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969B1 - 포장체및포장체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포장체및포장체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3969B1
KR100523969B1 KR1019970065165A KR19970065165A KR100523969B1 KR 100523969 B1 KR100523969 B1 KR 100523969B1 KR 1019970065165 A KR1019970065165 A KR 1019970065165A KR 19970065165 A KR19970065165 A KR 19970065165A KR 100523969 B1 KR100523969 B1 KR 100523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material
opening
package
piece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5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678A (ko
Inventor
반도다케시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63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 B65D75/5838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combined with separate fixed tearing means, e.g. t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젖은 휴지 등을 내용물로 하는 포장체에서 내용물을 꺼내는 개구부가 덮개재에 의해 밀봉되어 있지만, 덮개재는 재료비가 높고, 또한 덮개재를 포장재에 위치 결정하여 부착하는 번잡한 작업이 필요했던 것에 관한다.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포장재(Fa)와 포장재(Fb)를 폭치수 A 부분에서 점착층(6)에 의해 접착하고, 이 접착부의 내측 포장재(Fb)에 개구부(8)를 형성하고, 외측 포장재(Fa)에 칼집(C)으로 분리할 수 있는 개봉편(9)을 형성하는 것이다. 개봉편(9)은 포장재(Fa)와 일체형이기 때문에, 별도의 덮개재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재료비를 싸게할 수 있다. 또한 2장의 포장재(Fa,Fb)가 접착된 포장재를 이용하여 통상의 포장 공정으로 포장체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다.

Description

포장체 및 포장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젖은 휴지 또는 마른 휴지 등과 같이 내용물을 자유롭게 꺼낼 수 있도록 수납하는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에 설치된 개봉용 덮개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내용물을 꺼내기 위한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포장체 및 이 포장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6(A) (B)는 시이트형 섬유 소재에 약제 등을 함침시킨 젖은 휴지를 수납하는 종래의 포장체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A)는 덮개재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덮개재가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포장체(1)를 구성하고 있는 포장재는 예컨대 표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알루미늄 호일, 밀봉제 층이 적층된 라미네이트 재료이고, 도 6에 도시하는 포장체(1)의 저면측에서 세로 밀봉되어 있는 동시에, 전후 양단 부분에 가로 밀봉부(1b,1b)가 형성되고, 거의 입방체 형상의 연질 밀봉체가 구성되며, 이 밀봉체 내부에 젖은 휴지(3)가 겹쳐져 수납되어 있다.
포장체(1)의 상면에는 타원형상의 개구부(1a)가 형성되도록 포장재에 새김눈 등이 형성되고, 그 위에 점착층을 갖는 덮개재(2)가 점착 접합되어 있다. 이 덮개재(2)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등의 기재층의 양면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나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의 표면층이 적층되고, 또 인쇄층과 상부 코팅층이 설치된 비교적 강성이 높은 시이트재에 의해 형성되며, 그 포장체에 면하는 부분에는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 덮개재(2)가 벗겨지면 상기 새김눈 부분에서 포장재가 절단되어 상기 개구부(1a)가 형성된다.
한번 개봉하여 개구부(1a)로부터 젖은 휴지(3)를 꺼낸 후에, 개구부(1a)가 다시 덮개재(2)로 덮여지면 덮개재(2)의 점착층이 개구부(1a)의 주변에서 포장체에 점착되어 개구부(1a)가 폐쇄된다. 미사용시에 덮개재(2)로 개구부(1a)를 밀봉함으로써, 포장체(1)내의 젖은 휴지(3)의 건조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포장체(1)에서는 덮개재(2)의 절결(2c,2c)보다도 기부측 부분이 고정단(2a)이 되어, 상기 절결(2c 및 2c)에 끼워진 부분이 힌지부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재(2)의 이면 전역에 점착층이 형성되어 포장체(1)의 표면에 점착 접합되어 있다. 이 포장체(1)에서는 덮개재(2) 선단 손잡이부(2b)를 손으로 잡고 덮개재(2)를 떼어내어 절결(2C,2c)로 끼워진 힌지부 부분까지 벗기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재(2)는 고정단(2a)이 포장체(1)의 표면에 고정된 상태로 개구부(1a)가 개방되게 된다.
개구부(1a)로부터 젖은 휴지(3)를 꺼낸 후에는 덮개재(2)를 그대로 포장체(1)의 상면에 쓰러뜨려, 덮개재(2)를 개구부(1a) 주위에 점착시킨다. 이와 같이 덮개재(2)를 다시 점착할 때에는 덮개재(2)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진 상태로 포장체(1)의 표면에 점착되기 때문에 덮개재(2)와 개구부(1a)를 위치 맞춤할 필요가 없어지며, 항상 덮개재(2)가 포장체(1)의 결정된 위치에 점착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포장체(1)의 포장재와는 별개의 시이트재로 뚜껑재(2)가 형성되어 있으면, 포장체(1)를 형성하기 전의 시점에서 포장재에 덮개재(2)를 점착 접합시키기 위한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이 공정에서는 덮개재(2)를 1장씩 공급하는 공정, 또한 포장재의 개구부(1a)가 되는 부분에 덮개재(2)를 1장씩 위치 맞춤하여 점착 접합시키는 공정이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공정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작업 설비는 복잡하게 된다.
또한, 종래 사용되고 있던 덮개재(2)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기재층의 양면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나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의 표면층이 적층되고, 또 인쇄층과 상부 피복층이 설치된 비교적 비싼 시이트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재(2)를 설치하는만큼 재료비가 비싸지고 있다.
또한, 이 포장체(1)에서는, 도 6(A)의 상태에서 덮개재(2)의 손잡이부(2b)를 잡고 포장체(1)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떼어냈을 때에, 그 벗겨짐이 절결(2c,2c) 부분에서 반드시 멈춘다고는 할 수 없고, 기세 좋게 덮개재(2)를 잡아 당길 때등 고정단(2a)이 포장체(1)의 표면으로부터 벗겨져 버리는 경우가 있으며, 또는 절결(2c,2c)로 둘러싸인 힌지부에서 덮개재(2)가 절단되는 경우가 있다. 덮개재(2)가 포장체(1)로부터 분리되어 버리면, 덮개재(2)를 개구부(1a)에 위치 맞춤하여 다시 접합할 필요가 있고, 사용상 불편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덮개재를 포장재와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고, 재료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덮개재를 포장재에 위치 맞춤하여 접합하는 공정을 불필요하게 하여 제조 공정을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한 포장체 및 이 포장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봉편이 포장재로부터 분리하기 어려운 구조로서, 사용중에 개봉편을 위치 맞춤하여 접합할 필요가 없는 포장체 및 이 포장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발명은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장자리를 갖는 내측 포장재(Fb)의 상면에 외측 포장재(Fa)의 하면이 중첩되고, 상기 상면(f1)과 상기 하면(f3)이 점착 접합된 접착부를 갖는 통형체가 형성되고, 상기 통형체 내에 내용물(3)이 수납되며 상기 통형체의 양단부가 접합되어 세로 밀봉부(S1)를 형성하는 포장체(H)에 있어서, 상기 내측 포장재(Fb)에는 상기 가장자리에서 떨어진 위치에 내용물(3)을 꺼내는 개구부(8)가 형성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접착부의 외측 포장재에는 상기 개구부(8)를 덮거나 또는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봉편(9)이 형성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포장재(Fb)와 상기 외측 포장재(Fa)가 상기 개구부(8)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내측 포장재(Fb)의 상기 가장자리를 따라 단폭 밀봉부(Sa)에서, 용착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의 외측 포장재에 상기 개봉편이 되는 부분을 다른 부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칼집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개봉편을 다른 부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떼어내는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의 외측 포장재에 개봉편이 되는 부분을 미리 볼록형으로 형성해 두어도 좋다.
또한, 접착부의 내측 포장재의 가장자리가 접착부의 외측 포장재와 용착 접합되어 단폭 밀봉부가 형성되어있고, 접착부의 외측 포장재에 형성된 상기 개봉편이 상기 용착 접합된 부분까지 개방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용착 접합부는 도 4에 부호 Sa로 표시되어 있는 부분으로 외측 포장재가 내측 포장재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끼우도록) 부분적으로 접히고, 내측 포장재의 가장자리의 내면, 이것에 대향하는 외측 포장재의 상기 접은 부분의 내면이 열용착 등에 의해 용착 접합되어 있는 부분이다. 이 구조로 함으로써, 개봉편을 접착부의 경계부, 즉 상기 내측 포장재의 가장자리와 외측 포장재와의 용착 접합부까지 떼어냈을 때에, 내측 포장재의 가장자리와 외측의 포장재가 벗겨져, 양 포장재 사이에 극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착부의 내측 포장재에는 소정 면적을 둘러싸는 분리선이 형성되어 이 분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외측 포장재에 점착 접합되어 있고, 상기 개봉편이 벗겨질 때에 상기 분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내측 포장재로부터 분리되어 이 분리한 부분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이 구조에서는, 한번 벗긴 개봉편으로 다시 개구부를 덮을 때에, 개봉편에 점착되어 내측 포장재로부터 분리된 포장재의 일부가 개구부를 덮게 되고, 점착층이 개구부로부터 내용물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내측 포장재에 미리 내용물을 꺼내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해 두고, 외측 포장재의 내면에서는 상기 개구부에 대면하는 부분에 점착층을 형성하지 않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면의 예에서는 개구부가 타원형상으로 개구하고 있지만, 이 개구부가 내측 포장재에 직선형으로 깊이 베어진 슬릿형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체 제조 방법은 내용물을 꺼내는 개구부가 되는 부분을 갖는 내측 포장재에 개봉편이 되는 부분을 갖는 외측 포장재를 겹쳐 양 포장재를 점착 접합하여 접착부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접착부가 형성되어 연결된 포장재로 내용물을 수납한 후 또는 수납하기 전에 상기 내측 포장재와 외측 포장재의 상기 접착부와 반대측 가장자리끼리를 용착 접합하여 세로 밀봉부를 형성하여 통형체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통형체를 내용물의 양에 맞는 길이로 구분하여 상기 세로 밀봉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포장재끼리를 융착 접합하여 가로 밀봉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통형체를 형성하기 전 또는 후, 접착부에서의 내측 포장재의 가장자리와 외측 포장재를 상기 개구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용착 접합하여 단폭 밀봉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포장체에 수납되는 내용물은 젖은 휴지 또는 마른 휴지 등이다.
이 포장체에서는 종래와 같이 개구부를 막는 덮개재를 별개로 설치하지 않고, 개구부를 막는 개봉편을 포장재의 일부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포장재를 덮개재와 별개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포장체를 형성하는 재료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포장재에 덮개재를 위치 맞춤하여 접합하는 작업 공정이 불필요해진다.
상기 개봉편은 포장재 접착부의 외측 포장재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접착부에서는 개봉편의 앞부분과 내측 포장재와의 사이에 점착층을 부분적으로 설치하지 않도록 하고, 이 개봉편의 앞부분을 손잡이 대용물 또는 손잡이부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접착부의 외측 포장재에 개봉편을 분리하기 위한 칼집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이 칼집부는 외측 포장재의 가장자리에만 설치하여 이 가장자리의 칼집을 시작으로 하여 외측의 포장재로부터 개봉편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고, 또는 개봉편이 되는 부분을 분리하기 위한 상기 칼집선을 접착부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속선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새김눈이 절취선을 형성하도록 간헐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제조 공정에서는 긴형의 2장의 포장재가 사용되며, 한쪽 포장재에 개구부를 분리하는 새김눈이나 절취선 등의 분리선을 형성하거나, 또는 개구부를 형성해 두고, 다른쪽 포장재에 개봉편을 분리하기 위한 상기 칼집을 형성해 둔다. 다음에, 양 포장재를 상기 개구부가 되는 부분에 개봉편이 되는 부분이 겹치도록 맞추어 양 포장재의 한쪽(바람직하게는 외측 포장재)에 점착층을 형성해 두고, 양 포장재를 접합시킨다.
이 접합된 포장재로 내용물을 포장하여 세로 밀봉하여 통형체로 한다. 또는 세로 밀봉한 통형체에 내용물을 수납한다. 그리고, 내용물의 양에 따라서 상기 형체를 구분하여 가로 밀봉하는 동시에 각각의 포장체로 분리한다.
이 포장체의 제조 방법에서는 접착부에 접합된 포장재의 접합체를 이용하고, 그대로 종래의 포장 공정으로 이행시켜 세로 밀봉부와 가로 밀봉부를 형성함으로써 포장을 완료할 수 있으며, 포장 공정이 간단하다. 특히, 종래와 같이 덮개재의 위치 맞춤 및 접합의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공정이 간단해진다.
또, 상기에서 설명한 포장체 및 포장체의 제조 방법에서는, 접착부에서 접합된 포장재의, 상기 접착부와 반대측 가장자리를 용착 접합하고 세로 밀봉부를 형성하여 통형체를 형성하고 있다. 단, 본 발명에서는 1장의 포장재를 통형으로 형성하여 포장재의 가장자리끼리를 소정 폭으로써 점착층을 매개로 접착하고, 이 접착부의 내측 포장재에 개구부를, 외측 포장재에 개봉편을 형성하며, 또 가로 밀봉부만을 형성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장체의 일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포장체(H)를 구성하는 포장재(Fa)의 일부분인 개봉편(9)이 개구부(8)를 덮고 있는 상태, (B)는 상기 개봉편(9)이 열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B)는 포장체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포장재의 접착부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1(A)에 도시된 포장체의 단면도, 도 5는 포장재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포장체(H)의 포장재(F)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재(Fa)와 포장재(Fb)가 2장 접착된 것으로 되어 있다. 각 포장재(Fa 및 F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으로부터 외층이 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층(fl), 코어층이 되는 알루미늄 호일(f2), 및 내층이 되는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등의 소위 밀봉제라고 불리는 열 밀봉층(f3)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각 층이 건식 적층 등에 의해 적층 접착된 적층 필름(적층 시이트)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는, PET에 알루미늄,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층이 증착된 볼륨 PET에 열 밀봉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 열 밀봉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OPP와 폴리에틸렌(PE)의 2층을 접착한 것을 열 밀봉층(f3)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알루미늄 호일(f2)은 물이나 산소를 투과하지 않고, 기밀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포장체중에 화장 재료 또는 약제가 함침된 젖은 휴지(3) 등이 넣어졌을 때, 이들의 건조를 막을 수 있다. 알루미늄 호일(f2)의 표면에는 상품의 마크나 취급 설명의 문자등이 인쇄되어 있고, PET층(fl)은 이 인쇄를 보호하는 보호층으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재(Fa)와 포장재(Fb)는 폭치수 A 부분에서 서로 겹쳐지며, 이 폭치수 A 부분이 접착부로 되어 있다. 또한 상측에 겹쳐지는 포장재(Fa)의 이면(내면) 즉 상기 열 밀봉층(f3)의 면에 폭치수 B에 걸쳐서 점착층(6)이 형성되고, 또, 포장재(Fa)의 가장자리에는 A-B의 치수분만큼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7)이 포함되어 있다. 폭치수 A의 접착부에서는 포장재(Fb)의 상기 외층이 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층(f1)과, 포장재(Fa)의 내층인 열 밀봉층(f3)이 대면하여 점착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포장재(Fa)와 포장재(Fb)가 접착된 포장재(F)에 의해, 여러장의 젖은 휴지(3)가 접히거나 또는 적층된 내용물이 둘러싸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재(Fa 및 Fb)의 상기 접착부와 반대측 가장자리(4a)와 가장자리(5a)가, 내층인 열 밀봉층(f3)을 대면시킨 상태로 맞춰져 압압되거나 또는 열용착 접합되어 세로 밀봉부(Sl)나 형성된다. 포장체(H)에서는 상기 접착부가 상면이 되어 세로 밀봉부(Sl)가 저면측으로 향해진다.
세로 밀봉부(Sl)가 형성되어 통형체가 된 포장재(F)는 내용물의 양에 따라서 통형체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즉 포장재(Fa)의 양단부(4b,4b)와 포장재(Fb)의 양단부(5b,5b)가, 열 밀봉층(f3)끼리가 대면한 상태로 억압되거나 또는 열용착 접합되어 가로 밀봉부(S2)가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체(H)의 단면 형상은 거의 직사각형(장방형)이 되지만, 이 직사각형의 각부에서는 포장재(F)가 단치수 w만큼 접히고, 또한 열용착 접합되어 단폭 밀봉부(Sa,Sb,Sc,S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폭 밀봉부(Sb 및 Sd)에서는 포장재(Fb)의 내층인 열 밀봉층(f3)끼리가 대면하고 있기 때문에, 단치수 w의 부분에서 포장재(Fb)끼리를 가압하여 가열함으로써 열용착 접합할 수 있다. 동일하게, 단폭 밀봉부(Sc)에서도 포장재(Fa)의 열 밀봉층(f3)끼리가 대면하고 있기 때문에, 단치수 W의 부분에서 포장재(Fa)끼리를 가압하여 가열함으로써 열용착 접합할 수 있다.
그러나, 단폭 밀봉부(Sa)에서는 접착부에서의 내측 포장재(Fb)의 가장자리(5c)를 둘러싸도록(끼우도록) 외측 포장재(Fa)가 접혀 있으므로, 포장재(Fb)의 가장자리(5c)의 열 밀봉층(f3)과 이것에 대면하는 포장재(Fa)의 단폭부(4c)의 열 밀봉층(f3)이 열용착 밀봉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장자리(5c)의 하면측이 열용착 밀봉부(i)가 된다. 그러나, 포장재(Fb)의 가장자리(5C)의 상면과 포장재(Fa)와의 대면부(ii)는 열용착되지 않고, 이 부분은 상기 점착층(6)에 의해 점착 접합된 것이 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폭치수(A)의 접착부에 있어서, 그 내측의 포장재(Fb)에는 젖은 휴지(3)등의 내용물을 꺼내기 위한 개구부(8)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재(Fb)에는 소정 면적을 둘러싸는 분리선(P)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분리선(P)은 새김눈이나 선형의 칼집이 일정 피치로 형성되거나 또는 구멍이 일정 피치로 형성된 절취선으로, 이 분리선(P)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분리편(5d)이 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분리편(5d)이 분리선(P) 부분으로부터 분리되면 포장재(Fb)에 개구부(8)가 열린다.
또한 상기 접착부에서는 그 외측의 포장재(Fa)에 상기 개구부(8)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겹쳐지는 개봉편(9)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개봉편(9)은 그 양측에 형성된 칼집(C)에 의해, 포장재(Fa)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는 칼집(C)이 새김눈 또는 절취선이 되어 있지만, 이 칼집(C)은 연속선이어도 좋다. 또는 포장재(Fa)의 가장자리에 짧은 칼집 또는 짧은 새김눈이 형성되어 개봉편(9)을 화살표 α방향으로 당겼을 때 짧은 칼집을 시작으로 하여 포장재(Fa)에 절단선이 연장되어 가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와 같이, 접착부에서는 포장재(Fa)의 내면에 점착층(6)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봉편(9)은 포장재(Fb)의 개구부(8)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 점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접착부에서는 포장재(Fa)의 가장자리측에 일정한 폭의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7)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개봉편(9)의 상기 부분(7)에 상당하는 지점은 포장재(Fb)에 점착되어 있지 않고, 이 부분(7)이 개봉편(9)의 손잡이부(9a)가 된다.
다음에 상기 포장체(H)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ET층(fl), 알루미늄 호일(f2), 열 밀봉층(f3)이 적층된 세로 방향으로 긴 2장의 포장재(Fa)와 포장재(Fb)가 사용된다. 접착부의 내측이 되는 포장재(Fb)에, 미리 분리편(5d)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선(P)을 형성해 두고, 접착부의 외측이 되는 포장재(Fa)에 개봉편(9)을 분리하기 위한 칼집(C)을 형성해 둔다.
포장재(Fa)의 내면(열 밀봉층(f3) 면)에 폭치수(B)의 영역에서 점착층(6)을 형성한다. 이 점착층(6)은 포장재(Fa)의 내면에 점착제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포장재(Fa 및 Fb)는 폭치수(A) 부분에서 겹쳐지고, 상기 점착층(6)에 의해 서로 점착 접합된다. 이 때, 포장재(Fa)의 칼집(C)으로 둘러싸인 개봉편(9)이 되는 부분이 분리편(5d)과 겹치도록 양 포장재(Fa 및 Fb)를 위치 맞춤하여 점착 접합된다.
또한, 포장재(Fa)와 포장재(Fb)가 접착된 포장재(F)에 대하여 도 4에 도시하는 단폭 밀봉부(Sa,Sb,Sc,Sd)를 형성한다. 이 공정은 포장재(F)를 부분적으로 접어 열용착함으로써 행해진다.
다음에, 상기 포장재(F)에서 젖은 휴지(3) 등의 내용물을 포장하고, 포장재(Fa)의 가장자리(4a)와 포장재(Fb)의 가장자리(5a)를 맞추어 열용착 접합하여 세로 밀봉부(Sl)를 형성하고, 포장재(F)를 통형체로 한다. 또한 내용물의 양에 맞추어 세로 밀봉부(Sl)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포장재(F)가 가압, 열용착되어 가로 밀봉부(S2)가 형성된다. 그리고 가로 밀봉부(S2)로써 포장재(F)를 절단하여 각 포장체마다 분리한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포장체(H)에서는 개봉편(9)이 포장체(H)를 구성하는 포장재(Fa)의 일부분이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덮개재를 포장재(F)와 별도로 준비하는 것에 비하여 재료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포장재(Fa 및 Fb)를 접착시킨 포장재(F)를 이용하고, 종래의 포장 설비를 이용하여 그대로 내용물을 포장할 수 있기 때문에 포장 공정도 용이하다.
최초에 이 포장체(H)를 사용할 때에, 개봉편(9) 앞부분의 점착층(6)을 갖고 있지 않은 손잡이부(9a)를 손가락으로 화살표 α 방향으로 떼어내면, 칼집(C)의 부분에서 포장재(Fa)가 절단되고, 개봉편(9)이 포장재(Fa)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분리된다. 이 때 포장재(Fb)측의 분리편(5d)은 개봉편(9)에 점착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편(5d)은 개봉편(9)의 이면에 점착된 상태로 포장재(Fb)로부터 분리되며, 그 결과, 포장재(Fb)에 개구부(8)가 형성된다.
젖은 휴지(3)등의 내용물은 상기 개구부(8)로부터 순차로 꺼내어진다. 꺼내는 것을 완료한 후, 개봉편(9)을 포장재(Fb)측으로 쓰러 뜨리면 상기 점착층(6)에 의해 개봉편(9)은 포장재(Fb)에 점착되고, 포장체(H)가 밀봉되어 내용물의 건조가 방지된다. 또한 개봉편(9)에 의해 개구부(8)를 다시 막을 때, 개봉편(9)에 점착되어 있는 분리편(5d)이 개구부(8)에 위치하기 때문에, 개구부(8)는 이 분리편(5d)에 덮여지게 되고, 젖은 휴지(3)등의 내용물이 개봉편(9)의 점착층(6)에 점착하는 일이 없다.
이 포장체(H)에서는 개봉편(9)을 반복하여 벗길 수 있다. 또한 개봉편(9)은 도 4에 도시하는 단폭 밀봉부(Sa) 위치까지 잡아 당겨 벗길 수 있다. 단, 개봉편(9)은 포장재(Fa)의 일부이기 때문에, 도 6에 도시한 종래예의 덮개재(2)와 다르며, 개봉편(9)이 포장체(H)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 단폭 밀봉부(Sa)에서는 포장재(Fb)의 가장자리(5c)와, 포장재(Fa)의 단폭부(4c)가 열용착 밀봉부(i)로 열용착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개봉편(9)을 열림 방향으로 길게 떼어냈을 경우에는, 그 떼어내기는 상기 열용착 밀봉부(i)에서 확실히 멈추어진다. 또한 열용착 밀봉부(i)에서, 양 포장재(Fa 및 Fb)가 용착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개봉편(9)을 크게 떼어냈을 때에, 개봉편(9)의 기단 부분에서 포장재에 극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장체(H)를 구성하는 포장재(Fb)의 개구부(8) 주변에, PET 필름 등의 강성이 높은 보강재를 접착하여 개구부(8) 주변에 있어서 포장재(Fb)를 부분적으로 두껍게 해 두면, 개구부(8)의 주변에서 포장재(Fb)에 주름이나 굴곡이 생기기 어렵게 되고, 개봉편(9)을 개구부(8) 주변에 확실히 점착시킬 수 있으며, 개구부(8)의 밀폐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A) (B)에 나타낸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A)에 도시하는 것에서는 개봉편(9) 양측의 칼집부(C)에서 다시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짧은 칼집(C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포장체(H)에서는 개봉편(9)을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떼어낸 후에, 상기 칼집(Ca) 부분으로부터 개봉편(9)을 절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포장체(H)를 용기내로의 보충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개봉편(9)을 절단하여 제거한 상태로 용기내에 넣을 수 있다. 또한, 포장체(H)를 용기에 넣지 않고서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칼집(Ca) 부분에서 개봉편(9)을 절단하지 않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봉편(9)의 떼어내기를 반복하여 행하는 사용 방법이 가능하다.
다음에 도 2(B)에 도시한 것은 접착부의 외측 포장재(Fa)에 상기 칼집(C)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포장재(Fa)가 미리 볼록형으로 절단되어 이 볼록형 부분이 개봉편(9)으로 되어 있다. 도 2(B)에서는 상기 칼집(C)에 의해 개봉편(9)을 분리할 필요는 없으며, 손잡이부(9a)로부터 개봉편(9)을 그대로 벗기면 개구부(8)를 노출시킬 수 있다.
도 2(B)에 도시하는 것에서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봉편(9)이 절단된 후의 포장재(Fa)의 분리된 가장자리(iii)가 벗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되고, 사용시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덮개재의 일부에 의해 개구부를 막는 개봉편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개구부를 막는 덮개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재료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조 공정에 있어서, 덮개재를 포장재에 위치 결정하여 접합하는 번잡한 작업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개봉편을 잡아 당겼을 때에 개봉편이 포장체로부터 떨어지는 일이 없고 사용상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 포장체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포장재의 일부분인 개봉편에 의해 개구부가 덮여져 있는 상태, (B)는 개봉편이 열려, 개구부가 노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 (B)는 본 발명 포장체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2장의 포장재 접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포장체의 단면도.
도 5는 포장재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포장체의 사시도로서, (A)는 덮개재에 의해 개구부가 덮여져 있는 상태, (B)는 덮개재가 열려 개구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H : 포장체
F : 포장재
Fa : 외측 포장재
Fb : 내측 포장재
A : 접착부의 폭치수
C : 칼집
P : 분리선
Sl : 세로 밀봉부
S2 : 가로 밀봉부
Sa, Sb, Sc, Sd : 단폭 밀봉부
3 : 젖은 휴지
5d : 분리편
8 : 개구부
9 : 개봉편

Claims (8)

  1.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장자리를 갖는 내측 포장재(Fb)의 상면에 외측 포장재(Fa)의 하면이 중첩되고, 상기 상면(f1)과 상기 하면(f3)이 점착 접합된 접착부를 갖는 통형체가 형성되고, 상기 통형체 내에 내용물(3)이 수납되며 상기 통형체의 양단부가 접합되어 세로 밀봉부(S1)를 형성하는 포장체(H)에 있어서, 상기 내측 포장재(Fb)에는 상기 가장자리에서 떨어진 위치에 내용물(3)을 꺼내는 개구부(8)가 형성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접착부의 외측 포장재에는 상기 개구부(8)를 덮거나 또는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봉편(9)이 형성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포장재(Fb)와 상기 외측 포장재(Fa)가 상기 개구부(8)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내측 포장재(Fb)의 상기 가장자리를 따라 단폭 밀봉부(Sa)에서, 용착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세로 밀봉부(S1)는 포장재들(Fa, Fb) 끼리 대면 접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포장체(H)는 그 단면 모양이 거의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모서리부에 상기 단폭 밀봉부(S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폭 밀봉부(Sa)에서는 상기 외측 포장재(Fa)가 상기 내측 포장재(Fb)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끼우도록) 접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폭 밀봉부(Sa)가 형성되어 있는 모서리부 이외의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모서리부에서의 단폭 밀봉부(Sb, Sc, Sd)는 포장재의 내면들끼리 대면하도록 단폭으로 접혀져서 용착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포장재(Fa)에는 상기 개봉편(9)이 되는 부분을 다른 부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칼집부(C)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포장재(Fa)에 형성된 상기 개봉편(9)이 상기 단폭 밀봉부(Sa)까지 개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포장재(Fb)에는 소정면적을 둘러싸는 분리선(P)이 형성되어 이 분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상기 외측 포장재(Fa)에 점착 접합되어 있고, 상기 개봉편(9)이 벗겨질 때에 상기 분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내측 포장재로부터 분리되고 이 분리된 부분에 상기 개구부(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8. 내용물을 꺼내는 개구부(8)가 되는 부분이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내측 포장재(Fb)의 상면에 개봉편(9)이 되는 부분을 갖는 외측 포장재(Fa)의 하면을 겹쳐서 양 포장재의 상기 상면(f1)과 하면(f3)을 점착 접합하여 접착부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접착부가 형성되어 연결된 포장재로 내용물(3)을 수납한 후 또는 수납하기 전에, 상기 내측 포장재와 외측 포장재의 상기 접착부와 반대 측 가장자리 끼리를 용착 접합하여 세로 밀봉부(S1)를 형성하여 통형체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통형체를 내용물의 양에 맞는 길이로 구분하여 상기 세로 밀봉부(S1)와 직교하는 방향에 포장재 끼리를 융착 접합하여 가로 밀봉부(S2)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통형체를 형성하기 전 또는 후에, 상기 내측 포장재(Fb)와 상기 외측 포장재(Fa)를 상기 개구부(8)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내측 포장재(Fb)의 상기 가장자리를 따라 단폭 밀봉부(Sa)에서 용착 접합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의 제조방법.
KR1019970065165A 1996-12-02 1997-12-02 포장체및포장체의제조방법 KR100523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21733 1996-12-02
JP32173396A JP3561104B2 (ja) 1996-12-02 1996-12-02 包装体とこの包装体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678A KR19980063678A (ko) 1998-10-07
KR100523969B1 true KR100523969B1 (ko) 2006-03-09

Family

ID=18135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5165A KR100523969B1 (ko) 1996-12-02 1997-12-02 포장체및포장체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3561104B2 (ko)
KR (1) KR100523969B1 (ko)
CN (1) CN1071684C (ko)
ID (1) ID17769A (ko)
MY (1) MY125595A (ko)
SG (1) SG71064A1 (ko)
TW (1) TW3763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1104B2 (ja) * 1996-12-02 2004-09-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包装体とこの包装体の製造方法
JP4456943B2 (ja) 2004-06-23 2010-04-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易開封性包装体
JP4808005B2 (ja) 2005-10-31 2011-11-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二重包装体
US8308363B2 (en) 2006-05-23 2012-11-13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Package integrity indicator for container closure
US8408792B2 (en) 2007-03-30 2013-04-02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Package integrity indicating closure
US20100018974A1 (en) 2008-07-24 2010-01-28 Deborah Lyzenga Package integrity indicating closure
JP5428011B2 (ja) * 2008-08-13 2014-02-26 憲司 中村 ウエットシートピロー包装体
CA2799884A1 (en) 2010-05-18 2011-11-24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Reclosable flexible packaging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US9656783B2 (en) 2010-05-18 2017-05-23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Reclosable flexible packaging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EP2942290B1 (en) * 2011-03-17 2016-09-14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Reclosable flexible film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06535851B (zh) * 2014-06-13 2019-10-01 易希提卫生与保健公司 用于卫生物品的包装单元及用于形成包装单元的方法
JP2016068994A (ja) * 2014-09-29 2016-05-09 株式会社フジシール 包装袋
BR112020001009A2 (pt) * 2017-07-28 2020-07-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mbalagem semirrígida e pluralidade de produtos de papel tissue, e, embalagem semirrígida de produtos de papel tissu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8774U (ko) * 1980-11-21 1982-06-01
JPS5792673U (ko) * 1980-11-28 1982-06-07
JPS59126978U (ja) * 1983-02-10 1984-08-27 フソ−化成株式会社 液浸紙携行用包装体
JPS62171479U (ko) * 1986-04-22 1987-10-30
KR970001675U (ko) * 1995-06-30 1997-01-21 유상현 물티슈의 인출 안내판
JPH0948477A (ja) * 1995-08-10 1997-02-18 Maruzen:Kk ティッシュペーパの包装容器
JPH10167355A (ja) * 1996-12-02 1998-06-23 Uni Charm Corp 包装体とこの包装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0114B2 (ja) * 1995-03-17 2001-06-25 中村 憲司 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8774U (ko) * 1980-11-21 1982-06-01
JPS5792673U (ko) * 1980-11-28 1982-06-07
JPS59126978U (ja) * 1983-02-10 1984-08-27 フソ−化成株式会社 液浸紙携行用包装体
JPS62171479U (ko) * 1986-04-22 1987-10-30
KR970001675U (ko) * 1995-06-30 1997-01-21 유상현 물티슈의 인출 안내판
JPH0948477A (ja) * 1995-08-10 1997-02-18 Maruzen:Kk ティッシュペーパの包装容器
JPH10167355A (ja) * 1996-12-02 1998-06-23 Uni Charm Corp 包装体とこの包装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61104B2 (ja) 2004-09-02
MY125595A (en) 2006-08-30
CN1194933A (zh) 1998-10-07
CN1071684C (zh) 2001-09-26
JPH10167355A (ja) 1998-06-23
TW376374B (en) 1999-12-11
KR19980063678A (ko) 1998-10-07
SG71064A1 (en) 2000-03-21
ID17769A (id) 1998-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26140B1 (en) Box in a box re-sealable cigarette pack and box blank
JP3587306B2 (ja) たばこ物品のためのパッケージ
JP2662078B2 (ja) ソフトパック
KR100523969B1 (ko) 포장체및포장체의제조방법
HU228347B1 (hu) Dohányáru csomagolás
EP1027253A1 (en) Carton, carton blank and method for forming the carton
US8104986B2 (en) Liquid applicator
US20220242641A1 (en) Packaging made of cellulose material and opening method
JPH02296643A (ja) 折畳み箱
JP3843510B2 (ja) 液体包装用紙容器
EP3592664B1 (en) A pull tab for a container for consumer goods and container comprising with pull tab
JPH11314686A (ja) 包装体の開封構造
JP3714690B2 (ja) 紙容器
JPH0776354A (ja) 易開封テープ貼り密封袋
JPH1017037A (ja) 包装体の開封機構
JPS5822916Y2 (ja) 簡易開封構造を有する密封容器
JP3672387B2 (ja) 包装体の開封機構
JPH0330257Y2 (ko)
JP6094135B2 (ja) 再封可能なカート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の製造方法
GB2292556A (en) Sealing envelopes and packages
JP3848645B2 (ja) 紙袋の開口部構造
JP3951330B2 (ja) 開封容易な包装体
JP2564737Y2 (ja) 開封容易な2重包装容器
JPH11278561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収納容器とその製造方法
JP2528803B2 (ja) 段ボ―ル箱組立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収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