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704B1 - 꼬치어묵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꼬치어묵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704B1
KR102257704B1 KR1020190067823A KR20190067823A KR102257704B1 KR 102257704 B1 KR102257704 B1 KR 102257704B1 KR 1020190067823 A KR1020190067823 A KR 1020190067823A KR 20190067823 A KR20190067823 A KR 20190067823A KR 102257704 B1 KR102257704 B1 KR 102257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cake
fish
skewered
cake
squ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1179A (ko
Inventor
이상헌
박순욱
이주현
이무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Priority to KR1020190067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704B1/ko
Publication of KR20200141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10Securing foodstuffs on a non-edible support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50Mollus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다단으로 적층된 사각어묵(F)이 안착되고, 복수개의 사각어묵(F)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어묵공급컨베이어(100)와; 상기 어묵공급컨베이어(10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어묵공급컨베이어(100)를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된 적층된 사각어묵(F) 중 낱장의 사각어묵(F)을 파지하여 공급하는 어묵공급수단(200)과; 상기 어묵공급수단(200)에 의해 공급된 사각어묵(F)의 중앙부(C)를 지지하고, 양측을 다단으로 절첩하여 절첩된 꼬치어묵(A)을 형성하는 어묵절첩수단(300)과; 상기 어묵절첩수단(300)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어묵절첩수단(300)에 의해 다단으로 절첩된 꼬치어묵(A)을 클램프하고, 상,하,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꼬치어묵이송수단(500)의 꼬치어묵고정클립(504)에 절첩된 꼬치어묵(A)을 삽입하는 꼬치어묵투입수단(400);을 포함하는 꼬치어묵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각어묵이 어묵절첩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절첩된 형태의 꼬치어묵으로 형성됨에 따라 꼬치어묵의 제조 속도가 향상되고, 제작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어묵지지프레임에 사각어묵이 안착된 상태에서 양측에 설치된 제1,2절첩프레임이 상기 어묵지지프레임의 하부로 이동됨과 동시에 사각어묵의 양측부가 다단으로 절첩되어 절첩된 꼬치어묵을 형성함에 따라 절첩과정에서 꼬치어묵을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꼬치어묵 제조장치{Apparatus for making fishcakes skewered food}
본 발명은 꼬치어묵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어묵절첩수단에 의해 사각어묵이 다수회 절첩되어 절첩된 꼬치어묵 형태로 형성되고, 절첩된 꼬치어묵이 자동으로 꼬치어묵고정클립에 자동으로 삽입됨에 따라 꼬치어묵의 제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꼬치어묵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꼬치어묵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꼬치는 어묵, 닭고기, 돼지고기, 야채 등의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취식함에 있어 음식물을 직접 접촉하지 않고 꼬치 스틱에 끼워서 조리 및 취식을 함으로써, 조리가 간편하고, 취식이 용이하면서 직접 접촉에 따른 세균의 칩임을 막아 위생적임에 따라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 및 취식이 용이함에 따라 간편 음식으로 길거리나 시장 등에서 많이 판매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꼬치 스틱이 설치된 상태로 포장되어 각종 상점, 식자재 마트 등에서 판매하고 있다.
꼬치어묵의 제조과정은 작업자가 넓게 펼쳐진 상태로 생산되는 사각 어묵을 대략 3등분으로 접은 다음 파형 형상으로 구부리고, 막대를 꽂아 꼬치어묵을 만든다.
종래에는 수작업으로 꼬치어묵을 제조하였으나, 대한민국등록특허 10-1814017에 이를 개선한 사각꼬치어묵의 자동 접힘 투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사각꼬치어묵의 자동 접힘 투입장치는, 사각꼬치어묵이 끼워지는 몰드에 설치된 클램프 내에 사각꼬치어묵을 자동으로 접은 상태로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사각꼬치어묵의 자동 접힘 투입장치는 사각꼬치어묵의 상,하측에 위치한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가 상,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사각꼬치어묵을 파형으로 절곡하고, 사각꼬치어묵의 양단에 설치된 압축플레이트가 서로 맞닿도록 이동되어 파형으로 사각꼬치어묵을 제조한다.
이러한 제조과정은 상,하플레이트가 사각꼬치어묵을 절곡시키는 과정에서 사각꼬치어묵이 쉽게 찢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각꼬치어묵의 절곡 후 상기 상,하플레이트의 이탈과정에서 사각꼬치어묵과 상기 상,하플레이트의 마찰에 의해 사각꼬치어묵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81401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어묵절첩수단에 의해 사각어묵이 다수회 절첩되어 절첩된 꼬치어묵 형태로 형성되고, 절첩된 꼬치어묵이 자동으로 꼬치어묵고정클립에 자동으로 삽입됨에 따라 꼬치어묵의 제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꼬치어묵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꼬치어묵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꼬치어묵 제조장치는, 컨베이어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다단으로 적층된 사각어묵(F)이 안착되고, 복수개의 사각어묵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어묵공급컨베이어와, 상기 어묵공급컨베이어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어묵공급컨베이어를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된 적층된 사각어묵 중 낱장의 사각어묵을 파지하여 공급하는 어묵공급수단과, 상기 어묵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사각어묵의 중앙부를 지지하고, 양측을 다단으로 절첩하여 절첩된 꼬치어묵을 형성하는 어묵절첩수단과, 상기 어묵절첩수단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어묵절첩수단에 의해 다단으로 절첩된 꼬치어묵을 클램프하고, 상,하,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꼬치어묵이송수단의 꼬치어묵고정클립에 절첩된 꼬치어묵을 삽입하는 꼬치어묵투입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꼬치어묵투입수단은, 상기 어묵절첩수단의 전방에 설치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좌우 길게 형성되고, 꼬치어묵의 상부면 전,후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어묵고정프레임과, 상기 어묵접첩수단의 전방에 설치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의 전,후측에 각각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연장판과, 상기 연장판의 양단에 각각 단면이 "L"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클램핑부로 이루어지는 어묵클램프부재와, 상기 어묵클램프부재의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어묵클램프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어묵클램프실린더와, 상기 어묵클램프실린더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단면이 "┗┓"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측은 상기 어묵클램프실린더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어묵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어묵고정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고정브라켓과, 상기 어묵클램프실린더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어묵클램프실린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클램프상하이송실린더와, 상기 클램프상하이송실린더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상하이송실린더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클램프좌우이송실린더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어묵고정프레임의 상부면 일측에 상하로 관통되는 수용홈에 관통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어묵공급수단은, 상기 어묵공급컨베이어의 상측에 설치되며, 철재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공급프레임과, 상기 공급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양측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흡착판 형태로 이루어져, 사각어묵의 상부면 양측을 각각 흡착하는 흡착부재와, 상기 승강판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꼬치어묵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사각어묵이 어묵절첩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절첩된 형태의 꼬치어묵으로 형성됨에 따라 꼬치어묵의 제조 속도가 향상되고, 제작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어묵지지프레임에 사각어묵이 안착된 상태에서 양측에 설치된 제1,2절첩프레임이 상기 어묵지지프레임의 하부로 이동됨과 동시에 사각어묵의 양측부가 다단으로 절첩되어 절첩된 꼬치어묵을 형성함에 따라 절첩과정에서 꼬치어묵을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꼬치어묵투입수단에 의해 절첩된 꼬치어묵이 자동으로 꼬치어묵이송수단에 삽입됨에 따라 작업에 필요한 투입입력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꼬치어묵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꼬치어묵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꼬치어묵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어묵공급컨베이어, 어묵공급수단, 어묵절곡수단, 꼬치어묵투입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어묵공급컨베이어, 어묵공급수단, 어묵절곡수단, 꼬치어묵투입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6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어묵공급컨베이어, 어묵공급수단, 어묵절곡수단, 꼬치어묵투입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어묵공급수단의 구성을 보인 확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어묵절첩수단의 구성을 보인 확대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사각어묵이 어묵지지프레임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2절첩프레임이 어묵지지프레임의 하부로 이동되어 사각어묵을 절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꼬치어묵투입수단의 구성을 보인 확대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꼬치어묵투입수단에 의해 꼬치어묵이송수단에 꼬치어묵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꼬치어묵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꼬치어묵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꼬치어묵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꼬치어묵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어묵공급컨베이어, 어묵공급수단, 어묵절곡수단, 꼬치어묵투입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어묵공급컨베이어, 어묵공급수단, 어묵절곡수단, 꼬치어묵투입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어묵공급컨베이어, 어묵공급수단, 어묵절곡수단, 꼬치어묵투입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어묵공급수단의 구성을 보인 확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꼬치어묵 제조장치는, 컨베이어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다단으로 적층된 사각어묵(F)이 안착되고, 복수개의 사각어묵(F)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어묵공급컨베이어(100)와, 상기 어묵공급컨베이어(10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어묵공급컨베이어(100)를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된 적층된 사각어묵(F) 중 낱장의 사각어묵(F)을 파지하여 공급하는 어묵공급수단(200)과, 상기 어묵공급수단(200)에 의해 공급된 사각어묵(F)의 중앙부(C)를 지지하고, 양측을 다단으로 절첩하여 절첩된 꼬치어묵(A)을 형성하는 어묵절첩수단(300)과, 상기 어묵절첩수단(300)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어묵절첩수단(300)에 의해 다단으로 절첩된 꼬치어묵(A)을 클램프하고, 상,하,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꼬치어묵이송수단(500)의 꼬치어묵고정클립(504)에 절첩된 꼬치어묵(A)을 삽입하는 꼬치어묵투입수단(4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어묵공급컨베이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공급컨베이어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공급컨베이어(104)는 컨베이어 프레임(102), 공급컨베이어(104), 컨베이어모터(106)로 구성된다.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102)은 테이블 형태의 철재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을 지지한다.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102)의 외주며에는 공급컨베이어(104)가 설치된다.
상기 공급컨베이어(104)는 일반적인 컨베이어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공급컨베이어(104)는 벨트 형태로 이루어져, 후술할 컨베이어모터(106)와 연결되어 상부면에 다단으로 적층된 사각어묵(F)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급컨베이어(104)의 일측에는 컨베이어모터(106)가 설치된다. 상기 공급컨베이어(104)는 일반적인 구동모터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컨베이어모터(106)는 상기 공급컨베이어(104)와 연결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104)를 회전시킨다.
상기 어묵공급컨베이어(100)의 전방에는 어묵공급수단(200)이 설치된다. 상기 어묵공급수단(200)은, 상기 어묵공급컨베이어(100)의 상측에 설치되며, 철재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공급프레임(202)과, 상기 공급프레임(202)의 상측에 설치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승강판(220)과, 상기 승강판(220)의 양측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흡착판 형태로 이루어져, 사각어묵(F)의 상부면 양측을 각각 흡착하는 흡착부재(222)와, 상기 승강판(22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판(2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실린더(218)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프레임(202)은 도 4와 같이, 철재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어묵공급컨베이어(100)의 전,후,좌,우측에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는 수직프레임(204)과, 상기 수직프레임(204)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판재로 이루어져, 네 모서리부가 상기 수직프레임(204)에 고정되어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설치프레임(206)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설치프레임(206)은 상기 수직프레임(204)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판재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208)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08)와 일체로 형성되고, 판재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연장플레이트(21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프레임(202)은 상기 어묵공급컨베이어(100)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급프레임(202)의 하부면에는 전후이송레일(212)이 설치된다. 상기 전후이송레일(212)은 일반적인 엘엠가이드레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후이송레일은 상기 지지플레이트(208)의 하부면 좌,우측에 각각 전후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전후이송레일(212)은 후술할 실린더고정플레이트(216) 전,후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전후이송레일(212)의 외주면에는 전후이송블럭(214)이 설치된다. 상기 전후이송블럭(214)이 일반적인 엘엠가이드 블럭으로 자세할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후이송블럭(214)은 상부면에 레일홈(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전후이송레일(212)에 결합되어 상기 전후이송레일(212)을 따라 전후로 이송된다.
상기 전후이송블럭(214)의 하부면에는 실린더고정플레이트(216)가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고정플레이트(216)는 평판 형태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고정플레이트(216)는 상부면 양측은 각각 서로 다른 전후이송블럭(214)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전후이송블럭(214)의 상기 전후이송레일(212)을 따라 전후로 이동된다.
상기 실린더고정플레이트(216)에는 전후이송실린더(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전후이송실린더는 일반적인 실린더(cylinde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후이송실린더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08)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고정플레이트(216)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고정플레이트(216)를 전후오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린더고정플레이트(216)의 양측에는 각각 승강실린더(218)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실린더(218)는 일반적인 실린더(cylinde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승강실린더(218)는 상기 실린더고정플레이트(216)의 양측에 각각 상하로 수직하게 설치되어 후술할 승강판(220)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상기 승강실린더(218)의 하부에는 승강판(220)이 설치된다. 상기 승강판(220)은 판재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승강판(220)의 상부면 중앙은 상기 승강실린더(218)의 끝단에 고정된다. 상기 승강판(220)은 상기 승강실린더(218)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실린더(218)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승강판(220)의 양측 하부에는 흡착부재(222)가 설치된다. 상기 흡착부재(222)는 일반적인 흡착판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흡착부재(222)의 상측에는 흡입호스(미도시)가 연결되어 공기가 흡입된다.
즉, 상기 흡착부재(222)는 상기 어묵공급컨베이어(100)를 따라 이동된 사각어묵(F)의 상부면 전,후측에 각각 밀착되어 공기 흡입에 따라 낱장의 어묵을 흡착하여 파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사각어묵(F)의 공급 동작을 구제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한 쌍의 어묵공급컨베이어(100)를 따라 전방측으로 이동된 적층된 사각어묵(F)은 상기 어묵공급수단(20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어묵공급수단(200)의 하부에 적층된 사각어묵(F)이 위치되면, 상기 설치고정프레임(206)의 양측에 설치된 승강실린더(218)가 작동되어 상기 흡착부재(222)가 하부로 이동된다. 상기 흡착부재(222)가 상기 사각어묵(F)에 밀착된 상태에서 공기가 흡입되어 사각어묵(F)의 상부면 전,후측이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실린더(218)가 작동되어 낱장의 사각어묵(F)이 일정 높이 만큼 이송된다. 상기 흡착부재(222)에 낱장의 사각어묵(F)이 파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이송실린더가 작동되어 상기 전후이송레일(212)을 따라 사각어묵(F)이 후술할 어묵절첩수단(300)의 어묵지지프레임(304)으로 이동되어 안착된다.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어묵절첩수단의 구성을 보인 확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사각어묵이 어묵지지프레임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2절첩프레임이 어묵지지프레임의 하부로 이동되어 사각어묵을 절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묵공급수단(200)의 전방측에는 어묵절첩수단(300)이 설치된다. 상기 어묵절첩수단(300)은, 상기 어묵공급수단(200)의 일측에 설치되며,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꼬치어묵지지프레임(302)과, 상기 꼬치어묵지지프레임(302)의 중앙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어묵공급수단(200)에 의해 공급되는 사각어묵(F)의 중앙부(C)를 지지하는 어묵지지프레임(304)과, 상기 어묵지지프레임(304)의 일측에 설치되며,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어묵지지프레임(304)의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어묵지지프레임(304)에 안착된 사각어묵(F)을 1차로 절첩하는 제1절첩프레임(310)과, 상기 어묵지지프레임(304)의 일측에 설치되며,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절첩프레임(310)의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어묵지지프레임(304)에 안착된 사각어묵(F)을 2차로 절첩하는 제2절첩프레임(312)과, 상기 꼬치어묵지지프레임(302)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꼬치어묵지지프레임(302)의 전후로 이동시키는 꼬치어묵공급실린더(3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꼬치어묵지지프레임(302)은 도 8과 같이, 대략 역삼각 형태의 철재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어묵공급컨베이어(100)의 전방측에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기 꼬치어묵지지프레임(302)의 전,후면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꼬치어묵지지프레임(302)의 전면 상측에는 어묵지지프레임(304)이 설치된다. 상기 어묵지지프레임(304)은 원통 파이프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자 형상으로 밴딩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어묵지지프레임(304)은 상기 꼬치어묵지지프레임(302)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도 9와 같이 상기 어묵공급수단(200)에 의해 공급된 사각어묵(F)의 중앙부(C)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꼬치어묵지지프레임(302)의 전면 양측에는 고정판(306)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판(306)은 도 8과 같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후면 양측에 각각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306)은 상기 꼬치어묵지지프레임(302)과 상기 어묵지지프레임(304)의 결합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꼬치어묵지지프레임(302)에 상기 어묵지지프레임(304)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어묵지지프레임(304)의 우측에는 제1절첩프레임(310)이 설치된다. 상기 제1절첩프레임(310)은 원통 파이프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자 형상으로 밴딩되고, 상부면이 "
Figure 112019058744855-pat00001
" 형태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제1절첩프레임(310)은 상기 어묵지지프레임(304)의 우측 하부에 설치되며, 후술할 제1이송플레이트(314)에 연결되어 좌우로 이동된다. 상기 제1절첩프레임(310)은 상기 어묵지지프레임(304)의 하부로 이동되어 사각어묵(F)의 우측부(R)를 중앙부(C)측으로 절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어묵지지프레임(304)의 좌측에는 제2절첩프레임(312)이 설치된다. 상기 제2절첩프레임(312)은 원통 파이프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자 형상으로 밴딩되고, 상부면이 "
Figure 112019058744855-pat00002
" 형태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제2절첩프레임(312)은 상기 어묵지지프레임(304)의 좌측 하부에 설치되며, 후술할 제2이송플레이트(316)에 연결되어 좌우로 이동된다. 상기 제2절첩프레임(312)은 상기 어묵지지프레임(304)의 하부로 이동되어 사각어묵(F)의 좌측부(L)를 중앙부(C)측으로 절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꼬치어묵지지프레임(302)의 후면 상측에는 제1이송플레이트(314)가 설치된다.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314)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꼬치어묵지지프레임(302)의 후면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314)의 양측에는 각각 상기 제1절첩프레임(310)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314)는 제1이송실린더(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제1절첩프레임(310)을 좌우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꼬치어묵지지프레임(302)의 후면 하측에는 제2이송플레이트(316)가 설치된다. 상기 제2이송플레이트(316)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꼬치어묵지지프레임(302)의 후면 하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2이송플레이트(316)의 양측에는 각각 상기 제2절첩프레임(312)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2이송플레이트(316)는 제2이송실린더(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제2절첩프레임(312)을 좌우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도 8과 같이, 상기 꼬치어묵지지프레임(302)의 양측에 설치된 어묵지지프레임(304)의 좌,우측에 각각 제1,2절첩프레임(310,312)이 설치되고, 상기 제1,2이송플레이트(314,316)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꼬치어묵지지프레임(30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상기 어묵지지프레임(304)의 하부로 상기 제1,2절첩프레임(310,312)이 이동되어 도 10과 같이 사각어묵(F)이 꼬치어묵(A) 형태로 절첩된다.
상기 꼬치어묵지지프레임(302)의 하부에는 꼬치어묵공급실린더(320)가 설치된다. 상기 꼬치어묵공급실린더(320)는 일반적인 실린더(cylinde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꼬치어묵공급실린더(320)는 상기 꼬치어묵지지프레임(30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꼬치어묵공급실린더(320)를 전방측으로 이동시켜, 후술할 꼬치어묵투입수단(40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 11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꼬치어묵투입수단의 구성을 보인 확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꼬치어묵투입수단에 의해 꼬치어묵이송수단에 꼬치어묵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묵절첩수단(300)의 전방측에는 꼬치어묵투입수단(400)이 설치된다. 상기 꼬치어묵투입수단(400)은, 상기 어묵절첩수단(300)의 전방에 설치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좌우 길게 형성되고, 꼬치어묵(A)의 상부면 전,후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어묵고정프레임(402)과, 상기 어묵절첩수단(300)의 전방에 설치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되는 지지판(412)과, 상기 지지판(412)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412)의 전,후측에 각각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연장판(414)과, 상기 연장판(414)의 양단에 각각 단면이 "L"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클램핑부(416)로 이루어지는 어묵클램프부재(410)와, 상기 어묵클램프부재(410)의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어묵클램프부재(4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어묵클램프실린더(420)와, 상기 어묵클램프실린더(420)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단면이 "┗┓"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측은 상기 어묵클램프실린더(420)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어묵고정프레임(402)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어묵고정프레임(402)을 지지하는 프레임고정브라켓(406)과, 상기 어묵클램프실린더(42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어묵클램프실린더(4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클램프상하이송실린더(422)와, 상기 클램프상하이송실린더(422)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상하이송실린더(422)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클램프좌우이송실린더(42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어묵고정프레임(402)은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어묵고정프레임(402)은 상기 어묵절첩수단(300)에 의해 전방측으로 이동된 꼬치어묵(A)의 상부면 전,후측에 각각 위치된다. 상기 어묵고정프레임(402)은 꼬치어묵(A)의 클램핑 동작시 꼬치어묵(A)의 상부면 전,후측의 가압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어묵고정프레임(402)의 우측단에는 수용홈(404)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404)은 상기 어묵고정프레임(402)의 우측 상부면에 직사각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어, 후술할 클램핑부(416)가 관통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어묵고정프레임(402)의 중앙 측면에는 프레임고정브라켓(406)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고정브라켓(406)은 단면이 "┗┓"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어묵고정프레임(402)의 중앙에 고정되고, 타단은 후술할 어묵클램프실린더(42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고정브라켓(406)은 상기 어묵고정프레임(402)을 후술할 어묵클램프실린더(42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어묵고정프레임(402)의 상측에는 어묵클램프부재(410)가 설치된다. 상기 어묵클램프부재(410)는 지지판(412)과, 연장판(414) 그리고 클램핑부(416)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판(412)은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412)의 전,후측에는 후술할 연장판(414)이 각각 설치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판(412)의 상부면 중앙에는 후술할 어묵클램프실린더(420)가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지지판(412)의 전,후측에는 각각 연장판(414)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연장판(414)은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연장판(414)은 상기 지지판(412)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412)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연장판(414)의 양단에는 각각 클램핑부(416)가 형성된다. 상기 클램핑부(416)는 "L"자 형상으로 절곡되며, 상기 연장판(414)의 양단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클램핑부(416)는 상기 어묵절첩수단(300)에 의해 절첩된 꼬치어묵(A)이 공급되는 경우 꼬치어묵(A)의 하부면 전,후측에 각각 위치된다. 상기 클램핑부(416)는 후술할 어묵클램프실린더(420)의 동작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어 꼬치어묵(A)의 전,후측을 파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판(412)의 상부면 중앙에는 어묵클램프실린더(420)가 설치된다. 상기 어묵클램프실린더(420)는 일반적인 실린더(cyclinde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어묵클램프실린더(420)는 상기 지지판(412)의 상부면에 중앙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어묵클램프실린더(420)는 상기 어묵클램프부재(4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꼬치어묵투입수단(400)에 의해 꼬치어묵(A)의 파지 동작은 도 1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어묵절첩수단(300)에 의해 절첩된 상태의 꼬치어묵(A)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어묵고정프레임(402)과 클램핑부(416)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꼬치어묵(A)이 상기 어묵고정프레임(402)과 클램핑부(416)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어묵클램프실린더(420)가 작동되어 클램핑부(416)가 상측으로 이동되고, 꼬치어묵(A)의 전,후측이 각각 상기 어묵고정프레임(402)과 클램핑부(416)에 밀착되어 꼬치어묵(A)의 파지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어묵클램프실린더(420)의 측면에는 클램프상하이송실린더(422)가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상하이송실린더(422)는 일반적인 실린더(cylinde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클램프상하이송실린더(422)는 상기 어묵클램프실린더(4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어묵클램프실린더(4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클램프상하이송실린더(422)의 측면에는 클램프좌우이송실린더(424)가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좌우이송실린더(424)는 일반적인 실린더(cylinde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클램프좌우이송실린더(424)는 상기 클램프상하이송실린더(422)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클램프상하이송실린더(422)를 좌우로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꼬치어묵투입수단(400)의 하부에는 꼬치어묵이송수단(500)이 설치된다. 상기 꼬치어묵이송수단(500)은 어묵고정블럭(502)과 컨베이어벨트(미도시), 꼬치어묵고정클립(50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어묵고정블럭(502)은 직육면체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컨베이어벨트(미도시)의 상부면을 따라 다수개가 일렬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상기 어묵고정블럭(502)은 후술할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꼬치어묵(A)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어묵고정블럭(502)의 하부에는 컨베이어벨트(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컨베이어벨트는 일반적인 컨베이어벨트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기 어묵고정블럭(50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어묵고정블럭(502)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어묵고정블럭(502)의 상부면 전,후측에는 꼬치어묵고정클립이 설치된다. 상기 꼬치어묵고정클립(504)의 단면이 "
Figure 112019058744855-pat00003
"자 형태의 철재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어묵고정블럭(502)의 상부면 전,후측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상기 꼬치어묵고정클립(504)은 상기 어묵고정블럭(502)의 상부면 전,후측에 각각 설치되어 꼬치어묵(A)이 삽입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꼬치어묵이송수단(500)에 꼬치어묵(A)이 삽입되는 동작을 살펴보면, 도 13과 같이, 상기 어묵클램프부재(410)에 꼬치어묵(A)이 파지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상하이송실린더(422)가 작동되어, 꼬치어묵(A)이 상기 어묵고정블럭(502)의 상부면으로 이동된다. 상기 꼬치어묵(A)이 상기 어묵고정블럭(502)의 상부면에 이동된 후 상기 클램프좌우이송실린더(424)가 작동되어, 상기 꼬치어묵(A)이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꼬치어묵(A)이 상기 어묵고정블럭(502)의 상부면을 따라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꼬치어묵고정클립(504)의 개방부를 통해 상기 꼬치어묵고정클립(504)에 꼬치어묵(A)이 삽입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꼬치어묵 제조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13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작업자는 2대의 어묵공급컨베이어(100)의 상부면에 다단으로 적층된 사각어묵(F)을 안착시킨다. 상기 어묵공급컨베이어(100)의 상부면에 적층된 사각어묵(F)이 안착되면, 공급컨베이어(104)가 컨베이어모터(106)에 의해 작동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공급컨베이어(104)의 회전에 따라 적층된 사각어묵(F)은 도 1과 같이 어묵공급수단(200)의 하부로 이동된다. 상기 공급컨베이어(104)의 전방측으로 적층된 사각어묵(F)의 이동이 완료되면, 2개의 적층된 사각어묵(F) 상측에 위치한 상기 어묵공급수단(200)의 흡착부재(222)가 적층된 사각어묵(F)의 상부로 이동된다.
상기 흡착부재(222)는 실린더고정플레이트(216)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승강실린더(218)의 작동에 따라 2개의 적층된 사각어묵(F)의 상부면으로 동시에 하강한다.
상기 흡착부재(222)는 사각어묵(F)의 중앙부(C) 전,후측에 각각 밀착되며, 흡착방식으로 사각어묵(F)의 전,후의 상부면을 파지한다. 상기 흡착부재(222)은 낱장의 사각어묵(F)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어묵절첩수단(300)의 어묵절첩수단(300)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어묵공급수단(200)에 의해 공급되는 2개의 사각어묵(F)은 상기 어묵지지프레임(304)의 상측으로 이동된 후 사각어묵(F)의 파지 동작을 해제하여 서로 다른 상기 어묵지지프레임(304)의 상부면에 사각어묵(F)의 중앙부(C)가 안착된다.
상기 어묵지지프레임(304)에 사각어묵(F)의 중앙부(C)가 안착된 상태에서, 제1절첩프레임(310)은 상기 어묵지지프레임(304)의 우측에서 상기 어묵지지프레임(304)의 하부로 이동되어 사각어묵(F)의 우측부(R)을 절첩한다.
상기 사각어묵(F)의 우측부(R)에 대한 절첩동작이 완료되면, 제2절첩프레임(312)은 상기 어묵지지프레임(304)의 좌측에서 상기 어묵지지프레임(304)의 하부로 이동되어 사각어묵(F)의 좌측부(L)를 절첩한다.
상기 제1,2절첩프레임(310,312)의 좌,우 이동에 따라 도 10과 같이, 사각어묵(F)의 중앙부(C)를 기준으로 좌,우측부가 각각 절첩되어, 절첩된 형태의 꼬치어묵(A)이 형성된다. 상기 어묵절첩수단(300)에 의해 꼬치어묵(A)의 절첩동작이 완료되면, 꼬치어묵공급실린더(320)가 작동되어 꼬치어묵(A)이 꼬치어묵투입수단(400)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어묵절첩수단(30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된 꼬치어묵(A)은 상기 꼬치어묵투입수단(400)의 어묵클램프부재(410)에 삽입된다.
상기 어묵클램프부재(410)의 양측에 각각 꼬치어묵(A)이 삽입된 상태에서 클램핑부(416)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어 꼬치어묵(A)의 전,후측을 파지한다.
상기 어묵클램프부재(410)에 의해 꼬치어묵(A)의 파지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어묵절첩수단(300)의 상기 꼬치어묵공급실린더(320)가 작동되어 상기 어묵클램프부재(410)의 내부에서 상기 어묵절첩수단(300)이 외부로 이탈된다.
상기 어묵절첩수단(300)의 이탈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클램프상하이송실린더(422)가 작동되어 꼬치어묵(A)의 양측에 각각 파지한 어묵클램프부재(41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클램프상하이송실린더(422)에 의해 하부로 이동된 어묵클램프부재(410)는 꼬치어묵이송수단(500)의 어묵고정블럭(502)의 상부면에 위치된다.
상기 어묵클램프부재(410)가 상기 어묵고정블럭(502)의 상부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클램프좌우이송실린더(424)가 작동되어 도 13과 같이, 꼬치어묵(A)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되며 꼬치어묵고정클립(504)에 삽입되어 꼬치어묵(A)의 상기 꼬치어묵이송수단(500)에 대한 삽입 동작이 완료된다.
상기 꼬치어묵고정클립(504)에 꼬치어묵(A)의 삽입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어묵고정블럭(502)의 일정한 거리만큼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되어 꼬치어묵(A)의 제작하기 위한 또 다른 공정으로 꼬치어묵(A)을 배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벽면레일수단 110. 벽면레일

Claims (4)

  1. 컨베이어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다단으로 적층된 사각어묵(F)이 안착되고 복수개의 사각어묵(F)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어묵공급컨베이어(100)와, 상기 어묵공급컨베이어(10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어묵공급컨베이어(100)를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된 적층된 사각어묵(F) 중 낱장의 사각어묵(F)을 파지하여 공급하는 어묵공급수단(200)과, 상기 어묵공급수단(200)에 의해 공급된 사각어묵(F)의 중앙부(C)를 지지하고 양측을 다단으로 절첩하여 절첩된 꼬치어묵(A)을 형성하는 어묵절첩수단(300)과, 상기 어묵절첩수단(300)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어묵절첩수단(300)에 의해 다단으로 절첩된 꼬치어묵(A)을 클램프하고 상,하,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꼬치어묵이송수단(500)의 꼬치어묵고정클립(504)에 절첩된 꼬치어묵(A)을 삽입하는 꼬치어묵투입수단(4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꼬치어묵투입수단(400)은,
    상기 어묵절첩수단(300)의 전방에 설치되어 꼬치어묵(A)의 상부면 전,후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어묵고정프레임(402)과;
    상기 어묵절첩수단(300)의 전방에 설치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되는 지지판(412)과, 상기 지지판(412)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412)의 전,후측에 각각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연장판(414)과, 상기 연장판(414)의 양단에 각각 단면이 "L"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클램핑부(416)로 이루어지는 어묵클램프부재(410)와;
    상기 어묵클램프부재(410)의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어묵클램프부재(4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어묵클램프실린더(420)와;
    상기 어묵클램프실린더(420)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측은 상기 어묵클램프실린더(420)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어묵고정프레임(402)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어묵고정프레임(402)을 지지하는 프레임고정브라켓(406)과;
    상기 어묵클램프실린더(42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어묵클램프실린더(4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클램프상하이송실린더(422)와;
    상기 클램프상하이송실린더(422)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상하이송실린더(422)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클램프좌우이송실린더(424);를 포함하는 꼬치어묵 제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416)는,
    상기 어묵고정프레임(402)의 상부면 일측에 상하로 관통되는 수용홈(404)에 관통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어묵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묵공급수단(200)은,
    상기 어묵공급컨베이어(100)의 상측에 설치되며, 철재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공급프레임(202)과;
    상기 공급프레임(202)의 상측에 설치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승강판(220)과;
    상기 승강판(220)의 양측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흡착판 형태로 이루어져, 사각어묵(F)의 상부면 양측을 각각 흡착하는 흡착부재(222)와;
    상기 승강판(22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판(2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실린더(218);를 포함하는 꼬치어묵 제조장치.
KR1020190067823A 2019-06-10 2019-06-10 꼬치어묵 제조장치 KR102257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823A KR102257704B1 (ko) 2019-06-10 2019-06-10 꼬치어묵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823A KR102257704B1 (ko) 2019-06-10 2019-06-10 꼬치어묵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179A KR20200141179A (ko) 2020-12-18
KR102257704B1 true KR102257704B1 (ko) 2021-05-28

Family

ID=74041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823A KR102257704B1 (ko) 2019-06-10 2019-06-10 꼬치어묵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7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936B1 (ko) * 2020-12-29 2021-12-09 (주)을성정공 꼬치용 자동 접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1565A (ja) * 2009-08-20 2011-03-03 General Mills Marketing Inc 練製品製造装置
KR101239411B1 (ko) * 2012-11-06 2013-03-11 윤성열 어묵꼬치 자동 제조장치
KR101558919B1 (ko) 2013-08-23 2015-10-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자연세상 김스낵 제조장치
KR101814017B1 (ko) * 2017-09-29 2018-01-02 전영철 사각꼬치어묵의 자동 접힘 투입장치 및 그 투입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824B1 (ko) * 2011-01-03 2012-09-20 주식회사 아워홈 꼬치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1565A (ja) * 2009-08-20 2011-03-03 General Mills Marketing Inc 練製品製造装置
KR101239411B1 (ko) * 2012-11-06 2013-03-11 윤성열 어묵꼬치 자동 제조장치
KR101558919B1 (ko) 2013-08-23 2015-10-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자연세상 김스낵 제조장치
KR101814017B1 (ko) * 2017-09-29 2018-01-02 전영철 사각꼬치어묵의 자동 접힘 투입장치 및 그 투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179A (ko) 2020-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704B1 (ko) 꼬치어묵 제조장치
KR102219777B1 (ko) 자동 꼬치어묵 제조장치
CN210854328U (zh) 纸托供料装置
CN210653856U (zh) 高速开箱折纸装置
CN111056312A (zh) 用于汽车前挡玻璃合片前的自动上线系统
CN208148618U (zh) 一种纸盒退料装配装置
KR102399215B1 (ko) 꼬치어묵 제조시스템
CN215827924U (zh) 模组吸盘输送机构
JP6821915B2 (ja) ラップラウンドケーサ
KR20180000045A (ko) 다공성 용지가 적용되는 옵쇄 인쇄장치
CN215591990U (zh) 热成型气动式边网夹持装置
CN216996589U (zh) 一种具有吸吊与夹取双结构的高效送料装置
CN217533391U (zh) 一种封包搬运组件
CN217533463U (zh) 一种三角排列分组产品包装盒的封包设备
CN217533460U (zh) 一种包裹件成型装置
CN214522265U (zh) 一种包装盒外包装纸用自动贴板设备
CN217533396U (zh) 一种三角形排列的分组装置
CN217533461U (zh) 一种封包折边组件
CN212667868U (zh) 新型自动放说明书设备
CN215098798U (zh) 脱盒执行装置及脱盒机
CN217533462U (zh) 一种分隔件成型装置
CN214165458U (zh) 搬料装置及包装机
CN113044339B (zh) 脱盒机
CN211895039U (zh) 一种产品搬运码垛台
CN114537762A (zh) 一种封包搬运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