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073B1 - 가공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공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073B1
KR100530073B1 KR10-2001-0082122A KR20010082122A KR100530073B1 KR 100530073 B1 KR100530073 B1 KR 100530073B1 KR 20010082122 A KR20010082122 A KR 20010082122A KR 100530073 B1 KR100530073 B1 KR 100530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steel sheet
workability
tensile strength
high tens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2208A (ko
Inventor
김일영
이옥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82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073B1/ko
Publication of KR20030052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0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내외판재에 사용되는 인장강도 40kg/㎟ 이상의 고장력강판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합금첨가량을 낮추어 제강 조업성의 저하를 막으면서 탄, 질, 황화물로 고정시킬수 있는 [Ti]와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조직을 발달시키는 [Nb]를 일정식에 의거 복합첨가하여 인장강도가 40Kg/㎟이상을 확보하면서 가공성을 개선할 수 있는 고장력강판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량%로 C : 0.01%이하 , Mn : 0.7%이하, P : 0.04~0.10% , S : 0.015% 이하, Sol-Al : 0.06% 이하, N : 0.005% 이하, Cu 0.5~1.0%, Ti : 0.01 - 0.04%, Nb는 다음의 관계, 6.63[C] ≤Nb ≤ 6.63[C] + 0.02%를 만족하고, 나머지 Fe와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로 조성되는 가공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과,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알루미늄 킬드강을 1200∼1250℃의 온도범위에서 균질화처리후, 마무리압연온도 Ar3이상의 조건으로 열간압연하고, 550 -700℃에서 권취한 다음, 냉간압연한 후 800℃ 이상에서 연속소둔하고, 조질압연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공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을 그 기술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가공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과 그 제조방법{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superior work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 of}
본 발명은 자동차 내외판재에 사용되는 인장강도 40kg/㎟ 이상의 고장력강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합금첨가량을 낮추어 제강 조업성의 저하를 막으면서 탄, 질, 황화물로 고정시킬수 있는 [Ti]와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조직을 발달시키는 [Nb]를 일정식에 의거 복합첨가하여 인장강도가 40Kg/㎟이상을 확보하면서 가공성을 개선할 수 있는 고장력강판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인장강도 35kg/㎟ 이상의 고장력강판으로 자동차를 생산할 경우 강판의 두께를 낮출수 있는 효과가 있어 에너지 절감을 할 수가 있고 자동차의 안전성 측면에서도 유리한 점이 있으나, 성형성이 낮아 적용되는 부위가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Si-Mn-P 복합첨가 강으로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5-24952와 소59-15993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1998-54117호에도 제안되어 있으나, 합금첨가량이 높을 뿐 아니라 가공성(rm값)이 그다지 좋은 편이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합금첨가량을 낮추어 제강 조업성의 저하를 막으면서 rm이 2.1이상으로 가공성이 우수하면서도 인장강도가 40Kg/㎟이상을 확보할 수 있는 고장력강판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고장력강판은, 중량%로 C : 0.01%이하 , Mn : 0.7%이하, P : 0.04~0.10% , S : 0.015% 이하, Sol-Al : 0.06% 이하, N : 0.005% 이하, Cu 0.5~1.0%, Ti : 0.01 - 0.04%, Nb는 다음의 관계, 6.63[C] ≤Nb ≤ 6.63[C] + 0.02%를 만족하고, 나머지 Fe와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로 조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장력강판 제조방법은, 중량%로 C : 0.01%이하 , Mn : 0.7%이하, P : 0.04~0.10% , S : 0.015% 이하, Sol-Al : 0.06% 이하, N : 0.005% 이하, Cu 0.5~1.0%, Ti : 0.01 - 0.04%, Nb는 다음의 관계, 6.63[C] ≤Nb ≤ 6.63[C] + 0.02%를 만족하고, 나머지 Fe와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로 조성되는 알루미늄 킬드강을 1200∼1250℃의 온도범위에서 균질화처리후, 마무리압연온도 Ar3이상의 조건으로 열간압연하고, 550 -700℃에서 권취한 다음, 냉간압연한 후 800℃ 이상에서 연속소둔하고, 조질압연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합금청가량을 줄이면서도 인장강도가 40Kg/㎟이상을 확보하고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탄, 질, 황화물로 고정시킬수 있는 [Ti]와 가공성에 좋은 집합조직을 발달시키는 [Nb]를 일정 식에 의거 복합첨가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강성분의 조성범위를 설명한다.
·C:0.01%이하
탄소함량은 0.01% 을 초과하면 항복강도가 상승되어 포밍(FORMING)불량을
유발하고, 또한 고용탄소의 증가로 최종 소둔후 항복점 연신을 유발시켜
스트레쳐 스트레인(Stretcher-Strain)을 발생하므로 탄소함량을 0.01% 이하로 제한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Mn:0.7%이하
상기 Mn의 함량이 0.70%를 초과할 경우에는 Mn의 강화의 효과를 넘어 고용강화에 의해 재질이 경화되거나 성형성이 악화되므로 0.70%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0.04~0.10%
상기 P는 소량 첨가에 의해서도 고용강화 및 FeTiP석출에 의한 석출강화 효과가 탁월한 원소로 이를 위해 0.04%이상 첨가하여야 하나, 0.1%이상 첨가될 경우 입계취화가 염려되므로 0.04~0.1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0.015%이하
상기 S는 열간취성을 일으키는 취약한 원소로서 성분범위를 낮게 관리할수록 좋으며, 또한, Mn계 황화물로 석출하기 때문에 Mn을 낮추기 위해서는 그 상한을 0.01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0.06%이하
상기 Al은 강의 탈산을 위해 첨가하는 성분으로서, 그 첨가량이 0.06%초과의 경우에는 재질경화의 원인이 되므로, 상기 Al의 함량은 0.06%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0.005%이하
상기 N은 침입형 원소로서 {111} 집합조직을 억제하여 가공성을 해치고 입자성장을 방해하여 연신율을 저하시키므로 낮게 관리할 수록 가공성에 좋으며 , 시효성원소로서 시효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 상한을 0.00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u:0.5~1.0%
상기 Cu는 통상 석출강화를 위해서 첨가하나 단시간의 열처리에 의해서는 석출강화의 효과를 얻기가 어렵기 때문에 가공성의 저해없이 강도증가를 시키기 위해서 첨가하는데 , 0.5%미만의 경우 목표강도 확보가 어렵고 1.0%초과의 경우 제강 조업성 및 제강 원단위 측면에서 불리하므로 0.5~1.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i:0.01~0.04%
상기 Ti는 고용원소(질소,황)를 TiN, TiS로 석출시킴으로서 항복강도를 낮추고 항복점 연신을 제거시켜 스트레쳐 스트레인의 발생을 억제하는 역활을 한다. 통상적으로 소둔후의 항복강도와 성형시 발생하는 스트레쳐 스트레인은 강중에 존재하는 고용원소량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Ti첨가에 의해 질소와 황을 고정하는 효과로 항복강도를 낮추고 스트레쳐 스트레인을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그러나, Ti량이 0.01% 미만이 되면 고용원소를 효과적으로 석출시킬 수 없고 , 0.04%를 초과하게 되면 그 효과측면에서 무의미하므로 Ti량을 0.01∼0.04%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b: 고용Nb이 0.02%이하 만족하도록 첨가
상기 Nb는 강중의 고용C과 결합하여 미세한 NbC석출물을 형성하는 원소로서 극소탄소강에 미세한 NbC석출물 분포로 인하여 입자크기를 미세화시킴으로서 입자사이즈강화 및 석출강화, 분산강화를 동시에 이룰수 있는 강화원소이며, 또한 소둔시 {111} 집합조직을 발달시키는 원소이다. 따라서 Nb을 고용시키는데, 고용Nb이 0.02%를 초과할시 강도가 초과하여 목표재질을 얻을수 없기에 고용 Nb은 0.02%이하로 한다.
따라서, 고용 Nb이 0.02%이하가 되면서 고용C와 반응하여 NbC를 석출하기 위해서는 Nb은 아래 관게식 1를 만족하도록 첨가하는 것이 좋다.
[관계식 1]
6.63[C] < Nb ≤ 6.63[C] + 0.02%
Nb이 6.63[C] % 이하로 첨가시 안정적인 NbC량 확보가 안되어서 강도부족, 가공성 부족, 스트레쳐-스트레인이 발생할 수 있으며, 6.63[C] + 0.02%를 초과할시에는 강도초과와 연신율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성되는 슬라브는 제강공정을 통해 용강을 얻은 다음에 조괴 또는 연속주조공정을 통해 만든다. 이 슬라브를 열간압연공정, 권취공정, 냉간압연공정, 소둔공정을 통해 목표로 하는 기계적성질을 갖는 고장력강판을 제조하는데, 각 공정별 제조조건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열간압연공정
슬라브를 열간압연전 오스테나이트조직이 충분히 균질화될 수 있는 1200∼1250℃에서 가열한 후 Ar3온도 직상에서 마무리 열간압연을 실시한다. 열간 마무리압연온도를 Ar3 변태점미만에서 작업을 하면 페라이트+퍼얼라이트 2상조직에서 압연되므로 이상 조대립이 발생되고 그에따라 제품 가공시 불량발생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상기 열간 마무리압연온도는 Ar3 변태점 이상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권취공정
상기 열간압연한 열연판을 권취하는데, 권취온도는 550∼70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취온도가 700℃ 보다 높으면 고온 작업으로 인한 스케일 다량 발생으로 표면품질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고 조직의 {111} 방향의 분율이 낮아져 가공성의 열화요인이 되며, 550℃ 보다 낮은 저온으로 작업시 조직의 {111} 방향 분율이 높아져 가공성이 향상되나, 코일 내외부의 온도편차가 크게 발생하여 코일내 재질의 편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 냉간압연공정
권취한 열연판을 냉간압연하는데, 이때 냉간압연은 원하는 최종두께로 냉연판을 얻을 수 있도록 적절히 압연조건을 설정하면 된다. 따라서, 냉간압연조건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므로 통상의 조건이면 가능하다.
·소둔공정
그 다음으로 냉간압연판을 소둔하는데, 이때의 소둔은 연속소둔이 좋다. 연속소둔온도는 재결정완료온도 이하로 작업시 혼립조직이 발생하여 재질편차 및 가공시 가공크랙의 발생 우려가 있으므로 재결정완료온도 이상에서 행하는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시간 연속소둔인점을 고려하여 800℃이상에서 연속소둔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소둔하여 얻은 냉연강판은 통상의 조건으로 조질압연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고장력강판은 인장강도가 40Kg/㎟이상이며, rm값(수직이방성의 평균값, rm =(r0+2r45+r90)/4)이 2.1이상인 냉연강판의 특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고장력강판은 제품의 요구특성에 맞추어 통상의 전기도금 또는 용융도금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갖도록 극저탄소 알루미늄 킬드강을 전로에서 용해하여 노외정련처리를 한 후 연속주조하여 강슬라브를 제조하였다. 이때 하기 표 1에 나타난 발명강(1-3) 및 비교강(4-6)은 모두 노외정련후 최종강 성분이다. 발명강(1-3)은 고용 Nb가 0.02%미만으로 함유할 수 있도록 6.63[C] % (α로 표기)초과, 6.63[C] + 0.02%(β로 표기)이하의 범위 내에서 첨가되었고, 또한 비교강(4)는Nb가 α 이하로 첨가된 강이며, 비교강(5)은 Nb가 β범위를 초과해서 첨가된
강이다. 비교강(6)은 Nb가 α 미만으로 첨가된 강으로서 C도 제한범위를 초과하
였고 P성분도 제한범위를 초과하여 첨가된 강이며 Ti는 미첨가된 강이다.
표 1과 같은 조성을 갖는 강슬라브를 1250℃의 온도에서 균질화처리한 다음
Ar3 직상 온도인 910℃ 부근에서 2.3㎜의 두께로 마무리 열간압연을 한 후, 표2
에 표기한 열연 권취온도에서 권취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산세를 행하였다. 산세된
열연강판은 냉간압연후 연속소둔을 적용하여 최종 냉연강판의 두께가 0.70mm인
냉연강판을 얻었다. 표2는 발명강, 비교강의 기계적성질 및 가공성지수인 rm
을 나타낸다.
상기 표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강(4)의 경우에는 Nb를 고용Nb 확보범위에
미달되게 첨가하였으므로 TS가 40Kg이하로 강도 부족 및 가공성이 불량하다. 비교강(5)의 경우에는 Nb를 고용Nb 확보범위에 초과되게 첨가하였으므로 TS강도가 목표치를 초과하고 가공성은 불량하다. 비교강(6)의 경우에는 Ti가 미첨가된 강으로서 [P]를 관리범위를 초과하여 첨가하여 강도확보는 되었으나 [Nb]를 고용Nb 확보범위에 미달되게 첨가하였으므로 가공성이 불량하다.
그러나, 발명강(1-3)에 경우 P의 첨가를 0.04~0.10%로 제한하고 Nb, Ti가 첨가된 강으로서 Nb의 경우 고용Nb확보범위내로 첨가하였으므로 목표강도 확보와 가공성이 양호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발명에 의하면, 고용강화원소 [P]를 첨가하는 통상의 심가
공용 냉연 고장력강의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P]의 첨가를 0.04~0.10%로 제한하고 [Ti]와 [Nb]를 첨가하는데, 특히 [Nb]는 고용[Nb]를 확보하기 위해 [C]과 상호 관계식에 의거 첨가함으로써 가공성이 우수한 냉간압연 40Kg급 고장력강판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중량%로 C : 0.01%이하 , Mn : 0.7%이하, P : 0.04~0.10% , S : 0.015% 이하, Sol-Al : 0.06% 이하, N : 0.005% 이하, Cu 0.5~1.0%, Ti : 0.01 - 0.04%, Nb는 다음의 관계, 6.63[C] ≤Nb ≤ 6.63[C] + 0.02%를 만족하고, 나머지 Fe와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로 조성되는 가공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력강판은 인장강도가 40Kg/㎟이상이며, rm값(수직이방성의 평균값이 2.1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
  3. 중량%로 C : 0.01%이하 , Mn : 0.7%이하, P : 0.04~0.10% , S : 0.015% 이하, Sol-Al : 0.06% 이하, N : 0.005% 이하, Cu 0.5~1.0%, Ti : 0.01 - 0.04%, Nb는 다음의 관계, 6.63[C] ≤Nb ≤ 6.63[C] + 0.02%를 만족하고, 나머지 Fe와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로 조성되는 알루미늄 킬드강을 1200∼1250℃의 온도범위에서 균질화처리후, 마무리압연온도 Ar3이상의 조건으로 열간압연하고, 550 -700℃에서 권취한 다음, 냉간압연한 후 800℃ 이상에서 연속소둔하고, 조질압연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공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의 제조방법.
KR10-2001-0082122A 2001-12-20 2001-12-20 가공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과 그 제조방법 KR100530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122A KR100530073B1 (ko) 2001-12-20 2001-12-20 가공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122A KR100530073B1 (ko) 2001-12-20 2001-12-20 가공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208A KR20030052208A (ko) 2003-06-26
KR100530073B1 true KR100530073B1 (ko) 2005-11-22

Family

ID=29577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122A KR100530073B1 (ko) 2001-12-20 2001-12-20 가공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0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075B1 (ko) * 2001-12-21 2005-11-22 주식회사 포스코 성형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과 그 제조방법
US20060037677A1 (en) * 2004-02-25 2006-02-23 Jfe Steel Corporation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4929A (ja) * 1981-11-17 1983-05-21 Nippon Steel Corp 非時効性で塗装焼付硬化性の優れた深絞り用冷延鋼板の製造法
JPS5974232A (ja) * 1982-10-20 1984-04-26 Nippon Steel Corp 極めて優れた二次加工性を有する超深絞り用焼付硬化性溶融亜鉛めつき鋼板の製造方法
JPS6013052A (ja) * 1983-07-01 1985-01-23 Nippon Kokan Kk <Nkk> 超深絞り用冷延鋼板
JPH05230543A (ja) * 1992-02-19 1993-09-07 Nkk Corp 焼付硬化性と深絞り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KR970043147A (ko) * 1995-12-05 1997-07-26 김종진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한 심가공용 고장력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
KR20010060397A (ko) * 1999-12-21 2001-07-07 이구택 고성형 연질 소부경화형 냉연강판 제조방법
KR20030052352A (ko) * 2001-12-21 2003-06-27 주식회사 포스코 성형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과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4929A (ja) * 1981-11-17 1983-05-21 Nippon Steel Corp 非時効性で塗装焼付硬化性の優れた深絞り用冷延鋼板の製造法
JPS5974232A (ja) * 1982-10-20 1984-04-26 Nippon Steel Corp 極めて優れた二次加工性を有する超深絞り用焼付硬化性溶融亜鉛めつき鋼板の製造方法
JPS6013052A (ja) * 1983-07-01 1985-01-23 Nippon Kokan Kk <Nkk> 超深絞り用冷延鋼板
JPH05230543A (ja) * 1992-02-19 1993-09-07 Nkk Corp 焼付硬化性と深絞り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KR970043147A (ko) * 1995-12-05 1997-07-26 김종진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한 심가공용 고장력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
KR20010060397A (ko) * 1999-12-21 2001-07-07 이구택 고성형 연질 소부경화형 냉연강판 제조방법
KR20030052352A (ko) * 2001-12-21 2003-06-27 주식회사 포스코 성형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과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208A (ko) 200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7444B2 (ja) 高強度焼付硬化型冷間圧延鋼板、溶融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00326572A1 (en) Method for producing low yield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uniformity
EP4365327A1 (en) Trip stee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old-rolled steel sheet, an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JP2987815B2 (ja) プレス成形性および耐二次加工割れ性に優れた高張力冷延鋼板の製造方法
KR100530073B1 (ko) 가공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과 그 제조방법
KR100530075B1 (ko) 성형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과 그 제조방법
KR100240986B1 (ko)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한 심가공용 고장력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0530077B1 (ko) 내2차가공취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과 그제조방법
KR100530076B1 (ko) 내2차가공취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과 그제조방법
KR101149193B1 (ko) 도금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431609B1 (ko) 코일결속용 고인성 밴드강판 제조방법
KR100957960B1 (ko) 가공성 및 표면품질이 우수한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470644B1 (ko) 내2차 가공취성 및 프레스성형성이 우수한 심가공냉연강판의 제조방법
KR20100047007A (ko) 연질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3718987B2 (ja) 耐時効性に優れた塗装焼付硬化型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30002739B1 (ko) 성형성이 우수한 Al-킬드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0544575B1 (ko) 성형성이 우수한 비시효 소부경화형 냉연고장력강판과 그제조방법
JP3142975B2 (ja) 深絞り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KR100961379B1 (ko) 고항복비형 고강도 강판의 제조방법
KR100325111B1 (ko) 가공성이향상된고강도냉연강판의제조방법
KR0136157B1 (ko) 연성이 우수한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544540B1 (ko) 연성이 우수한 코일결속용 밴드강과 그 제조방법
CN117363984A (zh) 一种590MPa级热镀锌双相钢及制备方法
KR101175392B1 (ko) 초고강도 강판의 제조방법
KR100544538B1 (ko) 가공성이 우수한 비시효 소부경화형 냉연고장력강판과 그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