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760B1 - 체내 니코틴 분해 효과와 다이옥신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생약재 추출물의 조성물 - Google Patents

체내 니코틴 분해 효과와 다이옥신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생약재 추출물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760B1
KR100526760B1 KR10-2003-0062115A KR20030062115A KR100526760B1 KR 100526760 B1 KR100526760 B1 KR 100526760B1 KR 20030062115 A KR20030062115 A KR 20030062115A KR 100526760 B1 KR100526760 B1 KR 100526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cotine
extract
tcdd
group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4884A (ko
Inventor
박기문
황진국
김현석
Original Assignee
김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석 filed Critical 김현석
Priority to KR10-2003-0062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760B1/ko
Priority to JP2003336533A priority patent/JP4100623B2/ja
Publication of KR20050024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7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61K36/355Lonicera (honeysuc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발명은 체내 니코틴 및/또는 다이옥신 분해 효과를 가지는 흑두, 포공영 및 금은화를 포함한 생약재 추출물의 혼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생약재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치사량의 니코틴을 마우스에 복강 주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복용하였던 처리군은 일반 사료만 섭취한 대조군에 비해 마비 개시시간이 지연되고 발작지속 시간은 감소하였으며 생존율은 훨씬 높게 나타나는 등 높은 해독 효과를 나타냈다. 인체를 대상으로 한 뇨 중 코티닌 배설량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복용은 초기 뇨 중 코티닌의 배설량을 1.5 배까지 증가시킨 후 뇨 중 코티닌 함량을 상기 조성물 섭취 전의 5% 이하로 감소시켜, 혈중 니코틴의 분해를 촉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다이옥신(TCDD)으로 급성독성을 유도한 래트 실험에 있어서도, 혈액, 및 간, 췌장, 신장 및 심장 기능을 분석할 수 있는 임상수치로부터, 상기 조성물의 섭취가 TCDD에 의한 임상 지수의 변화를 정상 수치에 가깝게 회복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escription

체내 니코틴 분해 효과와 다이옥신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생약재 추출물의 조성물{AN ORIENTAL HERB EXTRACTS COMPOSITION HAVING DETOXIFICATION EFFECT ON THE NICOTINE AND DIOXIN}
인체에 관련된 유해 물질로는 외부로부터 섭취되는 약물 및 식품 유래의 독성 물질, 미생물, 오염된 공기, 식수 등과 체내대사 과정 중 발생하는 과산화물 및 프리라디칼(free radical), 장내 유해미생물이 생성하는 독소 등이 있다. 그리고, 외부환경과 체내 상호작용으로 발생되는 유해물질로는 마이크로파 및 초음파, 전자파, 소음, 자외선, 방사선 등에 의해 인체의 고유 진동수가 간섭을 받아 신경계의 이상을 초래하며 내분비계에 이상을 일으켜 세포의 돌연변이 유발 및 유해물질의 생성으로 신진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알려져 있다(Kwon, Y. T.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human exposure by dioxin-like compounds. The Research Insitute of Engineering Technology. 15: 851-867 (1998)). 이와 같이 현대사회가 각종 유해물질에 의해 광범위하게 오염됨에 따라 인체의 면역력이 저하되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기회가 적어지고 있는데, 이 중 흔히 접할 수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유해물질로서 흡연 관련 물질 및 폐기물 소각 시 발생되는 환경호르몬을 들 수 있다.
담배의 대표적인 유해물질인 니코틴(nicotine)은 폐암 유발물질인 니트로사민-4-(메틸 니트로스아미노)-1-(3-피리딜)-1-부타논 {nitrosamine-4 (methyl nitrosamino)-1-(3-pyridyl)-1-butanone(NNK)}의 전구체로서, 강력한 환경독소이다. 니코틴의 급성독성의 증상으로는 동공축소, 시야혼탁, 구토, 호흡곤란, 타액과 호흡기관에서의 분비물 증가, 심장 박동수 감소 등을 유발하며, 만성중독의 경우 체내에 축적되어 각종 순환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Brunneman, K. D., Prokopezyk, B., Djordjevic, M. V. and Hoffmann, D. Formation and analysis of tobacco-specific N-nitrosamines. J. Natl. Cancer Inst. 89: 868-73 (1996); Carmella, S. G., Borukhova, A., Akerkar, S. A. and Hecht, S. S. Analysis of human urine for pyridine-N-oxidemetabolites of 4-(methylnitrosamino)-1- (3-pyridyl)-1-butanone, a tobacco-specific lung carcinogen.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6 : 113-20 (1997); 및 Wynder, E. L., and Muscat, J. E. The changing epidemiology of smoking and lung cancer histology. Environ Health Perspect.103 Suppl 8:143-148(1995)).
한편, 다이옥신(Dioxin)은 생식 및 신경 독성, 발암을 유발하는 물질로 인류가 만든 최악의 독극물로서, 할로겐화 방향족 탄화수소와 같은 작용에 의해 독성을 나타내며, 가장 강력한 다이옥신(dioxin)으로 알려진 2,3,7,8-테트라클로로-디벤조-파라 다이옥신 (2,3,7,8-tetrachloro-dibenzo-p- dioxin)(TCDD)은 고엽제의 주성분으로서 내분비 교란성 화합물, 즉 환경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다(Poland, A. and Knutson, J. C.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and related halogenated aromatic hydrocarbons ; examination of the mechanism of Toxicol. Ann. Rev. Pharmacol. Toxicol 22 : 517-554 (1982)). TCDD는 펄프 표백과정, 산불, 쓰레기 소각, 자동차 배기가스, 흡연 그리고 그 외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폴리할로겐화 방향족 탄화수소(polyhalogenated aromatic hydrocarbon)로서 체내 반감기가 11년이고 800~850℃에서 열분해 된다. TCDD는 소화관, 호흡기 및 피부를 통하여 체내에 흡수된 후, 세포막을 통과하여 세포질에 존재하는 방향족 탄화수소 수용체(aromatic hydrocarbon receptor) 및 열-쇼크 단백질(heat shock protein)의 도움으로 세포핵에 도달하고, 핵 내에서 DNA에 작용하여 새로운 효소를 생성시켜 체중감소, 면역기능 억제, 피부독성 유발, 출산장애, 간 기능과 지질대사 이상, 발암 등의 독성 작용을 유발하는 내분비계 장애물질이다(Safe, S. H. Comparative toxicology and mechanism of action of polychlorinate dibenzo-p-dioxins and dibenzofurans. ibid. 26 : 371-399(1986); 및 Gelboin, H. V. Benzo(a)pyrene metabolism, activation and carcinogenesis : role and regulation of mixed-function oxidases and felated enzymes. Physiol, Rev. 60 : 1107-1166 (1980)).
니코틴 및 TCDD에 대한 독성 감소 연구로는, 녹차 추출물이 폐암이 유도된 마우스(mouse)의 암 발생을 억제하고 NNK에 의한 폐암발생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으며 니코틴의 환경 호르몬이나 각종 중금속의 독성을 제거하는데 탁월한 효능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Chung. F. L. The prevention of lung cancer induced by a tobacco-specific carcinogen in rodents by green and black Tea. Proc. Soc. Exp. Viol. Med. 220: 244-248 (1999); 및 Fujiki, H., Suganuma, M., Okabe, S., Sueoka N., Komori, A., Sueoka, E., Kozu, T., Tada, Y., Suga, K., Imai, K. and Nakachi, K. Cancer inhibition by green tea. Mutat. Res. 18: 307-310 (1998)).
또한, 녹차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추출 혼합물이 니코틴의 분해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yung, Y. J. and Lee, D. H. Enhanced conversion to cotinine from nicotine by green tea extract. Korean J. Environmental Agriculture. 19: 147-153 (2000); 및 Kim, J. H., Lee, D. H., Cho, H. J. and Jeong, J. M. Effects of phyto-extract mixture on the nicotine decomposition. J. Fd Hyg. Safety. 17: 8-14 (2002)). 그리고 TCDD 및 유사 화합물들의 생화학적 반응은 간의 마이크로좀(microsome)에 존재하는 사이토크롬 P450 복합체(cytochrome P450 complex)의 합성 증가에 관한 것이며, TCDD에 대한 독성 발현 기전을 산화성 스트레스(oxidative stress) 유발에 의한 것으로 생각하고 이에 관심을 가지고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Kitchin, K. T. and Woods, J. S.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effect on hepatic microsomal cytochromes p448-mediated activities. Toxicol. Appl. Pharmacol. 47 : 537-546 (1979); 및 Mohammadpour, H., Murray, W. J. and Stohs, S. J.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2,3,7,8-TCDD)-induced lipid Peroxidation in genetically responsive and non-responsive mice. Arch. Environ. Contam. Toxicol.17 : 645-650(1988)).
본원 발명자들은 특히 동의보감 등 전통 한의학 서적 및 민간요법 등에서 해독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약용식물 중에서 상기한 현대의 대표적 독성물질들을 해독할 수 있는 효과적인 생약재를 찾는데 예의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 몇몇 특정 약용식물 추출물의 혼합 조성물이 체내 니코틴 및 TCDD 등 다이옥신의 독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니코틴 및 다이옥신과 같은 현대의 대표적인 독성물질의 체내 해독작용을 갖는 생약재 추출물로 구성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에 따르면,
체내 니코틴 및/또는 다이옥신 분해 효과를 가지는, 흑두, 포공영 및 금은화를 포함하는 생약재 추출물의 혼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측면에 따르면,
체내 니코틴 및/또는 다이옥신 분해 효과를 가지는, 흑두, 포공영 및 금은화의 생약재 추출물의 혼합물에,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생약재의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 번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측면에 따르는 생약재 추출물의 혼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네 번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측면에 따르는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생약재의 효능을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민간요법 또는 한의학 관련 서적 등에 기재된 바에 따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의보감, 본초강목 등에 의하면, 흑두(Glycine max Merrill), 즉 검은콩은 예로부터 해독, 활혈(活血), 황달, 부종, 풍비, 이뇨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같이 밥을 주식으로 하는 곳에서는 검은콩을 놓아 밥을 해먹기도 하고, 또는 식초에 담가두었다가 그냥 먹거나 다른 곡류와 함께 쪄 가루로 만들어 선식 재료로 사용하기도 하는 등, 그 효능으로 인해 널리 섭취되고 있는 음식이다. 그러나, 흑두 자체가 니코틴 또는 다이옥신의 해독에 직접적인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것이라고는 전혀 예상하지 못하였다.
감초(Glycyrrhiza uralensis)는 종래부터 "약방의 감초"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모든 약재의 재료로서 거의 빠지지 않는 물질로 잘 알려져 있었다. 그 구체적인 효능에 대해서는, 동의보감 등에는 모든 약의 독성을 해독하고 72가지 석약(石藥)과 1200가지 초약(草藥)을 서로 조화하여 약효를 잘 나타나게 하므로 별명을 국노(國老)라 한다고 적혀 있다. 또한 감초는 특히 생강, 대추와 함께 갖가지 독을 푸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식중독이나 갖가지 약물중독, 항암제 독을 푸는데 효과적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흑두와 감초의 추출물의 혼합 사용은 카바메이트(carbamate) 중독에 대한 해독 및 방어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Shin, I. S., Min, K. J. and Kang, H. Y. A study on the preventive effect of extract of Glycyrrhizae Radix and Glycine semen on NAC intoxication. Kor. J. Env. Hlth. Soc. 19 : 61-68 (1993)).
금은화(Lonicerae flos)는 인동초의 꽃이며, 동의보감에는 열독, 혈리 등에 쓰며 해독제와 소염제로 감기, 구토 등을 다스리는데 쓰인다고 적혀 있다.
포공영(Taraxacum mongolicum) 또는 포공초라고도 하는 이것은 민들레를 가리키는 것으로, 동의보감에는 열독을 풀고 악창을 삭히며 멍울을 헤치고 식독을 풀며 체기를 없애는데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 중국 중약대사전에는 열을 내리고 해독, 이뇨, 최유(催乳) 효과가 있으며 염증, 종기를 낫게 하고 간, 담낭 치료에 이용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또 본초강목에는 민들레 즙을 계속 마시면 머리카락이 검어지고 위와 뼈가 튼튼해진다고 적고 있으며, 이러한 포공영과 금은화 추출물의 혼합 사용이 항염증 효과에 탁월하다는 보고가 있다(Hong, S. J., Choi, E. G., Lim, H. S., Shon, J. B. and Jeong S. S. Effect of herbal dentifrice on dental plaque and gingivitis. J Korean Acad Dental Health. 25 : 347- 355 (2001)).
삼백초(Saururus chinensis)는 중국의 본초학 책에서 수종과 각기를 치료하고 대소변을 잘 나오게 하며 가래를 삭이고 막힌 것을 뚫어주며 배 속에 있는 딱딱한 덩어리를 풀어주고 종기나 종창을 치료한다고 적혀 있다. 그 외 중국 약학 대사전, 중국 의학 대사전, 당초본, 영남채약록(嶺南採藥錄), 본초추진 등에도 수종과 각기를 고쳐주며 대소변에 이롭고, 항균, 해독, 소염 작용이 있는 것으로 적혀 있다.
결명자는 눈이 밝아지게 하는 차로서 잘 알려져 있는 생약재이다. 동의보감에는 결명자는 간기(肝氣)를 돕고 정수(淨水)를 더하여 두통과 코피를 다스린다고 하였으며, 동의약학에는 간열로 머리가 어지럽고 아플 때, 눈이 붉어지고 아프며 눈물이 날 때 이용하며, 또 시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이용한다고 기술되어 있다. 약용식물사전에는 또한 이뇨, 소화불량, 위장병 등에 유효하며 시력을 좋게 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한편, 자연민간요법 및 한의학에서는 상기한 삼백초(Saururus chinensis) 및 결명자(Cassia obtusifolia)를 함께 사용하면 이뇨 및 해독에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Shin, I. S., Min, K. J. and Kang, H. Y. A study on the preventive effect of extract of Glycyrrhizae Radix and Glycine semen on NAC intoxication. Kor. J. Env. Hlth. Soc. 19 : 61-68 (1993); Hong, S. J., Choi, E. G., Lim, H. S., Shon, J. B. and Jeong S. S. Effect of herbal dentifrice on dental plaque and gingivitis. J Korean Acad Dental Health. 25 : 347- 355 (2001); 李尙仁. 安德均, 韓方家族療法大全 (漢方藥, 漢方療法, 民間療法), 慶熙大漢醫科大學 本草學敎室編, 韓國圖書出版中央會. 970-971, 981-983(1994)).
이상 기재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자들은 전통 한의학 서적이나 예로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민간요법 등을 통하여 종래부터 각종 해독이나 이뇨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생약재들을 발명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 성분으로 선택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생약재 각각이 어느 정도의 해독이나 이뇨, 및 적절한 소염 작용을 가지며 체내 대사를 활발하게 한다고 하는 일반적인 사실은 알려져 있었지만, 그러한 효능이나 효과가 현대 사회에서 심각한 건강상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대표적 독성 물질인 니코틴과 다이옥신의 체내 해독에 특히 탁월한 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점은 누구도 쉽게 예상하지 못한 것이었다. 또한, 상기 생약재 각각의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측면에 따른 조성물에서와 같은 현저한 해독 효과를 달성할 수 없었으며, 이는 곧 상기 생약재들의 단순한 선택 또는 주합으로는 본 발명을 달성할 수 없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또한, 이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자세히 기재하는 바와 같이, 니코틴 및 다이옥신 급성 독성시험 등과 같은 실험에 의해 충분히 입증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시험 및 그 결과에 대한 고찰 없이는 상기한 특정 조성물의 니코틴 및 다이옥신에 대한 해독 효과를 입증할 수 없으며, 따라서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없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측면에 따르는 각각의 생약재를 세척, 건조하고 세절한 후, 대략 생약재 무게의 10~30 배 정도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30~50℃ 에서 30~50 시간 정도 환류 추출함으로써 각 생약재의 추출액을 얻고, 이들을 각각 일정 고형분 함량이 될 때까지 감압 농축함으로써 각 생약재의 추출 엑기스를 얻고, 이와 같이 얻은 추출 엑기스를 각각 동결 건조함으로써 각 생약재 추출물의 분말을 얻은 후, 이들 분말을 성분에 따라 일정 양씩 혼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당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생약재 추출을 위한 환류시 환류 시간은 환류 온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다르게는, 상기 방법에서 얻어진 각 생약재의 추출물을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 하기 전에, 각 추출액을 일정 농도로 감압 농축하거나 또는 농축하지 않은 상태 그대로, 일정 양씩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생약재 추출물의 혼합 조성물은 각 생약재의 추출 원액 또는 이를 일정 고형분 함량으로 농축한 추출 엑기스, 또는 이들 추출물을 동결 건조한 건조 분말 중 임의의 형태에서, 서로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각 생약재의 추출물이 동일한 고형분 함량으로 감압 농축된 상태 또는 이들을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한 상태를 기준으로, 흑두 추출물 약 1~20 중량부, 포공영 추출물 약 5~30 중량부, 및 금은화 추출물 약 5~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에, 본 발명의 두 번째 측면에 따라 결명자, 감초, 또는 삼백초가 더 혼합되는 경우, 결명자 추출물은 약 5~30 중량부, 감초 추출물은 약 1~20 중량부, 및 삼백초 추출물은 약 10~50 중량부의 범위에서 더 포함할 수 있다.
당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각 생약재 추출물이 상기한 바와 같은 동일한 고형분 함량으로 농축된 추출 엑기스 또는 그로부터 동결 건조된 분말 상태가 아니라도, 각 생약재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와 같은 비율이 되도록 적절히 조절하여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을 것임을 금방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특히 경구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용이 편리하도록 여러 가지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즉, 추출물 엑기스의 혼합물을 일회용 바이얼 등에 담아 수시로 복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혼합 분말을 적당한 담체와 함께 캡슐 또는 정제와 같은 형태로 제제하여 간편하게 복용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추출 엑기스 또는 분말의 혼합물을 그대로 또는 적당한 담체와 함께 제제하여 하루 일정량씩 복용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성물을 식품에 첨가하여 일상적으로 섭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조성물을 음료나 젤리, 캔디, 검, 스낵이나 과자류 등에 첨가하여 섭취하거나, 또는 물이나 우유 등에 타서 마시도록 하는 건강보조식품의 형태로 제조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한 혼합 분말 상태를 기준으로, 체중 1Kg 당 하루 350mg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400 mg 이상 복용하는 경우 체내 니코틴 및/또는 다이옥신의 현저한 해독 효과를 발휘함을 발견하였다. 350mg 이하로 복용하는 경우에는 해독 효과가 그다지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상기 조성물은 각 생약재가 모두 식약청에서 식용으로 허가된 식물이거나 또는 대부분이 일상에서 흔히 섭취, 복용하는 식물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한 일일 투여량을 초과하여 과량 복용하여도 독성 등 기타 부작용은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 효과를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실시예)
생약재 추출물의 추출 및 추출물 분말의 제조
흑두, 금은화, 포공영, 결명자, 삼백초, 및 감초를 경동 시장에서 구매하여 각 500g 씩을 세절한 후, 생약재 별로 각각 40% 에탄올 10L 씩을 첨가하여 40℃에서 48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은 각 생약재 추출액을 고형분 함량이 25%가 될 때까지 40℃에서 감압농축 한 후, 동결 건조하여 각 생약재 추출물의 분말을 얻었다.
이들 생약재 추출물의 분말은, 이후 실시예에 따라 분말을 증류수 등 담체와 함께, 또는 정제의 형태로 제제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각 생약재 별로, 또는 두 가지 이상 생약재 추출물의 분말을 혼합 사용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기도 하였다.
니코틴 급성 독성 시험 방법
체중 약 12±2 g의 3 주령 수컷 ICR 마우스(샘타코사, 경기도 오산시 소재) 22 마리를 대조군 및 처리군 용으로 각각 11 마리씩으로 나누고, 1 주일간 사육 환경에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마우스 사육은 온도 22±1℃, 습도 55±5 %, 환기 회수 12회/일, 명암 주기 12 시간/일(아침 8시 점등, 밤 8시 소등)로 설정된 환경에서 케이지당 1 마리씩 수용하여 마우스용 분말사료(샘타코사, 제품번호: Sam#31)를 물과 함께 섭취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이 때, 처리군 마우스들에게는 본 발명에 따른 여섯 가지 생약재 추출물의 분말을 모두 동량씩 혼합한 분말(이하, "혼합분말 A"라 함)을 사료 1일 섭취량 약 4 g의 10%에 해당하는 400 mg 씩을 사료에 첨가하여 4 주령부터 1 주간 급여하였으며, 대조군은 동량의 분말 사료만을 급여하였다.
한편, 예비실험으로 대조군 마우스에 대한 니코틴 치사량을 결정하였다. 이를 위해 니코틴 타타레이트염(nicotine tartarate salt)(Sigma No. N5260) 중 순수 니코틴 양으로 42 mg/kg을 0.9% 생리식염수에 용해한 후, 이를 0.45 ㎕ 시린지 여과기(syringe filter)를 통해 여과시켜 사용하였다. 상기한 시험사료(샘타코사, 제품번호: Sam#31)를 1 주간 급여 후, 5 주령 마우스 복강 내로 니코틴을 투여하여 마비 개시 시간, 발작 개시 및 종료 시간, 그리고 사망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인체 내 니코틴 해독 효과의 확인 방법
흡연은 직접 또는 담배 연기를 통해서 많은 위해성 물질을 유입시키며 특히, 이러한 위해성 물질 중 니코틴은 체내 대사에 의해 NNK등의 발암 물질을 생성하는 전구체로 이용된다. 최근의 보고에서 니코틴의 주 대사산물인 코티닌은 안정한 물질임과 동시에 NNK의 활성 및 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rushin, N., Hecht, S. S. Stereoselective metabolism of nicotine tobacco-specific N-nitrosamines to 4-hydroxy-4-(3-pydidyl) butanoic acid in rats. Chem Res Toxicol.12:163-71 (1998)).
인체 내 니코틴의 해독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한 혼합분말 A를 1일 섭취량 1,000 mg이 함유된 정제로 제조하였다. 이 때 또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여섯 가지 생약재 추출물 각각의 효과와 두 가지 이상 생약재 추출물의 혼합물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 한 가지씩의 생약재 추출물의 분말만 함유하는 정제들과, 두 가지 이상 생약재 추출물의 분말을 조합하여 함유하는 정제들도 제조하였다. 이 때에도, 하나의 정제 내에 함유되는 생약재 추출물 분말의 총 양은 1,000 mg이 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정제들을 모두, 아래와 같은 방법에 따라 피시험자들이 복용하도록 함으로써 인체 내 니코틴 해독력에 대해 측정하였다.
피시험자는 하루 평균 흡연양이 1 갑 이상인 20~30 세의 건장한 남성 11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피시험자는 뇨 채취와 동시에 정제를 복용하였으며, 복용 3 일째, 및 1 주일 간격으로 오전 10 시에 뇨를 채취하여 약 1 달간 뇨 중 코티닌(cotinine)을 정량함으로써 상기한 정제들의 복용 전 및 복용 후의 체내 니코틴 양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니코틴은 반감기가 30~60 분 정도로, 반감기가 15 시간인 코티닌에 비해 매우 불안정하기 때문에, 분석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뇨 중 코티닌 양을 분석하여 니코틴 해독력을 추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Peach, H., Ellard, G. A., Jenner, P. J. and Morris, R. W. A simple inexpensive urine test of smoking. Thorax. 40 : 351-357 (1985)). 스테이티스틱스(Statistix)를 이용하여 신뢰한계(C.I.: Confidence interval)를 구하여 95% 신뢰한계에서 비교하였다(Statistix. Statistix for Windows. User's Manual, Analytical software. USA. (1996)).
코티닌 정량법
Barlow 등의 방법(Barlow, R. D., Thompson, P. A. and Stone, R. B.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nicotine, cotinine and five additional nicotine metabolite in the urine of smokers using pre-column derivatisation and HPLC. B. J. Chromatogr. 419 : 375-380 (1987))에 따라 뇨 중 코티닌 양을 측정하였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시험대상으로부터 채취한 뇨를 450 x g로 10 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 200㎕를 마이크로튜브(microtube)에 넣고 4M 소디움 아세테이트 완충액(sodium acetate buffer)(pH4.7) 100㎕, 1.5M 시안화칼륨(potassium cyanate) 40㎕, 0.4 M 클로라민-T(chloramine-T) 40㎕, 50%(v/v)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로 제조한 78mM 바비튜레이트산(barbituric acid) 200㎕ 를 순서대로 첨가한 후 10 초 동안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상온에서 15 분간 반응시키고, 1M 소디움 메타바이설파이트(sodium metabisulphite) 40㎕ 로 반응을 중지시킨 후, 49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코티닌을 정량하였다.
다이옥신 급성 독성 시험 방법
체중 약 200±20 g의 3 주령 래트(rat) 수컷 TcnN(SD)BR 래트(샘타코사, 경기도 오산시) 40 두를 구입하여, 다섯 개 군에 대하여 각 군 당 8 마리씩 나누어 7 일간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시험 동물의 사육은 온도 22±1℃, 습도 55±10 %, 환기회수 12회/일, 명암주기 12시간/일(오전 8시 점등, 오후 8시 소등)로 설정된 환경에서 래트 케이지당 1 마리씩 군사하였으며, 사료는 래트용 고형사료를 물과 함께 자유롭게 섭취시켰다.
다이옥신(Dioxin)은 TCDD(AccuStandard Co., USA)를 사용하였으며, TCDD 1mg 을 25 ㎕ DMSO 와 아세톤 225㎕ 에 녹인 후 2.25 ㎖ 의 옥배유에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여섯 가지 생약재 추출물의 분말을 모두 동량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분말 A는 400mg/kg/day 의 농도로 증류수에 용해한 후 경구 투여하였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군(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0.4㎖)를, 제2군 (담체 투여군)에는 아세톤, DMSO, 및 옥배유가 함유된 담체만을, 제3군(TCDD 단독 투여군)은 래트의 체중 1Kg 당 5.0㎍의 농도로 TCDD 를 포함하는 생리식염수 0.4㎖를 복강 주사하였다. 제4군(혼합분말 A 전투여군)에 대해서는 TCDD 1차 복강 주사 7 일 전부터 혼합분말 A를 경구 투여하였고, 제5군(혼합분말 A 동시투여군)에 대해서는 TCDD 1차 복강주사와 동시에 혼합분말 A를 경구 투여하였는데, 이들의 TCDD 주사량은 제3군과 동일하게 래트 체중 1Kg 당 5.0㎍의 농도로 TCDD를 포함하는 생리식염수 0.4㎖로 하였다. 생리식염수 및 TCDD 주사는 1주 간격으로 2 회에 걸쳐 투여하였다.
2차 복강주사 1주일 후 래트를 에틸에테르(ethyl ether)로 마취시키고, 심장에서 전혈한 후 혈액, 및 간, 췌장, 신장, 및 심장 기능에 대한 임상수치를 분석하였다. 이 때에도 또한 스테이티스틱스(Statistix)를 이용하여 각 군 간에 아노바(ANOVA)로 p<0.05 수준에서 최소 유의차 검정(least significant difference test, LSD)을 하였다(Statistix. Statistix for Windows. User's Manual, Analytical software. USA. (1996)).
실시예 1: 인체 내 니코틴 해독력을 통한 생약재 추출물의 효과 비교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여섯 가지 생약재 추출물 중 한 가지씩을 함유하는 것과 두 가지 이상 생약재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의 해독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각 추출물의 분말 또는 두 가지 이상 추출물의 혼합분말을 정제 당 총 1,000 mg 씩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정제들을 상기 인체 내 니코틴의 해독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에서 설명한 바에 따라 피시험자들이 각각 복용하게 함으로써, 인체 내 니코틴 해독 효과를 측정, 비교하였다.
도2는 이들 중 특히 1) 흑두, 포공영, 금은화의 추출물 분말을 각각 1,000 gm 씩 함유하는 정제; 2) 흑두와 포공영, 흑두와 금은화, 및 포공영과 금은화와 같이 두 가지 생약재 추출물 분말을 각각 500 mg 씩, 총 1,000 mg 함유하는 정제, 3) 흑두, 포공영, 금은화의 세 가지 혼합물 분말을 각각 약 333 mg 씩, 총 999 mg 함유하는 정제, 및 4) 흑두, 포공영, 금은화에 삼백초 또는 결명자 또는 감초를 추가로 혼합하여 네 가지 생약재 추출물의 분말을 각각 250 mg씩, 총 1,000 mg 함유하는 정제, 그리고 5)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의 여섯 가지 생약재 추출물의 분말을 모두 동일한 양으로 혼합하여 총 1,000 mg 함유하는 정제를 복용한 경우의 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막대그래프이다.
상기 그래프는 각각 여섯 개의 막대들로 이루어진 11개의 막대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막대군 내 여섯 개의 막대들은 상기 각 정제의 복용일로부터 0일, 3일, 1주, 2주, 3주 및 4주째 되는 날 동일한 정제를 복용한 11 명 피시험자의 뇨로부터 측정한 코티닌 농도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각 막대군은 정제의 종류에 따른 뇨 중 니코틴 분해 정도를 비교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즉, 상기 그래프에서 가로축 각 막대군의 아래에 기재된 바와 같이, 첫 번째 막대군은 "흑두"추출물만을 함유하는 정제를 복용한 경우이고, 두 번째 막대군은 "포공영"추출물만을 함유하는 정제를 복용한 경우이고, 세 번째 막대군은 "금은화"추출물만을 함유하는 정제를 복용한 경우이고, 네 번째 막대군은 "흑두와 포공영"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정제를 복용한 경우이고, 다섯 번째 막대군은 "흑두와 금은화"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정제를 복용한 경우이고, 여섯 번째 막대군은 "포공영과 금은화"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정제를 복용한 경우이고, 일곱 번째 막대군은 "흑두, 포공영, 금은화"의 세 가지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정제를 복용한 경우이고, 여덟 번째 막대군은 "흑두, 포공영, 금은화 및 삼백초"의 네 가지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정제를 복용한 경우이고, 아홉번째 막대군은 "흑두, 포공영, 금은화 및 결명자"의 네 가지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정제를 복용한 경우이고, 열 번째 막대군은 "흑두, 포공영, 금은화 및 감초"의 네 가지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정제를 복용한 경우이고, 열한 번째 막대군은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의 여섯 가지 생약재 추출물 모두를 함유하는 정제를 복용한 경우의 뇨 중 코티닌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상기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여섯 가지 생약재 추출물을 모두 함유하는 정제를 복용했을 때(열한번째 막대군)가 복용 전(0일째)과 비교한 복용 후 3일째 되는 날의 뇨 중 코티닌 농도가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는 "흑두, 포공영, 금은화"외에 한 가지씩의 생약재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정제를 복용한 경우(여덟, 아홉, 열번째 막대군)가 정제 복용 후 3일째 되는 날의 코티닌 농도가 복용 전(0일째)과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다. "흑두, 포공영, 및 금은화"의 세 가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정제(일곱 번째 막대군)의 경우에도 정제 복용일과 비교하여 복용 후 3일째 되는 날의 코티닌 농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양상은 한 가지 생약재 추출물만을 함유하는 정제(첫번째 내지 세 번째 막대군) 또는 두 가지 생약재 추출물만을 함유하는 정제(네번째 내지 여섯 번째 막대군)를 복용한 경우와는 눈에 띌 만한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도2에 나타내지 않은 다른 한 종류의 생약재 추출물만을 함유하는 정제 또는 기타 두 가지 또는 "흑두, 포공영, 및 금은화"를 필수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세 가지 이상의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정제에 대해서도 실험하였으나, 이들은 상기 도면에 나타낸 것들에 비하여 낮은 해독 효과를 보임으로써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여섯 가지 생약재 추출물을 모두 함유하는 조성물의 인체 내 니코틴의 해독 효과가 가장 좋으며, 적어도 "흑두, 포공영, 및 금은화"를 포함한 세 가지 이상의 생약재 추출물의 혼합물이 단독 또는 두가지 또는 세가지 이상의 기타 생약재 추출물의 혼합물에 비하여 유의한 인체 내 니코틴 해독 효과를 가짐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이하 실시예들에서는 본 발명에서 그 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입증된 여섯 가지 생약재 추출물 모두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니코틴 급성 독성 시험, 인체 내 니코틴 해독 효과 및 다이옥신 해독 효과 등을 시험하였다.
실시예 2: 니코틴 급성 독성 시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마우스(mouse) 급성 독성시험은, 1주일 동안 400㎎/day의 투여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여섯 가지 생약재 추출물을 모두 동량씩 함유하는 혼합분말 A를 사료와 함께 투여한 처리군과, 동량의 분말사료만 투여한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예비실험에서 얻은 니코틴 치사량인 42㎎/㎏을 체중별로 조정하여 복강 주사한 후, 마비 발생시간, 발작 시작 및 종료시간, 그리고 사망하기까지의 소요 시간을 표1 에 나타내었다. 수용성인 니코틴은 복강 내로 투여되면 바로 체내로 흡수될 정도로 독성이 강해 신경세포막의 수용체에 반응하여 혈압상승, 골격근섬유 경련유발, 발작으로 인한 구강 내 마비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raig, C. R. and Stizel, R. E. Modern pharmacology 4th ed. Little BROWN. USA . p171-173 (1994)).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니코틴 급성 독성에 따라 초기에 발생하는 마비 개시시간은 대조군의 경우 평균 55초,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분말 A를 투여한 처리군은 2분20초로, 본 발명에 따른 생약재 추출물의 섭취가 마비 개시 시간을 2배 이상 지연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발작 개시 및 완료 시간에 있어서는 대조군의 경우 1분26초에서 3분39초로 2분13초 동안 발작 증상을 나타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분말 투여군의 경우 3분 13초에서 4분23초로 1분 10초간 발작 증상을 나타냈다. 또한, 마비 개시 시간에서 발작 개시까지의 소요 시간 역시 대조군의 경우 31초, 본 발명에 따른 생약재 추출물의 혼합분말 처리군은 53초로 대조군에 비해 연장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대조군의 경우 11마리 중 9 마리가 발작이 정지한 후 평균 4분 6초간 코마(coma) 상태에 있다가 사망하여 치사량의 니코틴 주사 후 7분45초 만에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마리는 회복하였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분말 A 투여군은 11마리 중 3마리가 발작 정지 후 1분 만에 사망하였으나 나머지 8마리는 회복되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약재 추출물의 혼합 분말을 급여한 마우스는 치사량의 니코틴을 주사한 급성독성 실험에서 대조군에 비해 마비 발생 및 발작 개시 시간의 지연, 발작 지속시간의 단축, 및 니코틴 치사량 주사에 따른 생존율이 18%에서 73%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기 생약재 중 금은화를 비롯한 다른 생약재 추출물들에 함유된 이리도이드 글루코사이드(iridoid glucosides)와 다가페놀성 화합물들(polyphenolic compounds)이 니코틴이 코티닌으로 분해되는 것을 촉진시킴으로써 골격근섬유의 경련, 발작 등에 의해 유발되는 마비 증상을 완화시켜 니코틴에 의한 사망률을 크게 감소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3: 인체 내 니코틴 해독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혼합분말 A)에 대한 니코틴 분해 효능을 검정하기 위하여, 표준 코티닌(standard cotinine)으로 검량선을 작성하여 아래와 같은 직선 방정식을 얻었다:
y = 0.0009x + 0.1344 (R2=0.992)
상기 식에서 x는 검체의 흡광도이고, y는 흡광도에 따른 코티닌 양이며, R은 스퀘어 값이 1에 가까울수록 정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피시험자의 뇨에서 코티닌을 정량하여 뇨에 포함되어 배출되는 코티닌의 성향을 도3에 나타내었다. 한편, 도3은, 실시예 1에서 생약재 추출물 간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실험한 데이터인 막대그래프 중 열한 번째 막대군만을 분리하여 단독으로 나타낸 것이기도 하다.
도3을 참조하면, 피시험자들이 본 발명에 따른 여섯 가지 생약재 추출물의 혼합분말로 제조된 정제를 복용하기 전에 채취한 0 일째 시료에서는 평균 197.4±4.9 uM로 높은 코티닌 배설 양상을 보였으며, 섭취 후 3일째에는 302.9±50.4 uM로 배설 양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7일째에는 코티닌 배설 양이 급격히 감소하여 27.6±8.5 uM로 나타났으며 14일째 약간 상승하다가 21일 후부터는 10 uM 이하로 점차 안정된 배출 성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Kyung 등의 보고(kyung, Y. J. and Lee, D. H. Enhanced conversion to cotinine from nicotine by green tea extract. Korean J. Environmental Agriculture. 19: 147-153 (2000))에 의하면, in vitro에서 녹차 추출물에 의한 니코틴의 분해 촉진 결과, 코티닌 생성율이 현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녹차 추출물이 니코틴 분해를 촉진하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녹차 및 상엽, 은행, 진피, 감초, 사과, 레몬 추출물 혼합 제제에 대한 니코틴 분해 임상 실험에서는 30분 간격으로 3회 채취한 뇨에서 물만 음용한 대조군보다 상기 추출물 혼합제제를 음용한 투여군의 경우 코티닌 배출량이 평균 20 uM 더 배출되어 상기 추출물 혼합제제가 체내에서 니코틴을 코티닌으로 분해하는 촉진제로 작용하거나 니코틴이 니트로사민(nitrosamine) 류로 전환되는 것을 억제하여 상대적으로 코티닌으로 변환되는 양이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Kim, J. H., Lee, D. H., Cho, H. J. and Jeong, J. M. Effects of phyto-extract mixture on the nicotine decomposition. J. Fd Hyg. Safety. 17: 8-14 (2002)).
본 실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여섯 가지 생약재 추출물의 혼합분말 정제 복용 후 1주일 동안은 흡연으로 인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던 혈중 니코틴의 분해가 촉진되어 뇨 중 코티닌 배설량이 증가하였으며, 1주일 경과 후부터는 축적된 혈중 니코틴 농도의 저하로 인하여 뇨 중 코티닌 함량이 상기 생약재 추출물의 혼합분말 정제 복용 전에 비해 5% 이하의 수준으로 감소된 것으로 나타나 강력한 니코틴 배출 및 해독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다이옥신(TCDD) 급성 독성 시험
(1)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TCDD에 노출된 래트 혈액의 임상 및 화학적 지수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혼합분말 A)의 급여가 TCDD로 급성 독성을 유도한 래트 혈액의 임상 및 화학적 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한 결과가 표2에 나타나 있다.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백혈구 수의 경우 생리식염수만을 투여한 제1군에 비해 TCDD 를 투여한 제3군에서는 46% 감소하였으며, 제4군 및 5군에서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적혈구 수의 경우 제1군과 비교하여 TCDD를 투여한 모든 군에서 유의차는 없었으나 약간의 감소 현상을 나타내, TCDD 급성독성을 유발한 기니피그에서 TCDD 투여로 적혈구 및 백혈구 수가 증가하였다는 보고와는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Hwang, S. Y., Kim, S. K., Kim S. H., Kwak, Y. S. and Jeong, Y. J.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on clinical chemical parameters in male guinea pigs exposed acutely to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49 - 1354 (1999)).
헤모글로빈 농도의 경우, 제1군에 비해 TCDD 단독 투여군(제3군)의 경우 유의차는 없었으나 감소하였고,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분말 A를 전투여한 제4군 및 동시투여한 제5군에서는 헤모글로빈의 감소 폭을 일부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소판의 수는 TCDD의 투여로 감소하나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분말 A의 투여가 유의차 있게 정상치에 근접하게 회복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p<0.05). 이것은 TCDD 급성독성 실험에서 홍삼 추출물의 투여(Hwang, S. Y., Kim, S. K., Kim S. H., Kwak, Y. S. and Jeong, Y. J.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on clinical chemical parameters in male guinea pigs exposed acutely to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49 - 1354 (1999))에 의한 혈소판 수의 회복 현상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로 볼 때 TCDD 투여는 혈소판 및 백혈구 생성 장애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빈혈에 관계된 헤마토크릿(Hematocrit: 적혈구 용적율)은 제2군에서 알 수 있듯이 DMSO 및 아세톤 담체의 투여로 유의차 있게 헤마토크릿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CDD의 모든 투여군에서도 유의차 있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혈구 평균용적(MCV)은 처리군 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며, 평균 적혈구혈색소량(MCH)의 경우 담체나 TCDD를 처리한 군에서 일부 증가하였으며, 평균 적혈구혈색소농도(MCHC)는 제1군에 비해 나머지 처리 군에서 유의차 있게 증가하여 담체나 TCDD의 투여가 빈혈 발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분말 A의 투여가 유의차는 없었으나 MCHC 상승을 일부 저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 밖에 호중구(Neutrophil Segment)(%) 및 림프구(Lymphocyte)(%), 단핵구(Monocyte)(%)는 급만성 염증, 백혈병, 알레르기성 질환, 조혈세포 장애 등 면역에 관련된 혈액생화학적 지수로서, 호중구(%)는 TCDD 투여로 감소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분말 A의 동시 투여가 유의차 있게 담체 처리군인 제2군 수준으로 면역력을 회복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림프구(%)는 TCDD의 모든 투여 군에서 유의차 있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핵구(%) 역시 TCDD 투여군인 제3군에서 감소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분말 A를 투여한 제4군 및 제5군에서 제1군과 동일한 수준으로 회복됨을 알 수 있었다.
(2)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TCDD에 노출된 래트의 간 내 임상 및 화학적 지수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TCDD에 노출된 수컷 래트의 간 내 임상 및 화학적 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혈중 단백질 함량은 모든 시험군에서 유의차가 없었으며, 알부민 함량은 TCDD 투여에 의해 유의차(p<0.05)있게 감소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분말 A의 투여로 대조군인 제1군과 유사한 수치로 회복되었다. 또한, GOT(글루타메이트 옥살로아세테이트 트랜스퍼라제) 활성은 제1군에 비해 TCDD 투여 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분말 A의 투여로 유의차 있게 억제됨을 알 수 있었고, GPT(글루타메이트 파이루베이트 트랜스퍼라제) 활성은 TCDD 투여로 소폭 증가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분말 A의 투여로 활성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칼라인 포스파타아제(Alkaline phosphatase) 역시 TCDD 투여로 유의차 있게 증가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분말의 전투여 및 동시 투여로 제1군 수준으로 유의차 있게 회복되었다.
TCDD에 대한 마우스의 간 독성 시험에서 TCDD 단독투여군의 경우 외관상으로 정상적이었고, TCDD 투여 후 2주 동안 체중은 처리군 별로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부검시 간은 퇴색되어 황갈색으로 보였고 비대하였으며 많은 점상 괴사소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분말 A 투여군의 경우 제1군에 비해 색상은 퇴색되었지만, 점상 괴사소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어 웅담의 병용 투여에 의해 TCDD에 대한 간의 점상 괴사소를 현저히 감소시켰다는 결과와 유사하였다(Zhang, H. S., Nam, S. H. and Kang, J. K. Protective Effects of Bear Bile against Hepatotoxicity induced by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in Mice. Kor. J. Pharmacogn. 32:121-127 (2001)).
또한, TCDD 급성독성을 유발한 기니피그에 대한 홍삼 투여 결과 알부민 및 총 단백질 함량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본 실험과 차이가 났으며, GOT, GPT, 알칼라인 포스파타아제는 TCDD 투여로 증가하고 홍삼의 투여로 대조군에 가깝게 회복시켜 간 독성을 경감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생약재 추출물의 혼합물 역시 간 독성을 현저하게 경감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Hwang, S. Y., Kim, S. K., Kim S. H., Kwak, Y. S. and Jeong, Y. J.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on clinical chemical parameters in male guinea pigs exposed acutely to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49 - 1354 (1999)).
(3)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TCDD에 노출된 래트의 췌장의 임상 및 화학적 지수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TCDD에 노출된 수컷 래트의 췌장의 임상 및 화학적 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표 4에 나타내었다.
모든 동물에 있어 다이옥신, 즉 TCDD의 투여는 혈중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rewster, D. W. and Matsumura, F.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reduces lipoprotein lipase activity in the adipose tissue of the guineapig. Biochem. Biophys. Res. Commun. 122 : 810-817 (1989)).
상기 표는 췌장에 대한 TCDD의 영향을 분석한 것으로,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TCDD 투여군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분말 A의 투여가 TCDD에 의한 총 콜레스테롤 수치를 제1군 수준으로 회복시키지는 못하였으나 유의차 있게 70% 정도 회복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혈중 중성지질의 경우 담체나 TCDD 투여로 유의차 있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분말 A의 투여가 TCDD에 의해 증가하는 중성지질을 약 50%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HDL 콜레스테롤(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TCDD 단독투여 시 제1군에 비해 유의차 있게 증가 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분말 A의 전투여 및 동시투여로 제1군 수준으로 저하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TCDD 급성독성을 유발한 기니피그의 홍삼의 효과에 대한 연구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Hwang, S. Y., Kim, S. K., Kim S. H., Kwak, Y. S. and Jeong, Y. J.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on clinical chemical parameters in male guinea pigs exposed acutely to 2,3,7,8-Tetrachlorodibenzo -p-diox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49 - 1354 (1999)).
그 외 리파아제(lipase) 및 아밀라아제(amylase)는 처리군 사이에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TCDD에 노출된 래트의 신장의 임상 및 화학적 지수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TCDD에 노출된 수컷 래트의 신장의 임상 및 화학적 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표 5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TCDD 투여에 따른 신장 관련 혈액학적 지수는, 혈중요소태질소(blood urea nitrogen)는 모든 처리군에서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크레아티닌(creatinine)의 경우 TCDD만을 투여한 제3군에서 0.53±0.23으로 제1군에 비해 유의차 있게 증가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분말 A 투여군인 제4군 및 5군의 경우 담체 투여군(제2군)과 동일한 수치를 나타내 TCDD에 의한 증가를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산(Uric acid) 농도는 처리군간 유의차는 없었으나 담체 및 TCDD 투여군에서 증가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분말 A의 투여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칼슘(Ca) 및 인산(P) 함량에는 처리군 별로 변화가 없었으나, 혈중 철분(Fe) 함량은 TCDD 투여로 유의차 있게 감소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분말 A의 전투여(제4군) 및 동시투여(제5군)가 정상 수준 이상으로 완전히 회복시킴을 알 수 있었다.
신장은 노폐물 배설 및 체액 조절을 통한 항상성 유지, 그리고 호르몬 관련 내분비 기능을 담당하고 있어 혈류량이 많으며, 노폐물을 여과시키는 과정에서 혈액에 함유된 독성물질에 노출될 기회가 높고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동안 독성물질의 농축이 일어나 독성물질의 표적이 된다(Hwang, S. Y., Yang, J. B., Chang, C. S., Lee, Y. C. and Lee, H. Y. Protective effect of cornu parvum extract on toxicity induced by 2,3,7,8- tetrachlorodibenzo-p-dioxin in rat. Korea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16 : 647-679 (2002)).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신장은 지방조직에 싸여 있기 때문에 지방조직에 침착되는 TCDD에 의한 손상으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났을 것으로 판단된다.
(5)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TCDD에 노출된 래트의 심장의 임상 및 화학적 지수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TCDD에 노출된 수컷 래트의 심장의 임상 및 화학적 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표 6에 나타내었다.
심장과 관련된 혈액 화학적 지수에서는, 표 6에 보인 바와 같이, 간 질환 및 심근, 골격근의 피로도 등을 판별하는 수치인 젖산탈수소효소(lactate dehydrogenase)의 경우 TCDD 의 투여가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분말 A의 전투여(제4군) 및 동시투여(제5군) 시 대조군(제1군) 보다 더 낮은 수치를 나타내 근육 피로도 감소 및 지구력의 증가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크레아틴 포스포키나아제(Creatine phospokinase)(CPK)는 ATP의 고갈로부터 형성된 ADP를 가인산 분해시킴으로써 근수축 중 충분한 ATP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해주는 효소로, TCDD의 투여로 인하여 정상군에 비해 유의차 있게 67% 감소하였고,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분말 A의 전투여(제4군) 및 동시투여(제5군)는 영향을 거의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육-뇌(muscle-brain)에서 CPK의 수치인 CK-MB도 CPK와 마찬가지로 TCDD의 투여로 인하여 정상군에 비해 유의차 있게 감소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분말 A의 전투여(제4군) 및 동시투여(제5군)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PK 및 CK-MB의 이러한 성향은 생체교란 물질로 작용하는 환경호르몬인 TCDD가 CPK의 활성을 교란시켜 심근 및 다른 근육에 충분한 에너지를 공급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근육의 피로를 증가시키고 운동성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TCDD가 주로 대사되는 기관이 다르고 각 기관에 나타나는 독성이 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독성경감 작용이 조직들 간에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양상은 독성 화학물질이나 약물의 대사과정이 대부분 간에서 이루어지며, 신장, 장관 및 피부에서 일어나는 반응도 약물해독 및 발암전구물질의 암 발생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보고와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Vecchini, F., Mace, K., Magdalou, J., Mahe, Y., Bernard B. A. and Shroot, B. Constitutive and inducible expression of drug metabolizing enzymes in cultured human keratinocytes. British J Dermatol. 132 : 14-21 (1995)).
이와 같이 혈액의 임상화학 지수의 변화로 볼 때, TCDD 투여는 혈액과 췌장에 대한 독성작용이 간, 신장 및 심장에 대한 작용에 비해 훨씬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본 발명에 따른 여섯 가지 생약재 추출물에 의한 독성 경감작용은 간 및 췌장에서 두드러졌고 TCDD 투여로 인한 임상 지수의 변화를 정상수치에 가깝게 회복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에 따른 생약재 추출물이 체내 대사 및 기능 장애를 일부 회복시키는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하여 니코틴 및 다이옥신의 체내 독성 경감 효과에 대해서만 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독성 물질과 관련된 다른 체내 대사 물질 또는 다른 신체적 질병과 관련해서도 본 발명의 조성물이 유의한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임을 당업자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와 같은 효과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주변에서 흔히 구할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생약재로부터 쉽게 제조할 수 있으며, 과량 복용 시에도 부작용 없이 현대인의 건강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대표적 독성 물질인 니코틴 및 다이옥신의 체내 독성 경감에 탁월한 효과를 가진다.
도1은 다이옥신 급성 독성 시험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분말 A와 2,3,7,8-테트라클로로디벤조-p-다이옥신(TCDD)의 투여에 대한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생약재 추출물의 단독 또는 혼합물을 함유하는 정제를 투여한 후, 인체에서 배출된 뇨 내의 코티닌 농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분말 A로 제조된 정제 복용 후 뇨 중 코티닌 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체내 니코틴 분해 효과와 다이옥신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흑두, 포공영, 금은화,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추출물이 모두 동일한 고형분 함량을 가지도록 농축된 것을 기준으로, 1~20 중량부의 흑두 추출물, 5~30 중량부의 포공영 추출물, 5~30 중량부의 금은화 추출물, 10~50 중량부의 삼백초 추출물, 5~30 중량부의 결명자 추출물 및 1~20 중량부의 감초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경구 투여를 목적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각 생약재 추출물은 추출액을 농축하여 건조시킨 분말 상태인 조성물.
  8. 삭제
  9. 삭제
  10.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기재된 생약재 각각을 세척 건조한 후 세절하여 각 생약재 중량의 10-30 배의 에탄올로 각 생약재를 환류 추출하고, 추출된 각 생약재 추출물을 농축하여 동결 건조시키거나 동결 건조시키지 않은 상태로 혼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기재된 체내 니코틴 분해 효과와 다이옥신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03-0062115A 2003-09-05 2003-09-05 체내 니코틴 분해 효과와 다이옥신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생약재 추출물의 조성물 KR100526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115A KR100526760B1 (ko) 2003-09-05 2003-09-05 체내 니코틴 분해 효과와 다이옥신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생약재 추출물의 조성물
JP2003336533A JP4100623B2 (ja) 2003-09-05 2003-09-26 ニコチン及びダイオキシン解毒作用を持つ生薬抽出物の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115A KR100526760B1 (ko) 2003-09-05 2003-09-05 체내 니코틴 분해 효과와 다이옥신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생약재 추출물의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884A KR20050024884A (ko) 2005-03-11
KR100526760B1 true KR100526760B1 (ko) 2005-11-08

Family

ID=34420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115A KR100526760B1 (ko) 2003-09-05 2003-09-05 체내 니코틴 분해 효과와 다이옥신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생약재 추출물의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100623B2 (ko)
KR (1) KR1005267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21512C2 (sv) 2001-06-25 2003-11-11 Niconovum Ab Anordning för administrering av en substans till främre delen av en individs munhåla
DK1803444T3 (en) 2002-12-20 2019-02-25 Niconovum Ab PROCEDURE FOR PREPARING A NICOTIC PARTICULATE MATERIAL WITH A CRYSTALLINE CELLULOSE (ESPECIALLY MCC)
WO2007104573A2 (en) 2006-03-16 2007-09-20 Niconovum Ab Improved snuff composition
JP4776474B2 (ja) * 2006-08-30 2011-09-21 正喜 服部 生薬組成物
KR100812968B1 (ko) * 2006-12-11 2008-03-11 조진원 흡연으로 인한 인체 내의 유독성분 제거에 유효한 효능을 가지는 한약재 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25851A (ko) * 2007-09-07 2009-03-11 오옥수 금연 보조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금연 보조 음료
CN103933492A (zh) * 2013-01-21 2014-07-23 郭继进 一种治疗顽固性呃逆的药及其制备方法
CN104082291B (zh) * 2014-07-02 2016-05-18 谭丕和 一种有机植物解毒剂
JP6444688B2 (ja) * 2014-10-16 2018-12-26 フジッコ株式会社 むくみ抑制または改善剤
CN104524517A (zh) * 2014-12-25 2015-04-22 北京资源亚太饲料科技有限公司 一种防治猪蓄积性中毒的中药散剂
KR20160090662A (ko) * 2015-01-22 2016-08-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쥐눈이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망막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5213975A (zh) * 2015-10-19 2016-01-06 青岛市中心医院 一种治疗肝硬化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CN105311585A (zh) * 2015-12-08 2016-02-10 李朝彬 一种治疗肝硬化的中药组合物
CN107996921A (zh) * 2016-10-31 2018-05-08 许君寿 金银花饮料
KR101889420B1 (ko) * 2016-11-14 2018-09-28 대한민국 홍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스페놀 a로 인한 간 독성 예방 및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CN107320542A (zh) * 2017-07-12 2017-11-07 狄振起 去舌苔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KR102058618B1 (ko) * 2018-08-24 2019-12-23 주식회사 성균바이오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075A (ko) * 1995-06-21 1997-01-21 김윤동 해독차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46936A (ko) * 1998-12-31 2000-07-25 서경배 니코틴 제거효과가 있는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차
JP2001252045A (ja) * 2000-03-13 2001-09-18 Nicchu Igaku Kenkyusho:Kk 発酵大豆から抽出した、ゲニスチインを主要原料とする抗ダイオキシン健康食品。
KR20020069129A (ko) * 2001-02-21 2002-08-29 정종문 니코틴 분해용 기능성 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0010259A (ko) * 2001-07-26 2003-02-05 남정춘 생약 해독제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075A (ko) * 1995-06-21 1997-01-21 김윤동 해독차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46936A (ko) * 1998-12-31 2000-07-25 서경배 니코틴 제거효과가 있는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차
JP2001252045A (ja) * 2000-03-13 2001-09-18 Nicchu Igaku Kenkyusho:Kk 発酵大豆から抽出した、ゲニスチインを主要原料とする抗ダイオキシン健康食品。
KR20020069129A (ko) * 2001-02-21 2002-08-29 정종문 니코틴 분해용 기능성 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0010259A (ko) * 2001-07-26 2003-02-05 남정춘 생약 해독제 및 그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m Biol Interact. 123(1), 31-49, Shertzer HG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생약재 추출물의 nicotine 및 dioxin해독에 관한 연구’(황진국 저, 200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00623B2 (ja) 2008-06-11
JP2005082587A (ja) 2005-03-31
KR20050024884A (ko) 200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6760B1 (ko) 체내 니코틴 분해 효과와 다이옥신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생약재 추출물의 조성물
Alok et al. Herbal antioxidant in clinical practice: A review
Tesfaye Revealing the therapeutic uses of garlic (Allium sativum) and its potential for drug discovery
Londhe et al. Role of garlic (Allium sativum) in various diseases: An overview
Atawodi Evaluation of the Hypoglycemic, Hypolipidem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Methanolic Extract of" Ata-Ofa" Polyherbal Tea (APolyherbal) in Alloxan-Induced Diabetic Rats.
JP2024010025A (ja) 肝臓の治療および肝臓の健康維持のための組成物、方法および医薬組成物
Kumar et al. Hypoglycaemic effect of Helicteres isora bark extract in rats
Islam et al. Antioxidant and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an ethanol extract of Syzygium jambos (L.) leaves
Ali et al. Nutritional health benefits and bioactive compounds of Mangifera indica L (mango) leaves methanolic extracts
Rodriguez Villanueva et al. An insight into a blockbuster phytomedicine; Marrubium vulgare L. herb. More of a myth than a reality?
Simeon et al. Effect of administration ethanol leaf extract of terminalia chebula on liver of wister rat
Borquaye et al.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the ethanolic extracts of Celtis africana Burm. f
Islam et al. An evaluation of potential hepato–protective properties of hylocereus undatus fruit in experimental rat model
Mbanaso et al. Haematoprotective and red blood cell membrane stabilizing effects of Justicia carnae leaf extracts in sodium nitrate-treated rats
Tetrachloride-Induced et al. The protective effect of Morus alba and Calendula officinalis plant extracts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in isolated rat hepatocytes
Johnson et al. Comparative effect of daily administration of allium sativum and allium cepa extracts on alloxan induced diabetic rats
KR20180024066A (ko) 황칠과 굼벵이를 이용한 중금속의 생체 내 흡수 방지 및 생체 외 배출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RU2114628C1 (ru) Композиция ингредиентов &#34;адаптовит&#34;, обладающая антигипоксантным действием
KR100494223B1 (ko) 니코틴 및 타르 해독을 위한 복합 천연 조성물
Lim et al. Phyllanthus emblica
Parkhe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tidiabetic potential of polyherbal formulation in streptozotocin induced animal model
KR102421081B1 (ko) 나이아신을 포함하는 금연 보조제 조성물
Monika A Study on Scientific Evaluation of Siddha Polyherbal formulation “NANNARI MATHIRAI” for Hepatoprotective Activity on CCL4, ETHANOL induced Hepatotoxicity and Antioxidant activity in Wistar Albino Rats
Rajkumar et al. Effect of Emblica officinalis fruits against metallic-lead induced biochemical and hematological alterations in Wistar rats
Kariuki et al. In vivo safety of dichloromethane-methanolic extract of Allium sativum in normal m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