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964B1 - 도어 열림 감지 센서를 구비한 자동차의 리프터 기구 - Google Patents

도어 열림 감지 센서를 구비한 자동차의 리프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964B1
KR100527964B1 KR10-2003-0078377A KR20030078377A KR100527964B1 KR 100527964 B1 KR100527964 B1 KR 100527964B1 KR 20030078377 A KR20030078377 A KR 20030078377A KR 100527964 B1 KR100527964 B1 KR 100527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er
door
sensor
vehicle
m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3468A (ko
Inventor
남궁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8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964B1/ko
Publication of KR20050043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9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 B66F2700/123Details concerning the support members or devices not related to the lifting itsel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동차를 승하강 시키는 리프터기구는 자동차의 차체를 지지하기 위해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한 쌍의 지지칼럼과, 지지칼럼의 각각의 측단부분들을 연결하면서 종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리프터포크와, 가이드칼럼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리프터포크 및 상기 지지칼럼에 지지력을 부여하는 리프터마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터마스터에는 상기 지지칼럼상에 위치한 자동차의 도어의 열림을 포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가 부착됨으로써 자동차의 승하강 도중의 도어 열림 현상을 자동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열림 감지 센서를 구비한 자동차의 리프터 기구{Lifter device for an Automobile having door open detecting sensor}
본 발명은 도어 열림 감지 센서를 구비한 자동차의 리프터기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자동차 리프터에 도어 열림 감지 센서를 장착함으로써 리프터의 승하강 전후를 통해 도어의 열림이 감지되면, 리프터의 동작을 중단시켜 자동차의 도어의 손상과 고장을 방지하고, 테스트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테스트를 위한 리프터 기구를 살펴보면,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자동차의 차체를 지지하기 위해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한 쌍의 지지칼럼(10,10)과, 지지칼럼(10,10)의 각각의 측단부분들을 연결하면서 종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리프터포크(20,20)와, 가이드칼럼(2,2)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리프터포크(20,20) 및 상기 지지칼럼(10,10)에 지지력을 부여하는 리프터마스터(1,1)로 이루어져 있다. 통상적으로 리프트마스터(1)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구동부 및 제어부를 내장하고 있으며, 구동신호에 의하여, 이와 기계적으로 연결된 리프터포크(20,20) 및 지지칼럼(10,10)과 함께 가이드칼럼(2,2)상을 상하 방향으로 활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지칼럼(10,10) 및 리프터포크(20,20)위에 안착되는 자동차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리프터 기구는 자동차의 테스트 공정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주차를 위한 메카니즘 기구에도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특히 자동차의 테스트 공정에서는 도어 장착 과정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스테이와 같은 장비로 도어를 임시 고정시키고는 있으나, 리프터 이동 과정중 자동차의 도어가 열리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상존한다. 특히, 스테이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마모 및 스프링의 장력 저하 현상이 발생하면 상술한 가능성은 더욱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이동 과정 중 도어가 임의로 열리면, 도어가 주위의 안내벽 이나 프레임과 부딪혀 손상되고, 리프터 작업이 돌연한 장애로 중단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리프터 기구를 이용한 자동차의 승하강 과정을 통하여 도어 열림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도어의 손상을 미리 방지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리프터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를 승하강 시키는 리프터기구는 자동차의 차체를 지지하기 위해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한 쌍의 지지칼럼과, 지지칼럼의 각각의 측단부분들을 연결하면서 종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리프터포크와, 가이드칼럼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리프터포크 및 상기 지지칼럼에 지지력을 부여하는 리프터마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터마스터에는 상기 지지칼럼상에 위치한 자동차의 도어의 열림을 포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센서가 리프터마스터 전방을 가로 질러 설치된 지지대의 측면에 장착된 설치로드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어열림감지센서기구를 장착한 리프터기구의 전체 평면도이며, 도 3은 리프터기구를 일측면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도어열림감지센서(s)는 리프터마스터(1)전방을 가로 질러 설치된 지지대(4,4)의 측면에 장착된 설치로드(R)상에 장착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전후의 두 개의 지지대(4,4)로부터 좌우 방향 각각으로 설치로드(R)와 도어열림감지센서(s)가 장착되어 모두 4개의 센서가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센서들은 바람직하게는 CCD촬상센서로서 센서(s1,s2) 및 센서(s3,s4)가 각각의 쌍을 이루고 있다. 즉, 센서(s1,s2) 및 센서(s3,s4)는 협업하여 주사영역(l1,l2)을 촬영함으로써 그 내부에 존재하는 대상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다. 주사영역(l1,l2)은 도어가 열리는 경우 도어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충분히 감지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도록 설정되면 족하므로 차체의 폭과 도어의 장착 위치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2의 빗금 친 영역은 주사영역(l1,l2)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상 기술한 본 발명의 센서(s)는 일례를 설명한 것이며, 만약 광센서를 사용한다면, 쌍을 이루는 센서(s1,s2) 및 센서(s3,s4)중의 어느 하나를 발광부로 하고, 나머지를 수광부로 구성하여 발광부에서 나오는 빛이 경로(l1)를 따라 수광부로 입사되는 경우를 도어 열림이 없는 상황으로, 수광부에 입사하지 못하는 경우를 도어가 열린 장애 상황으로 판단하도록 변경하여도 좋다. 또, 촬상센서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자동차의 좌우측면을 충분히 촬영하여 판독할 수 있다면 좌우 도어 쪽에 각각 하나의 센서만을 장착하여도 무방하다.
또, 센서(s)는 리프트마스터(1)의 몸체에 직접 연결하는 등 그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에서, 본 발명의 센서(s)는, 지지대(4)의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가로로드(R1) 및 가로로드(R1)의 끝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세로로드(R2)로 이루어지는 설치로드(R)상에 장착되어 있다. 가로로드(R1)는 지지대(4)에 고정되어 있으며, 세로로드(R2)는 예를 들어 볼트 결합되는 브라켓트를 통해 가로로드(R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볼트의 해제와 조임 및 브라켓트의 재장착에 의하여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소정 범위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로드부의 조절에 의하여 센서가 도어의 열림을 포착할 수 있는 위치로 간편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센서(s)신호를 수신하여 리프터 마스터를 구동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리프터마스터제어부(c)와 리프트마스터구동부(d)는 리프터마스터(1)내에 내장되거나 조작자가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는 패널부내에 장착되고 리프터마스터와 케이블등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c)는 각 센서(s)로부터의 신호를 판독하여 주사영역(l1,l2)내에 물체, 즉 도어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구동부(d)에 신호를 전송하며, 구동부(d)는 수신된 신호에 근거하여 리프터마스터의 구동을 중단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리프터 기구내에 자동차가 위치하는 공정중은 물론 리프터 기구를 타고 자동차가 승하강 하는 도중에 도어의 열림이 발생하는 장애 상황을 용이하게 인식하고 이에 따라 필요한 조처를 취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기술한 본 발명은 리프터 기구를 이용한 자동차의 승하강 과정을 통하여 도어 열림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제공하므로, 도어의 손상을 미리 방지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우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본 발명의 센서는 리프터 기구에 장착되어, 자동차의 승하강 라인에 맞추어 동시에 승하강 되므로, 자동차의 이동 과정중에 발생하는 도어 열림 현상을 실시간적으로 정확히 감지하여 리프터 기구의 동작을 중단시킨다는 점에서 우월한 효과가 발휘된다.
도 1a는 자동차의 리프터 기구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1b는 자동차의 리프터 기구를 도시한 전체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센서가 부착된 리프터 기구의 전체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센서가 부착된 리프터 기구의 부분 확대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리프터 마스터를 제어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Claims (2)

  1. 자동차를 승하강 시키는 리프터기구로서, 상기 리프터기구는 자동차의 차체를 지지하기 위해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한 쌍의 지지칼럼과, 지지칼럼의 각각의 측단부분들을 연결하면서 종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리프터포크와, 가이드칼럼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리프터포크 및 상기 지지칼럼에 지지력을 부여하는 리프터마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터마스터에는 상기 지지칼럼상에 위치한 자동차의 도어의 열림을 포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터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리프터마스터 전방을 가로 질러 설치된 지지대의 측면에 장착된 설치로드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터 기구.
KR10-2003-0078377A 2003-11-06 2003-11-06 도어 열림 감지 센서를 구비한 자동차의 리프터 기구 KR100527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377A KR100527964B1 (ko) 2003-11-06 2003-11-06 도어 열림 감지 센서를 구비한 자동차의 리프터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377A KR100527964B1 (ko) 2003-11-06 2003-11-06 도어 열림 감지 센서를 구비한 자동차의 리프터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468A KR20050043468A (ko) 2005-05-11
KR100527964B1 true KR100527964B1 (ko) 2005-11-09

Family

ID=37244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377A KR100527964B1 (ko) 2003-11-06 2003-11-06 도어 열림 감지 센서를 구비한 자동차의 리프터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9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468A (ko)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5276B1 (ko) 운전자 지원 시스템 검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231220B2 (ja) 高さコントロール装置
US7026930B2 (en) Process and device for adjusting a movable motor vehicle part
KR20090005046A (ko) 슬라이드 도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
EP3375750A1 (en) Aerial work platform with protection device of electronic sensing type
US5281069A (en) Lift device and automated high-raised parking system having the lift device
KR20220038154A (ko)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루프
KR100527964B1 (ko) 도어 열림 감지 센서를 구비한 자동차의 리프터 기구
KR102012705B1 (ko)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전방 모니터링 장치
JP2004136871A (ja) 多機能光学検知を備えた自動車
EP2371754A1 (en) Slide door device and elevator
JP4298453B2 (ja) 荷役補助装置、及び、監視装置
KR100495277B1 (ko) 차량하부 검사장치
JP2005289106A (ja) 車両用昇降装置
SK3212002A3 (en) Load monitoring device for foot boards
KR100774647B1 (ko) 차량 사각 감지용 카메라 장치
JP7485143B2 (ja) トラクタ
JP3957426B2 (ja) 機械式駐車設備の停車位置検出装置
JP7074119B2 (ja) 作業車両
JP6868948B1 (ja) 荷受台昇降装置、および荷受台昇降装置を備える車両
JP7428100B2 (ja) 産業車両における光学機器ユニット装置
CN215667001U (zh) 激光导航装置及激光堆垛叉车agv
JP5020240B2 (ja) スライド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
JPH0558765U (ja) 機械式駐車設備の入庫状態確認装置
JP3190533B2 (ja) 車両の異常積載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