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215B1 - 꼬치어묵 제조시스템 - Google Patents

꼬치어묵 제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215B1
KR102399215B1 KR1020190177461A KR20190177461A KR102399215B1 KR 102399215 B1 KR102399215 B1 KR 102399215B1 KR 1020190177461 A KR1020190177461 A KR 1020190177461A KR 20190177461 A KR20190177461 A KR 20190177461A KR 102399215 B1 KR102399215 B1 KR 102399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cake
square
square fish
skewer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4932A (ko
Inventor
장성호
윤찬식
최범묵
송기혁
이배용
이민호
홍찬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워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워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워홈
Priority to KR1020190177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215B1/ko
Publication of KR20210084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10Securing foodstuffs on a non-edible support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70Comminuted, e.g. emulsified, fish products; Processed products therefrom such as pastes, reformed or compress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꼬치어묵 제조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꼬치어묵 제조시스템은 사각 어묵이 안착되는 버킷부가 인라인되게 복수 개 배치되며, 버킷부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 이송장치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사각 어묵을 파지하고 이송하여 버킷부에 안착시키는 안착장치; 이송장치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버킷부에 안착된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 양측부를 접는 접이장치; 및 이송장치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버킷부에 안착되고 이송방향 양측부가 접힘 상태인 사각 어묵을 가압하여 파형으로 절곡하고 꼬치를 관통 삽입시키는 꼬치 삽입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꼬치어묵 제조시스템{SYSTEM FOR MAKING FISHCAKE SKEWERED FOOD}
본 발명은 꼬치어묵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꼬치어묵을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는 꼬치어묵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꼬치어묵은 어묵 생산공장에서 수작업으로 조립하여 수중에 유통되고 있다. 꼬치어묵 제조공정은 작업자가 사각 어묵을 넓게 펼친 상태에서 대향되는 양측부를 대략 3등분으로 접은 후, 접힘 상태의 사각 어묵을 파형으로 구부리고 꼬치를 관통 삽입하여 꼬치어묵을 제조한다.
꼬치어묵은 대부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제조되므로 작업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비위생적일 수 있어 위생면에서도 상당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으로 꼬치어묵을 제조하는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종래의 기술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사각 어묵의 양측부를 접은 다음 몰드의 클램프에 장착하고,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몰드가 이송된 후 자동으로 꼬치를 사각 어묵에 관통 삽입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의 경우에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사각 어묵의 양측부를 접은 후 이를 클램프에 장착하여야 하므로 수작업에 따른 작업능률의 저하 및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9411호(2013.03.11.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꼬치어묵을 제조함에 있어서 사각 어묵의 양측부를 자동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꼬치어묵을 제조하는 전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꼬치어묵 제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각 어묵이 안착되는 버킷부가 인라인되게 복수 개 배치되며, 상기 버킷부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사각 어묵을 파지하고 이송하여 상기 버킷부에 안착시키는 안착장치; 상기 이송장치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버킷부에 안착된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 양측부를 접는 접이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버킷부에 안착되고 이송방향 양측부가 접힘 상태인 상기 사각 어묵을 가압하여 파형으로 절곡하고 꼬치를 관통 삽입시키는 꼬치 삽입장치를 포함하는 꼬치어묵 제조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접이장치는 상기 이송장치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 일측부를 접촉 가압하여 접는 제1 접이부; 및 상기 이송장치의 상부에 상기 제1 접이부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되며,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 타측부를 접촉 가압하여 접힘 상태의 상기 사각 어묵의 일측부의 상부에 상기 사각 어묵의 타측부를 접어 적층하는 제2 접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이부는 상기 이송장치의 상부에 높이방향 왕복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하강되어 끝단이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 일측부를 접촉 가압하는 제1 접이푸셔; 및 상기 제1 접이푸셔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접이푸셔를 높이방향 왕복운동 가능하게 하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이부는 상기 이송장치의 상부에 상기 제1 접이푸셔에 대향되게 마련되며, 상기 버킷부에 대해 상대이동되어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 타측부를 접촉 가압하는 제2 접이푸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이푸셔는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 타측부에 대향되는 전방부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심부 및 후방부가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킷부는 상기 사각 어묵이 안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면에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되,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 양측부가 높이방향으로 기립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높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 양측부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가압부재가 상대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가압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한 적어도 한 쌍의 절곡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사각 어묵들이 높이방향으로 적재된 적재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착장치는 상기 적재장치에 적재된 상기 사각 어묵들 중 최상부에 위치한 상기 사각 어묵을 파지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파지부를 상기 적재장치와 상기 이송장치 사이에서 왕복이송하는 로봇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로봇암에 연결되어 이송되며 높이방향으로 승강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적재장치에 적재된 상기 사각 어묵의 상면을 흡착하여 상기 사각 어묵을 파지하고 상기 사각 어묵의 상면을 흡착해제하여 상기 사각 어묵을 파지해제함으로써 상기 사각 어묵을 상기 버킷부에 안착시키는 복수의 흡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꼬치 삽입장치는 상기 이송장치의 상부에 높이방향 왕복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버킷부에 안착되고 이송방향 양측부가 접힘 상태인 상기 사각 어묵을 가압하여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사각 어묵을 파형으로 절곡하는 가압블록; 및 상기 이송장치의 측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파형으로 절곡된 상기 사각 어묵에 상기 꼬치를 관통 삽입시키는 꼬치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블록은 하면에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고 파형을 이루는 돌기들; 및 상기 꼬치가 관통되도록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에 교차되는 방향 측면에 형성된 제1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버킷부는 상기 사각 어묵을 사이에 두고 상기 돌기들이 삽입되도록 상면에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들의 형상에 대응되는 파형을 이루는 오목홈들; 및 상기 꼬치가 관통되도록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에 교차되는 방향 측면에 형성된 제2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버킷부들이 연결되고 인라인되게 배치된 체인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꼬치어묵을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꼬치어묵을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꼬치어묵을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꼬치어묵 제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꼬치어묵 제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A부분 확대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안착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버킷부에 사각 어묵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2의 B부분 확대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꼬치 삽입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꼬치어묵 제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꼬치어묵 제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A부분 확대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안착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버킷부에 사각 어묵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도 2의 B부분 확대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꼬치 삽입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꼬치어묵 제조시스템(100)은 사각 어묵(M)이 안착되는 버킷부(113)가 인라인되게 복수 개 배치되며 버킷부(113)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110)와, 이송장치(110)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사각 어묵(M)이 적재된 적재장치(130)와, 이송장치(110)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적재장치(130)에 적재된 사각 어묵(M)을 파지하고 이송하여 버킷부(113)에 안착시키는 안착장치(150)와, 이송장치(110)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버킷부(113)에 안착된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 양측부를 접는 접이장치(170)와, 이송장치(110)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버킷부(113)에 안착되고 이송방향(X방향) 양측부가 접힘 상태인 사각 어묵(M)을 가압하여 파형으로 절곡하고 꼬치(S)를 관통 삽입시키는 꼬치 삽입장치(19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꼬치어묵 제조시스템(100)은 일련의 공정들을 자동화하여 꼬치어묵을 제조하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110)는 인라인되게 배치된 복수의 버킷부(113)들을 일방향(X방향)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버킷부(113)들이 이송되는 동안, 버킷부(113)에 사각 어묵(M)을 안착하고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 양측부를 접으며 이송방향(X방향) 양측부가 접힘상태인 사각 어묵(M)에 꼬치(S)를 관통삽입하는 일련의 공정을 수행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110)는 지지프레임(111)과, 지지프레임(111)에 마련된 체인컨베이어(112)와, 체인컨베이어(112)에 연결되고 인라인되게 배치된 복수의 버킷부(113)를 포함한다.
버킷부(113)들은 체인컨베이어(112)에 연결되고 체인컨베이어(112)의 길이방향(X방향)을 따라 연속되고 인라인되게 배치되며, 체인컨베이어(112)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된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버킷부(113)는 사각 어묵(M)이 안착되는 본체(114)와, 본체(114)의 상면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 적어도 한 쌍의 절곡 플레이트(117)를 포함한다.
본체(114)의 상면에 사각 어묵(M)이 안착되며 본체(114)의 하면은 체인컨베이어(112)에 연결된다.
그리고 본체(114)의 상면에 안착된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 양측부가 높이방향(Z방향)으로 기립되도록 본체(114)의 상면에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적어도 한 쌍의 절곡 플레이트(117)가 마련된다.
한 쌍의 절곡 플레이트(117) 상호 간의 이격거리는 사각 어묵(M)을 넓게 펼친 상태에서 사각 어묵(M)을 3등분으로 접을 수 있도록 대략 사각 어묵(M)의 양측부 사이의 거리의 1/3에 해당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두 쌍의 절곡 플레이트(117)가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에 교차되는 방향(Y방향)으로 본체(114)의 상면에 이격되게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절곡 플레이트(117)는 일측이 본체(114)의 상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본체(114)의 상면에서 높이방향(Z방향)으로 돌출되어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 측부를 지지한다. 따라서, 한 쌍의 절곡 플레이트(117) 사이에 사각 어묵(M)이 안착되는 경우에, 사각 어묵(M)의 중심부는 본체(114)의 상면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 양측부는 한 쌍의 절곡 플레이트(117)에 의해 지지되어 본체(114)의 상면에서 높이방향(Z방향)으로 기립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할 접이장치(170)에 의해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 양측부가 적층되게 접힌다. 이때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 타측부를 접는 동작은 후술할 제2 접이푸셔(175)를 구성하는 가압부재(175)에 의해 수행되는데, 가압부재(175)는 본체(114)에 대해 상대 이동되면서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 타측부를 접촉 가압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부재(175)가 본체(114)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동안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 타측부를 접촉 가압할 수 있도록 절곡 플레이트(117)의 타측에 가압부재(175)가 삽입되는 삽입홈(118)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연속되고 인라인되게 배치된 버킷부(113)들에 연속하여 사각 어묵(M)을 제공하기 위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장치(110)에 인접하게 적재장치(130)가 마련된다. 적재장치(130)에는 복수의 사각 어묵(M)이 높이방향(Z방향)으로 적재된다.
본 실시예에서 적재장치(130)는 복수의 사각 어묵(M)이 높이방향(Z방향)으로 적층된 적재테이블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적재테이블에 이송컨베이어벨트를 설치하여 높이방향(Z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사각 어묵(M)을 이송장치(110) 방향으로 이송할 수도 있다.
적재장치(130)에 적재된 사각 어묵(M)은 안착장치(150)에 의해 파지되고 이송장치(110)에 배치된 버킷부(113)의 상부로 이송된 후 버킷부(113)에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착장치(150)는 적재장치(130)와 이송장치(110) 사이에 마련되어 적재장치(130)에 적재된 사각 어묵(M)을 하나씩 버킷부(113)의 상부로 이송한 후 버킷부(113)에 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안착장치(150)는 적재장치(130)에 적재된 사각 어묵(M)들 중 최상부에 위치한 사각 어묵(M)을 파지하는 파지부(151)와, 파지부(151)에 연결되어 파지부(151)를 적재장치(130)와 이송장치(110) 사이에서 왕복이송하는 로봇암(155)을 포함한다.
파지부(151)는 적재장치(130)에 적재된 사각 어묵(M)들 중 최상부에 위치한 사각 어묵(M)의 상면을 파지하고 사각 어묵(M)을 버킷부(113)에 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파지부(151)는 로봇암(155)에 연결되어 이송되며 높이방향(Z방향)으로 승강되는 몸체(152)와, 몸체(152)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사각 어묵(M)을 흡착 및 흡착 해제하는 복수의 흡착부재(153)를 포함한다.
몸체(152)는 로봇암(155)에 연결되므로, 로봇암(155)이 적재장치(130)와 이송장치(110) 사이에서 수평 왕복운동함에 따라 몸체(152)도 적재장치(130)와 이송장치(110) 사이에서 수평 왕복운동한다.
또한 몸체(152)는 로봇암(155)에 마련된 실린더부재(156)에 결합되어 실린더부재(156)의 신축에 의해 높이방향(Z방향)으로 승강된다. 즉 적재장치(130)에 적재된 사각 어묵(M)을 파지하기 위해 로봇암(155)이 적재장치(130)의 상부로 이동된 후 실린더부재(156)가 신장되면 몸체(152)는 적재장치(130)에 적재된 사각어묵의 상부로 하강되고, 사각 어묵(M)을 흡착하여 파지한 후 실린더부재(156)가 수축되면 몸체(152)는 상승된다.
또한 사각 어묵(M)을 버킷부(113)에 안착시키기 위해 로봇암(155)이 이송장치(110)에 배치된 버킷부(113)의 상부로 이동된 후 실린더부재(156)가 신장되면 몸체(152)는 버킷부(113)의 상부로 하강되고, 사각 어묵(M)을 흡착해제하여 파지해제한 후 실린더부재(156)가 수축되면 몸체(152)는 상승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 어묵(M)을 흡착 및 흡착해제하기 위해 몸체(152)의 하부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흡착부재(153)를 포함한다. 흡착부재(153)는 사각 어묵(M)의 상면을 흡착하여 사각 어묵(M)을 파지하고 사각 어묵(M)의 상면을 흡착해제하여 사각 어묵(M)을 파지해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안착장치(150)를 이용하여 사각 어묵(M)을 버킷부(113)에 안착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로봇암(155)을 적재장치(130)의 상부로 이동시키고 실린더부재(156)를 신장시켜 몸체(152)를 적재장치(130)에 적재된 사각 어묵(M)들 중 최상부에 위치한 사각 어묵(M)의 상부로 하강시킨 후 사각 어묵(M)의 상면을 복수의 흡착부재(153)로 흡착하여 파지한다. 그리고 실린더부재(156)를 수축시켜 몸체(152)를 상승시킨 후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어묵(M)이 본체(114)의 상부에 위치되게 로봇암(155)을 버킷부(113)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부재(156)를 신장하여 몸체(152)를 하강시켜 흡착부재(153)에 흡착된 사각 어묵(M)이 본체(114)의 상면에 마련된 한 쌍의 절곡 플레이트(117) 사이에 위치되게 한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어묵(M)의 상면을 흡착해제하여 사각 어묵(M)을 파지해제한 후 실린더부재(156)를 수축하여 몸체(152)를 상승시킨다. 몸체(152) 및 흡착부재(153)가 본체(114)의 상부로 상승되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어묵(M)의 중심부는 본체(114)의 상면에 접촉 지지되고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 양측부는 한 쌍의 절곡 플레이트(117)에 의해 높이방향(Z방향)으로 기립되게 지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적재장치(130)에 적재된 사각 어묵(M)은 안착장치(150)에 의해 순차로 버킷부(113)에 안착된 후 접이장치(170) 방향으로 이송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장치(170)는 버킷부(113)에 안착된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 양측부를 순차로 접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접이장치(170)는 이송장치(110)의 상부에 마련되어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 일측부를 접는 제1 접이부(171)와, 이송장치(110)의 상부에 제1 접이부(171)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되어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 타측부를 접는 제2 접이부(17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 어묵(M)이 안착된 버킷부(113)(도 6참조)를 제1 접이부(171)와 제2 접이부(175) 사이로 이송한 후 제1 접이부(171)를 이용하여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 일측부를 접은 후 순차로 제2 접이부(175)를 이용하여 접힘 상태인 사각 어묵(M)의 일측부의 상부에 사각 어묵(M)의 타측부를 접어 적층한다.
제1 접이부(171)는 이송장치(110)의 상부에 높이방향(Z방향) 왕복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 일측부를 접촉 가압하는 제1 접이푸셔(172)와, 제1 접이푸셔(172)에 연결되어 제1 접이푸셔(172)를 높이방향(Z방향) 왕복운동 가능하게 하는 제1 구동부(173)를 포함한다.
제1 접이푸셔(172)는 체인컨베이어(112)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는 제1 구동부(173)에 의해 제1 접이푸셔(172)가 버킷부(113)에 안착된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 일측부를 접촉 가압하여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 일측부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1 접이푸셔(172)가 하강되는 경우에 끝단은 절곡 플레이트(117)에 형성된 삽입홈(118)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접이부(175)는 이송장치(110)의 상부에 제1 접이푸셔(172)에 대향되게 마련되고 버킷부(113)에 대해 상대이동되어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 타측부를 접촉 가압하는 제2 접이푸셔(175)를 포함한다.
제2 접이푸셔(175)는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 타측부에 대향되는 전방부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심부 및 후방부가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가압부재(175)를 포함한다. 가압부재(175)의 중심부와 후방부는 체인컨베이어(112)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재(175)는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에 교차되는 방향(Y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접이장치(170)를 이용하여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 양측부를 접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컨베이어(112)의 회전에 의해 버킷부(113)가 제1 접이부(171)와 제2 접이부(175) 사이로 이송된다.
그리고,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 일측부를 접고자 하는 경우에 제1 접이푸셔(172)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이동되고 끝단이 절곡 플레이트(117)의 삽입홈(118)에 관통 삽입되어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 일측부를 접촉 가압함으로써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 일측부를 접는다.
그리고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 타측부를 접고자 하는 경우에 가압부재(175)가 버킷부(113)에 대해 상대 이동되며 이때 제1 접이푸셔(172)는 상방으로 이동되고 가압부재(175)는 절곡 플레이트(117)의 삽입홈(118)에 관통 삽입된다. 따라서,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 타측부는 가압부재(175)의 전방부 경사면에 접촉된 후 순차로 가압부재(175)의 중심부 및 후방부에 접촉되어 접힘 상태인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 일측부의 상부에 적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 양측부를 적층되게 접은 후 사각 어묵(M)에 꼬치(S)를 관통 삽입하여 꼬치어묵을 제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꼬치 삽입장치(190)는 이송방향(X방향) 양측부가 접힘 상태인 사각 어묵(M)을 가압하여 파형으로 절곡하고 꼬치(S)를 관통 삽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꼬치 삽입장치(190)는 이송장치(110)의 상부에 높이방향(Z방향) 왕복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사각 어묵(M)을 파형으로 절곡하는 가압블록(191)과, 이송장치(110)의 측부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사각 어묵(M)에 꼬치(S)를 관통 삽입시키는 꼬치 삽입부(195)를 포함한다.
가압블록(191)은 이송방향(X방향) 양측부가 접힘 상태인 사각 어묵(M)을 가압하여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에 교차되는 방향(Y방향)으로 사각 어묵(M)을 파형으로 절곡한다. 이를 위해 가압블록(191)은 하면에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에 교차되는 방향(Y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고 파형을 이루는 돌기(192)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버킷부(113)는 사각 어묵(M)을 사이에 두고 돌기(192)들이 삽입되도록 본체(114)의 상면에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에 교차되는 방향(Y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고 돌기(192)들의 형상에 대응되는 파형을 이루는 오목홈(115)들을 더 포함한다. 오목홈(115)들은 한 쌍의 절곡 플레이트(117)의 사이에 형성된다.
꼬치 삽입부(195)는 가압블록(191) 및 버킷부(113)에 의해 파형으로 절곡된 사각 어묵(M)에 꼬치(S)를 관통 삽입한다. 이를 위해 가압블록(191)은 꼬치(S)가 관통되도록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에 교차되는 방향(Y방향) 측면에 제1 관통홀(193)이 형성되고, 버킷부(113)는 꼬치(S)가 관통되도록 본체(114)의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에 교차되는 방향(Y방향) 측면에 제2 관통홀(116)이 형성된다. 가압블록(191)이 하강되어 돌기(192)들이 사각 어묵(M)을 사이에 두고 본체(114)의 오목홈(115)들에 삽입되는 경우에 제1 관통홀(193)과 제2 관통홀(116)은 연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꼬치 삽입장치(190)를 이용하여 사각 어묵(M)에 꼬치를 삽입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재(175)가 버킷부(113)에 대해 상대 이동되는 동안 가압블록(191)은 버킷부(113)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가압부재(175)에 의해 사각 어묵(M)의 이송방향(X방향) 타측부가 접힌 경우에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블록(191)이 하강되고 가압블록(191)의 하면에 형성된 파형의 돌기(192)들이 본체(114)의 상면에 형성된 파형의 오목홈(115)들에 삽입되어 접힘 상태인 사각 어묵(M)을 이송방향(X방향)에 교차되는 방향(Y방향)으로 절곡한다. 그리고 사각 어묵(M)을 파형으로 절곡한 후 꼬치 삽입부(195)가 전진되면 꼬치(S)가 제1 관통홀(193)과 제2 관통홀(116)에 삽입되고 사각 어묵(M)에 관통 삽입되어 꼬치어묵을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꼬치(S)가 사각 어묵(M)에 관통 삽입되면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블록(191)이 상승되고 버킷부(113)가 이송되면, 작업자는 버킷부(113)로부터 꼬치(S)가 삽입된 꼬치어묵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꼬치어묵 제조시스템 110: 이송장치
111: 지지프레임 112: 체인컨베이어
113: 버킷부 114: 본체
115: 오목홈 116: 제2 관통홀
117: 절곡 플레이트 118: 삽입홈
130: 적재장치 150: 안착장치
151: 파지부 152: 몸체
153: 흡착부재 155: 로봇암
156: 실린더부재 170: 접이장치
171: 제1 접이부 172: 제1 접이푸셔
173: 제1 구동부 175: 제2 접이부
190: 꼬치 삽입장치 191: 가압블록
192: 파형의 돌기들 193: 제1 관통홀

Claims (12)

  1. 사각 어묵이 안착되는 버킷부가 인라인되게 복수 개 배치되며, 상기 버킷부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사각 어묵들이 높이방향으로 적재된 적재장치;
    상기 이송장치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사각 어묵을 파지하고 이송하여 상기 버킷부에 안착시키는 안착장치;
    상기 이송장치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버킷부에 안착된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 양측부를 접는 접이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버킷부에 안착되고 이송방향 양측부가 접힘 상태인 상기 사각 어묵을 가압하여 파형으로 절곡하고 꼬치를 관통 삽입시키는 꼬치 삽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장치는,
    상기 적재장치에 적재된 상기 사각 어묵들 중 최상부에 위치한 상기 사각 어묵을 파지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파지부를 상기 적재장치와 상기 이송장치 사이에서 왕복이송하는 로봇암을 포함하는 꼬치어묵 제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장치는,
    상기 이송장치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 일측부를 접촉 가압하여 접는 제1 접이부; 및
    상기 이송장치의 상부에 상기 제1 접이부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되며,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 타측부를 접촉 가압하여 접힘 상태의 상기 사각 어묵의 일측부의 상부에 상기 사각 어묵의 타측부를 접어 적층하는 제2 접이부를 포함하는 꼬치어묵 제조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이부는,
    상기 이송장치의 상부에 높이방향 왕복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하강되어 끝단이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 일측부를 접촉 가압하는 제1 접이푸셔; 및
    상기 제1 접이푸셔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접이푸셔를 높이방향 왕복운동 가능하게 하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는 꼬치어묵 제조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이부는,
    상기 이송장치의 상부에 상기 제1 접이푸셔에 대향되게 마련되며, 상기 버킷부에 대해 상대이동되어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 타측부를 접촉 가압하는 제2 접이푸셔를 포함하는 꼬치어묵 제조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이푸셔는,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 타측부에 대향되는 전방부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심부 및 후방부가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꼬치어묵 제조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 배치되는 꼬치어묵 제조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부는,
    상기 사각 어묵이 안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면에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되,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 양측부가 높이방향으로 기립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높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 양측부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가압부재가 상대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가압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한 적어도 한 쌍의 절곡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꼬치어묵 제조시스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로봇암에 연결되어 이송되며 높이방향으로 승강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적재장치에 적재된 상기 사각 어묵의 상면을 흡착하여 상기 사각 어묵을 파지하고 상기 사각 어묵의 상면을 흡착해제하여 상기 사각 어묵을 파지해제함으로써 상기 사각 어묵을 상기 버킷부에 안착시키는 복수의 흡착부재를 포함하는 꼬치어묵 제조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꼬치 삽입장치는,
    상기 이송장치의 상부에 높이방향 왕복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버킷부에 안착되고 이송방향 양측부가 접힘 상태인 상기 사각 어묵을 가압하여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사각 어묵을 파형으로 절곡하는 가압블록; 및
    상기 이송장치의 측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파형으로 절곡된 상기 사각 어묵에 상기 꼬치를 관통 삽입시키는 꼬치 삽입부를 포함하는 꼬치어묵 제조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블록은,
    하면에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고 파형을 이루는 돌기들; 및
    상기 꼬치가 관통되도록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에 교차되는 방향 측면에 형성된 제1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버킷부는,
    상기 사각 어묵을 사이에 두고 상기 돌기들이 삽입되도록 상면에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들의 형상에 대응되는 파형을 이루는 오목홈들; 및
    상기 꼬치가 관통되도록 상기 사각 어묵의 이송방향에 교차되는 방향 측면에 형성된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꼬치어묵 제조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버킷부들이 연결되고 인라인되게 배치된 체인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꼬치어묵 제조시스템.
KR1020190177461A 2019-12-30 2019-12-30 꼬치어묵 제조시스템 KR102399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461A KR102399215B1 (ko) 2019-12-30 2019-12-30 꼬치어묵 제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461A KR102399215B1 (ko) 2019-12-30 2019-12-30 꼬치어묵 제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932A KR20210084932A (ko) 2021-07-08
KR102399215B1 true KR102399215B1 (ko) 2022-05-18

Family

ID=76893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461A KR102399215B1 (ko) 2019-12-30 2019-12-30 꼬치어묵 제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2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587B1 (ko) * 2023-08-17 2024-02-14 주식회사 달콤나라앨리스 탕후루 자동생산장치 및 이용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2815A (ja) 2007-07-05 2009-01-22 Miyake Seisakusho:Kk シート状トレー自動供給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弁当箱への盛り付けラインシステム
KR101941496B1 (ko) * 2018-09-20 2019-01-23 새롬에프에스(주) 꼬치 제조장치
KR101964205B1 (ko) * 2018-08-09 2019-04-02 오필제 꼬치용 자동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4560Y2 (ja) * 1991-06-04 1996-07-10 長野県 丈長被加工物折畳装置
KR101239411B1 (ko) 2012-11-06 2013-03-11 윤성열 어묵꼬치 자동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2815A (ja) 2007-07-05 2009-01-22 Miyake Seisakusho:Kk シート状トレー自動供給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弁当箱への盛り付けラインシステム
KR101964205B1 (ko) * 2018-08-09 2019-04-02 오필제 꼬치용 자동 제조장치
KR101941496B1 (ko) * 2018-09-20 2019-01-23 새롬에프에스(주) 꼬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932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9215B1 (ko) 꼬치어묵 제조시스템
KR101830921B1 (ko) Pcb기판 운반장치 및 그 방법
CN112478841A (zh) 一种非磁性薄板分张机器人夹具及分张方法
KR100796578B1 (ko) 적층형 콘덴서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45227A (ko) 구이김 자동 절단 및 수납장치
CN217513161U (zh) 单片电池片焊接设备
JP6744451B2 (ja) 成形品トリミングの分離積載装置およびトリミング方法
KR102257704B1 (ko) 꼬치어묵 제조장치
KR102219777B1 (ko) 자동 꼬치어묵 제조장치
CN215013029U (zh) 一种脱料装置
JP6845555B2 (ja) トレイ分離装置及びトレイ分離方法
CN205708896U (zh) 一种套叠料盒自动分离装置
CN210735467U (zh) 一种玻璃清洗线下料机
TWM425115U (en) Processing and handling apparatus for upright circuit board
EP1505018A1 (en) Method of forming and picking up packs of sheets
KR102312948B1 (ko) 스포이트 자동 조립장치
TWM551596U (zh) 物件移載裝置
CN219823372U (zh) 一种大面域多叠层的钛合金板材的起吊分离装置
CN215591990U (zh) 热成型气动式边网夹持装置
CN215210045U (zh) 耳套面皮定型设备
CN220722713U (zh) 一种上料机构
CN221210542U (zh) 固定架上料装置和墙壁开关装配设备
CN215158784U (zh) 一种清洗机料台结构
CN214455113U (zh) 一种智能堆垛装置
CN220260754U (zh) 一种便于夹持的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