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420B1 - 홍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스페놀 a로 인한 간 독성 예방 및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스페놀 a로 인한 간 독성 예방 및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420B1
KR101889420B1 KR1020160151271A KR20160151271A KR101889420B1 KR 101889420 B1 KR101889420 B1 KR 101889420B1 KR 1020160151271 A KR1020160151271 A KR 1020160151271A KR 20160151271 A KR20160151271 A KR 20160151271A KR 101889420 B1 KR101889420 B1 KR 101889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red ginseng
horse riding
bisphenol
saururus chinen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4003A (ko
Inventor
김형돈
윤지혜
박춘근
김영옥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60151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420B1/ko
Publication of KR20180054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독성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홍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독성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홍삼을 제외한 삼백초, 승마는 열수 추출하여 높은 폴리페놀함량과 활성에 효과적입니다. 또한, 각각의 추출물 보다 홍삼, 삼백초 및 승마를 혼합하였을 때 비스페놀 A를 처리한 군에서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는 효과를 가집니다. 나아가, 비스페놀 A를 투여한 동물 모델에서, 홍삼, 삼백초 및 승마를 혼합하여 처리한 군에서 유의적인 간 회복 효과를 가집니다. 즉, 홍삼, 삼백초, 승마를 열수추출한 혼합물은 환경호르몬으로 인한 간 독성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입니다.

Description

홍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스페놀 A로 인한 간 독성 예방 및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epatotoxicity by bisphenol A comprising of a Red ginseng, aururus chinensis (Lour.) Baill, and Cimicifuga heraclerifolia Komarov extracts}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환경호르몬인 비스페놀 A로 인한 간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홍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독성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산업화와 기술발달로 인한 일상생활에서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의 증가 의한 내분비 장애물질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은 동식물의 생체 내 존재하는 정상 호르몬의 수용체 (receptor)와 결합하여 호르몬의 생성을 억제 혹은 증가시킴으로써 생식기능의 이상, 성비균형 파괴, 호르몬 분비의 불균형, 면역기능 저해, 신경계 마비, 간독성, 폐기능 저하, 유방암 및 전립선암 증가 등의 다양한 질환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있는 화학물질 중의 하나인 비스페놀 A(bisphenol A, BPA)는 대표적인 환경호르몬으로써 화장품 항균제, 통조림 코팅제, 치과 치료용 수지, PVC 재질로 된 유아용 완구 및 플라스틱 생산과정에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BPA의 특성 때문에 환경에서 쉽게 인체에 노출 되어 지속적인 노출 감시와 방지 등의 다양한 예방 대책과 BPA의 사용을 줄이고, 노출에 대항하여 인체를 보호해 줄 방어물질 탐색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선행기술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13523호 (2000.03.06.)- 하배진.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 18, No. 3, 2003년, pp. 161-163- 정기화 외 2명. 응용약물학회지, 1996년, Vol. 1, pp. 89-9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홍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환경호르몬으로 인한 간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홍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독성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추출물을 열수 추출하여 높은 폴리페놀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또한, 각각의 추출물보다 홍삼, 삼백초 및 승마를 혼합하였을 때 간 독성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시너지 효과를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홍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환경호르몬으로 인한 간 세포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홍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은 열수추출로 추출한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홍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승마 추출의 비율은 1:1: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환경 호르몬은 비스페롤 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홍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환경호르몬으로 인한 간 세포 독성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홍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은 열수추출로 추출한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홍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승마 추출의 비율은 1:1: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환경 호르몬은 비스페롤 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홍삼을 제외한 삼백초, 승마는 열수 추출하여 높은 폴리페놀함량과 활성에 효과적입니다. 또한, 각각의 추출물 보다 홍삼, 삼백초 및 승마를 혼합하였을 때 비스페놀 A를 처리한 군에서 간 세포의 생존율이 증가하는 효과를 가집니다. 나아가, 비스페놀 A를 투여한 동물 모델에서, 홍삼, 삼백초 및 승마를 혼합하여 처리한 군에서 유의적인 간 회복 효과를 가집니다. 즉, 홍삼, 삼백초, 승마를 열수추출한 혼합물은 환경호르몬으로 인한 간 독성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입니다.
도 1은 홍삼, 삼백초 및 승마의 열수 추출 및 에탄올 추출에 따른 추추물의 총폴리페롤 함량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2은 BPA 150 uM 처리 후 간암세포주에서 홍삼, 삼백초, 승마 열수 추출물과 이의 복합물(A), 및 홍삼, 삼백초, 승마 에탄올 추출물과 이의 복합물(B)의 세포생존율 평가 것이다.
도 3은 BPA 처리 후 홍삼, 삼백초, 승마 열수추출물과 복합물의 투여에 의한 간 미세구조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개량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및 개량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홍삼, 삼백초 및 승마의 추출물 제조.
홍삼 (Red ginseng ; 6년근, 대한민국, 증평), 삼백초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 대한민국, 영천) 및 승마 (Cimicifuga heraclerifolia Komarov ; 중국)을 건조하였다. 건조 시료를 분쇄하여 멸균증류수와 70% EtOH을 각 시료 25g의 30배 부피인 50 ㎖를 첨가하여 85℃에서 3시간씩 3번 환류 추출하였다. 추출이 끝난 후 실온에서 냉각 후 Filter paper (No. 4)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50℃에서 감압농축한 후 추출물을 분말 화하여 초저온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실시예 2. 홍삼, 삼백초 및 승마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측정.
홍삼, 삼백초 및 승마 추출물의 총폴리페놀의 함량 측정은 Folin-Denis 방법 (1959)을 변형시켜 실시하였다. 시료 0.1 ㎖에 증류수를 가하여 1 ㎖로 만든 후 0.1 ㎖의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3분 동안 반응시켰다. Na2CO3 포화용액 0.2 ㎖를 혼합, 증류수를 첨가하여 2 ㎖로 만든 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3,000 × g에 10분간 원심 분리했다. 상층액을 취해 725 nm에서의 흡광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진 Catechin을 이용하여 표준곡선으로부터 총 폴리페놀 함량을 구하였다 (도 1). 도 1에서 알수있듯이, 총 폴리페놀 함량은 승마의 열수 추출물이 가장 높았다.
실시예 3. 홍삼, 삼백초 및 승마의 열수추출 또는 에탄올추출에 의한 추출물의환경호르몬에 의한 간암세포주 생존율 평가 비교
HepG2 세포를 96-well plate에 2×104 cells/well 농도로 분주 하엿다. 10% FBS와 1% penicillin-streptomycin이 첨가된 DMEM-low glucose 배지에 BPA (150 uM)을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열수 추출 또는 에탄온 추출한 홍삼, 삼백초 및 승마 추출물 250㎍/㎖ 또는 이의 복합물과 같이 처리하였다. 복합물의 구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group 구성 물질 및 함량
MIX 250 홍삼 250 ug/ml + 삼백초 250 ug/ml + 승마 250 ug/ml
24시간 후 MTT 용액 (2 ㎎/㎖) 50㎕를 첨가한 후 5% CO2, 37℃ incubator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뒤 DMSO를 150㎕ 처리하고 실온에서 20분간 반응시켜 생성된 불용성의 formazan 결정을 용해하였다. Microplate reader (BIO-RAD 450, California, USA)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 측정하였다 (도 2). 홍삼, 삼백초, 승마 열수추출물을 각 250μg/ml 농도로 혼합한 복합물 MIX-W250군이 BPA 처리군에 비해 세포생존율이 약 47% 증가되었다(도 2A). 그러나 에탄올 추출물인 경우 효과가 미비하였다(도 2B).
실시예 4. 간손상 동물모델의 홍삼의 간손상 보호 및 개선 효과 평가
수컷 생쥐 (ICR_outbred, M, 25~30 g / 6주령) 56 마리를 나라바이오텍사 (Pyeongtaek, Korea)로부터 공급받아 본 연구의 실험동물로 이용하였다. 동물 선정 및 관리, 외과적 처치 등 모든 연구 절차는 건국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 (IACUC No. KU16149)의 지침에 따라 시행하였다. 각 군별로 7마리를 나누고 하기 표 2와 같이 실험군을 설정하였다. 비스페놀 A 20 mg/kg을 1주간 마우스 복강 내 주사하였다. BPA 복강투여 1시간 후 1회/일 경구 투여하여 물질을 처리하였다.
정상군 식염수 투여군
대조군 비스페놀 A 단독투여군 (20 ㎎/㎏) - 복강주사
양성대조군 밀크씨슬 (중외제약, 실리마린 200 ㎎/㎏)
실험1군 비스페놀 A + 홍삼 열수 추출물 (300 ㎎/㎏)
실험2군 비스페놀 A + 삼백초 열수 추출물 (300 ㎎/㎏)
실험3군 비스페놀 A + 승마 열수 추출물 (300 ㎎/㎏)
실험4군 비스페놀 A + 홍삼 함유 복합물 (홍삼, 삼백초, 승마 각 100 ㎎/㎏)
실험5군 비스페놀 A + 홍삼 함유 복합물 (홍삼, 삼백초, 승마 각 300 ㎎/㎏)
희생 후 적출된 생식 및 간조직은 고정액(4% paraformaldehyde 용액)에서 7일간 고정한 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파라핀 포매하였다. 조직 표본을 5㎛ (HM 315; Microme, Walldorf, Germany) 두께로 절삭하였다. 절삭된 조직 절편을 매 5 장마다 1 장씩 무작위로 취하여 Hematoxylin-eosin 염색 시행하였다. 조직계측학적 관찰에 의한 간 조직 내 중심정맥, 염증세포, 섬유성 경화 등이 포함 모든 이미지를 광학현미경 (DMR, Leica, Nussloch, Germany)으로 관찰하였다 (도 3). 정상군에 비해 BPA를 처리한 군에서 거대핵 농축 형태와 세포질이 공포화된 간세포가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며, 간동굴혈관이 관찰되지 않았다. BPA 단독 처리군에 비해 홍삼 함유 복합물(B-MIX100)군에서 가장 유의한 회복 효과를 보였다. 정상군과 유사하게 회복된 간 미세구조의 형태가 관찰되고, 간 미세구조의 문맥공간과 중심정맥 주위의 간 섬유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Claims (8)

  1. 홍삼 추출물 (Red ginseng), 삼백초 추출물(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및 승마 추출물(Cimicifuga heraclerifolia Komarov)을 포함하고,
    상기 홍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은 열수추출로 추출하며,
    상기 홍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승마 추출의 중량비는 1:1:1(w/v:w/v:w/v)인, 환경호르몬으로 인한 간 세포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호르몬은 비스페놀 A인, 약학적 조성물.
  5. 홍삼 추출물 (Red ginseng), 삼백초 추출물(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및 승마 추출물(Cimicifuga heraclerifolia Komarov)을 포함하고,
    상기 홍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은 열수추출로 추출하며,
    상기 홍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승마 추출의 중량비는 1:1:1(w/v:w/v:w/v)인, 환경호르몬으로 인한 간 세포 독성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호르몬은 비스페놀 A인,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0160151271A 2016-11-14 2016-11-14 홍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스페놀 a로 인한 간 독성 예방 및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89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271A KR101889420B1 (ko) 2016-11-14 2016-11-14 홍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스페놀 a로 인한 간 독성 예방 및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271A KR101889420B1 (ko) 2016-11-14 2016-11-14 홍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스페놀 a로 인한 간 독성 예방 및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003A KR20180054003A (ko) 2018-05-24
KR101889420B1 true KR101889420B1 (ko) 2018-09-28

Family

ID=62297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271A KR101889420B1 (ko) 2016-11-14 2016-11-14 홍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스페놀 a로 인한 간 독성 예방 및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42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764B1 (ko) * 1998-08-10 2001-09-17 박명규 인삼을주성분으로하는다이옥신독성해독제
KR100526760B1 (ko) * 2003-09-05 2005-11-08 김현석 체내 니코틴 분해 효과와 다이옥신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생약재 추출물의 조성물
JP2007055929A (ja) * 2005-08-24 2007-03-08 Asahi Breweries Ltd 肝保護剤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정기화 외 2명. 승마추출물이 흰쥐의 사염화탄소 유발 간독성에 미치는 효과. 응용약물학회지, 1996년, Vol. 1, pp. 89-96*
하배진. 환경 Hormone에 대한 삼백초의 Glutathione 및 항산화 활성 효과. Vol. 18, No. 3, 2003년, pp. 161-16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003A (ko)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Snafi Medical importance of Cichorium intybus–A review
KR102078204B1 (ko) 관절 건강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EP2490543B1 (en) Extracts, fraction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acetogenins and their applications
EP2647385A1 (en) Tie2 ACTIVATOR,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HIBITOR, ANTI-ANGIOGENIC AGENT, AGENT FOR MATURING BLOOD VESSELS, AGENT FOR NORMALIZING BLOOD VESSELS, AGENT FOR STABILIZING BLOOD VESSEL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JP7429066B2 (ja) Tie2活性化剤、血管の成熟化剤、血管の安定化剤、飲食品、及び外用剤
KR20170053388A (ko) 안티 폴루션 효과가 있는 울금, 사과, 포도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idrianny et al.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moringa tree: an overview
Ali et al. Hepatoprotective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moringinine, chlorogenic acid and quercetin
Demir et al. Cytotoxic effect of Rhododendron luteum leaf extract on human cancer cell lines
Ahirwar et al. In vivo and in vitro investigation of cytotoxic and antitumor activities of polyphenolic leaf extract of Hibiscus sabdariffa against breast cancer cell lines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Georgiev et al. The ancient Thracian endemic plant Haberlea rhodopensis Friv. and related species: A review
JP2006176436A (ja) Scf発現阻害剤
KR101889420B1 (ko) 홍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스페놀 a로 인한 간 독성 예방 및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Amalia et al. Update Review: Extraction, Purification,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Gotu Kola Terpenoids
KR20190136231A (ko) 항균 및 지시기능을 가진 물티슈 조성물
KR20140119934A (ko)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허혈성 뇌졸중 개선용 조성물
CN114617907A (zh) 粒酶b抑制剂
Chauhan et al. Pharmacological evaluation of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potential of Litchi chinensis gaertn.(sonn.)
Doudach et al. Cytotoxic &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extracts of Corrigiola telephiifolia Pourr
Mali et al. In-vitro cytotoxicity study of Cichorium intybus seed using NCIH-522 cell line by MTT assay
Fonseka et al. A review on the therapeutic potentials of Ocimum sanctum Linn: in the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Madhumeha)
US20230001326A1 (en) Process for extracting bioactive compounds from plant materials
Muhsinah et al. Bioactive glucitol-core containing gallotannins and other phytochemicals from silver maple (Acer saccharinum) leaves
Dyankova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plants used in traditional Bulgarian medic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