii)는 상기 취출면과 직교하는 용기 또는 포장체의 세로 방향(X 방향) 양단부 측면을 따라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트 수납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는 각 시트의 절첩 부분의 절곡선(Sa)과 직교하는 가로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게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트 수납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변형된 상기 적층 시트는 시트형의 포장재로 형성된 포장체 내에 포위되어 있고, 상기 포장체에는 포장재의 양 가장자리부끼리 접합된 제1 밀봉부(1c)가 상기 적층 시트의 상기 오목부(SB 또는 SF)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 1 밀봉부(1c)가 연장되는 방향의 양단부에서 포장재끼리 접합되어 상기 제 1 밀봉부(1c)와 직교하는 제 2 밀봉부(1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트 수납체.
  6. 한쪽 시트의 가장자리부를 이것에 적층되는 다른 쪽 시트의 절첩 부분 사이에 끼워지도록 조합시키고 복수 매의 시트를 중첩시켜 적층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적층 시트의 절첩 부분의 절곡선(Sa)이 연장되는 방향을 세로 방향(X 방향)으로 하고, 이 세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가로 방향(Y 방향)으로 하였을 때에, 상기 적층 시트의 가로 방향(Y 방향)을 띠형 포장재의 공급 방향에 일치시켜 적층 시트와 포장재를 합치는 단계와;
    적층 시트와 포장재를 합치기 전 또는 합친 후에, 적층 시트의 중앙부에 상기 가로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SB)를 형성하고, 각 시트의 세로 방향(X 방향)의 양단부(ⅲ)를 띠형 포장재의 공급면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면을 따라 정렬한 채로 이 양단부를 세로 방향(X 방향)으로 접근시키도록, 상기 적층 시트를 변형시키는 단계와;
    변형 후의 적층 시트의 세로 방향(X 방향)의 양단부(ⅲ)를 포장재로 포위하고, 상기 포장재의 짧은 폭 방향의 양 가장자리부를 접합하여 제 1 밀봉부(1c)를 형성하는 단계와;
    적층 시트의 가로 방향(Y 방향)의 단부에서 포장재를 접합하여 상기 제1 밀봉부(1c)와 직교하는 제 2 밀봉부(1b)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 2 밀봉부(1b)에서 각 적층 시트 단위로 포장재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트 수납체의 제조 방법.
KR1019980004288A 1997-02-13 1998-02-13 적층시트의수납체및그제조방법 KR100530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2906697A JP3526161B2 (ja) 1997-02-13 1997-02-13 積層シートの収納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97-29066 1997-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326A KR19980071326A (ko) 1998-10-26
KR100530481B1 true KR100530481B1 (ko) 2006-10-25

Family

ID=12265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4288A KR100530481B1 (ko) 1997-02-13 1998-02-13 적층시트의수납체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918735A (ko)
EP (1) EP0858958B1 (ko)
JP (1) JP3526161B2 (ko)
KR (1) KR100530481B1 (ko)
CN (1) CN1093827C (ko)
ID (1) ID19878A (ko)
MY (1) MY118210A (ko)
TW (1) TW3947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4214B1 (ko) * 1998-11-18 2001-10-26 윤종용 다국통신환경을지원하는범용팩시밀리및그제어방법
EP1153848A1 (fr) * 2000-05-11 2001-11-14 Georgia-Pacific France Paquet de produits en papier absorbant
DK1153847T3 (da) 2000-05-11 2004-07-19 Georgia Pacific France Lommetörklædepakke
EP1176096B1 (de) * 2000-07-28 2005-08-31 WindmÀ¶ller & Hölscher Verfahren zum Verschliessen eines befüllten, mit Seitenfalten versehenen Sackes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NL1017652C2 (nl) * 2001-03-20 2002-09-23 Ocu Technologies B V Werkwijze voor het verpakken van een verzameling beeldontvangstmateriaal en een verzameling beeldontvangstmateriaal omsloten door een houder.
KR20040016749A (ko) * 2002-08-19 2004-02-25 최인숙 휴대용 티슈(Tissues) 포장박스(Box) 제조방법
US20040250712A1 (en) * 2002-12-31 2004-12-16 Tippey Darold D. Process of packaging a compressible article
JP4460935B2 (ja) * 2004-04-02 2010-05-12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平面表示装置等の電子・電気製品の製造方法、及びこのための帯状収納体
US8584896B2 (en) 2004-09-30 2013-11-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olded clip and dispenser
US20070015847A1 (en) * 2005-07-15 2007-01-18 Applied Materials, Inc. Red printing ink for color filter applications
US20070062967A1 (en) * 2005-09-13 2007-03-22 Uri Zaidman System, container, pack and method for packing and dispensing wipes
US7530471B2 (en) 2006-12-14 2009-05-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enser having dual dispensing modes
US20090289077A1 (en) * 2008-05-22 2009-11-26 Scott Melin Wipes Canister
US20090289078A1 (en) * 2008-05-22 2009-11-26 Scott Melin Wipes Dispenser With Improved Dispenser Opening
PL224696B1 (pl) * 2009-03-02 2017-01-31 Imka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Sposób składania chusteczek
JP5679697B2 (ja) * 2010-05-17 2015-03-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収容体
ES2569858T3 (es) * 2011-04-05 2016-05-12 Sca Hygiene Products Ab Dispensador, pieza en bruto, método
MY163391A (en) * 2011-05-18 2017-09-15 Procter & Gamble Kit for assessing the fragrance intensity of a fabric care product
US9399540B2 (en) 2012-06-29 2016-07-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oring and dispensing container for product having improved dispensing orifice
US20150023614A1 (en) * 2013-07-18 2015-01-22 Poly-America, L.P. Flexible Pouches for Goods on a Roll
MX2017013145A (es) 2015-04-30 2018-02-21 Kimberly Clark Co Metodo de dispensado de una pluralidad de toallitas interconectadas.
GB201520470D0 (en) * 2015-11-20 2016-01-06 Nice Pak Internat Ltd Stack of interleaved wipes
JP6962890B2 (ja) * 2018-09-28 2021-11-05 大王製紙株式会社 ウェットシート積層体、ウェットシート包装体及びウェットシート積層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9700A (en) * 1966-06-09 1968-02-20 Kimberly Clark Co Sheet material dispensing package
GB1449265A (en) * 1973-11-19 1976-09-15 Int Playtex Inc Bulk package for individual dispensing of substantially wet sheets from stacks load handling mechanism for a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DE8500687U1 (de) * 1985-01-14 1986-05-15 Henkel KGaA, 4000 Düsseldorf Wirkstofftuch
US4776714A (en) * 1986-07-15 1988-10-11 Monarch Marking Systems, Inc. Ink ribbon cassette with movable guide rolls
IT90067217A1 (it) * 1990-03-23 1991-09-23 Faricerca Spa Confezione per prodotti igienico-sanitari, quali pannolini mutandina monouso e simili.
JPH0645381A (ja) * 1992-07-24 1994-02-18 Nec Kansai Ltd モールド成形品及びその金型
JP3180114B2 (ja) * 1995-03-17 2001-06-25 中村 憲司 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58958A2 (en) 1998-08-19
US5918735A (en) 1999-07-06
CN1093827C (zh) 2002-11-06
EP0858958A3 (en) 1998-09-16
KR19980071326A (ko) 1998-10-26
CN1190633A (zh) 1998-08-19
JP3526161B2 (ja) 2004-05-10
JPH10218259A (ja) 1998-08-18
EP0858958B1 (en) 2000-12-27
TW394744B (en) 2000-06-21
ID19878A (id) 1998-08-13
MY118210A (en) 200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0481B1 (ko) 적층시트의수납체및그제조방법
US5348147A (en) Carton for bulk pack cut single paper
CN109715520B (zh) 薄膜包装纸巾、薄膜包装纸巾的制造方法、薄膜包装纸巾集合包装体及薄膜包装纸巾集合包装体的制造方法
JPH08318977A (ja) 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23969B1 (ko) 포장체및포장체의제조방법
JP7189069B2 (ja) 蓋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包装箱
JP3009515U (ja) 衛生用紙
US20240190635A1 (en) Packaging container-filler member, packaging container, contents-filled packaging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ntents-filled packaging container
CN101229858A (zh) 可再封闭的包装袋及制造这种包装袋的方法
JP7524461B2 (ja) 組立式紙容器、組立式紙容器の製造方法、及び組立式紙容器の製造装置
JP3235381U (ja) 箱用シート
JP7327156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用紙容器及びその使用方法
CN101161555B (zh) 收纳体
JP3008639U (ja) フィルム状袋収納パック及び段ボール製フィルム状袋収納パック
JP4202442B2 (ja) 内容物固定機能付き紙箱用ブランク及びそれを用いた紙箱
CN118055885A (zh) 组装式纸容器、组装式纸容器的制造方法以及组装式纸容器的制造装置
JP2868482B2 (ja) 組立式包装箱
JP4238387B2 (ja) 包装装置
JP3202910U (ja) 木質折り畳み式平面状食品包装容器。
CN118055886A (zh) 组装式纸容器、组装式纸容器的制造方法以及组装式纸容器的制造装置
JPS5852195Y2 (ja) 包装用袋
JP3761354B2 (ja) 板状体包装袋
JP2002166971A (ja) 商品の梱包構造および梱包方法
JPH01240440A (ja) 包装箱
JP2003261131A (ja) 包装用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