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496B1 - 꼬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꼬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496B1
KR101941496B1 KR1020180112554A KR20180112554A KR101941496B1 KR 101941496 B1 KR101941496 B1 KR 101941496B1 KR 1020180112554 A KR1020180112554 A KR 1020180112554A KR 20180112554 A KR20180112554 A KR 20180112554A KR 101941496 B1 KR101941496 B1 KR 101941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ewer
mold
alignment
target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민
Original Assignee
새롬에프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롬에프에스(주) filed Critical 새롬에프에스(주)
Priority to KR1020180112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10Securing foodstuffs on a non-edible support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6Putting meat on skew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Abstract

본 발명은 꼬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꼬치 대상물의 투입 및 정렬 구조를 개선하고, 꼬치 대상물을 관통 하는 꼬챙이의 인출 구조를 개선한 꼬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꼬치 대상물이 투입되는 안치공간이 형성된 몰드;와, 상기 몰드에 꼬치 대상물을 투입하는 꼬치 대상물 투입부;와, 투입된 꼬치 대상물을 정렬시키는 꼬치 대상물 정렬부;와, 꼬치 대상물에 꼬챙이를 관통 결합하는 꼬챙이 결합부;와, 상기 꼬챙이를 일정 간격으로 공급하기 위한 꼬챙이 정렬부;를 포함하되, 상기 꼬치 대상물 투입부는, 일정 용량을 갖는 함체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꼬치 대상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방에 배치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꼬치 대상물을 일정 간격으로 상기 몰드로 투입하는 배출드럼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꼬치 제조장치{Skewer manufacturing equipment}
본 발명은 꼬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꼬치 대상물의 투입 및 정렬 구조를 개선하고, 꼬치 대상물을 관통 하는 꼬챙이의 인출 구조를 개선한 꼬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꼬치는 어묵, 닭고기, 돼지 고기, 양고기, 야채 등의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취식함에 있어 음식물을 직접 접촉하지 않고 나무나 금속으로 이루어진 꼬챙이에 끼운 후 이를 불에 굽거나 물, 육수 등과 함께 끓여서 조리 및 취식하는 것으로, 조리가 간단하고 취식이 용이하며 다양한 음식물을 하나의 꼬챙이에 끼워서 한 번에 다양한 음식물을 취식할 수 있는 음식이다.
이러한 꼬치는 어묵, 닭고기, 돼지 고기, 양고기, 야채(이하, ‘꼬치 대상물’이라 함)를 꼬챙이에 끼워야 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으로, 꼬챙이는 꼬치 대상물에 관통이 용이하도록 선단부가 뾰족한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꼬챙이에 꼬치 대상물을 끼우는 준비 과정 중 뾰족한 선단부에 의해 작업자의 손이 찔리는 사고가 발생하고, 이러한 준비 과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크게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3138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3321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함)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 1은 ‘꼬챙이 정렬 투입 기능이 구비된 꼬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꼬챙이를 위한 정렬작업, 공급 구조를 개선한 것이나, 꼬챙이 정렬부재로부터 배출되는 꼬챙이가 연속적으로 맞닿은 상태인 경우 배출되는 꼬챙이도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바 드럼에 형성된 안착홈에 1개의 꼬챙이만 독립적으로 안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드럼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안착홈에 안착된 꼬챙이가 안착홈으로부터 추락하는 문제점이 있어 꼬챙이의 안정적인 공급이 어렵고 추락한 꼬챙이에 의해 꼬챙이 정렬부재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종래기술2는 ‘형틀 투입형 꼬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종래기술 1을 개선한 것이나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했고, 꼬챙이를 정렬 및 투입시키는 과정에서 추락한 꼬챙이에 의해 꼬챙이 투입수단 및 정렬수단의 고장이 발생하여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고 이는 생산성이 하락하는 주요한 원인이 되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3138호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332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꼬치 제조장치에서 꼬치 대상물을 투입 및 정렬하는 구조를 개선하여 정량 투입 및 정위치 대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꼬챙이의 정렬 및 투입시 꼬챙이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꼬치의 생산이 가능한 꼬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꼬치 대상물의 투입 및 정렬을 자동화하여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제조된 꼬치의 정량을 보장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꼬치 대상물이 투입되는 몰드를 세척 및 살균하는 수단이 더 구비되어 위생적인 꼬치의 제조가 가능한 꼬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꼬치 대상물이 투입되는 안치공간이 형성된 몰드;와, 상기 몰드에 꼬치 대상물을 투입하는 꼬치 대상물 투입부;와, 투입된 꼬치 대상물을 정렬시키는 꼬치 대상물 정렬부;와, 꼬치 대상물에 꼬챙이를 관통 결합하는 꼬챙이 결합부;와, 상기 꼬챙이를 일정 간격으로 공급하기 위한 꼬챙이 정렬부;를 포함하되, 상기 꼬치 대상물 투입부는, 일정 용량을 갖는 함체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꼬치 대상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방에 배치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꼬치 대상물을 일정 간격으로 상기 몰드로 투입하는 배출드럼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드럼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결합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개의 분할판 및 상기 구획판의 선단부에 구비된 낙하방지편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꼬치 대상물 정렬부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승강시키기 위한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플레이트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몰드의 상면에 지나가면서 상측으로 돌출된 꼬치 대상물을 몰드에 형성된 안치공간 또는 과투입된 꼬치 대상물을 몰드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정렬바와, 상기 정렬바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변위수단과, 상기 정렬바를 승강시키기 위한 실린더 및 꼬치 대상물 정렬시 몰드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유동방지편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꼬챙이 결합부는, 상기 몰드의 상부를 덮고 꼬챙이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승강수단 및 꼬챙이를 상기 몰드측으로 가압하는 꼬챙이 가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커버에는, 꼬치 대상물과 맞닿는 면에 다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하면에 연속적인 톱니가 형성되어 맞닿는 꼬치 대상물을 가압하는 가압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꼬챙이 정렬부는, 다수개의 꼬챙이가 저장되고, 저장된 꼬챙이가 이동하는 통로 및 상기 통로의 단부에 형성된 배출구가 구비된 꼬챙이 다발 저장구와, 상기 꼬챙이 다발 저장구에서 인출된 꼬챙이를 일정한 속도로 운반하기 위한 꼬챙이 정렬드럼과, 상기 통로에 형성된 결합공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꼬챙이 인출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꼬챙이 정렬드럼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와 이에 연결된 구동축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지고, 테두리에 꼬챙이가 안치되는 꼬챙이 장전홈이 형성되고, 상기 꼬챙이 장전홈의 개구된 양단부 중 어느 일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꼬챙이 인출수단과 맞닿아 이를 상승시키는 가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꼬챙이 인출수단은, 상기 통로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개폐구와, 상기 개폐구에 형성되어 상승시 상기 통로와 연통되어 꼬챙이가 이동하고 하강시 상기 통로와 단절되는 인출공과, 상기 개폐구를 하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꼬치 대상물 투입부 및 꼬치 대상물 정렬부를 통해 몰드에 투입되는 꼬치의 정량 및 위치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꼬챙이 결합부를 통해 꼬챙이의 정확하고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며, 나아가 꼬치 대상물의 표면에 다양한 무늬 및 조리용 홀 그리고 제조자 또는 구매자의 요청에 따라 문자 및 로고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만의 독창적인 꼬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꼬챙이 정렬부를 통해 일정 간격으로 꼬챙이를 공급할 수 있고, 여기서 운반 중인 꼬챙이가 외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꼬치 제조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꼬치 대상물 투입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드럼을 도시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꼬치 대상물 정렬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꼬챙이 결합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꼬챙이 정렬부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꼬챙이 정렬드럼의 회전 상태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꼬치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꼬치 제조장치(1)는, 꼬치 대상물(S)이 투입되는 몰드(10)와, 상기 몰드(10)에 꼬치 대상물(S)을 투입하는 꼬치 대상물 투입부(20)와, 투입된 꼬치 대상물을 정렬시키는 꼬치 대상물 정렬부(30)와, 꼬치 대상물(S)에 꼬챙이(B)를 관통 결합하는 꼬챙이 결합부(40)와, 상기 꼬챙이(B)를 일정간격으로 공급하기 위한 꼬챙이 정렬부(50)와, 제조된 꼬치를 저장하는 저장부(60) 및 비어 있는 몰드(10)를 세척 및 살균하는 세척 및 살균부(70)를 포함한다.
상기 몰드(10)는, 꼬치 대상물(S)이 투입 및 정렬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1의 확대 원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태를 가지고 다수의 꼬치 대상물(S)이 투입되는 안치공간(12)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공간(12)을 일정한 면적을 가지도록 구획하며 꼬챙이(B)가 통과하는 관통홈(13)이 형성된 격벽(11)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몰드(10)의 하단에는 상기 몰드(10)를 하방에서 지지하고 컨베이어 벨트(C)에 결합되는 베이스(14)가 더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4)는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컨베이어 벨트(C)에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나사(도면 중 미도시됨)가 더 구비되고, 상기 몰드(10)가 결합하는 몰드 결합공(141) 및 상기 몰드 결합공(141)에 배치되어 몰드(1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142)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4)는 컨베이어 벨트(C)의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 외부 충격 또는 후술하는 꼬치 대상물 정렬부(30)의 구동 중 상기 스프링(142)의 탄성력을 통해 몰드(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여기서 상기 몰드 결합공(141)은 상기 몰드(10)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몰드(10)가 몰드 결합공(141)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도 4 참조)
상기 꼬치 대상물 투입부(20)는, 상기 몰드(10)에 꼬치 대상물(S)을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꼬치 대상물(S)이 저장된 호퍼(21)와, 상기 호퍼(21)의 하방에 배치되는 배출드럼(22)을 포함한다.
상기 호퍼(21)는, 일정 용량을 갖는 함체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꼬치 대상물(S)이 배출되는 배출구(212)가 형성된 것으로, 여기서 상기 배출구(212)에는 꼬치 대상물(S)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커버(도면 중 미도시됨)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면서 일정 간격으로 개방 및 폐쇄 동작이 반복되는 것으로 이러한 동작은 컨베이어 벨트(C)의 이동속도 등을 고려하여 제어되고, 이러한 제어부의 동작 및 구성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상세한 것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호퍼(21)의 내부에는 저장된 꼬치 대상물(S)을 다수의 배출구(212)측으로 분기시키기 위한 내벽(211)이 더 구비된다.
상기 내벽(211)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되, 상방으로 돌출된 면이 인접한 배출구(212)를 향해 하방으로 넓어지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방에 저장된 꼬치 대상물(S)을 다수의 배출구(212)측으로 분기시키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배출드럼(22)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221)와, 상기 모터(221)와 결합된 회전축(222) 및 상기 회전축(2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회전축(222)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구획판(223)과, 상기 구획판(2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개의 분할판(224)과, 상기 구획판(223)의 선단부에 구비된 낙하방지편(225)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221) 및 회전축(222)은 인가된 전원을 통해 구동하는 모터 및 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모터는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어 또는 감속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223)은 상기 회전축(2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다수개가 회전축(222)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인접한 구획판(223)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호퍼(21)로부터 배출되는 꼬치 대상물(S)이 투입된다.
여기서 상기 구획판(223)의 표면 즉, 꼬치 대상물(S)이 맞닿는 면은 표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돌출돌기(223a)가 형성되어 투입된 꼬치 대상물(S)이 구획판(223)의 표면에 밀착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꼬치 대상물(S)에는 수분이 포함되어 있는 상태에서 구획판(223)의 표면과 닿는 면적이 넓을 경우 여기에 밀착되어 배출되지 않을 수 있는데, 상기 돌출돌기(223a)를 통해 꼬치 대상물(S)과 구획판(223)이 닿는 면적을 점접촉 형태로 닿게 하여 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분할판(224)은 상기 구획판(2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구획판(223)에 투입되는 꼬치 대상물(S)을 상기 몰드(10)에 형성된 안치공간(12)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별적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분할판(224)에 의해 형성된 공간은 상기 호퍼(21)에 형성된 배출구(212)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도 2a 참조)
상기 낙하방지편(225)은 상기 구획판(223)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배출드럼(22)이 회전하는 과정 중 꼬치 대상물(S)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배출드럼(22)은 모터 및 회전축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여기에 꼬치 대상물이 구획판(223) 및 분할판(224)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투입된 상태로 회전하던 중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하방으로 낙하한다.
여기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낙하방지편(225)을 통해 꼬치 대상물(S)이 낙하하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낙하하는 위치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꼬치 대상물(S)이 배출드럼(22)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꼬치 대상물 정렬부(30)는, 몰드(10)에 투입된 꼬치 대상물(S)을 정렬시키기 위한 것으로, 플레이트(31)와, 상기 플레이트(31)를 승강시키기 위한 높이조절수단(32)과, 상기 플레이트(31)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몰드(10)의 상면에 지나가면서 상측으로 돌출된 꼬치 대상물을 몰드(10)에 형성된 안치공간(12) 또는 과투입된 꼬치 대상물(S)을 몰드(10)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정렬바(33)와, 상기 정렬바(33)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변위수단(34)과, 상기 정렬바(33)를 승강시키기 위한 실린더(35) 및 꼬치 대상물 정렬시 몰드(10)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유동방지편(36)을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31)는 몰드(10)의 상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편평한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높이조절수단(32)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한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수단(32)은 모터 또는 실린더 등에 의해 구동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구성과 사용하는 장치에 대하여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정렬바(33)는 상기 플레이트(31)의 하방에 배치되어 플레이트(31)의 승강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며, 몰드(10)의 상면을 지나가면서 몰드(10)에 투입된 꼬치 대상물(S)을 정렬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정렬바(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드(10)의 좌우 폭 또는 몰드에 형성된 안치공간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한 한 쌍의 안치공간을 덮는 위치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후술하는 변위수단(34)을 통해 몰드(10)의 상면을 지나가면서 안치공간(12)으로부터 돌출된 꼬치 대상물(S)을 밀어낸다.
이때, 상기 정렬바(3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행 방향의 단부가 선단을 향할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꼬치 대상물(S)과 맞닿을 때 발생하는 저항력을 줄여 정렬바(33)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정렬바(33)를 몰드(10)의 상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변위수단(34)은 상기 플레이트(31)의 하면에 배치된 LM레일(34a)과 상기 LM레일(34a)에 맞물리며 상기 정렬바(33)와 결합된 LM블럭(34b)를 포함한다. 이러한 변위수단(34)은 제어부를 통해 동작이 제어되면서 정렬바(33)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그리고, 상기 LM블럭(34b)와 정렬바(33) 사이에는 정렬바(33)의 위치를 미세 조절하기 위한 실린더(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35)는 몰드(10) 또는 몰드(10)에 투입된 꼬치 대상물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수단(32)에 의해 하강한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 상기 실린더(35)를 구동하여 정렬바의 위치를 조절한다.
또한, 하나의 꼬챙이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꼬치 대상물이 다양한 종류로 투입되는 경우 각각의 꼬치 대상물의 투입위치를 미리 제어부에 입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꼬치 대상물의 높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35)를 구동하여 정렬바(33)가 꼬치 대상물의 상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이동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유동방지편(36)은 상기 플레이트(31)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막대(bar) 형태로 배치되어 꼬치 대상물을 정렬하는 동작 중 몰드(10)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이때 상기 유동방지편(36)에는 몰드(10)와 맞닿는 면에 실리콘, 우레탄, 고무 등과 같이 탄성력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진 쿠션체(361)가 더 배치되어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다.
상기 유동방지편(36)은 컨베이어 벨트(C)를 통해 이동하는 몰드(10)가 일시 정지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작용/반작용에 의한 힘 및 이로 인한 진동에 의해 몰드(1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정렬바(33)의 이동 및 이를 통한 꼬치 대상물의 동작에서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꼬챙이 결합부(40)는, 몰드(10)에 투입된 꼬치 대상물(S)을 꼬챙이(B)를 통해 일체로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몰드(10)의 상부를 덮고 꼬챙이(B)가 관통하는 관통공(411)이 형성된 커버(41)와, 상기 커버(41)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승강수단(42) 및 꼬챙이 가압수단(43)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4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몰드(10)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일단에 꼬챙이(B)가 관통 하는 관통공(411)이 형성되며, 상기 몰드(10) 더 정확하게는 상기 몰드(10)에 투입된 꼬치 대상물(S)과 맞닿는 위치에 꼬치 대상물(S)을 가압하는 가압구(412)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구(41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꼬치 대상물(S)과 맞닿는 면에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하면에 연속적인 톱니가 형성되어 맞닿는 꼬치 대상물(S)을 가압함과 동시에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거나 조리용 홀(hole)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구(412)의 하면에 톱니이외에 삼각, 사각 형태의 격자 형태로 짜인 와이어 또는 봉을 배치하여 꼬치 대상물을 표면에 다양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승강수단(42)은 커버(41)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적인 신호 및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부(421) 및 상기 구동부(421)에 배치된 LM가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승강수단(42)은 상기 커버(41)의 상방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바(422)와, 상기 지지바(422)와 커버(41)를 연결하는 결합구(423) 및 상기 지지바(422)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판(42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바(422)는 커버(41)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커버(41)의 상방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구동부(421)에 결합되어 구동부(421)의 동작에 의해 승강한다.
상기 지지바(422)는 상기 커버(41)가 승강시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커버(41)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또는 커버(41)의 무게가 증가할수록 승강 중 구동부(421)로부터 먼 단부가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판(424)에는 지지바(422)가 관통 삽입되어 지지바(422)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도면 중 도시된 바로는 가이드판(424)이 상기 커버(41)의 상면에 1개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다수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꼬챙이 가압수단(43)은 몰드(10)에 꼬챙이(B)를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꼬챙이가 나란히 배치된 상태에서 실린더 등을 통해 꼬챙이를 몰드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꼬챙이 가압수단(43)은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구조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꼬챙이 정렬부(50)는, 상기 꼬챙이 가압수단(43)에 일정한 속도로 꼬챙이(B)를 공급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꼬챙이(B)가 저장된 꼬챙이 다발 저장구(51)와, 상기 꼬챙이 다발 저장구(51)에서 인출된 꼬챙이를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꼬챙이 정렬드럼(52)과, 상기 꼬챙이 다발 저장구(51)에 배치된 꼬챙이 인출수단(53)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 7은 하나의 꼬챙이 다발 저장구(51)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꼬챙이 정렬부(50)는 다수개의 꼬챙이가 동시에 인출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꼬챙이 다발 저장구(51)와 상기 정렬드럼(52) 및 꼬챙이 인출수단(53)이 하나의 셋트를 구성하고 이러한 셋트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다수개 배치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하나의 셋트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각각의 셋트가 동시 또는 시간차이를 두고 꼬챙이를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꼬챙이 다발 저장구(51)는, 저장공간(511)이 형성된 함체로 이루어지며 꼬챙이(B)가 인출되는 인출구(512)와 상기 저장공간(511)을 연결하는 통로(513)를 포함한다.
상기 통로(513)는 저장공간(511)에서 인출구(512)를 연결하여 꼬챙이가 이동하는 것으로, 여기서 상기 인출구(512)와 근접한 위치에 상기 꼬챙이 인출수단(53)이 배치되는 결합공(5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514)에는 후술하는 개폐구(531)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515)이 더 형성된다.
상기 정렬드럼(52)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도면 중 미도시됨)와 이에 연결된 구동축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지고, 테두리에 꼬챙이(B)가 안치되는 꼬챙이 장전홈(521)과 상기 꼬챙이 장전홈(521)과 인접하여 형성되되 정렬드럼(52)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가압돌기(52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정렬드럼(52)은 도면 중 미도시 되었지만, 상기 꼬챙이(B)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어 꼬챙이(B)를 운반하는 과정에서 꼬챙이가 기울어지거나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꼬챙이 장전홈(521)은 정렬드럼(52)의 테두리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한 쌍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된 도면은 하나의 실시예이다.
그리고 상기 꼬챙이 장전홈(521)에는 운반 중인 꼬챙이가 회전 중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편(523)이 더 형성되되, 상기 이탈 방지편(523)은 꼬챙이 장전홈(521)의 개구된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서 꼬챙이 장전홈(521)의 중앙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꼬챙이(B)는 꼬챙이 장전홈(521)에 최초 투입된 상태(도 8의 (a))에서 정렬드럼(52)의 회전 중 정렬드럼(52)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되는데, 여기서 상기 이탈 방지편(523)에 의해 꼬챙이(B)의 이탈/낙하를 방지한다.(도 8의 (b)) 그리고, 최종 배출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꼬챙이(B)는 이탈 방지편(523)을 벗어나 정렬드럼(52)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이다.(도 8의 (c))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한 정렬드럼(52)에서 운반 중인 꼬챙이(B)는 최종 배출지점에 도달하기 전에는 이탈 방지편(523)에 의해 정렬드럼(52)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고, 최종 배출지점에 도달하면 정렬드럼(52)에서 배출되기 때문에 일정한 속도로 꼬챙이를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꼬챙이 인출수단(53)은 상기 꼬챙이 다발 저장구(51)의 통로(513)에 형성된 결합공(514)에 배치되어 통로(513)를 유입된 꼬챙이(B)를 1개씩 인출구(512)를 통해 배출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통로(513)에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개폐구(531)와, 상기 개폐구(531)에 형성되어 꼬챙이가 이동하는 인출공(532)과, 상기 개폐구(53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체(533)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구(531)는 상기 통로(513)에 형성된 결합공(514)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정렬드럼(52)에 형성된 가압돌기(522)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타단은 상기 결합공(514)에 형성된 걸림턱(515)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이 제한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개폐구(53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드럼(52)에 형성된 가압돌기(522)에 맞닿아 상승하고, 정렬드럼(52)의 회전에 의해 가압돌기(522)가 이격되면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구(531)에 형성된 인출공(532)은 개폐구(531)의 상승시 꼬챙이(B)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인출공(532)은 개폐구(531)가 상승시 상기 통로(513)와 연통되고 개폐구(531)가 하강시 일부가 상기 결합공(514)측으로 매립되어 통로(513)와 단절됨으로써 꼬챙이(B)의 이동을 제한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533)는 일단은 개폐구(531)의 일단에 맞닿고 타단은 결합공(514)에 맞닿아 개폐구(531)를 하방으로 지지하는 탄성력을 형성하는 것으로, 형성된 탄성력을 통해 상승한 개폐구(531)를 하방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정렬드럼(52)의 회전에 의해 가압돌기(522)가 이격되는 순간 탄성체(533)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구(531)는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고, 동시에 상기 인출공(532)이 통로(513)와 단절됨으로써 꼬챙이의 이동을 제한한다.
상기 저장부(60)는, 꼬챙이가 꽂아진 상태, 즉 완성된 꼬치가 몰드로부터 배출되면 이를 저장하는 것으로, 저장조(62)와 상기 저장조(62)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저장조(62)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안내부재(6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 및 살균부(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된 꼬치가 배출된 몰드, 즉 비어 있는 몰드를 세척 및 살균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세척박스(71)와, 상기 몰드(10)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노즐(72)과, 상기 몰드를 살균하기 위한 자외선을 방사하는 살균램프(73)와, 분사된 세척수를 수거하는 세척수 수거조(74) 및 몰드(10)에 맞닿아 잔존하는 꼬치 대상물, 먼지 등을 털어내는 브러쉬(75)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박스(71)는 세척 및 살균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외부와 차단된 공간을 형성하는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몰드 및 컨베이어 벨트가 이동하는 출입구가 세척박스(71)의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세척노즐(72)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몰드(10)를 향해 분사하는 것으로, 여기서 세척수는 인체에 무해하며 동시에 살균 효과가 있으면 사용 가능한 것으로, 일 예로 식품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사용하는 정제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살균램프(73)는 몰드(10)에 방전(妨電)에 의하여 생기는 자외선을 방사하는 것으로, 이러한 자외선램프(UV램프)와 관련된 효과 및 구조는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세척수 수거조(74)는 세척박스(71)의 하방에 배치되어 세척노즐(72)에서 분사되어 몰드를 세척한 세척수를 수거하기 위한 수조이다. 여기서 상기 수거조에는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망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필터망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브러쉬(7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부(60)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완성된 꼬치를 배출한 몰드와 맞닿아 잔존하는 이물질 등을 털어낸다. 여기서 도면 중 도시된 바로는 한 쌍이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다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러쉬(75)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동작될 수 있으나 맞닿은 몰드(10)의 이동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본 발명에 따른 꼬치 제조장치
10 : 몰드
11 : 격벽 12 : 안치공간
13 : 관통홈 14 : 베이스
20 : 꼬치 대상물 투입부
21 : 호퍼 22 : 배출드럼
221 : 구동모터 222 : 회전축
223 : 구획판 224 : 분할판
225 : 낙하방지편
30 : 꼬치 대상물 정렬부
31 : 플레이트 32 : 높이조절수단
33 : 정렬바 34 : 변위수단
35 : 실린더 36 : 유동방지편
40 : 꼬챙이 결합부
41 : 커버
411 : 관통공 412 : 가압구
42 : 승강수단 43 : 꼬챙이 가압수단
50 : 꼬챙이 정렬부
51 : 꼬챙이 다발 저장구
511 : 저장공간 512 : 인출구
513 : 통로 514 : 결합공
515 : 걸림턱
52 : 꼬챙이 정렬드럼
521 : 꼬챙이 장전홈 522 : 가압돌기
523 : 이탈 방지편
53 : 꼬챙이 인출수단
531 : 개폐구 532 : 인출공
533 : 탄성체
60 : 저장부 70 : 세척 및 살균부
71 : 세척박스 72 : 세척노즐
73 : 살균램프 74 : 세척수 수거조
75 : 브러쉬

Claims (7)

  1. 꼬치 대상물이 투입되는 안치공간(12)이 형성된 몰드(10);와,
    상기 몰드(10)에 꼬치 대상물을 투입하는 꼬치 대상물 투입부(20);와,
    투입된 꼬치 대상물을 정렬시키는 꼬치 대상물 정렬부(30);와,
    꼬치 대상물에 꼬챙이를 관통 결합하는 꼬챙이 결합부(40);와,
    상기 꼬챙이를 일정 간격으로 공급하기 위한 꼬챙이 정렬부(50);를 포함하되,
    상기 꼬치 대상물 투입부(20)는,
    일정 용량을 갖는 함체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꼬치 대상물이 배출되는 배출구(212)가 형성된 호퍼(21)와,
    상기 호퍼(21)의 하방에 배치되며 모터(221)에 의해 회전하면서 꼬치 대상물을 일정 간격으로 상기 몰드(10)로 투입하는 배출드럼(22)을 포함되,
    상기 배출드럼(22)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221)와,
    상기 모터(221)와 결합된 회전축(222)과,
    상기 회전축(2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회전축(222)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구획판(223)과,
    상기 구획판(2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개의 분할판(224) 및
    상기 구획판(223)의 선단부에 구비된 낙하방지편(225)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꼬치 대상물 정렬부(30)는,
    플레이트(31)와,
    상기 플레이트(31)를 승강시키기 위한 높이조절수단(32)과,
    상기 플레이트(31)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몰드(10)의 상면에 지나가면서 상측으로 돌출된 꼬치 대상물을 몰드(10)에 형성된 안치공간(12) 또는 과투입된 꼬치 대상물(S)을 몰드(10)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정렬바(33)와,
    상기 정렬바(33)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변위수단(34)과,
    상기 정렬바(33)를 승강시키기 위한 실린더(35) 및 꼬치 대상물 정렬시 몰드(10)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유동방지편(36)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꼬챙이 결합부(40)는,
    상기 몰드(10)의 상부를 덮고 꼬챙이가 관통하는 관통공(411)이 형성된 커버(41)와,
    상기 커버(41)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승강수단(42) 및
    꼬챙이를 상기 몰드(10)측으로 가압하는 꼬챙이 가압수단(43)을 포함하되,
    상기 커버(41)에는,
    꼬치 대상물(S)과 맞닿는 면에 다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하면에 연속적인 톱니가 형성되어 맞닿는 꼬치 대상물(S)을 가압하는 가압구(4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꼬챙이 정렬부(50)는,
    다수개의 꼬챙이(B)가 저장되고, 저장된 꼬챙이가 이동하는 통로(513) 및 상기 통로(513)의 단부에 형성된 인출구(512)가 구비된 꼬챙이 다발 저장구(51)와,
    상기 꼬챙이 다발 저장구(51)에서 인출된 꼬챙이를 일정한 속도로 운반하기 위한 꼬챙이 정렬드럼(52)과,
    상기 통로(513)에 형성된 결합공(514)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꼬챙이 인출수단(53)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꼬챙이 정렬드럼(52)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와 이에 연결된 구동축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지고,
    테두리에 꼬챙이(B)가 안치되는 꼬챙이 장전홈(521)이 형성되고,
    상기 꼬챙이 장전홈(521)의 개구된 양단부 중 어느 일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꼬챙이 인출수단(53)과 맞닿아 이를 상승시키는 가압돌기(5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꼬챙이 인출수단(53)은,
    상기 통로(513)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개폐구(531)와,
    상기 개폐구(531)에 형성되어 상승시 상기 통로(513)와 연통되어 꼬챙이가 이동하고 하강시 상기 통로(513)와 단절되는 인출공(532)과,
    상기 개폐구(531)를 하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533)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장치.
KR1020180112554A 2018-09-20 2018-09-20 꼬치 제조장치 KR101941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554A KR101941496B1 (ko) 2018-09-20 2018-09-20 꼬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554A KR101941496B1 (ko) 2018-09-20 2018-09-20 꼬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496B1 true KR101941496B1 (ko) 2019-01-23

Family

ID=65280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554A KR101941496B1 (ko) 2018-09-20 2018-09-20 꼬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49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0867A (zh) * 2019-05-19 2019-08-09 上海致元自动化科技有限公司 制串机
KR102040718B1 (ko) 2019-08-30 2019-11-05 강석창 꼬치 자동 꽂이 장치
CN111328862A (zh) * 2020-04-02 2020-06-26 荣成泰祥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化高效串丸装置
KR20210063031A (ko) 2019-11-22 2021-06-01 류의석 꼬치성형장치
KR20210084932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아워홈 꼬치어묵 제조시스템
KR20220042643A (ko) 2020-09-28 2022-04-05 강미현 꼬치 식품의 양산이 가능한 몰드 어셈블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2961A (ja) * 1998-07-17 2000-02-02 Kibun Foods Inc 板状食品材料の供給手段を有する食品製造装置
JP2005229908A (ja) * 2004-02-19 2005-09-02 Hitoshi Kamata キリタンポ製造装置
KR100923138B1 (ko) 2009-03-10 2009-10-23 (주)이에스푸드 꼬챙이 정렬 투입 기능이 구비된 꼬치 제조장치
KR100958742B1 (ko) * 2009-03-10 2010-05-20 (주)이에스푸드 형틀 투입형 꼬치 제조장치
KR101113321B1 (ko) 2009-10-21 2012-03-13 (주)이에스푸드 형틀 투입형 꼬치 제조장치
KR101745549B1 (ko) * 2017-01-26 2017-06-12 농업회사법인 행복(주) 꼬치 제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2961A (ja) * 1998-07-17 2000-02-02 Kibun Foods Inc 板状食品材料の供給手段を有する食品製造装置
JP2005229908A (ja) * 2004-02-19 2005-09-02 Hitoshi Kamata キリタンポ製造装置
KR100923138B1 (ko) 2009-03-10 2009-10-23 (주)이에스푸드 꼬챙이 정렬 투입 기능이 구비된 꼬치 제조장치
KR100958742B1 (ko) * 2009-03-10 2010-05-20 (주)이에스푸드 형틀 투입형 꼬치 제조장치
KR101113321B1 (ko) 2009-10-21 2012-03-13 (주)이에스푸드 형틀 투입형 꼬치 제조장치
KR101745549B1 (ko) * 2017-01-26 2017-06-12 농업회사법인 행복(주) 꼬치 제조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0867A (zh) * 2019-05-19 2019-08-09 上海致元自动化科技有限公司 制串机
KR102040718B1 (ko) 2019-08-30 2019-11-05 강석창 꼬치 자동 꽂이 장치
KR20210063031A (ko) 2019-11-22 2021-06-01 류의석 꼬치성형장치
KR20210084932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아워홈 꼬치어묵 제조시스템
KR102399215B1 (ko) * 2019-12-30 2022-05-18 주식회사 아워홈 꼬치어묵 제조시스템
CN111328862A (zh) * 2020-04-02 2020-06-26 荣成泰祥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化高效串丸装置
KR20220042643A (ko) 2020-09-28 2022-04-05 강미현 꼬치 식품의 양산이 가능한 몰드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496B1 (ko) 꼬치 제조장치
US20200029578A1 (en) Spiral cooking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NO151727B (no) Oppvaskmaskin
KR101679624B1 (ko) 애벌 일체형 식판 전용 세척시스템
KR101509626B1 (ko) 버섯 재배 포트병용 에어 탈병장치
US8827775B2 (en) Device for removing material from feet of poultry
KR102143204B1 (ko) 멸치자숙용 발 세척장치
JP2004184182A (ja) 分注チップ自動供給装置
US7644710B2 (en) Grill
CN108568241A (zh) 一种真空冷冻干燥机的搁板
CN111012219A (zh) 智能烹饪设备
CN211862593U (zh) 智能烹饪设备
KR100933789B1 (ko) 떡 성형장치
CN211862594U (zh) 智能烹饪设备
CN212591581U (zh) 蒸饭设备
KR200442653Y1 (ko) 레일형 호퍼가 설치된 농산물 세척기
CN111012221A (zh) 智能烹饪设备
CN111012225A (zh) 横移进料机构
CN111012218A (zh) 智能烹饪设备
CN111059823A (zh) 预约式智能烹饪设备
KR200484310Y1 (ko) 사료 공급 장치
CN211870757U (zh) 食材下料机构
CN212117571U (zh) 食材存储柜
CN212117967U (zh) 智能烹饪设备
KR20090020428A (ko) 열매의 내피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