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8048B1 - 순대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순대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8048B1
KR100528048B1 KR10-2003-0056643A KR20030056643A KR100528048B1 KR 100528048 B1 KR100528048 B1 KR 100528048B1 KR 20030056643 A KR20030056643 A KR 20030056643A KR 100528048 B1 KR100528048 B1 KR 100528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pig intestine
pig
intestine
sunda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6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8245A (ko
Inventor
강태석
Original Assignee
강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석 filed Critical 강태석
Priority to KR10-2003-0056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8048B1/ko
Publication of KR20050018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8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0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2Feeding mechanisms, e.g. skip lif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2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from offal, e.g. rinds, skins, marrow, tripes, feet, ears or sno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대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돼지창자 내부에 내용물을 보다 간편하게 채울 수 있도록 하고, 당면과 돼지 선지에 혼합하여 다진 기타 내용물이 돼지창자의 내부에서 동심원상으로 채워질 수 있도록 하여 절단시 내용물이 쉽게 흩으러지지 않도록 한 소세지형 속당면 순대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돼지창자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돼지창자의 앞부분을 흡착하고, 유압또는 공압실린더의 작용에 의하여 전후 직선이동되면서 돼지창자를 정해진 위치로 공급하는 돼지창자 공급부재와; 상기 돼지창자의 전방 이송끝 부분에서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며, 내부에는 돼지 선지와 혼합된 기타 내용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작동되는 피스톤의 작용에 의하여 기타 내용물을 돼지창자의 내부로 주입하는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와; 상기 돼지창자의 전방이송끝 부분에 해당되는 상기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어 진공펌프에 의하여 인가되는 부압을 이용하여 공급된 돼지창자의 선단부를 외측에서 흡착하여 벌려주는 돼지창자 흡착부재와; 상기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의 내부 상방에서 돼지창자의 내부 중심선과 동일중심선상에 설치되어 피스톤과 압축공기의 미는 힘에 의해 기타 내용물의 주입과 동시에 돼지창자 내부의 중심선 방향으로 당면을 주입하는 당면주입부재와; 상기 당면주입부재와 연통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당면주입부재 내부에 당면을 공급하는 당면공급부재와; 상기 돼지창자의 전방 이송끝부분의 외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기타 내용물과 당면이 채워지면 돼지창자(순대)를 소정의 길이로 절취하는 커팅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돼지창자에 대한 당면과 기타 내용물의 공급이 완전히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순대제조공정이 매우 간편하며, 작업인원을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순대를 제조하는 경우에 당면은 순대의 내부 중심선을 따라 채워지고, 기타 내용물은 당면의 둘레에 동심원을 이루면서 채워지기 때문에 조리하기 위하여 순대를 자르는 경우에 내용물이 흩으러지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순대제조장치{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UNDAE SAUSAGE}
본 발명은 순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돼지창자 내부에 내용물을 보다 간편하게 채울 수 있도록 하고, 당면과 돼지 선지에 혼합하여 다진 기타 내용물이 돼지창자의 내부에서 동심원상으로 채워질 수 있도록 하여 절단시 내용물이 쉽게 흩으러지지 않도록 한 소세지형 속당면 순대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순대는 우리나라의 추운지방(평안도 및 함경도)에서 많이 해 먹던 음식의 일종으로서 충분히 불려서 삶은 찹쌀이나 당면, 데쳐서 다지고 물기를 제거한 숙주 및 채소를 선지와 섞어 갖은 양념을 한 다음 깨끗이 세척한 돼지창자내에 채워서 뜨거운 증기로 쪄낸 후 먹거나 조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순대를 제조하는 방식으로는 개끗이 세척한 돼지창자에 깔대기를 끼우고 내용물을 밀어 넣어 채우는 것이 일반적인 바, 이와 같이 순대를 수작업으로 제조하는 경우에 작업속도가 매우 느리고, 많은 사람이 투입되어야 하므로 생산성이 극히 저조할 뿐 아니라 다른 내용물과 잘 혼합되지 않는 당면이 구분없이 혼합되어 채워지기 때문에 뜨거운 증기로 쪄낸후 조리를 위하여 절단할 때 채워진 내용물이 쉽게 흩으러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돼지창자 내부에 내용물을 보다 간편하게 채울 수 있도록 하고, 당면과 돼지 선지에 혼합하여 다진 기타 내용물이 돼지창자의 내부에서 동심원상으로 채워질 수 있도록 하여 절단시 내용물이 쉽게 흩으러지지 않도록 한 새로운 순대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돼지창자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돼지창자의 앞부분을 흡착하고, 유압또는 공압실린더의 작용에 의하여 전후 직선이동되면서 돼지창자를 정해진 위치로 공급하는 돼지창자 공급부재와; 상기 돼지창자의 전방 이송끝 부분에서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며, 내부에는 돼지 선지와 혼합된 기타 내용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작동되는 피스톤의 작용에 의하여 기타 내용물을 돼지창자의 내부로 주입하는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와; 상기 돼지창자의 전방이송끝 부분에 해당되는 상기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어 진공펌프에 의하여 인가되는 부압을 이용하여 공급된 돼지창자의 선단부를 외측에서 흡착하여 벌려주는 돼지창자 흡착부재와; 상기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의 내부 상방에서 돼지창자의 내부 중심선과 동일중심선상에 설치되어 피스톤과 압축공기의 미는 힘에 의해 기타 내용물의 주입과 동시에 돼지창자 내부의 중심선 방향으로 당면을 주입하는 당면주입부재와; 상기 당면주입부재와 연통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당면주입부재 내부에 당면을 공급하는 당면공급부재와; 상기 돼지창자의 전방 이송끝부분의 외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기타 내용물과 당면이 채워진 돼지창자(순대)를 소정의 길이로 절취하는 커팅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돼지창자 공급부재는 실린더의 작용에 의하여 전후 직선이동되도록 구성되며, 내부의 중심선을 따라 외부의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소정 길이의 로드(Rod)와, 상기 로드의 선단에 끼워져 결합되며, 전면의 중심부에 소정 크기의 요홈이 형성되고, 외측 둘레면에는 로드내부의 관통공과 연통되는 다수의 흡착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가이드원통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는 지면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며, 상단가장자리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는 피스톤 및 실린더가 내장된 소정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턱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소정 직경의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단부에 씌워지며, 돼지창자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높이에 해당되는 전면에는 토출구가 돌출되고, 동일높이의 후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설치공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용기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기타 내용물이 아랫쪽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피스톤의 상방향 작동시 기타 내용물을 윗쪽으로 밀어 올려주는 받침판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돼지창자 흡착부재는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를 구성하는 커버상의 토출구 둘레에 고정결합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의 둘레를 따라 외부의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통공이 형성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둘레에 고정결합되며, 전면 중심부에는 소정 크기의 돼지창자끼움공이 형성된 덮개판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당면주입부재는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를 구성하는 커버상의 설치공을 통하여 용기의 상방 내측으로 끼워져 설치되는 당면주입통과; 상기 당면주입통의 후방으로부터 내측으로 끼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실린더의 작용에 의하여 내외방향으로 직선이동되며, 내부의 중심선을 따라 외부의 컴프레셔와 연결된 관통공이 형성된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로드의 선단에 결합되어 당면주입통의 내부에 채워진 당면을 돼지창자쪽으로 밀어내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선단면 중심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관통공을 통한 압축공기의 토출을 제어하는 공기밸브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당면 공급부재는 당면주입부재를 구성하는 당면주입통의 내부와 연통되게 결합되는 당면공급통과; 상기 당면공급통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는 호퍼와; 상기 당면공급통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동력에 의하여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당면공급통내의 당면을 당면주입통으로 공급하는 이송스크류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순대제조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순대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또,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순대제조장치에 적용되는 당면주입부재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순대제조장치에 적용되는 당면공급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순대제조장치는 돼지창자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당면이 주입되고, 당면의 둘레에는 기타 내용물이 동시 주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순대제조장치(10)에서는 깨끗이 세척된 돼지창자(11)를 정해진 위치까지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돼지창자 공급부재(20)와, 상기 돼지창자(11)의 전방 이송끝 부분에서 기타 내용물(12)을 돼지창자(11)의 내부에 주입하는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30)와, 상기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30)쪽으로 공급된 돼지창자(11)의 선단부를 외측에서 흡착하여 벌려주는 돼지창자 흡착부재(40)와, 상기 돼지창자(11)의 길이방향 중심선 내부로 당면(13)을 주입하는 당면주입부재 (50)와, 당면주입부재(50) 내부로 당면(13)을 공급하는 당면공급부재(60)와, 상기 당면(13)과 기타 내용물(12)이 동심원상으로 채워진 돼지창자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커팅부재(7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돼지창자 공급부재(20)는 돼지창자(11)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돼지창자의 선단부를 흡착하고, 외력에 의해 전후 직선이동되면서 돼지창자(11)를 정해진 위치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유압 또는 공압의 인가여부에 따라 작동되는 실린더(21)가 마련되고, 상기 실린더(21)에는 돼지창자(11)의 내부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직경을 갖는 소정 길이의 로드(Rod:22)가 결합된다.
상기 로드(22)의 내부에는 외부의 진공펌프(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는 관통공(23)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22)의 선단부 외측에는 돼지창자(11)의 앞쪽 끝부분을 흡착함과 동시에 기타 내용물(12)과 당면(13)이 정확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정 크기의 가이드원통(24)이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원통(24)의 전면 중심부에는 소정 깊이의 요홈(25)이 형성되고, 외측 둘레면에는 로드(22)내부에 형성된 관통공(23)과 연통되는 다수의 흡착공(26)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30)는 돼지창자(11)의 전방 이송끝 부분에서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돼지창자 공급부재(20)의 작용에 의하여 공급되는 돼지창자(11)의 내부에 기타 내용물(12)을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30)에는 정해진 지점의 지면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소정 형상의 하우징(31)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31)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는 피스톤(32) 및 실린더 (33)가 설치되고, 상단가장자리에는 걸림턱(34)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31)상의 걸림턱(34)에는 소정의 직경과 높이를 갖는 원통형상의 용기(35)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용기(35)의 상단부에는 커버(36)가 씌워져 결합된다.
공급된 돼지창자(11)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높이에 해당되는 커버(36)의 전면에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토출구(37)가 돌출형성되고, 동일 높이에 해당되는 커버(36)의 후면에는 용기의 내부와 연통되는 소정 크기의 설치공(38)이 형성된다.
상기 용기(35)의 내부에는 용기내부에 공급된 기타 내용물(12)이 아랫쪽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피스톤(32)의 상방향 작동시 기타 내용물(12)을 윗쪽으로 밀어 올려주는 받침판(39)이 끼워진다.
상기 받침판(39)의 저면 중심부에는 소정 깊이의 결합홈(39a)이 형성되고, 하우징(31)내부에 설치된 피스톤(32)의 상면 중심에는 상기 결합홈(39a)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돌기(32a)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돼지창자흡착부재(40)는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30)쪽으로 공급된 돼지창자(11)의 선단부를 외측에서 흡착하여 벌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돼지창자흡착부재(40)에는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30)를 구성하는 커버(36)상의 토출구(37) 둘레에 고정결합되는 고정편(41)이 마련된다.
상기 고정편(41)의 내부에는 소정 깊이의 공간부(42)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41)의 둘레를 따라 외부의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통공(4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41)의 전면에는 덮개판(44)이 고정결합되는데, 상기 덮개판(44)의 전면 중심부에는 소정 크기의 돼지창자끼움공(45)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당면주입부재(50)는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30)를 구성하는 용기(35)의 내부 윗쪽에서 돼지창자(11)의 내부 중심선과 동일 중심선상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기타 내용물(12)의 주입과 동시에 돼지창자(11) 내부의 중심선 방향으로 당면(13)을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당면주입부재(50)에는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30)를 구성하는 커버(36)상의 설치공(38)을 통하여 용기(35)의 상방 내측으로 끼워져 설치되는 당면주입통(51)이 마련된다.
상기 당면주입통(51)의 후방으로부터 내측으로는 실린더(52)의 작용에 의하여 내외방향으로 직선이동되는 피스톤로드(53)가 끼워져 설치되며, 그 선단부에는 당면주입통(51)내부에 채워진 당면(13)을 밀어내는 피스톤(54)이 결합된다.
상기 피스톤로드(53)의 내부의 중심선을 따라 외부의 컴프레셔와 연결된 관통공(55)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54)의 선단면 중심에는 상기 피스톤로드(53)상의 관통공(55)의 개폐상태를 제어하는 공기밸브(56)가 탄력설치된다.
상기 공기밸브(56)는 외측이 넓고 안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밸브몸체 (56a)와, 상기 밸브몸체(56a)의 내측 중심으로부터 연장되는 스프링끼움봉(56b)과, 상기 스프링끼움봉(56b)에 끼워진 상태에서 바깥쪽 끝은 상기 스프링끼움봉(56b)에 고정되고, 안쪽 끝은 피스톤(54)에 고정되어 항상 바깥쪽으로 작용하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56c)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당면공급부재(60)는 당면주입부재(50)와 서로 연통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당면주입부재(50) 내부로 당면(13)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당면공급부재(60)에는 당면주입부재(50)를 구성하는 당면주입통(51)의 내부와 연통되게 결합되는 당면공급통(61)이 마련된다.
상기 당면공급통(61)의 상부 일측에는 호퍼(62)가 결합되고, 상기 당면공급통(61)의 내부에는 모터 등 외부의 구동장치로부터 인가되는 동력에 의하여 정해진 방향으로 제자리 회동되면서 당면공급통(61)내의 당면(13)을 당면주입통(51)으로 공급하는 이송스크류(63)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팅부재(70)는 돼지창자(11)의 전방 이송끝부분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30)와 당면주입부재(50)의 작용에 의하여 기타 내용물(12)과 당면(13)이 채워진 돼지창자(순대)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순대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순대를 제조하는 동작 초기상태의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순대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순대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당면과 기타 내용물이 돼지 창자에 채워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또,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순대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순대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커팅부재가 하강하여 당면과 기타 내용물이 채워진 돼지창자를 절취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순대제조장치에서 커팅부재에 의하여 돼지창자가 철취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또,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순대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순대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순대제조장치(10)를 이용하여 순대를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당면(13)과 기타 내용물(12)을 따로 따로 준비한 다음, 기타 내용물(12)은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30)를 구성하는 용기(35)의 내부에 채우고, 당면(13)은 당면공급부재(60)를 구성하는 호퍼(62)를 통하여 당면공급통(61)의 내부에 채운다(도 5참조).
또한, 깨끗하게 세척한 돼지창자(11)를 돼지창자공급부재(20)를 구성하는 로드(22)에 끼운다.
이와 같은 준비과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돼지창자공급부재(20)를 구성하는 로드(22)상의 관통공(23)과 연결된 진공펌프를 작동시켜 부압을 인가하면, 로드(22)에 끼워진 돼지창자(11)의 선단부가 로드(22)의 선단부에 결합된 가이드원통(24) 외측 둘레면의 흡착공(26)에 흡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21)에 유압 또는 공압을 인가하면, 로드(22)가 전방으로 직선이동되어 그 선단부가 돼지창자흡착부재(40)를 구성하는 덮개판(44) 중심의 돼지창자끼움공(45)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상기 로드(22)에 끼워진 돼지창자(11)의 선단부가 덮개판(44)상의 돼지창자끼움공(45)에 끼워지면, 고정편(41)상의 통공(43)과 연결된 진공펌프가 작동됨과 동시에 로드(22)의 관통공(23)과 연결된 진공펌프의 작동이 멈춰짐에 따라 상기 돼지창자(11)의 선단부는 고정편(41)의 공간부(42)내에서 외측으로 벌려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돼지창자(11)의 선단부가 부압에 의하여 벌려진 상태에서는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30)를 구성하는 하우징(31) 내부의 실린더(33)가 작동되어 피스톤(32)이 상승되고, 따라서 용기(35)내의 받침판(39)이 상승되면서 용기(35)내에 채워진 기타 내용물(12)은 커버(36)의 전면에 돌출된 토출구(37)를 통하여 밀려 나와 돼지창자(11)의 내부로 주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당면주입부재(50)를 구성하는 실린더(52)가 작동되어 피스톤로드(53) 및 피스톤(54)이 직선이동되면서 당면주입통(51) 내부에 채워진 당면(13)이 돼지창자(11)의 내부 중심으로 밀려 들어간다.
상기와 같은 당면주입과정에서 상기 피스톤로드(53) 및 피스톤(54)이 당면주입통(51)의 앞쪽으로 이동되면, 스프링(56c)의 작용에 의하여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공기밸브(56)는 당면에 의하여 눌리면서 닫혀진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피스톤로드(53)와 피스톤(54)이 앞쪽으로 이동되면서 당면(13)을 돼지창자의 중심선 안쪽으로 일어 넣게 되는 것이다.
한편, 피스톤(54)이 당면주입통(51)의 내측에서 그 작동거리의 끝점에 도달되면, 외부의 컴프레셔가 작동되면서 컴프레셔로부터 발생된 압축공기가 피스톤로드(53)상의 관통공(55)을 통하여 공급된다.
상기한 압축공기가 관통공(55)의 끝지점에 도달되면 그 압력과 스프링(56c)의 복원력에 의하여 밸브몸체(56a)가 외측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어 개방됨에 따라 압축공기가 당면주입통(51)의 선단부쪽으로 토출되며, 토출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당면(13)이 돼지창자(11)의 내측 깊숙히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실린더(52)가 역방향으로 작동되면, 상기 피스톤로드(53)와 피스톤(54)이 동시에 뒤쪽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당면주입통(51)의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는 상기 개방된 공기밸브(56)를 통하여 배출되며, 상기한 당면공급부재 (60)로부터 당면주입통(51) 내부로 다시 당면(13)이 공급되어 채워지며, 이와 같은 동작은 계속 반복된다.
이와 같은 당면(13)의 주입동작과 기타 내용물(12)의 주입동작은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당면(13)은 돼지창자(11)의 내부 중심선을 따라 채워지고, 기타 내용물(12)은 당면(13)의 둘레에 동심원상으로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도 9참조).
한편,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당면(13)과 기타 내용물(12)이 돼지창자(11)에 채워지는 과정에서 상기 돼지창자(11)의 내부에 끼워진 로드(22)는 실린더(21)의 작용에 의해 당면(13)과 기타 내용물(12)이 채워지는 길이만큼 물러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완료되면, 돼지창자흡착부재(40)를 구성하는 고정편(41)에 인가되는 부압이 차단됨과 동시에 외측에 설치된 커팅부재(70)가 작동되어 당면(13)과 기타 내용물(12)로 채워진 부분이 절단되어 다른 공정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절단되고 남은 돼지창자(11)의 선단부는 다시 로드(22)의 선단부에 결합된 가이드원통(24)에 흡착된 상태에서 돼지창자 흡착부재(40)쪽으로 직선이동되고, 이 후 공정은 위에서 기술한 순서에 의하여 다시 반복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당면주입통(51)에 대하여 당면(13)을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당면공급부재(60)를 구성하는 호퍼(62)를 통하여 준비된 당면(13)을 당면공급통 (61)내부로 공급하면서 상기 이송스크류(63)를 작동시키면 당면(13)이 당면주입통 (51) 내부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당면주입통(51)에 대한 당면공급은 피스톤(54)이 뒤쪽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돼지창자에 대한 당면과 기타 내용물의 공급이 완전히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순대제조공정이 매우 간편하며, 작업인원을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순대를 제조하는 경우에 당면은 순대의 내부 중심선을 따라 채워지고, 기타 내용물은 당면의 둘레에 동심원을 이루면서 채워지기 때문에 순대를 자르는 경우에 내용물이 흩으러지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순대제조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순대제조장치에 적용되는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순대제조장치에 적용되는 당면주입부재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순대제조장치에 적용되는 당면공급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순대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순대를 제조하는 동작 초기상태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순대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순대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당면과 기타 내용물이 돼지 창자에 채워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순대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순대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커팅부재가 하강하여 당면과 기타 내용물이 채워진 돼지창자를 절취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순대제조장치에서 커팅부재에 의하여 돼지창자가 철취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순대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순대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순대제조장치 11: 돼지창자
12: 기타 내용물 13: 당면
20: 돼지창자 공급부재 22: 로드
23: 관통공 24: 가이드원통
30: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 35: 용기
36: 커버 37: 토출구
40: 돼지창자 흡착부재 41: 고정편
44: 덮개판 45: 돼지창자끼움공
50: 당면주입부재 56: 공기밸브
60: 당면공급부재 63: 이송스크류
70:커팅부재.

Claims (8)

  1. 돼지창자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돼지창자의 앞부분을 흡착하고,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의 작용에 의하여 전후 직선이동되면서 돼지창자를 정해진 위치로 공급하는 돼지창자 공급부재(20)와;
    상기 돼지창자의 전방 이송끝 부분에서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며, 내부에는 돼지 선지와 혼합된 기타 내용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작동되는 피스톤의 작용에 의하여 기타 내용물을 돼지창자의 내부로 주입하는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30)와;
    상기 돼지창자의 전방이송끝 부분에 해당되는 상기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어 진공펌프에 의하여 인가되는 부압을 이용하여 공급된 돼지창자의 선단부를 외측에서 흡착하여 벌려주는 돼지창자 흡착부재(40)와;
    상기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의 내부 상방에서 돼지창자의 내부 중심선과 동일중심선상에 설치되어 피스톤과 압축공기의 미는 힘에 의해 기타 내용물의 주입과 동시에 돼지창자 내부의 중심선 방향으로 당면을 주입하는 당면주입부재(50)와;
    상기 당면주입부재와 연통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당면주입부재 내부에 당면을 공급하는 당면공급부재(60)와;
    상기 돼지창자의 전방 이송끝부분의 외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기타 내용물과 당면이 채워진 돼지창자(순대)를 소정의 길이로 절취하는 커팅부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대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돼지창자 공급부재(20)는 실린더의 작용에 의하여 전후 직선이동되도록 구성되며, 내부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외부의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관통공(23)이 형성된 소정 길이의 로드(Rod:22)와;
    상기 로드의 선단에 끼워져 결합되며, 전면의 중심부에 소정 크기의 요홈이 형성되고, 외측 둘레면에는 로드내부의 관통공과 연통되는 다수의 흡착공(26)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가이드원통(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대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30)는 지면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며, 상단가장자리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는 피스톤 및 실린더가 내장된 소정 형상의 하우징(31)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턱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소정 직경의 용기(35)와;
    상기 용기의 상단부에 씌워지며, 돼지창자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높이에 해당되는 전면에는 토출구가 돌출되고, 동일높이의 후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설치공이 형성된 커버(36)와;
    상기 용기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기타 내용물이 아랫쪽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피스톤의 상방향 작동시 기타 내용물을 윗쪽으로 밀어 올려주는 받침판(3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대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돼지창자 흡착부재(40)는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를 구성하는 커버상의 토출구(37) 둘레에 고정결합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의 둘레를 따라 외부의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통공이 형성된 고정편(41)과;
    상기 고정편의 둘레에 고정결합되며, 전면 중심부에는 소정 크기의 돼지창자끼움공이 형성된 덮개판(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대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면주입부재(50)는 기타 내용물 주입부재를 구성하는 커버상의 설치공을 통하여 용기의 상방 내측으로 끼워져 설치되는 당면주입통(51)과;
    상기 당면주입통의 후방으로부터 내측으로 끼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실린더의 작용에 의하여 내외방향으로 직선이동되며, 내부의 중심선을 따라 외부의 컴프레셔와 연결된 관통공이 형성된 피스톤로드(53)와;
    상기 피스톤로드의 선단에 결합되어 당면 주입통의 내부에 채워진 당면을 돼지창자쪽으로 밀어내는 피스톤(54)과;
    상기 피스톤의 선단면 중심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관통공을 통한 압축공기의 토출을 제어하는 공기밸브(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대제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면공급부재(60)는 당면주입부재를 구성하는 당면주입통의 내부와 연통되게 결합되는 당면공급통(61)과;
    상기 당면공급통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는 호퍼(62)와;
    상기 당면공급통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동력에 의하여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당면공급통내의 당면을 당면주입통으로 공급하는 이송스크류(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대제조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39)의 저면 중심부에는 소정 깊이의 결합홈(39a)이 형성되고, 하우징내부에 설치된 피스톤의 상면 중심에는 상기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돌기(3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대제조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밸브(56)는 외측이 넓고 안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밸브몸체(56a)와;
    상기 밸브몸체의 내측 중심으로부터 연장되는 스프링끼움봉(56b)과;
    상기 스프링끼움봉에 끼워진 상태에서 바깥쪽 끝은 상기 스프링끼움봉에 고정되고, 안쪽 끝은 피스톤에 고정되어 항상 바깥쪽으로 작용하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56c)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대제조장치.
KR10-2003-0056643A 2003-08-14 2003-08-14 순대제조장치 KR100528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643A KR100528048B1 (ko) 2003-08-14 2003-08-14 순대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643A KR100528048B1 (ko) 2003-08-14 2003-08-14 순대제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331U Division KR200333180Y1 (ko) 2003-08-14 2003-08-14 순대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245A KR20050018245A (ko) 2005-02-23
KR100528048B1 true KR100528048B1 (ko) 2005-11-15

Family

ID=3722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643A KR100528048B1 (ko) 2003-08-14 2003-08-14 순대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80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3222A (zh) * 2019-09-02 2019-11-05 胡鸿韬 一种食品加工用真空变压缓冲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817U (ko) * 1982-09-16 1984-05-17 삼성전자공업주식회사 텔레비젼의 라스타폭 자동조정회로
US5053239A (en) * 1988-01-28 1991-10-01 Food Systems Industries Oy, Ltd.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packaged sausage product and the packaged sausage product thereby
KR20000013531U (ko) * 1998-12-28 2000-07-15 이경환 통샌드위치순대제조기
KR200270913Y1 (ko) * 2001-12-24 2002-04-06 임창현 순대내용물 충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817U (ko) * 1982-09-16 1984-05-17 삼성전자공업주식회사 텔레비젼의 라스타폭 자동조정회로
US5053239A (en) * 1988-01-28 1991-10-01 Food Systems Industries Oy, Ltd.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packaged sausage product and the packaged sausage product thereby
KR20000013531U (ko) * 1998-12-28 2000-07-15 이경환 통샌드위치순대제조기
KR200270913Y1 (ko) * 2001-12-24 2002-04-06 임창현 순대내용물 충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245A (ko) 200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768761U (zh) 烧麦成型设备
KR101941496B1 (ko) 꼬치 제조장치
KR101034872B1 (ko) 국수 제조장치
JPH1194111A (ja) 粘性流体製品用の袋充填弁
KR200333180Y1 (ko) 순대제조장치
KR100528048B1 (ko) 순대제조장치
CN112400680A (zh) 一种果树种植定量施肥灌根装置
US6454559B1 (en) Food patty-molding apparatus having mold plate with multiple rows of cavities
JP4555908B2 (ja) 食肉加工装置
CN205146502U (zh) 自动喷液装置
KR100434223B1 (ko) 가축 방역용 자동주사기
CN211155417U (zh) 输送部件、输送装置和家用电器
KR100676380B1 (ko) 육류의 소스 주입장치
CN106064132B (zh) 一种去硅油滴的医用针针管硅化装置
KR102044922B1 (ko) 조리용기의 세척이 가능한 포장용 순대국 제조장치
CN205587264U (zh) 微量精确给液装置
KR100902307B1 (ko) 계란 가공장치
KR200460293Y1 (ko) 우모공급장치
CN204701818U (zh) 一种防漏料的酱料输送装置
KR900007992Y1 (ko) 제빵기의 내용물 정량공급장치
CN110447952B (zh) 一种负压填充式自动打烟机
CN214908494U (zh) 一种冲牙器及用于该冲牙器的送液件
KR20210059575A (ko) 팽창식 용기 주입 방식의 젤리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0171800Y1 (ko) 채혈침 자동제조장치
KR102459909B1 (ko) 팽창식 용기 주입 방식의 순두부 제조 방법 및 순두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