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0259A - 생약 해독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생약 해독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0259A
KR20030010259A KR1020010045146A KR20010045146A KR20030010259A KR 20030010259 A KR20030010259 A KR 20030010259A KR 1020010045146 A KR1020010045146 A KR 1020010045146A KR 20010045146 A KR20010045146 A KR 20010045146A KR 20030010259 A KR20030010259 A KR 20030010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bal
raw material
heating
extract
antid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정춘
Original Assignee
남정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정춘 filed Critical 남정춘
Priority to KR1020010045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0259A/ko
Publication of KR20030010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025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3Leonurus (mother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2Antido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발명은 생약 해독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물에 참나무, 솔잎, 익모초, 감초, 갈근, 뽕잎, 마치현 및 금은화의 생약 원료를 혼합하는 생약 원료 혼합 과정과; 상기 혼합된 생약 원료를 밀폐 수단에 넣고 가열하여 생약 원료 내에 수분을 흡수시키는 1차 가열 과정과; 상기 1차 가열 과정을 거친 생약 원료를 재가열하여 흑갈색의 원액을 얻는 2차 가열 과정과; 상기 원액을 재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숙 과정과; 발생한 증기를 냉각시켜 생약 엑기스를 추출하는 엑기스 추출 과정과; 추출된 생약 엑기스에 게르마늄수를 혼합하는 게르마늄수 혼합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해독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생약 해독제 및 그 제조 방법{ANTIDOTES OF CRUDE DRUG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해독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 종의 생약및 게르마늄을 주성분으로 한 해독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해독제는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오염 물질이나 독성 물질을 중화하여 산화/환원하고, 침전/흡착시킬 뿐 아니라, 무독의 화합물로 변화시키는 약물을 말한다. 상기 해독제는 그 기능에 따라 구토를 유발하는 토제, 독성을 묽게 만드는 완화제 및 독성을 중화시키는 흡착제로 구분된다.
상기 토제와 완화제는 중독의 악화를 지연시킬 뿐 오염 물질이나 독성 물질의 제거는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 흡착제는 특정 오염 물질 혹은 독성 물질에 대한 해독 기능만이 있을 뿐 다른 오염 물질이나 독성 물질을 해독하지는 못하였고, 해독 이상의 추가적인 기능을 가지지는 못하였다.
즉, 종래의 해독제는 특정 독성에 대해 독성이 퍼지는 것을 지연하거나 독성을 중화시키는 역할은 하였으나, 상이한 오염 물질이나 독성 물질에 대해서는 해독 역할을 할 수 없었으며, 독성 제거 후에는 독성에 오염되었던 사람이나 가축이 원래의 건강 상태를 회복하는데 도움을 주지 못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오염 물질이나 독성 물질로부터 생명체를 보호하기 위한 생약 해독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인체 내에서 혈액 순환 등 신진 대사를 촉진시키는 약리 작용을 행하는 생약 해독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약 해독제에 있어서, 물에 참나무, 솔잎, 익모초, 감초, 갈근, 뽕잎, 마치현 및 금은화의 생약 원료를 혼합하여 가열함으로써 추출된 엑기스에 게르마늄수가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해독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약 해독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물에 참나무, 솔잎, 익모초, 감초, 갈근, 뽕잎, 마치현 및 금은화의 생약 원료를 혼합하는 생약 원료 혼합 과정과; 상기 혼합된 생약 원료를 밀폐 수단에 넣고 가열하여 생약 원료 내에 수분을 흡수시키는 1차 가열 과정과; 상기 1차 가열 과정을 거친 생약 원료를 재가열하여 흑갈색의 원액을 얻는 2차 가열 과정과; 상기 원액을 재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숙 과정과; 발생한 증기를 냉각시켜 생약 엑기스를 추출하는 엑기스 추출 과정과; 추출된 생약 엑기스에 게르마늄수를 혼합하는 게르마늄수 혼합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해독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약 해독제의 주요 성분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약 해독제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10 : 생약 원료 혼합 과정 S120 : 1차 가열 과정
S130 : 2차 가열 과정 S140 : 증숙 과정
S150 : 엑기스 추출 과정 S160 : 게르마늄수 혼합 과정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약 해독제의 주요 성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약 해독제는 크게 물(M1), 생약 원료(M2 ~ M9) 및 게르마늄수(M10)로 구성된다. 상기 물(M1)과 생약 원료(M2 ~ M9)는 반복 가열에 의해 엑기스 상태로 추출되며, 상기 게르마늄수(M10)는 상술한 생약 원료 엑기스에 혼합된다. 이어, 본 발명의 생약 해독제를 구성하는 생약 원료와 게르마늄수를 차례로 살펴보기로 한다.
1. 생약 원료
상기 생약 원료는 참나무(M2), 솔잎(M3), 익모초(M4), 감초(M5), 갈근(M6), 뽕잎(M7), 마치현(M8) 및 금은화(M9)를 포함한다.
상기 참나무(M2)는 참나무과 참나무속에 속하는 식물로서, 주성분이 Quercetin, β- sitostenol, Gallotannin, 3-friedlanone이다. 상기 참나무(M2)는 강장과 종독 등의 효능을 가진다.
상기 솔잎(M3)은 주성분이 Bornyl, Pinene Camphen, Sesquiterpene, Oleoresin, Pinsoylvin pinocembrin, Retene, Turpentine oil coniferine이다. 상기 솔잎(M3)은 진통 등의 효능을 가진다.
상기 익모초(M4)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두해살이풀로서, 주성분이 Leonuridine lycopin, Gallus, Gerbsaure, Stachydrine, Rutin이다. 상기 익모초(M4)는 사독, 정혈, 진통, 혈압강화 등의 효능을 가진다.
상기 감초(M5)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주성분이 Glycyrrhizin, Glycyrramarin, Liouiritin, d-Glucuronic acid이다. 상기 감초(M5)는 해독, 거담, 보혈 등의 효능을 가진다.
상기 갈근(M6)은 칡뿌리의 껍질을 벗겨 잘게 썰어서 소금물 또는 백반수에 담갔다가 말린 것으로서, 주성분이 Flavonoid, Puerarin, O-diacetylpuerarin, Gentistein, Formononetin이다. 상기 갈근(M6)은 해열, 진통, 지혈, 해독 등의 효능을 가진다.
상기 뽕잎(M7)은 뽕나무과 뽕나무속에 속한 낙엽교목인 뽕나무의 잎으로서, 주성분이 Alanine, Asparagine, Cysteine, Tryptophan, r-aminobutyric acid이다. 상기 뽕잎(M7)은 혈당 및 혈압 강화, 항출혈성 질환, 청간명목 등의 효능을 가진다.
상기 마치현(M8)은 쇠비름으로 불리우기도 하며,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쇠비름과의 한해살이풀로서, 주성분이 Nora clena line, Dopa moine, Nicotinnic acid tannin이다. 상기 마치현(M8)은 청열해독, 강심, 억균, 이뇨 등의 효능을 가진다.
상기 금은화(M9)는 쌍떡잎식물 꼭두서니목 인동과의 반상록 덩굴식물인 인동의 꽃봉오리로서, 주성분이 Luteolin inositol, arachic acid, myristic acid이다. 상기 금은화(M9)는 해독, 이뇨, 미용 등의 효능을 가진다.
상기 생약 원료의 함량비 조절에 따른 실시예는 하기 <표 1>과 같다.
원료 함량1(%) 함량2(%) 함량3(%) 함량4(%)
참나무 30 28 26 32
솔잎 12 11 13 10
익모초 12 11 13 10
감초 10 10 9 12
갈근 10 10 9 12
뽕잎 8 9 9 7
마치현 8 9 9 7
금은화 10 12 12 10
또한, 상기 생약 원료에는 상술한 원료들 이외에 연교, 연근, 향나무, 쑥, 생강, 구기자, 더덕, 모과, 자작잎, 토복령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추가할 수 있다.
2. 게르마늄수
상기 게르마늄수(M10)는 주기율표 제4B족에 속하는 탄소족 원소인 게르마늄이 용해된 물이다. 상기 게르마늄은 단단한 은황색 반도체형 금속 원소이며, 원자번호는 32이다. 상기 게르마늄은 인체 내에 흡수시 혈압 조절, 혈액 정화, 통증 완화, 산소 공급, 면역력 조절 및 항암 등 약리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다만, 상기 게르마늄은 수은, 비소 등 중금속 성분을 포함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인체에의 직접 복용은 해로울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게르마늄수(M10)는 해독 기능을 가진 생약 원료의 엑기스에 혼합되어 중금속 독성이 희석되므로, 자체 독성에 의한 부작용은 전혀 없으면서도 인체 내에서 상술한 약리 작용을 발휘한다. 즉, 상기 게르마늄수(M10)는 생약 엑기스에 의해 독성 성분은 희석된 상태에서 본래 가지고 있는 약리 작용인 혈액순환 및 정화 촉진, 산소 공급 등은 그대로 보유함으로써, 인체 내에 흡수시 상술한 약리 작용을 발휘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약 해독제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약 해독제의 제조 방법은 생약 원료 혼합 과정(S110), 1차 가열 과정(S120), 2차 가열 과정(S130), 증숙 과정(S140), 엑기스 추출 과정(S150) 및 게르마늄수 혼합 과정(S160)으로 이루어지며, 응용예에 따라 숯 통과 과정(S170)을 추가로 수행한다.
상기 생약 원료 혼합 과정(S110)은 참나무, 솔잎, 익모초, 감초, 갈근, 뽕잎, 마치현 및 금은화 등 생약 원료에 물을 넣고 혼합하는 과정이다. 상기 생약 원료의 혼합 중량비는 참나무 20 내지 30%, 솔잎 7 내지 15%, 익모초 7 내지 15%, 감초 5 내지 10%, 갈근 5 내지 10%, 뽕잎 5 내지 10%, 마치현 5 내지 10% 및 금은화 5 내지 10%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약 원료 혼합 과정(S110)에는 응용예에 따라 연교, 연근, 향나무, 쑥, 생강, 구기자, 더덕, 모과, 자작잎, 토복령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1차 가열 과정(S120)은 혼합된 생약 원료를 제탕기 등의 밀폐 수단에 넣고 가열하여 생약 원료 내에 수분을 흡수시키는 과정이다. 상기 1차 가열 과정(S120)은 60 내지 65℃에서 2 내지 3시간 가량 가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1차 가열 과정(S120)부터 후술할 엑기스 추출 과정(S150)까지는 상호 밀폐 연결된수단 내에서 제탕, 증숙 및 냉각되므로 생약 성분이 외부로 증발하거나 유실될 위험이 없다. 한편, 상기 생약 원료 혼합 과정(S110)에 투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거나 1차 가열 과정(S120)의 가열 시간을 조절하여 생약 원료 내의 수분 함량을 가감함으로써 건성 혹은 수성 생약 해독제의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2차 가열 과정(S130)은 1차 가열 과정(S120)을 거친 생약 원료를 재가열하여 흑갈색의 원액을 얻는 과정이다. 상기 2차 가열 과정(S130)은 100℃에서 4시간 정도 가열함으로써 생약 원료의 갈색화 반응을 일으킨다.
상기 증숙 과정(S140)은 2차 가열 과정(S130)에서 얻은 원액을 증숙기에서 재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과정이다. 상기 증숙 과정(S140)은 110℃ 부근에서 계속적인 가열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엑기스 추출 과정(S150)은 발생한 증기를 냉각시켜 생약 엑기스를 추출하는 과정이다. 상기 엑기스 추출 과정(S150)은 발생한 증기를 냉각기에 통과시켜 액화된 엑기스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과정이다.
상기 게르마늄수 혼합 과정(S160)은 추출된 생약 엑기스에 게르마늄수를 혼합하는 과정이다. 상기 게르마늄수 혼합 과정(S160)은 생약 엑기스에 게르마늄수를 혼합함으로써 게르마늄수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 성분의 독성을 희석화함과 동시에 게르마늄수가 가지고 있는 약리 작용을 이용하기 위한 과정이다.
또한, 상기 숯 통과 과정(S170)은 게르마늄이 혼합된 생약 엑기스를 숯 필터에 통과시키는 과정으로서,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인 과정이다. 상기 숯 통과 과정(S170)은 생약 엑기스에 의해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는 잔존 독성 성분을 숯에의해 제거하기 위한 과정이다.
< 실시예 >
제탕기에 참나무 30%, 솔잎 12%, 익모초 12%, 감초 10%, 갈근 10%, 뽕잎 8%, 마치현 8% 및 금은화 10%의 혼합 생약제와 물을 넣고, 65℃에서 3시간동안 가열하였다. 이어, 100℃에서 4시간동안 가열하여 흑갈색의 생약 원액을 얻은 후, 증숙기에서 110℃로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고, 이 증기를 냉각기에 통과시켜 생약 엑기스를 얻었다. 이어, 상기 생약 엑기스에 1/4 중량비의 게르마늄수를 혼합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생약 해독제는 사용 용도에 따라 복용제, 분무제, 외용제 및 마스크용 도포제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1) 복용제 및 분무제로의 활용
< 응용예 1-1 >
농약을 살포하다 중독되어 쓰러진 농부에게 본 발명의 생약 해독제를 200mg을 복용시킨 후 실내로 운반하고, 코에 생약 해독제를 분무해 준 후 몸을 따뜻하게 유지해 준 결과 약 1시간 후 회복되었음.
< 응용예 1-2 >
음식물에 의해 두드러기가 발생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생약 해독제를 100mg 복용시키고 환부에 서너차례 생약 해독제를 분무해 준 결과 약 1시간 후 회복됨.
< 응용예 1-3 >
용적 13,056㎤의 아크릴 상자에 일산화탄소 700ppm을 주입하고, 본 발명의 생약 해독제 20mg을 아크릴 상자에 분무하여 20분 후에 일산화탄소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 50ppm의 일산화탄소만이 측정되었음.
< 응용예 1-4 >
농약을 과다하게 살포하여 고사해 가던 벼와 채소에 본 발명의 생약 해독제를 분무한 결과, 벼와 채소에서 농약 성분이 제거되어 본래 상태를 회복하였음.
< 응용예 1-5 >
본 발명의 생약 해독제를 노인이 거주하는 방에 수차례 분무한 결과, 노인방에서 발생하는 냄새가 완전히 제거됨.
(2) 외용제 및 마스크용 도포제로의 활용
< 응용예 2-1 >
안면이 화장독에 의해 퍼렇게 변색된 사람에게 본 발명의 생약 해독제를 매일 안면에 바르도록 한 결과, 20일 경과 후 본래의 안면 색깔을 되찾음.
< 응용예 2-2 >
본 발명의 생약 해독제를 광목 원단에 침투 코팅한 후 이를 일반 마스크에 필터 형태로 부착한 마스크를 착용하고 농약 살포를 한 결과, 농약에 의한 두통과 현기증 증세가 전혀 없었음.
< 응용예 2-3 >
응용예 2-2에 사용된 것과 같은 마스크를 착용하고, 안료 공장의 폐수 시설에서 작업하였으나, 폐수 악취를 감지할 수 없었으며, 악취로 인한 중독 현상도 일어나지 않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약 해독제 및 그 제조 방법은 다양한 오염 물질이나 독성 물질에 대해 탁월한 해독력을 가지고 있는 생약 해독제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해독제로 많은 종류의 오염 물질이나 독성 물질에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약 해독제 및 그 제조 방법은 독성 물질 등에 대한 해독 작용 뿐만 아니라 해독 후 신진 대사 및 혈액 순환 촉진 등의 약리 작용을 가지고 있는 생약 해독제를 제공함으로써, 피오염자의 해독은 물론 회복 속도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생약 해독제에 있어서,
    물에 참나무, 솔잎, 익모초, 감초, 갈근, 뽕잎, 마치현 및 금은화의 생약 원료를 혼합하여 가열함으로써 추출된 엑기스에 게르마늄수가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해독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원료에는 연교, 연근, 향나무, 쑥, 생강, 구기자, 더덕, 모과, 자작잎, 토복령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해독제.
  3. 생약 해독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물에 참나무, 솔잎, 익모초, 감초, 갈근, 뽕잎, 마치현 및 금은화의 생약 원료를 혼합하는 생약 원료 혼합 과정과;
    상기 혼합된 생약 원료를 밀폐 수단에 넣고 가열하여 생약 원료 내에 수분을 흡수시키는 1차 가열 과정과;
    상기 1차 가열 과정을 거친 생약 원료를 재가열하여 흑갈색의 원액을 얻는 2차 가열 과정과;
    상기 원액을 재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숙 과정과;
    발생한 증기를 냉각시켜 생약 엑기스를 추출하는 엑기스 추출 과정과;
    추출된 생약 엑기스에 게르마늄수를 혼합하는 게르마늄수 혼합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해독제의 제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가열 과정은 65℃에서 3시간 가열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해독제의 제조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가열 과정은 100℃에서 4시간 가열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해독제의 제조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증숙 과정은 110℃에서 가열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해독제의 제조 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게르마늄수 혼합 과정 이후에는 게르마늄수가 혼합된 생약 엑기스를 숯 필터에 통과시키는 숯 통과 과정을 추가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해독제의 제조 방법.
KR1020010045146A 2001-07-26 2001-07-26 생약 해독제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102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146A KR20030010259A (ko) 2001-07-26 2001-07-26 생약 해독제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146A KR20030010259A (ko) 2001-07-26 2001-07-26 생약 해독제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259A true KR20030010259A (ko) 2003-02-05

Family

ID=27716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146A KR20030010259A (ko) 2001-07-26 2001-07-26 생약 해독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02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760B1 (ko) * 2003-09-05 2005-11-08 김현석 체내 니코틴 분해 효과와 다이옥신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생약재 추출물의 조성물
KR100915893B1 (ko) * 2006-10-13 2009-09-07 김광수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생약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999A (ko) * 1990-09-13 1992-04-27 김영기 순식물성 생약을 주재로 한 해독제의 제조방법
KR960028837A (ko) * 1995-01-10 1996-08-17 김맹호 신선초를 주원료로 하는 액체 엑기스 건강식품
KR960030861A (ko) * 1996-03-06 1996-09-17 장귀환 게르마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약을 사용한 음식물 용기의 제조방법
KR970009807A (ko) * 1995-08-17 1997-03-27 백재기 식물성 생약을 이용한 해독제 조성물
KR970042987A (ko) * 1995-12-01 1997-07-26 성재갑 과일 · 야채 세정제 조성물
KR19990081699A (ko) * 1998-04-22 1999-11-15 최중갑 황토를 주재로한 한약초재벽돌의 제조방법
KR20000053996A (ko) * 2000-05-13 2000-09-05 한기수 식품 조미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999A (ko) * 1990-09-13 1992-04-27 김영기 순식물성 생약을 주재로 한 해독제의 제조방법
KR960028837A (ko) * 1995-01-10 1996-08-17 김맹호 신선초를 주원료로 하는 액체 엑기스 건강식품
KR970009807A (ko) * 1995-08-17 1997-03-27 백재기 식물성 생약을 이용한 해독제 조성물
KR970042987A (ko) * 1995-12-01 1997-07-26 성재갑 과일 · 야채 세정제 조성물
KR960030861A (ko) * 1996-03-06 1996-09-17 장귀환 게르마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약을 사용한 음식물 용기의 제조방법
KR19990081699A (ko) * 1998-04-22 1999-11-15 최중갑 황토를 주재로한 한약초재벽돌의 제조방법
KR20000053996A (ko) * 2000-05-13 2000-09-05 한기수 식품 조미료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760B1 (ko) * 2003-09-05 2005-11-08 김현석 체내 니코틴 분해 효과와 다이옥신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생약재 추출물의 조성물
KR100915893B1 (ko) * 2006-10-13 2009-09-07 김광수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생약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79771A (zh) 一种植物源杀虫剂、制备方法及其应用
CN106538638B (zh) 一种中药消毒剂及其制备方法
CN1969636B (zh) 一种复方植物源农用杀菌剂及生产方法
Ahmad et al. Of Booni Valley, District Chitral Pakistan
CN105532755A (zh) 一种新型植物源果树杀虫剂、制备方法及其应用
CN105519613A (zh) 一种新型植物源杀虫剂、制备方法及其应用
Yusuf et al. Some tribal medicinal plants of Chittagong hill tracts, Bangladesh
CN105519612A (zh) 一种植物源果树杀虫剂、制备方法及其应用
CN101427692B (zh) 植物农药及其制备方法
CN105532767A (zh) 一种杀虫剂、制备方法及其应用
CN105432695A (zh) 一种新型杀虫剂、制备方法及其应用
CN105901038A (zh) 防治蔬菜根线虫的植物杀虫剂及其制备方法
CN105284942A (zh) 一种新型植物源杀虫剂、制备方法及其应用
CN109892350A (zh) 一种植物源的农药组合物
Habib-ul-Hassan et al. Indigenous uses of the plants of Malakand valley, district Dir (Lower), Khyber Pakhtunkhwa, Pakistan.
CN105248469A (zh) 一种植物源杀虫剂、制备方法及其应用
CN106719945A (zh) 一种柑橘黄龙病中药防控制剂及其制备方法
Brussell A medicinal plant collection from Montserrat, West Indies
CN107737229A (zh) 防治猪流感的中药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10037061A (zh) 一种植物源农药增效剂及其使用方法
KR20030010259A (ko) 생약 해독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0415759B1 (ko) 한약재를 이용한 무공해 항균 콩나물 및 그 재배방법
CN102370900A (zh) 一种治疗百日咳的中药合剂
CN102824590B (zh) 一种治疗呼吸作痛型闭合性骨折的中药洗剂制备方法
CN113040177A (zh) 一种降解农作物农药残留的植物发酵提取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