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0986B1 -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한 심가공용 고장력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한 심가공용 고장력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986B1
KR100240986B1 KR1019950046824A KR19950046824A KR100240986B1 KR 100240986 B1 KR100240986 B1 KR 100240986B1 KR 1019950046824 A KR1019950046824 A KR 1019950046824A KR 19950046824 A KR19950046824 A KR 19950046824A KR 100240986 B1 KR100240986 B1 KR 100240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range
steel sheet
manufacturing
rolled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6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3147A (ko
Inventor
김일영
김철연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50046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0986B1/ko
Publication of KR970043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3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986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확관용기, 자동차의 내외판 등에 사용되는 심가공용 고장력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최종 제품으로 가공후 내충격성, 즉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한 심가공용 고장력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심가공용 고장력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량%로, C:0.005% 이하, Mn:0.2-0.4%, P:0.06-0.1% 이하, S:0.015% 이하, Sol-Al: 0.06% 이하, N: 0.004% 이하, Ti:0.03-0.06%,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고, 고용 B이 0.0005-0.0015% 의 범위에서 함유될 수 있도록 Ti-1.5S ≥ 3.43N 일 경우 B의 함량을 0.0005-0.0015%의 범위로, Ti-1.5S<3.43N 일 경우 B의 함량을의 범위 내에서 조성토록 한 AL 킬드강을 1200-1250℃ 의 온도범위에서 균질화 처리후, Ar3변태점 이상에서 마무리 압연하고 500-650℃ 범위의 온도에서 권취한 다음, 70% 이상의 압하율로 최종두께까지 냉간압연하고, 계속하여 800℃ 이상에서 연속소둔하고, 통상의 조질압연을 행하는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한 심가공용 고장력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한 심가공용 고장력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
제1도는 발명강과 비교강에 대한 연성-취성 파괴 거동을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은 확관용기, 자동차의 내외판 등에 사용되는 심가공용 고장력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최종 제품으로 가공후 내충격성, 즉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한 심가공용 고장력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P]는 첨가한 심가공용 고장력 냉간압연강판은 주로 확관용기, 자동차 내, 외판용으로 쓰이는 소재로서, 고용원소를 완전히 고착시켜 성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극저탄소(≤ 50PPM)를 기본으로 탄, 질화물 향상원소인 [Ti]을 첨가하고 강도상승을 목적으로 [P]를 적당량 첨가한 강판이다. 그러나, 이 강판의 제조 또는 가공중 강판의 깨지는 현상(Crack)이 일어나는데, 특히 수요가의 프레스 가공후 2차 가공을 할 때 취성파괴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 취성파괴의 원인은 입계에 [P]가 편석되어 입계가 취약해짐으로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P]의 입계편석을 막을 수 있는 고용원소(C,N,S)가 없는 극저탄소강에서 집중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P]는 저탄소강 또는 극저탄소강에 0.1wt.% 이하로 첨가될 경우 가공성의 저항없이 강도를 효과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대표적인 치환형 강화원소로 고장력 냉연강판 제조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2차 가공취성을 방지하기 위한 공지된 종래의 기술로서, 연속소둔을 이용하는 극저탄소 Al-킬드(Al-killed)강에 입계강화원소 [B]를 첨가한 심가공용도의 냉연 고장력강 제조법이 알려져 있으나 [B]의 첨가량과 질소[N] 와의 석출물 형성관계, 질소[N]와 [Ti]과 석출물 형성관계를 고려치 않고 있기 때문에 첨가성분에 따라 필요한 [B]의 량이 명확히 제시되지 않아 [B]를 기준치내로 첨가하고도 [B]의 효과가 없거나, 과잉첨가로 인한 재질열화가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시효로 인한 가공불량을 개선을 위하여 초기 Al 킬드강 소재의 고용원소[C],[N],[S]를 탄, 질, 황화물로 고정시킬 수 있는 Ti를 첨가하는 한편 2차 가공취성을 유발하는 [P]의 입계편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정고용[B]이 확보되도록 [B]을 [Ti],[N],[S]와의 상호 관계에 따라 적절히 제어하므로써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한 심가공용 고장력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심가공용 고장력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량%로, C:0.005% 이하, Mn:0.2-0.4%, P:0.06-0.1% 이하, S:0.015% 이하, Sol-Al: 0.06% 이하, N: 0.004% 이하, Ti:0.03-0.06%,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고, 고용 B이 0.0005-0.0015% 의 범위에서 함유될 수 있도록 Ti-1.5S≥3.43N 일 경우 B의 함량을 0.0005-0.0015%의 범위로, Ti-1.5S<3.43N 일 경우 B의 함량을
의 범위 내에서 조성토록 한 AL 킬드강을 1200-1250℃ 의 온도범위에서 균질화 처리후, Ar3변태점 이상에서 마무리 압연하고 500-650℃ 범위의 온도에서 권취한 다음, 70% 이상의 압하율로 최종두께까지 냉간압연하고, 계속하여 800℃ 이상에서 연속소둔하고, 통상의 조질압연을 행하는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한 심가공용 고장력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탄소함량은 0.005% 이상이 되면 항복강도가 상승되어 성형(forming)불량을 유발하고, 또한 고용탄소의 증가로 최종 소둔후 항복점 연신을 유발시켜 스트레쳐 스트레인(Stretcher-Strain)을 발생하므로 탄소함량은 낮게 관리할수록, 바람직하게는 0.005%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좋다.
상기 Mn 의 함량이 0.4% 이상인 경우에는 Mn 의 고용강화에 의해 재질이 경화되거나 성형성이 악화되고, Mn 의 함량이 0.20% 이하인 경우는 열간취성을 유발하는 원소인 S 를 충분히 고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Mn 의 함량은 0.20-0.40% 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는 고용경화 효과가 가장 큰 치환용 합금원소로서 0.10% 이상 첨가시 재질경화 및 성형성이 나빠지며, 0.06% 미만 첨가시 고장력강으로서의 강도부족을 초래하므로 상기 P의 함량은 0.06-0.01% 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 는 열간취성을 일으키는 취약한 원소로서 성분범위를 낮게 관리할 수록 좋으며, 또한 Mn계 황화물로 석출하기 때문에 Mn 을 낮추기 위해서도 그 상한을 0.01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l 은 탈산을 위해 첨가하는 성분으로서, 그 첨가량이 0.06% 이상인 경우에는 재질경화의 원인이 되므로, 상기 Al 의 함량은 0.06%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은 침입형 원소로서 {111}집합조직을 억제하여 가공성을 해치고 입자성장을 방해하여 연신율을 저하시키므로 낮게 관리할수록 가공성이 좋으며, 시효성 원소로서 시효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 상한을 0.004% 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Ti 는 고용원소(탄소, 질소, 황)를 TiC, TiN, TiS 로 석출시킴으로서 항복강도를 낮추고 항복점 연신을 제거시켜 스트레쳐 스트레인이 발생을 억제하는 역활을 한다. 통상적으로 소둔후의 항복강도와 성형시 발생하는 스트레쳐 스트레인은 강중에 존재하는 고용원소량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Ti첨가는 Nb 첨가에 비해 고용원소를 완벽히 석출시켜 항복강도를 낮추고 스트레쳐 스트레인을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그러나, Ti 량이 0.03% 이하가 되면 고용원소를 효과적으로 석출시킬 수 없고, 0.06% 이상이 되면 다량의 석출물 발생으로 오히려 강도상승을 초래할 염려가 있으므로 Ti 함유량은 0.03-0.06% 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은 통상 입계강화원소로서 2차 가공취성을 막는 중요한 원소인데 고용상태의 B 을 0.0005-0.0015% 첨가함으로서 그 효과를 볼 수 있다. 고용상태의 B 가 0.0005% 이하로 첨가시 입계강화의 효과가 미약하고, 0.0015% 이상 첨가시 연신율, 랭크포드(LankFord)(r)치 등 가공성이 열악하게 되므로 고용상태 B 의 량을 0.0005-0.0015% 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B가 석출물(BN)로 존재시 입계강화 효과는 무시된다. 즉 B 가 입계에 편석되어 강화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고용상태로 존재하여 입자내부에서 입계까지 확산을 통하여 이동하게 되는데, 이동전에 BN 으로 석출시 입계까지의 확산은 불가능하여 입계강화효과는 없게 된다. 따라서, B의 함량은 N 을 고정시킬 수 있는 Ti량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데, 이때 Ti 는 고온에서 S 와 먼저 반응을 일으키므로, B 의 첨가량은 Ti, N, S 와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즉, Ti 와 N, S 사이의 관계는 Ti가 N, S 를 고정할 수 있는 최소한의 필요량이 있다고 가정시 Ti-3.43N-1.5S=0 이고 따라서, N=(Ti-1.5S)/3.43 이 된다. 따라서, B 와 N 은 0.77 의 비율로 결합하고 고용 B 이 0.0005-0.0015%로 존재하려면 B 의 함량 조건은 다음과 같다.
Ti-1.5S ≥ 3.43N 일 경우, B의 함량은 0.0005-0.0015% 이어야 하고, TI-1.5s < 3.43N 일 경우, B 의 함량은범위내에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강을 1200-1250℃ 의 온도범위에서 균질화 처리후, Ar3변태점이상, 즉 910℃ 부근에서 마무리 압연하고 500-650℃ 의 온도에서 권취한 다음 70% 이상의 압하율로 최종 두께까지 냉간압연하고, 계속하여 800℃ 이상에서 연속소둔하고, 통상의 조질압연을 하면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한 심가공용 고장력 냉간압연강판이 제조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성을 가진,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한 심가공용 고장력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같은 조성을 갖도록 제조된, 연속주조한 슬라브를 열간압연전의 오스테나이트 조직이 충분히 균질화될 수 있는 1200℃-1250℃ 에서 가열한 후 Ar3온도 직상에서 마무리 열간압연을 실시한다. 열간 마무리 압연온도를 Ar3변태점 이하로 작업을 하면 페라이트 + 퍼얼라이트 2상조직에서 압연되므로 이상 조대립이 발생되고 그에 따라 제품 가공시 불량발생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상기 열간 마무리 압연온도는 Ar3변태점 이상인 910℃ 부근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연 권취온도는 고온 작업시 스케일 다량 발생으로 표면품질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고 조직의 {111}방향의 분율이 낮아져 가공성이 열화요인이 되며, 저온으로 작업시 조직의 {111}방향 분율이 높아져 가공성이 향상되나, 코일 내외부의 온도편차가 크게 발생하여 코일내 재질의 편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500-65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냉간압하율은 고인성 확보를 위해 70% 이상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소둔은 재결정 완료온도 이하로 작업시 혼립조직이 발생하여 재질편차 및 가공시 가공 균열 발생이 우려되고 또한 단시간내에 이루어지는 연속소둔인 점을 고려하여 소둔온도는 재결정 완료 온도이상, 즉 800℃ 이상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갖도록 극저탄소 Al 킬드강을 전로에서 용해하여 노외정련 처리를 한 후 연속주조하여 강 슬라브를 제조하였다. 이때, 하기표 1에 나타난 발명강(1-3) 및 비교강(4-6)은 모두 노외정련된 후의 최종강 성분이다. 발명강(1)은 Ti - 1.5S -3.43N (이하, ‘γ’라고 함)이 ≥ 인 성분조성으로서 B 의 조성은 5-15ppm 범위내로 첨가되었으며, 발명강(2)(3)은 γ가 < 0 인 성분조성으로서 B 의 조성은(이하, ‘α’라고 함)와(이하, ‘β’라고 함) 범위내로 첨가되었다.
또한, 비교강(4)는 B 이 첨가된 강이며, 비교강(5)은 γ< 0 인 동시에 B 이 α,β범위내에 미달되는 강이고, 비교강(6)은 B 이 본 발명의 조건범위를 초과하여 첨가된 강종이다.
[표 1]
상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갖는 강 슬라브를 1250℃ 의 온도에서 균질화처리한 다음 Ar3직상온도인 910℃ 부근에서 2.3㎜의 두께로 마무리 열간압연을 한 후, 하기 표 2와 같은 열연 권취온도에서 권취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산세를 행하였다. 산세된 열연강판은 냉간압연후 연속소둔을 적용하여 최종 냉연강판의 두께가 0.70㎜ 인 냉연강판을 얻었다. 이와같이 제조된 발명강과 비교강 각각에 대하여 기계적 성질 및 연성-취성 천이온도(Ductile-Brittle Transition Temperature ; 이하, 단지 ‘DBIT’라고 함). 가공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표 2와 제1도에 나타내었다. 이때, DBIT 는 충격시 파괴양상이 연성파괴에서 취성파괴로 천이되는 온도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온도가 낮을수록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가공성은 강판의 성형성 평가를 시험하기 위한 유압 프레스 모델 다이(450×500×100㎜)를 이용하여 성형한 실적을 나타낸 것인데, 균열 발생이나 형상동결성등이 불량하면 가공성은 불량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표 2]
상기 표 1,2에 나타낸 바와같이, 비교강(4)의 경우에는 B 을 미첨가한 Ti 첨가강으로서 충분한 Ti 첨가에 의해 시효는 일어나지 않았지만 P 입계편석으로 인하여 DBIT 가 10℃ 로 2차 가공취성이 불량하였다. 또한, 비교강(5)의 경우에는 B, Ti가 첨가된 강이나, B 의 경우 γ< 0 인 조건이면서 α∼β 범위내로 첨가되지 못하고 미달되었으므로 DBIT 가 -25℃ 로 2차 가공취성이 불량하였다. 비교강(6)의 경우에는 B,Ti 가 첨가된 강이나 B 의 경우 γ > 0 인 조건이면서 5-15ppm 범위내로 첨가되지 못하고 초과되었으므로 항복강도(YP)가 높고 연신율(E1)이 감소되어 가공성이 불량하였다.
그러나, 발명강(1)의 경우 B, Ti가 첨가된 강으로서 5-15ppm 범위내로 첨가되어 DBIT 가 -120℃ 로서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하였다.
발명강(2)(3)의 경우에도, B,Ti 가 첨가된 강으로서 충분한 Ti의 첨가에 의해 시효 발생이 없어 가공성은 양호하였으며, B 의 경우 γ < 0인 조건으로서 α-β 범위내로 첨가되어 DBIT 가 -120℃ 로서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하였다.
제1도는 발명강(1-3), 비교강(4-6)의 DBIT 시험 실적을 나타낸 것인데 비교강 대비 발명강은 DBIT가 -120℃ 로 현격히 낮음으로써 상온에서는 어떠한 충격을 가해도 취성이 발생하지 않는 2차 가공취성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효로 인한 가공불량 개선을 위하여 초기소재의 고용원소 [C], [N], [S]를 탄, 질, 황화물로 고정시킬 수 있는 Ti 를 첨가하고, 2차 가공취성을 유발하는 [P]의 입계편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정 고용 [B]이 확보하도록 [B]을 [Ti],[N],[S] 와의 상호 관계식에 의거 첨가한 Al-killed 강을 통상의 열연 및 냉연조건으로 압연하고 연속소둔 및 통상의 조질압연을 거치면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한 심가공용 고장력 냉간압연강판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심가공용 고장력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량%로, C:0.005% 이하, Mn:0.2-0.4%, P:0.06-0.10% 이하, S:0.015% 이하, Sol-Al: 0.06% 이하, N: 0.004% 이하, Ti:0.03-0.06%,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고, 고용 B이 0.0005-0.0015% 의 범위에서 함유될 수 있도록 Ti-1.5S≥3.43N 일 경우 B의 함량을 0.0005-0.0015% 의 범위로, Ti-1.5S<3.43N 일 경우 B의 함량을의 범위 내에서 조성토록 한 Al 킬드강을 1200-1250℃ 의 온도범위에서 균질화 처리후, Ar3변태점 이상에서 마무리 압연하고 500-650℃ 범위의 온도에서 권취한 다음, 70% 이상의 압하율로 최종두께까지 냉간압연하고, 계속하여 800℃ 이상에서 연속소둔하고, 통상의 조질압연을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한 심가공용 고장력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19950046824A 1995-12-05 1995-12-05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한 심가공용 고장력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0240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6824A KR100240986B1 (ko) 1995-12-05 1995-12-05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한 심가공용 고장력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6824A KR100240986B1 (ko) 1995-12-05 1995-12-05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한 심가공용 고장력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147A KR970043147A (ko) 1997-07-26
KR100240986B1 true KR100240986B1 (ko) 2000-03-02

Family

ID=19437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6824A KR100240986B1 (ko) 1995-12-05 1995-12-05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한 심가공용 고장력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09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8011B1 (ko) * 1995-12-14 2000-01-15 이구택 표면 균일성이 우수한 이너쉴드용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0530073B1 (ko) * 2001-12-20 2005-11-22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과 그 제조방법
KR100530077B1 (ko) * 2001-12-21 2005-11-22 주식회사 포스코 내2차가공취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과 그제조방법
KR100530075B1 (ko) * 2001-12-21 2005-11-22 주식회사 포스코 성형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과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4345A (ko) * 1992-12-17 1994-07-18 가와무라 요시부미 비페닐 유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고혈압 및 심장 질환 치료제로서의 이의 용도
KR950018578A (ko) * 1993-12-20 1995-07-22 조말수 저온취성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고가공용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4345A (ko) * 1992-12-17 1994-07-18 가와무라 요시부미 비페닐 유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고혈압 및 심장 질환 치료제로서의 이의 용도
KR950018578A (ko) * 1993-12-20 1995-07-22 조말수 저온취성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고가공용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147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619B1 (ko) 초고강도 냉연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H06145894A (ja) 延性と耐遅れ破壊特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40986B1 (ko)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한 심가공용 고장력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1228753B1 (ko) 형상 품질이 우수한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544639B1 (ko) 내시효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제조방법
KR100946066B1 (ko) 자동차 범퍼 보강재용 초고강도 냉연강판 제조방법
KR100270395B1 (ko) 프레스 가공성이 우수한 저합금 복합조직형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0470644B1 (ko) 내2차 가공취성 및 프레스성형성이 우수한 심가공냉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0238012B1 (ko) 용접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확관 용기용 냉연 강판의 제조 방법
KR100573587B1 (ko) 굽힘가공성이 우수한 초고강도의 제조방법
KR100530077B1 (ko) 내2차가공취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과 그제조방법
JP3911075B2 (ja) 焼付硬化性に優れる超深絞り用鋼板の製造方法
KR100530076B1 (ko) 내2차가공취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과 그제조방법
KR100530073B1 (ko) 가공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과 그 제조방법
KR960005236B1 (ko) 저온취성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고가공용 고강도 냉연강판 제조방법
KR100435467B1 (ko) 연속소둔에 의한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0400866B1 (ko) 산세성및내구멍부식성이우수한고가공용고강도냉연강판및그제조방법
KR100530075B1 (ko) 성형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과 그 제조방법
KR100431609B1 (ko) 코일결속용 고인성 밴드강판 제조방법
KR100400867B1 (ko) 소성변형비이방성계수가작고가공성이우수한저탄소냉연강판및그제조방법
KR100368731B1 (ko) 신장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1126012B1 (ko) 내2차가공취성이 우수한 고강도 비시효 냉연강판과 그제조방법
KR20240052137A (ko) 굽힘 특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25111B1 (ko) 가공성이향상된고강도냉연강판의제조방법
KR100276291B1 (ko) 두께정도가 우수한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